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684B1 - 프레넬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전기 센서 모듈 - Google Patents

프레넬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전기 센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684B1
KR101489684B1 KR20130080917A KR20130080917A KR101489684B1 KR 101489684 B1 KR101489684 B1 KR 101489684B1 KR 20130080917 A KR20130080917 A KR 20130080917A KR 20130080917 A KR20130080917 A KR 20130080917A KR 101489684 B1 KR101489684 B1 KR 101489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ns
lenses
unit lens
fresnel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0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9288A (ko
Inventor
장영익
소병석
최상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3198225.8A priority Critical patent/EP2752688A1/en
Priority to US14/137,166 priority patent/US9453945B2/en
Priority to JP2013272105A priority patent/JP2014132340A/ja
Priority to CN201410003381.9A priority patent/CN103913786A/zh
Publication of KR20140089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2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raction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133Functions
    • G02B2006/12138Sen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렌즈들로 이루어진 프레넬 렌즈에 있어서, 프레넬 렌즈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복수의 단위 렌즈 그룹을 포함하며, 각 단위 렌즈 그룹은 복수의 단위 렌즈들을 포함하며, 프레넬 렌즈의 원주 방향에서 동일 단위 렌즈 그룹에 속하는 어느 두 개의 단위 렌즈들 사이에는 다른 단위 렌즈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렌즈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넬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전기 센서 모듈{FRESNEL LENS AND PYROELECTRICITY SENSOR MODU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레넬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전기 센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의 변화를 감지하여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Ray)를 구비하는 초전기 센서 모듈은 보안 분야, 전기 분야, 홈 오토메이션 분야 또는 기타 산업용 분야에서 널리 이용된다.
PIR 센서는 인체에서 방사되는 약 10㎛ 파장의 적외선에 반응하는 초전 소자 센서로서, 일반적으로 PIR 센서의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보드 및 PIR 센서로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 렌즈와 함께 초전기 센서 모듈을 이룬다. 여기서, 집광 렌즈로는 프레넬 렌즈가 널리 사용된다.
프레넬 렌즈는 렌즈의 두께의 줄이기 위해 몇 개의 일정한 두께를 가진 고리 모양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를 말한다. 프레넬 렌즈에는 하나의 굴절률을 갖는 단일 프레넬 렌즈 또는 넓은 시야각 확보를 위해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복수의 프레넬 렌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 프레넬 렌즈가 있다. 멀티 프레넬 렌즈의 경우, 각각의 프레넬 렌즈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복수의 프레넬 렌즈들의 수에 비례하여 전체 렌즈의 크기 또한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넓은 시야각 확보를 위해 초전기 센서 모듈에 멀티 프레넬 렌즈를 적용할 경우, 초전기 센서 모듈의 크기 또한 함께 커질 수 밖에 없다. 이는 최근의 소형화 추세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굴절각을 가지면서 프레넬 렌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프레넬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전기 센서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렌즈들로 이루어진 프레넬 렌즈로서, 상기 프레넬 렌즈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복수의 단위 렌즈 그룹을 포함하며, 각 단위 렌즈 그룹은 복수의 단위 렌즈들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넬 렌즈의 원주 방향에서 동일 단위 렌즈 그룹에 속하는 어느 두 개의 단위 렌즈들 사이에는 다른 단위 렌즈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렌즈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들의 배열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단위 렌즈들의 순차적인 배치가 반복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들의 배열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단위 렌즈들의 불규칙적인 배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들은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단위 렌즈는, 상기 프레넬 렌즈의 광 입사면을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프레넬 렌즈의 광 굴절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돌기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단위 렌즈들은 이웃하는 단위 렌즈와 반경 방향을 따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광 입사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 그룹은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제1 내지 제6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들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들은 각각 상기 프레넬 렌즈의 제1 내지 제6 굴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폭은 상기 반경 방향 중심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폭은 최소 20 ㎛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전기 센서 모듈로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렌즈들로 이루어진 프레넬 렌즈, 상기 프레넬 렌즈의 후방에 배치되며 적외선 광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감지 센서의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넬 렌즈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복수의 단위 렌즈 그룹을 포함하며, 각 단위 렌즈 그룹은 복수의 단위 렌즈들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넬 렌즈의 원주 방향에서 동일 단위 렌즈 그룹에 속하는 어느 두 개의 단위 렌즈들 사이에는 다른 단위 렌즈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렌즈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기 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들의 배열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단위 렌즈들의 순차적인 배치가 반복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들의 배열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단위 렌즈들의 불규칙적인 배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 보드는 상기 감지 센서의 출력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는 PIR(Pyroelectric Infrared Ray) 센서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굴절각을 가지면서 프레넬 렌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프레넬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전기 센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넬 렌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레넬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레넬 렌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프레넬 렌즈의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의 단위 렌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넬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전기 센서 모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넬 렌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프레넬 렌즈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프레넬 렌즈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프레넬 렌즈(10)는 복수의 단위 렌즈들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위 렌즈 그룹(100, 200, 300, 400)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단위 렌즈 그룹들(100, 200, 300, 400)은 제1 내지 제4 단위 그룹(100, 200, 300, 400)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의 프레넬 렌즈(10)는 서로 다른 네 개의 굴절률을 가진 복수의 단위 렌즈 그룹들(100 내지 400)로 이루어진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복수의 단위 렌즈 그룹들의 수는 굴절률이 다른 단위 렌즈 그룹들이 있다면 네 개 이상이거나 또는 최소한 둘 이상이어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100, 200, 300, 400)은 각각,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며, 복수의 단위 렌즈들을 포함한다. 제1 단위 렌즈 그룹(100)은 제2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들(200, 300, 400)과 다른 굴절각을 가진 복수의 단위 렌즈들(100)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제2 단위 렌즈 그룹(200)은 제1 단위 렌즈 그룹(100), 제3 단위 렌즈 그룹(300) 및 제4 단위 렌즈 그룹(400)과 다른 굴절각을 가진 복수의 단위 렌즈들(200)로 이루어진다. 제3 단위 렌즈 그룹(300) 및 제4 단위 렌즈 그룹(400) 또한 마찬가지로 각각, 복수의 단위 렌즈들(300, 400)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단위 렌즈들(100 내지 400)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단위 렌즈들(100 내지 400)의 순차적인 반복 배치를 통해 배열된다. 즉, 프레넬 렌즈(10)의 각 단위 렌즈들(100 내지 400)의 배열은 제1 단위 렌즈 그룹(100)의 어느 하나의 단위 렌즈(100), 제2 단위 렌즈 그룹(100)의 어느 하나의 단위 렌즈(200), 제3 단위 렌즈 그룹(100)의 어느 하나의 단위 렌즈(300) 및 제4 단위 렌즈 그룹(400)의 어느 하나의 단위 렌즈(400) 순의 순차적인 배치가 반복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단위 렌즈들(100 내지 400)의 순차적인 배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며, 이러한 원주 방향 배치에 따라 원형의 프레넬 렌즈(10)가 형성된다.
복수의 단위 렌즈들(100 내지 400)은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반경 방향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든다. 도 7에 개시된 감지 센서(3)가 약 10㎛ 파장의 적외선에 반응하는 것을 고려할 때, 렌즈 특성 유지를 위해 각각의 단위 렌즈들(100 내지 400)의 최외각 폭은 20㎛ 이상으로 형성된다.
하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넬 렌즈(10)의 반지름이 5 mm 인 경우, 각각의 단위 렌즈(100 내지 400)의 최외각 폭을 20 ㎛ 으로 적용할 경우, 1571 개의 단위 렌즈들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네 개의 굴절각을 갖는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100 내지 400)으로 이루어진다면, 굴절률이 같은 하나의 단위 렌즈 그룹마다 392 개의 단위 렌즈들을 확보할 수 있다. 만약, 보다 더 넓은 시야각 확보를 위해 서로 다른 굴절각을 갖는 10 개의 단위 렌즈 그룹을 적용한다면, 프레넬 렌즈의 전체 크기를 변경하지 않고도 굴절률이 같은 어느 하나의 단위 렌즈 그룹마다 157개의 단위 렌즈들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20 ㎛ 의 폭은 예시적인 것일 뿐 가공의 용이성을 위해 20 ㎛ 이상의 폭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단위 mm 단위 mm 20㎛ 적용 개수




반지름
1



원둘레
6.28 6283.19 314
2 12.57 12566.37 628
3 18.85 18849.56 942
4 25.13 25132.74 1257
5 31.42 31415.93 1571
6 37.70 37699.11 1885
7 43.98 43982.30 2199
8 50.27 50265.48 2513
9 56.55 56548.67 2827
10 62.83 62831.85 3142
도 3을 참조하면, 프레넬 렌즈(10)는 적외선 광이 입사되는 광 입사면(20) 및 광 입사면(20)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감지 센서(3, 도 7 참조)로 적외선 광을 집광하는 광 굴절면(30)을 포함한다. 이러한 광 입사면(20) 및 광 굴절면(30)은 앞선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들(100 내지 400)의 조합으로써 형성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광 입사면(20)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광 입사면(20)은 단위 렌즈들의 형상에 따라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광 굴절면(30)은 복수의 광 굴절부(32, 34, 36, 37, 38, 39)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광 굴절부(32, 34, 36, 37, 38, 39)들은 제1 내지 제6 광 굴절부(32, 34, 36, 37, 38, 3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6 개의 광 굴절부들이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제1 내지 제6 광 굴절부(32, 34, 36, 37, 38, 39)들은 프레넬 렌즈(10) 중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광 굴절부(32, 34, 36, 37, 38, 39)는 광 입사면(20)을 통과한 적외선 광을 원주 방향에서 서로 다른 네 개의 굴절각을 따라 굴절시켜 감지 센서(3, 도 7 참조) 방향으로 집광시킨다. 각각의 단위 렌즈 그룹(100 내지 400)의 어느 하나의 단위 렌즈는 제1 내지 제6 광 굴절부(32, 34, 36, 37, 38, 39)에서 동일한 굴절각을 갖는다.
도 4는 도 1의 프레넬 렌즈의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100 내지 400)들은 서로 중첩되어 동일한 공간에서 하나의 프레넬 렌즈(10)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제1 단위 렌즈 그룹(100)의 각각의 단위 렌즈는 제2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200 내지 400)의 각각의 단위 렌즈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다. 제2 단위 렌즈 그룹(100)의 각각의 단위 렌즈는 제3 단위 렌즈 그룹(300)의 어느 하나의 단위 렌즈, 제4 단위 렌즈 그룹(400)의 어느 하나의 단위 렌즈 및 제1 단위 렌즈 그룹(100)의 어느 하나의 단위 렌즈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다. 제3 단위 렌즈 그룹(300)의 각각의 단위 렌즈는 제4 단위 렌즈 그룹(400)의 어느 하나의 단위 렌즈, 제1 단위 렌즈 그룹(100)의 어느 하나의 단위 렌즈 및 제2 단위 렌즈 그룹(200)의 어느 하나의 단위 렌즈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다. 제4 단위 렌즈 그룹(400)의 각각의 단위 렌즈는 제1 내지 제3 단위 렌즈 그룹(100 내지 300)의 각각의 단위 렌즈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다.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100 내지 400)의 중첩시,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100 내지 400)의 각각의 단위 렌즈들은 이웃하는 단위 렌즈와 반경 방향을 따라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100 내지 400)은 단일의 프레넬 렌즈(10)를 형성한다.
이렇듯,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넬 렌즈(10)는 복수의 단위 렌즈 그룹들의 중첩을 통해 전체 렌즈 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굴절각을 갖는 렌즈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넬 렌즈(10)는 서로 다른 굴절각을 갖는 개별적인 프레넬 렌즈들을 배치시키지 않고도, 서로 다른 굴절각을 갖는 단일의 프레넬 렌즈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렌즈 배치를 위한 공간 확보 없이도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의 단위 렌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단위 렌즈 그룹(100)의 각각의 단위 렌즈(100, 이하, 제1 단위 렌즈로 칭함)는 몸체부(120) 및 복수의 돌기부들(150a 내지 150e)를 포함한다.
제1 단위 렌즈(100)의 몸체부(120)는 프레넬 렌즈(10, 도 3 참조)의 광 입사면(20, 도 3 참조)을 형성한다. 제1 단위 렌즈(100)의 몸체부(120)는 반경 방향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든다. 여기서, 제1 단위 렌즈(100)의 몸체부(120)의 반경 방향 최외각 폭은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최소 20 ㎛ 이상으로 형성된다.
제1 단위 렌즈(100)의 복수의 돌기부들(150a 내지 150e)은 제1 내지 제6 돌기부(150a 내지 150e)로 이루어진다. 제1 단위 렌즈(1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150a 내지 150e)는 몸체부(120)로부터 연장되며 프레넬 렌즈(10)의 광 굴절면(3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위 렌즈(1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150a 내지 150e)는 각각 제1 내지 제6 광 굴절부(32, 34, 36, 37, 38, 39)를 형성한다. 제1 단위 렌즈(1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150a 내지 150e)는 프레넬 렌즈(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프레넬 렌즈(10)의 중심을 향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단위 렌즈(1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150a 내지 150e)는 각각 제1 단위 렌즈(100)의 몸체부(120)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52a 내지 152e) 및 연장부(152a 내지 152e)로부터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몸체부(120)와 연결되는 경사부(156a 내지 156e)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장부(152a 내지 152e)와 경사부(156a 내지 156e) 사이의 각각의 경사각(θ1a 내지 θ1a)은 동일한 굴절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1 단위 렌즈(100)의 높이(h1)는 제1 단위 렌즈(1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150a 내지 150e) 어디서나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2 단위 렌즈 그룹(200)의 각각의 단위 렌즈(200, 이하, 제2 단위 렌즈로 칭함)는 몸체부(220) 및 복수의 돌기부들(250a 내지 250e)를 포함한다.
제2 단위 렌즈(200)의 몸체부(220)는 프레넬 렌즈(10, 도 3 참조)의 광 입사면(20, 도 3 참조)을 형성한다. 제2 단위 렌즈(200)의 몸체부(220)는 반경 방향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든다. 여기서, 제2 단위 렌즈(200)의 몸체부(220)의 반경 방향 최외각 폭은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최소 20 ㎛ 이상으로 형성된다.
제2 단위 렌즈(200)의 복수의 돌기부들(250a 내지 250e)은 제1 내지 제6 돌기부(250a 내지 250e)로 이루어진다. 제2 단위 렌즈(1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250a 내지 250e)는 몸체부(220)로부터 연장되며 프레넬 렌즈(10)의 광 굴절면(3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단위 렌즈(2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250a 내지 250e)는 각각 제1 내지 제6 광 굴절부(32, 34, 36, 37, 38, 39)를 형성한다. 제2 단위 렌즈(2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250a 내지 250e)는 프레넬 렌즈(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프레넬 렌즈(10)의 중심을 향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단위 렌즈(2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250a 내지 250e)는 각각 제2 단위 렌즈(200)의 몸체부(220)로부터 연장된 연장부(252a 내지 252e) 및 연장부(252a 내지 252e)로부터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몸체부(220)와 연결되는 경사부(256a 내지 256e)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장부(252a 내지 252e)와 경사부(256a 내지 256e) 사이의 각각의 경사각(θ2a 내지 θ2a)은 동일한 굴절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2 단위 렌즈(200)의 높이(h2)는 제2 단위 렌즈(2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250a 내지 250e) 어디서나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3 단위 렌즈 그룹(300)의 각각의 단위 렌즈(300, 이하, 제3 단위 렌즈로 칭함)는 몸체부(320) 및 복수의 돌기부들(350a 내지 350e)을 포함한다.
제3 단위 렌즈(300)의 몸체부(320)는 프레넬 렌즈(10, 도 3 참조)의 광 입사면(20, 도 3 참조)을 형성한다. 제3 단위 렌즈(300)의 몸체부(320)는 반경 방향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든다. 여기서, 제3 단위 렌즈(300)의 몸체부(320)의 반경 방향 최외각 폭은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최소 20 ㎛ 이상으로 형성된다.
제3 단위 렌즈(300)의 복수의 돌기부들(350a 내지 350e)은 제1 내지 제6 돌기부(350a 내지 350e)로 이루어진다. 제3 단위 렌즈(3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350a 내지 350e)는 몸체부(320)로부터 연장되며 프레넬 렌즈(10)의 광 굴절면(3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3 단위 렌즈(3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350a 내지 350e)는 각각 제1 내지 제6 광 굴절부(32, 34, 36, 37, 38, 39)를 형성한다. 제3 단위 렌즈(3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350a 내지 350e)는 프레넬 렌즈(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프레넬 렌즈(10)의 중심을 향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3 단위 렌즈(3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350a 내지 350e)는 각각 제3 단위 렌즈(300)의 몸체부(320)로부터 연장된 연장부(352a 내지 352e) 및 연장부(352a 내지 352e)로부터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몸체부(320)와 연결되는 경사부(356a 내지 356e)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장부(352a 내지 352e)와 경사부(356a 내지 356e) 사이의 각각의 경사각(θ3a 내지 θ3a)은 동일한 굴절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3 단위 렌즈(300)의 높이(h3)는 제1 단위 렌즈(3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350a 내지 350e) 어디서나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4 단위 렌즈 그룹(400)의 각각의 단위 렌즈(400, 이하, 제4 단위 렌즈로 칭함)는 몸체부(420) 및 복수의 돌기부들(450a 내지 450e)를 포함한다.
제4 단위 렌즈(400)의 몸체부(420)는 프레넬 렌즈(10, 도 3 참조)의 광 입사면(20, 도 3 참조)을 형성한다. 제4 단위 렌즈(400)의 몸체부(420)는 반경 방향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든다. 여기서, 제4 단위 렌즈(400)의 몸체부(420)의 반경 방향 최외각 폭은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최소 20 ㎛ 이상으로 형성된다.
제4 단위 렌즈(400)의 복수의 돌기부들(450a 내지 450e)은 제1 내지 제6 돌기부(450a 내지 450e)로 이루어진다. 제4 단위 렌즈(4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450a 내지 450e)는 몸체부(420)로부터 연장되며 프레넬 렌즈(10)의 광 굴절면(3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4 단위 렌즈(4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450a 내지 450e)는 각각 제1 내지 제6 광 굴절부(32, 34, 36, 37, 38, 39)를 형성한다. 제4 단위 렌즈(4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450a 내지 450e)는 프레넬 렌즈(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프레넬 렌즈(10)의 중심을 향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4 단위 렌즈(4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450a 내지 450e)는 각각 제4 단위 렌즈(400)의 몸체부(420)로부터 연장된 연장부(452a 내지 452e) 및 연장부(452a 내지 452e)로부터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몸체부(420)와 연결되는 경사부(456a 내지 456e)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장부(452a 내지 452e)와 경사부(456a 내지 456e) 사이의 각각의 경사각(θ4a 내지 θ4a)은 동일한 굴절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4 단위 렌즈(400)의 높이(h4)는 제4 단위 렌즈(400)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450a 내지 450e) 어디서나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100 내지 400)들의 높이(h1 내지 h4)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때문에, 제1 내지 제6 광 굴절부(32, 34, 36, 37, 38, 39, 도 1 참조)들은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된다.
제1 단위 렌즈(100)의 제1 돌기부(150a), 제2 단위 렌즈(200)의 제1 돌기부(250a), 제3 단위 렌즈(300)의 제1 돌기부(350a) 및 제4 단위 렌즈(400)의 제1 돌기부(450a)는 제1 광 굴절부(32, 도 1 참조)를 형성한다.
제1 단위 렌즈(100)의 제2 돌기부(150b), 제2 단위 렌즈(200)의 제2 돌기부(250b), 제3 단위 렌즈(300)의 제2 돌기부(350b) 및 제4 단위 렌즈(400)의 제2 돌기부(450b)는 제2 광 굴절부(34, 도 1 참조)를 형성한다.
제1 단위 렌즈(100)의 제3 돌기부(150c), 제2 단위 렌즈(200)의 제3 돌기부(250c), 제3 단위 렌즈(300)의 제3 돌기부(350c) 및 제4 단위 렌즈(400)의 제3 돌기부(450c)는 제3 광 굴절부(36, 도 1 참조)를 형성한다.
제1 단위 렌즈(100)의 제4 돌기부(150d), 제2 단위 렌즈(200)의 제4 돌기부(250d), 제3 단위 렌즈(300)의 제4 돌기부(350d) 및 제4 단위 렌즈(400)의 제4 돌기부(450d)는 제4 광 굴절부(37, 도 1 참조)를 형성한다.
제1 단위 렌즈(100)의 제5 돌기부(150e), 제2 단위 렌즈(200)의 제5 돌기부(250e), 제3 단위 렌즈(300)의 제5 돌기부(350e) 및 제4 단위 렌즈(400)의 제5 돌기부(450e)는 제5 광 굴절부(38, 도 1 참조)를 형성한다.
제1 단위 렌즈(100)의 제6 돌기부(150f), 제2 단위 렌즈(200)의 제6 돌기부(250f), 제3 단위 렌즈(300)의 제6 돌기부(350f) 및 제4 단위 렌즈(400)의 제6 돌기부(450f)는 제6 광 굴절부(39, 도 1 참조)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6 광 굴절부(32, 34, 36, 37, 38, 39, 도 1 참조)는 각각 서로 다른 굴절각을 갖는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100 내지 400)들의 돌기부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넬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넬 렌즈(20)는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600 내지 900)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600 내지 900)은 각각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프레넬 렌즈(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넬 렌즈(20)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600 내지 900)의 단위 렌즈들이 서로 불규칙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프레넬 렌즈(20)의 원주 방향에서 동일 단위 렌즈 그룹에 속하는 어느 두 개의 단위 렌즈들 사이에는 다른 단위 렌즈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렌즈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시 방향에 배치된 제4 단위 렌즈 그룹(900)의 단위 렌즈(900)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우측으로는 시계 방향을 따라 제1 단위 렌즈 그룹(600)의 어느 하나의 단위 렌즈(600)와 제2 단위 렌즈 그룹(700)의 어느 하나의 단위 렌즈(700)가 배치될 수 있고, 좌측으로는 반 시계 방향을 따라 제2 단위 렌즈 그룹(700)의 어느 하나의 단위 렌즈(700)와 제1 단위 렌즈 그룹(600)의 어느 하나의 단위 렌즈(6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600 내지 900)의 각 단위 렌즈는 동일 단위 렌즈 그룹에 속하는 어느 두 개의 단위 렌즈들 사이에 다른 단위 렌즈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렌즈가 배치된다면, 서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전기 센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초전기 센서 모듈(1)은 감지 센서(3). 신호 처리 보드(5) 및 프레넬 렌즈(10)를 포함한다.
감지 센서(3)는 프레넬 렌즈(10)의 후방에 배치되며, 프레넬 렌즈(10)로부터 집광된 적외선 광을 감지한다. 감지 센서(3)는 PIR 센서일 수 있다. PIR 센서는 인체에서 방사하는 약 10 ㎛ 파장의 적외선에 반응하는 초전 소자 센서로서, 주로 PZT (지르콘산 티탄산염) 계와 LiTaO3 (탄탈산 리튬) 계가 사용되어 만들어진다. PIR 센서는 기본적으로 자발 분극을 통해 언제나 표면에 전하가 대전하고 있지만 열적으로 평형 상태일 때에는 공기 중의 이온과 중화되어 출력이 나오지 않는다. 이때, 인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광이 입사되면, PIR 센서 표면 부근에 약간의 온도 상승이 발생하면서 평형 상태가 무너진다. 이를 초전 효과라고 하는데, 이를 통해 PIR 센서는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
신호 처리 보드(5)는 상부에 감지 센서(3)가 장착되며 감지 센서(3)의 출력 신호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 보드(5)는 감지 센서(3)의 출력 신호를 증폭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넬 렌즈(10)는 다양한 굴절각을 가지면서도 크기가 증가하지 않는다. 때문에, 프레넬 렌즈(10)로 입사되는 적외선 광량이 종전 방식에 비해 줄어들 수 있어 감지 센서(3)의 동작 유효 거리가 함께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신호 처리 보드(5)는 적외선 광량 저하를 상쇄하기 위해 감지 센서(3)의 출력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프레넬 렌즈(10)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굴절각을 가지면서 단일의 원형 렌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초전기 센서 모듈(1)은 프레넬 렌즈(10)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므로 초전기 센서 모듈(1) 또한 소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초전기 센서 모듈(1)에 장착되는 프레넬 렌즈는 앞선 도 6에서의 프레넬 렌즈(20)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설계에 따라 원형 렌즈 이외의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 다각형 형상의 렌즈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초전기 센서 모듈 3: 감지 센서
5: 신호 처리 보드 10: 프레넬 렌즈
30: 굴절부 100: 제1 단위 렌즈 그룹
200: 제2 단위 렌즈 그룹 300: 제3 단위 렌즈 그룹
400: 제4 단위 렌즈 그룹

Claims (18)

  1.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렌즈들로 이루어진 프레넬 렌즈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복수의 단위 렌즈 그룹을 포함하며, 각 단위 렌즈 그룹은 복수의 단위 렌즈들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넬 렌즈의 원주 방향에서 동일 단위 렌즈 그룹에 속하는 어느 두 개의 단위 렌즈들 사이에는 다른 단위 렌즈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렌즈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들의 배열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단위 렌즈들의 순차적인 배치가 반복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들의 배열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단위 렌즈들의 불규칙적인 배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들은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위 렌즈는,
    상기 프레넬 렌즈의 광 입사면을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프레넬 렌즈의 광 굴절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돌기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
  7.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위 렌즈들은 이웃하는 단위 렌즈와 반경 방향을 따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입사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 그룹은 제1 내지 제4 단위 렌즈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제1 내지 제6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들의 제1 내지 제6 돌기부들은 각각 상기 프레넬 렌즈의 제1 내지 제6 굴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폭은 상기 반경 방향 중심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
  13. 삭제
  14. 초전기 센서 모듈에 있어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렌즈들로 이루어진 프레넬 렌즈;
    상기 프레넬 렌즈의 후방에 배치되며 적외선 광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감지 센서의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넬 렌즈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복수의 단위 렌즈 그룹을 포함하며, 각 단위 렌즈 그룹은 복수의 단위 렌즈들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넬 렌즈의 원주 방향에서 동일 단위 렌즈 그룹에 속하는 어느 두 개의 단위 렌즈들 사이에는 다른 단위 렌즈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렌즈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기 센서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들의 배열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단위 렌즈들의 순차적인 배치가 반복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기 센서 모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들의 배열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단위 렌즈들의 불규칙적인 배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기 센서 모듈.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보드는 상기 감지 센서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기 센서 모듈.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PIR(Pyroelectric Infrared Ray)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기 센서 모듈.
KR20130080917A 2013-01-04 2013-07-10 프레넬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전기 센서 모듈 KR101489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98225.8A EP2752688A1 (en) 2013-01-04 2013-12-18 Fresnel lens and pyroelectricity sensor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4/137,166 US9453945B2 (en) 2013-01-04 2013-12-20 Fresnel lens and pyroelectricity sensor module including the same
JP2013272105A JP2014132340A (ja) 2013-01-04 2013-12-27 フレネルレンズ及びそれを含む焦電気センサモジュール
CN201410003381.9A CN103913786A (zh) 2013-01-04 2014-01-03 菲涅尔透镜和包括该菲涅尔透镜的热释电传感器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48917P 2013-01-04 2013-01-04
US61/748,917 2013-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288A KR20140089288A (ko) 2014-07-14
KR101489684B1 true KR101489684B1 (ko) 2015-02-04

Family

ID=5173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0917A KR101489684B1 (ko) 2013-01-04 2013-07-10 프레넬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전기 센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6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505B1 (ko) * 2021-03-22 2023-11-29 ㈜인스트루먼트시스템즈코리아 다수 방향에 대한 분광 특성 검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2178A (en) 1994-03-18 1995-08-15 Hubbell Incorporated Cross-over field-of-view composite Fresnel lens for an infrared detection system
JP2006243508A (ja) 2005-03-04 2006-09-14 Arisawa Mfg Co Ltd フレネルレンズ
JP2011141450A (ja) 2010-01-07 2011-07-21 Citizen Electronics Co Ltd レンズ部材及び光学ユニット
KR20120046081A (ko) * 2010-10-29 2012-05-09 주식회사 아이비기술 실시간 감지 적외선 센서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2178A (en) 1994-03-18 1995-08-15 Hubbell Incorporated Cross-over field-of-view composite Fresnel lens for an infrared detection system
JP2006243508A (ja) 2005-03-04 2006-09-14 Arisawa Mfg Co Ltd フレネルレンズ
JP2011141450A (ja) 2010-01-07 2011-07-21 Citizen Electronics Co Ltd レンズ部材及び光学ユニット
KR20120046081A (ko) * 2010-10-29 2012-05-09 주식회사 아이비기술 실시간 감지 적외선 센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288A (ko) 201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3945B2 (en) Fresnel lens and pyroelectricity sensor module including the same
US20170108669A1 (en) Optical imaging system
KR20230135034A (ko) 촬상 광학계
US5567941A (en) Pyroelectric type infrared sensor
KR102105138B1 (ko) 광센서 모듈
US5442178A (en) Cross-over field-of-view composite Fresnel lens for an infrared detection system
CA2622126A1 (en) Fresnel lens
US20150349011A1 (en) Photoelectric conversion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US8445849B2 (en) IR sensing device
US20210337140A1 (en) Optical device for a thermal sensor and a hybrid thermal sensor
US20150085353A1 (en) Optical System for an Infrared Ray
US8648307B2 (en) Infrared ray detector
CN102713544A (zh) 红外运动传感器
JP6504874B2 (ja) 光学フィルタおよび光学測定装置
US20150053859A1 (en) Pyroelectric-type infrared sensor
JP2016191610A (ja) 人体検知装置
KR101489684B1 (ko) 프레넬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전기 센서 모듈
JP6551193B2 (ja) 光学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mimo通信システム
KR101887143B1 (ko) 수평화각 90도의 장파장 적외선 카메라 및 카메라용 렌즈
US9316839B2 (en) Image sensor having improved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US10393580B2 (en) Spectrometer including light filter
JP2018173316A (ja) 光検出装置
US11268833B2 (en) Reflection type sensor and optical encoder having the same
JP2016080774A (ja) 赤外線受光光学系および赤外線検出装置
KR101020185B1 (ko) 캡슐 내시경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