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983B1 -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983B1
KR101490983B1 KR20130004878A KR20130004878A KR101490983B1 KR 101490983 B1 KR101490983 B1 KR 101490983B1 KR 20130004878 A KR20130004878 A KR 20130004878A KR 20130004878 A KR20130004878 A KR 20130004878A KR 101490983 B1 KR101490983 B1 KR 101490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late
hole
pres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4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614A (ko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20130004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983B1/ko
Publication of KR20140092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01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 B65D2581/3402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to be heated or cooked
    • B65D2581/3404Cooking pasta dishes, e.g. noo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라면 용기에 더운물을 붓고 뚜껑을 덮어서 면발을 복원한 후에 국물을 제거하고 짜장소스 또는 비빔소스 등을 버무려 섭취할 수 있는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면을 복원한 후에 용기 내부에 뜨거운 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뜨거운 물에 손을 데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용기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면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컵라면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용기;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상,하부로 분리하는 분리판; 상기 분리판에 천공된 구멍 형태로 형성된 홀; 상기 분리판의 홀을 밀폐하는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 {Instant noodle vessel}
본 발명은 컵라면 용기에 더운물을 붓고 뚜껑을 덮어서 면발을 복원한 후에 국물을 제거하고 짜장소스 또는 비빔소스 등을 버무려 섭취할 수 있는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면을 복원한 후에 용기 내부에 뜨거운 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뜨거운 물에 손을 데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용기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면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바쁜 현대인들은 간편한 식생활을 추구하고 있고, 그에 따라 라면을 끓일 필요없이 컵에 담긴 유탕면에 뜨거운 물을 부어 면을 복원시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컵라면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더욱이 근래에 들어서는 국물이 있는 컵라면 뿐만 아니라 짜장면, 비빔면, 라뽁이 등과 같이 국물이 없는 면 요리를 컵라면을 통해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국물이 없는 컵라면의 조리 방식은 용기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부어 유탕면은 부드럽게 복원시키고, 면이 복원되면 용기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한 후 제품에 별첨된 여러 소스를 면에 비벼 섭취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종래의 컵라면 용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를 밀폐하는 뚜껑(20)에 배출공(21)을 형성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유탕면이 뜨거운 물에 의해 복원되면 사용자는 뚜껑(20)에 형성된 배출공(21)을 찔러 구멍을 형성한 후 이를 통해 용기(10) 내부의 물을 따라 버린 후 각종 소스를 면에 비벼 섭취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기는 사용자가 뚜껑(20)의 배출공(21)을 뾰족한 물건으로 일일이 찔러서 배출공(21)을 형성하고, 용기(10)를 파지하여 기울여서 상기 배출공(21)을 통해 뜨거운 물을 배출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10) 내부의 뜨거운 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뜨거운 물에 의해 사용자의 손을 데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용기(10)를 기울여 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뚜껑(20)이 열려 내부의 면이 쏟아질 수 있으며, 배출공(21)을 통해 면의 일부가 소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26855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컵라면 용기 내부의 물을 따를 때 손을 데이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면이 쏟아지는 것과 일부의 면이 소실되지 않는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용기 내부에 뜨거운 물을 저장하여 면이 식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면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더욱 맛있게 면을 섭취할 수 있는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컵라면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용기;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상,하부로 분리하는 분리판; 상기 분리판에 천공된 구멍 형태로 형성된 홀; 상기 분리판의 홀을 밀폐하는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개의 일측에는 끈의 일측 단부가 체결되고, 끈의 타측 단부는 용기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끈의 타측 단부는 접착구에 의해 용기 외면에 점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는 타원형태로 성형되고, 마개의 타원 장지름이 분리판의 중심을 향하도록 마개가 분리판에 부착되며, 분리판 중심측으로 마개의 장지름 단부에 끈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판으로 분할 된 용기 하부에는 용기 또는 밑판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마개로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는 필름 형태로 성형되어 각각 홀과 배출구에 점착되어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은 면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 크기로 소정 개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는 컵라면 용기 내부의 물을 따를 때 손을 데이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면이 쏟아지는 것과 일부의 면이 소실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 내부에 뜨거운 물을 저장하여 면이 식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면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더욱 맛있게 면을 섭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컵라면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컵라면 용기에 뜨거운 물을 부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분리판의 마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컵라면 용기에 뜨거운 물을 부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분리판의 마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용기(101)의 내부에 분리판(102)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분리판(102)에 의하여 용기(101) 내부가 상,하부로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분리판(102)의 외면은 용기(101)의 내면에 접착되어 구성되며, 분리판(102)에는 천공된 구멍 형태의 홀(104)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판(102)에 형성된 홀(104)은 마개(105)에 의해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105)의 일측에는 끈(106)이 연결되고, 상기 끈(106)은 용기(101)의 개방된 상부와 뚜껑(110)의 사이를 통해 용기(101) 외부로 노출되어 접착구(107)를 통해 용기(101)의 외면에 접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102)에 의해 분리된 분리판(102) 하부의 공간에는 배출구(108)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08)는 마개(109)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구(108)는 용기(101)의 측면 또는 밑판(103)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101) 내부의 분리판(102) 상부에는 유탕면이 수납되고, 용기(101)의 개방된 상부는 필름 형태의 유연한 뚜껑(110)으로 밀폐되어 본 발명의 컵라면 용기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컵라면 용기(101)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110)의 일부를 개방하고, 뜨거운 물을 부어 면을 복원시킨다.
상기와 같이 뚜껑(110)을 일부 개방하여 뜨거운 물을 부으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판(102)으로 분리된 분리판(102) 상부에 뜨거운 물이 고여 유탕면을 복원시키게 된다.
일정한 시간이 흘러 면이 복원되면 사용자는 용기(101)의 외면에 잡착구(107)에 의해 부착된 끈(106)을 당긴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끈(106)을 당기면 끈(106)이 당겨지면서 분리판(102)의 홀(104)을 밀폐하고 있는 마개(105)가 제거되면서 홀(104)이 개방되어 도 5와 같이 분리판(102) 상부의 뜨거운 물이 분리판(102)의 홀(104)을 통해 분리판(102) 하부로 흘러 나가고, 복원된 면은 분리판(102) 상부에 잔존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복원된 면에 짜장소스, 비빔소스 등의 각종 별첨된 소스를 투입하여 면을 비벼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분리판(102)의 마개(105)를 제거하여 물을 분리판(102) 하부로 배출한 후에 곧바로 마개(109)를 제거하여 분리판(102) 하부에 고인 물을 배출할 수도 있고, 면을 섭취하는 동안 분리판(102) 하부에 물을 계속 잔존시킬 수도 있다.
분리판(102) 하부에 고인 물은 면을 복원시킨 뜨거운 물이기 때문에 면을 섭취하는 동안 분리판(102) 하부에 물을 잔존시키면 물의 열기에 의해 분리판(102) 상부의 면이 식지 않아 더욱 맛있게 면을 섭취할 수 있다.
상기 마개(105)(109)는 플라스틱 형태로 성형되어 홀(104)과 배출구(108)에 마개(105)(109)가 삽입되어 밀폐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105)(109)를 얇은 필름 형태로 성형하고, 필름 형태로 성형된 마개(105)(109)가 각각 홀(104)과 배출구(108)에 점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끈(106)으로 당겨서 제거하는 분리판(102) 홀(104)을 밀폐하는 마개(105)는 타원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타원의 장지름이 분리판의 중심을 향하도록 구성하고, 분리판 중심측의 장지름 단부에 끈(106)을 체결함으로써 사용자가 끈(106)을 당겼을 때 마개(105)가 쉽게 제거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홀(104)은 한 개의 구멍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면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 크기의 홀을 여러 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마개(105)를 제거하여 분리판(102) 상부의 물을 빼는 과정에서 물과 함께 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는 컵라면 용기 내부의 물을 따를 때 손을 데이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면이 쏟아지는 것과 일부의 면이 소실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 내부에 뜨거운 물을 저장하여 면이 식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면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더욱 맛있게 면을 섭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용기
20 : 뚜껑
21 : 배출공
101 : 용기
102 : 분리판
103 : 밑판
104 : 홀
105 : 마개
106 : 끈
107 : 접착구
108 : 배출구
109 : 마개
110 : 뚜껑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용기(101);
    상기 용기(101)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110);
    상기 용기(101)의 내부 공간을 상,하부로 분리하는 분리판(102);
    상기 분리판(102)에 천공된 구멍 형태로 형성된 홀(104);
    타원 형태로 성형되어 타원 장지름이 분리판(102)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분리판(102)의 홀(104)을 밀폐하는 마개(105);
    상기 분리판(102)의 중심측으로 마개(105)의 장지름 단부에 일측 단부가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용기(101)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끈(10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끈(106)의 타측 단부는 접착구(107)에 의해 용기(101) 외면에 점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102)으로 분할 된 용기(101) 하부에는 용기(101) 또는 밑판(103)에 배출구(108)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08)는 마개(109)로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05)(109)는 필름 형태로 성형되어 각각 홀(104)과 배출구(108)에 점착되어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104)은 면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 크기로 소정 개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
KR20130004878A 2013-01-16 2013-01-16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 KR101490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4878A KR101490983B1 (ko) 2013-01-16 2013-01-16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4878A KR101490983B1 (ko) 2013-01-16 2013-01-16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614A KR20140092614A (ko) 2014-07-24
KR101490983B1 true KR101490983B1 (ko) 2015-02-11

Family

ID=5173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4878A KR101490983B1 (ko) 2013-01-16 2013-01-16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9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607U (ko) * 2016-11-22 2018-05-30 신정숙 신선 이중 지퍼팩
KR20180064249A (ko) 2016-12-05 2018-06-14 유동현 컵라면 용기의 물 배출구조
KR20220093449A (ko) 2020-12-28 2022-07-05 정동관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768B1 (ko) * 2015-06-29 2016-02-17 한국식품연구원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
KR20210062977A (ko) 2019-11-22 2021-06-01 박유빈 분리형 컵라면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287U (ko) * 2009-06-04 2010-12-14 윤성철 배출구를 가진 컵라면 용기
KR20120087379A (ko) * 2011-01-28 2012-08-07 이경수 구멍 뚫린 컵라면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287U (ko) * 2009-06-04 2010-12-14 윤성철 배출구를 가진 컵라면 용기
KR20120087379A (ko) * 2011-01-28 2012-08-07 이경수 구멍 뚫린 컵라면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607U (ko) * 2016-11-22 2018-05-30 신정숙 신선 이중 지퍼팩
KR20180064249A (ko) 2016-12-05 2018-06-14 유동현 컵라면 용기의 물 배출구조
KR20220093449A (ko) 2020-12-28 2022-07-05 정동관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614A (ko)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983B1 (ko)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
US9254929B2 (en) Reusable food container with re-sealable cap
CN106477152A (zh) 可转动打开的复合盖
KR101916400B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CN205697036U (zh) 饮品罐或瓶保冷容器
KR200470499Y1 (ko)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JP4276726B2 (ja) プッシュプルキャップ
KR101838195B1 (ko) 편리한 비빔컵라면 용기
JP3227940U (ja) 容器用キャップ及び飲料調製キャップ
CN110027797A (zh) 一种储液瓶盖及其安装和使用方法
KR200474108Y1 (ko)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101297951B1 (ko) 발효음식의 맛을 향상토록 하기 위한 누름판
CN206345190U (zh) 一种带杯子的瓶子
CN205492889U (zh) 一种多功能食品器具
CN211212476U (zh) 一种带温度显示的茶水分离杯
CN107934188A (zh) 一种新型柱塞推导式饮料瓶盖及饮料瓶
TWM583251U (zh) 內膽可拆卸保溫杯
CN103818624B (zh) 一种大口陶瓷酒瓶带内密封的倒酒装置及倒酒方法
KR20180064249A (ko) 컵라면 용기의 물 배출구조
CN108577604A (zh) 一种易回盖的调味品容器
CN216675397U (zh) 一种磁吸盖式水杯
CN205708054U (zh) 一种罐头瓶
CN104443720A (zh) 一种自动密封式托盘不漏吸管盖
CN206729447U (zh) 一种多功能组合式保温保冷便携食物罐
JP7113655B2 (ja) 飲料成分の抽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