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142B1 -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 Google Patents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142B1
KR101488142B1 KR20140177521A KR20140177521A KR101488142B1 KR 101488142 B1 KR101488142 B1 KR 101488142B1 KR 20140177521 A KR20140177521 A KR 20140177521A KR 20140177521 A KR20140177521 A KR 20140177521A KR 101488142 B1 KR101488142 B1 KR 101488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propylene
composition
adhesive film
inf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7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그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그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그라테크
Priority to KR20140177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 랜덤 코폴리머 50 내지 70 중량%,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0 내지 30 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0 내지 4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층; 상기 제1층의 상면에 적층되고, 폴리프로필렌계 블럭 코폴리머 50 내지 70 중량%,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0 내지 30 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0 내지 4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의 상면에 적층되고, 폴리프로필렌계 랜덤 코폴리머 55 내지 60 중량%,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5 내지 20 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5 내지 3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3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은 상향 인플레이션 공압출 방식에 의해 동시에 성형 및 압출되어 형성되는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Polypropylene based adhesive film of multi-layer structure prepared by upward inflation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형성, 힌지성, 접착성, 내열성 및 함침성이 우수한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천정기재와 언더바디 등에 사용되는 기재 또는 심재의 커버재인 폴리프로필렌계 접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기재 또는 심재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흔히 건식법이라고 불리우는 성형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PP계 필름/유리섬유(GF)+PP 파우더(Powder)/PET 부직포 또는 직물 등으로 구성된 천정재나 언더바디용의 건식보드를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의 기술로서 자동차 천정기재와 언더바디 등에 적용하는 공압출 필름으로는 캐스트(CAST) 방식에 의한 단층 혹은 다층구조를 갖는 필름이 사용되었다.
제조방법으로는 유리섬유(Glass Fiber)/폴리프로필렌(PP)(이하 'GF/PP') 파우더로 복합화된 스템퍼블 시트(stampable sheet)를 1 내지 2분간 오븐을 통과시켜 보드를 충분히 가열한 후 접착필름과 냉간 라미네이팅하여 제조하는 것에 의해 헤드라이닝(Head linning), 패키지 트레이(package tray) 용도로 건식보드가 사용되고 있으며 부직포 또는 직물과 같은 표피재와의 접착소재나 기타 차량의 언더바디(under body) 등 자동차 외장재 용도의 부착을 위한 커버소재로 사용된다.
이러한 건식보드에 적용되는 접착성 필름은 보드의 오븐 통과 후 GF/PP 파우더(powder)층과의 적절한 함침성 및 접착성이 필요하고, 오븐 통과시 수축 등 변형 발생이 없어야 하며 냉간 압착 후 드로우(draw)성에 의한 필름 두께가 균일하여야 하고 표피재, 부직포 등과의 원활한 접착성 등을 필요로 하므로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성 필름을 사용한다.
종래의 캐스트 방식의 필름은 생산성을 위해 용융지수를 7~12g/min 로 한 원료를 주로 사용하였고 양호한 함침성과 힌지성 방지를 위해 폴리프로필렌과 TPO(thermoplastic olefin)로 불리우는 부분 가교화된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계 러버 컴파운드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캐스트 방식으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계 필름은 용융지수가 높고 급격한 냉각으로 인한 결정화도가 낮기 때문에 가열수축, 가열신율 등의 열적성질이 부족하다.
이에 비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상향인플레이션 제조방식으로 성형하면 결정화도가 낮은 온도 범위로 형성되어 결정화도가 높아지므로 GF/PP의 건식보드 내의 흡착속도가 느려져 과잉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정 시간 내에 성형되어야 하는 건식법으로는 두꺼운 형태로 사용될 수 밖 에 없으며 필름두께의 다운게이지화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캐스트 방식의 단점을 개선한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필름으로 GF/PP와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강성, 유연성, 힌지(hinge)성이 양호하며 성형시 과다 함침되지 않아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차량경량화를 실현하고 연비절감 과 가격경쟁력을 갖는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성, 힌지성, 접착성, 내열성 및 함침성이 우수한 자동차 기재의 커버재로 사용되는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에 공지된 바 없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 인플레이션 필름성형방식으로 폴리프로필렌에 폴리에틸렌과 엘라스토머와의 층간 배합을 최적화하여 버블형성이 가능하도록 한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냉효과로 결정화도가 높아지고 함침율의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중량 및 고광폭의 필름 제조가 가능하고, 박막화가 가능한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 내장재에 사용하는 경우 차량 경량화로 인한 연비향상, 환경 유해물질 감소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한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폴리프로필렌계 랜덤 코폴리머 50 내지 70 중량%,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0 내지 30 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0 내지 4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층; 상기 제1층의 상면에 적층되고, 폴리프로필렌계 블럭 코폴리머 50 내지 70 중량%,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0 내지 30 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0 내지 4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의 상면에 적층되고, 폴리프로필렌계 랜덤 코폴리머 55 내지 60 중량%,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5 내지 20 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5 내지 3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3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은 상향 인플레이션 공압출 방식에 의해 동시에 성형 및 압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층 및 제3층은 용융 지수가 3 내지 6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층은 용융 지수가 2 내지 4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제1층이 30 내지 35 중량%이고, 제2층이 35 내지 40 중량%이며, 제3층이 30 내지 3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단위 면적당 중량이 98g/㎡인 경우 제1층은 30 내지 40㎛의 두께로 형성되고, 제2층은 35 내지 45㎛의 두께로 형성되며, 제3층은 30 내지 4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단위 면적당 중량이 142g/㎡인 경우 제1층은 50 내지 60㎛의 두께로 형성되고, 제2층은 60 내지 70㎛의 두께로 형성되며, 제3층은 50 내지 6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단위 면적당 중량이 225g/㎡인 경우 제1층은 80 내지 90㎛의 두께로 형성되고, 제2층은 90 내지 100㎛의 두께로 형성되며, 제3층은 80 내지 9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20N/2.5㎝ 이상의 박리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층의 조성물은 제2층의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 1 내지 9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가제는 안료, 염료, 슬립제, 충전제, 핵제, 가소제, 윤활제, 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열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물질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상향인플레이션 필름 성형기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상향인플레이션 필름 성형기는 용융 상태의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의 수지 조성물들을 각각 압출하는 압출기(220), 상기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조성물에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워(230), 상기 압출되는 조성물에 에어를 공급하여 성형하기 위한 다이스(240), 상기 다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단차가 있는 수개의 동심원상의 플렌지가 구비되어 조성물을 팽창시키는 에어링(260), 및 상기 다이스와 에어링 사이에 배치되어 다이스로부터 공급되어 성형되는 조성물을 서냉시키면서 상부로 이송하는 원기둥 형태의 회전 냉각 드럼(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출기의 온도는 150 내지 2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제1층 조성물, 제2층 조성물 및 제3층 조성물의 온도는 230 내지 2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스의 온도는 170 내지 2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층 조성물 및 제3층 조성물의 압출량은 40 내지 65rpm이고, 상기 제2층 조성물의 압출량은 50 내지 75rp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층 조성물, 제2층 조성물 및 제3층 조성물의 압출 속도는 7 내지 15m/m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링은 2,000 내지 2,800 rpm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성, 힌지성, 접착성, 내열성 및 함침성이 우수하고, 고중량 및 고광폭의 필름을 제조 가능하며, 박막화가 가능하고, 자동차 내장재에 사용하는 경우 차량 경량화로 인한 연비향상, 환경 유해물질 감소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한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의 사용 태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본 발명의 도면,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의 사용 태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제1층(111), 상기 제1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층(112) 및 상기 제2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3층(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층(111), 제2층(112) 및 제3층(113)을 포함하는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예를 들어, 자동차 천정재로 사용될 경우, 발포시트(120)의 표면에 부착한 후,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의 표면에 표피부재(130)를 최종적으로 부착한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공압출 접착성 필름은 상기 발포시트(120)와 표피부재(130)를 접착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폴리프로필렌계 랜덤 코폴리머 50 내지 70 중량%,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0 내지 30 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0 내지 4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층; 상기 제1층의 상면에 적층되고, 폴리프로필렌계 블럭 코폴리머 50 내지 70 중량%,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0 내지 30 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0 내지 4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의 상면에 적층되고, 폴리프로필렌계 랜덤 코폴리머 55 내지 60 중량%,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5 내지 20 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5 내지 3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3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은 상향 인플레이션 공압출 방식에 의해 동시에 성형 및 압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상향 인플레이션 공압출 방식에 의해 동시에 성형 및 압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향 인플레이션 공압출 방식은 다층 상향인플레이션 필름 성형기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층 상향인플레이션 필름 성형기는 다수의 조성물을 블랜딩(Blending)하여 제조된 각각의 수지 조성물을 공급하는 수지공급장치(210); 상기 수지공급장치(210)로부터 공급받는 용융 상태의 각각의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는 압출기(220), 상기 압출기(220)로부터 압출되는 조성물에 에어(air)를 공급하는 블로워(Blower; 230), 상기 압출되는 조성물에 에어를 공급하여 성형하기 위한 다이스(Dies; 240), 상기 다이스(240)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단차가 있는 수개의 동심원상의 플렌지가 구비되어 조성물을 팽창시키는 에어링(260), 상기 다이스(240)와 에어링(260) 사이에 배치되어 다이스(240)로부터 공급되어 성형되는 조성물을 서냉시키면서 상부로 이송하는 원기둥 형태의 회전 냉각 드럼(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부로 이송된 본 발명에 따른 공압출 접착성 필름은 필름이송장치(270)에 의해 하부로 이송된 후 필름권취장치(280)에 의해 권취되어 롤 형태의 최종 제품으로 생산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압출기(220)의 온도는 150 내지 230℃로 구성하고, 제1층 조성물, 제2층 조성물 및 제3층 조성물의 온도는 230 내지 245℃로 구성하며, 다이스(240)의 온도는 170 내지 23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압출기(220), 조성물 및 다이스(240)의 온도가 상기 바람직한 범위의 하한 미만의 온도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제품에 겔(Gel) 또는 균열(Fracture)이 발생할 수 있고, 만약 상기 바람직한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여 온도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버블 형성이 되지 아니하여 성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층 조성물 및 제3층 조성물의 압출량은 40 내지 65rpm로 설정하고, 상기 제2층 조성물의 압출량은 50 내지 75rp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압출량의 하한 미만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원하는 제품 두께를 얻을 수 없고, 상기 압출량의 상한을 초과하여 설정되는 경우에는 버블 형성이 되지 아니하여 성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제1층 조성물, 제2층 조성물 및 제3층 조성물의 압출 속도는 7 내지 15m/min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압출 속도의 하한 미만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제품 두께가 불량하고, 상기 압출 속도의 상한을 초과하여 설정되는 경우에는 제품 두께가 미달되기 때문이다.
에어링(260)은 2,000 내지 2,800rpm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2,000rpm 미만으로 설정될 경우에는 제품의 두께편차가 발생하고, 2,800rpm을 초과하여 설정될 경우에는 원하는 제품 두께에 미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1층 및 제3층은 용융 지수를 3 내지 6g/10min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층은 용융 지수를 2 내지 4g/10min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용융 지수의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제품의 두께 안정성이 저하되고, 함침이 과다하여 필름 두께를 박막화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계 공압출 접착성 필름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제1층이 30 내지 35 중량%이고, 제2층이 35 내지 40 중량%이며, 제3층이 30 내지 35 중량%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공압출 접착성 필름은 단위 면적당 중량이 98g/㎡인 경우 제1층은 30 내지 40㎛의 두께로 형성되고, 제2층은 35 내지 45㎛의 두께로 형성되며, 제3층은 30 내지 4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이 142g/㎡인 경우 제1층은 50 내지 60㎛의 두께로 형성되고, 제2층은 60 내지 70㎛의 두께로 형성되며, 제3층은 50 내지 6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위 면적당 중량이 225g/㎡인 경우 제1층은 80 내지 90㎛의 두께로 형성되고, 제2층은 90 내지 100㎛의 두께로 형성되며, 제3층은 80 내지 9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계 공압출 접착성 필름은 20N/2.5㎝ 이상의 박리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박리강도가 20N/2.5㎝ 미만일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층 고압출 필름을 프레스 성형하여 발포시트와 표피부재에 접착시키는 과정에서 충분한 접착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층의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제2층의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9 중량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첨가제는 안료, 염료, 슬립제, 충전제, 핵제, 가소제, 윤활제, 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열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물질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제1층 및 제3층의 필름 제조( 실시예 1~6; 비교예 1~10)
제1층 및 제3층 조성물의 원료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제조사: 롯데케미칼; Random PP SB530),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제조사: Exxonmobil; Elastomer 3980)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제조사: 롯데케미칼; LLDPE UT404)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제1층 및 제3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 70g,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1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0g을 호퍼에서 30분간 혼합한 후 실린더내로 이송한 후 스크류를 사용하여 압축비 3 : 1, L/D 25 : 1, 180℃의 조건에서 용융 혼합하여 30rpm으로 토출시켜 제1층 조성물 및 제3층 조성물을 각각 제조한 후 상기 제1층 조성물 및 제3층 조성물을 단층 필름성형기(제조사: 유진기계)를 이용하여 압출량: 50%, 라인속도: 10m/min, 에어량: 2,000rpm, 실린더 온도: 200℃, 다이스 온도: 205℃의 조건에서 필름 형태로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제1층 및 제3층의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 6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2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제1층 및 제3층의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 6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1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제1층 및 제3층의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 5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1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4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5
제1층 및 제3층의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 5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2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6
제1층 및 제3층의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 5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3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제1층 및 제3층의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 9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5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5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제1층 및 제3층의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 8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1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제1층 및 제3층의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 7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2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4
제1층 및 제3층의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 6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5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5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5
제1층 및 제3층의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 6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3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6
제1층 및 제3층의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 5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4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7
제1층 및 제3층의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 4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3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8
제1층 및 제3층의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 3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3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4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9
제1층 및 제3층의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 3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4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0
제1층 및 제3층의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 3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5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조성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단위: g
조성물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4 5 6 7 8 9 10
Random PP 70 60 60 50 50 50 90 80 70 60 60 50 40 30 30 30
PP Elastomer 10 20 10 10 20 30 5 10 20 5 30 40 30 30 40 50
LLDPE 20 20 30 40 30 20 5 10 10 35 10 10 30 40 30 20
TOTAL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2. 제2층의 필름 제조( 실시예 7~12; 비교예 11~20)
제2층 조성물의 원료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제조사:롯데케미칼; Block PP J320),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제조사: Exxonmobil; Elastomer 3980)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제조사: 롯데케미칼; LLD PE UT404)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
제2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 7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1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0g을 혼합하여 제1층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기 제1층 조성물을 단층 필름성형기(제조사: 유진기계)를 이용하여 압출량: 50%, 라인속도: 10m/min, 에어량: 2,000rpm, 실린더 온도: 200℃, 다이스 온도: 205℃의 조건에서 필름 형태로 제작하였다.
실시예 8
제2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 6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2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9
제2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 6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1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0
제2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 5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1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4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1
제2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 5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2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2
제2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 5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3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1
제2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 9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5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5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2
제2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 8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1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3
제2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 7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2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4
제2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 6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5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5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5
제2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 6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3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6
제2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 5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4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7
제2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 4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3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8
제2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 3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3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4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9
제2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 3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4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0
제2층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 3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5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7 내지 12 및 비교예 11 내지 20의 조성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단위: g
조성물 실시예 비교예
7 8 9 10 11 12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Block PP 70 60 60 50 50 50 90 80 70 60 60 50 40 30 30 30
PP Elastomer 10 20 10 10 20 30 5 10 20 5 30 40 30 30 40 50
LLDPE 20 20 30 40 30 20 5 10 10 35 10 10 30 40 30 20
TOTAL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3. 물성 실험(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20)
실시예 1 내지 12와 비교예 1 내지 20의 필름에 대하여 다음의 물성을 실험하였다.
(1) 성형성 실험(버블성): 상향인플레이션 필름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에 대하여 환상(環狀)의 구멍을 가진 다이(링 다이)를 상향으로 놓고, 이것으로부터 용융 폴리머를 압출하면 통(筒) 모양의 제품이 성형 되며 그 내부에 공기를 불어 팽창을 시켜 두께와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얇은 원통 모양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를 버블(Bubble)이라고 하며 버블의 성형 여부는 필름의 물성뿐만 아니라 생산성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이다. 상기 원통 모양의 필름의 성형성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2) 힌지성 실험: 상기 필름에 대하여 폭 2.5cm 길이 10cm 의 시편을 만들어 힌지가 나타날 때까지 굽힘 시험을 하고 회수를 측정하였다.
(3) 접착성 실험(박리강도): GF/PP 기재에 각 생산 필름(Profol 98g 혹은 225g과 생산필름 98g 혹은 225g)을 155℃ 프레스에서 10초간 접착시킨 후 230℃ 오븐에서 120초 가열하여 꺼낸 후 표피재를 올린 후 3T 클립 4개를 각 모서리에 놓고 실험판을 이용하여 3초간 가압시켜 상기 GF/PP 기재를 접착하여 MS 257-13 규정에 따라 만능시험기에서 시험하였다.
(4) 내열성 실험(내열수축율): 170℃ 오븐에서 10초간 가열하여 길이를 측정하고 초기길이와의 비율을 퍼센트로 계산하였다.
(5) 함침성 실험: GF/PP 기재에 상기 필름을 155℃의 프레스에서 10초간 접착시킨 후 230℃의 오븐에서 가열하여 완전히 함침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2와 비교예 1 내지 20에 대한 상기 성형성(버블성), 힌지성, 접착성, 내열성(내열수축율) 및 함침성에 대한 물성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6
항목 판정기준 1 2 3 4 5 6
버블성 육 안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힌지성 꺽임횟수 8 9 8 8 9 10
접착성 박리강도(N/in) 28 30 31 35 32 41
내열성
(수축율)
MD 0~-0.5 0~-0.5 0~-0.5 0~-0.5 -0.5~-1.0 -0.5~-1.0
TD 0~-0.5 0~-0.5 0~0. 0~-0.5 -0~-0.5 -0.5~-1.0
함침성 min/230℃ 12~13 12~13 13~14 14~15 13~14 12~13
비교예 1~10
항목 판정기준 1 2 3 4 5 6 7 8 9 10
버블성 육 안 형성안됨 형성안됨 주름발생 양호 주름발생 형성안됨 주름발생 구멍발생 형성안됨 형성안됨
힌지성 꺽임횟수 2 7 8 2 8 9 8 8 9 10
접착성 박리강도
(N/in)
11 14 13 32 13 12 34 37 32 24
내열성
(수축율)
MD -0.5~-1 0~-0.5 0~-0.5 0~-0.5 0~-0.5 -4~-5 -2~-3 -2~-3 -4~-5 -3~-4
TD 0~-0.5 0~-0.5 0~-0.5 0~-0.5 0~-0.5 -3~-4 -1~-2 -2~-3 -3~-4 -2~-3
함침성 min/230℃ 14~15 13~14 12~13 12~13 12~13 11~12 8~9 6~7 6~7 7~8
실시예 7~12
항목 판정기준 7 8 9 10 11 12
버블성 육 안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힌지성 꺽임횟수 9 9 8 8 9 10
접착성 박리강도(N/in) 31 36 30 33 39 38
내열성
(수축율)
MD 0~-0.5 0~-0.5 -0.5~-1.0 -0.5~-1.0 -0.5~-0.5 0~-0.5
TD 0~0 0~-0.5 -0.5~-1.0 -0~-0.5 0~0 0~0
함침성 min/230℃ 12~13 13~14 12~13 13~14 12~13 13~14
비교예 11~15
항목 판정기준 11 12 13 14 15
버블성 육 안 형성안됨 형성안됨 주름,구멍 양호 주름,구멍
힌지성 꺽임횟수 1 5 7 1 7
접착성 박리강도(N/in) 13 15 14 35 17
내열성
(수축율)
MD -2~-3 -3~-4 -2~-3 -2~-3 -3~-4
TD -2~-3 -2~-3 -2~-3 -2~-3 -2~-3
함침성 min/230℃ 15~16 14~15 13~14 12~13 12~13
비교예 16~20
항목 판정기준 16 17 18 19 20
버블성 육 안 주름,구멍 주름,구멍 양호 형성안됨 형성안됨
힌지성 꺽임횟수 7 8 8 8 9
접착성 박리강도(N/in) 15 36 39 35 29
내열성
(수축율)
MD -3~-4 -2~-3 -2~-3 -4~-5 -3~-4
TD -3~-4 -2~-3 -1~-2 -3~-4 -2~-3
함침성 min/230℃ 12~13 8~9 6~7 7~8 5~6
상기 표 3 내지 표 7과 관련하여, 버블성(성형성)은 육안으로 표면을 관찰하여 이상이 없는 경우를 양호로 표시하고, 버블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를 형성안됨으로 표시하였으며, 표면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구멍이 발생한 경우를 주름발생 및 구멍발생으로 표시하였다. 힌지성은 굽힘 시험에 의해 필름의 표면에 힌지가 발생할 때의 굽힘 회수를 측정하였고, 상기 굽힘 횟수가 8회 이상이면 우수, 8회 미만이면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박리강도(접착성)는 20N/in 이상이면 양호, 20N/in 미만이면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내열성은 내열 수축율과 관련성이 있으므로 170에서 10초간 방치한 후 수축 전, 후의 길이 차이를 %로 표시하여 MD, TD 모두 1% 이하이면 양호, 1%를 초과하면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함침성은 완전히 함침이 이루어질 때까지 걸린 시간이 12~13min/230℃ 이상이면 양호, 12~13min/230℃ 미만이면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표 3 및 표 4와 관련하여, 실시예 1 내지 6에 따른 제1층 및 제3층 필름은 버블 형성이 양호하고, 힌지성은 8 이상이며, 박리강도는 28N/in 이상이고, 수축율은 MD, TD 모두 1% 이하이며 함침성은 12~13min/230℃ 이상이었기 때문에 성형성, 힌지성, 접착성, 내열성 및 함침성이 모두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10에 따른 제1층 및 제3층 필름은 버블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필름 표면에 주름 또는 구멍이 발생하여 성형성이 불량하고, 힌지성, 접착성, 내열성 및 함침성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성이 불량하여 전체적으로 필름 제품이 불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 5 내지 표 7과 관련하여, 실시예 7 내지 12에 따른 제2층 필름은 버블 형성이 양호하고, 힌지성은 8 이상이며, 박리강도는 30N/in 이상이고, 수축율은 1% 이하이며, 함침성은 12~13min/230℃ 이상이었기 때문에 성형성, 힌지성, 접착성, 내열성 및 함침성이 모두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비교예 11 내지 20에 따른 제2층 필름은 버블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필름 표면에 주름 또는 구멍이 발생하여 성형성이 불량하고, 버블 형성이 이루어지더라도 힌지성, 접착성, 내열성 및 함침성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성이 불량하여 전체적으로 필름 제품이 불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다층 공압출 필름의 제조 및 물성
제1층 조성물의 원료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제조사: 롯데; Random PP SB530) 6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제조사: 엑슨모빌; Elastomer 3980) 2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제조사: 롯데; LLD PE UT404) 20g을 혼합하여 MI(Melt Index) 5g/10min로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제2층 조성물의 원료로 폴리프로필렌 블럭코폴리머(제조사: 롯데; Block PP J320) 6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제조사: 엑슨모빌; Elastomer 3980) 2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제조사: 롯데; LLD PE UT404) 20g을 혼합하여 MI 3g/10min로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제3층 조성물의 원료로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제조사: 롯데; Random PP SB530) 60g,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제조사: 엑슨모빌; Elastomer 3980) 20g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제조사: 롯데; LLD PE UT404) 20g을 혼합하여 MI 5g/10min로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준비된 제1층 조성물, 제2층 조성물 및 제3층 조성물을 3층의 상향인플레이션 필름성형기를 이용하여 다층 공압출 필름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층 조성물, 제2층 조성물 및 제3층 조성물을 240℃의 3대의 일축압출기(직경 60mm)에 각각 공급하여 상기 조성물들의 온도를 240℃로 유지한 후 200℃의 온도로 압출하고, 200℃의 다이스(Dies)를 통과시킨 후 제1층 조성물의 압출량은 50rpm, 제2층 조성물의 압출량은 60rpm 및 제3층 조성물의 압출량은 50rpm으로 하고, 압출 속도는 모두 10m/min으로 하여 단위 중량 225g/㎡, 너비(Width) 1200mm 및 두께(Thickness) 250㎛의 3층 공압출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3층 공압출 필름은 버블 형성이 양호하고, 표면 품질이 우수하여 성형성이 우수하고, 힌지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고, 내열성 및 함침성이 우수하여 전체적인 물성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공압출 접착성 필름은 서냉으로 인한 결정화도의 증가로 캐스트 방식의 필름에 비해 내열성, 인장강도, 신율, 굴곡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강성이 요구되는 자동차용에 적합하고, 특히 슈퍼라이트의 경우 프로폴(Propol)사의 캐스트 방식에 비해 흡착율이 낮아 접착성 및 보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30% 이상의 다운 게이지에도 동일 품질 이상을 실현하므로 차량 경량화와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공압출 접착성 필름은 자동차뿐만 아니라 각종 전자재료, 건축 및 토목용 접착필름의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1: 제1층 112: 제2층
113: 제3층 120: 발포시트
130: 표피부재 210: 수지공급장치
220: 압출기 230: 블로워
240: 다이스 250: 회전 냉각 드럼
260: 에어링 270: 필름이송장치
280: 필름권취장치

Claims (17)

  1. 폴리프로필렌계 랜덤 코폴리머 50 내지 70 중량%,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0 내지 30 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0 내지 4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층;
    상기 제1층의 상면에 적층되고, 폴리프로필렌계 블럭 코폴리머 50 내지 70 중량%,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0 내지 30 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0 내지 4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의 상면에 적층되고, 폴리프로필렌계 랜덤 코폴리머 55 내지 60 중량%,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5 내지 20 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5 내지 3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3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은 상향 인플레이션 공압출 방식에 의해 동시에 성형 및 압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제3층은 용융 지수가 3 내지 6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용융 지수가 2 내지 4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제1층이 30 내지 35 중량%이고, 제2층이 35 내지 40 중량%이며, 제3층이 30 내지 3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단위 면적당 중량이 98g/㎡인 경우 제1층은 30 내지 40㎛의 두께로 형성되고, 제2층은 35 내지 45㎛의 두께로 형성되며, 제3층은 30 내지 4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단위 면적당 중량이 142g/㎡인 경우 제1층은 50 내지 60㎛의 두께로 형성되고, 제2층은 60 내지 70㎛의 두께로 형성되며, 제3층은 50 내지 6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단위 면적당 중량이 225g/㎡인 경우 제1층은 80 내지 90㎛의 두께로 형성되고, 제2층은 90 내지 100㎛의 두께로 형성되며, 제3층은 80 내지 9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20N/2.5㎝ 이상의 박리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조성물은 제2층의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 1 내지 9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안료, 염료, 슬립제, 충전제, 핵제, 가소제, 윤활제, 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열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물질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은 상향인플레이션 필름 성형기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상향인플레이션 필름 성형기는 용융 상태의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의 수지 조성물들을 각각 압출하는 압출기(220), 상기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조성물에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워(230), 상기 압출되는 조성물에 에어를 공급하여 성형하기 위한 다이스(240), 상기 다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단차가 있는 수개의 동심원상의 플렌지가 구비되어 조성물을 팽창시키는 에어링(260), 및 상기 다이스와 에어링 사이에 배치되어 다이스로부터 공급되어 성형되는 조성물을 서냉시키면서 상부로 이송하는 원기둥 형태의 회전 냉각 드럼(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의 온도는 150 내지 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제1층 조성물, 제2층 조성물 및 제3층 조성물의 온도는 230 내지 2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스의 온도는 170 내지 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조성물 및 제3층 조성물의 압출량은 40 내지 65rpm이고, 상기 제2층 조성물의 압출량은 50 내지 75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조성물, 제2층 조성물 및 제3층 조성물의 압출 속도는 7 내지 15m/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링은 2,000 내지 2,800 rpm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KR20140177521A 2014-12-10 2014-12-10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KR101488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77521A KR101488142B1 (ko) 2014-12-10 2014-12-10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77521A KR101488142B1 (ko) 2014-12-10 2014-12-10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142B1 true KR101488142B1 (ko) 2015-01-29

Family

ID=5259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77521A KR101488142B1 (ko) 2014-12-10 2014-12-10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0506A (ko) 2022-10-11 2024-04-19 아주스틸 주식회사 복합 패널 및 강판 부착용 극성 다층접착필름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236A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KR20070120171A (ko) * 2004-04-19 2007-12-21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및 그 조성물로 이루어진성형체
KR100981391B1 (ko) 2010-03-25 2010-09-10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폴리프로필렌-엘라스토머 나노알로이 조성물을 이용한 스크래치 자기재생성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1202699B1 (ko) 2012-04-12 2012-11-19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폴리프로필렌-엘라스토머 나노알로이 조성물을 이용한 스크래치 자기재생성 성형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236A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KR20070120171A (ko) * 2004-04-19 2007-12-21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및 그 조성물로 이루어진성형체
KR100981391B1 (ko) 2010-03-25 2010-09-10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폴리프로필렌-엘라스토머 나노알로이 조성물을 이용한 스크래치 자기재생성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1202699B1 (ko) 2012-04-12 2012-11-19 주식회사 폴리사이언텍 폴리프로필렌-엘라스토머 나노알로이 조성물을 이용한 스크래치 자기재생성 성형품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0506A (ko) 2022-10-11 2024-04-19 아주스틸 주식회사 복합 패널 및 강판 부착용 극성 다층접착필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34515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пленочного полотна
EP1813423A1 (en) Transparent, stiff and printable polypropylene blown films
KR20150106964A (ko) 향상된 다층 블로운 필름
KR100863058B1 (ko) 연신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 방법
JP2006082455A (ja) 自動車内装天井材用の積層部材
KR20020042475A (ko)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88142B1 (ko) 자동차 기재용 다층 구조의 폴리프로필렌계 상향식 인플레이션 접착성 필름
CN102555313A (zh) 一种梯度孔隙结构透气膜及其制造方法
US6878318B2 (en) Methods for producing multi-layer foamed sheets
JP5934355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ポリオレフィン系延伸フィルム
EP2998096A1 (en) Voided plastic film
KR101562257B1 (ko) 다층접착필름
JP2023044724A (ja) 熱成形用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薄膜、その製造法、使用法、熱成形法及び製品
US6332940B1 (en) Process for producing an invisible and writabl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BOPP) raw processing film and the product thereof
JP4379110B2 (ja) プロピレン系樹脂製多層発泡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66510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
JP6229569B2 (ja) 包装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1584459B1 (en) Multilayer tube of thermoplastic and method of its obtaining
KR200166707Y1 (ko) 자동차 천정재
JP2001113585A (ja) 積層発泡体の製造方法
KR101917162B1 (ko) 방수 시트용 고성능 방수 필름과 이를 이용한 방수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0108268A (ja) 工程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11220034B2 (en) Blocked shrink bundling film
KR20190086159A (ko)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
KR101821362B1 (ko) 자동차 내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