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394B1 - 야전침대용 모기장 및 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 - Google Patents

야전침대용 모기장 및 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394B1
KR101488394B1 KR20140031494A KR20140031494A KR101488394B1 KR 101488394 B1 KR101488394 B1 KR 101488394B1 KR 20140031494 A KR20140031494 A KR 20140031494A KR 20140031494 A KR20140031494 A KR 20140031494A KR 101488394 B1 KR101488394 B1 KR 101488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coupled
bed frame
ground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1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택
Original Assignee
김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택 filed Critical 김종택
Priority to KR20140031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70Travelling or camp beds the bed frame being foldable about a horizontal axis
    • A47C17/72Travelling or camp beds the bed frame being foldable about a horizontal axis having cross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2Holders for loose bed elements, e.g. sheet holders; bed cover holders
    • A47C21/022Sheet holders; Bed cov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9/00Nets for protection against insects in connection with chairs or beds; Bed canopies
    • A47C29/006Mosquito n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전침대에 간단히 설치가 가능한 모기장 및 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지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침대프레임과, 침대프레임에 결합되어 신체를 지지하는 침대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에 사용되는 것으로, 침대보가 결합하는 침대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홈에 장착되며, 복수의 길이봉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세워지는 기둥부재들, 상기 침대프레임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에 따라 이웃하는 상기 기둥부재들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수평부재들 및 상기 수평부재들에 걸쳐지며 지면에까지 내려오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야전침대용 모기장 및 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야전침대용 모기장 및 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Mosquito net for field-bed and field-bed having it}
본 발명은 야전침대에 간단히 설치가 가능한 모기장 및 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에 관련된 것이다.
야전침대는 주로 접이식으로 제공되어 보관 및 이동의 편의성이 있으며, 펼친 상태에서는 지면 위에 누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므로 야간 활동 위주인 군대나 캠핑에서 널리 사용된다.
야외에서 사용됨에 따라 사용자는 여름철에는 모기나 파리 등의 날벌레에 노출되기 쉽다. 구충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특유의 냄새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구충제의 효과가 저감되어 새벽녘에는 다시 날벌레에 의해 피해를 입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기장을 야전침대와 함께 사용하기에는 설치 및 회수가 불편하여 적합하지 않다. 또한 야전침대는 운반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프레임이 잘게 나뉘어 쉽게 접히는 구조를 가짐에 비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기장은 프레임이 커서 야전침대와 함께 패키지로 보관하기가 불편한 단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86336호 (2005.08.3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0927호 (2005.11.03)
본 발명은 설치와 회수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야전침대용 모기장 및 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를 제시한다. 또한 모기장을 접을 때에 차지하는 공간이 작게 형성되어 야전침대와 함께 패키지로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지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침대프레임에 결합되어 신체를 지지하는 침대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에 사용되는 것으로, 침대보가 결합하는 침대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홈에 장착되며, 복수의 길이봉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세워지는 기둥부재들, 상기 침대프레임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에 따라 이웃하는 상기 기둥부재들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수평부재들 및 상기 수평부재들에 걸쳐지며 지면에까지 내려오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야전침대용 모기장을 제시한다.
여기서 기둥부재의 상단부에는 상부로 솟은 돌출심을 구비하는 마감캡이 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돌출심이 통과하는 끼움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홀이 둘레가 상기 마감캡의 상부에 접하여 거치되는 결합편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물망에는 상기 기둥부재들의 각 상기 돌출심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장착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망의 일측면에는 도어용 지퍼가 장착될 수 있으며, 지면에 접하는 상기 그물망의 각 모서리에는 고정용 링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링은 지면에 박히는 거치못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지면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접이가 가능한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에 결합되어 신체를 지지하는 침대보 및 상기 침대프레임에 결합되고 조립이 가능한 상기 모기장을 포함하는 야전침대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침대용 모기장 및 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는 설치와 회수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기장을 접을 때에 차지하는 공간이 작게 형성되어 야전침대와 함께 패키지로 운반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침대용 모기장 및 야전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기둥부재와 수평부재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모기장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모기장에 구비된 장착부재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야전침대용 모기장 및 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야전침대용 모기장 및 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에 관련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기장(100)은 지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침대프레임(201)과, 침대프레임(201)에 결합되어 신체를 지지하는 침대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200)에 사용되는 것이다.
야전침대(2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의 외관을 유지하는 침대프레임(201)을 포함한다. 침대프레임(201)은 한 쌍의 다리프레임(203)에 의해 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된다. 다리프레임(203)은 중간부에 힌지 결합되어 접힘이 가능한 구조이다.
침대보(204)는, 침대프레임(201)의 모서리부분을 제외하고, 침대프레임(201)을 둘러 싸고 있어 사용자가 눕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야전침대(200)는 공지된 바와 같이, 침대프레임(201)과 다리프레임(203)이 적당히 접혀,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야전침대(200)가 접히는 방식과, 이를 위한 침대프레임(201)의 구성은 공지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모기장(100)은 야전침대(200) 위에 세워지는 프레임으로 짜인 구조물(101)과, 구조물(101)에 씌워지듯 결합하는 그물망(30)을 포함한다.
구조물(101)을 구성하는 프레임은 침대프레임(201)에 결합되어 세워지는 기둥부재들(10)과, 기둥부재들(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수평부재들(20)을 포함한다.
기둥부재(10)는 가늘고 긴 봉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모기장(100)을 해체하였을 때에 차지하는 보관 공간을 줄이고자, 복수의 길이봉(102)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길이봉들(102)은 어느 한 쪽에 직경이 작은 삽입부(103)를 형성하여, 다른 길이봉(102)의 단부에 삽입부(103)가 들어가면서 길이봉들(102)끼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에서 하나의 기둥부재(10)는 2개의 길이봉(102)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길이봉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둥부재(10)는 4개가 구비되며, 각 기둥부재(10)는 침대프레임(201)의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홈(20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침대프레임(201)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 기둥부재들(10)은, 야전침대(200)에 누운 사용자의 머리 좌우측과, 발 좌우측에 세워지게 된다.
수평부재(20)는 기둥부재의 상단에서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각기 결합되는 봉 부재이다. 도 2에서 야전침대의 길이 방향에 설치되는 수평부재(20)는 전술된 기둥부재(10)와 마찬가지로 길이봉(102)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해체하고 보관 시에 차지하는 길이를 줄이도록 하고 있다.
도 3에는 기둥부재(10)와 수평부재(20)의 결합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기둥부재(10)의 상단부에는 상부로 솟은 돌출심(12)을 구비하는 마감캡(11)이 결합된다.
돌출심(12)은 강성이 우수한 철심일 수 있다. 돌출심(12)의 단면은 마감캡(11)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수평부재(20)의 단부에는 평평하게 눌린 형태의 결합편(21)이 구비된다. 이 결합편(21)은 봉 형태의 수평부재를 프레스로 가압하거나, 별도의 부재로 제작한 후 길이봉의 단부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편(21)에는 돌출심(12)이 통과하는 끼움홀(22)이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지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돌출심(12)에 끼움홀(22)을 결합시키면, 마감캡(11)의 상면에 결합편(21)의 하단이 접하면서 안착된다.
돌출심(12)이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있고, 세로 방향의 수평부재(20)와 가로 방향의 수평부재(20)가 순차적으로 돌출심(12)에 결합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재(10)의 상단부에 수평부재들(20)이 분리 가능하게 안착된다.
이러한 수평부재(20)는 돌출심의 상부로 들어 올림으로써 손쉽게 기둥부재(10)로부터 분리된다.
다시 도 1,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그물망(30)은, 수평부재들에 걸쳐지면서 지면까지 내려오도록 구조물에 씌워진다. 그물망(30)은 야전침대(200)와 이격되어 내부 공간을 크게 형성하므로 야전침대(200)에 누운 사용자가 뒤척거리더라도 그물망(30)에 신체가 접촉하지 않는다.
그물망(30)의 가장자리에는 지면과 이격되지 않도록 띠부재(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띠부재(31)는 중량감이 있는 합성수지로 그물망(30)의 가장자리에 성형될 수 있다. 띠부재(31)의 중량에 의해 모기장의 가장자리는 쉽게 들뜨지 아니하여, 모기 등의 유해충이 모기장 안으로 침입하지 못하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30)의 하단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지면과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물망(30)의 각 모서리에는 고정용 링(32)이 결합되고, 이 링(32)은 지면에 박히는 거치못(33)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용 링(32)은 그물망(30)의 가장자리와 연결끈(321)을 통해 결합된다. 거치못(33)과 링(32)에 의한 그물망(30)의 하단부의 고정 방식은 그물망의 적절히 퍼지도록 함으로써 야전침대가 놓인 내부 공간을 크게 확보하는데 주요하다.
또한 모기장의 일측면에는 출입을 위한 도어용 지퍼(34)가 장착되어 있다. 지퍼(34)는 그물망의 하단에서 상부에까지 이어지고, 상단에서 수평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지퍼(34)는 사용자가 모기장의 내외부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면서, 필요시에 출입구를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시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그물망(30)에는 기둥부재들의 각 돌출심(12)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장착부재(40)가 결합되어 있다. 장착부재(40)는 돌출심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됨으로써 구조물에 결합되는 그물망의 결합 위치를 한정하게 된다.
장착부재(40)는 디스크판의 형태로, 가운데에는 돌출심(12)이 결합되는 장착홀(41)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재(40)의 상부에 노출되는 면에는 장착 위치를 안내하는 문구(401)가 기재된다. 즉, 4개의 기둥부재에 각 장착부재를 결합함에 있어서 올바른 위치에 결합할 수 있도록, 각 장착부재의 상부에는 HEAD RIGHT, HEAD LFET, LEGS RIGHT, LEGS LFET 등 서로 구분되는 안내용 문구(40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그물망을 완전히 펼치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어느 한 장착부재를 어느 기둥부재에 결합시킬지를 알 수 있어서, 설치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5에는 장착부재(4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장착부재(40)는 그물망을 기준으로 상부캡(42)과 하부캡(43)이 결합된다. 상부캡(42)과 하부캡(43)은 리벳(402) 따위에 의해 견고히 결합된다. 그물망(30)은 상부캡과 하부캡 사이에 물림 결합되는데, 상부캡(42)의 하면에는 그물망(30)을 물어주는 물림치형(42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캡(43)의 상면에는 상부캡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물림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물림치형(421)은 장착부재(40)의 가장자리에서는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장착홀(41)이 형성된 중심부에는 단부가 각지게 형성되어 있다. 물림치형(421)의 각진 단부는 그물망을 견고하게 물림 고정하고, 물림치형의 라운드진 단부는 그물망(30)의 찢어짐을 방지하면서 그물망(30)이 장착부재(4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물망은 설치 중 또는 사용 중에 때때로 당겨지게 되는데, 라운드진 단부를 가진 물림치형은 당겨지는 그물망이 어느 정도 유동할 수 있게 하므로 그물망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장착홀(41)에는 기밀용 고무리브(44)가 장착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고무리브(44)는 상부캡과 하부캡 사이에 물려져 고정되는 몸체부(441)와, 몸체부(441)에서 연장되어 장착홀(41)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장착홀(41)의 내면에서 노출되는 립부(442)를 포함한다.
이 고무리브(44)의 돌출된 립부(442)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돌출심(12)의 둘레에 밀착되어, 돌출심(12)과 장착홀(41)의 내면 사이의 틈을 없애고 있다. 그에 따라 모기 등 작은 유해충이 돌출심(12)과 장착홀(41)의 내면 사이를 통과하여 모기장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무리브(44)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연질의 고무로 제작되며, 특히 립부(442)는 몸체부(441)보다 상하 폭을 얇게 하여, 돌출심(12)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100 : 모기장 101 : 구조물 102 : 길이봉 103 : 삽입부
10 : 기둥부재 11 : 마감캡 12 : 돌출심
20 : 수평부재 21 : 결합편 22 : 끼움홀
30 : 그물망
31 : 띠부재 32 : 링 321 : 연결끈 33 : 거치못 34 : 지퍼
40 : 장착부재 401 : 문구 402 : 리벳
41 : 장착홀 42 : 상부캡 421 : 물림치형
43 : 하부캡 44 : 고무리브 441 : 몸체부 442 : 립부
200 : 야전침대
201 : 침대프레임 202 : 결합홈 203 : 다리프레임 204 : 침대보

Claims (6)

  1. 지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침대프레임과, 침대프레임에 결합되어 신체를 지지하는 침대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에 사용되는 것으로,
    침대보가 결합하는 침대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홈에 장착되며, 복수의 길이봉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세워지는 기둥부재들,
    상기 침대프레임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에 따라 이웃하는 상기 기둥부재들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수평부재들 및
    상기 수평부재들에 걸쳐지며 지면에까지 내려오는 그물망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부에는 상부로 솟은 돌출심을 구비하는 마감캡이 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돌출심이 통과하는 끼움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홀이 둘레가 상기 마감캡의 상부에 접하여 거치되는 결합편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그물망에는 상기 기둥부재들의 각 상기 돌출심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장착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야전침대용 모기장.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그물망의 일측면에는 도어용 지퍼가 장착되어 있는 야전침대용 모기장.
  5. 제1항에서,
    지면에 접하는 상기 그물망의 각 모서리에는 고정용 링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링은 지면에 박히는 거치못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야전침대용 모기장.
  6. 지면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접이가 가능한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에 결합되어 신체를 지지하는 침대보 및
    상기 침대프레임에 결합되고 조립이 가능한 상기 제1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기장
    을 포함하는 야전침대.
KR20140031494A 2014-03-18 2014-03-18 야전침대용 모기장 및 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 KR101488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1494A KR101488394B1 (ko) 2014-03-18 2014-03-18 야전침대용 모기장 및 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1494A KR101488394B1 (ko) 2014-03-18 2014-03-18 야전침대용 모기장 및 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394B1 true KR101488394B1 (ko) 2015-01-30

Family

ID=5259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1494A KR101488394B1 (ko) 2014-03-18 2014-03-18 야전침대용 모기장 및 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3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425A (ko) * 2015-06-01 2016-12-09 이경렬 다기능 야전침대
KR101999192B1 (ko) 2018-06-04 2019-07-11 하동열 높이조절이 가능한 야전침대용 캐노피
KR20210110784A (ko) * 2021-08-22 2021-09-09 서기곤 야전침대용 텐트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240U (ko) * 1987-06-18 1989-03-02 김정용 모기장이 부설된 휴대용 베드
KR920020786U (ko) * 1991-05-30 1992-12-18 이병현 모기장을 설한 야외용 침대
KR200213654Y1 (ko) 2000-09-09 2001-02-15 이용상 파라솔겸용 텐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240U (ko) * 1987-06-18 1989-03-02 김정용 모기장이 부설된 휴대용 베드
KR920020786U (ko) * 1991-05-30 1992-12-18 이병현 모기장을 설한 야외용 침대
KR200213654Y1 (ko) 2000-09-09 2001-02-15 이용상 파라솔겸용 텐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425A (ko) * 2015-06-01 2016-12-09 이경렬 다기능 야전침대
KR101695089B1 (ko) * 2015-06-01 2017-01-10 이경렬 다기능 야전침대
KR101999192B1 (ko) 2018-06-04 2019-07-11 하동열 높이조절이 가능한 야전침대용 캐노피
KR20210110784A (ko) * 2021-08-22 2021-09-09 서기곤 야전침대용 텐트 거치대
KR102479071B1 (ko) 2021-08-22 2022-12-16 서기곤 야전침대용 텐트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8565B1 (en) Portable toilet shelter
US20100065094A1 (en) Self-Supporting, High-Profile, Insect Net Enclosure
KR101488394B1 (ko) 야전침대용 모기장 및 이를 구비하는 야전침대
US8381749B1 (en) Adjustable hunting blind
KR101535604B1 (ko) 매트 일체형 접이식 텐트
US20130152987A1 (en) Portable enclosure with elastically sealed opening
KR102353006B1 (ko) 단축된 해먹을 구비한 휴대용 셀프스탠딩 해먹 프레임 및 프레임 상에 단축된 해먹을 매다는 방법
CN202234166U (zh) 一种适合大学生宿舍使用的遮光床
CN206228081U (zh) 一种可升降的新型儿童安全围栏结构
KR200474103Y1 (ko) 조립식 평상과 이를 이용한 텐트
KR200454810Y1 (ko) 모기장 해먹
KR101792688B1 (ko) 독립하중의 바닥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원두막 파라솔
KR101277160B1 (ko) 낚시좌대 전용 텐트
KR101999192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야전침대용 캐노피
CN204467562U (zh) 滑轨式蚊帐架及蚊帐
US20120117726A1 (en) Convertible crib cover
JP3185097U (ja) 乳児用ベッド
CN212394420U (zh) 一种可伸缩可折叠蚊帐
KR102008391B1 (ko) 다기능 텐트형 모기장
US20150290485A1 (en) Under trampoline safety fence
KR20080000389U (ko) 개폐식 바닥구조를 갖는 모기장
CN211322482U (zh) 一种多功能宠物猫舍
CN210204135U (zh) 一种可拆卸活底的房子形坐床式蚊帐
CN205094000U (zh) 一种便携式婴儿床
CN214006736U (zh) 一种帐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