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316B1 - 체 진동기 - Google Patents

체 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316B1
KR101489316B1 KR20120067743A KR20120067743A KR101489316B1 KR 101489316 B1 KR101489316 B1 KR 101489316B1 KR 20120067743 A KR20120067743 A KR 20120067743A KR 20120067743 A KR20120067743 A KR 20120067743A KR 101489316 B1 KR101489316 B1 KR 101489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r
diaphragm
vibrator
morta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284A (ko
Inventor
안영명
안대현
Original Assignee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주)한국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주)한국케트 filed Critical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2006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316B1/ko
Publication of KR20140001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6Cone or disc shaped scre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자상의 특정 물질을 선별하는 시료 채취용 체 진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함유된 수분량을 측정하기 위한 모르타르를 선별하기 위한 체 진동기에 관한 것으로, 제 1가이드바가 돌출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제 1가이드바에 끼워지는 스프링 및 체가 탈착되는 체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가이드바에 대응하는 제 2가이드바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2가이드바가 상기 스프링에 끼워져서 상기 지지대와 탄발하도록 적층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진동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체 진동기에서 외부에 스프링을 감싼 제 1가이드바와 제 2가이드바의 특정 간격만큼 진동판의 이동량이 정해져서 시료 채취를 위한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모르타르를 손쉽고 간편하게 채취할 수 있고, 진동판의 상부에 위치한 체 고정기를 통하여 체 진동기가 타이머에서 한정한 작업시간 동안에 체가 이격이나 이탈되지 않고 올바르게 탈착된 상태에서 정밀한 입자의 모르타르를 채취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일체화의 구조를 이루며, 체 고정기는 체를 인위적으로 손쉽게 단속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입자의 크기를 갖는 쇠그물망의 체로 교환하여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시료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체 진동기{A vibrate strainer}
본 발명은 입자상의 특정 물질을 선별하는 체 진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함유된 수분량을 측정하기 위한 모르타르를 선별하기 위한 시료 채취용 체 진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란 시멘트에 모래와 자갈 등의 골재 따위를 적당히 섞고 물에 반죽한 혼합물로서,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여 굳어지는 수화반응(水和反應)을 이용하여 골재를 시멘트풀(시멘트를 물로 개어 풀처럼 만든 것)로 둘러싸서 다진 것이기 때문에 만드는 방법이 간단하고 내구성이 커서 토목 공사나 건축의 주요 재료로 쓰인다.
콘크리트의 구성물에서 골재가 제외된 것이 모르타르인데 콘크리트가 토목,건축의 주요 구조물에서 주요한 구조부분(뼈대)을 이루는 재료라면 모르타르는 주요구조물에서 마감재료(벽돌쌓기용, 바닥미장용, 정밀기계기초용 등)로 사용되거나 구조물의 보수 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와 모르타르 모두 한 종류만 있는 것이 아니고 배합과 사용 시멘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들이 있으며, 수많은 종류의 제품에 따라 나열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시멘트에 일정한 물을 가해 섞으면 화학 반응이 일어나 응결작용 경화현상이 생긴다. 이와 같이 시멘트와 물이 화합하는 것을 수화라 하고, 그 생성물을 수화물이라 한다. 시멘트와 물과의 수화작용에 수반되어 발생하는 열을 수화열이라 한다. 특히, 수화열은 단단한 콘크리트의 온도 균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수화열은 시멘트의 화학 조성, 분말도, 물과 시멘트비, 혼합 재료 및 양생 조건 등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공사 현장으로 운반되기 전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수분함량이 적절히 배합되었는지를 실험하기 위해 콘크리트에서 모르타르를 채취하여 시공 전에 내구성 및 안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공개특허 제 10-2005-0069715호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에서 사용되는 재료가 본드와 절단커터이므로 시공 현장이 아닌 실험실에서 이루어지는 작업환경에 알맞지 않고, 체를 안정적으로 단속해 줄 부재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정밀도의 모르타르를 얻을 수 없으며,정확한 시료 채취를 위한 과정에서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입자의 크기의 쇠그물망을 갖는 체로의 교체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결과물을 얻을 때까지 작업자가 주위에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입자가 혼합된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필요로 하는 입자크기의 모르타르를 얻을 수 있도록 간편하고 신속하게 작동구조를 이루고, 다양한 쇠그물망을 갖춘 체로 교체하여 필요한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체 진동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가이드바가 돌출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제 1가이드바에 끼워지는 스프링 및 체가 탈착되는 체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가이드바에 대응하는 제 2가이드바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2가이드바가 상기 스프링에 끼워져서 상기 지지대와 탄발하도록 적층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진동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체 진동기에서 외부에 스프링을 감싼 제 1가이드바와 제 2가이드바의 특정 간격만큼 진동판의 이동량이 정해져서 시료 채취를 위한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모르타르를 손쉽고 간편하게 채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의 상부에 위치한 체 고정기를 통하여 체 진동기가 제어부에서 한정한 작업시간 동안에 체가 이격이나 이탈되지 않고 올바르게 탈착된 상태에서 정밀한 입자의 모르타르를 채취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일체화의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 고정기는 체를 인위적으로 손쉽게 단속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입자의 크기를 갖는 쇠그물망의 체로 교환하여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시료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굳지 않은 콘크리트로부터 모르타르를 채취하기 위한체 진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굳지 않은 콘크리트로부터 모르타르를 채취하기 위한 체 진동기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굳지 않은 콘크리트로부터 모르타르를 채취하기 위한 체 진동기의 체 고정기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굳지 않은 콘크리트로부터 모르타르를 채취하기 위한 체 진동기의 체 고정기가 체를 고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굳지 않은 콘크리트로부터 모르타르를 채취하기 위한 체 진동기의 제 1가이드바와 제 2가이드바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굳지 않은 콘크리트로부터 모르타르를 채취하기 위한 체 진동기의 제 1가이드바와 제 2 가이드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굳지 않은 콘크리트로부터 모르타르를 채취하기 위한 체 진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 진동기(100)는 전체 구조가 공간부(150)가 형성된 지지대(120)를 포함하고, 진동판(110)이 지지대(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동작관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지지대(120)와 진동판(110)은 체 장착공(117)의 사방으로 4개가 구비되어 스프링(140)이 끼워진 제 1가이드바(145-1)와 제 2가이드바(145-2)로 동작관계에 있으며, 지지대(120)의 양측에는 손잡이(125)가 구비되어 있고, 진동판(110)에는 쇠그물망(135)을 갖춘 체(130)가 삽입될 수 있으며, 회전축(115)을 매개로 체(130)를 단속하는 체 고정기(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진동판(110)에 삽입된 체(130)로 인해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걸러서 채취된 모르타르는 지지대(120)의 내부 공간부(15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지지대(120)에는 건전지가 삽입되어 진동자(V)를 타이머(123)로 제어하는 내부전원방식으로, 타이머(123)와 리셋 장치를 통하여 체 진동기(100)의 동작시간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체 진동기(100)는 시공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기에 앞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모르타르를 정밀하게 얻어야 사용되어 질 해당 콘크리트의 수분함량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햇빛의 영향이 없는 서늘한 실내의 공간에서 실험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굳지 않은 콘크리트로부터 모르타르를 채취하기 위한 체 진동기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 2에서, 타이머(123)의 제어로 지지대(120)의 내부에 위치한 진동자(V)에 전원이 공급되면 회전축을 매개로 진동자(V)가 정방향 운동을 하게 되고, 진동자(V)와 일측에서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 진동판(110)은 진동자(V)와의 접촉과 비접촉으로 인해 상승과 하강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제 1가이드바(145-1)와 제 2가이드바(145-2)는 진동판(110)의 반복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량의 구심점으로 진동판(110)의 미세한 진동이 원활히 반복되도록 하고,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조물의 내구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진동자(V)는 그 형상이 부채꼴이나 반구형 또는 하트형 등 호의 면을 갖는 부재로 구비하는데, 직각면을 이루는 구조의 부재는 회전축을 매개로 하는 반복 동작 시 맞닿아 진동판(110)을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진동판(110)에 불필요한 손상을 가하여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정밀한 결과물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굳지 않은 콘크리트로부터 모르타르를 채취하기 위한 체 진동기의 체 고정기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굳지 않은 콘크리트로부터 모르타르를 채취하기 위한 체 진동기의 체 고정기가 체를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인 바, 이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 고정기(113)는 진동판(110)의 상부에서 회전축(115)에 고정되어 작동하고, 체(130)의 일측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갈고리형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도시된 도 3에서와 같이, 체 고정기(113)는 인위적인 힘에 의한 체(130)를 고정하는 동작구조를 취하는데, 다양한 입자 크기의 쇠그물망(135)을 갖춘 체(130)의 교체작업이 간편하게 수시로 가능하여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모르타르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입자의 물질을 얻어서 시공 전의 검사에 필요로 하는 데이터 작성에 도움이 된다.
또한, 도 4와 같은 구조에서, 진동판(110)의 반복적인 작동으로 진동판(110)에서 체(130)가 이탈하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체 고정기(113)가 체(130)의 돌기(137)를 견고히 단속하고, 진동판(110)과 체(130)를 체 고정기(113)가 중계의 역할로 일체화를 이루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 진동기(100)의 세밀한 반복적인 작업에 있어서 신뢰성 있는 결과물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굳지 않은 콘크리트로부터 모르타르를 채취하기 위한 체 진동기의 제 1가이드바와 제 2가이드바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 5와 같이, 원통형 구조인 제 1가이드바(145-1)와 제 2가이드바(145-2)는 진동판(110)과 연계되는 제 2 가이드바와(145-2)와 지지대(120)의 하면 상부에 위치하는 제 1가이드바(145-1)로 구성되는데, 제 1가이드바(145-1)와 제 2가이드바(145-2)는 특정 간격으로 떨어져서 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일측을 마주보며 위치한다.
도 5와 같은 제 1가이드바(145-1)와 제 2가이드바(145-2)의 구조에서, 제 1가이드바(145-1)와 제 2가이드바(145-2) 사이의 간격만큼 이동량이 한정되는 진동판(110)은 상하운동을 반복하고, 제 1가이드바(145-1)와 제 2가이드바(145-2)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140)의 텐션작용으로 인해 진동판(110)의 반복적인 작업에도 전체 구조물의 내구성을 유지시키면서 미세한 진동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로 인해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보다 정밀한 모르타르를 채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 1가이드바(145-1)와 제 2가이드바(145-2)에 스프링(140)이 끼워진 구조에서, 스프링(140)의 끝단부가 제 1가이드바(145-1)와 제 2가이드바(145-2)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마주보며 위치한 제 1가이드바(145-1)와 제 2가이드바(145-2)의 일측이 맞닿거나, 불필요한 이동량의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가이드바(145-1)와 제 2가이드바(145-2)는 일정한 간격을 둔 채 일측면을 마주보며 위치하여야 하는데, 그 간격이 너무 떨어진 상태이면 진동판(110)의 동작에 있어서 스프링(140)에 너무 의존하여 이동량이 정해질 수 있으므로 무분별한 흔들림의 이동량이 생겨서 작업자가 원하는 정밀한 결과물을 얻을 수 없게 됨은 물론이고, 무분별한 흔들림의 이동량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조물에 기계적인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모르타르를 채취하여 전용 수분 측정기에서 수분함량을 실측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모르타르의 채취가 중요한데, 이를 위한 올바른 형태를 갖추어 동작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체 진동기(100)의 제 1가이드바(145-1)와 제 2가이드바(145-2)의 설치가 콘크리트를 원료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현장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한 선행이 되어야함은 물론일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굳지 않은 콘크리트로부터 모르타르를 채취하기 위한 체 진동기의 제 1가이드바와 제 2가이드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 6과 같은 구조에서, 테이퍼형 제 1가이드바(200-1)와 테이퍼형 제 2가이드바(200-2)를 구비하게 되면, 테이퍼형 제 1가이드바(200-1)와 테이퍼형 제 2가이드바(200-2) 사이의 특정 공간에서 진동판(110)의 이동량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테이퍼진 각도로 진동판(110)이 좀 더 세밀한 진동을 할 수 있도록 이동량의 범위가 늘어나기 때문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와 같은 혼합된 내용물에서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더욱 정밀한 입자의 결과물인 모르타르를 얻는데 유효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앞으로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체 진동기 110; 진동판
113; 체 고정기 117; 체 장착공
115; 회전축 120; 지지대
123; 타이머 125; 손잡이
130; 체 135; 쇠그물망
137; 돌기 140; 스프링
145-1; 제 1가이드바 145-2; 제 2가이드바
150; 공간부 200-1; 테이퍼형 제1가이드바
200-2; 테이퍼형 제 2가이드바 V; 진동자

Claims (5)

  1. 제 1가이드바가 돌출 형성된 지지대;
    상기 제 1가이드바와 후술할 제 2가이드바에 끼워져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대와 후술할 진동판에 고정되는 스프링;
    체가 탈착되도록 체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가이드바에 대응하는 제 2가이드바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2가이드바가 상기 스프링에 끼워져서 상기 지지대와 탄발하도록 적층되는 진동판; 및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구비되되, 회전시 상기 진동판과 일측이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판과의 접촉 비접촉에 의해 상기 진동판을 반복적으로 승강시켜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진동자; 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된 상기 제 2가이드바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상방으로 연장된 상기 제 1가이드바와 서로 마주보되 상하로 이뤄지는 진동의 허용공간이 상기 제 2가이드바와 상기 제 1가이드바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호 이격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진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바 및 제 2가이드바가 상기 체 장착공의 둘레에 다수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진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바와 제 2가이드바가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진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의 둘레에 형성된 돌기를 단속하는 체 고정기가 상기 진동판에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진동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의 동작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진동기.
KR20120067743A 2012-06-25 2012-06-25 체 진동기 KR101489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7743A KR101489316B1 (ko) 2012-06-25 2012-06-25 체 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7743A KR101489316B1 (ko) 2012-06-25 2012-06-25 체 진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284A KR20140001284A (ko) 2014-01-07
KR101489316B1 true KR101489316B1 (ko) 2015-02-06

Family

ID=5013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7743A KR101489316B1 (ko) 2012-06-25 2012-06-25 체 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692B1 (ko) * 2023-10-27 2023-12-29 청운개발 주식회사 망 막힘 방지 타격장치를 구비하는 진동스크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611U (ko) * 1989-07-31 1991-03-25
JPH0377985U (ko) * 1989-08-29 1991-08-06
JPH09192605A (ja) * 1996-01-23 1997-07-29 Taiyo Chuki Co Ltd 風力選別機構付振動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611U (ko) * 1989-07-31 1991-03-25
JPH0377985U (ko) * 1989-08-29 1991-08-06
JPH09192605A (ja) * 1996-01-23 1997-07-29 Taiyo Chuki Co Ltd 風力選別機構付振動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284A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8577C (en) Multivariate management of entrained air and rheology in cementitious mixes
Bartos Fresh concrete: properties and tests
Wallevik Relationship between the Bingham parameters and slump
Winnefeld et al. Sample preparation
KR101960641B1 (ko) 레미콘 제조장치
KR101489316B1 (ko) 체 진동기
US999394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he formation and use of reduced weight building blocks forms
JP2009137233A (ja) 繊維補強セメント組成物の製造装置
CN109884285A (zh) 一种振捣条件下混凝土离析程度的测试方法
CN102749439A (zh) 一种新拌混凝土离析现象测试与评定装置
Beck et al. Formu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ppropriate lime-based mortar for use with a porous limestone
US20160061806A1 (en) Assessment method
Quanji Thixotropic behavior of cement-based materials: effect of clay and cement types
Obi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coarse aggregate sizes on concrete quality
CN207402981U (zh) 水泥混凝土搅拌机
CN204380957U (zh) 矿质混合料用筛子及矿质混合料筛分装置
CN206184870U (zh) 一种利用共振原理清除残留混凝土的装置
CA2322931A1 (en) Multi-probe conductivity method for monitoring time-dependent processes in fresh cementitious and other dense slurry systems
JP2004069364A (ja) 強制スランプフロー試験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06459998U (zh) 机械式振动水泥浆的实验系统
CN220650222U (zh) 一种手持式碾压混凝土试件成型振捣成型仪
Kuzmichev et al. Gravity mixers with vibration activator in construction engineering
CN212904464U (zh) 一种连杆结构式耐火泥浆粘结时间试验机
KR101148744B1 (ko) 콘크리트 타설용 슈트
Saeed et al. Strength and behavior of self compacting concrete with glass waste as partial replacement for coarse aggregate under elevated temper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