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556B1 -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556B1
KR101486556B1 KR20130049275A KR20130049275A KR101486556B1 KR 101486556 B1 KR101486556 B1 KR 101486556B1 KR 20130049275 A KR20130049275 A KR 20130049275A KR 20130049275 A KR20130049275 A KR 20130049275A KR 101486556 B1 KR101486556 B1 KR 101486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afety
soundproof
mat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0822A (ko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주)태용로드앤키즈랜드
김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용로드앤키즈랜드, 김용현 filed Critical (주)태용로드앤키즈랜드
Priority to KR20130049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55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0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건물 옥상의 바닥에 적층되는 것으로, 내부에 다수의 방음 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방음매트;와, 상기 방음매트의 상부에 적층되되, 상면에는 요철 형상의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안전매트;와, 상기 방음매트와 안전매트를 간편히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방음매트와 안전매트를 결합수단을 통해 간편히 조립 설치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설치의 편의성을 확보함은 물론이며, 일부 매트가 파손되더라도 그 파손된 매트만 간편히 교체 보수할 수 있어 제품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매트를 통해 소음을 절감하여 시설물 주변의 소음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음매트와 안전매트에 별도의 배수수단을 형성하여 눈이나 비에 노출되더라도 배수수단을 통해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어, 매트 상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예방하여 미끄러짐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뿐만 아니라, 매트가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안전매트의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 형상의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므로, 더욱 안전하게 어린이의 미끄러짐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the children's safety mats}
본 발명은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음매트와 안전매트를 결합수단을 통해 간편히 조립 설치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설치의 편의성을 확보함은 물론이며, 일부 매트가 파손되더라도 그 파손된 매트만 간편히 교체 보수할 수 있어 제품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매트를 통해 소음을 절감하여 시설물 주변의 소음피해를 줄일 수 있는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요즘의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각종 어린이 관련 시설물에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시설물 옥상에 어린이가 이용할 수 있는 각종 놀이기구를 설치하여 어린이의 놀이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시설물의 옥상 바닥에는 어린이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매트가 포장되기 마련이다.
상기와 같은 탄성매트는 주로 폴리우레탄, 에폭시, 재생우레탄, EPDM (Ethylene, Propylene, NonconjugatedDiene), PVC, 페타이어, 폐고무 등의 분쇄물을 경화제 또는 접착제와 함께 일정한 비율로 교반한 상태에서 시설물의 옥상 바닥에 도포 후 양생시키거나, 교반된 분쇄물을 소정 크기의 패널 형태로 압출 성형하여 현장에서 직접부착하는 방법 등에 의해 포장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교반된 분쇄물을 현장에서 직접 도포한 후 양생시키는 경우에는 이음매 없이 연속하여 포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균일한 두께의 탄성매트로 포장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 탄성매트의 충격흡수력이나 반발력이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대부분의 탄성매트는 10 메쉬(mesh) 전후 크기의 폐 고무(폐 타이어) 칩을 우레탄계 등의 접착제와 혼합하여 열 압축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탄성흡수력에 한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탄성매트는 폐 고무나 폐 타이어를 단순 압착한 구조물이기 때문에 강도가 약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탄성매트는 손상되거나 파손되더라도 보수가 용이하지 않아 유지관리가 불편하고, 사용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탄성매트는 시설물의 옥상에 설치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상, 비나 눈 등에 종종 노출되는데, 이때 종래의 탄성매트에는 별도의 배수시설이 마련되지 않아 탄성매트 상면에 물이 고이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놀이공간을 이용하는 어린이의 미끄럼을 유발하여 어린이가 넘어져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활동적으로 움직이는 어린이의 특성상 소음이 높게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의 탄성매트는 소음을 절감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시설물 주변으로 소음의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방음매트와 안전매트를 결합수단을 통해 간편히 조립 설치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설치의 편의성을 확보함은 물론이며, 일부 매트가 파손되더라도 그 파손된 매트만 간편히 교체 보수할 수 있어 제품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매트를 통해 소음을 절감하여 시설물 주변의 소음피해를 줄일 수 있는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방음매트와 안전매트에 별도의 배수수단을 형성하여 눈이나 비에 노출되더라도 배수수단을 통해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어, 매트 상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예방하여 미끄러짐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뿐만 아니라, 매트가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안전매트의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 형상의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므로, 더욱 안전하게 어린이의 미끄러짐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절감할 수 있는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는 건물 옥상의 바닥에 적층되는 것으로, 내부에 다수의 방음 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방음매트;와, 상기 방음매트의 상부에 적층되되, 상면에는 요철 형상의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안전매트;와, 상기 방음매트와 안전매트를 간편히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방음매트와 안전매트는 서로 엇갈리게 위치시킨 후, 상기 결합수단을 통해서 견고히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방음매트의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결합공과, 상기 안전매트의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과, 상기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방음매트와 안전매트를 상호 견고히 결합시키는 결합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방음매트와 안전매트를 간편히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공 및 제2결합공의 내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수단의 결합핀에 의해 결합 고정된 상기 방음매트와 안전매트가 외부의 충격에 노출되더라도, 상기 결합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상기 결합공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내입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매트가 회전되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음매트 및 안전매트에 배수수단;을 더 형성하여, 원활한 배수기능을 확보하여 상기 방음매트 및 안전매트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안전매트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수공과, 상기 방음매트의 방음 홈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유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안전매트에 형성되는 상기 배수공을 통해 물이 유통되어 상기 방음매트로 공급되면, 상기 방음매트의 방음 홈으로 유입되고, 그 유입된 물은 상기 방음 홈에 형성되는 유통공을 통해 유통되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음매트의 방음 홈 바닥이 관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방음매트 제작시 제조가 편리하고, 재료가 절감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방음매트와 안전매트를 결합수단을 통해 간편히 조립 설치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설치의 편의성을 확보함은 물론이며, 일부 매트가 파손되더라도 그 파손된 매트만 간편히 교체 보수할 수 있어 제품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매트를 통해 소음을 절감하여 시설물 주변의 소음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음매트와 안전매트에 별도의 배수수단을 형성하여 눈이나 비에 노출되더라도 배수수단을 통해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어, 매트 상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예방하여 미끄러짐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뿐만 아니라, 매트가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안전매트의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 형상의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므로, 더욱 안전하게 어린이의 미끄러짐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의 종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의 A-A 단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의 분리 사시도를,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의 종 단면도를,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100)는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와, 결합수단(3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음매트(10)는 건물 옥상의 바닥에 적층되는 것으로, 내부에 다수의 방음 홈(11)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음매트(10) 내부에는 빈 공간을 갖는 상기 방음 홈(11)이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설될 상기 안전매트(20)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한 소음이 상기 방음매트(10)로 전달되더라도 상기 방음 홈(11)의 빈 공간에서 간편히 해소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발생 소음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건물 옥상의 바닥에 설치되는 다수의 상기 방음매트(10)는 서로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구체화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매트(20)는 상기 방음매트(10)의 상부에 적층되되, 상면에는 요철 형상의 미끄럼방지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안전매트에서 활동하는 어린이의 미끄러짐을 안정적으로 예방하여 미끄러짐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음매트(10)에 적층되는 다수의 상기 안전매트(20)는 서로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구체화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를 간편히 상호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방음매트(10)의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결합공(31)과, 상기 안전매트(20)의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공(31)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32)과, 상기 제1결합공(31)과 제2결합공(32)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를 상호 견고히 결합시키는 결합핀(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옥상의 바닥에 다수의 상기 방음매트(10)를 서로 밀접하게 위치시킨 후, 상기 방음매트(10)의 상부에 적층되게 다수의 상기 안전매트(20)를 적층 위치시키되, 상기 방음매트(10)에 형성되는 상기 제1결합공(31)과 상기 안전매트(20)에 형성되는 상기 제2결합공(32)이 연통되게 위치시킨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핀(33)을 상기 결합공(31,32)에 관통시켜 상기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를 상호 견고히 고정하여 간편히 설치를 완료한다.
이때, 상기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는 서로 엇갈리게 위치시켜 상기 결합수단(30)을 통해 결합시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상기 매트(10,20)가 독립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제품의 안정적으로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공(31) 및 제2결합공(32)의 내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하나 이상의 걸림홈(4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핀(33)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홈(41)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42)를 형성하여,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30)의 결합핀(33)에 의해 결합 고정된 상기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가 외부의 충격에 노출되더라도, 상기 결합핀(33)에 형성되는 걸림돌기(42)가 상기 결합공(31,32)에 형성되는 걸림홈(41)에 내입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매트(10,20)가 회전되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활한 배수기능을 확보하여 상기 방음매트(10) 및 안전매트(20)에 물이 고이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배수수단(50);을 더 형성하되,
상기 배수수단(50)은 상기 안전매트(2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수공(51)과, 상기 방음매트(10)의 방음 홈(11)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유통공(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이 상기 안전매트(20)에 낙하하면 상기 안전매트(20)에 형성되는 상기 배수공(51)을 통과하여 상기 방음매트(10)로 공급되고, 공급된 물은 상기 방음매트(10)의 방음 홈(11)으로 유입되어 상기 방음 홈(11)에 형성되는 유통공(52)을 통해 흘러서 외부로 배수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음 홈(11)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통공(52)으로 인해 다수의 상기 방음 홈(11)은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어느 방음 홈(11)으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원활하게 흘러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음매트(10)의 방음 홈(11) 바닥이 관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방음매트(10) 제작시 제조가 편리하고, 재료가 절감되도록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100)는 상기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를 상기 결합수단(30)을 통해 간편히 조립 설치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설치의 편의성을 확보함은 물론이며, 일부 매트(10,20)가 파손되더라도 그 파손된 상기 매트(10,20)만 간편히 교체 보수할 수 있어 제품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방음매트(10)를 통해 소음을 절감하여 시설물 주변의 소음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에 별도의 상기 배수수단(50)을 형성하여 눈이나 비에 노출되더라도 상기 배수수단(50)을 통해 신속하게 외부로 배수할 수 있어, 상기 매트(10,20) 상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예방하여 미끄러짐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뿐만 아니라, 상기 매트(10,20)가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안전매트(20)의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 형상의 미끄럼방지부(21)가 형성되므로, 더욱 안전하게 어린이의 미끄러짐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100)는 다음과 같이 방음매트(10) 및 안전매트(20)를 연결하여 설치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옥상의 바닥에 다수의 상기 방음매트(10)를 서로 밀접하게 위치시킨 후, 상기 방음매트(10)의 상부에 적층되게 다수의 상기 안전매트(20)를 적층 위치시키되, 상기 방음매트(10)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31)과 상기 안전매트(20)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32)이 연통되게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는 서로 엇갈리게 위치시킨다.
그런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의 결합핀(33)을 상기 결합공(31,32)에 관통시켜 상기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를 상호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여 간편히 상기 매트의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방음매트와 안전매트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매트(20)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한 소음이 상기 방음매트(10)로 전달되더라도 상기 방음 홈(11)의 빈 공간에서 간편히 해소할 수 있어, 어린이가 상기 안전매트(20)에서 뛰어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가 내려 빗물이 상기 안전매트(20)에 낙하하면 상기 안전매트(20)에 형성되는 배수공(51)을 통과하여 상기 방음매트(10)로 공급되고, 공급된 물은 상기 방음매트(10)의 방음 홈(11)으로 유입되어 상기 방음 홈(11)에 형성되는 유통공(52)을 통해 흘러서 외부로 배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상기 매트(10,20)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를 간편히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역으로 상기 결합수단(30)의 결합핀(33)을 회수하여 결속을 해제하고, 간편히 상기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를 회수하여 매트(10,20)의 간편한 철거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일부분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에도 역시 간편히 매트(10,20)의 교체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0. 방음매트 11. 방음 홈
20. 안전매트 21. 미끄럼방지부
30. 결합수단 31. 제1결합공
32. 제2결합공 33. 결합핀
41. 걸림홈 42. 걸림돌기
50. 배수수단 51. 배수공
52. 유통공
100.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

Claims (6)

  1. 건물 옥상의 바닥에 적층되는 것으로, 내부에 다수의 방음 홈(11)이 형성되는 다수의 방음매트(10);
    상기 방음매트(10)의 상부에 적층되되, 상면에는 요철 형상의 미끄럼방지부(21)가 형성되는 다수의 안전매트(20); 및
    상기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를 간편히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는 서로 엇갈리게 위치시킨 후, 상기 결합수단(30)을 통해서 견고히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방음매트(10)의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결합공(31)과,
    상기 안전매트(20)의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공(31)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32)과,
    상기 제1결합공(31)과 제2결합공(32)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를 상호 견고히 결합시키는 결합핀(3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를 간편히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공(31) 및 제2결합공(32)의 내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하나 이상의 걸림홈(4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33)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홈(41)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42)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수단(30)의 결합핀(33)에 의해 결합 고정된 상기 방음매트(10)와 안전매트(20)가 외부의 충격에 노출되더라도, 상기 결합핀(33)에 형성되는 걸림돌기(42)가 상기 결합공(31,32)에 형성되는 걸림홈(41)에 내입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매트(10,20)가 회전되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매트(10) 및 안전매트(20)에 배수수단(50);을 더 형성하여,
    원활한 배수기능을 확보하여 상기 방음매트(10) 및 안전매트(20)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50)은,
    상기 안전매트(2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수공(51)과,
    상기 방음매트(10)의 방음 홈(11)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유통공(5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안전매트(20)에 형성되는 상기 배수공(51)을 통해 물이 유통되어 상기 방음매트(10)로 공급되면, 상기 방음매트(10)의 방음 홈(11)으로 유입되고, 그 유입된 물은 상기 방음 홈(11)에 형성되는 유통공(52)을 통해 유통되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매트(10)의 방음 홈(11) 바닥이 관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방음매트(10) 제작시 제조가 편리하고, 재료가 절감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
KR20130049275A 2013-05-02 2013-05-02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 KR101486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9275A KR101486556B1 (ko) 2013-05-02 2013-05-02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9275A KR101486556B1 (ko) 2013-05-02 2013-05-02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822A KR20140130822A (ko) 2014-11-12
KR101486556B1 true KR101486556B1 (ko) 2015-01-26

Family

ID=52452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9275A KR101486556B1 (ko) 2013-05-02 2013-05-02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5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12U (ko) * 2018-10-15 2020-04-23 김한영 바닥매트
KR20200116288A (ko) 2019-04-01 2020-10-12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미끄럼 방지 쿠션 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479U (ko) * 1989-07-28 1991-03-19
KR200290346Y1 (ko) 2002-06-21 2002-09-27 주식회사 바이오인비텍 조립식 매트
KR200319179Y1 (ko) 2003-04-02 2003-07-07 조영현 미끄럼방지용 매트
KR20100125775A (ko) * 2009-05-21 2010-12-01 (주)제이앤케이테크 어린이 놀이터용 충격 흡수 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479U (ko) * 1989-07-28 1991-03-19
KR200290346Y1 (ko) 2002-06-21 2002-09-27 주식회사 바이오인비텍 조립식 매트
KR200319179Y1 (ko) 2003-04-02 2003-07-07 조영현 미끄럼방지용 매트
KR20100125775A (ko) * 2009-05-21 2010-12-01 (주)제이앤케이테크 어린이 놀이터용 충격 흡수 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12U (ko) * 2018-10-15 2020-04-23 김한영 바닥매트
KR200492540Y1 (ko) 2018-10-15 2020-11-03 김한영 바닥매트
KR20200116288A (ko) 2019-04-01 2020-10-12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미끄럼 방지 쿠션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822A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225B1 (ko) 실외기용 받침대
US8782986B1 (en) Slab module for a raised floor
KR101486556B1 (ko)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안전매트의 연결구조
KR101221273B1 (ko) 투수기능을 갖는 보도블럭
KR101178830B1 (ko) 어린이 놀이터용 충격 흡수 매트
KR101318721B1 (ko) 다기능레일을 이용한 중공슬래브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95325B1 (ko) 미끄럼방지용 배수판
KR101338538B1 (ko) 바닥재 데크보드 구조물
KR200444530Y1 (ko) 바닥 배수용 배수체의 부설장치
KR100817912B1 (ko)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KR100980140B1 (ko) 지지부재를 이용한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KR100980143B1 (ko) 건물 바닥용 완충층의 방수구조
KR101034556B1 (ko) 투수기능을 갖는 블럭 보호틀
EP2014513A4 (en) FLOOR SPACER FOR VEHICLE AND VEHICLE STRUCTURE
KR20130034724A (ko) 핀 고정형 탄성매트
JP5143947B2 (ja) 床化粧材
KR101262585B1 (ko) 맨홀부 커버 장치를 활용한 맨홀부 복구 시스템
KR200452855Y1 (ko) 지지판 연결부재를 이용한 인접한 완충층의 연결구조
JP3195936U (ja) 階段板
KR101181367B1 (ko) 작업용 발판
KR101022495B1 (ko) 사면용 시공석 조립체
KR101785239B1 (ko) 배수용 디자인 그레이팅 및 이의 제조 방법
JP5547829B1 (ja) 覆工材
KR20130034730A (ko) 연결형 탄성매트
KR101508315B1 (ko) 회전을 이용한 중공형성체의 부력방지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