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963B1 -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963B1
KR101487963B1 KR20140036288A KR20140036288A KR101487963B1 KR 101487963 B1 KR101487963 B1 KR 101487963B1 KR 20140036288 A KR20140036288 A KR 20140036288A KR 20140036288 A KR20140036288 A KR 20140036288A KR 101487963 B1 KR101487963 B1 KR 101487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assembly
automatic transmission
gear
lower hold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로티엠오토파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로티엠오토파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로티엠오토파트
Priority to KR2014003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2057/0062Tools specially adapted for assembly of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축에서 기어 및 호크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어 어셈블리 전체를 일체로 리프팅 할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작업성 개선을 통한 작업 능률 향상, 작업 안전성 확보, 기어 및 호크의 정위치 조립의 편리성 등을 두루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에 있어서; 조립시 파이프 형상이 되도록 좌부재와 우부재로 분할되며 하단 내측으로 주축에 형성된 스냅링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턱이 환형으로 형성된 주축 케이스와; 주축 케이스의 상단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는 주축 케이스 내측에 위치되는 지지원판 및 지지원판에 일체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는 리프트고리와; 상기 주축 케이스의 상단 외측으로 축소되도록 형성한 상부홀더 지지턱에 지지되는 상부홀더와; 상기 주축 케이스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부홀더 지지턱 및 하부홀더 지지턱에 지지되는 판상의 하부홀더와; 파이프 형상으로 상단 외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기어의 위치를 이동하는 호크에 일체 형성된 시프트 레버가 끼워지도록 하부홀더에 결합한 레버고정구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Gear assembly separator for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축에서 기어 및 호크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어 어셈블리 전체를 일체로 리프팅 할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작업성 개선을 통한 작업 능률 향상, 작업 안전성 확보, 기어 및 호크의 정위치 조립의 편리성 등을 두루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차량에 사용되는 자동변속기의 경우 생산과정에서의 조립 혹은 고장으로 인해 분해 조립하는 등의 작업이 이루지게 된다.
통상 자동변속기는 변속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주축과, 주축에 조립되는 다수의 변속기어들 및 변속기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시프트 레버가 일체로 결합된 호크 등을 조합한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축 및 기어 어셈블리의 분해 조립의 경우 일반적으로 주축을 결합한 상태에서 각각의 기어를 순차적으로 조립해 나가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유지 보수를 위해 주축 및 기어 어셈블리를 분리하는 경우 주축에서 기어 어셈블리 및 호크를 순차적으로 분리하고, 또 재조립하는데, 이와 같은 작업은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전문가가 작업하는 데어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변속기 탈착에 관련한 성행기술들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07-00056542호(2007.06.04.)의 자동차 트랜스미션 장착, 분리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Y1)20-1996-016892호(1996.06.17.)의 트랜셔미션 탈,장착장치 등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들의 경우 변속기 자체를 차량에서 분리 혹은 부착하는 기술들로 본 발명에서와 같은 주축 및 주축에 결합된 기어 어셈블리를 통체로 분리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는 않은 실정이며,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 개별 분리하는 실정이었다.
KR 10200700056542 A 2007.06.04. KR 201996016892 Y1 1996.06.17.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자동변속기 분리과정에서 기어 어셈블리의 리프트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주축에서 기어 및 호크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주축을 클램핑하고 아울러 호크에 결합된 시프트 레버를 정위치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기어 어셈블리 전체를 일체로 리프팅 할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작업성 개선을 통한 작업 능률 향상, 작업 안전성 확보, 기어 및 호크의 정위치 조립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에 있어서; 조립시 파이프 형상이 되도록 좌부재와 우부재로 분할되며 하단 내측으로 주축에 형성된 스냅링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턱이 환형으로 형성된 주축 케이스와; 주축 케이스의 상단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도록, 주축 케이스 내측에 위치되는 지지원판 및 지지원판에 일체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는 리프트고리와; 상기 주축 케이스의 상단 외측으로 축소되도록 형성한 상부홀더 지지턱에 지지되는 상부홀더와; 상기 주축 케이스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부홀더 지지턱 및 하부홀더 지지턱에 지지되는 판상의 하부홀더와; 파이프 형상으로 상단 외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기어의 위치를 이동하는 호크에 일체 형성된 시프트 레버가 끼워지도록 하부홀더에 결합한 레버고정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를 사용할 경우 주축에서 기어 및 호크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주축을 클램핑하고 아울러 호크에 결합된 시프트 레버를 정위치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기어 어셈블리 전체를 일체로 리프팅 할 수 있는 것으로,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의 구성이 간단하여 염가에 제작 보급이 가능하다.
-기어 어셈블리 전체의 분해 조립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신속한 작업으로 작업 능률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미숙련자도 기어 어셈블리의 분해 조립을 쉽게 할 수 있다.
-기어 및 호크의 정위치 조립이 가능하므로 조립 불량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의 분해 사시도 및 조립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1)는 주축(100)에서 기어 어셈블리(200) 및 변속기어를 이동시키는 호크(300)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기어 어셈블리(200) 전체를 리프팅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1)는 주축(100)을 에워싼 상태로 클램핑하는 주축 케이스(2)와, 주축 케이스(2)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리프트고리(3)와, 주축 케이스(2)의 상단을 홀딩하는 상부홀더(4)와, 주축 케이스(2)의 하단을 홀딩하는 하부홀더(5)와, 하부홀더(5)에 결합되는 레버고정구(6)를 대분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각 구성부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주축 케이스(2)는 조립시 파이프 형상을 가지도록 좌부재(21)와 우부재(22)로 좌우 대칭되도록 분할되며, 조립 상태에서 내부 하측으로 지지턱(23)을 돌출되게 형성하며, 또한 내부 상측으로 걸림턱(24)을 돌출되게 형성한다. 하부의 지지턱(23)은 주축(100)에 결합되어 있는 베어링을 고정하기 위해 주축(100)에 결합하고 있는 스냅링이 결합되는 스냅링 결합홈(110)에 끼워지며, 상부의 걸림턱(24)은 리프트고리(3)를 구성하고 있는 지지원판(31)의 가장자리가 걸림되는 기능성을 가진다.
그리고 주축 케이스(2)의 하부 바깥면에는 하부홀더(5)가 안치되는 하부홀더 지지턱(25)이 환상으로 돌출되며, 상부 바깥면에는 상부홀더(4)가 안치되는 상부홀더 지지턱(26)이 축소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리프트고리(3)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주축 케이스(2)의 내부에 위치되어 주축 케이스(2)의 상부 내측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4)에 가장자리가 걸림되는 지지원판(31)의 상측으로 주축 케이스(2)의 외부로 노출되는 고리(32)를 일체로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고리(32)에는 리프팅수단과 연결된다.
상기 리프팅수단은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 체인블록 등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홀더(4)는 주축 케이스(2)의 상부 바깥쪽에 형성되는 상부홀더 지지턱(26)에 안치되는 것으로 링 형상을 가지며, 외경이 주축 케이스(2)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구성한다. 이는 양분되는 주축 케이스(2)를 결합한 상태에서 먼저 상부홀더(4)를 1차 결합한 상태에서 하부홀더(5)를 결합할 때 하부홀더(5)의 원활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부홀더(5)는 주축 케이스(2)의 하부 바깥쪽에 환형으로 형성된 하부홀더 지지턱(25)에 안치되는 것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기로는 주축 케이스(2)가 결합되는 결합공(51)을 가지며, 결합공(51)을 중심으로 해서 일측으로 기어 어셈블리(200)에 결합된 호크(300)와 일체 형성되어 있는 시프트 레버(310)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하부홀더(5) 상에는 상기 시프트 레버(310)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도록 레버고정구 조립공(52)이 복수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레버고정구 조립공(52)이 2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레버고정구 조립공(52)에는 파이프 형상이며 상단에 걸림턱(61)이 바깥쪽으로 형성되어 하부홀더(5)에 걸림되는 레버고정구(6)가 조립되며, 레버고정구(6)는 하단이 시프트 레버(310)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1)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어 어셈블리(200) 및 호크(300)를 분리 없이 전체를 리프팅 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사용방법은 먼저 주축 케이스(2)를 구성하는 좌부재(21)와 우부재(22)로 주축(100)을 에워싼다. 이때 좌부재(21)와 우부재(22)의 하부 내측으로 형성된 지지턱(23)이 주축(100)에 형성된 스냅링 결합홈(110)에 끼워지도록 하면 된다. 이때 주축 케이스(2)의 상부 내측으로는 리프트고리(3)의 지지원판(31)을 내입시킨다.
주축 케이스(2)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부홀더 지지턱(26)에 지지되도록 링 형상의 상부홀더(4)를 결합하여 주축 케이스(2)가 좌우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하부홀더 지지턱(25)에 지지되도록 하부홀더(5)를 결합한다.
하부홀더(5)가 결합되면 주축 케이스(2)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부홀더(4)와 하부홀더(5)에 의해 구속되는데, 이 상태에서 하부홀더(5)에 레버고정구(6)를 끼워 기어 어셈블리(200)에 결합되어 있는 호크(300)에 형성된 시프트 레버(310)의 단부를 레버고정구(6)에 끼우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을 주축(100)에 결합한 상태에서 리프트고리(3)에 리프팅수단을 결속하여 상향 이동시키면 주축(100)에 결합되어 있는 기어 어셈블리(200) 등을 변속기 케이스 내에서 별도의 분해 작업 없이 안전하게 리프팅 시켜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조립시에도 상기 역순을 통해 정위치에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
2:주축 케이스 21:좌부재
22:우부재 23:지지턱
24:걸림턱 25:하부홀더 지지턱
26:상부홀더 지지턱 3:리프트고리
31:지지원판 32:고리
4:상부홀더 5:하부홀더
51:결합공 52:레버고정구 조립공
6:레버고정구 61:걸림턱
100:주축 110:스냅링 결합홈
200:기어 어셈블리 300:호크
310:시프트 레버

Claims (1)

  1.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1)에 있어서;
    조립시 파이프 형상이 되도록 좌부재(21)와 우부재(22)로 분할되며 하단 내측으로 주축(100)에 형성된 스냅링 결합홈(110)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턱(23)이 환형으로 형성된 주축 케이스(2)와;
    주축 케이스(2)의 상단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턱(24)에 걸림되는 주축 케이스(2) 내측에 위치되는 지지원판(31) 및 지지원판(31)에 일체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는 리프트고리(3)와;
    주축 케이스(2)의 상단 외측으로 축소되도록 형성한 상부홀더 지지턱(26)에 지지되는 상부홀더(4)와;
    주축 케이스(2)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부홀더 지지턱(25) 및 하부홀더 지지턱(25)에 지지되는 판상의 하부홀더(5)와;
    파이프 형상으로 상단 외부에 걸림돌기(6a)가 형성되며 기어의 위치를 이동하는 호크(300)에 일체 형성된 시프트 레버(310)가 끼워지도록 하부홀더에 결합한 레버고정구(6)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
KR20140036288A 2014-03-27 2014-03-27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 KR101487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6288A KR101487963B1 (ko) 2014-03-27 2014-03-27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6288A KR101487963B1 (ko) 2014-03-27 2014-03-27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963B1 true KR101487963B1 (ko) 2015-02-02

Family

ID=5258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6288A KR101487963B1 (ko) 2014-03-27 2014-03-27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9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889A (ko) * 1997-08-26 1999-03-15 양재신 자동 변속기 탈착용 지그
JP2004203313A (ja) 2002-12-26 2004-07-22 Honda Motor Co Ltd 変速機のギアポジション検知装置
KR20050027685A (ko) * 2003-09-16 2005-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 케이스 고정 지그 어셈블리
JP2012211681A (ja) 2011-03-31 2012-11-01 Honda Motor Co Ltd 多段変速機の組立及び分解用治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889A (ko) * 1997-08-26 1999-03-15 양재신 자동 변속기 탈착용 지그
JP2004203313A (ja) 2002-12-26 2004-07-22 Honda Motor Co Ltd 変速機のギアポジション検知装置
KR20050027685A (ko) * 2003-09-16 2005-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 케이스 고정 지그 어셈블리
JP2012211681A (ja) 2011-03-31 2012-11-01 Honda Motor Co Ltd 多段変速機の組立及び分解用治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885B2 (en) Frameless downlight
CN103586705B (zh) 一种用于有挂角、径向不规则零件的车削夹具
WO2019109587A1 (zh) 发电机的装配工装以及装配方法
CN105715874A (zh) 双p形夹具组件
RU201612548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центровки и направления во вращении вала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содержащее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е средства удержания наружного кольца опорного подшипника
KR101487963B1 (ko) 자동변속기용 기어 어셈블리 분리구
CN202028938U (zh) 定位工件外圆及底面的夹具
TWI661881B (zh) 粉末沖壓組合
RU2016121034A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при помощи стопорного кольца для участка вала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оединения
CN114198499A (zh) 对中调节机构及迷宫密封结构的对中调节方法
JP5477861B2 (ja) 環状部品の組立・分解用治具
CN202403977U (zh) 阀门焊接端试压装置
CN203542107U (zh) 迅捷换型生产定位装置
RU2014117872A (ru) Конусное композитное полотно дисковой пилы
CN204339384U (zh) 一种圆柱专用钻孔夹紧治具
CN202545597U (zh) 一种设有新型卡簧的传动轴支架
CN202684793U (zh) 一种夹持机构
CN105060090B (zh) 一种飞轮室吊装工装
JP2019089642A (ja) 吊持用受け金具
CN211034892U (zh) 盘件的翻转吊装装置及夹具
CN112640272B (zh) 旋转电机的临时固定夹具以及使用该临时固定夹具的旋转电机的组装方法
CN212480472U (zh) 一种快速安装或拆卸水管的卡扣
CN210001425U (zh) 摇臂轴和摇臂总成装配工装
US20150246420A1 (en) Alignment pin
TW201100203A (en) Lens suppor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