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263B1 - 격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격자시트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격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격자시트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263B1
KR101486263B1 KR1020140164934A KR20140164934A KR101486263B1 KR 101486263 B1 KR101486263 B1 KR 101486263B1 KR 1020140164934 A KR1020140164934 A KR 1020140164934A KR 20140164934 A KR20140164934 A KR 20140164934A KR 101486263 B1 KR101486263 B1 KR 101486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upport arms
rectangular sheet
rectangular
f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승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비텍
Priority to KR1020140164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1/00Control of undesirable vegetation on roads or similar surfaces or permanent ways of railways, e.g. devices for scorching weeds or for applying herbicides; Applying liquids, e.g. water, weed-killer bitumen, to permanent 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격자시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잡초 생육방지를 위한 격자시트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격자시트내의 공간에 충진되는 충진재의 맞물림효과로 인해 지반이 강화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충진재의 유실 또한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충진재가 충진된 상기 격자시트를 보도, 산책로, 주차장 등에 설치되는 보도블록, 황토블록, 아스콘 포장, 콘크리트 포장 등의 대용으로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격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격자시트의 제조장치{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grid shee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grid sheet}
본 발명은 잡초 생육방지를 위한 격자시트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격자시트내의 공간에 충진되는 충진재의 맞물림효과로 인해 지반이 강화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충진재의 유실 또한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충진재가 충진된 상기 격자시트를 보도, 산책로, 주차장 등에 설치되는 보도블록, 황토블록, 아스콘 포장, 콘크리트 포장 등의 대용으로서 사용가능한 격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격자시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국도 등의 도로에는 차량의 도로 이탈에 대한 대형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계석의 외측에 가드레일을 설치하고, 또한, 야간에 운전자가 도로의 형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가드레일의 지주 등에 반사판, 반사스티커 등의 교통안전시설물을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봄, 여름 및 가을철에 잡초들이 가드레일의 주변에 자생하여 반사판 등의 교통안전시설물을 가려 그 시인성을 저하시킴으로써 반사판 등의 교통안전시설물의 효용성을 상실케 할 뿐만 아니라 도로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각 도로의 관리주체 별로 가드레일의 주변에 자상한 잡초를 작업인력을 투입하여 주기적으로 제초작업을 행하고 있는 실정이나, 잡초들의 왕성한 자생력에 의하여 제초작업 후 단시간 내에 교통안전시설물의 식별이 불가능할 정도로 성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작업인력에 의한 제초작업은 막대한 경비가 소요되고, 또한 제초작업시 낫, 제초기 등에 의하여 부상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수의 특허 및 실용신안이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중 잡초가 생육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초 충전재가 포설되는 격자고정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로변의 방초구조 및 방초방법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91276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격자고정시트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전혀 제안되어 있지 않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91276호
본 발명은 잡초 생육방지를 위한 격자시트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격자시트내의 공간에 충진되는 충진재의 맞물림효과로 인해 지반이 강화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충진재의 유실 또한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충진재가 충진된 상기 격자시트를 보도, 산책로, 주차장 등에 설치되는 보도블록, 황토블록, 아스콘 포장, 콘크리트 포장 등의 대용으로서 사용가능한 격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격자시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장방형 시트를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지암으로 지지하는 단계와; 복수의 상기 지지암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지지암을 상기 제 1장방형 시트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 상에 제 2장방형 시트를 안착하는 단계와; 융착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지지암과 수직선 상에 위치한 상기 제 2장방형 시트의 부분에 가압한 상태로 열을 가하여 상기 제 2장방형 시트와 상기 제 1장방형 시트를 복수의 상기 지지암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제 1융착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상기 지지암을 상기 제 1장방형 시트의 하부에서 이탈시킨 후 상기 제 2장방형 시트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상기 지지암 상에 제 3장방형 시트를 안착하는 단계와; 상기 융착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과 수직선 상에 위치한 상기 제 3장방형 시트의 부분에 가압한 상태로 열을 가하여 상기 제 3장방형 시트와 상기 제 2장방형 시트를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제 2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격자시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시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격자시트내의 공간내에 충진재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지지암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제 1장방형 시트를 지지하는 제 1지지부재와; 상기 제 1지지부재의 복수의 지지암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지지암이 구비되고, 제 2장방형 시트가 안착되는 제 2지지부재와; 상기 제 1지지부재의 복수의 지지암과 수직선 상에 위치한 상기 제 2장방형 시트의 부분에 가압한 상태로 열을 가하여 상기 제 2장방형 시트와 상기 제 1장방형 시트를 복수의 상기 지지암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융착시키는 융착부재와; 상기 제 1장방형 시트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제 1지지부재의 복수의 지지암을 후측으로 인출시킨 후 복수의 상기 지지암이 상기 제 2장방형 시트 상에 배치되도록 전측으로 인입시키는 제 1인출부재와; 복수의 상기 지지암 상에 제 3장방형 시트가 안착되고, 상기 융착부재가 상기 제 2지지부재의 복수의 보조 지지암과 수직선 상에 위치한 제 3장방형 시트의 부분에 가압한 상태로 열을 가하여 상기 제 3장방형 시트와 상기 제 2장방형 시트를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융착시킨 다음, 상기 제 2장방형 시트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제 2지지부재의 복수의 보조 지지암을 후측으로 인출시킨 후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을 상기 제 3장방형 시트 상에 배치되도록 전측으로 인입시키는 제 2인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시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프레임에 안착되는 장방형 시트의 두께에 따라 상기 안착프레임을 하강시키는 안착프레임 승강부재와; 상기 안착프레임에 안착되는 상기 장방형 시트가 상기 안착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프레임의 전후에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는 낙하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복수의 장방형 시트가 적층된 상태로 수용되는 시트공급트레이와; 상기 시트공급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상기 장방형 시트 중 한장씩 장방형 시트를 상기 안착프레임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지지부재의 복수의 지지암 또는 상기 제 2지지부재의 복수의 보조 지지암 상으로 이송시키는 시트이송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시트이송부는 상기 시트공급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상기 장방형 시트 중 한장씩 장방형 시트를 공급하는 시트낱장공급부와; 상기 안착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시트낱장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장방형 시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장방형 시트를 진공흡착하는 복수의 진공흡착판으로 구성되는 진공흡착부와; 상기 진공흡착부를 승강 및 전후로 이동시켜 상기 진공흡착부에 진공흡착된 장방형시트를 상기 안착프레임 상측에 위치하는 제 1지지부재의 복수의 지지암 또는 상기 제 2지지부재의 복수의 보조지지암 상에 안착시키는 진공흡착부 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지지암, 복수의 보조 지지암 및 융착부재를 이용하여 잡초 생육방지를 위한 격자시트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격자시트내의 공간에 충진되는 충진재의 맞물림효과로 인해 지반이 강화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충진재의 유실 또한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충진재가 충진된 상기 격자시트를 보도, 산책로, 주차장 등에 설치되는 보도블록, 황토블록, 아스콘 포장, 콘크리트 포장 등의 대용으로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복수의 지지암과 복수의 보조 지지암에 제 1, 2장방형 시트가 각각 배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융착부재를 이용하여 제 1, 2장방형 시트를 제 1융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제 1, 2장방형 시트를 제 1융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4는 복수의 지지암상에 제 3장방형 시트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융착부재를 이용하여 제 2, 3장방형 시트를 제 2융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제 2, 3장방형 시트는 제 2융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2는 다른예의 융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격자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4는 격자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인 격자시트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인 격자시트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7은 복수의 지지암과 복수의 보조 지지암의 전후진 및 승강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18은 안착프레임 승강부재와 낙하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9는 시트공급트레이와 시트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0 및 도 21은 시트이송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인 격자시트의 제조방법은 크게, 제 1장방형 시트지지단계, 보조 지지암 배치단계, 제 2장방형 시트안착단계, 제 1융착단계, 지지암 배치단계, 제 3장방형 시트안착단계, 제 2융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복수의 지지암과 복수의 보조 지지암에 제 1, 2장방형 시트가 각각 배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먼저, 상기 제 1장방형 시트지지단계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장방형 시트(3) 중 제 1장방형 시트(31)를 도 1의 a),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지암(210)으로 수평안착지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장방형시트(3)는 투수성이 우수한 부직포, 직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 지지암 배치단계는 도 1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지지암(310)을 상기 제 1장방형 시트(310) 상부면에 안착배치시키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2장방형 시트안착단계는 도 1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의 상부면에 제 2장방형 시트(32)를 수평으로 안착하는 단계이다.
도 2는 융착부재를 이용하여 제 1, 2장방형 시트를 제 1융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제 1, 2장방형 시트를 제 1융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융착단계는 초음파 융착기, 고주파 융착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융착부재(40)를 이용하여 제 2장방형 시트(32)와 제 1장방형 시트(31)를 제 1융착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융착부재(4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과 수직선 상에 위치한 상기 제 2장방형 시트(32)의 부분에 가압한 상태로 열을 가하여 상기 제 2장방형 시트(32)와 상기 제 1장방형 시트(31)를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제 1융착(도 3의 W1)시키게 된다.
도 4는 복수의 지지암상에 제 3장방형 시트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암 배치단계는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을 상기 제 1장방형 시트(31)의 하부에서 이탈시킨 후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장방형 시트(32)의 상부면에 안착배치시키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3장방형 시트안착단계는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장방형 시트(32)의 상부면에 안착배치된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의 상부면에 상기 제 3장방형 시트(33)를 수평안착하는 단계이다.
도 5는 융착부재를 이용하여 제 2, 3장방형 시트를 제 2융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제 2, 3장방형 시트는 제 2융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2융착단계는 상기 융착부재(40)를 이용하여 상기 제 3장방형 시트(33)와 상기 제 2장방형 시트(32)를 제 2융착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융착부재(40)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과 수직선상에 위치한 상기 제 3장방형 시트(33)의 부분에 가압한 상태로 열을 가하여 상기 제 3장방형 시트(33)와 상기 제 2장방형 시트(32)를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제 2융착(도 6의 W2)시키게 된다.
1개의 상기 융착부재(40)는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과 수직선상에 위치한 상기 제 2장방형 시트(32)의 부분을 개별적으로 가압 및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과 수직선상에 위치한 상기 제 3장방형 시트(33)의 부분을 개별적으로 가압한 상태로 열을 가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2개 이상의 복수의 상기 융착부재(40)가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과 수직선상에 위치한 상기 제 2장방형 시트(32)의 부분 모두를 가압 및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과 수직선상에 위치한 상기 제 3장방형 시트(33)의 부분 모두를 가압한 상태로 한번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다른예의 융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는, 다른예로서, 1개 또는 2개 이상의 복수의 상기 융착부재(40)는 도 7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부재(400)에 의해 상하좌우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00)는 도 7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좌우이동실린더(401), 좌우이동몸체(402), 상하이동실린더(403) 및 상하이동판(40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실린더(401)는 상기 융착부재(40)의 일측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몸체(402)는 상기 좌우이동실린더(401)의 로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실린더(403)의 상부가 상기 좌우이동몸체(402)내에 수용고정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실린더(403)는 상기 좌우이동몸체(402)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된 상태로 상기 좌우이동몸체(402)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406)은 상기 융착부재(40)의 일측에서 상기 융착부재(4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406)의 상부 중심부는 상기 상하이동실린더(403)의 로드 하부에 볼트고정 또는 일체연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상하이동판(406)의 하부에 1개 또는 2개의 복수의 상기 융착부재(40)가 상기 상하이동판(406)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실린더(401)의 좌우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2개 이상의 상기 융착부재(40)가 상기 융착부재(40)의 일측에서 상기 융착부재(40)의 타측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좌우이동될 수 있고, 상기 상하이동실린더(403)의 상하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융착부재(40)가 상기 융착부재(4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3은 격자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4는 격자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격자시트의 제조방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격자시트(2)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격자시트(2)내의 공간(S)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잡초 생육방지를 위한 골재, 모래, 우드칩, 자갈, 쇄석 등의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격자시트(2)내에 충진된 충진재의 맞물림효과로 인해 지반이 강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충진재의 유실 또한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인 격자시트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인 격자시트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인 격자시트의 제조장치는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안착프레임(10), 제 1지지부재(20), 제 2지지부재(30), 상기 융착부재(40), 제 1인출부재(50) 및 제 2인출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안착프레임(10)은 상기 안착프레임(10)의 일측에서 상기 안착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수평연장형성된다.
상기 안착프레임(1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지지부재(20)는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은 상기 안착프레임(10)의 전측에서 상기 안착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은 상기 안착프레임(10)의 일측에서 상기 안착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의 전측 하부면이 상기 안착프레임(1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로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은 상기 안착프레임(10)의 상부에 안착배치될 수 있다.
도 17은 복수의 지지암과 복수의 보조 지지암의 전후진 및 승강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도 1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의 전측 상부면에 상기 제 1장방형 시트(31)가 수평안착된 상태로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은 상기 제 1장방형 시트(31)를 수평으로 안착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지지부재(30)는 복수의 보조 지지암(3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은 상기 안착프레임(10)의 일측에서 상기 안착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은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은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을 따라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에 후술할 제 2인출부재(60)에 의해 상기 안착프레임(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지 않도록 후진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도 1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의 전측 상부면에 상기 제 1장방형 시트(31)가 수평안착되면, 상기 제 2인출부재(60)에 의해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의 전측은 도 1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장방형 시트(31)의 상부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제 1장방형 시트(31)의 상부면상에 안착배치될 수 있다.
이 후,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의 상부면에 도 17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장방형 시트(32)가 수평으로 안착지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인출부재(50)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하이동몸체(501), 상하이동실린더(502), 전후이동몸체(503) 및 전후이동실린더(5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몸체(501)는 상기 안착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몸체(501)의 상부에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이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실린더(502)의 상부에 상기 상하이동몸체(501)의 하부 중심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몸체(503)의 내부에 상기 상하이동실린더(502)의 하부가 수용된 상태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실린더(504)의 전측에는 상기 전후이동몸체(50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실린더(502)의 상하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이 상하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전후이동실린더(504)의 전후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이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다.
도 17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인출부재(50)는 상기 제 1장방형 시트(31)의 하측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을 상기 안착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후진시켜 인출시킬 수 있다.
이상태에서 상기 제 1인출부재(50)는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을 상승시킨 후 상승된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이 도 17의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장방형 시트(32)의 상부면에 안착배치되도록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을 상기 안착프레임(10)의 전측방향으로 전진시켜 인입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인출부재(60)는 상기 제 1인출부재(50)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제 1인출부재(50)와 상하대칭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2인출부재(60)의 상하이동몸체(501)의 하부에는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이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도 17의 f)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의 상부에 상기 제 3장방형 시트(33)가 수평안착된다.
이상태에서, 상기 융착부재(40)가 상기 제 2지지부재(30)의 복수의 보조 지지암(310)과 수직선상에 위치한 상기 제 3장방형 시트(33)의 부분에 가압한 상태로 열을 가하여 상기 제 3장방형 시트(33)와 상기 제 2장방형 시트(32)를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융착시키게 된다.
이 후, 상기 제 2인출부재(60)는 상기 제 2장방형 시트(32)의 하측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을 도 17의 g)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후진시켜 인출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인출부재(60)는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을 상승시킨 후 상승된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이 도 17의 h)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장방형 시트(33)의 상부면에 안착배치되도록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310)을 상기 안착프레임(10)의 전측방향으로 전진시켜 인입시킬 수 있다.
도 18은 안착프레임 승강부재와 낙하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착프레임 승강부재(70)와 낙하방지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프레임 승강부재(70)의 상부가 상기 안착프레임(10)의 하부 중심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안착프레임 승강부재(70)는 상기 안착프레임(10)의 하부에 수직구비되는 실린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프레임 승강부재(70)가 실린더로 구성될 경우, 상기 안착프레임 승강부재(70)는 상기 안착프레임(10)내에 상하적층되는 복수의 상기 장방형 시트(3)의 상하두께에 따라 상하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안착프레임(10)을 하강시킬 수 있고, 이로서, 상기 융착부재(40)가 항상 일정한 가압력으로 복수의 상기 장방형 시트(3)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낙하방지부(80)는 상기 안착프레임(10)의 전측과 상기 안착프레임(10)의 후측에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낙하방지부(80)는 상기 안착프레임(10)의 일측에서 상기 안착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낙하방지부(80)로 인해 상기 장방형 시트(3)가 상기 안착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이탈되어 낙하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낙하방지부(80)의 상부에는 복수의 상기 장방형 시트(3)를 감지하는 감지센서(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90)가 상기 장방형 시트(3)를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안착프레임 승강부재(70)는 상기 안착프레임(10)을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90)가 상기 장방형 시트(3)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안착프레임 승강부재(70)는 상기 안착프레임(10)의 하강을 중지시킬 수 있다.
도 19는 시트공급트레이와 시트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트공급트레이(100)와 시트이송부(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공급트레이(10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시트공급트레이(100)의 내부에는 복수의 상기 장방형 시트(3)가 상하적층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시트공급트레이(10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는 복수의 상기 장방형 시트(3)가 한장씩 배출되는 시트배출구(101)가 상기 시트공급트레이(10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공급트레이(100)의 하부 중심부에는 상기 시트공급트레이(100)의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상기 장방형 시트(3)의 상부가 후술할 시트낱장공급부(201)의 시트낱장공급회전롤러(201a)의 하부와 접하도록 상기 시트공급트레이(100)를 승강시키는 실린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승강부재(300)의 상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시트이송부(200)는 상기 시트공급트레이(100)에 수용된 복수의 상기 장방형 시트(3) 중 한장씩 장방형 시트(3)를 상기 안착프레임(10)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지지암(210) 또는 상기 복수의 보조 지지암(310)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시트이송부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이송부(200)는 도 19 내지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시트낱장공급부(201), 컨베이어부(202), 진공흡착부(203) 및 진공흡착부 이동부(2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트낱장공급부(201)는 시트낱장공급회전롤러(201a)와 구동모터(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낱장공급회전롤러(201a)는 상기 시트공급트레이(100)의 내부에 상하적층된 복수의 상기 장방형 시트(3)의 상부면과 접한 상태에서 정역회전하여 복수의 상기 장방형 시트(3)를 한장씩 상기 컨베이어부(202)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미도시)는 상기 시트낱장공급회전롤러(201a)와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낱장공급회전롤러(201a)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부(202)는 도 20 및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프레임(10)의 전방에 수평배치되어 상기 시트낱장공급부(201)에 의해 공급되는 장방향 시트(3)를 상기 컨베이어부(202)의 일측에서 상기 컨베이어부(202)의 타측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진공흡착부(203)는 상기 컨베이어부(202)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부(202)의 타측으로 이송된 장방형 시트를 진공흡착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흡착부 이동부(204)는 상기 진공흡착부(203)를 상기 컨베이어부(202)의 상하방향으로 승강 및 상기 컨베이어부(202)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진공흡착부(203)에 진공흡착된 상기 장방형시트(3)를 상기 안착프레임(10) 상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지지암(210) 또는 복수의 상기 보조지지암(310)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흡착부 이동부(204)는 도 20 및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후이동실린더(204a), 전후이동몸체(204b) 및 상하이동실린더(204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실린더(204a)는 상기 컨베이어부(202)의 전측 상부방향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몸체(204b)의 전측에는 상기 전후이동실린더(204a)의 로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실린더(204c)의 상부가 상기 전후이동몸체(204b)내에 수용고정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실린더(204c)는 상기 전후이동몸체(204b)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몸체(204b)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실린더(204c)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하이동실린더(204c)의 로드에는 상기 진공흡착부(203)의 상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실린더(204c)의 상하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진공흡착부(203)가 상기 컨베이어부(202)의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고, 상기 전후이동실린더(204a)의 전후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장방형 시트(3)를 진공흡착한 상기 진공흡착부(203)가 상기 안착프레임(10) 상측에 위치하는 제 1지지부재(20)의 복수의 지지암(210) 또는 상기 제 2지지부재(30)의 복수의 보조지지암(310)방향으로 전후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복수의 상기 지지암(210), 복수의 보조 지지암(310) 및 상기 융착부재(40)를 이용하여 잡초 생육방지를 위한 격자시트(2)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격자시트(2)내의 공간(S)에 충진되는 충진재의 맞물림효과로 인해 지반이 강화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충진재의 유실 또한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충진재가 충진된 상기 격자시트(2)를 보도, 산책로, 주차장 등에 설치되는 보도블록, 황토블록, 아스콘 포장, 콘크리트 포장 등의 대용으로서 사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3; 시트 10; 안착프레임,
20; 제 1지지부재, 30; 제 2지지부재,
40; 융착부재, 50; 제 1인출부재,
60; 제 2인출부재.

Claims (7)

  1. 제 1장방형 시트를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지암으로 지지하는 단계와;
    복수의 상기 지지암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지지암을 상기 제 1장방형 시트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 상에 제 2장방형 시트를 안착하는 단계와;
    융착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지지암과 수직선 상에 위치한 상기 제 2장방형 시트의 부분에 가압한 상태로 열을 가하여 상기 제 2장방형 시트와 상기 제 1장방형 시트를 복수의 상기 지지암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제 1융착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상기 지지암을 상기 제 1장방형 시트의 하부에서 이탈시킨 후 상기 제 2장방형 시트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상기 지지암 상에 제 3장방형 시트를 안착하는 단계와;
    상기 융착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과 수직선 상에 위치한 상기 제 3장방형 시트의 부분에 가압한 상태로 열을 가하여 상기 제 3장방형 시트와 상기 제 2장방형 시트를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제 2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시트의 제조방법.
  2. 제 1항의 격자시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시트내의 공간내에 충진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시트.
  4.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지지암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제 1장방형 시트를 지지하는 제 1지지부재와;
    상기 제 1지지부재의 복수의 지지암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지지암이 구비되고, 제 2장방형 시트가 안착되는 제 2지지부재와;
    상기 제 1지지부재의 복수의 지지암과 수직선 상에 위치한 상기 제 2장방형 시트의 부분에 가압한 상태로 열을 가하여 상기 제 2장방형 시트와 상기 제 1장방형 시트를 복수의 상기 지지암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융착시키는 융착부재와;
    상기 제 1장방형 시트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제 1지지부재의 복수의 지지암을 후측으로 인출시킨 후 복수의 상기 지지암이 상기 제 2장방형 시트 상에 배치되도록 전측으로 인입시키는 제 1인출부재와;
    복수의 상기 지지암 상에 제 3장방형 시트가 안착되고, 상기 융착부재가 상기 제 2지지부재의 복수의 보조 지지암과 수직선 상에 위치한 제 3장방형 시트의 부분에 가압한 상태로 열을 가하여 상기 제 3장방형 시트와 상기 제 2장방형 시트를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융착시킨 다음, 상기 제 2장방형 시트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제 2지지부재의 복수의 보조 지지암을 후측으로 인출시킨 후 복수의 상기 보조 지지암을 상기 제 3장방형 시트 상에 배치되도록 전측으로 인입시키는 제 2인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시트의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프레임에 안착되는 장방형 시트의 두께에 따라 상기 안착프레임을 하강시키는 안착프레임 승강부재와;
    상기 안착프레임에 안착되는 상기 장방형 시트가 상기 안착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프레임의 전후에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는 낙하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시트의 제조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복수의 장방형 시트가 적층된 상태로 수용되는 시트공급트레이와;
    상기 시트공급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상기 장방형 시트 중 한장씩 장방형 시트를 상기 안착프레임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지지부재의 복수의 지지암 또는 상기 제 2지지부재의 복수의 보조 지지암 상으로 이송시키는 시트이송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시트의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이송부는 상기 시트공급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상기 장방형 시트 중 한장씩 장방형 시트를 공급하는 시트낱장공급부와;
    상기 안착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시트낱장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장방형 시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장방형 시트를 진공흡착하는 복수의 진공흡착판으로 구성되는 진공흡착부와;
    상기 진공흡착부를 승강 및 전후로 이동시켜 상기 진공흡착부에 진공흡착된 장방형시트를 상기 안착프레임 상측에 위치하는 제 1지지부재의 복수의 지지암 또는 상기 제 2지지부재의 복수의 보조지지암 상에 안착시키는 진공흡착부 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시트의 제조장치.
KR1020140164934A 2014-11-25 2014-11-25 격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격자시트의 제조장치 KR101486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934A KR101486263B1 (ko) 2014-11-25 2014-11-25 격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격자시트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934A KR101486263B1 (ko) 2014-11-25 2014-11-25 격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격자시트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263B1 true KR101486263B1 (ko) 2015-01-27

Family

ID=52592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934A KR101486263B1 (ko) 2014-11-25 2014-11-25 격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격자시트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4302A (zh) * 2020-06-17 2021-11-05 浙江煜焰工业设计有限公司 熔喷布生产线用纤维收集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3305A (ja) * 2004-09-10 2006-04-20 Toray Ind Inc プリフォーム用基材
JP2012057280A (ja) * 2010-09-11 2012-03-22 Unitika Ltd 一方向伸縮性積層不織布の製造方法
KR20120130537A (ko) * 2011-05-23 2012-12-03 주식회사씨앤에프 고강도 내열 섬유 그리드 제조 방법
KR101391276B1 (ko) * 2013-11-18 2014-05-02 권민범 도로변의 방초구조 및 방초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3305A (ja) * 2004-09-10 2006-04-20 Toray Ind Inc プリフォーム用基材
JP2012057280A (ja) * 2010-09-11 2012-03-22 Unitika Ltd 一方向伸縮性積層不織布の製造方法
KR20120130537A (ko) * 2011-05-23 2012-12-03 주식회사씨앤에프 고강도 내열 섬유 그리드 제조 방법
KR101391276B1 (ko) * 2013-11-18 2014-05-02 권민범 도로변의 방초구조 및 방초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4302A (zh) * 2020-06-17 2021-11-05 浙江煜焰工业设计有限公司 熔喷布生产线用纤维收集器
CN113614302B (zh) * 2020-06-17 2022-11-18 浙江煜焰工业设计有限公司 熔喷布生产线用纤维收集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3469B1 (en) Machine for unloading and positioning rails on crossties in railway tracks
US8246271B2 (en) Apparatus for compacting road shoulders
US20090274516A1 (en) Geotextile applicator device and method
KR101486263B1 (ko) 격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격자시트의 제조장치
CN210315164U (zh) 公路路面快速压平设备
KR101513126B1 (ko) 철도궤도 콘크리트 타설용 피니셔장치
KR102198146B1 (ko) 철도궤도양로와 선형보수를 겸비한 자주식 철도궤도 보수장치
JP4913048B2 (ja) コンクリートにクラックを形成する方法及び装置
CN205009384U (zh) 复合保温装饰板起模装置
KR20150065074A (ko) 강관 내부 청소 유닛
US8496400B2 (en) Slipform paver
KR102608071B1 (ko) 트롤리 탈부착이 용이한 레일 캐리지
KR100959265B1 (ko) 도로의 보도석 절단장치
CN104608165A (zh) 一种纸面草板切割装置
KR101461104B1 (ko) 다중열 정다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정다듬 방법 그리고 이러한 방법으로 가공된 석판재
CN204675477U (zh) 一种超宽幅土工格室焊接自动上料装置
US4025217A (en) Tug unit for rail-mounted slip-form paver
JPH06185106A (ja) 暗渠の据付用台車及び暗渠の据付方法
CN214401348U (zh) 一种改进型的刀头零位调整铣刨机
CN209394941U (zh) 框式水平切割机
US4479739A (en) Machine for laying shaped bricks
CN209022831U (zh) 一种超宽大型叠合楼板倾斜运输支架
JP4371718B2 (ja) 液晶パネルの分断システム
KR101147620B1 (ko) 크라이밍 잭 장치를 이용한 다리의 상판 설치방법
CN206926282U (zh) 胎面自动拾取装置及轮胎成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