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295B1 - 롤러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295B1
KR101490295B1 KR20130090932A KR20130090932A KR101490295B1 KR 101490295 B1 KR101490295 B1 KR 101490295B1 KR 20130090932 A KR20130090932 A KR 20130090932A KR 20130090932 A KR20130090932 A KR 20130090932A KR 101490295 B1 KR101490295 B1 KR 101490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tube
check valve
pump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0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동훈
손희걸
김유신
Original Assignee
문동훈
손희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동훈, 손희걸 filed Critical 문동훈
Priority to KR20130090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 B05C17/033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with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 B05C17/035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direct or indirect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ating 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효율적인 페인트 도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롤러 및 상기 롤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 샤프트를 포함하는 롤러 어셈블리; 액체를 수납할 수 있는 튜브를 포함하는 튜브 어셈블리; 및 상기 튜브 어셈블리와 롤러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되어,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튜브에 수납된 액체가 상기 롤러 어셈블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펌프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 장치{Roller apparatus}
본 발명은 롤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효율적인 페인트 도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페인트를 도포하는 작업은 숙련도를 요하는 작업이며, 이러한 페인트 도포 중에 페인트가 주변의 원하지 않는 곳에 묻거나 바닥에 떨어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이는, 이러한 페인트 도포 작업을 위하여 붓이나 롤러 등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붓이나 롤러를 이송하는 과정 중에 이 붓이나 롤러에 묻어있는 페인트가 흐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페인트 도포 작업에 있어, 페인트가 흐르지 않도록 기밀성 있게 수납할 수 있고, 이러한 페인트를 이용하여 청결하게 도포 작업을 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20-1991-0008724(1991.06.2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적은 힘으로 페인트 도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롤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페인트가 뭉치거나 흘러 넘치지 않고 청결하게 도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롤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1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롤러 및 상기 롤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 샤프트를 포함하는 롤러 어셈블리; 액체를 수납할 수 있는 튜브를 포함하는 튜브 어셈블리; 및 상기 튜브 어셈블리와 롤러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되어,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튜브에 수납된 액체가 상기 롤러 어셈블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펌프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펌프 장치는, 상기 롤러 샤프트가 거치되고 상기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연결구를 가지는 롤러 거치대; 펌프 하우징; 상기 펌프 하우징과 상기 연결구 사이에 위치하는 밸브 장치; 상기 밸브 장치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 상기 펌프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 장치를 개폐하는 상기 레버; 및 상기 펌프 하우징의 타측에 위치하는 펌프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 장치는, 상기 펌프 피스톤이 관통하고 상기 펌프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는 탱크 캡; 및 상기 튜브 캡을 통하여 상기 펌프 피스톤과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 장치는, 상기 펌프 하우징 측에 위치하는 체크 밸브 볼; 상기 연결구 측에 위치하여 상기 체크 밸브 볼과 이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 밸브; 및 상기 체크 밸브 볼 및 체크 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기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 거치대와 상기 롤러 사이에는 상기 롤러 어셈블리로 유입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하는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에는, 상기 튜브로부터 유입되는 액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벽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지벽은, 상기 노즐의 테두리 측에 위치하는 외벽; 및 상기 외벽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벽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튜브 어셈블리는, 상기 튜브와 상기 펌프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튜브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의 외측에는, 액체를 흡수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를 덮는 롤러 캡; 및 상기 튜브를 덮고 상기 펌프 장치에 고정되는 튜브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2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롤러 및 상기 롤러를 관통하는 롤러 샤프트를 포함하는 롤러 어셈블리; 액체를 수납할 수 있는 튜브 및 상기 튜브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연결부를 가지는 튜브 어셈블리; 및 상기 롤러 샤프트가 거치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연결구를 구비하는 롤러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어셈블리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구 사이에 연결되어,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튜브에 수납된 액체가 상기 롤러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펌프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롤러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레버를 누르면서 손쉽게 페인트 도포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레버의 조작에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작업자의 손에 피로가 크게 경감될 수 있으며, 장시간의 연속 작업 또한 가능한 것이다.
이때, 노즐에 방지벽이 구성되어, 페인트가 롤러 거치대의 외측의 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다시 롤러에 묻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롤러 장치를 이용하여 페인트 작업을 할 경우에 페인트가 롤러 옆으로 새거나 뭉치는 현상 없이 페인트 도포 작업이 가능하다. 결국 사용자는 페인트가 손에 묻거나 하는 현상 없이 청결하고 효율적으로 페인트 작업이 가능하다.
더욱이, 적은 힘을 들여서 작업이 가능하므로 연속 작업 및 정밀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롤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롤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롤러 어셈블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펌프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튜브 어셈블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롤러 거치대 및 노즐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도 1은 롤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롤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 장치는 롤러(11)를 포함하는 롤러 어셈블리(10), 페인트, 도료 또는 기타 액체를 수납할 수 있는 튜브 어셈블리(30) 및 이러한 튜브 어셈블리(30)와 롤러 어셈블리(10) 사이에 연결되어 튜브 어셈블리(30)에 수납된 액체를 롤러(11)를 이용하여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 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 어셈블리(10)는 이러한 롤러(11) 및 이 롤러(1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 샤프트(12)를 포함하고, 이러한 롤러(11)를 덮어서 롤러(11)를 보호하거나 롤러(11)에 묻은 도료 등이 외부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롤러 캡(1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튜브 어셈블리(30)는 이러한 페인트, 도료 및 기타 롤러(11)를 통하여 도포할 수 있는 액체를 수납할 수 있는 튜브(31)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튜브 어셈블리(30)와 롤러 어셈블리(10) 사이에 연결되는 펌프 장치(20)는, 레버(21)의 조작에 의하여 튜브(31)에 수납된 액체가 롤러 어셈블리(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튜브(31)에 페인트가 수납된 경우라면 펌프 장치(20)의 레버(21)의 조작에 의하여 용이하게 페인트 도포 작업이 가능하다.
여기서, 펌프 장치(20)는, 롤러 샤프트(12)가 설치되어 롤러(11)가 회동 가능하도록 거치될 수 있고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연결구(22a)를 가지는 롤러 거치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 거치대(22)는 롤러(11)가 회동 가능하도록 거치되므로 롤러 어셈블리(10)의 구성으로 볼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펌프 장치(20)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튜브 어셈블리(30)는, 튜브(31)와 펌프 장치(20)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갖는 튜브 캡(32; 도 5 참고)과, 이러한 튜브(31)를 덮는 튜브 하우징(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튜브 하우징(34)은 펌프 장치(20)에 끼워 맞춤이나 나사 방식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롤러(11)는 스폰지와 같은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롤러(11)의 외측에 이러한 액체를 흡수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롤러 어셈블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을 이루는 롤러(11)에는 중앙 축 방향을 따라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11a)에 롤러 샤프트(12)가 설치된다. 이러한 롤러 샤프트(12)는 롤러 거치대(22)에 설치될 수 있도록 롤러(11)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펌프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펌프 장치(20)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21)가 설치되는 펌프 하우징(23)이 구비되고, 이 펌프 하우징(23)과 롤러 거치대(22)의 연결구(22a)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 상태를 조절하는 밸브 장치(24)가 구성된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레버(21)를 조작함으로써 이러한 밸브 장치(24)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레버(21)를 누르는 경우에 이 밸브 장치(24)가 열리게 되어 펌프 장치(20)가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25)는 이러한 밸브 장치(24)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레버(21)를 누르게 되어 밸브 장치(24)가 열린 경우에, 이 탄성체(25)는 밸브 장치(24)가 다시 닫힐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펌프 하우징(23)의 밸브 장치(24)가 설치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펌프 피스톤(26)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 피스톤(26)은 튜브 어셈블리(30)의 튜브(31)와 연결되어 튜브(31)에 압력을 부가할 수 있다.
한편, 펌프 장치(20)는, 이러한 펌프 피스톤(26)이 관통하고 펌프 하우징(23)의 타측에 설치되는 탱크 캡(27)과, 이 탱크 캡(27)을 통하여 펌프 피스톤(26)과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21)의 동작에 의하여 밸브 장치(24)를 개폐함과 동시에, 이러한 펌프 피스톤(26)은 연결 파이프(28)를 통하여 액체를 수납하고 있는 튜브 어셈블리(30)의 액체가 압력에 의하여 펌프 하우징(23)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연결 파이프(28)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펌프 피스톤(26)의 조작에 의한 압력은 튜브 어셈블리(30)의 튜브(31)에 전달될 수 있다.
즉, 튜브(31)는 압력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사용자의 누름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레버(21)의 동작에 의하여 펌프 장치(20)가 동작할 때, 연결 파이프(28)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튜브(31)에 담긴 액체를 롤러 어셈블리(10)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밸브 장치(24)는, 펌프 하우징(23) 측에 위치하는 체크 밸브 볼(24a)과, 연결구(22a) 측에 위치하여 체크 밸브 볼(24a)과 이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 밸브(24b)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체크 밸브 볼(24a) 및 체크 밸브(24b) 사이에 위치하는 기밀부재(2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체크 밸브(24b)는 두 개소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고, 탄성체(25)는 이러한 체크 밸브 볼(24a)과 체크 밸브(24b)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롤러 거치대(22)와 롤러(11) 사이에는 롤러 어셈블리(10)로 유입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하는 노즐(2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22b)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도 5는 튜브 어셈블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튜브 어셈블리(30)는, 튜브(31)와 펌프 장치(20)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갖는 튜브 캡(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튜브 캡(32)은 튜브(31)에 담긴 액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튜브(31)를 밀봉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오링과 같은 기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튜브(31)는 압력을 가하여 튜브(31)에 담긴 액체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펌프 장치(20)에 연결 파이프(28)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펌프 장치(20)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은 연결부(33)를 통하여 튜브(31)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도 6은 롤러 거치대 및 노즐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22b)은 롤러 거치대(22)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노즐(22b)은 롤러 거치대(22)의 롤러(11)가 설치되어 롤러(11)에 인접하는 면(22c)으로부터 내측으로 설치되어, 이 면(22c)보다 함몰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노즐(22b)은 롤러(11)에 인접하는 면(22c)보다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구성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롤러(11)는 스폰지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롤러(11)는 이 인접 면(22c)과 닿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노즐(22b)에는, 튜브(31)로부터 유입되는 액체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벽(22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방지벽(22g)은, 노즐(22c)의 테두리 측에 위치하는 외벽(22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벽(22e)은 서로 연결된 폐 경로를 형성하여, 페인트 등의 액체가 이 외벽(22e)을 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이러한 외벽(22e)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벽(22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내벽(22f) 또한 폐 경로를 형성하여, 이 외벽(22e)과 내벽(22f)의 사이의 공간에 페인트가 고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노즐(22c)에는 액체가 롤러(11)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홀(22d)이 형성된다.
도 6에서는, 이러한 유입홀(22d)이 내벽(22f)의 내측의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롤러 거치대(22)에는 롤러 샤프트(12)가 고정 설치되는 설치부(22h)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11)보다 길게 형성되는 롤러 샤프트(12)의 돌출 부분이 이 설치부(22h)에 고정되어, 롤러(11)는 롤러 샤프트(12)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롤러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롤러 장치는 튜브(31)에 담긴 페인트와 같은 액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이하, 페인트를 이용하여 롤러 장치를 이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롤러 장치를 페인트 작업에 이용하기 위해서, 먼저 튜브(31)에 페인트를 수납할 수 있다. 이때, 튜브(31)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서 레버(21)의 조작에 의한 페인트의 펌핑 시에 페인트가 진공압력에 의하여 유입되어 롤러(11)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튜브(31)의 위치에 상관없이, 이 튜브(31)에 담긴 페인트를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튜브(31)의 위치가 롤러(11)보다 낮더라도 이러한 진공압력에 의하여 페인트를 완전히 소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튜브(31)에 페인트를 수납한 후에는 튜브 캡(32)을 덮고, 튜브 하우징(34)을 탱크 캡(27)에 고정 설치하여 튜브(31)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펌프 장치(20)의 레버(21)를 조작하면 작은 힘으로 펌프 장치(20)를 조작할 수 있다.
즉, 레버(21)를 누르게 되면, 이 레버(21)의 힘에 의하여 밸브 장치(24)를 조작하여 튜브(31)에 담긴 액체가 연결부(33)를 통하여, 이 펌프 장치(20)를 통과하여 연결구(22a)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레버(21)의 조작에 의하여, 펌프 피스톤(26)은 튜브(31) 측에 압력을 가하여 튜브(31)에 담긴 액체가 펌프 하우징(23) 측으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레버(21)를 누르면서 손쉽게 페인트 도포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레버(21)는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작업자의 손에 피로도가 크게 경감될 수 있으며, 장시간의 연속 작업 또한 가능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페인트 도포 작업을 하는 경우에 롤러(11)는 연속적으로 구르게 되며, 이때, 롤러(11)를 거치하는 롤러 거치대(22)에는 페인트가 뭉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롤러(11)를 밀면서 작업시에 롤러(11)와 롤러 거치대(22)가 접촉하게 되어 롤러(11)에 묻은 페인트가 롤러 거치대(22)에 묻게 되는 것이며, 롤러 장치를 계속적으로 밀고 당기며 작업함에 따라, 롤러(11)의 구름 방향이 계속 바뀌면서 이러한 묻은 페인트의 양이 증가하여 페인트가 뭉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22b)에 방지벽(22g)이 구성되어, 페인트가 롤러 거치대(22)의 외측의 면(22c)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다시 롤러(11)에 묻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방지벽(22g)은 외벽(22e)과 내벽(22f)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외벽(22e)과 내벽(22f) 상의 공간에 페인트를 가둘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롤러 장치를 이용하여 페인트 작업을 할 경우에 페인트가 롤러(11) 옆으로 새거나 뭉치는 현상 없이 페인트 도포 작업이 가능하다.
결국 사용자는 페인트가 손에 묻거나 하는 현상 없이 청결하고 효율적으로 페인트 작업이 가능하다.
더욱이, 적은 힘을 들여서 작업이 가능하므로 이와 같은 롤러 장치를 이용하여 페인트를 도포함에 있어서 연속 작업 및 정밀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롤러 어셈블리 11: 롤러
12: 롤러 샤프트 13: 롤러 캡
20: 펌프 장치 21: 레버
22: 롤러 거치대 22a: 연결구
22b: 노즐 22e: 외벽
22f: 내벽 22g: 방지벽
23: 펌프 하우징 24: 밸브 장치
24a: 체크 밸브 볼 24b: 체크 밸브
25: 탄성체 26: 펌프 피스톤
27: 탱크 캡 28: 연결 파이프
29: 기밀부재 30: 튜브 어셈블리
31: 튜브 32: 튜브 캡
33: 연결부 34: 튜브 하우징

Claims (14)

  1. 롤러 및 상기 롤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 샤프트를 포함하는 롤러 어셈블리; 액체를 수납할 수 있는 튜브를 포함하는 튜브 어셈블리; 및 상기 튜브 어셈블리와 롤러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되어,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튜브에 수납된 액체가 상기 롤러 어셈블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펌프 장치;를 포함하는 롤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 장치는,
    상기 롤러 샤프트가 거치되고 상기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연결구를 가지는 롤러 거치대;
    일단에 레버가 설치되는 펌프 하우징;
    상기 펌프 하우징의 상기 일단과 상기 롤러 거치대의 상기 연결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펌프 하우징 측에 위치하는 체크밸브볼과, 상기 연결구 측에 위치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체크밸브 및 상기 체크밸브볼 사이에 위치하는 기밀부재와, 상기 연결구 및 상기 체크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체크밸브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 및 상기 체크밸브볼이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밸브장치; 및
    상기 펌프 하우징의 타단에 위치하는 펌프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액체가 상기 롤러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홀; 및 상기 액체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벽;을 포함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방지벽은, 상기 노즐의 테두리 측에 위치하고 서로 연결된 폐경로를 형성하는 외벽; 및 내측에 상기 유입홀이 위치하고 폐경로를 형성하는 내벽;을 포함하여, 상기 외벽 및 상기 내벽 사이의 공간에 상기 액체가 고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장치는,
    상기 펌프 피스톤이 관통되고, 상기 펌프 하우징의 상기 타단에 설치되는 탱크 캡; 및
    상기 탱크 캡을 통하여 상기 펌프 피스톤과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어셈블리는,
    상기 튜브와 상기 펌프 장치를 연결하는 튜브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액체를 흡수하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를 덮는 롤러 캡; 및
    상기 튜브를 덮고 상기 펌프 장치에 고정되는 튜브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20130090932A 2013-07-31 2013-07-31 롤러 장치 KR101490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0932A KR101490295B1 (ko) 2013-07-31 2013-07-31 롤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0932A KR101490295B1 (ko) 2013-07-31 2013-07-31 롤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295B1 true KR101490295B1 (ko) 2015-02-04

Family

ID=5259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0932A KR101490295B1 (ko) 2013-07-31 2013-07-31 롤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2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147Y1 (ko) * 2000-04-24 2000-11-15 송운식 페인트 자동공급롤러
KR20100011590U (ko) * 2009-05-20 2010-11-30 김희준 고공 작업용 페인트 롤러
KR20130025071A (ko) * 2011-09-01 2013-03-11 김숙경 페인트 자동공급 회전브러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147Y1 (ko) * 2000-04-24 2000-11-15 송운식 페인트 자동공급롤러
KR20100011590U (ko) * 2009-05-20 2010-11-30 김희준 고공 작업용 페인트 롤러
KR20130025071A (ko) * 2011-09-01 2013-03-11 김숙경 페인트 자동공급 회전브러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4477B2 (ja) サイドボタンが備えられたポンピング式化粧品容器
US9788702B1 (en) Dripping mop
JP6991332B2 (ja) ノズルアセンブリ、ノズル装置、及び無人航空機
ITMI20140392U1 (it) Lancia spray per uso con idropulitrice.
KR101642306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490295B1 (ko) 롤러 장치
US20150041560A1 (en) Pressure head with foaming function
CN108392148B (zh) 水箱结构及智能扫地机
JP6338708B2 (ja) 目詰まり防止スプレー容器
US20190076857A1 (en) Simplified airless spray gun
WO2011151354A3 (en) Leakage protection system, pressure balancing system, and precipitator with valve function for ablation applications
WO2019055143A1 (en) AIR-FREE SPRAY GUN WITH ENHANCED TRIGGER ASSEMBLY
WO2007134044A3 (en) Fluid applicator assembly
US20130152980A1 (en) Apparatus, Process, and System for Cleaning Paint Roller Covers
KR101678354B1 (ko) 탄성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JP5739141B2 (ja) 掃除具
US9648944B2 (en) Self moistening brush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2220355B1 (ko)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US20060239760A1 (en) Grout sealer applicator device
JP2012145154A (ja) バルブ装置
ATE473654T1 (de) Anordnung für die ausgabe eines flüssigprodukts
TWM492296U (zh) 可保存負氫離子水的容器結構
KR101679973B1 (ko) 윈도우 글라스 클리너 장치
KR101622129B1 (ko) 충진밸브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