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237B1 - 소음방지재 - Google Patents

소음방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237B1
KR101489237B1 KR20130093073A KR20130093073A KR101489237B1 KR 101489237 B1 KR101489237 B1 KR 101489237B1 KR 20130093073 A KR20130093073 A KR 20130093073A KR 20130093073 A KR20130093073 A KR 20130093073A KR 101489237 B1 KR101489237 B1 KR 101489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erroelectric
preventing member
ferroelectric material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은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9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초소화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음방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방지재는 슬래브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및 마감 모르타르층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건축물에 적용되는 소음방지재에 있어서,상기 소음방지재는 슬래브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의 사이 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과 마감 모르타르층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소음방지재는 압전 필름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음방지재{NOISE PREVENTION MEMBER}
본 발명은 소음방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초소화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음방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가구 주택이나 아파트 등에서 층간소음 문제가 대두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나 법적 제도화 문제가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도 1은 현재 규격화되어 있는 건축물 시공 기준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의 기준에 의하면 콘크리트 슬래브층(1)의 상측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과 마감 모르타르층(3)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된다. 그리고 소음 차단을 위해 콘크리트 슬래브층(1)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의 사이에 차음매트(4)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적층과 측벽의 사이에 측면 완충재(5)가 구비된다.
상기 차음매트(4)는 상부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건축물의 매질을 통해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주로 소리 등을 잘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현재의 시공 기준은 상부층에서 발생된 소음을 차음매트(4)를 통해서 흡수함과 더불어 측벽의 내측면에 완충재(5)를 설치함으로써 마감 모르타르층(3)에 가해진 충격이 측벽을 통해서 이웃하는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시공 기술은 아파트나 다가구 주택 등에서 발생되는 층간소음 문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층간소음 문제는 상부 층의 소리가 하부 층으로 전달되는 것보다는 상부 층에서 발생된 진동이 하부 층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심각하게 발생된다. 마감 모르타르층(3)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충격 에너지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과 차음매트(4)를 통해 슬래브층(1)으로 전달된다. 차음매트(4)는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를 흡수하는 특징을 갖지만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지는 못한다. 이는 에너지 보존법칙을 고려할 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마감 모르타르층(3)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에너지에 의해 특히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과 슬래브층(1)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과 슬래브층(1)에서 공명음이 발생된다. 이 공명음의 주파수는 건축물 자재의 고유 진동수와 관련이 있다. 즉, 종래의 기술은 상부 층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하부 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9075호에는 각각 서로 다른 밀도를 갖는 제1 및 제2 발포층을 이용하여 흡음 및 차음 효과를 갖도록 한 소음방지재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이는 밀도가 서로 다른 다공질의 발포층을 중첩하여 구성함으로써 진동을 분산시켜 소음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음방지재는 충격 에너지의 전달을 차단하는데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충격 에너지의 전달을 최소화함으로써 건축물 등의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해주는 소음방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소음방지재는 슬래브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및 마감 모르타르층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건축물에 적용되는 소음방지재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재는 슬래브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의 사이 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과 마감 모르타르층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소음방지재는 압전 필름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전필름은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층, 상기 하부 전극층상에 형성되는 강유전 물질층 및 상기 강유전 물질층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은 유연성을 갖는 유기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은 종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유전 물질층은 유기물 강유전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유전 물질층은 유기물 강유전 물질과 무기물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유전 물질층은 유기물과 무기물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소음방지재는 슬래브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및 마감 모르타르층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건축물에 적용되는 소음방지재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재는 슬래브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의 사이 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과 마감 모르타르층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소음방지재는 압전 필름과, 상기 압전 필름의 상측에 구비되는 충격 에너지 분산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 에너지 분산부재는 제1 물질층과 제2 물질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물질층과 제2 물질층은 서로 다른 고유 진동수를 갖는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물질층과 제2 물질층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층은 유기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 에너지 분산부재는 제1 물질층과 제2 물질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물질층과 제2 물질층은 서로 다른 고유 진동수를 갖는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물질층과 제2 물질층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층은 강유전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물질층과 제2 물질층은 두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물질층의 일측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유전 물질은 강유전 유기물과 유기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유전 물질은 유기물과 무기물 강유전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유전 물질은 강유전 유기물과 강유전 무기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소음방지재는 슬래브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및 마감 모르타르층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건축물에 적용되는 소음방지재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재는 슬래브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의 사이 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과 마감 모르타르층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소음방지재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압전 필름층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전 필름층의 상측에 충격 에너지 분산층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방지재에 의하면, 건축물의 슬래브층과 마감 모르타르층의 사이에 압전 필름을 구비하는 소음방지재가 구비된다. 상기 소음방지재는 모르타르층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인가되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이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층으로부터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의 양이 저감되게 됨으로써 층간 소음문제를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축물이 시공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방지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방지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방지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방지재를 적용한 경우의 건축물이 주요부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방지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참조번호 21은 기판이다. 이 기판(21)은 유기물이나 종이로 구성된다. 기판(21)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유기물로서는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PP), 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4-메틸-1-펜텐)(TPX),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아세탈(POM),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설폰(PSF),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폴리초산비닐(PVAC), 폴리비닐알콜(PVAL),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스티렌(PS), AS수지, ABS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불소수지, 페놀수지(PF), 멜라민수지(MF), 우레아수지(UF), 불포화폴리에스테르(UP), 에폭시수지(EP), 디알릴프탈레이트수지(DAP), 폴리우레탄(PUR), 폴리아미드(PA), 실리콘수지(SI)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21)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의 것이 채용된다.
상기 기판(21)상에는 하부 전극층(22)과 강유전 물질층(23) 및 상부 전극층(24)을 구비하는 압전필름이 형성된다.
상기 전극층(22, 24)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유기물이 채용되고,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부 전극층(22)과 상부 전극층(24)은 적어도 일부분이 저항성 물질을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강유전 물질로서는 전체 압전 필름의 유연성과 고유전율을 고려하여 유기물 강유전 물질이나 유기물 강유전 물질가 유기물의 혼합물 또는 유기물 강유전 물질이나 유기물과 무기물 강유전 물질의 혼합물이 채용된다.
여기서 강유전 물질과 혼합되는 유기물로서는 일반적인 모노머(monomer), 올리고머(oligomer), 폴리머(polymer), 코폴리머(copolymer), 바람직하게는 유전율이 높은 유기물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재료로서는 예컨대 PVP(polyvinyl pyrrolidone), PC(poly carbonate), PVC(polyvinyl chloride), PS(polystyrene), 에폭시(epoxy),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I(polyimide), PE(polyehylene), PVA(polyvinyl alcohol), 나일론 66(polyhezamethylene adipamide), PEKK(polytherketoneketone)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유기물로서는 불화 파라-자일렌(fluorinated para-xylene), 플루오로폴리아릴에테르(fluoropolyarylether), 불화 폴리이미드(fluorinated polyimid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α-메틸 스티렌)(poly(α-methyl styrene)), 폴리(α-비닐나프탈렌)(poly(α-vinylnaphthalene)), 폴리(비닐톨루엔)(poly(vinyltolu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시스-폴리부타디엔(cis-polybutadi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이소프렌(polyisoprene), 폴리(4-메틸-1-펜텐)(poly(4-methyl-1-pent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폴리(2-메틸-1,3-부타디엔)(poly(2-methyl-1,3-butadiene)), 폴리(p-크실릴렌)(poly(p-xylylene)), 폴리(α-α-α'-α'-테트라플루오로-p-크실릴렌)(poly(α-α-α'-α'-tetrafluoro-p-xylylene)), 폴리[1,1-(2-메틸 프로판)비스(4-페닐)카보네이트](poly[1,1-(2-methyl propane)bis(4-phenyl)carbonate]), 폴리(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poly(cyclohexyl methacrylate)), 폴리(클로로스티렌)(poly(chlorostyrene)), 폴리(2,6-디메틸-1,4-페닐렌 에테르)(poly(2,6-dimethyl-1,4-phenylene ether)),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폴리(비닐 시클로헥산)(poly(vinyl cyclohexane)), 폴리(아릴렌 에테르)(poly(arylene ether)) 및 폴리페닐렌(polyphenylene) 등의 비극성 유기물이나,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ethylene/tetrafluoroethylene)), 폴리(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불화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fluorinated ethylene/propylene copolymer), 폴리스티렌-코-α-메틸 스티렌(polystyrene-co-α-methyl styrene),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ethylene/ethyl acrylate copolymer), 폴리(스티렌/10%부타디엔)(poly(styrene/10%butadiene), 폴리(스티렌/15%부타디엔)(poly(styrene/15%butadiene), 폴리(스티렌/2,4-디메틸스티렌)(poly(styrene/2,4-dimethylstyrene), Cytop, Teflon AF, 폴리프로필렌-코-1-부텐(polypropylene-co-1-butene) 등의 저유전율 코폴리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밖에 폴리아센(polyacene), 폴리페닐렌(polyphenylene), 폴리(페닐렌 비닐렌) (poly(phenylene vinylene)),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과 같은 공액 탄화수소 폴리머, 및 그러한 공액 탄화수소의 올리고머; 안트라센(anthracene), 테트라센(tetracene), 크리센(chrysene), 펜타센(pentacene), 피렌(pyrene), 페릴렌(perylene), 코로넨(coronene)과 같은 축합 방향족 탄화수소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p-쿼터페닐(p-quaterphenyl)(p-4P), p-퀸쿼페닐(p-quinquephenyl)(p-5P), p-섹시페닐(p-sexiphenyl)(p-6P)과 같은 올리고머성 파라 치환 페닐렌 (oligomeric para substituted phenylenes); 폴리(3-치환 티오펜) (poly(3-substituted thiophene)), 폴리(3,4-이치환 티오펜) (poly(3,4-bisubstituted thiophene)), 폴리벤조티오펜 (polybenzothiophene)), 폴리이소티아나프텐 (polyisothianaphthene), 폴리(N-치환 피롤) (poly(N-substituted pyrrole)), 폴리(3-치환 피롤) (poly(3-substituted pyrrole)), 폴리(3,4-이치환 피롤) (poly(3,4-bisubstituted pyrrole)), 폴리퓨란(polyfuran), 폴리피리딘(polypyridine), 폴리-1,3,4-옥사디아졸 (poly-1,3,4-oxadiazoles), 폴리이소티아나프텐(polyisothianaphthene), 폴리(N-치환 아닐린) (poly(N-substituted aniline)), 폴리(2-치환 아닐린) (poly(2-substituted aniline)), 폴리(3-치환 아닐린) (poly(3-substituted aniline)), 폴리(2,3-치환 아닐린) (poly(2,3-bisubstituted aniline)), 폴리아줄렌 (polyazulene), 폴리피렌 (polypyrene)과 같은 공액 헤테로고리형 폴리머; 피라졸린 화합물 (pyrazoline compounds); 폴리셀레노펜 (polyselenophene); 폴리벤조퓨란 (polybenzofuran); 폴리인돌 (polyindole); 폴리피리다진 (polypyridazine); 벤지딘 화합물 (benzidine compounds); 스틸벤 화합물 (stilbene compounds); 트리아진 (triazines); 치환된 메탈로- 또는 메탈-프리 포르핀 (substituted metallo- or metal-free porphines), 프탈로시아닌 (phthalocyanines), 플루오로프탈로시아닌 (fluorophthalocyanines), 나프탈로시아닌 (naphthalocyanines) 또는 플루오로나프탈로시아닌 (fluoronaphthalocyanines); C60 및 C70 풀러렌(fullerenes); N,N'-디알킬, 치환된 디알킬, 디아릴 또는 치환된 디아릴-1,4,5,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릭 디이미드 (N,N'-dialkyl, substituted dialkyl, diaryl or substituted diaryl-1,4,5,8-naphthalenetetracarboxylic diimide) 및 불화 유도체; N,N'-디알킬, 치환된 디알킬, 디아릴 또는 치환된 디아릴 3,4,9,10-페릴렌테트라카르복실릭 디이미드 (N,N'-dialkyl, substituted dialkyl, diaryl or substituted diaryl 3,4,9,10-perylenetetracarboxylic diimide); 배쏘페난쓰롤린 (bathophenanthroline); 디페노퀴논 (diphenoquinones); 1,3,4-옥사디아졸 (1,3,4-oxadiazoles); 11,11,12,12-테트라시아노나프토-2,6-퀴노디메탄 (11,11,12,12-tetracyanonaptho-2,6-quinodimethane); α,α'-비스(디티에노[3,2-b2',3'-d]티오펜) (α,α'-bis(dithieno[3,2-b2',3'-d]thiophene)); 2,8-디알킬, 치환된 디알킬, 디아릴 또는 치환된 디아릴 안트라디티오펜 (2,8-dialkyl, substituted dialkyl, diaryl or substituted diaryl anthradithiophene); 2,2'-비벤조[1,2-b:4,5-b']디티오펜 (2,2'-bibenzo[1,2-b:4,5-b']dithiophene) 등의 유기 반-전도성(semi-conducting) 재료나 이들의 화합물, 올리고머 및 화합물 유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유전 유기물로서는 PVDF-TrFE나 β상 PVDF가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방지재는 상측으로부터 충격, 즉 충격 에너지가 가해지게 되면 이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변환된 전기 에너지는 별도의 저항을 통해 열로서 소모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충격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어 소멸되는 양만큼 충격 에너지가 소멸되므로 상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에너지가 하부로 전달되는 양이 최소화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방지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서 참조번호 30은 도 2에 나타낸 소음방지재이다. 즉, 이 소음방지재(30)는 기판(21)과 하부 전극층(22), 강유전 물질층(22) 및 상부 전극층(2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소음방지재(30)의 상측에 제1 및 제2 물질층(31, 32)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물질층(31, 32)은 각각 서로 다른 고유 진동수를 갖는 물질로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물질층(31, 32)은 서로 두께가 다르게 구성된다.
하나의 매질에 충격 에너지가 가해지게 되면 매질을 구성하는 물질은 충격 에너지에 의해 진동하게 된다. 제1 고유 진동수를 갖는 제1 매질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그 충격 에너지는 매질의 진동을 통해 전달되게 되는데 제1 고유 진동수를 갖는 매질을 통해 전달되던 충격 에너지가 제1 고유 진동수와는 다는 제2 진동수를 갖는 제2 매질을 만나게 되면 충격 에너지는 제1 매질로부터 제2 매질로 용이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제1 매질을 따라 횡방향으로 분산되는 특징을 갖는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물질층(31, 32)은 충격 에너지 분산부재로서 채용된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전필름을 구비하는 소음방지재의 상측에 서로 다른 고유 진동수를 갖는 제1 물질층(31)과 제2 물질층(32)을 적층시키게 되면 제2 물질층(32)의 상측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충격 에너지가 제1 물질층(31)을 통해 하측, 즉 수직방향으로 잘 전달되지 않고 제2 물질층(3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분산되면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음방지재의 특정한 지점에 가해진 충격 에너지가 소음방지재의 전체 표면으로 분산되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게 됨으로써 충격 에너지에 대한 전기 에너지의 변환량이 증가되게 된다. 즉, 충격 에너지의 흡수량이 증가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층(31)과 제2 물질층은 유기물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강유전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강유전 물질로서는 예컨대 유기물 강유전 물질, 유기물 강유전 물질과 유기물의 혼합물, 유기물 강유전 물질과 금속의 혼합물, 유기물과 무기물 강유전 물질의 혼합물 또는 유기물 강유전 물질과 무기물 강유전 물질의 혼합물 등이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혼합물에 철(Fe)이나 구리(Cu) 등의 금속물질이 추가될 수 있다. 제1 물질층(31)과 제2 물질층(32)을 강유전 물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혼합물의 혼합비나 추가되는 금속물질의 양 또는 재질에 따라 해당 물질의 고유 진동수가 달라지게 된다.
도한 본 실시예에서 도면에는 소음방지재(30)의 상측에 적층되는 물질층을 제1 및 제2 물질층(31, 32)으로 한정하여 나타내었으나, 이는 서로 다른 진동수를 갖는 복수의 물질층을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소음방지재의 단면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음방지재(30)의 상측에 서로 다른 고유 진동수를 갖는 제1 물질층(41a, 41b)과 제2 물질층(42a, 42b)을 적층하여 구성하되, 제2 물질층(42a, 42b)의 상측에 원형이나 삼각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물질층(42a, 42b)의 상측에 돌출부가 구비된다. 이 돌출부는 제2 물질층(42a, 42b)의 상측에서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분산시켜 수직 방향이 아닌 수직방향과 일정한 경사각도를 갖는 하측 방향으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물질층(42a, 42b)으로부터의 충격 에너지가 보다 넓은 범위로 분산되어 제1 물질층(41a, 41b)으로 전달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방지재를 건축물 시공에 적용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면에서 상술한 도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50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방지재이다. 이 소음방지재(50)는 도 2 내지 도 4에 설명한 구조의 것이 적용된다. 도면에서 마감 모르타르층(3)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그에 따른 충격 에너지는 마감 모르타르층(3)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을 통해 소음방지재(50)로 인가되게 된다. 이때 소음방지재(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게 되고, 이와 같이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저항 소자 등을 통해 열로서 소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측으로부터 슬래브층(1)으로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가 최소화 되어 슬래브층(1)의 공명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상부층의 진동에 의해 하부층에 발생되는 층간소음문제가 저하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방지재(50)를 슬래브층(1)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방지재(5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과 마감 모르타르층(3)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차음매트(4)와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압전 필름을 복수층 적층하여 소음방지재를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슬래브층, 2: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3: 마감 모르타르층, 4: 측면 완충재,
50: 소음방지재.

Claims (19)

  1. 슬래브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및 마감 모르타르층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건축물에 적용되는 소음방지재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재는 슬래브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의 사이 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과 마감 모르타르층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소음방지재는 압전 필름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전필름은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층, 상기 하부 전극층상에 형성되는 강유전 물질층 및 상기 강유전 물질층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연성을 갖는 유기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종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층은 유기물 강유전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층은 유기물 강유전 물질과 무기물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층은 유기물과 무기물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재.
  8. 슬래브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및 마감 모르타르층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건축물에 적용되는 소음방지재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재는 슬래브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의 사이 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과 마감 모르타르층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소음방지재는 압전 필름과,
    상기 압전 필름의 상측에 구비되는 충격 에너지 분산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충격 에너지 분산부재는 제1 물질층과 제2 물질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물질층과 제2 물질층은 서로 다른 고유 진동수를 갖는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물질층과 제2 물질층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층은 강유전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층과 제2 물질층은 두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물질층의 일측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재.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은 강유전 유기물과 유기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재.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은 유기물과 무기물 강유전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재.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은 강유전 유기물과 강유전 무기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재.
  18. 삭제
  19. 삭제
KR20130093073A 2013-08-06 2013-08-06 소음방지재 KR101489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3073A KR101489237B1 (ko) 2013-08-06 2013-08-06 소음방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3073A KR101489237B1 (ko) 2013-08-06 2013-08-06 소음방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237B1 true KR101489237B1 (ko) 2015-02-04

Family

ID=5259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3073A KR101489237B1 (ko) 2013-08-06 2013-08-06 소음방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508A (ko) * 2015-02-26 2016-09-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난방 배관용 흡음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9186A (ja) * 1998-01-30 1999-08-10 Itochu Corp 吸遮音構造体
KR200379075Y1 (ko) 2004-12-22 2005-03-18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소음방지재
KR20090078228A (ko) * 2008-01-14 2009-07-17 심일건설(주)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20100048740A (ko) * 2008-10-31 2010-05-11 박연준 튜브형완충재를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9186A (ja) * 1998-01-30 1999-08-10 Itochu Corp 吸遮音構造体
KR200379075Y1 (ko) 2004-12-22 2005-03-18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소음방지재
KR20090078228A (ko) * 2008-01-14 2009-07-17 심일건설(주)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20100048740A (ko) * 2008-10-31 2010-05-11 박연준 튜브형완충재를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508A (ko) * 2015-02-26 2016-09-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난방 배관용 흡음판
KR102517245B1 (ko) * 2015-02-26 2023-03-3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난방 배관용 흡음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o et al. Negatively charged nanosheets significantly enhance the energy‐storage capability of polymer‐based nanocomposites
Tan Review of polymer‐based nanodielectric exploration and film scale‐up for advanced capacitors
Wang et al. Multilayered hierarchical polymer composites for high energydensity capacitors
Deshmukh et al. Flexible polyolefin dielectric by strategic design of organic modules for harsh condition electrification
Yang et al. High‐energy‐density and high efficiency polymer dielectrics for high temperature electrostatic energy storage: a review
Wang et al. Polymer-based dielectrics with high permittivity and low dielectric loss for flexible electronics
KR100876136B1 (ko) 엠에프엠아이에스 구조를 갖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강유전체 메모리 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489237B1 (ko) 소음방지재
Shang et al. Energy storage properties of P (VDF‐TrFE‐CTFE)‐based composite dielectrics with uniform and gradient‐doped boron nitride nanosheets
KR100893764B1 (ko) 강유전 물질과, 이를 이용한 강유전체층 형성방법
Sun et al. Simultaneous realization of significantly enhanced breakdown strength and moderately enhanced permittivity in layered PMMA/P (VDF–HFP) nanocomposites via inserting an Al2O3/P (VDF–HFP) layer
WO2012133419A1 (ja) 電磁波吸収体及び電磁波吸収体の製造方法
KR20080063031A (ko)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53718B1 (ko) 필름스피커
KR101710726B1 (ko) 종이를 기판으로 하는 트랜지스터와 메모리 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763434B1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03417B1 (ko) 아조벤젠 결합 pvdf필름을 이용하는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1499A (ko) 압전센서 및 그 제조방법
Jing et al. Enhanced energy storage performance achieved in multilayered PVDF–PMMA nanocomposites incorporated with high-entropy oxide nanofibers
KR101518594B1 (ko) 유기박막 태양전지
KR20080063033A (ko)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와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제조방법
KR101449755B1 (ko) 강유전 물질과, 이를 이용한 강유전체층 형성방법
KR20100005627A (ko) 비에프오를 주성분으로 하는 강유전 물질과, 그 제조방법
WO2011145901A2 (ko) 전자 종이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1500A (ko) 초전센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