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407B1 - monorail vehicle bogie structure for multi-line - Google Patents

monorail vehicle bogie structure for multi-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407B1
KR101485407B1 KR1020130113642A KR20130113642A KR101485407B1 KR 101485407 B1 KR101485407 B1 KR 101485407B1 KR 1020130113642 A KR1020130113642 A KR 1020130113642A KR 20130113642 A KR20130113642 A KR 20130113642A KR 101485407 B1 KR101485407 B1 KR 101485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rail
frame
bogie
vehicl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6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종덕
이우동
이영훈
편장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4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06Electric propulsion adapted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ine monorail bogie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ulti-line monorail bogie structure which enables a monorail vehicle to be driven not only on a monorail but also on a normal road, thereby improving not only the utilization of the monorail vehicle, but also improving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a vehicle station. A multi-line monorail bogie structure of a monorail vehicle driven on a monorail includes a bogie frame; a driving wheel installed on a lower portion of the bogie frame; a guide wheel installed on a corner of the bogie frame to be in contact with upper portion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monorail; and a stable wheel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bogie frame to be in contact with lower portions of the both side surfaces of the monorail, wherein the guide wheel and the stable wheel are installed to be foldable.

Description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monorail vehicle bogie structure for multi-line}Monorail vehicle bogie structure for multi-line < RTI ID = 0.0 >

본 발명은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노레일 차량이 모노레일뿐만 아니라 일반 도로도 주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모노레일 차량의 활용도뿐만 아니라 차량 기지의 설치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ine monorail bogi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ine monorail bogie structure capable of not only utilizing a monorail vehicle but also installing and utilizing a multi- To a bogie structure.

모노레일은 콘크리트나 철제 빔으로 이루어져 있는 한 개의 궤도 위를 고무타이어나 철륜이 장착된 열차가 운행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바, 차량의 지지방식에 따라 과좌식(궤도 위를 열차가 달리는 방식)과 현수식(열차가 궤도에 매달려서 운행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모노레일의 수송규모가 도시철도와 버스의 중간이기 때문에 중규모의 수송에 적합하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대부분의 도시교통계획에서는 경전철로 분류되며, 대도시의 보조교통수단, 중소도시의 주요교통수단으로 사용된다.The monorail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a train equipped with a rubber tire or an iron wheel runs on one orbit of concrete or steel beam. Depending on the supporting method of the vehicle, (The way a train runs on orbit). Because the size of the monorail transport is intermediate between city rail and bus, it is suitable for medium-sized transport.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most of the urban transportation plans are classified as light rail, and are used as auxiliary transportation means in large cities and as major transportation means in small and medium cities.

보다 상세하게, 모노레일의 장점을 살펴보면 모노레일은 도로교통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지주는 가늘게 할 수 있으므로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설치할 수 있고, 다른 고가물과 달리 점유면적이 작아 하천과 도로 등의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다. More specifically, monorail can be installed on the central separator of the road because it does not interfere with road traffic and can be made narrower. As compared with other high-priced water, the monorail occupies a small area, Installation is possible.

이 때문에 도시철도보다 공사가 용이하며, 신속한 건설이 가능하고, 토지비가 적게 들어간다. 그런 이유로 도시철도의 40%의 공사비로 건설할 수 있어 굉장히 저렴하다.Because of this, construction is easier than urban railway, rapid construction is possible, and land ratio is reduced. For that reason, it can be built at a cost of 40% of the city railway, which is very cheap.

또한, 폭이 좁은 차륜으로 운행하므로 철도보다 반경이 작은 급곡선 운행도 가능하며, 현수식은 특히나 작게 운행이 가능하다. 전기동력으로 운행하고 고무타이어를 쓰기 때문에 환경오염과 소음, 진동 공해가 적다.In addition, since it runs on a narrow wheel, it is possible to operate a quadratic curve with a smaller radius than a railway, and the suspension type can be operated particularly small. It runs on electric power and uses rubber tires, so there is little environmental pollution, noise and vibration pollution.

반면에 모노레일의 단점을 살펴보면, 모노레일은 궤도는 하나지만 주행장치가 복잡하므로 차량의 기능이 복잡하고 약간 비싸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최고속도가 80km/h정도 이므로 철도보다 고속성이 떨어지고, 보통 고무타이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력비가 높고, 일반철도와 궤도방식이 다르므로 일반철도와 상호진입이 불가능하다. 열차가 분기기로 돌진하면 대형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복구역시 쉽지 않고, 차량사고 등의 긴급상황시 피난에 시간이 걸리며, 피난이 용이하지 않다. 대피로의 건설이 힘들기 때문에 비상시 승객대피가 매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advantage of the monorail is that the monorail is a track, but the complexity of the vehicle is complicated, and the complexity of the vehicle is complicated and the cost is rather high. The maximum speed is 80 km / h, , The power ratio is high, and the general railway and track system are different. If a train rushes to a branch, a major accident may occur and it is not easy to recover. It takes time to evacuat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such as a car accident, and evacuation is not easy. It is difficult to evacuate passengers in case of an emergency because construction of the escape route is difficult.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164932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ㅠ형 타입의 모노레일 궤도를 주행하는 철도차량의 차체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차체와 연결되는 차체 연결부(12)가 중앙 상부에 구성되며 H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대차의 상부를 구성하는 서스펜션 프레임(4)과 상기 서스펜션프레임(4)과 차축 하우징을 통해 연결되며 대차의 하부를 구성하는 가이드프레임(6)과 상기 가이드프레임(6)의 측면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사이드프레임(14)과; 상기 사이드프레임(14)과 가이드프레임(6)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프레임(10)으로 이루어진 모노레일 구동대차(2)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4)과 가이드프레임(6)의 양측면에 둘러싸인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모노레일 궤도의 상면에 밀착되어 주행력 및 제동력을 궤도에 전달하는 주행륜(16)과 상기 사이드프레임(14)의 양내측에 각각 복수개 구성되며, 상기 모노레일 궤도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철도차량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안내륜 모듈(26)과 상기 사이드프레임(14)의 양내측에 각각 복수개 구성되며, 상기 모노레일 궤도의 하면에 각각 밀착되어 비틀림력으로 인한 차량 전복을 방지하고 롤링을 억제하는 안정륜 모듈(50)로 이루어져 모노레일 궤도의 3면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164932 as shown in Figs. 1 and 2 has been proposed. The technical feature of the technique is that a vehicle body of a railway car running on a monorail track A vehicle body connecting part 12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is formed in an upper part of the center and is formed in an H shape and is connected to a suspension frame 4 constituting an upper part of a truck and a suspension frame 4 connected to the suspension frame 4 through an axle housing A side frame (14)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a side surface of the guide frame (6) and a guide frame (6) constituting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And a lower connecting frame 10 connecting the side frame 14 and the guide frame 6 so that the suspension frame 4 and the guide frame 6 are surrounded by both sides of the suspension frame 4 and the guide frame 6, A traveling wheel 16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norail track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and a braking force to the track, and a plurality of wheels 16 dispos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side frame 14 and closely contacted with both sides of the monorail track, A plurality of guide wheel modules 26 for guiding the running of the monorail track 26 and a plurality of inner side portions of the side frames 14, respectively, for tight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onorail track to prevent overturning of the vehicle due to the twisting force, And a module (50) for restricting three sides of the monorail trajectory.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164932호에 기재된 기술은 변속조작이나 조향조작으로 발생하는 비틀림력에 대응하여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과 차량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모노레일 차량은 별도로 설치된 모노레일에서만 주행할 수 있어, 지역의 특성상 모노레일을 설치할 수 없는 곳에서는 모노레일 차량을 운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164932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prevent the stable running of the vehicle and the rollover of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twisting force generated by the shift operation or the steering operation. However, in the monorail vehicle, The monorail vehicle can not be operated in a place where monorail can not be install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또한, 모노레일 차량은 모노레일이 설치된 곳에서만 운행이 가능하므로, 모노레일 차량의 차량 기지 역시 모노레일이 설치된 곳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차량기지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 기지에 모노레일의 출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onorail vehicle can be operated only in the place where the monorail is installed, the vehicle base of the monorail vehicle must also be installed at the place where the monorail is installed, so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vehicle base is not easy, .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노레일 차량의 대차는 모노레일을 따라 주행하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주행륜과, 모노레일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는 가이드륜과 주행시에 모노레일 차량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안정륜이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륜과 안정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함으로써, 모노레일 차량이 모노레일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도로도 주행할 수 있게 하여, 모노레일 차량의 활용도뿐만 아니라 차량 기지의 설치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norail vehicle which comprises a traveling wheel for supplying power for traveling along a monorail, a guide wheel for preventing the monorail from coming off the monorail, And the stabilizer wheel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guide wheel and the stabilizer wheel so that the monorail vehicle can travel on not only a monorail but also a general road, And to provide a multi-line monorail pedestrian structure capable of enhancing utiliz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노레일 차량의 대차에는 주행하기 위한 주행륜이 구비되는데, 한 쌍의 주행륜 사이에 내부에 차축이 구비되는 차축 하우징을 설치하고, 대차를 형성하는 대차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트랙션 모터를 설치하고, 트랙션 모터와 차축간에 동력 전달을 위한 동력전달부를 구비함으로써, 주행륜이 대차의 하부 측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주행륜에 이상이 있을 경우 용이하게 주행륜을 교체할 수 있게 하는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orail vehicle having a traveling wheel for traveling on a bogie, wherein an axle housing having an axle inside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traveling wheels, The traction motor is provided and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power between the traction motor and the axle is provided so that the traveling wheel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por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traveling wheel can be easily replaced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traveling wheel Multi-line monorail balancing structur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모노레일을 주행하는 모노레일 차량의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에 있어서, 대차 프레임과, 상기 대차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주행륜과, 모노레일의 양측면에 상부와 접하도록 상기 대차 프레임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가이드륜과, 모노레일의 양측면 하부와 접하도록 상기 대차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안정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ulti-line monorail bogie structure for a monorail vehicle that travels on a monorail, comprising: a bogie frame; a traveling wheel provided below the bogie frame; a guide wheel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onorail, And a stabilizing ring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gie fram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lower portion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monorail.

여기서, 상기 가이드륜은 상기 대차 프레임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1작동암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guide wheel is installed at an end of a first operating arm provided at an edge of the bogie frame.

그리고, 상기 제1작동암은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operating arm is formed to be foldable.

한편, 상기 안정륜은 상기 대차 프레임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제2작동암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bilizer wheel is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second actuating arm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r frame.

이때, 상기 제2작동암은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second operating arm is formed to be foldable.

또한, 상기 주행륜의 사이에는 내부에 차축이 구비되는 차축 하우징이 위치하고, 상기 대차 프레임의 가장자리에는 트랙션 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트랙션 모터와 차축은 동력 전달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n axle housing having an axle inside is disposed between the traveling wheels, a traction motor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bogie frame, and the traction motor and the axle are connected by a power transmission unit.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모노레일 차량의 대차는 모노레일을 따라 주행하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주행륜과, 모노레일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는 가이드륜과 주행시에 모노레일 차량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안정륜이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륜과 안정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함으로써, 모노레일 차량이 모노레일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도로도 주행할 수 있게 하여, 모노레일 차량의 활용도뿐만 아니라 차량 기지의 설치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gie of the monorail vehicle is provided with a traveling wheel that supplies power for traveling along the monorail, a guide wheel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monorail, and a stabilizer that prevents the monorail vehicle from shaking at the time of travel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wheel and the stabilizer wheel can be adjusted so that the monorail vehicle can be driven not only on the monorail but also on the general road so that the utilization of the monorail vehicle as well as the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the vehicle base can be enhance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노레일 차량의 대차에는 주행하기 위한 주행륜이 구비되는데, 한 쌍의 주행륜 사이에 내부에 차축이 구비되는 차축 하우징을 설치하고, 대차를 형성하는 대차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트랙션 모터를 설치하고, 트랙션 모터와 차축간에 동력 전달을 위한 동력전달부를 구비함으로써, 주행륜이 대차의 하부 측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주행륜에 이상이 있을 경우 용이하게 주행륜을 교체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orail vehicle having a traveling wheel for traveling on a bogie, wherein an axle housing having an axle inside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traveling wheels, The traction motor is provided and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power between the traction motor and the axle is provided so that the traveling wheel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por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traveling wheel can be easily replaced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traveling wheel It is effective.

도 1은 종래의 모노레일 차량 대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모노레일 차량 대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의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onorail vehicle bogie.
2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monorail vehicle carriage.
3 is a side view of a vehicle to which a multi-line monorail bra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top view of a multi-line monorail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multi-line monorail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of a multi-line monorail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의 측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of a multi-line monorail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of a multi-line mono-rail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view of a multi-line monorail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모노레일뿐만 아니라 일반 도로도 주행할 수 있는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승객이나 화물이 수용되는 차량(400)과 상기 차량(4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대차(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대차(100)는 뼈대를 이루는 대차 프레임(110)과 상기 대차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주행륜(130)과 상기 대차 프레임(110)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가이드륜(230)과 상기 대차 프레임(1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안정륜(340)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ine monorail bogie structure capable of traveling on a general road as well as a monorail. As shown in Figs. 3 to 6, the structure includes a vehicle 400 in which a passenger or a cargo is accommodated, The bogie 100 includes a bogie frame 110 constituting a skeleton, a traveling wheel 13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gie frame 110, And a stabilizer wheel 340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bogie frame 110.

여기서, 상기 가이드륜(230)은 모노레일의 양측면 상부와 접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대차 프레임(110)의 전후, 양측 모서리에는 제1작동암(200)이 구비되며, 상기 제1작동암(200)의 단부에 상기 가이드륜(230)이 설치되게 된다.Here, the guide wheel 230 is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monorail. The first operation arm 200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bogie frame 110, The guide wheel 23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guide ring 230.

그리고, 상기 안정륜(340)은 모노레일의 양측면 하부와 접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대차 프레임(110)의 양측면 중심부에는 제2작동암(300)이 구비되며, 상기 제2작동암(300)의 단부에 상기 안정륜(340)이 설치되게 된다.The stabilizer wheel 340 is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both sides of the monorail. The second actuating arm 30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both sides of the bogie frame 110, The stabilizer wheel 340 is installed.

이때, 상기 제1작동암(200)과 제2작동암(300)은 모두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어, 본 발명의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가 적용된 차량이 모노레일을 주행할 경우에는 제1작동암(200)과 제2작동암(300)을 펼쳐, 가이드륜(230)이 차랑의 방향을 안내하고, 안정륜(340)은 차량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모노레일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The first operating arm 200 and the second operating arm 300 are both foldable so that when the vehicle to which the multi-line monorail cargo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ravels on the monorail, the first operating arm 200 And the second actuating arm 300 are unfolded so that the guide wheel 230 guides the direction of the runway and the stabilizer wheel 340 prevents the vehicle from shaking and travels stably along the monorail.

그리고, 본 발명의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가 적용된 차량이 일반 도로를 주행할 경우에는 상기 제1작동암(200)과 제2작동암(300)을 절첩하여, 가이드륜(230)과 안정륜(340)이 도로와 닿지 않도록 하여, 주행륜(130)을 사용하여 주행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vehicle to which the multi-line monorail bogi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ravels on a general road, the first operating arm 200 and the second operating arm 300 are folded and the guide wheel 230 and the stabilizer wheel 340 Can be driven by using the traveling wheel 130 without contacting the road.

여기서, 상기 제1작동암(200)은 대차 프레임(110)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제1프레임 결합부(210)와 상기 가이드륜(230)이 설치되는 가이드륜 설치부(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프레임 결합부(210)와 가이드륜 설치부(220)는 절첩 가능하도록 힌지결합으로 결합된다.The first actuating arm 200 includes a first frame engaging portion 210 provided at an edge portion of the bogie frame 110 and a guide wheel mounting portion 220 provided with the guide wheel 230 The first frame coupling part 210 and the guide wheel mounting part 220 are hingedly coupled to each other.

이때, 상기 결합되는 힌지부에는 기어(미도시)와 기어를 제어하는 모터(미도시)를 구비하여, 가이드륜 설치부(220)와 제1프레임 결합부(210)를 절첩시키기거나, 가이드륜 설치부(220)와 제1프레임 결합부(210)이 외측에 실린더를 구비하여 절첩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hinge unit is provided with a gear (not shown) and a moto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gear, so that the guide wheel mounting unit 220 and the first frame coupling unit 210 are folded, The mounting portion 220 and the first frame engaging portion 210 may include a cylinder on the outer side to control the folding operation.

그리고, 상기 제2작동암(300)은 대차 프레임(110)의 양측면 중심부에 설치되는 제2프레임 결합부(310)와 안정륜(340)이 설치되는 안정륜 설치부(330)와 상기 안정륜 설치부(330)와 제2프레임 결합부(310)를 연결하는 연결부(320)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actuating arm 300 includes a second frame engaging portion 310 provided at the center of both sides of the bogie frame 110, a stabilizer mounting portion 330 where the stabilizer wheel 340 is installed, And a connecting portion 320 connecting the second frame coupling portion 310 and the second frame coupling portion 310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2프레임 결합부(310)와 연결부(320), 연결부(320)와 안정륜 설치부(330)는 서로 절첩가능하게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며, 각 힌지부에는 기어(미도시)와 기어를 제어하는 모터(미도시)를 구비하여 제2프레임 결합부(310)와 연결부(320), 연결부(320)와 안정륜 설치부(330)를 절첩하거나, 제2프레임 결합부(310)와 연결부(320), 연결부(320)와 안정륜 설치부(330)의 외측에 실린더를 구비하여 절첩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second frame coupling part 310, the connecting part 320, the connecting part 320, and the ballast mounting part 330 are coupled by being hinged to each other, The second frame engaging portion 310 and the connecting portion 3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frame engaging portion 310 and the connecting portion 3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motor (not shown) A cylinder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320, the connecting portion 320, and the ballast mounting portion 330 so that the folding operation can be controlled.

한편, 상기 대차 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주행륜(130)은 한쌍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주행륜(130)의 사이에는 내부에 차축(미도시)이 구비되는 차축 하우징(120)이 설치되고, 대차 프레임(110)의 가장자리에는 트랙션 모터(140)가 구비되며 상기 트랙션 모터(140)와 차축은 동력 전달부(145)를 통하여 연결된다.An axle housing 120 having an axle (not shown) is installed between the traveling wheels 130. The axle housing 12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gie frame 110, A traction motor 140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bogie frame 110 and the traction motor 140 and the ax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unit 145.

이때, 상기 동력 전달부(145)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사용하여 형성되므로, 안정적으로 트랙션 모터(140)의 동력을 차축을 통하여 주행륜(130)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145 is formed using the universal joint, the power of the traction motor 140 can be stably transmitted to the traveling wheel 130 through the axle.

이렇게 상기 제1,2작동암(200,300)을 절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가 적용된 차량은 모노레일뿐만 아니라 일반 도로도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가 적용된 차량이 보관되는 차량 기지를 모노레일처럼 상부에 설치하지 않고, 일반 도로와 연결되는 지상에 설치함으로써, 차량 기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actuating arms 200 and 300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and second actuating arms 200 and 300 can be folded, a vehicle to which the multi-line monorail pedest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easily driven not only on a monorail but also on an ordinary road, The vehicle base in which the vehicle on which the line monorail bogie structure is stored is installed on the ground connected to the general road rather than on the upper part like a monorail so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vehicle base can be facilitated and utilization can be enhanc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노레일 차량이 모노레일뿐만 아니라 일반 도로도 주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모노레일 차량의 활용도뿐만 아니라 차량 기지의 설치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ine monorail bogi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ine monorail bogie structure capable of not only utilizing a monorail vehicle but also installing and utilizing a multi- To a bogie structure.

100 : 대차 110 : 대차 프레임
115 : 가이드 프레임
120 : 차축 하우징 130 : 주행륜
140 : 트랙션 모터 142 : 동력전달부
200 : 제1작동암 210 : 제1프레임 결합부
220 : 가이드륜 설치부 230 : 가이드륜
300 : 제2작동암 310 : 제2프레임 결합부
320 : 연결부 330 : 안정륜 설치부
340 : 안정륜 400 : 차량
100: Bogie 110: Bogie frame
115: guide frame
120: axle housing 130: traveling wheel
140: Traction motor 142: Power transmission unit
200: first operating arm 210: first frame engaging portion
220: Guide wheel mounting part 230: Guide wheel
300: second operating arm 310: second frame engaging portion
320: Connecting portion 330: Stable wheel mounting portion
340: Stable wheel 400: vehicle

Claims (6)

모노레일을 주행하는 모노레일 차량의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에 있어서,
대차 프레임과,
상기 대차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주행륜과,
모노레일의 양측면에 상부와 접하도록 상기 대차 프레임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가이드륜과,
모노레일의 양측면 하부와 접하도록 상기 대차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안정륜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륜은 상기 대차 프레임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1작동암의 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작동암은 상기 대차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륜이 설치되는 가이드륜 설치부가 절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정륜은 상기 대차 프레임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제2작동암의 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작동암은 대차 프레임의 양측면 중심부에 설치되는 제2프레임 결합부와 안정륜이 설치되는 안정륜 설치부와 상기 안정륜 설치부와 제2프레임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제2프레임 결합부 및 연결부, 연결부 및 안정륜 설치부는 각각 힌지결합되어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
In a multi-line monorail bogie structure of a monorail vehicle traveling on a monorail,
A cargo frame,
A traveling wheel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r frame,
A guide wheel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onorail at an edge of the bogie fram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And a stabilizing ring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gie fram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lower portion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monorail,
The guide wheel is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an end of a first operating arm provided at an edge of the bogie frame,
Wherein the first operating arm includes a first frame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the bogie frame and a guide wheel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guide wheel is installed,
The stabilizer wheel is installed vertically to an end portion of a second operating arm install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ogie frame,
The second operating arm includes a second frame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the center of both sides of the bogie frame, a stabilizer mounting portion provided with the stabilizer,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stabilizer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frame engager, And the connecting portio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ballast mounting portion are each hinged to be folda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륜의 사이에는 내부에 차축이 구비되는 차축 하우징이 위치하고,
상기 대차 프레임의 가장자리에는 트랙션 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트랙션 모터와 차축은 동력 전달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xle housing having an axle inside is disposed between the traveling wheels,
A traction motor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bogie frame,
Wherein the traction motor and the axle are connected by a power transmission unit.
KR1020130113642A 2013-07-24 2013-09-25 monorail vehicle bogie structure for multi-line KR10148540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7112 2013-07-24
KR1020130087112 2013-07-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407B1 true KR101485407B1 (en) 2015-01-26

Family

ID=52592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642A KR101485407B1 (en) 2013-07-24 2013-09-25 monorail vehicle bogie structure for multi-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407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8321A (en) * 2017-06-21 2017-09-05 重庆畅行科技发展有限公司 Straddle-type single-track vehicle spine formula double-shaft power bogie
CN109353351A (en) * 2018-11-07 2019-02-19 夏彤宇 A kind of overhead monorail shaped traffic device
CN109421760A (en) * 2017-08-31 2019-03-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Single rail bogie component and rail vehicle with it
CN110155113A (en) * 2019-05-29 2019-08-23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Single-track running device and single-track vehicle
CN110155112A (en) * 2019-05-29 2019-08-23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Single-track running device and single-track vehicle
EP3501935A4 (en) * 2016-09-21 2019-09-04 BYD Company Limited Rail vehicle
CN116691456A (en) * 2023-06-12 2023-09-05 中铁建电气化局集团南方工程有限公司 Movable platform for overhead section contact net operation of common construction of highway and railw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847A (en) * 2006-11-16 2009-05-26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Truck structure of track-type vehicle
KR20110131595A (en) *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우진산전 Working vehicle for monorail
KR20120049447A (en) * 2010-11-08 2012-05-17 주식회사 우진산전 Monorail bogie assay with binding structure of three face
KR20120059227A (en) * 2010-11-30 2012-06-08 한신공영 주식회사 Guide wheels storing apparatus of vehicles for hybrid transpor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847A (en) * 2006-11-16 2009-05-26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Truck structure of track-type vehicle
KR20110131595A (en) *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우진산전 Working vehicle for monorail
KR20120049447A (en) * 2010-11-08 2012-05-17 주식회사 우진산전 Monorail bogie assay with binding structure of three face
KR20120059227A (en) * 2010-11-30 2012-06-08 한신공영 주식회사 Guide wheels storing apparatus of vehicles for hybrid transport system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1935A4 (en) * 2016-09-21 2019-09-04 BYD Company Limited Rail vehicle
US11285978B2 (en) 2016-09-21 2022-03-29 Byd Company Limited Rail vehicle
CN107128321A (en) * 2017-06-21 2017-09-05 重庆畅行科技发展有限公司 Straddle-type single-track vehicle spine formula double-shaft power bogie
CN109421760A (en) * 2017-08-31 2019-03-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Single rail bogie component and rail vehicle with it
CN109353351A (en) * 2018-11-07 2019-02-19 夏彤宇 A kind of overhead monorail shaped traffic device
CN109353351B (en) * 2018-11-07 2024-04-09 夏彤宇 Suspension monorail traffic device
CN110155113A (en) * 2019-05-29 2019-08-23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Single-track running device and single-track vehicle
CN110155112A (en) * 2019-05-29 2019-08-23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Single-track running device and single-track vehicle
CN110155113B (en) * 2019-05-29 2024-03-08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Monorail running gear and monorail vehicle
CN116691456A (en) * 2023-06-12 2023-09-05 中铁建电气化局集团南方工程有限公司 Movable platform for overhead section contact net operation of common construction of highway and railway
CN116691456B (en) * 2023-06-12 2024-02-13 中铁建电气化局集团南方工程有限公司 Movable platform for overhead section contact net operation of common construction of highway and railw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479B1 (en) folding structure of monorail vehicle for multi-line
KR101485407B1 (en) monorail vehicle bogie structure for multi-line
KR101622261B1 (en) steering structure of monorail vehicle
CN204978684U (en) Single track train power truck of a formula is striden to diaxon
KR101530204B1 (en) bogie structure of Y-type monorail vehicle
RU2498915C2 (en) Rail and running carriage for suspended vehicle
KR101164932B1 (en) Monorail bogie assay with binding structure of three face
US20040250724A1 (en) Multipurpose vehicle for various types of travel ways
CN108162987A (en) A kind of suspension monorail and its bogie, driving brake apparatus
CN103332194A (en) Suspended monorail train driving device
KR101199938B1 (en) Monorail bogie assay with complex suspension system of air-spring module
CN201914251U (en) Hanging type new energy-resource rail bus
JP2015067110A (en) Vehicle and travelling system
CN109131409A (en) Straddle type monorail vehicle single-axle bogie suitable for inverted T-shaped track girder
CN102463996B (en) Side hanging type double-power supply drive rail electric bus
KR101164933B1 (en) Monorail bogie assay with a sub-tire module
KR101654896B1 (en) Space saving bogie for railway car
KR100511450B1 (en) A guide frame structure of light rail vehicle
US6564721B2 (en) Rail transport system
KR101236535B1 (en) Monorail bogie assay with yawing preventing means
CN209814003U (en) Rail vehicle bogie assembly for tourist attraction and rail transit system
KR101608432B1 (en) folding structure of monorail vehicle
JP3836453B2 (en) Dual mode vehicle
KR101236534B1 (en) Monorail bogie assay with complex suspension system of coil-spring module
CN203727380U (en) Rail vehicle and t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