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903B1 - 카테터 고정기 - Google Patents

카테터 고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903B1
KR101486903B1 KR20140056985A KR20140056985A KR101486903B1 KR 101486903 B1 KR101486903 B1 KR 101486903B1 KR 20140056985 A KR20140056985 A KR 20140056985A KR 20140056985 A KR20140056985 A KR 20140056985A KR 101486903 B1 KR101486903 B1 KR 101486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skin
patient
liquid lin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6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수
박명수
Original Assignee
이레에스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레에스아이(주) filed Critical 이레에스아이(주)
Priority to KR20140056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4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fixed on the skin having a cover for covering the hol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카테터 고정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기는, 카테터(catheter)가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 본체; 및 상기 고정 본체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환자의 피부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플렉시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테터 고정기{CATHETER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카테터 고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테터를 환자의 피부에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할 수 있고, 카테터를 고정한 후 환자의 간염 및 혈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카테터 고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catheter)는, 환자의 신체 일부분에 삽입되어 체강(늑막강 ·복막강) 또는 관상(管狀) ·낭상(囊狀) 기관(소화관 ·방광 등)의 내용액의 배출을 측정 또는 혈액 투석 및 약물 주입을 위해 사용되는 기구이다.
카테터는 혈액의 투석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A-V fistula (Ateriovenous fistula) 동정맥루, 정맥관, 복막 투석 카테터 등으로 나누어지며, 정맥을 통하여 중심정맥에 삽입되어 약물이 주입되는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은 Hickman catheter와 chemo port 로 나누어진다.
각각의 카테터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V fistula (Ateriovenous fistula) 동정맥루는 혈액 투석을 위해 200-300ml의 일정한 혈류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큰 혈관이 필요하다. 동맥과 정맥이 연결되면 압력이 센 동맥혈이 정맥내로 흘러들어가 정맥혈관을 울혈(congestion)시키고 굵어지게 하여 투석에 이용할 수 있다. 투석 시 동맥바늘은 문합술 방향으로, 정맥바늘은 심장을 향하여 삽입해야 한다.
정맥관은 혈액 투석 시 일시적인 방법으로 사용된다. 쇄골하정맥, 내경정맥과 같은 큰 혈관에 경피적으로 카테터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합병증으로 기흉, 출혈, 동맥 손상, 상완신경의 손상, 협착 및 감염을 발생시킨다.
복막 투석 카테터의 이상적인 삽입부위는 비교적 혈관 분포가 적고 근막의 저항이 적은 배꼽주변 약 3~5cm 정도가 적당하다. 복막이 반투막 역할을 하여 투석액이 복강내에 주입되면 확산과 삼투를 통해 혈액내 노폐물과 수분이 투석액 쪽으로 끌어당겨 진다.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은 정맥을 통해 중심정맥에 삽입되는 관의 일종으로 삽입 위치에 따라 쇄골하 정맥으로 삽입되는 것과 팔에 있는 대정맥(척측피정맥)을 통하는 것으로 구분되는데, Hickman cathter, chemo port등이 있다.
중심정맥관의 히크만 카테터(Hickman catheter)는 카테터 삽입 시 가장 큰 합병증은 감염으로 세균 침입의 주된 경로가 피부와 카테터 연결 부위이다. 따라서 히크만 카테터의 상당부분을 피하에 심어 피부 카테터 부위와 삽입된 정맥 사이의 거리를 크게하여 세균침입을 줄인다.
또한 데프론 커프가 피하터널 중간에 위치하여 섬유아세포 성장촉진으로 터널을 밀폐시키며 해부학적 방어물 구실을 하므로 데프론 커프가 피부 밖으로 노출된 경우 감염의 위험성이 증가함으로 카테터를 제거해야 한다.
중심정맥관의 chemo port는 카테터의 입구를 피하조직에 설치한 중심 카테터의 일종으로 밖에 노출된 부분이 없으므로 관리하기가 쉽다.
또한, 카테터의 한쪽 끝은 혈관으로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피하에 연결된 포털에 연결된다. 투여하려는 약제를 특별히 고안된 바늘을 이용하여 피부를 뚫고 포탈에 직접 주입하여 카테터를 통하여 혈관으로 유입된다.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환자에게 직접 유동체(fluid)나 치료약을 투입시키거나 환자로부터 체액을 제거하는 카테터의 사용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편화 되어 있다. 종종, 환자가 치료를 계속 받고 있는 동안, 이러한 카테터의 삽입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카테터나 다른 수액 라인을 치료기간 동안 적절한 위치에 계속 유지시키기 위해 카테터나 수액 라인을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가장 흔한 방법으로는 카테터나 수액 라인을 환자에게 테이프로 붙이는 방법이 있다.
환자에게 테이프를 붙여 카테터를 고정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여러 단점이 있다. 테이프가 사용된 카테터 삽입 부위에는 환자에게 잠재적으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먼지나 다른 오염물질 입자들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는 카테터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도 없어서 정맥염(phlebitis), 침윤(infiltration) 및 카테터 이동(catheter migration)과 같은 카테터 동작관련 합병증을 유발한다. 그리고 테이핑(taping)한 붕대를 제거하는 것 자체로 환자 몸에 부착된 카테터가 뜻하지 않게 움직일 수 있다.
나아가 테이핑한 붕대는 규칙적으로 교환해주어야 한다. 환자의 몸에 하루에도 몇 번씩 테이프를 제거했다가 다시 붙이게 되면 붕대 부위의 피부가 손상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카테터 또는 의료용구에 테이프를 반복적으로 붙이게 되면, 카테터 또는 의료용구의 외부면에 접착성분이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남아있는 접착성분은 카테터 자체에 오염물질이 붙도록 하여, 카테터 삽입 부위의 감염 가능성을 높인다. 이렇게 남아 있는 접착성분은 카테터 또는 수액 라인을 끈적하게 만들어 의료 설비자들의 취급을 보다 어렵게 만든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카테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여 카테터를 고정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하우징에 유연성이 없어 하우징이 환자의 피부에 밀착되지 않아 본연의 기능인 카테터의 고정을 안정적으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0816486호(베네텍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2008.03.24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카테터를 환자의 피부에 밀착 고정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테터를 고정한 후 환자의 간염 및 혈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카테터 고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테터(catheter)가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 본체; 및 상기 고정 본체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환자의 피부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플렉시블부를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부는, 상기 고정 본체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플렉시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렉시블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본체의 연결 영역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은 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플레이트에는 상기 카테터에 연결된 수액 라인이 고정되는 수액라인 고정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본체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상기 카테터의 수용 공간으로 제공되는 돌출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 공간부에는 복수의 순환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고정 본체의 내부와 연통 되며 수액 라인이 지지 되는 절개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홀의 외벽에는 지지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수액 라인을 다단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와 상기 환자의 피부 사이에 마련되는 쿠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본체와 상기 플렉시블부를 환자의 피부에 부착시키는 부착부재; 상기 카테터와 연결되는 수액 라인을 환자의 피부에 고정시키는 수액라인 고정밴드; 및 상기 카테터가 위치되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피부를 보호하는 피부 보호 밴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정 본체의 가장자리에 환자의 피부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플렉시블부를 마련하여 카테터를 환자의 피부에 밀착 고정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카테터를 환자의 피부에 삽입한 후에도 카테터를 고정 본체에 의해 외부와 차단시켜 환자의 간염 및 혈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기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로서 쿠션부재와 피부 보호 밴드를 환자의 피부에 부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로서 커버에 수액 라인을 고정한 후 부착부재를 환자의 피부에 부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로서 카테터의 각도를 조절 후 수액 라인을 고정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로서 수액 라인을 수액라인 고정구에 고정시킨 후 수액라인 고정밴드를 부착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기의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기(1)는, 카테터(100, catheter)가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 본체(10)와, 고정 본체(1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환자의 피부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플렉시블부(20)와, 고정 본체(10)에 결합 되어 수액 라인(200)을 지지하는 커버(30)와, 고정 본체(10)와 플렉시블부(20)를 환자의 피부에 부착시키는 부착부재(40)와, 카테터(100)가 위치되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피부를 보호하는 피부 보호 밴드(50, 도 3 참조)와, 카테터(100)와 환자의 피부 사이에 마련되는 쿠션부재(60, 도 3 참조)와, 카테터(100)와 연결되는 수액 라인(200)을 환자의 피부에 고정시키는 수액라인 고정밴드(70, 도 6 참조)를 구비한다.
고정 본체(10)는, 카테터(100)가 삽입된 환자의 삽입 부위를 외부와 차단시켜 먼지나 다른 오염물질 입자들에 의해 환자가 간염 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카테터(100)에 연결되는 수액 라인(200)의 고정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고정 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부에 부착부재(40)가 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마련되어 카테터(100)의 수용 공간으로 제공되는 돌출 공간부(12)를 포함한다.
고정 본체(10)의 베이스 플레이트(11)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그 저면부에 부착되는 부착부재(40)에 의해 카테터(100)의 삽입 부위인 환자의 피부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본체(10)의 돌출 공간부(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 등이 카테터(100)의 삽입 부위로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돌출 공간부(12)는 베이스 플레이트(11)와 같이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측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순환홀(12a)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순환홀(12a)은 카테터(100)가 삽입된 피부의 표면에 신선한 공기가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을 줄이면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돌출 공간부(12)의 배면부에는 후술하는 커버(30)의 절개홀(31)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걸림 절개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걸림 절개홀에 카테터(100)와 연결되는 수액 라인(200)을 바로 고정할 수도 있고, 커버(30)에 마련된 절개홀(31)에 수액 라인(200)을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카테터(100)는 환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니들이 구비된 니들 조립체(110)와, 일측부에 니들 조립체(110)가 결합 되는 허브(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허브(120)의 타측부에는 약물이 전달되는 수액 라인(200)이 결합 될 수 있고, 수액 라인(200)은 니들 조립체(110)에 결합 되어 니들을 통해 약물이 주입될 수 있다.
플렉시블부(20)는, 고정 본체(10)의 가장자리에 환자의 피부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마련되어 고정 본체(10)와 플렉시블부(20)에 일측부가 부착되는 부착부재(40)를 환자의 피부에 견고히 밀착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플렉시블부(20)를 고정 본체(10)와 같이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더라도 플렉시블부(20)가 유연하게 구부러지므로 플렉시블부(20)를 피부 표면으로부터 이격 됨이 없이 밀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고정 본체(10), 플렉시블부(20), 부착부재(40)가 피부에 밀착되므로 고정 본체(10) 또는 커버(30)에 수액 라인(200)에 의해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카테터(100)를 안정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제 플렉시블부(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플렉시블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본체(10)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플렉시블 플레이트(21)와, 플렉시블 플레이트(21)와 고정 본체(10)의 연결 영역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22)을 포함한다.
플렉시블부(20)의 플렉시블 플레이트(21)는, 고정 본체(10)와 같이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전술한 슬롯(22)에 의해 환자의 피부 방향으로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플레이트(21)는 고정 본체(10)에 연결된 상태에서 환자의 피부 방향으로 구부러지므로 간접적으로 고정 본체(10)의 피부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고정 본체(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플렉시블 플레이트(21)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100)에 연결된 수액 라인(200)을 고정할 수 있는 수액라인 고정구(21a)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수액라인 고정구(21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개방된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렉시블부(20)의 슬롯(22)은, 고정 본체(10)와 플렉시블 플레이트(21)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어 플렉시블 플레이트(21)가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슬롯(22)은 고정 본체(10)와 플렉시블 플레이트(21)의 연결 부위의 전 길이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슬롯(22)의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홀(22a)이 단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슬롯(22)의 사이에 천공홀(22a)을 단속적으로 마련하면 플렉시블 플레이트(21)의 굽힘을 좀 더 유연하게 할 수 있고, 반복적인 굽힘에 의한 피로를 분산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커버(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본체(10)의 돌출 공간부(12) 배면에 마련되어 수액 라인(200)을 손상 없이 지지할 뿐만 아니라 돌출 공간부(12) 배면을 심미적으로 마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30)는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돌출 공간부(12)에 접착제로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31a)를 갖는 절개홀(31)이 마련된다. 이 절개홀(31)은 카테터(100)에 연결된 수액 라인(200)을 지지하는 것으로, 본 실시 예는 지지돌기(31a)에 의해 수액 라인(200)을 다단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지지돌기(31a)가 하나만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돌기(31a)를 복수로 마련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는 지지돌기(31a)를 갖는 절개홀(31)에 의해 수액 라인(200)을 다단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피부에 삽입된 니들과 수액 라인(200)을 일직선으로 지지하여 약물이 안정적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30)에 마련된 지지돌기(31a)를 갖는 절개홀(31)과 동일한 형상의 걸림 절개홀이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 공간부(12)에 마련될 수 있다.
부착부재(40)는, 일측부는 고정 본체(10)와 커버(30)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환자의 피부에 결합 되어 고정 본체(10)와 커버(30)를 환자의 피부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부착부재(40)는 의료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접착 패드일 수 있고, 접착 패드의 가장자리는 이형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반 타원 형상으로 절개(도 4 참조) 될 수 있다.
피부 보호 밴드(50, 도 3 참조)는, 카테터(100)가 접촉되는 환자의 피부에 먼저 접착되어 카테터(100)로부터 환자의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피부 보호 밴드(50)는 의료용 밴드, 일회용 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재(60, 도 3 참조)는, 카테터(100)와 환자의 피부 사이 또는 카테터(100)와 피부 보호 밴드(50) 사이에 마련되어 카테터(100)가 피부를 누르지 않도록 쿠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쿠션부재(60)는 두꺼운 밴드, 솜, 스폰지 외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수액라인 고정밴드(70, 도 6 참조)는, 본 실시 예에 고정된 수액 라인(200)을 환자의 피부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밴드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 예를 들어 환자의 팔목에 있는 정맥으로 약물을 주입하는 것을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로서 커버에 수액 라인을 고정한 후 부착부재를 환자의 피부에 부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로서 카테터의 각도를 조절 후 수액 라인을 고정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로서 수액 라인을 수액라인 고정구에 고정한 후 수액라인 고정밴드를 부착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카테터(100)의 니들을 환자의 팔목 피부 표면에 삽입한 후 카테터 고정 밴드를 환자의 팔목에 부착시켜 니들을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보호 밴드(50)를 팔목에 먼저 부착한 후 피부 보호 밴드(50)와 카테터(100)의 허브(120) 사이에 쿠션부재(60)를 끼워 넣는다. 쿠션부재(60)의 고정이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재(40)의 이형지를 제거한 후 부착부재(40)를 환자의 피부에 부착한다.
부착부재(40)의 일측부가 부착되면 약물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수액 라인(200)의 각도를 조절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의 절개홀(31)에 수액 라인(200)을 끼운다.
마지막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플레이트(21)에 마련된 수액라인 고정구(21a)에 수액 라인(200)을 고정한 후 수액라인 고정밴드(70)로 수액 라인(200)을 환자의 피부에 고정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고정 본체의 가장자리에 환자의 피부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플렉시블부를 마련하여 카테터를 환자의 피부에 밀착 고정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카테터를 환자의 피부에 삽입한 후에도 카테터를 고정 본체에 의해 외부와 차단시켜 환자의 간염 및 혈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카테터 고정기 10 : 고정 본체
11 : 베이스 플레이트 12 : 돌출 공간부
20 : 플렉시블부 21 : 플렉시블 플레이트
22 : 슬롯 30 : 커버
31 : 절개홀 40 : 부착부재
50 : 피부 보호 밴드 60 : 쿠션부재
70 : 수액라인 고정밴드 100 : 카테터
110 : 니들 조립체 120 : 허브
200 : 수액 라인

Claims (10)

  1. 카테터(catheter)가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 본체;
    상기 고정 본체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환자의 피부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플렉시블부;
    상기 고정 본체에 결합되어 수액 라인을 지지하는 커버;
    상기 고정 본체와 상기 플렉시블부를 환자의 피부에 부착시키는 부착부재;
    상기 카테터와 연결되는 상기 수액 라인을 환자의 피부에 고정시키는 수액라인 고정밴드;
    상기 카테터가 위치되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피부를 보호하는 피부 보호 밴드; 및
    상기 카테터와 상기 환자의 피부 사이에 마련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부는,
    상기 고정 본체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플렉시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렉시블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본체의 연결 영역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은 천공되고, 상기 플렉시블 플레이트에는 상기 카테터에 연결된 수액 라인이 고정되는 수액라인 고정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본체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상기 카테터의 수용 공간으로 제공되는 돌출 공간부를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돌출 공간부에는 복수의 순환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고정 본체의 내부와 연통 되며 수액 라인이 지지 되는 절개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절개홀의 외벽에는 지지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수액 라인을 다단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고정기.
  9. 삭제
  10. 삭제
KR20140056985A 2014-05-13 2014-05-13 카테터 고정기 KR101486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6985A KR101486903B1 (ko) 2014-05-13 2014-05-13 카테터 고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6985A KR101486903B1 (ko) 2014-05-13 2014-05-13 카테터 고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903B1 true KR101486903B1 (ko) 2015-01-29

Family

ID=5259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6985A KR101486903B1 (ko) 2014-05-13 2014-05-13 카테터 고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9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5790A (zh) * 2018-05-18 2018-11-13 南京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手术室及重症监护用多路输液管
KR20230169524A (ko) 2022-06-08 2023-12-18 (주)비엠에이 의료용 카테터의 익스터널 범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1199A (en) * 1988-04-25 1990-05-01 Villaveces James W Device for aiding in preparation of intravenous therapy
US5722959A (en) * 1995-10-24 1998-03-03 Venetec International, Inc. Catheter securement device
KR200374359Y1 (ko) * 2004-11-16 2005-01-27 주식회사중외메디칼 링거바늘 고정수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1199A (en) * 1988-04-25 1990-05-01 Villaveces James W Device for aiding in preparation of intravenous therapy
US5722959A (en) * 1995-10-24 1998-03-03 Venetec International, Inc. Catheter securement device
KR200374359Y1 (ko) * 2004-11-16 2005-01-27 주식회사중외메디칼 링거바늘 고정수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5790A (zh) * 2018-05-18 2018-11-13 南京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手术室及重症监护用多路输液管
CN108785790B (zh) * 2018-05-18 2024-02-06 南京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手术室及重症监护用多路输液管
KR20230169524A (ko) 2022-06-08 2023-12-18 (주)비엠에이 의료용 카테터의 익스터널 범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8351B2 (ja) 針を固定し防護するためのドレッシング
JP4573830B2 (ja) 患者の身体へのカテーテルの固定用装置
US20150141962A1 (en) Securing device for medical lines
US7150726B2 (en) Device for subcutaneous infusion of fluids
JP2004174280A (ja) カテーテル挿入システム用アンカーパッド
JP2013501595A (ja) 一体型脈管搬送システム
WO2004093958A1 (en) Valved hub for a catheter
JP2013526990A (ja) 埋め込み型アクセスポート
US20110245778A1 (en) Dressing for fixing and protecting a needle
KR101511303B1 (ko) 카테터 고정장치
KR100915028B1 (ko) 카테터 고정밴드
KR101486903B1 (ko) 카테터 고정기
US9278194B2 (en) Protective device for protecting a port needle or huber needle
KR100890431B1 (ko) 카테터 고정밴드
RU2683395C1 (ru) Устройство изолированной накладки в случае применения душа
JPS61187872A (ja) 薬剤長期間投与のためのカテーテル
US20230355865A1 (en) Infusion site retainer for maintaining infusion tubing
CA2975802C (en) Securement device
KR101039776B1 (ko) 카테터 고정밴드
WO2015116571A1 (en) Securing device for medical lines
US20140276604A1 (en) Medical Tube Securing Device
KR20120020596A (ko) 카테터 고정부가 장착된 카테터 고정밴드
KR102337310B1 (ko) 카테터용 수액세트 어뎁터
US20160015939A1 (en) Absorbent and antimicrobial cuff for catheter placement
US11135403B2 (en) Securement device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