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621B1 - 롤 표면 연삭 장치 - Google Patents

롤 표면 연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621B1
KR101490621B1 KR20130116702A KR20130116702A KR101490621B1 KR 101490621 B1 KR101490621 B1 KR 101490621B1 KR 20130116702 A KR20130116702 A KR 20130116702A KR 20130116702 A KR20130116702 A KR 20130116702A KR 101490621 B1 KR101490621 B1 KR 101490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roll
grindstone
grin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준
안태규
홍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116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21B28/04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while in use, e.g. polishing or grinding while the rolls are in their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3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5/37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rolls, e.g. barrel-shaped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롤 표면 연삭 장치가 제공된다. 롤 표면 연삭 장치는, 제1 지석에 의한 제1 연삭 구간과 제2 지석에 의한 제2 연삭 구간이 일부 중복되는 오버랩 영역의 위치가 매회 연삭시마다 이동되는 연삭 패턴을 생성하는 연삭 패턴 생성부와, 생성된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을 중심으로, 매회 연삭시마다 제1 연삭 구간은 제1 지석을 이용하여 제2 연삭 구간은 제2 지석을 이용하여 왕복 연삭하는 롤 연삭부를 포함으로써, 제1 지석과 제2 지석에 의한 연마량 차이에 의한 연마 단차를 분산시켜 롤 표면을 균일하게 연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롤 표면 연삭 장치{APPARATUS FOR GRINDING ROLL}
본 출원은, 롤 표면의 연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재를 압연하는 롤은 장시간 사용되면 마모되며, 이에 따라 롤의 표면이 불균일하게 된다. 불균일한 표면에 의해 압연된 소재는 그 표면에 결함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롤의 마모된 부분을 연삭하여 롤의 표면을 균일하게 해 준다.
롤 표면의 연삭 방법으로는, 롤을 압연기로부터 분리하여 연삭하는 오프라인 롤 연삭 방법과 롤이 압연기에 구비된 상태로 연삭하는 온라인 롤 연삭 방법이 있다. 온라인 롤 연삭시에는 회전하는 2개의 지석을 사용하여 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롤의 마모된 부분을 연삭하게 된다.
즉,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센터(Roll Center, RC)를 중심으로 하여 워크 사이드(Work Side, W/S) 측의 영역은 제1 지석(101)의 왕복 연삭(103)에 의해, 드라이브 사이드(Drive Side, D/S) 측의 영역은 제2 지석(102)의 왕복 연삭(104)에 의해 롤(R) 표면을 연삭하게 된다. 미설명된 부호 100은 지석(101, 102)을 지지하는 지석 홀더를 의미한다. 하지만, 물리적으로 롤 센터(RC)를 중심으로 정확히 영역을 분할하여 연삭하기는 실질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센터(RC)를 중심으로 제1 지석(101)에 의해 연삭 영역과 제2 지석(102)에 의한 연삭 영역이 일부 중복되는 오버랩(Overlap, OL) 영역이 생기게 된다.
롤 센터(RC)를 중심으로 왕복 연삭하는 횟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제1 지석(101)과 제2 지석(102)의 연마량 차이로 인해, 오버랩 영역에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마 단차(110 참조)가 발생하게 되며, 이렇게 발생된 연마 단차는 소재 표면에 국부적인 요철(하이 스폿이나 로우 스팟)을 발생시켜 소재의 품질을 저하시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은, 제1 지석과 제2 지석에 의한 연마량 차이에 의한 연마 단차를 분산시켜 롤 표면을 균일하게 연삭할 수 있는 롤 표면 연삭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지석에 의한 제1 연삭 구간과 제2 지석에 의한 제2 연삭 구간이 일부 중복되는 오버랩 영역의 위치가 매회 연삭시마다 이동되는 연삭 패턴을 생성하는 연삭 패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을 중심으로, 매회 연삭시마다 상기 제1 연삭 구간은 상기 제1 지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연삭 구간은 상기 제2 지석을 이용하여 왕복 연삭하는 롤 연삭부를 포함하는 롤 표면 연삭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의 위치는, 상기 롤의 길이 방향 센터를 기점으로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의 위치는, 상기 롤의 길이 방향 센터를 기점으로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지되 상기 롤 단부의 연삭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센터를 향해 점차 가까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의 위치는, 상기 롤의 일측 단부의 연삭 개시 지점을 기점으로 타 단부를 향해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의 위치는, 상기 롤의 일측 단부의 연삭 개시 지점을 기점으로 타 단부를 향해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지되, 상기 타 단부의 연삭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일측 단부를 향해 점차 가까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석에 의한 연마량과 상기 제2 지석에 의한 연마량은, 일정 범위 오차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지석에 의한 제1 연삭 구간과 제2 지석에 의한 제2 연삭 구간이 일부 중복되는 오버랩 영역의 위치가 매회 연삭시마다 이동되도록 롤 표면을 연삭함으로써, 제1 지석과 제2 지석에 의한 연마량 차이에 의한 연마 단차를 분산시켜 롤 표면을 균일하게 연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롤 표면 연삭시 발생되는 오버랩 영역으로 인한 연마 단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롤 표면 연삭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해 오버랩 영역이 롤 센터에 위치한 경우를 가정하여 왕복 연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연삭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롤 표면 연삭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롤 표면 연삭 장치의 구성도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해 오버랩 영역이 롤 센터에 위치한 경우를 가정하여 왕복 연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연삭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롤 표면 연삭 장치는, 제1 지석(101)에 의한 제1 연삭 구간과 제2 지석(102)에 의한 제2 연삭 구간이 일부 중복되는 오버랩 영역의 위치가 매회 연삭시마다 이동되는 연삭 패턴을 생성하는 연삭 패턴 생성부(210)와, 생성된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을 중심으로, 매회 연삭시마다 제1 연삭 구간은 제1 지석(101)을 이용하여, 제2 연삭 구간은 제2 (102)을 이용하여 왕복 연삭하는 롤 연삭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롤 표면 연삭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석(101)과 제2 지석(102)은 지석 홀더(100)에 의해 지지되며, 롤 연삭부(210)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롤(R) 표면을 연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석(101)은 오버랩 영역을 중심으로 롤(R) 표면의 워크 사이드(W/S) 측의 제1 연삭 구간(103)을, 제2 지석(102)은 오버랩 영역을 중심으로 롤(R) 표면의 드라이브 사이드(W/S) 측의 제2 연삭 구간(104)을 각각 왕복 연삭할 수 있다. 여기서, 오버랩 영역(OL)은, 도 3의 (a)(도 1에도 도시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석(101)에 의한 제1 연삭 구간(103)과 제2 지석(102)에 의한 제2 연삭 구간(104)이 일부 중복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롤 연삭부(210)의 제어하에 롤 표면을 연삭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는 오버랩 영역(OL)이 롤(R)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였다고 가정한다.
우선,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석(101)은 롤(R)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인 연삭 개시 지점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며 롤(R) 표면을 연삭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석(102)은 제1 지석(10)과 함께 지석 홀더(10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1 지석(101)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되, 롤(R)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이다.
다음,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석(102)이 오버랩 영역(OL)에 도달하면, 제2 지석(102) 역시 롤(R) 표면에 밀착되어 제1 지석(101)과 함께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롤(R) 표면을 연삭할 수 있다.
다음,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석(101)이 오버랩 영역(OL)에 도달하면, 제1 지석(101)은 롤(R) 표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며, 이때부터는 제2 지석(102)만이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롤(R) 표면을 연삭할 수 있다.
다음,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석(102)이 롤(R)의 타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인 연삭 종료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이후 (a) 내지 (d)에와 같은 방식으로 좌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롤(R) 표면을 연삭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제1 지석(101)은 오버랩 영역(OL)을 중심으로 롤(R) 표면의 워크 사이드(W/S) 측의 제1 연삭 구간(103)을, 제2 지석(102)은 오버랩 영역(OL)을 중심으로 롤(R) 표면의 드라이브 사이드(W/S) 측의 제2 연삭 구간(104)을 각각 왕복 연삭(1회 연삭)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연삭 패턴 생성부(210)는, 오버랩 영역의 위치가 매회 연삭시마다 이동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삭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OL)은 매회 연삭 시마다 롤(R)의 길이 방향의 센터(Roll Center, RC)를 기점으로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지도록(지그 재그 형태) 형성될 수 있다.
즉, 1회 연삭시의 오버랩 영역(OL)의 위치는 도면부호 401, 2회 연삭시의 오버랩 영역(OL)의 위치는 도면부호 403, 3회 연삭시의 오버랩 영역(OL)의 위치는 도면부호 403, 4회 연삭시의 오버랩 영역(OL)의 위치는 도면부호 404, 5회 연삭시의 오버랩 영역(OL)의 위치는 도면부호 405와 같이 센터(RC)를 중심으로 매 연삭시 좌우측으로 점차 멀어지는 방식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4의 (a)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OL)은 롤R)의 길이 방향 센터(RC)를 기점으로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지되 롤(R) 단부의 연삭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 센터(RC)를 향해 점차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의 위치는, 롤(R)의 일측 단부의 연삭 개시 지점을 기점으로 타 단부를 향해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 연삭시의 오버랩 영역(OL)의 위치는 도면부호 406, 2회 연삭시의 오버랩 영역(OL)의 위치는 도면부호 407, 3회 연삭시의 오버랩 영역(OL)의 위치는 도면부호 408, 4회 연삭시의 오버랩 영역(OL)의 위치는 도면부호 409, 5회 연삭시의 오버랩 영역(OL)의 위치는 도면부호 410와 같이 롤(R)의 일측 단부의 연삭 개시 지점을 기점으로 타 단부를 향해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4의 (b)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OL)은 롤(ㄲ)의 일측 단부의 연삭 개시 지점을 기점으로 타 단부를 향해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지되, 타 단부의 연삭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 일측 단부를 향해 점차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롤 연삭부(220)는 연삭 패턴 생성부(210)에서 생성한 도 4와 같은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을 중심으로, 매회 연삭시마다 제1 연삭 구간은 제1 지석(101)을 이용하여, 제2 연삭 구간은 제2 지석(102)을 이용하여 왕복 연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지석에 의한 제1 연삭 구간과 제2 지석에 의한 제2 연삭 구간이 일부 중복되는 오버랩 영역의 위치가 매회 연삭시마다 이동되도록 롤 표면을 연삭함으로써, 제1 지석과 제2 지석에 의한 연마량 차이에 의한 연마 단차를 분산시켜 롤 표면을 균일하게 연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롤 표면 연삭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롤 표면 연삭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간명화를 위해 도 2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중복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연삭 패턴 생성부(210)는, 오버랩 영역(OL)의 위치가 매회 연삭시마다 이동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삭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OL)은 매회 연삭 시마다 롤(R)의 길이 방향의 센터(Roll Center, RC)를 기점으로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지도록(지그 재그 형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4의 (a)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OL)은 롤R)의 길이 방향 센터(RC)를 기점으로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지되 롤(R) 단부의 연삭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 센터(RC)를 향해 점차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의 위치는, 롤(R)의 일측 단부의 연삭 개시 지점을 기점으로 타 단부를 향해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4의 (b)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OL)은 롤(ㄲ)의 일측 단부의 연삭 개시 지점을 기점으로 타 단부를 향해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지되, 타 단부의 연삭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 일측 단부를 향해 점차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롤 연삭부(220)는 연삭 패턴 생성부(210)에서 생성한 도 4와 같은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을 중심으로, 매회 연삭시마다 제1 연삭 구간은 제1 지석(101)을 이용하여, 제2 연삭 구간은 제2 지석(102)을 이용하여 왕복 연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지석에 의한 제1 연삭 구간과 제2 지석에 의한 제2 연삭 구간이 일부 중복되는 오버랩 영역의 위치가 매회 연삭시마다 이동되도록 롤 표면을 연삭함으로써, 제1 지석과 제2 지석에 의한 연마량 차이에 의한 연마 단차를 분산시켜 롤 표면을 균일하게 연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지석 홀더 101: 제1 지석
102: 제2 지석 103, 104: 왕복 연삭
110: 연마 단차 210: 연삭 패턴 생성부
220: 롤 연삭부 OL, 401 내지 410: 오버랩 영역
R: 롤 RC: 롤 센터
W/S: 워크 사이드 D/S: 드라이브 사이드

Claims (6)

  1. 제1 지석에 의한 제1 연삭 구간과 제2 지석에 의한 제2 연삭 구간이 일부 중복되는 오버랩 영역의 위치가 매회 연삭시마다 이동되는 연삭 패턴을 생성하는 연삭 패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을 중심으로, 매회 연삭시마다 상기 제1 연삭 구간은 상기 제1 지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연삭 구간은 상기 제2 지석을 이용하여 왕복 연삭하는 롤 연삭부를 포함하는 롤 표면 연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의 위치는,
    상기 롤의 길이 방향 센터를 기점으로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지는 롤 표면 연삭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의 위치는,
    상기 롤의 길이 방향 센터를 기점으로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지되 상기 롤 단부의 연삭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센터를 향해 점차 가까워지는 롤 표면 연삭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의 위치는,
    상기 롤의 일측 단부의 연삭 개시 지점을 기점으로 타 단부를 향해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지는 롤 표면 연삭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 패턴의 오버랩 영역의 위치는,
    상기 롤의 일측 단부의 연삭 개시 지점을 기점으로 타 단부를 향해 매 연삭시마다 점차 멀어지되, 상기 타 단부의 연삭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일측 단부를 향해 점차 가까워지는 롤 표면 연삭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석에 의한 연마량과 상기 제2 지석에 의한 연마량은,
    일정 범위 오차를 가지는 롤 표면 연삭 장치.
KR20130116702A 2013-09-30 2013-09-30 롤 표면 연삭 장치 KR101490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702A KR101490621B1 (ko) 2013-09-30 2013-09-30 롤 표면 연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702A KR101490621B1 (ko) 2013-09-30 2013-09-30 롤 표면 연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621B1 true KR101490621B1 (ko) 2015-02-05

Family

ID=5259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6702A KR101490621B1 (ko) 2013-09-30 2013-09-30 롤 표면 연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6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16052A1 (en) 2004-11-29 2006-06-01 Toyoda Koki Kabushiki Kaisha Workpiece grinding method
KR20070051773A (ko) * 2004-09-14 2007-05-18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압연 스트립의 윤곽 및 평면성에 영향을 주기 위한 콘벡스롤
KR20100044361A (ko) * 2008-10-22 2010-04-30 정영수 연마시스템
CN202804831U (zh) 2012-08-10 2013-03-20 博凯机械(上海)有限公司 用于单面机压力辊的现场重磨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1773A (ko) * 2004-09-14 2007-05-18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압연 스트립의 윤곽 및 평면성에 영향을 주기 위한 콘벡스롤
US20060116052A1 (en) 2004-11-29 2006-06-01 Toyoda Koki Kabushiki Kaisha Workpiece grinding method
KR20100044361A (ko) * 2008-10-22 2010-04-30 정영수 연마시스템
CN202804831U (zh) 2012-08-10 2013-03-20 博凯机械(上海)有限公司 用于单面机压力辊的现场重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1319B2 (ja) 研磨装置
KR101747970B1 (ko) 연마패드의 드레싱 방법 및 드레싱 장치
JP2008246654A (ja) 研磨装置、および研磨パッド再生処理方法
KR101374341B1 (ko) 파이프 연마장치
US10239179B2 (en) Method for smoothing and/or polishing slabs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KR20170007148A (ko) 양면 연마 장치의 연마 패드의 드레싱 장치 및 드레싱 방법
JP6624461B2 (ja) ガラス板の面取り装置、ガラス板の面取り方法、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KR100950943B1 (ko) 롤 연마 장치
KR101490621B1 (ko) 롤 표면 연삭 장치
CN104858784A (zh) 研磨垫修整方法
JP2008229817A (ja) 両頭平面研削方法及び装置
KR20150031589A (ko) 디스플레이패널용 유리판, 그의 연삭을 위한 연마지석 및 연삭장치
US20160059381A1 (en) Grinding wheel truing method and grinding machine for carrying out truing method
KR20150090837A (ko) 판재의 테두리 가공 지석 및 모따기 장치
KR20190072743A (ko) 웨이퍼 에지 연마용 드럼 패드의 드레싱 장치
TW201424929A (zh) 硏磨方法
KR101871853B1 (ko) 평판 디스플레이용 패널 가공 장치
CN104858783A (zh) 研磨垫修整方法
KR101537074B1 (ko) 복수의 가공부를 구비한 베어링 가공장치
JP2012148363A (ja) ツルーイング方法および研削盤
CN115592565A (zh) 一种用于修整研磨轮的装置和方法
KR101800246B1 (ko) 기판 코너 가공장치
JPH10202503A (ja) 研磨布ドレッシング方法
KR101298764B1 (ko) 압연설비용 연삭기 제어 방법
KR20100062372A (ko) 연마패드용 드레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