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268B1 - 진동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단말 - Google Patents

진동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268B1
KR101487268B1 KR1020137010414A KR20137010414A KR101487268B1 KR 101487268 B1 KR101487268 B1 KR 101487268B1 KR 1020137010414 A KR1020137010414 A KR 1020137010414A KR 20137010414 A KR20137010414 A KR 20137010414A KR 101487268 B1 KR101487268 B1 KR 101487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amplitude
vibrating
vibration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764A (ko
Inventor
사토루 이와사키
토오루 타카하시
야스히토 후지이
하루미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33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bending displacement, e.g. unimorph, bimorph or multimorph cantilever or membrane be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과제] 박형화 및 강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단말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지지체(11)와, 둘레가장자리가 지지체(11)에 접합되어서 지지되어 있고 지지체(11)에 접합된 제 1 부분(12a)과 제 1 부분(12a)의 내측에 위치하고 지지체(11)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제 2 부분(12b)을 갖는 진동판(12)과, 제 1 방향의 한쪽측의 표면이 진동판(12)의 한쪽 주면의 제 2 부분(12b)에 접합되어 있고, 전기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을 따라 진폭이 변화하도록 제 1 방향으로 굴곡 진동하는 진동소자(14)를 적어도 갖고 있고,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수직인 제 3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소자(14)와 제 1 부분(12a)의 간격(d1)이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소자(14)와 제 1 부분(12a)의 간격(d2)보다 큰 진동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단말로 한다.

Description

진동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단말{VIBRA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동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판 형상의 압전 바이모르프소자로 이루어지는 진동소자를 진동판(하우징)에 고정하여 진동소자를 진동시킴으로써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진동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06-238072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진동장치는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진동소자와 진동판이 접촉하지 않도록 진동소자와 진동판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박형화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진동장치를 박형화하기 위해서 진동판의 한쪽 주면에 진동소자의 한쪽 주면을 직접 접합한 경우에는 진동소자를 부착하는 위치에 따라 진동판의 진동이 약해져 버리는 문제가 있는 것이 발명자의 검토에 의해 분명해졌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이고, 그 목적은 박형화 및 강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단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진동장치는 지지체와, 둘레가장자리가 상기 지지체에 접합되어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에 접합된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체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제 2 부분을 갖는 진동판과, 제 1 방향의 한쪽측의 표면이 상기 진동판의 한쪽 주면의 상기 제 2 부분에 접합되어 있고, 전기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을 따라 진폭이 변화하도록 상기 제 1 방향으로 굴곡 진동하는 진동소자를 적어도 갖고 있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수직인 제 3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소자와 상기 제 1 부분의 간격을 제 1 간격이라고 하고,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소자와 상기 제 1 부분의 간격을 제 2 간격이라고 하면 상기 제 1 간격이 상기 제 2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상기 진동장치와, 상기 진동소자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전자회로를 적어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진동장치에 의하면 박형화 및 강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 의하면 박형화 및 음성 정보를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는 휴대단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 예의 진동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진동장치의 지지체를 투시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진동장치에 있어서의 진동소자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의 (a)~(e)는 도 5에 나타내는 진동소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진동소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2 예의 휴대단말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 예의 진동장치 및 비교예의 진동장치에서 발생시킨 소리의 음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진동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단말을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제 1 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 예의 진동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진동장치(15)의 지지체(11)를 투시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z 방향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도 4에 있어서는 도면 작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진동소자(14)의 상세한 구조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예의 진동장치(15)는 제 1 방향(도면의 z축 방향)이 두께 방향이고,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이 폭 방향이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수직인 제 3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이 길이 방향인 직육면체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예의 진동장치(15)는 지지체(11), 진동판(12), 및 진동소자(14)를 갖고 있다.
지지체(11)는 1개의 면이 개구된 상자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지지체(11)는 강성 및 탄성이 큰 합성수지 등의 재료를 적합하게 사용해서 형성할 수 있지만, 금속 등의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지지체(11)는 상자상 이외의 형상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프레임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지지체(11)는 1개의 물체일 필요는 없다. 지지체(11)는 복수의 물체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진동판(12)은 직사각형의 박판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제 1 방향(도면의 z축 방향)이 두께 방향이고, 제 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이 폭 방향이며, 제 3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또한, 진동판(12)은 한쪽 주면(도면의 -z 방향측의 주면)의 둘레가장자리가 지지체(11)에 접합되어 지지되어 있고, 지지체(11)에 접합된 제 1 부분(12a)과, 제 1 부분(12a)의 내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지지체(11)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제 2 부분(12b)을 갖고 있다. 진동판(12)은 아크릴 수지나 유리 등의 강성 및 탄성이 큰 재료를 적합하게 사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진동판(12)의 두께는 예를 들면 0.4㎜~1.5㎜ 정도로 설정된다. 지지체(11)와 진동판(12)의 접합에는 예를 들면 기존의 각종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진동소자(14)는 직육면체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제 1 방향(도면의 z축 방향)이 두께 방향이고, 제 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이 길이 방향이며, 제 3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이 폭 방향이다. 즉, 진동소자(14)의 길이 방향이 진동판(12)의 폭 방향에 일치하고, 진동소자(14)의 폭 방향이 진동판(12)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도록 진동소자(1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진동소자(14)는 제 1 방향의 한쪽측(도면의 +z 방향측)의 표면이 진동판(12)의 한쪽 주면(도면의 -z 방향측의 주면)의 제 2 부분(12b)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진동소자(14)는 제 2 부분(12b)에 있어서의 제 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의 중앙이고, 또한 제 3 방향의 한쪽측(도면의 +y 방향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접합되어 있다.
도 5는 진동소자(14)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의 (a)~(e)는 진동소자(14)가 갖는 전극(21~25)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제 1 방향(도면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21~25)의 위치 관계와, 전극(21~25) 사이에 배치된 압전체층(27)의 분극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의 (a)~(d)는 제 1 방향의 한쪽측(도면의 +z 방향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6의 (e)는 제 1 방향의 다른쪽측(도면의 -z 방향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는 적층체(20), 제 1~제 3 단자전극 및 압전체층(27)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진동소자(14)는 적층체(20), 제 1 단자전극(41), 제 2 단자전극(42), 및 제 3 단자전극(도시 생략)을 갖고 있다. 적층체(20)의 제 2 방향의 한쪽측(도면의 +x 방향측)의 끝면에는 제 1 방향(도면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 끝면에 걸치도록 제 1 단자전극(41) 및 제 2 단자전극(4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적층체(20)의 제 2 방향의 다른쪽측(도면의 -x 방향측)의 끝면에는 제 3 단자전극(도시 생략)이 배치되어 있다.
적층체(20)는 제 1 방향(도면의 z축 방향)으로 분극된 복수층의 압전체층(27)과 복수의 편평상의 전극(21~25)이 제 1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전극(23)은 적층체(20)의 제 1 방향의 한쪽측(도면의 +z 방향측)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25)은 적층체(20)의 제 1 방향의 다른쪽측(도면의 -z 방향측)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21), 전극(22) 및 전극(24)은 적층체(20)의 내부에 각각 복수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21) 또는 전극(22)과, 전극(23) 또는 전극(24) 또는 전극(25)이 제 1 방향(도면의 z축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방향의 한쪽측(도면의 +z 방향측)에서는 전극(23) 또는 전극(24)과 전극(21)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제 1 방향의 다른쪽측(도면의 -z 방향측)에서는 전극(24) 또는 전극(25)과 전극(22)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전극(21)은 적층체(20)의 측면과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본체부(21a)의 한쪽 끝에 직사각형상의 인출부(21b)의 한쪽 끝을 접속시킨 구조를 갖고 있다. 인출부(21b)의 다른쪽 끝은 제 1 단자전극(41)에 접속되어 있다. 전극(22)은 적층체(20)의 측면과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본체부(22a)의 한쪽 끝에 직사각형상의 인출부(22b)의 한쪽 끝을 접속시킨 구조를 갖고 있다. 인출부(22b)의 다른쪽 끝은 제 2 단자전극(42)에 접속되어 있다. 전극(23, 24, 25)의 각각은 길이 방향의 한쪽 끝만이 적층체(20)의 측면에 노출된 직사각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전극(23, 24, 25)의 각각의 길이 방향의 한쪽 끝은 제 3 단자전극(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극(21~25) 사이에 배치된 압전체층(27)은 도 7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분극되어 있다. 즉, 제 1 방향의 한쪽측(도면의 +z 방향측)에서는 전극(21)으로부터 전극(23, 24)을 향하는 방향으로 분극되어 있고, 제 1 방향의 다른쪽측(도면의 -z 방향측)에서는 전극(24, 25)으로부터 전극(22)을 향하는 방향으로 분극되어 있다. 그리고, 진동소자(14)를 진동시킬 때에는 예를 들면 전극(21, 22)이 동 전위로 되고, 전극(23, 24, 25)이 동 전위로 됨과 아울러 전극(21, 22)과 전극(23, 24, 25)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도록 교류전압을 추가한다. 이것에 의해, 진동소자(14)는 소정 순간에 가하여지는 전계의 방향에 대한 분극의 방향이 제 1 방향(도면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과 다른쪽측에서 역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신호가 가하여져서 어느 순간에 제 1 방향의 한쪽측(도면의 +z 방향측)이 제 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에 있어서 신장될 때에는 제 1 방향의 다른쪽측(도면의 -z 방향측)이 제 2 방향에 있어서 줄어들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진동소자(14)는 전기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을 따라 진폭이 변화하도록 제 1 방향으로 굴곡 진동한다. 이렇게, 진동소자(14)는 바이모르프 구조를 갖는 압전체(압전 바이모르프소자)로 구성된 압전진동소자이다.
진동소자(14)에 있어서 적층체(20)는, 예를 들면 길이 18㎜~28㎜ 정도, 폭 1㎜~6㎜ 정도, 두께 0.2㎜~1.0㎜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전극(21~25)의 길이는 예를 들면 17㎜~25㎜ 정도, 전극(21~25)의 폭은 예를 들면 0.5㎜~1.5㎜ 정도로 할 수 있다.
적층체(20)를 구성하는 압전체층(27)은 예를 들면 티탄산납(PT), 티탄산지르콘산납(PZT), Bi층상 화합물, 텅스텐브론즈 구조 화합물 등의 비납계 압전체 재료 등을 적절하게 사용해서 형성할 수 있지만, 다른 압전 재료를 이용하여도 상관없다. 압전체층(27)의 1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0.01~0.1㎜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전극(21, 22, 24)은, 예를 들면 은이나 은과 팔라듐의 합금 등의 금속 성분에 추가하여 세라믹 성분이나 유리 성분을 함유시킨 것을 적합하게 사용해서 형성할 수 있지만, 다른 기지의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해도 상관없다. 전극(23, 25) 및 제 1~제 3 단자전극은 은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성분 및 유리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은 이외의 금속이어도 상관없다.
이러한 진동소자(14)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우선, 압전 재료의 분말에 바인더, 분산제, 가소제, 용제를 첨가해서 교반하여 슬러리를 제작하고, 얻어진 슬러리를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여 그린 시트를 제작한다. 이어서, 그린 시트에 도체 페이스트를 인쇄해서 전극(21, 22, 24)이 되는 전극 패턴을 형성하고, 이 전극 패턴이 형성된 그린 시트를 적층하고, 프레스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스해서 적층 성형체를 제작한다. 그 후, 탈지 및 소성하고, 소정 치수로 컷팅함으로써 적층체를 얻는다. 이어서, 전극(23, 25) 및 제 1 단자전극(41), 제 2 단자전극(42) 및 제 3 단자전극(도시 생략)을 형성하기 위한 도체 페이스트를 인쇄하고, 소정의 온도로 베이킹한 후에 제 1~제 3 단자전극을 통해서 직류 전압을 인가해서 압전체층(27)의 분극을 행한다. 이렇게 하여, 진동소자(14)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진동소자(14)와 진동판(12)의 접합에는 예를 들면 기존의 각종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적층체(20)의 제 1 방향(도면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끝면에 전극이 노출되어 있으면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압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형성해도 상관없다. 그러한 경우에는 보호층의 두께를 충분히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예의 진동장치(15)는 전기신호를 가해서 진동소자(14)를 굴곡 진동시킴으로써 진동판(12)을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예의 진동장치(15)는 진동소자(14)의 제 1 방향의 한쪽측(도면의 +z 방향측)의 표면이 진동판(12)의 한쪽 주면(도면의 -z 방향측의 주면)의 제 2 부분(12b)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예의 진동장치(15)는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진동장치(15)는 진동소자(14)가 제 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진동판(12)에 제 2 방향의 굴곡 진동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진동장치(15)는 제 3 방향(도면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소자(14)와 제 1 부분(12a)의 간격을 제 1 간격(d1)이라고 하고, 제 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소자(14)와 제 1 부분(12a)의 간격을 제 2 간격(d2)이라고 하면 제 1 간격(d1)이 제 2 간격(d2)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본 예의 진동장치(15)는 진동판(12)을 강하게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진동장치(15)는 제 1 간격(d1)과 제 2 간격(d2) 사이에 d1/d2≥1.5의 관계가 성립한다. 이것에 의해, 본 예의 진동장치(15)는 진동판(12)을 더욱 강하게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방향(도면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소자(14)와 제 1 부분(12a)의 간격이 제 3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소자(14)의 양측에서 다른 경우에는 작은 쪽의 간격을 제 1 간격(d1)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소자(14)와 제 1 부분(12a)의 간격이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소자(14)의 양측에서 다른 경우에는 작은 쪽의 간격을 제 2 간격(d2)이라고 한다. 즉, 제 1 간격(d1)은 제 3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소자(14)와 제 1 부분(12a)의 간격의 최소값이고, 제 2 간격(d2)은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소자(14)와 제 1 부분(12a)의 간격의 최소값이다.
발명자가 진동소자(14)를 부착하는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켜서 진동판(12)의 진동의 강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 진동소자(14)를 제 1 부분(12a)에 지나치게 근접시키면 진동판(12)의 진동이 극단적으로 약해져 버리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진동판(12)을 강하게 진동시키기 위해서 특히 중요한 것은 제 1 간격(d1)이고, 제 1 간격(d1)을 적어도 제 2 간격(d2)보다 크게 하는 것이 진동판(12)을 강하게 진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제 1 간격(d1)을 제 2 간격(d2)의 1.5배 이상으로 함으로써 제 2 부분(12b)의 제 3 방향(도면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진동소자(14)를 배치했을 경우와 같은 정도로 진동판(12)을 강하게 진동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 2 간격(d2)도 지나치게 작으면 진동판(12)의 진동이 약해져 버리므로 제 2 간격(d2)은 진동소자(14)의 제 2 방향(도면의 x축 방향) 길이의 0.3배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예의 진동장치(15)는 각각의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진동소자(14)와 진동판(12)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판(12)의 진동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진동소자(14)를 진동판(12)의 둘레가장자리부에 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진동판(12)의 진동이 특정 주파수에 있어서 급격하게 강해지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제 2 예)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2 예의 휴대단말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는 진동소자(14)의 상세한 구조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제 1 예와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하고, 마찬가지의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예의 휴대단말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제 1 예의 진동장치(15), 전자회로(17), 및 디스플레이(18)를 갖고 있다.
전자회로(17)는 진동소자(14)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이 전기신호에는 음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전자회로(17)에는 디스플레이(18)에 표시시키는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회로나 통신회로 등의 다른 회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자회로(17)와 진동소자(14)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8)는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표시장치이고,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기지의 디스플레이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8)는 터치패널과 같은 입력장치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본 예의 휴대단말에 있어서는 진동판(12)은 디스플레이(18)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8)와 일체화되어 있고, 디스플레이(18)를 보호하는 커버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진동판(12)은 터치패널과 같은 입력장치를 갖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예의 휴대단말은 진동소자(14)를 진동시킴으로써 진동판(12)을 진동시켜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음향에 의해 음성 정보를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진동판(12) 또는 지지체(11)를 직접 또는 다른 것을 통하여 귀 등의 인체의 일부에 접촉시켜서 진동을 전함으로써 음성 정보를 전달해도 좋다.
본 예의 휴대단말은 박형이고 강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장치(15)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박형화 및 음성 정보를 명료하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단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예의 휴대단말은 진동하고 있는 진동판(12)의 제 1 면(12c) 내의 위치에 따른 진폭의 차이가 최소값에 대한 최대값의 비로 60dB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진동소자(14)에 음성 정보를 갖는 전기신호를 줌으로써 진동판(12)을 진동시켜서 진동판(12)의 제 1 면(12c)의 진폭과 진동판(12)의 제 1 면(12c)에 귀를 근접시켰을 때 들리는 정도를 비교한 결과, 음성 정보를 취득하는(회화의 내용을 알아듣는) 것이 가능한 최소의 진폭에 대한 소리가 지나치게 커서 고통을 느끼는 진폭의 비가 60dB이었다. 또한, 이 60dB이라는 값은 조용한 회화를 알아들을 수 있는 청력인 40dB과 귓전에서 외치는 소리를 알아들을 수 있는 청력인 100dB의 차와 일치한다. 또한, 진동판(12)의 제 1 면(12c)의 진폭과 진동판(12)의 제 1 면(12c)에 근접한 공간에 있어서의 음압은 비례 관계에 있다.
진동하고 있는 진동판(12)의 제 1 면(12c) 내의 위치에 따른 진폭의 차이가 최소값에 대한 최대값의 비로 60dB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진동판(12)의 제 1 면(12c)에 있어서의 어느 부분을 귀에 근접시켜도 음성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휴대단말에 의하면 특별히 주의하지 않고 귀에 근접 또는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음성 정보를 양호하게 취득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단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진동하고 있는 진동판(12)의 제 1 면(12c) 내의 위치에 따른 진폭의 차이가 최소값에 대한 최대값의 비로 20dB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진동소자(14)에 음성 정보를 갖는 전기신호를 줌으로써 진동판(12)을 진동시켜서 진동판(12)의 제 1 면(12c)의 진폭과 진동판(12)의 제 1 면(12c)에 귀를 근접시켰을 때 들리는 정도를 비교한 결과, 진동하고 있는 진동판(12)의 제 1 면(12c) 내의 위치에 따른 진폭의 차이가 최소값에 대한 최대값의 비로 20dB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진동판(12)의 제 1 면(12c)에 있어서의 어느 부분을 귀에 근접시켜도 작은 소리의 회화부터 큰 소리의 회화까지 양호하게 알아들을 수 있었다. 또한, 조용한 회화를 알아들을 수 있는 청력은 40dB이고, 큰 소리의 회화를 알아들을 수 있는 청력은 80dB이다. 즉, 회화 중의 작은 소리와 큰 소리에는 40dB의 레벨차가 존재한다. 음성 정보를 취득하는(회화의 내용을 알아듣는) 것이 가능한 최소의 진폭에 대한 소리가 지나치게 커서 고통을 느끼는 진폭의 비인 60dB로부터, 회화 중의 작은 소리와 큰 소리의 레벨차인 40dB을 빼면 20dB이 된다. 이 점에서도 진동하고 있는 진동판(12)의 제 1 면(12c) 내의 위치에 따른 진폭의 차이가 최소값에 대한 최대값의 비로 20dB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진동판(12)의 제 1 면(12c)에 있어서의 어느 부분을 귀에 근접시켜도 작은 소리의 회화부터 큰 소리의 회화까지 양호하게 알아들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진동판(12)의 제 1 면(12c) 내의 위치에 따른 진폭의 차이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진동판(12)의 주위를 지지체(11)에 강고하게 접합하도록 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진동판(12)의 진폭은 작아지지만 제 1 면(12c) 내의 위치에 따른 진폭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진동판(12)을 지지체(11)에 강고하게 접합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진동판(12)과 지지체(11)를 접합하는 부재(접착제 등)의 탄성률을 크게 하면 되고, 또한 진동판(12)의 지지체(11)에 접합된 제 1 부분(12a)의 면적을 크게 해도 된다.
또한, 본 예의 휴대단말은 진동하고 있는 진동판(12)의 제 1 면(12c) 내의 임의의 위치인 A점에 있어서 A점에 10N의 가중을 가한 경우와 가중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 진폭의 차이가 10N의 가중을 가한 경우의 진폭에 대한 가중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 진폭의 비로 60dB 이하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화시에 휴대단말을 귀에 접촉시켰을 때에 휴대단말에 가해지는 가중을 측정한 결과 강하게 댄 경우에 약 10N이었다. 따라서, 진동하고 있는 진동판(12)의 제 1 면(12c) 내의 임의의 위치인 A점에 있어서 A점에 10N의 가중을 가한 경우와 가중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 진폭의 차이가 10N의 가중을 가한 경우의 진폭에 대한 가중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 진폭의 비로 60dB 이하이도록 함으로써 특별히 주의하지 않고 귀에 근접 또는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음성 정보를 양호하게 취득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단말을 얻을 수 있다. 즉, 귀에 근접시켜도, 귀에 약하게 접촉시켜도, 귀에 강하게 접촉시켜도 음성 정보를 양호하게 취득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단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진동하고 있는 진동판(12)의 제 1 면(12c) 내의 임의의 위치인 A점에 있어서 A점에 10N의 가중을 가한 경우와 가중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 진폭의 차이가 10N의 가중을 가한 경우의 진폭에 대한 가중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 진폭의 비로 20dB 이하이도록 함으로써 특별히 주의하지 않고 귀에 근접 또는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작은 소리의 회화부터 큰 소리의 회화까지 양호하게 알아들을 수 있다. 즉, 귀에 근접시켜도, 귀에 약하게 접촉시켜도, 귀에 강하게 접촉시켜도 작은 소리의 회화부터 큰 소리의 회화까지 양호하게 알아듣는 것이 가능한 휴대단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진동하고 있는 진동판(12)의 제 1 면(12c)에 가중을 가한 경우와 가중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 진폭의 차이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판(12)과 진동소자(14)를 접합하는 부재의 탄성률을 작게 하면 좋다. 또한, 진동판(12)을 지지체(11)에 강고하게 접합하는 것도 효과가 있기 때문에 진동판(12)과 지지체(11)를 접합하는 부재의 탄성률을 크게 하는 것이 유효하고, 진동판(12)과 지지체(11)의 접합 면적을 크게 하는 것도 좋다.
또한, 본 예의 휴대단말은 진동하고 있는 진동판(12)의 제 1 면(12c) 내의 임의의 장소에 있어서의 그 장소에 10N의 가중을 가했을 때의 진폭의 제 1 면(12c) 내의 위치에 따른 차이가 최소값에 대한 최대값의 비로 60dB 이하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진동하고 있는 진동판(12)의 제 1 면(12c) 내의 임의의 장소에 있어서 그 장소에 10N의 가중을 가했을 때의 그 장소의 진폭을 측정했을 때에, 제 1 면(12c) 내의 위치에 따른 차이가 최소값에 대한 최대값의 비로 60dB 이하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진동판(12)의 제 1 면(12c)에 있어서의 어느 부분을 귀에 대어도 음성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히 주의하지 않고 귀에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음성 정보를 양호하게 취득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단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진동하고 있는 진동판(12)의 제 1 면(12c) 내의 임의의 장소에 있어서의 그 장소에 10N의 가중을 가했을 때의 진폭의 제 1 면(12c) 내의 위치에 따른 차이가 최소값에 대한 최대값의 비로 20dB 이하이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진동판(12)의 제 1 면(12c)에 있어서의 어느 부분을 귀에 대어도 작은 소리의 회화부터 큰 소리의 회화까지 양호하게 알아들을 수 있다.
또한, 양호한 음성 정보의 취득이 용이한 휴대단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음성 정보의 취득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진동판(12)의 아주 작은(micro) 영역에 있어서의 진폭의 변화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문제가 되는 것은 음성 정보의 취득에 영향을 끼치는 진동판(12)의 제 1 면(12c)에 있어서의 큰(macro)의 진폭의 변화이다. 따라서, 진폭의 측정시에는 소정의 크기를 구비한 가속도 센서를 진동판(12)의 제 1 면(12c)에 부착하고, 가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로부터 진폭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간의 회화의 주파수는 500Hz~2kHz 정도라고 말하여지고 있지만, 진동판(12)의 제 1 면(12c) 내의 큰 진폭의 주파수에 의한 변화는 작기 때문에 1kHz의 전기신호를 진동소자(14)에 입력했을 경우의 진폭을 측정하면 좋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 개량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의 제 1 예에 있어서는 제 2 부분(12b)의 제 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진동소자(14)가 배치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부분(12b)의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진동소자(14)가 배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제 1 예에 있어서는 진동소자(14)가 16층의 압전체층(27)을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전체층(27)의 수는 이것보다 많아도 적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제 2 예에 있어서는 실시형태의 제 1 예의 진동장치(15)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태의 진동장치를 갖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제 2 예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18)의 커버가 진동판(12)으로서 기능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8) 그 자체가 진동판(12)으로서 기능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실시예
(제 1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진동장치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 예의 진동장치 및 비교예의 진동장치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측정했다.
제작한 진동장치에 있어서 지지체(11)는 알루미늄제의 프레임 형상의 것을 사용했다. 진동판(12)은 길이가 96㎜이고, 폭이 49㎜이고, 두께 0.7㎜인 유리판을 사용하고, 제 1 방향의 다른쪽측(도면의 -z 방향측)의 주면의 둘레가장자리를 4㎜의 폭으로 지지체(11)에 접착해서 고정했다. 즉, 진동판(12)의 둘레가장자리의 4㎜폭의 부분이 제 1 부분(12a)이 되고, 그 내측의 길이 88㎜이고 폭 41㎜인 부분이 제 2 부분(12b)이 되도록 했다. 진동판(12)과 지지체(11)의 접착에는 두께 0.2㎜의 양면 테이프를 사용했다.
진동소자(14)는 길이 23.5㎜이고, 폭이 3.3㎜이고, 두께가 0.5㎜인 직육면체상으로 했다. 또한, 진동소자(14)는 두께가 30㎛ 정도인 압전체층(27)과 내부전극(21~25)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하고, 압전체층(27)의 총 수는 16층으로 했다. 압전체층(27)은 Zr의 일부를 Sb로 치환한 티탄산지르콘산납(PZT)으로 형성했다. 진동판(12)과 진동소자(14)의 접착에는 부직포 기재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제가 도포된 두께가 0.2㎜인 양면 테이프를 사용했다. 그리고, 진동소자(14)의 제 1 방향의 한쪽측(도면의 +z 방향측) 표면의 전체를 진동판(12)에 부착했다. 또한, 진동소자(14)는 제 2 부분(12b)의 제 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했다.
그리고, 제 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소자(14)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제 1 간격(d1)의 제 2 간격(d2)에 대한 비인 d1/d2를 변경하여 d1/d2가 각각 1.5, 2.6, 4.8인 3개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예의 진동장치(15)와, d1/d2가 각각 0.4, 1.0인 2개의 비교예의 진동장치를 제작했다. 또한, d1/d2=4.8인 진동장치(15)는 제 2 부분(12b)의 제 3 방향(도면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진동소자(14)를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제작한 진동장치의 진동판(12)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의 음압을 측정했다. 측정시에는 진동판(12)의 제 1 방향의 한쪽측(도면의 +z 방향측)의 표면으로부터 10㎜ 떨어진 위치에 마이크를 설치하고, 전압이 30Vp-p인 정현파 신호를 진동소자(14)에 입력하여 마이크에서 검출되는 음압을 측정했다. 또한, 진동소자(14)에 입력하는 정현파 신호의 주파수를 1kHz, 1.5kHz, 2kHz의 3단계로 변화시키고, 각각의 주파수에서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도 11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도 11의 그래프에 있어서 가로축은 제 1 간격(d1)의 제 2 간격(d2)에 대한 비인 d1/d2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을 나타낸다. 또한, 진동소자(14)에 입력하는 정현파 신호의 주파수가 1kHz일 때의 측정 결과를 ○표시로 나타내고, 주파수가 1.5kHz일 때의 측정 결과를 △표시로 나타내고, 주파수가 2kHz일 때의 측정 결과를 □표시로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내는 그래프에 의하면 d1을 d2보다 크게 함으로써 진동판(12)의 진동을 강하게 하여 충분한 음압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d1/d2≥1.5로 함으로써 진동판(12)의 제 3 방향(도면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진동소자(14)를 배치했을 때와 같은 정도의 음압을 갖는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2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10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2 예의 휴대단말을 제작하고, 그 평가를 행했다.
우선, 도 8~10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2 예의 휴대단말을 제작했다. 진동판(12)은 길이가 95㎜이고, 폭이 48㎜이며, 두께 0.7㎜인 유리판으로 했다. 진동소자(14)는 길이 25.0㎜이고, 폭이 4.0㎜이며, 두께가 0.75㎜인 직육면체상으로 했다. 또한, 진동소자(14)는 두께가 30㎛ 정도인 압전체층과 전극층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하고, 압전체층의 총 수는 24층으로 했다. 압전체층은 Zr의 일부를 Sb로 치환한 티탄산지르콘산납(PZT)으로 형성했다. 진동판(12)과 진동소자(14)의 접합에는 부직포 기재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제가 도포된 두께가 0.16㎜인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고, 진동소자(14)의 +z 방향측의 표면의 전체면에 부착했다. 진동판(12)과 지지체(11)의 접합에는 부직포 기재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제가 도포된 두께 0.15㎜의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고, 진동판(12)의 제 1 면(12c)과 반대측 표면의 주위 전체를 지지체(11)에 접합했다. 지지체(11)는 합성수지제의 것을 사용했다.
그리고, 진동소자(14)에 전기신호를 입력하고, 진동판(12)의 제 1 면(12c) 내의 각 부에 있어서의 진폭을 측정했다. 진폭의 측정에 있어서는 우선 제 1 면(12c) 내의 측정 포인트에 가속도 센서를 설치하고, 그 위치에 있어서의 가속도의 측정치로부터 진폭을 산출했다. 이어서, 가속도 센서의 위로부터 압박해서 10N의 가중을 가한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진폭의 측정을 행했다. 그리고, 이들 작업을 측정 포인트를 변경하여 진동판(12)의 제 1 면(12c) 내의 각 부에서 행했다.
또한, 진동소자(14)에 입력하는 전기신호는 1kHz에서 30Vpp의 사인파로 하고, 신시사이즈드 펑션 제너레이터(Synthesized Function Generator)(요코가와미터 & 인스트루먼트 가부시키가이샤제의 FG110)로 발생시킨 신호를 전력증폭기(마츠사다프리시전 가부시키가이샤제의 POP120-2.5)로 증폭함으로써 생성했다.
가속도 센서는 NEC Avio 세키가이센 테크놀러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SV1109를 사용하고, 가속도 센서의 직경 8㎜의 원형의 면을 진동판(12)의 제 1 표면(12c)의 소정 위치에 접착제로 부착했다. 그리고, 가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하 신호를 전하증폭기(NEC Avio 세키가이센 테크놀러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AG2101)로 전압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오실로스코프(요코가와덴키제의 DL1540)를 이용하여 전압값을 판독하고, 전하증폭기에 첨부의 전압값과 가속도의 변환식을 이용하여 가속도를 구했다. 그리고, 진동소자(14)에 입력한 전기신호의 각주파수(角周波數)를 ω, 가속도를 α, 진폭을 β로 하고, β=2α/ω2로 나타내어지는 식을 이용하여 진폭(β)을 구했다.
가속도 센서의 위로부터 가하는 가중의 측정에는 로드셀(미네베아 가부시키가이샤제의 C2G1-6K-A)을 사용하고, 로드셀에 접속한 디지털피크홀더(미네베아 가부시키가이샤제 CSD-819C)에 표시되는 하중의 값을 판독했다. 또한, 로드셀은 휴대단말의 아래에 배치했다.
즉, 로드셀의 위에 설치한 판 위에 진동판(12)의 제 1 면(12c)이 상측이 되도록 휴대단말을 올려놓고, 진동판(12)의 제 1 면(12c) 상의 측정 포인트에 가속도 센서를 부착했다. 그리고, 우선은 이 상태에서 가속도 센서에 전기신호를 입력하여 가중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진폭을 측정했다. 이어서, 가속도 센서의 위로부터 10N의 가중을 가하고, 이 상태에서 가속도 센서에 전기신호를 입력하여 가중을 가한 상태에 있어서의 진폭을 측정했다.
측정의 결과, 가중을 가하지 않은 상태의 비교에서는 제 1 면(12c)에 있어서 진폭이 가장 작은 위치의 진폭이 0.58㎛이고, 진폭이 가장 큰 위치의 진폭이 2.98㎛이었다. 최소값의 진폭 0.58㎛에 대한 최대값의 진폭 2.98㎛의 비는 14.2dB이었다. 또한, 제 1 면(12c)에 있어서 진폭이 가장 큰 위치는 반대측의 표면에 진동소자(14)가 부착된 장소이고, 제 1 면(12c)에 있어서 진폭이 가장 작은 위치는 진동판(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진동소자(14)가 부착된 측과 반대측의 단부이었다. 이것은 진동소자(14)에 입력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를 변화시켜도 같았다.
또한, 제 1 면(12c)에 있어서 하중을 가하지 않은 경우와 10N의 가중을 가한 경우에서 진폭이 가장 크게 변화한 것은 반대측의 표면에 진동소자(14)가 부착된 장소이고, 10N의 가중을 가한 경우의 진폭은 0.57㎛이었다. 10N의 가중을 가한 경우의 진폭에 대한 가중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 진폭의 비는 14.3dB이었다.
또한, 10N의 가중을 가했을 때의 그 장소의 진폭에 대해서는 제 1 면(12c) 내에서 가장 진폭이 작은 장소의 진폭이 0.15㎛이고, 제 1 면(12c) 내에서 가장 진폭이 큰 장소의 진폭이 0.57㎛이었다. 최소값의 진폭 0.15㎛에 대한 최대값의 진폭 0.57㎛의 비는 11.6dB이었다.
이어서, 진동소자(14)에 통상의 음성신호를 입력하고, 진동판(12)의 제 1 면(12c)을 귀에 근접 또는 접촉시켜서 들리는 정도를 평가했다. 그 결과, 제 1 면(12c)을 특별히 주의하지 않고 귀에 근접 또는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작은 소리부터 큰 소리까지 양호하게 알아들을 수 있고, 음성 정보를 양호하게 취득할 수 있었다. 이것은 제 1 면(12c)이 귀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 1 면(12c)을 귀에 댄 상태에서도 같았다. 또한, 제 1 면(12c)의 어느 부분이 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해도 같았다. 또한, 제 1 면(12c)을 귀에 접촉시키면 소음 환경하에 있어서도 음성 정보를 양호하게 취득할 수 있었다.
11 : 지지체 12 : 진동판
12a : 제 1 부분 12b : 제 2 부분
12c : 제 1 면 14 : 진동소자
15 : 진동장치 17 : 전자회로
21, 22, 23, 24, 25 : 전극 27 : 압전체층
d1 : 제 1 간격 d2 : 제 2 간격

Claims (11)

  1. 지지체와,
    둘레가장자리가 상기 지지체에 접합되어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에 접합된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체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제 2 부분을 갖는 진동판과,
    제 1 방향의 한쪽측의 표면이 상기 진동판의 한쪽 주면의 상기 제 2 부분에 접합되어 있고, 전기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을 따라 진폭이 변화하도록 상기 제 1 방향으로 굴곡 진동하는 진동소자를 적어도 갖고 있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수직인 제 3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소자와 상기 제 1 부분의 간격을 제 1 간격이라고 하고,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소자와 상기 제 1 부분의 간격을 제 2 간격이라고 하면, 상기 제 1 간격이 상기 제 2 간격보다 크고,
    상기 진동판은 다른쪽 주면인 제 1 면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전기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진동소자가 진동함으로써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며,
    진동하고 있는 상기 진동판의 상기 제 1 면 내의 임의의 위치인 A점에 있어서 상기 A점에 10N의 가중을 가한 경우와 가중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 진폭을 측정했을 때에, 10N의 가중을 가했을 경우의 진폭에 대한 가중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 진폭의 비가 60d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간격을 d1이라고 하고, 상기 제 2 간격을 d2라고 하면 d1/d2≥1.5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진동하고 있는 상기 진동판의 상기 제 1 면 내의 임의의 장소에 있어서의 그 장소에 10N의 가중을 가했을 때의 진폭의 상기 제 1 면 내의 위치에 따른 차이가 최소값에 대한 최대값의 비로 60d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진동장치와, 상기 진동소자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전자회로를 적어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진동하고 있는 상기 진동판의 상기 제 1 면 내의 임의의 위치인 A점에 있어서 상기 A점에 10N의 가중을 가한 경우와 가중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 진폭을 측정했을 때에, 10N의 가중을 가했을 경우의 진폭에 대한 가중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 진폭의 비가 20d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8. 제 7 항에 기재된 진동장치와, 상기 진동소자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전자회로를 적어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9. 지지체와,
    둘레가장자리가 상기 지지체에 접합되어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에 접합된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체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제 2 부분을 갖는 진동판과,
    제 1 방향의 한쪽측의 표면이 상기 진동판의 한쪽 주면의 상기 제 2 부분에 접합되어 있고, 전기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을 따라 진폭이 변화하도록 상기 제 1 방향으로 굴곡 진동하는 진동소자를 적어도 갖고 있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수직인 제 3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소자와 상기 제 1 부분의 간격을 제 1 간격이라고 하고,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소자와 상기 제 1 부분의 간격을 제 2 간격이라고 하면, 상기 제 1 간격이 상기 제 2 간격보다 크고,
    상기 제 1 간격을 d1이라고 하고, 상기 제 2 간격을 d2라고 하면, d1/d2≥1.5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기재된 진동장치와, 상기 진동소자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전자회로를 적어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137010414A 2012-03-30 2012-07-31 진동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단말 KR101487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80741 2012-03-30
JPJP-P-2012-080741 2012-03-30
JP2012110131 2012-05-12
JPJP-P-2012-110131 2012-05-12
PCT/JP2012/069416 WO2013145357A1 (ja) 2012-03-30 2012-07-31 振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764A KR20130133764A (ko) 2013-12-09
KR101487268B1 true KR101487268B1 (ko) 2015-01-28

Family

ID=4925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414A KR101487268B1 (ko) 2012-03-30 2012-07-31 진동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19222B2 (ko)
JP (1) JP5409926B1 (ko)
KR (1) KR101487268B1 (ko)
CN (1) CN104170406B (ko)
WO (1) WO2013145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1937B2 (en) * 2014-03-25 2017-02-14 Kyocera Corporation Acoustic generator, and acoustic gen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JP7128628B2 (ja) * 2018-01-30 2022-08-31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圧電セラミック部品及び圧電デバイス
DE102018210486A1 (de) * 2018-06-27 2020-01-02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fassen von Umgebungsgeräusch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2009A (ja) * 2005-09-15 2007-03-29 Nec Saitama Ltd パネルスピーカ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7796U (ko) 1979-01-20 1980-07-28
JP3798647B2 (ja) 2001-04-27 2006-07-19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圧電型スピーカ
JP4174471B2 (ja) * 2004-12-28 2008-10-29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及びその実装構造
JP2006203563A (ja) * 2005-01-20 2006-08-03 Nippon Soken Inc 超音波センサ
JP2006238072A (ja) 2005-02-25 2006-09-07 Nec Tokin Corp 音響振動発生用圧電バイモルフ素子
CN102265646B (zh) * 2008-12-26 2014-04-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压电扬声器、使用其的压电音响装置以及带警报器的传感器
JP4953327B2 (ja) * 2009-11-12 2012-06-13 Smk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の保持構造
JP2013255212A (ja) * 2011-09-13 2013-12-19 Kddi Corp 通話装置
US9070864B2 (en) * 2011-09-30 2015-06-30 Koycera Corporation Piezoelectric vibra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WO2013051328A1 (ja) * 2011-10-03 2013-04-11 京セラ株式会社 圧電振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EP2822297B1 (en) * 2012-02-28 2020-01-08 Kyocera Corporation Piezoelectric vibration element, piezoelectric vibration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2009A (ja) * 2005-09-15 2007-03-29 Nec Saitama Ltd パネルスピー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5357A1 (ja) 2013-10-03
CN104170406A (zh) 2014-11-26
JP5409926B1 (ja) 2014-02-05
JPWO2013145357A1 (ja) 2015-12-10
KR20130133764A (ko) 2013-12-09
CN104170406B (zh) 2017-10-13
US9219222B2 (en) 2015-12-22
US20150028721A1 (en)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8577B2 (ja) 圧電振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KR101524103B1 (ko)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단말
KR101487268B1 (ko) 진동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단말
US9848268B2 (en) Acoustic generator, acoustic gen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501624B1 (ko) 휴대단말
WO2013168478A1 (ja) 圧電振動素子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圧電振動装置および携帯端末
JP5225518B1 (ja) 圧電振動素子,圧電振動装置および携帯端末
JP5940947B2 (ja) 圧電振動素子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圧電振動装置および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