KR101490998B1 -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998B1
KR101490998B1 KR20130092567A KR20130092567A KR101490998B1 KR 101490998 B1 KR101490998 B1 KR 101490998B1 KR 20130092567 A KR20130092567 A KR 20130092567A KR 20130092567 A KR20130092567 A KR 20130092567A KR 101490998 B1 KR101490998 B1 KR 101490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essage
server
terminal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2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이
Original Assignee
김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이 filed Critical 김태이
Priority to KR20130092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이웃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의 동 호수를 기초로하여 해당 사용자의 이웃집들을 자동적으로 설정하고, 해당 이웃집들을 '아랫집', '윗집', '앞집', '뒷집', '옆집' 등으로 표시하여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의 유대감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킬 수 있는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Communication system for neighbors in the community of house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이웃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의 동 호수를 기초로하여 해당 사용자의 이웃집들을 자동적으로 설정하고, 해당 이웃집들을 '아랫집', '윗집', '앞집', '뒷집', '옆집' 등으로 표시하여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의 유대감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킬 수 있는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아파트, 빌라,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인구가 큰 폭으로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날로 각박해져 가는 현대사회에 있어서 이웃들 사이의 공동체 의식이나 유대감은 이전보다 크게 약화되어 있으며, 자택의 옆집에 누가 사는지도 모르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층간 소음이나 주차 문제 등으로 이웃간에 폭행이나 폭언, 소송과 같은 불상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문제는 결국 평소 이웃간의 대화와 소통이 부족한 점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공동주택의 이웃간의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 10-2007-32207 호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아파트 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선행기술 1) 및 대한민국특허출원 제 10-2010-104653 호의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품앗이존 네트워크상에서의 이웃간 협업 콘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선행기술 2)의 선행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 1 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각종 정보를 공유하는 구성이고, 선행기술 2 는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동일한 위치에 속하는 사람들끼리 콘텐츠를 공유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들은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가 해당 공동주택에 거주하는지를 인증하는 절차를 결여하고 있어, 사용자의 진정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심지어 비거주자가 무단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정회원들 사이에 공유되는 내부 정보를 악의로 지득하는 경우도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의 선행기술들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대화 입력창에 가입한 사람의 아이디만 기재되어 있어 대화의 상대방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다른 거주자와의 대화시 상대방 거주자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이웃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나아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인증을 통하여 사용자 진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구성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의 동 호수를 기초로하여 해당 사용자의 이웃집들을 자동적으로 설정하고, 해당 이웃집들을 '아랫집', '윗집', '앞집', '뒷집', '옆집' 등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본 발명의 이웃설정엔진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거주하는 자택을 중심으로 다른 사용자들의 주택이 앞집, 옆집, 뒷집, 윗집, 아랫집 등으로 자동적으로 파악되어 표시되므로, 사용자의 이웃과 자동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실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대화의 상대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이웃간의 커뮤니케이션의 빈도를 증가시키고 친근감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공동주택에 거주하는지의 인증을 우편으로 인증하게 되면,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가입한 사용자의 진정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의 거주자들의 유대감과 공동체 의식을 더욱 함양시켜 커뮤니케이션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진정성이 확보되어 공동주택의 내부 정보가 악의로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블럭다이어그램,
도 2 는 본 발명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회원인증방법의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순서도,
도 4 내지 도 11 은 본 발명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상에서의 입력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 는 로그인 창의 예시,
도 5 는 회원가입 창의 예시,
도 6 은 이웃집설정시 생성되는 공동주택의 매트릭스의 예시,
도 7 은 회원인증을 위한 사용자정보입력창의 예시,
도 8 은 회원인증을 위한 사용자정보입력완료 화면의 예시,
도 9 는 회원인증을 위한 인증정보 입력창의 예시,
도 10 은 이웃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시지입력창의 예시,
도 11 은 이웃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시지함 화면의 예시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블럭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아파트나 빌라,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의 거주자들이 그들의 사용자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본 발명 서버(1)에 접속하고, 서버(1)를 통하여 거주자들의 단말기(200)에 메시지를 상호 송수신함으로써 거주자들의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 서버(1)는 관리부(10), 인증부(20), 메시지처리부(30), 이웃설정엔진부(40) 및 데이터베이스(50)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부(10)는 기본적으로 상기 인증부(20), 메시지처리부(30), 이웃설정엔진부(40) 및 데이터베이스(50)의 작동 및 이들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관리부(10)는 공동주택의 거주자로서 본 발명 시스템을 통하여 해당 공동주택에 속한 다른 거주자와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을 하고자 하는 거주자(이하, 이러한 거주자를 본 발명 시스템의 '사용자'라 칭함)의 단말기(200)에 본 발명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회원 가입을 위한 인적정보의 입력창의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해당 입력창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한다.
상기 인증부(20)는 사용자가 실제로 해당 공동주택에 거주하는지의 거주지 인증을 실시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상기 거주지 인증은 상기 사용자에게 우편으로 회원인증번호를 송부하여 회원인증번호를 본 발명 서버(1)에 입력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이러한 본 발명의 인증방법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상기 메시지처리부(30)는 본 발명 서버(1)에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다른 사용자에게 송신할 메시지의 입력창의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입력창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 정보를 송신하여 메시지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200)에 메시지 정보가 표시되게 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처리부(30)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서버(1)에 입력된 메시지 데이터를 연동된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단말기(200)로부터 메시지의 열람 요청을 수신할 경우, 해당 사용자가 발신한 메시지 또는 해당 사용자에게 수신된 메세지의 정보를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상기 이웃설정엔진부(40)는 사용자가 관리부(10)를 통하여 입력한 사용자의 주소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이웃집인 아랫집, 윗집, 옆집, 뒷집, 앞집을 자동적으로 파악하고, 파악된 이웃집들을 해당 사용자의 이웃집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시키는 부분이며, 상기 이웃설정엔진부(40)의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서버(1)는 공지된 모든 방식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네트워크(100)에 접속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네트워크(1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의 인터넷(internet)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50)는 서버(1)에 의하여 공지의 관리기법에 따라서 운용되는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관리기법의 예로서는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관리기법 등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본 발명 서버(1)에 접속하는 단말기(200)는 컴퓨터,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PC, PDA 등의 공지된 모든 방식의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100)와의 접속을 위한 모뎀(MODEM)이 설치된 통상의 컴퓨터(미도시) 또는 네트워크(100)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시켜 실행시킬 수 있는 휴대폰(소위 '스마트폰'(smart phone)이라 불리움)인 것이 좋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회원가입과 이웃설정 및 사용자의 거주지인증의 방법을 도 2 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 서버(1)에 회원 가입을 소망하는 사용자가 그의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200)를 경유하여 본 발명 서버(1)에 접속한다(단계 S 100).
그러면, 서버(1)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회원가입을 위하여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입력받는 회원정보 입력창을 표시한다(단계 S 110).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인적정보로서는 사용자의 성명, 로그인을 위한 아이디(ID), 로그인을 위한 비밀번호(password), 다른 사용자와의 통신상에서 이용되는 사용자의 별명(닉네임,nickname),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사용자 자택의 주소, 사용자 얼굴의 사진파일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회원가입을 위한 사용자 인적정보는 서버(1)의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그 항목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 100 단계에서 사용자의 단말기(200)가 서버(1)에 접속하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의 로그인을 위하여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의 입력창(401)과 비밀번호 입력창(402)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서버(1)에 등록되지 않은 회원미가입자라면 회원가입메뉴(403)를 클릭하여 본 발명 서버(1)로의 회원가입을 위한 입력창을 호출한다.
또한, 상기 S 110 단계에서의 사용자의 회원가입을 위하여 도 5 에 도시된 인적정보의 입력창의 예시와 같이, 사용자의 닉네임 입력창(501), 사용자의 이메일계정의 입력창(502),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창(503), 사용자의 주소 입력창(504)이 표시되어 각각의 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하여 상기 회원정보 입력창에 사용자의 인적정보가 입력되고(단계 S 120), 서버(1)는 입력된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네트워크(100)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인적정보를 연동된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단계 S 130).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회원가입을 위한 인적정보의 입력 및 저장 과정이 완료되면, 본 발명 서버(1)는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의 회원가입을 완료하는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 140).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서버(1)는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된 사용자의 주소에 기초하여 공동주택내에서의 해당 사용자의 이웃집들인 아랫집, 윗집, 옆집, 뒷집, 앞집의 주소를 자동적으로 설정하고(단계 S 150), 파악된 이웃집들을 해당 사용자의 이웃집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시킨다(단계 S 160).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상기 이웃집들의 주소를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거주하는 해당 공동주택의 다른 사용자의 주소를 기초로 해당 공동주택의 개별주택의 배치 상태를 파악하여 구성한 매트릭스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서버에는 다른 사용자들의 주소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다른 사용자들의 주소에 기초하여 해당 공동주택에는 한층에 몇개의 주택이 있는지 확인하고, 한개의 동은 몇층까지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사용자들의 입력된 주소정보가 101동 101호, 101동 203 호, 101 동 305 호, 101 동 808 호로 입력되어 있다면 서버는 101 동에는 한층에 적어도 8 개의 주택이 있으며 101 동은 적어도 8 층까지 있는 것으로 파악하여 가로 8 열 및 세로 8 행의 매트릭스(matrix)를 생성하고, 이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의 호수가 101 동 503 호라면, 이 호수에 해당하는 매트릭스의 영역(A1)을 기준으로 해당 사용자의 아랫집인 101 동 403 호(A2), 윗집인 101 동 603 호(A3), 옆집인 101 동 504 호(A4), 뒷집인 101 동 502호(A5)의 호수를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주소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웃집들을 자동적으로 파악하여 해당 사용자의 이웃집으로 등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이웃과 자동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실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대화의 상대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이웃간의 커뮤니케이션의 빈도를 증가시키고 친근감을 제고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서버(1)는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가 실제 해당 공동주택에 거주하는지를 확인하는 거주지 인증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1)는 사용자의 거주지 인증을 위하여 사용자 주소를 입력받는 입력창의 웹페이지를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제공한다(단계 S 170).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창의 예시와 같이, 상기 S 170 단계에서의 거주지 입력창은 사용자의 주소입력창(701)과 우편번호입력창(702)이 표시되어 주소와 우편번호를 입력받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주소의 입력창에 사용자의 주소정보가 입력되고(단계 S 180), 서버(1)는 입력된 사용자의 주소정보를 연동된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고(단계 S 190), 주소정보를 입력한 해당 사용자의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연동된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한다(단계 S 200).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에 사용자인증을 위한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고 입력된 사용자의 주소로 인증번호를 기재한 용지가 우편 발송될 예정임을 부가하여 표시한다(단계 S 210).
도 8 은 상기 S 190 단계의 사용자인증을 위한 신청의 완료를 표시하는 창(801)이 표시된 화면의 실례이다.
이후, 서버(1)의 관리자가 데이터베이스(50)에 기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인증번호를 기재한 용지를 동봉한 우편물을 사용자의 주소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자택으로 우편 발송한다.
이어서, 서버(1)는 사용자 단말기(200)에게 우편물에 포함된 용지에 기재된 인증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입력창을 제공한다(단계 S 220).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번호가 입력되면(단계 S 230), 서버(1)는 데이터베이스(50)를 검색하여 입력받은 사용자의 인증번호가 데이터베이스(50)에 기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인증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단계 S 240).
상기 S 200 단계에서의 인증번호의 입력을 위하여 도 9 에 도시된 인증번호 입력창의 예시와 같이, 우편으로 전달받은 사용자의 인증번호의 입력창(901)이 표시된다.
상기 S 220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번호가 데이터베이스(50)에 기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인증번호와 일치하면, 회원의 거주지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한다(단계 S 250).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서버(1)에 회원으로 가입 완료되면, 사용자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다른 사용자와의 이웃간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메시지 송수신을 지원하게 되며, 이하, 도 3 을 참조하여 이의 각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서버(1)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메시지 입력창을 표시하고(단계 S 300), 데이터베이스(50)에 해당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발신한 메시지를 보관하는 메시지 발신함과 해당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보관하는 메시지 수신함을 생성하고 이를 관리한다(단계 S 310).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는 사용자 자택의 공동주택에서의 동 및 호수의 정보와 사용자의 성명이나 별명(닉네임)이 표시되는 한편, 상술한 이웃설정엔진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되어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들이 '아랫집', '윗집', '앞집', '뒷집', '옆집' 등으로 직관적으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메시지를 보내고자 상기 다른 사용자들의 주소인 '아랫집', '윗집', '앞집', '뒷집', '옆집'의 메뉴를 가리키면, 이에 해당하는 다른 사용자의 주소가 함께 표시되어 메시지를 전달할 상대방의 동호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의한 메시지의 입력에 있어서, 메시지의 발신 대상의 사용자가 메시지 입력창에서 사용자 자신의 자택의 아랫집, 윗집, 앞집, 뒷집, 옆집 등으로 직관적으로 표시되므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자택의 아랫집에 거주하는 다른 사용자단말기(200)로 메시지를 발신하고자 할 경우 메시지 입력창에서 '아랫집'의 메뉴를 클릭하여 생성되는 메시지 입력창에 발신하고자 소망하는 메시지의 내용을 입력하여 발신하면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본 발명의 메시지 입력창에 의하여 다른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친근하게 표시되어 이웃간의 친밀감과 유대감을 보다 고취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자택이 포함된 동 전체에 속한 다른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자택과 몇개층 이내의 다른 사용자 등 사용자의 자택을 기준으로 그 인근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 전체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활성화하는 메뉴를 '인근 전체'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메시지 입력창에는 메시지를 발신할 다른 사용자의 주소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상대방 사용자의 주소 입력창도 구비되며, 이러한 기능을 활성화 하는 메뉴를 '설정'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0 는 상기 S 310 단계에서 메시지를 발신하고자 하는 다른 사용자들이 사용자의 동 및 호수를 기준으로 '아랫집'(1001), '윗집'(1002), '앞집'(1003), '뒷집'(1004), '인근전체'(1005), '설정'(1006)로 표시된 예이며, 특히, 커서가 상기 '아랫집', '윗집', '앞집', '뒷집', '인근전체'를 가리킬 때, 해당하는 집의 동 호수의 주소를 표시하는 표시창(1007)을 가지고 있어, 메시지의 상대방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시지 발신을 위한 메뉴를 '인터폰'(1008)의 명칭으로 표시하여 해당 상대방 이웃과 마치 인터폰으로 대화를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고 있으며, '이미지/동영상 첨부'의 메뉴(1009)를 통하여 메시지를 발신할 때 이미지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을 첨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 310 단계에서 사용자의 단말기(200)로부터 다른 사용자에게 발신하는 메시지가 입력되면(단계 S 320), 서버(1)가 메시지를 수신받아 연동된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고(단계 S 330),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메시지의 수신처인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 340).
그러면, 메시지를 전달받은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전달받은 메시지가 표시되고(단계 S 350), 이후, 다른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서버(1)에 접속하고 서버(1)로부터 제공된 메시지입력창에 답신 메시지를 입력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200)에게 발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1)는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50)에 기저장된 발신메시지함 및 수신메시지함을 열람하거나, 각 메시지함에 보관중인 발신메시지 또는 수신메시지의 삭제, 영구보관 등의 관리도 수행할 수 있다.
도 11 은 위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발신메시지함(1101) 및 수신메시지함(1102)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서버
10; 관리부
20; 인증부
30; 메시지 처리부
40; 이웃설정 엔진부
50; 데이터베이스
100; 네트워크
200; 사용자단말기

Claims (7)

  1.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사용자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회원 가입을 위한 인적정보의 입력창을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관리부(10);
    상기 관리부(10)를 통하여 입력한 사용자의 주소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이웃집을 설정하고, 설정된 이웃집들을 해당 사용자의 이웃집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는 이웃설정엔진부(40);
    상기 이웃설정엔진부(40)가 생성한 이웃집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해당 사용자의 이웃집들을 표시하고, 표시된 이웃집에게 송신할 메시지의 입력창을 제공하고, 제공된 입력창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다른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메시지관리부(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버(1)를 구비하고,
    상기 이웃집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동 및 호수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사용자의 주소가 '아랫집', '윗집', '앞집', '뒷집', '옆집' 중의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가입을 수행한 사용자가 실제로 해당 공동주택에 거주하는지의 거주지 인증을 실시하는 인증부(20); 를 더 포함하고,
    상기의 거주지 인증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로 송부된 회원인증번호를 서버(1)에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4.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사용자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있어서,
    서버(1)에 회원 가입을 소망하는 사용자가 그의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200)를 경유하여 본 발명 서버(1)에 접속하는 단계(단계 S 100);
    서버(1)가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회원가입을 위하여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입력받는 회원정보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단계 S 110);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하여 상기 회원정보 입력창에 사용자의 인적정보가 입력되고(단계 S 120), 서버(1)가 입력된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연동된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여 관리하고(단계 S 130), 회원가입을 완료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단계 S 140);
    상기 사용자의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서버(1)는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된 사용자의 주소에 기초하여 공동주택내에서의 해당 사용자의 이웃집들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단계 S 150);
    파악된 이웃집들을 해당 사용자의 이웃집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시키는 단계(단계 S 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웃집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동 및 호수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사용자의 주소가 '아랫집', '윗집', '앞집', '뒷집', '옆집' 중의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가 사용자의 거주지 인증을 위하여 사용자 주소를 입력받는 입력창의 웹페이지를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제공하고(단계 S 170),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주소의 입력창에 사용자의 주소정보가 입력되고(단계 S 180), 서버(1)는 입력된 사용자의 주소정보를 연동된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고(단계 S 190), 주소정보를 입력한 해당 사용자의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연동된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는 단계(단계 S 200);
    사용자 단말기(200)에 사용자인증을 위한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고 입력된 사용자의 주소로 인증번호를 기재한 용지가 우편 발송될 예정임을 부가하여 표시하는 단계(단계 S 210);
    서버(1)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우편물에 포함된 용지에 기재된 인증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입력창을 제공하고(단계 S 220),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번호가 입력되는 단계(단계 S 230);
    서버(1)가 데이터베이스(50)를 검색하여 입력받은 사용자의 인증번호가 데이터베이스(50)에 기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인증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단계 S 240),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번호가 데이터베이스(50)에 기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인증번호와 일치하면, 회원의 거주지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하는 단계(단계 S 2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서버(1)가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메시지 입력창을 표시하고(단계 S 300), 데이터베이스(40)에 해당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발신한 메시지를 보관하는 메시지 발신함과 해당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보관하는 메시지 수신함을 생성하고 이를 관리하는 단계(단계 S 310);
    사용자의 단말기(200)로부터 다른 사용자에게 발신하는 메시지가 입력되면(단계 S 320), 서버(1)가 메시지를 수신받아 연동된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고(단계 S 330),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메시지의 수신처인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메시지를 송신하고(단계 S 340), 메시지를 전달받은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전달받은 메시지가 표시되는 단계(단계 S 3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방법.
  7. 삭제
KR20130092567A 2013-08-05 2013-08-05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0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2567A KR101490998B1 (ko) 2013-08-05 2013-08-05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2567A KR101490998B1 (ko) 2013-08-05 2013-08-05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998B1 true KR101490998B1 (ko) 2015-02-13

Family

ID=5259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2567A KR101490998B1 (ko) 2013-08-05 2013-08-05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0267A (zh) * 2020-12-21 2022-06-21 全星泌 用于预防层间噪音纠纷的层间邻居通信方法及通信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003A (ko) * 2000-01-08 2000-05-06 김병헌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주택 관리시스템
JP2001273259A (ja) * 2000-03-28 2001-10-05 Mitsubishi Electric Systemware Corp ユーザ認証システム、ユーザ認証方法およびユーザ認証を行う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30036290A (ko) * 2003-02-19 2003-05-09 (주)인픽스 아이디랩 인터넷을 이용한 주소 기반 가상 사회 서비스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20090097698A (ko) * 2008-03-12 2009-09-16 (주)휴먼아이티 사이버 아파트 분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003A (ko) * 2000-01-08 2000-05-06 김병헌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주택 관리시스템
JP2001273259A (ja) * 2000-03-28 2001-10-05 Mitsubishi Electric Systemware Corp ユーザ認証システム、ユーザ認証方法およびユーザ認証を行う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30036290A (ko) * 2003-02-19 2003-05-09 (주)인픽스 아이디랩 인터넷을 이용한 주소 기반 가상 사회 서비스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20090097698A (ko) * 2008-03-12 2009-09-16 (주)휴먼아이티 사이버 아파트 분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0267A (zh) * 2020-12-21 2022-06-21 全星泌 用于预防层间噪音纠纷的层间邻居通信方法及通信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5654B (zh) 用于交换数据的方法、网关计算设备和存储介质
US20200288006A1 (en) Method for providing human network management service in mobile terminal
KR101294582B1 (ko) 접촉 데이터를 사용하는 미디어 공유 방법, 장치 및 시스템과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CN103329503B (zh) Ad hoc文件共享
US200902168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among multiple users
US20090132655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d/or limiting electronic communication
CN108141448A (zh) 管理装置云
JP2010146452A (ja) メンバー登録方法、コミュニティサービス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メンバー招待処理プログラム
CN116467473A (zh) 使多个用户与媒体呈现设备相关联的方法、系统和媒体
WO2009149437A1 (en) Personal area social networking
US9235536B2 (en) Information registration apparatus, information registration method, information registr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00178953A1 (en) Collaborative Data Sharing
KR101609294B1 (ko) 소셜 인증
JP5732530B2 (ja) インターネット上における相互通信情報のための相互通信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3902574B2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個人情報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TW201442534A (zh) 一種即時通訊方法、終端和系統
US10382914B2 (en) Techniques to leverage data from mobile headers
JP5513270B2 (ja) メッセージ共有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187345B2 (en) Electronic mail communication system
KR101490998B1 (ko) 공동주택용 이웃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105482A (ja) ビデオライブチャットシステム。
CN105378789A (zh) 创建联系人列表和预添置用户帐号
JP2008282284A (ja) アクセス管理装置およびアクセス管理方法
KR20120069318A (ko) 그룹 앱 자동 생성 방법
KR100947319B1 (ko) 세대기를 이용한 메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