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006B1 - 단축된 해먹을 구비한 휴대용 셀프스탠딩 해먹 프레임 및 프레임 상에 단축된 해먹을 매다는 방법 - Google Patents

단축된 해먹을 구비한 휴대용 셀프스탠딩 해먹 프레임 및 프레임 상에 단축된 해먹을 매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006B1
KR102353006B1 KR1020207035477A KR20207035477A KR102353006B1 KR 102353006 B1 KR102353006 B1 KR 102353006B1 KR 1020207035477 A KR1020207035477 A KR 1020207035477A KR 20207035477 A KR20207035477 A KR 20207035477A KR 102353006 B1 KR102353006 B1 KR 102353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ock
tubes
fabric
fram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406A (ko
Inventor
제이슨 드류
크리스토퍼 스벤스루드
민 주앙
Original Assignee
코컴 인터내셔널 엔터프라이지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컴 인터내셔널 엔터프라이지즈 엘티디. filed Critical 코컴 인터내셔널 엔터프라이지즈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08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22Hammocks; Hammock spreaders
    • A45F3/24Stands;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22Hammocks; Hammock sprea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68Travelling or camp beds only the legs being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70Travelling or camp beds the bed frame being foldable about a horizontal axis
    • A47C17/705Travelling or camp beds the bed frame being foldable about a horizontal axis with detachable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70Travelling or camp beds the bed frame being foldable about a horizontal axis
    • A47C17/72Travelling or camp beds the bed frame being foldable about a horizontal axis having cross le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8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52Ne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프레임에 매달려 있는 패브릭을 포함하는 셀프스탠딩 구조식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을 제공한다. 상기 해먹은, X 형상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2개의 단부 바; 및 X 형상의 2개의 단부 바 사이에 매달려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 패널로서, 단부 캡에 고정된 단부 바를 따라 모아지고 분산되며, 단부 바를 덮는 폼 패딩을 갖는 패브릭 패널을 포함한다. 모서리 단부 캡은 추가 프레임 부품 및/또는 액세서리를 프레임에 부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풋부는 2개의 접지 지점을 갖도록 연장되어 프레임의 밑면적의 폭을 연장시킨다.

Description

단축된 해먹을 구비한 휴대용 셀프스탠딩 해먹 프레임 및 프레임 상에 단축된 해먹을 매다는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프레임에 매달려 있는 패브릭을 포함하는 셀프스탠딩 구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해먹 및 관련 방법에 대한 보고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발명의 명칭이 "보호용 해먹 인클로저 및 사용 방법"인 미국 특허 제9,788,639호는 이하에 관한 것으로 간주된다: "바람직하게는 1개 또는 2개의 해먹용으로 설계된 해먹 인클로저가 인클로저의 여러 기능으로 인해 다양한 셋팅 및 현장에 사용될 수 있다. 해먹 인클로저는 곤충이 인클로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품질의 네트로 제조된 측부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조절 가능한 방수용 레인 플라이가 인클로저 위에 위치하고, 상기 인클로저의 하단은 방수용 소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2그루의 나무에 해먹 인클로저를 부착한 후, 해먹을 내부에 매단다. 해먹용 라인은 물, 곤충 등이 인클로저로 들어가는 것을 다시 방지하기 위해 닫혀 매여지는 개구를 통과한다. 대안적으로, 해먹 인클로저는 루프, 상부 루프(들) 및 고정 메커니즘을 통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먹 인클로저가 전통적인 지상 쉘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요약.
발명의 명칭이 "다중 루프 지지 스트랩 및 해먹을 매다는 방법"인 미국 특허 제9,750,329호는 다음과 같이 보고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여러 형상의 스트랩은 고정된 구조체로부터 해먹의 한쪽 단부를 매달기 위해 적합화된다. 지지 스트랩은 제 1 고정 구조체로부터 이격된 제 2 고정 구조체로부터 해먹의 대향하는 단부를 매달도록 유사한 스트랩과 협력한다. 지지 스트랩은 제 1 및 제 2 상부 배치 스트랩 섹션을 형성하기 위해 그 자체로 접혀진 연장된 길이의 가요성 스트랩을 포함한다. 스트랩 섹션은 지지 스트랩의 제 1 단부에서 함께 일체로 결합되고, 제 1 및 제 2 스트랩 섹션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스트랩의 대향하는 제 2 단부에 닿는다. 스트랩 섹션은 지지 스트랩의 제 1 단부에서 함께 일체로 결합되고, 제 1 및 제 2 스트랩 섹션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스트랩의 대향하는 제 2 단부에 닿는다. 지지 스트랩의 대향하는 단부 사이에 제 1 및 제 2 스트랩 섹션을 갖는 복수의 스트랩 루프가 형성된다." 요약.
발명의 명칭이 "라운드 형상 해먹"인 미국 특허 제9,713,372호는 다음을 설명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라운드 형상 해먹은 라운드 형상 윤곽 및 중앙을 갖는 중간 패널을 포함한다. 적어도 4개의 측벽은 중간 패널에 연결된 제 1 측벽, 제 2 측벽, 제 3 측벽 및 제 4 측벽을 포함한다. 제 1 측벽에 제 1 주름이 형성된다. 제 2 측벽에 제 2 주름이 형성된다. 제 3 측벽에 제 3 주름이 형성된다. 제 4 측벽에 제 4 주름이 형성된다. 제 1 주름 커버는 제 1 주름 위에 스티칭된다. 제 2 주름 커버는 제 2 주름 위에 스티칭된다. 제 3 주름 커버는 제 3 주름 위에 스티칭된다. 제 4 주름 커버는 제 4 주름 위에 스티칭된다." 요약.
상기 다양한 보고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해먹 및 관련 방법에 대한 기술의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을 제공한다. 해먹은, 메인 프레임 구조를 연결하는 2개의 단부 바; 및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의 2개의 단부 바 사이에 매달려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 패널로서, 단부 캡에 고정된 단부 바를 따라 모아지고 분산되며, 단부 바를 덮는 폼 패딩을 갖는 패브릭 패널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셀프스탠딩 해먹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해먹 패브릭을 모아서 셀프스탠딩 해먹 프레임의 단부 바에 부착하는 단계; 폼 패드를 제공하는 단계; 해먹 패브릭의 단부를 재봉하여 단부 바 위로 슬라이딩하는 슬리브를 형성하는 단계; 및 해먹 패브릭의 단부과 폼 패드의 안쪽 길이 사이에 약 1인치의 간격을 두고, 해먹 패브릭의 단부 주위에 폼 패드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모서리 단부 캡을 제공하여 추가 프레임 부품이 셀프스탠딩 프레임 상에 조립될 수 있게 한다. 모서리 단부 캡은 적어도 하나의 튜브를 포함하여 유리 섬유 및 강철 프레임 폴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또는 기타 소재의 프레임 폴일 수 있는 추가 프레임 부품을 수용한다. 이들 추가 프레임 부품은 모기장, 타프, 전체 텐트 인클로저, 단일 스파인 라인, 또는 브레이싱 폴과 같은 액세서리를 조립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서리 단부 캡은 추가 액세서리를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나사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나사 고정 부품은 차양 부품, 고정 부품, 브레이싱 폴, 텐트 지지대, 테이블 표면 및 조명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해먹 프레임에 대한 브레이싱 및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해 밑면적을 넓히는 연장된 풋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사용 중인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해먹 패브릭이 생략된 프레임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단부 바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접힌 형태에서의 도 2의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단부 바, 해먹 패브릭, 및 단부 패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단부 바 및 단부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8 및 9의 축소된 버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로서, 단부 바를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해먹 패브릭을 제거한 상태이다.
도 15는 연장된 풋부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모서리 단부 캡 부분의 도면의 세트이다.
도 17은 모서리 단부 캡 부분의 정면 사시도이며, 상기 부분의 기능 영역을 원으로 나타낸다.
도 18은 상기 부분에 특별히 적용된 기능적 특징을 나타내는 모서리 단부 캡 부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토글 또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액세서리를 연결하기 위한 링을 구비한 모서리 단부 캡 부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0은 모기장 액세서리용 프레임을 유지하는데 사용하는 모서리 단부 캡 부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모기장의 일 실시형태가 부착된 프레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모기장에 의해 프레임이 모기장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통과하는 방법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23은 빗물용 타프가 연결된 모기장의 정면 사시도이다.
해먹은 개인이 앉거나, 기대거나,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한 가구와 같은 장치로서 잘 알려져 있다. 해먹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적어도 7피트 이상이고, 형상이 직사각형인 패브릭 소재로 제조된다. 이것은 해먹 길이 내에서 대부분의 인간 키에 맞도록 충분한 길이를 제공한다. 상기 소재는 2개의 짧은 단부를 따라 모아지고, 로프와 같은 소정 수단에 의해 단단히 모아져 고정된다. 스프레더 바는 패브릭 소재를 개방하여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X형" 형상으로 교차하고, 상단에서 단부 바를 사용하여 함께 연결되는 2세트의 튜브로 구성된 셀프스탠딩 구조 프레임이다. 해먹 패브릭은 이들 단부 바 사이에 매달려 있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단부 바의 길이를 따라 모아진다; 전통적인 해먹보다 상당히 더 단축될 수 있다(예를 들면, 길이 7피트 미만, 길이 6피트 8인치 미만, 길이 6피트 4인치 미만 또는 길이 6피트 미만); 양쪽에 단부 바를 덮는 패드를 갖는다; 그것은 코어 바디 지지체를 제공하지만, 사용자가 해먹 패브릭의 단부로부터 다리를 뻗을 수 있게 한다. 해먹 프레임은 축소되거나, 분해되거나, 또는 접어서 이동식 가방에 넣을 수 있다. 프레임 및 매달린 패브릭의 독특한 형상은 중량을 낮추어 중앙에 배치되어 최소한의 밑면적으로 안정적인 베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X형" 형상으로 교차하는 2세트의 튜브로 구성된 셀프스탠딩 구조 프레임을 제공한다. 2세트의 튜브는 2개의 X-프레임을 위한 구조체를 제공하는, 단부 바와 상단에서 함께 연결되고, 축소을 위해 프레임 튜브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해먹 패브릭은 이들 단부 바 사이에 매달려 있다. 해먹 패브릭의 짧은 면을 꿰매어 슬리브를 형성한 후, 단부 바에 조립하고, 패브릭은 단부 바를 따라 모아진다. 해먹 패브릭의 단부는 단부 바를 덮는 폼 패드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해먹 프레임의 단부를 넘어 다리를 편안하게 뻗을 수 있게 한다. 이 폼 패드는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해먹 패브릭의 중앙을 개구하는 별도의 독립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은 사용시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스탠딩 해먹 프레임은 단축된 해먹을 매달지만, 사용자가 해먹 패브릭의 단부에서 다리를 뻗을 수 있도록 코어 바디 지지체를 제공한다.
단축된 해먹은 크로스바 위로 연장되는 독특한 단부 패드를 가져, 해먹의 단부에서 사용자의 다리를 편안하게 뻗을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신발을 신고 있을 수 있고, 또는 먼지, 모래, 눈 등으로부터 해먹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셀프스탠딩 해먹 프레임(100)은 2개의 동일한 반사 측부(200)를 갖는다. 상기 측부는 "X" 형상으로 구성된 프레임 튜브(3)로 이루어진다. 이 "X" 형상의 프레임(구조 프레임)을 매달린 해먹 패브릭과 함께 사용하면, 균형잡힌 기하학 형상이 생성되고, 단부를 "위로" 잡아당기는 해먹 패브릭에 의해 단부를 함께 당기는 힘이 단부를 "아래로" 잡아당기는 중력과 평형으로 균형을 이룬다. 단부 바(1)는 프레임 튜브(3)의 상단 단부를 연결하고, 프레임에 구조적 형상을 제공한다.
프레임 튜브는 가요성 스트랩(4)에 의해 구조 "X" 형상으로 유지된다. 가요성 스트랩 소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웨빙, 케이블, 로프 등이 포함된다. 또한, 힌지가 있거나 접을 수 있다면,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소재일 수 있다. 해먹 패브릭(2)은 단부 바(1) 사이에 매달려 있다. 해먹 패브릭은 임의의 적합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 3중 스티치 이음새가 있는 고강도 낙하산용 나일론이다. 해먹 패브릭(2)은 도 6에 도시된 단부 바(1)를 따라 모아진다.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레임 튜브가 분해되어 도 5에 있어서의 컴팩트한 형태로 접혀진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해먹 패브릭이 생략된 프레임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이것은 프레임 튜브(3)에 연결된 단부 바(1)를 더욱 명확하게 도시한다. 가요성 스트랩(4)은 X 형상 프레임 튜브(3)를 함께 연결하여 X 형상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브레이스 지지체를 제공한다.
도 4는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단부 바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바(1)는 연장된 프레임 튜브(3)로부터 분리된다. 이것은 셀프스탠딩 프레임의 구조체를 해제하고,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컴팩트한 형태로 접혀질 수 있게 한다.
도 6은 단부 바, 해먹 패브릭, 및 단부 패드의 정면 사시도이다. 단축된 해먹 패브릭(2)을 해먹 프레임에 매다는 방법이 도시된다. 해먹 패브릭(2)의 단부를 재봉하여 단부 바(1)에 위로 슬라이딩하는 슬리브(5)를 형성한다. 슬리브는 일반적으로 패브릭이 단부 바를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충분히 느슨하고, 단부 모서리 위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충분히 조여진다. 종종, 3인치 루프가 사용된다. 해먹 패브릭(2)은 단부 바(1)를 따라 모아진다. 해먹 패브릭(2) 위에는 단부 바(1)를 덮는 폼 패드(6)가 부착되어 있다. 단부 패드는 일반적으로 해먹 패브릭에 영구적으로 재봉된다. 어떤 경우에는, 사용자의 머리와 다리에 충분한 패딩을 제공하도록, 넓이가 11인치이다. 단부 패드는 슬리브의 단부까지 연장되고, 단부 바 슬리브 아래에서 다시 구부려져서 해먹 패브릭에 다시 고정될 수 있다.
폼 패드(6)는 해먹 패브릭(2)에 조립되어 2가지 소재 사이에 갭이 존재한다. 단부 패드와 패브릭 슬리브 사이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중량 적용시 0.5인치~3.0인치 이다. 경우에 따라, 간격은 0.5인치~2.0인치이다. 소정 경우에 있어서, 간격은 대략 1.0인치이다. 단부 패드는 일반적으로 축소되지 않고(패브릭이 패드 주위로 팽팽하게 당겨지면 축소이 발생됨), 단단히 유지된다. 이 간격은 일반적으로 해먹 패브릭(2)이 0.5인치~3.0인치, 또는 대략 1.0인치~대략 2.5인치(예를 들면, 나일론 패브릭)로 늘어나도록 허용하지만, 또한 비신축성 패브릭(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으로 제조될 수 있다. 늘어나는 양은 사용된 소재뿐만 아니라 적용된 중량에 따라 달라진다. 임의의 적합한 중량이 적용될 수 있다. 적용될 수 있는 중량의 비제한적인 예는, 적어도 150파운드; 적어도 200파운드; 적어도 250파운드; 및 적어도 300파운드를 포함한다.
도 7은 단부 바 및 단부 패드의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해먹 패브릭(2), 단부 바(1), 및 폼 패드(6)의 단면도를 포함한다. 해먹 패브릭(2)은 단부 바(1) 위로 슬라이딩하는 슬리브에 재봉된다. 폼 패드(6)는 해먹 패브릭(2)과 폼 패드(6) 사이에 간격을 두고, 해먹 패브릭 위에 조립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이 실시형태의 이점은 보다 콤팩트한 형태로 축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프레임 튜브는 4개의 길이(10)로 분리된다. 상단(길이(10.1)), 중간 상부(길이(10.2)) 및 하단 상부(길이(10.3))는 허브(12)와 하부 다리(길이(10.4))에 연결된다. 구조상 크로스 튜브(11)는 2개의 허브(12)를 함께 연결한다. 단축된 해먹 패브릭(2)을 프레임에 매다는 방법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다. 프레임 튜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튜브를 통해 팽팽하게 매어진 탄성 코드(13)에 의해 함께 연결되거나 허브(12)에 연결된 상태로 분리되어 축소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는 보다 콤팩트한 형태로 축소된다. 그것은 고강도 및 초경량 알루미늄 튜브를 이용하는 초휴대용 모델로서 경량 해먹 패브릭을 사용하여, 표준 백팩에 넣을 수 있도록 경량이고, 콤팩트하며, 휴대가 간편한 프레임형 해먹을 제조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X" 형상 구조체는 해먹 패브릭의 단부에 존재한다. 이를 통해, 주요 실시형태 및 도 8에서 사용되는 부피가 큰 풋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 더 넓은 지지체 베이스가 가능하다. 프레임의 각 단부에 대해 트라이 포드와 같은 베이스를 제공하는 추가 다리 튜브(8)가 도시된다. 구조상 크로스 튜브(11)는 2개의 허브(12)를 함께 연결한다. 단축된 해먹 패브릭(2)은 단부 바(1) 사이에 매달려 있다. 단축된 해먹 패브릭(2)을 프레임에 매다는 방법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이점은 단축된 해먹의 파티오 버전과 같이 컴팩트한 보관에 집중할 필요가 없는 제품을 위한 간단한 "단일 폴딩" 프레임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간단히 반으로 접히고, 풋부 위에 세워진다. 데크 또는 파티오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관하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서 사용하기 쉽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X" 프레임은 베이스에서 또한 상단 단부 바에 의해 연결된다. 단축된 해먹 패브릭(2)은 단부 바(1) 사이에 매달려 있다. 단축된 해먹 패브릭(2)을 프레임에 매다는 방법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이점은 해먹을 간이침대 또는 침대와 같이 지면으로 더 낮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구조적 "X" 형상은 "V" 형상(구조적 프레임)의 베이스 허브(14)로 변형되고, 2개의 다리 허브(13)가 프레임 튜브(3)를 따라 분산되어 있다. 이를 통해, 해먹 라운저가 지면으로 더 낮춰져 지면과 더 가까워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설계의 이점은 사용자가 느끼는 단부 바가 단단한 바가 아닌 웨빙 또는 가요성 부재라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는 사용자의 머리와 다리에 대해 추가적인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변형된 단부 바(1)는 아래의 구부러진 프레임 바와 프레임 튜브(3)의 단부 사이에 걸쳐 있는 웨빙 또는 기타 가요성 부재로 구성된다. 해먹 패브릭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프레임에 단축된 해먹 패브릭(2)을 매다는 방법을 이용하여 웨빙 또는 기타 가요성 부재에 조립된다.
도 14는 모서리 단부 캡 및 구부러진 프레임 바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패브릭이 제거된, 도 17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5는 브레이싱 및 추가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접지 지점을 넓게 연장하는 연장된 풋부(22)의 정면도이다. 이들은 트럭과 및 트레일러에 사용되는 아웃리거와 매우 유사하다. 연장된 풋부(22)는 프레임의 접점을 넘어 더 넓은 베이스와 더 많은 지지체를 생성한다.
도 16은 추가 프레임 부품을 셀프스탠딩 프레임에 조립할 수 있는 소켓을 도시하는 모서리 단부 캡의 다양한 도면이다. 여기에는 유리섬유, 알루미늄, 또는 기타 프레임 폴에 맞는 프레임 연장 소켓(15)이 포함된다. 모서리 단부 캡 부분은 종종 소켓(16)을 포함하여 나사 볼트가 셀프스탠딩 프레임에 추가 아이템을 부착할 수 있게 한다. 모서리 단부 캡은 링(17) 또는 모서리 단부 캡 및 프레임에 토글, 스트링 또는 기타 아이템을 부착하기 위한 유사한 방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모서리 단부 캡 피스의 전방 사시도이다. 모서리 단부 캡 피스는 단부 바 수용 소켓(18), 토글 링(17), 프레임 바 수용 소켓(19), 볼트-온 소켓(16) 및 프레임 연장 소켓(15)과 같은 연결 섹션을 가질 수 있다.
도 18은 프레임을 핀록과 함께 고정시키는 구멍을 도시하는, 모서리 단부 캡 피스의 일 실시형태의 전방 사시도이다. 단부 바는 단부 바 소켓(18)에 삽입되고, 핀록 구멍(20)에 고정되는 핀록을 이용하여 제위치에 고정된다. 프레임 바는 프레임 바 수용 소켓(19)에 삽입되고, 핀록 구멍(21)에 고정되는 핀록을 이용하여 제위치에 고정된다.
도 19는 토글을 부착하는 링(17)(도시됨), 또는 유사한 방법의 상세를 나타내는 모서리 단부 캡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0은 프레임에 추가의 액세서리가 조립될 수 있도록 프레임 연장 폴(23)을 프레임 연장 소켓(15)에 조립하여 프레임을 연장하는 것을 도시하는, 사용시의 모서리 단부 캡의 전방 사시도이다. 이들 액세서리는 버그 인클로저(24), 차양 타프 또는 차양막, 빗물 방지용 타프, 프라이버시용 벽, 플래그, 배너, 캠프 액세서리 랙, 및 테이블 표면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버그 인클로저(24)의 일 실시형태 및 차양/빗물/프라이버시용 타프(26)의 일 실시형태에 프레임 연장 폴(23)을 포함된다.
도 21은 버그 인클로저(24)의 일 실시형태의 전방 사시도로서, 프레임 바(3) 및 프레임 연장 폴(23)이 버그 인클로저에 있어서의 개스킷 구멍(25)을 통과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이를 통해, 프레임 바(3)가 인클로저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통과 할 수 있으며, 프레임을 함께 연결하는 단부 바(1)에 연결시켜 해먹 패브릭(2)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2는 도 21의 실시형태의 상세도이다.
도 23은 모서리 단부 부분에 있어서의 프레임 연장 소켓(15)을 사용하여 프레임에 부착되는 액세서리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전방 사시도이다. 이 실시형태는 프레임 연장 폴(23)에 부착되는 차양/빗물/프라이버시용 타프(26)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프(26), 차양막(27), 버그 인클로저(24), 퀼트 아래 및 위는 모두 독립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모서리 단부 캡에 있어서의 수용 소켓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4는 접을 수 있는 차양막(27)인 볼트-온 소켓(16)에 의해 프레임에 부착되는 액세서리의 일 실시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Claims (21)

  1. X형 형상으로 교차하는 제 1 및 제 2 세트의 튜브, 및
    제 1 말단 및 제 2 말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 패널을 포함하는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의 튜브의 상단부는 각각 단부 캡에 의해 제 1 단부 바 및 제 2 단부 바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 패널은 제 1 단부 바 및 제 2 단부 바 사이에 매달려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의 튜브의 각각의 튜브는 각각의 튜브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 풋을 포함하고, 상기 풋은,
    상기 튜브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 커넥터 부분으로서, 상기 커넥터 부분의 바닥 상의 제 1 플랫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의 단부 부분을 상기 제 1 플랫 부분 위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부분, 및
    상기 커넥터 부분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연장되는 바디 부분으로서, 상기 바디 부분의 바닥 상의 제 2 플랫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 부분의 바닥 상의 제 2 플랫 부분은 상기 커넥터 부분의 바닥 상의 제 1 플랫 부분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바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 패널의 제 1 말단 및 제 2 말단은 각각 제 1 단부 바 및 제 2 단부 바를 따라 모아지고 분산되고, 상기 제 1 말단 및 제 2 말단은 모두 제 1 단부 바 및 제 2 단부 바를 덮는 폼 패딩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은 축소되거나 분해되거나 또는 접어서 이동식 가방에 넣을 수 있는,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의 튜브는 동일한 길이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바는 동일한 길이인,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가요성 스트랩에 의해 X형 형상으로 함께 고정되는,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폼 패딩은 패딩과 패널 사이에 갭이 존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 패널의 적어도 제 1 말단에 부착되는,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의 튜브는 4개의 길이로 분리되고, 상기 튜브를 4개의 길이로 분리하는 것은 해먹을 보다 컴팩트한 형태로 축소시키는,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
  6. 해먹 패브릭의 제 1 단부를 재봉하여 제 1 단부 바 위로 슬라이딩하는 슬리브를 형성하고, 해먹 패브릭의 제 2 단부를 재봉하여 제 2 단부 바 위로 슬라이딩하는 슬리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해먹 패브릭의 제 1 단부를 모아서 제 1 단부 바에 부착하고, 상기 해먹 패브릭의 제 2 단부를 모아서 제 2 단부 바에 부착하는 단계;
    제 1 단부 바를 제 1 세트의 단부 캡을 통해 제 1 세트의 튜브의 상단부에 연결하는 단계;
    제 2 단부 바를 제 2 세트의 단부 캡을 통해 제 2 세트의 튜브의 상단부에 연결하고, 제 1 세트의 튜브 및 제 2 세트의 튜브는 X형 형상으로 교차하고, 제 1 및 제 2 세트의 튜브의 각각의 튜브는 각각의 튜브의 단부 부분에 연결된 풋을 포함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풋은,
    상기 튜브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 커넥터 부분으로서, 상기 커넥터 부분의 바닥 상의 제 1 플랫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의 단부 부분을 상기 제 1 플랫 부분 위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부분, 및
    상기 커넥터 부분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연장되는 바디 부분으로서, 상기 바디 부분의 바닥 상의 제 2 플랫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 부분의 바닥 상의 제 2 플랫 부분은 상기 커넥터 부분의 바닥 상의 제 1 플랫 부분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바디 부분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해먹 패브릭의 제 1 단부와 제 1 폼 패드의 안쪽 길이 사이에 대략 1인치의 갭을 두고, 해먹 패브릭의 제 1 단부 주위에 제 1 폼 패드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해먹 패브릭의 제 2 단부와 제 2 폼 패드의 안쪽 길이 사이에 대략 1인치의 갭을 두고, 해먹 패브릭의 제 2 단부 주위에 제 2 폼 패드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의 구축 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먹은 축소되거나 분해되거나 또는 접어서 보다 컴팩트한 형태로 될 수 있는,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의 구축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X형 형상으로 연결되는 제 1 세트의 튜브 및 제 2 세트의 튜브,
    각각의 제 1 쌍의 단부 캡이 제 1 세트의 튜브 중 하나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 1 쌍의 단부 캡; 및
    각각의 제 2 쌍의 단부 캡이 제 2 세트의 튜브 중 하나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쌍의 단부 캡을 포함하는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으로서:
    상기 제 1 세트의 튜브 및 제 2 세트의 튜브의 각각의 튜브는 각각의 튜브의 단부에 연결되는 풋을 포함하고, 상기 풋은,
    상기 튜브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 커넥터 부분으로서, 상기 커넥터 부분의 바닥 상의 제 1 플랫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부분, 및
    상기 커넥터 부분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연장되는 바디 부분으로서, 상기 바디 부분의 바닥 상의 제 2 플랫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 부분의 바닥 상의 제 2 플랫 부분은 상기 커넥터 부분의 바닥 상의 제 1 플랫 부분과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구성되는 바디 부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 패널은 제 1 말단 및 제 2 말단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 패널의 제 1 말단 및 제 2 말단은 각각 제 1 단부 바 및 제 2 단부 바를 따라 모아지고 분산되고, 상기 제 1 말단 및 제 2 말단은 모두 제 1 단부 바 및 제 2 단부 바를 덮는 폼 패딩을 포함하고,
    상기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은 축소되거나 분해되거나 또는 접어서 캐리어 백에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부분의 바닥 상의 제 2 플랫 부분 및 커넥터 부분의 바닥 상의 제 1 플랫 부분은 각각의 풋에 대해 이격된 접지 접촉 지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부분의 바닥 상의 제 2 플랫 부분 및 커넥터 부분의 바닥 상의 제 1 플랫 부분은 상기 튜브의 단부 부분보다 넓은 베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의 튜브는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의 튜브에 있어서의 각각의 튜브의 4개 길이 중 낮은 길이의 다리 상단부에 인접한 X형 형상으로 교차하는,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의 튜브는 동일한 길이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 바는 동일한 길이인,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가요성 스트랩에 의해 X형 형상으로 함께 유지되는,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폼 패딩은 패딩과 패널 사이에 갭이 존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 패널의 적어도 제 1 말단에 부착되는,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의 튜브는 4개의 길이로 분리되고, 상기 튜브의 4개의 길이로의 분리는 상기 해먹을 보다 컴팩트한 형태로 축소시킬 수 있는,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의 튜브는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의 튜브에 있어서의 각각의 튜브의 4개의 길이 중 낮은 길이의 다리 상단부에 인접한 X형 형상으로 교차하는, 셀프스탠딩 프레임형 해먹.
KR1020207035477A 2018-05-10 2019-02-15 단축된 해먹을 구비한 휴대용 셀프스탠딩 해먹 프레임 및 프레임 상에 단축된 해먹을 매다는 방법 KR102353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62579P 2018-05-10 2018-05-10
US62/762,579 2018-05-10
PCT/US2019/000005 WO2019216958A1 (en) 2018-05-10 2019-02-15 Portable self-standing hammock frame with shortened hammock and method for suspending shortened hammock on a fr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406A KR20210008406A (ko) 2021-01-21
KR102353006B1 true KR102353006B1 (ko) 2022-01-19

Family

ID=6846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477A KR102353006B1 (ko) 2018-05-10 2019-02-15 단축된 해먹을 구비한 휴대용 셀프스탠딩 해먹 프레임 및 프레임 상에 단축된 해먹을 매다는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213113B2 (ko)
EP (3) EP4070688A1 (ko)
JP (1) JP7238104B2 (ko)
KR (1) KR102353006B1 (ko)
AU (1) AU2019265318B2 (ko)
BR (1) BR112020022706B1 (ko)
CA (1) CA3099542C (ko)
GB (3) GB2589469B (ko)
MX (1) MX2020011932A (ko)
RU (1) RU2770772C1 (ko)
WO (1) WO20192169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3981S1 (en) * 2018-08-21 2021-10-26 Wornie Lynn Smith Portable chair
US11363877B2 (en) * 2019-10-18 2022-06-21 Catalyst Lifestyle Limited Backpack system having a deployable frame
US11903479B2 (en) * 2020-12-30 2024-02-20 Libin Chen Hammo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9442A1 (en) 2005-10-11 2007-04-12 Stephen Stoll Hammock
US20180116379A1 (en) 2016-10-27 2018-05-03 Calvin Lloyd Fenton Multifunctional hub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1623A (en) 1947-11-19 1952-01-08 Clarence F Benjamin Hammock stand
FR1378609A (fr) * 1963-12-27 1964-11-13 Utilisation Du Tube Soc D Pièce d'assemblage et de suspension de balancelle
US3426367A (en) 1965-12-21 1969-02-11 John G Bradford Collapsible supporting structures
DE2538411C3 (de) * 1975-08-29 1980-07-24 Binz Gmbh & Co, 7073 Lorch Tragenlagerungsgestell mit anhebbarer, abgefederter Tragenbuhne
DE8336302U1 (de) * 1983-12-17 1984-05-10 Dynamit Nobel Ag, 5210 Troisdorf Haengematte
US4679840A (en) * 1983-12-30 1987-07-14 Fry Steven A Seat for a truck bed
US4757563A (en) * 1986-06-04 1988-07-19 An Young N Convenient hammock
US4807314A (en) * 1987-10-28 1989-02-28 Fry Steven A Tensioned bed
US4877288A (en) 1988-09-06 1989-10-31 Susan Lee Lounge chair cover
SU1621852A1 (ru) 1989-02-16 1991-01-23 С.А. Петровичев Походна кровать
US5113537A (en) * 1990-12-21 1992-05-19 Turk Sandra L Portable sleeping unit for children
US5097546A (en) * 1991-06-07 1992-03-24 Turner Iii George C Biaxial rocking swinging hammock frame
JPH10327979A (ja) * 1997-05-30 1998-12-15 Delta Tsuuring:Kk 振動抑制機能を有する椅子
DE10329460B4 (de) 2003-07-01 2024-05-08 Man Truck & Bus Se Mehrzweckliege zur Verwendung innerhalb und außerhalb eines Kraftfahrzeugs
US7715341B2 (en) 2005-01-28 2010-05-11 Nortel Networks Limited Optimized scheduling method for delay-sensitive traffic on high speed shared packet data channels
US7725965B2 (en) * 2006-06-02 2010-06-01 Anthony Sanford-Schwentke Portable structure having collapsible frame
US20090013472A1 (en) 2007-07-10 2009-01-15 Wow Cushion Ltd. Channeled mat
CN201200164Y (zh) * 2008-04-08 2009-03-04 厦门进雄企业有限公司 一种具有遮阳篷的吊床
US7895686B1 (en) 2009-08-05 2011-03-01 Zhaosheng Chen Portable folding hammock
US8745782B2 (en) 2010-03-25 2014-06-10 Jeffrey Alan Bernat Portable hammock
US9003579B1 (en) 2012-04-25 2015-04-14 Eagles Nest Outfitters, Inc. Multiple-loop support strap and method for hanging a hammock
US9788639B2 (en) 2015-01-27 2017-10-17 Hammock Bliss, Pty Ltd. Protective hammock enclosure and method of use
CN206403420U (zh) 2016-04-18 2017-08-15 陈申 圆弧形吊床
KR101996131B1 (ko) * 2017-07-21 2019-07-03 이희윤 자립식 해먹용 타프설치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9442A1 (en) 2005-10-11 2007-04-12 Stephen Stoll Hammock
US20180116379A1 (en) 2016-10-27 2018-05-03 Calvin Lloyd Fenton Multifunctional hub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2019254D0 (en) 2021-01-20
EP4226809A3 (en) 2023-09-27
BR112020022706A2 (pt) 2021-02-09
BR112020022706B1 (pt) 2023-05-02
MX2020011932A (es) 2021-12-09
RU2770772C1 (ru) 2022-04-21
KR20210008406A (ko) 2021-01-21
AU2019265318A1 (en) 2020-12-24
WO2019216958A1 (en) 2019-11-14
GB2599318A (en) 2022-03-30
EP4226809A2 (en) 2023-08-16
GB2589469B (en) 2022-02-16
US20220175120A1 (en) 2022-06-09
GB202118963D0 (en) 2022-02-09
JP7238104B2 (ja) 2023-03-13
AU2019265318B2 (en) 2022-05-26
EP3813586A1 (en) 2021-05-05
US20190343267A1 (en) 2019-11-14
EP4070688A1 (en) 2022-10-12
GB2599318B (en) 2022-12-07
GB2589469A (en) 2021-06-02
US11213113B2 (en) 2022-01-04
GB2606507A (en) 2022-11-09
CA3099542C (en) 2022-04-05
EP3813586A4 (en) 2022-03-16
JP2021530329A (ja) 2021-11-11
GB202211338D0 (en) 2022-09-14
CA3099542A1 (en)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7872A (en) Portable umbrella shelter
US4914768A (en) Portable shelter
CA2152900C (en) Self-erecting portable fabric structure
US3619827A (en) Lightweight detachable tent-cot means
KR102353006B1 (ko) 단축된 해먹을 구비한 휴대용 셀프스탠딩 해먹 프레임 및 프레임 상에 단축된 해먹을 매다는 방법
US7921863B2 (en) Self-supporting, high-profile, insect net enclosure
US10441060B1 (en) Hammock stand
US6098218A (en) Cabin cot
US6062446A (en) Combined backpack, cot and tent
US20070175504A1 (en) Tent assembly having a curtain and an umbrella frame
US3886609A (en) Lightweight transportable tent cot
US2970600A (en) Collapsible and portable shelters
CA2901473A1 (en) Foldable chair with strap
US12004636B2 (en) Portable self-standing hammock frame with shortened hammock and method for suspending shortened hammock on a frame
US20040140332A1 (en) Backpack frame convertible to an adjustable mattress supporting cot with a tent supporting structure
US20070144571A1 (en) Selferecting structure
KR101695089B1 (ko) 다기능 야전침대
CN209202512U (zh) 一种支架式吊床
KR101739202B1 (ko) 다기능 더블 야전침대
KR20240073908A (ko) 신속하게 펼치거나 접는 해먹 스탠드
JP3070930U (ja) 折り畳み式ハンモック
KR20160104764A (ko) 배낭형 원터치 에어침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