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150B1 -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충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충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150B1
KR101485150B1 KR20110065103A KR20110065103A KR101485150B1 KR 101485150 B1 KR101485150 B1 KR 101485150B1 KR 20110065103 A KR20110065103 A KR 20110065103A KR 20110065103 A KR20110065103 A KR 20110065103A KR 101485150 B1 KR101485150 B1 KR 101485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ing
portable terminal
docking device
char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6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299A (ko
Inventor
정재훈
강신혁
강유진
김병태
이정욱
정혁준
차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110065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15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Abstract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충전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의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은 도킹 디바이스와의 도킹 결합을 감지하고, 도킹 결합이 감지되면, 도킹 디바이스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의 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충전 제어 방법{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제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도킹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와 휴대 단말이 연결되는 경우, 해당 휴대 단말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및 무선통신 기술이 점차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휴대 단말은 기본적인 전화통화 기능 외에도 카메라, MP3,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의 사용이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능들이 더욱 강화된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발맞추어 스마트폰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의 크기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화면의 크기, 해상도, 스피커 성능 등도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경우,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좋은 사용 환경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을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일명, 도킹 스테이션)가 개발되었으며, 이에 따라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에서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큰 화면과 좋은 성능의 스피커로 출력하여 이용해 왔다. 종래에는 휴대 단말이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 결합시, 도킹 스테이션에 대한 상태 고려 없이 무조건 충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이 도킹 결합되는 도킹 디바이스의 상태를 고려하여 휴대 단말을 충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킹 결합된 휴대 단말의 충전을 제어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와의 도킹 결합을 감지하고, 도킹 감지 이벤트를 출력하는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도킹 감지 이벤트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도킹 디바이스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충전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과 도킹 연결되는 도킹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도킹 결합을 감지하여 도킹 감지 이벤트를 출력하는 도킹 인터페이스부; 상기 도킹 감지 이벤트에 따라, 상기 도킹 디바이스를 활성화시켜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충전 요청시, 상기 휴대 단말과 도킹 결합된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된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단자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도킹 관리부를 포함하는 도킹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킹 결합된 휴대 단말의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의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와의 도킹 결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도킹 결합이 감지되면, 상기 도킹 디바이스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충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휴대 단말이 도킹 결합되는 도킹 디바이스의 상태를 고려하여 휴대 단말을 충전할 수 있다.
도 1은 휴대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킹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 및 도 5는 휴대 단말이 도킹 디바이스에 도킹 결합된 외관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휴대 단말이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시, 당해 휴대 단말의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설명]
도 1은 휴대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15), 음향 입력부(120), 음향 출력부(125), 센싱부(130), 영상 처리부(135),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45), 도킹 인터페이스부(150), 전원부(155)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1에는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휴대 단말(1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통신 이외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별도의 통신 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입력부(115)는 사용자로부터 당해 휴대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115)는 복수의 키 버튼(예를 들어, 숫자/문자키, * 또는 # 기호키, 하나 이상의 기능키(예를 들어, 메뉴키, 통화키, 확인키, 어플리케이션 실행키 등)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음향 입력부(12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구동 개시 또는 구동 종료되며, 외부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음향 입력부(120)는 마이크일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5)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구동 개시 또는 구동 종료되며, 음향 데이터를 청각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25)는 스피커일 수 있다.
센싱부(130)는 당해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센싱부(130)는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및 접촉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135)는 영상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영상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당해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300)가 도킹 결합된 경우, 영상 처리부(135)는 도킹 디바이스(300)로 출력되는 영상(편의상 출력 영상이라 칭하기로 함)의 해상도를 변경하고, 해상도가 변경된 출력 영상을 도킹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도킹 디바이스(3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처리부(135)는 제어부(160)를 통해 도킹 디바이스(300)에 대한 해상도 정보를 입력받은 후 해당 입력된 해상도 정보에 기반하여 출력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저장부(140)가 하나 구비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저장부(140)는 복수의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제1 저장 영역(미도시) 및 제2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저장 영역은 내부 메모리 및 외부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이며, 제2 저장 영역은 내부 메모리 및 외부 메모리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5)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를 시각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5)는 입력부(11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또는 제어 명령, 저장부(140)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예를 들어, 영상)를 시각 정보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5)는 액정패널 또는 AM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킹 인터페이스부(150)는 해당 휴대 단말(100)이 도킹 디바이스(300)와 물리적으로 도킹 결합되는 경우, 해당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300)간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도킹 인터페이스부(150)는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3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4 입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300)간 영상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제2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제3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데이터(예를 들어, 제어 데이터 포함)를 입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제4 입력 인터페이스는 당해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300)가 도킹 결합된 상태에서, 해당 도킹 디바이스(300)로부터 휴대 단말(100)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물론, 도킹 인터페이스부(150)는 이외에도 다양한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킹 인터페이스부(15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킹 인터페이스부(150)는 도킹 디바이스(300)와 도킹 결합되는 경우, 영상/오디오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커넥터와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일반적인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와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킹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휴대 단말(100)은 HDMI 단자 또는 USB 단자를 구비한 전자 기기와 연결하여 휴대 단말(100)에 저장되거나 당해 휴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영상/오디오 데이터를 해당 전자기기를 통해 시청각 정보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인터페이스부(150)는 휴대 단말(100)이 도킹 디바이스(300)와 도킹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도킹 감지 이벤트를 제어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인터페이스부(150)는 도 2에 도시된, HDMI 인터페이스의 HOT PLUG DETECT 단자(도 2 참조)를 통한 H/W적인 HPD 신호의 수신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을 감지하여 도킹 감지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부(155)는 단말 충전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해당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원을 해당 휴대 단말(100)의 각 구성 요소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전원부(155)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3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전원부(155)가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110), 입력부(115), 음향 입력부(120), 음향 출력부(125), 센싱부(130), 영상 처리부(135),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45), 도킹 인터페이스부(150), 전원부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제어부(160)는 도킹 에이전트와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킹 에이전트는 해당 휴대 단말(100)이 도킹 디바이스(300)와 물리적으로 도킹 결합하는 경우, 도킹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도킹 디바이스(3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제공받고, 해당 상태 정보에 따라 해당 휴대 단말(100)에 대한 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충전 상태 및 배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태 정보는 이외에도 도킹 디바이스(300)에 대한 다양한 상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도킹 에이전트는 도킹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도킹 감지 이벤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도킹 디바이스(300)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 도킹 디바이스(300)와 같은 전자 기기에서 충전 잔량을 확인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설명]
도 3은 도킹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 및 도 5는 휴대 단말이 도킹 디바이스에 도킹 결합된 외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킹 디바이스는 휴대 단말(100)이 장착되는 태블릿(tablet) 컴퓨터가 될 수 있으며, 패드(pad)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디바이스는 스탠드 얼론(stand-alone) 상태에서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즉, 사용자에게 유용한 어떠한 동작/기능 실행을 할 수 없는) 일종의 더미(dummy) 디바이스일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도킹 디바이스에는 가능한 최소한의 기능(즉, 디스플레이 제어, 터치 입력 제어 등) 및 최소한의 하드웨어 구성만 탑재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존의 태블릿 PC/패드/노트북 제품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되면서도 그보다 저가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킹 디바이스는, 자체 OS(여기서, 자체 OS란 스탠드 얼론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OS를 말함)를 탑재함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과 분리 동작시는 전자 액자나 동영상/MP3 플레이어로, 도킹 결합 동작시는 휴대 단말의 기능으로까지 확대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설명한 형태(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형태)에 비해 하드웨어 스펙이 고사양을 요구하게 될 것임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킹 디바이스(300)는 입력부(310), 음향 출력부(315), 디스플레이부(320), 신호 처리부(325), 도킹 인터페이스부(330), 저장부(335), 전원부(340) 및 도킹 관리부(3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도킹 디바이스(300)의 입력부(310), 음향 출력부(315), 디스플레이부(320), 저장부(335)는 전술한 휴대 단말(100)의 구성 요소와 유사 또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상이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신호 처리부(325)는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킹 인터페이스부(33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50)와 물리적 결합을 위한 커넥터이다. 따라서, 도킹 인터페이스부(33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50)와 동일한 인터페이스 구성(도 2 참조)을 가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킹 디바이스(300)와 휴대 단말(100)이 결합된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킹 디바이스(3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50)는 휴대 단말(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단말 삽입부내의 특정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도킹 디바이스(300)와 휴대 단말(100)간의 도킹 결합 또는 도킹 연결 등은 도킹 디바이스(3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330)와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50)가 상호 물리적으로 결합되도록 도킹 디바이스(300)의 단말 삽입부내에 휴대 단말(100)을 삽입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도킹 디바이스(300)의 단말 삽입부내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도킹 디바이스(300)의 단말 삽입부내에 완전 삽입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일부분만 도킹 디바이스(300)의 단말 삽입부내에 삽입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슬라이드 타입의 패드 형상을 갖는 도킹 디바이스(200)를 예시하였지만, 도킹 디바이스(200)는 매우 다양한 디자인(예를 들어, 패드 타입이 아닌 노트북 타입, 슬라이드 타입이 아닌 바 타입 등)을 가질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킹 관리부(345)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300)간의 도킹 결합시, 도킹 디바이스(3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킹 관리부(345)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결합의 최초 감지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300)의 전원 상태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휴대 단말(100)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킹 관리부(345)는 도킹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해 휴대 단말(100)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가 입력되면, 도킹 디바이스(3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도킹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해 해당 휴대 단말(10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킹 관리부(345)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충전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도킹 디바이스(300)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 상태 정보는 당해 도킹 디바이스(300)에 대한 배터리 상태 및 충전 잔량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태 정보는 해당 도킹 디바이스에 AC 전원 연결 상태 등과 같이, 도킹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구성 요소에 대한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이제까지는,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즉, 도킹 디바이스)가 도킹 연결되는 방식으로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결합에 의하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도킹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직접 결합 방식 이외에도, 중간의 매개 장치(Hub)를 이용한 도킹 연결, 특정 연결 케이블(예를 들어, HDMI 케이블)을 이용한 도킹 연결의 방식도 가능함을 명확히 해둔다.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100)의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설명]
도 6은 휴대 단말이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시, 당해 휴대 단말의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는 휴대 단말(100)에 설치된 도킹 에이전트를 통해 수행되나,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대 단말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610에서 휴대 단말(100)은 도킹 디바이스(300)와 도킹 결합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은 HDMI 인터페이스의 HOT PLUG DETECT 단자(도 2 참조)를 통한 H/W적인 HPD 신호의 수신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은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에 따라 USB net, ADB(Android Debug Bridge)를 통한 그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통해서 도킹 연결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휴대 단말(1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H/W적인 방식 또는 특정 통신 방식 등을 통해,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시 소정의 도킹 감지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100)이 도킹 연결되는 경우, 휴대 단말(100)은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의 화면 출력이 턴 오프(turn off)되거나 또는 휴대 단말(100)이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도킹 연결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는 영상이 출력되지 않고,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만 영상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 경로를 제어(전환)할 수도 있다.
단계 615에서 휴대 단말(100)은 도킹 디바이스(3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의 도킹 에이전트는 당해 휴대 단말(100)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도킹 디바이스(300)로 출력한 후 해당 도킹 디바이스(300)로부터 상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620에서 휴대 단말(100)은 획득된 도킹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및 당해 휴대 단말(100)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해당 휴대 단말(100)의 충전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킹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는 충전 잔량 정보 및 충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휴대 단말(100)은 충전 잔량 정보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당해 휴대 단말(100)이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충전 잔량 정보가 제1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한해, 해당 휴대 단말(100)이 충전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충전 잔량 정보에 대한 임계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도킹 디바이스의 충전 잔량 정보가 제1 임계치 미만이더라도 해당 휴대 단말(100)의 충전 잔량 정보가 제2 임계치 미만인 경우, 해당 휴대 단말(100)이 충전되도록 도킹 인터페이스부(150)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단자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100)은 기준치만큼 해당 휴대 단말(100)이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 단말(100)은 해당 휴대 단말의 충전 잔량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은 도킹 디바이스의 충전 잔량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확인하여, 해당 도킹 디바이스(300)의 충전 잔량 정보가 한계치내인 경우에는 해당 휴대 단말(100)이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해당 도킹 디바이스의 충전 잔량 정보가 한계치 미만인 경우, 도킹 인터페이스부(150)의 전원 단자를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다른 예를 들어 도 디바이스(300)는 휴대 단말(100)의 충전 제어에 따라 충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는 스위치(예를 들어, 5V step up IC)를 더 구비하여 스위치 온 또는 오프 시켜 충전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은 도킹 디바이스(300)로부터 획득된 상태 정보 중 충전 상태를 확인하여, 충전 상태가 AC 전원 연결 상태인 경우, 휴대 단말(100)의 사용자로부터 미충전이 선택되었을지라도 휴대 단말(100)이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잇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300)가 도킹 결합되는 경우, 도킹 디바이스(300)는 호스트로써 동작되고, 휴대 단말(100)은 클라이언트로 동작될 수 있다. 호스트-클라이언트 결합된 장치들간의 충전 방법은 이미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동일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을 인증하는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와의 도킹 결합을 감지하고, 도킹 감지 이벤트를 출력하는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도킹 감지 이벤트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도킹 디바이스로부터 충전 잔량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충전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충전 잔량 정보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이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충전 잔량 정보가 제1 임계치 미만이더라도 상기 휴대 단말의 충전 잔량 정보가 제2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휴대단말이 기준 충전 정보까지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의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와의 도킹 결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도킹 결합이 감지되면, 상기 도킹 디바이스로부터 충전 잔량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충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의 충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충전 잔량 정보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이 충전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충전 잔량 정보가 제1 임계치 미만이더라도 상기 휴대 단말의 충전 잔량 정보가 제2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휴대단말이 기준 충전 정보까지 충전되도록 결정하는 충전 제어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110065103A 2011-06-30 2011-06-30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충전 제어 방법 KR101485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5103A KR101485150B1 (ko) 2011-06-30 2011-06-30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충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5103A KR101485150B1 (ko) 2011-06-30 2011-06-30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충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99A KR20130007299A (ko) 2013-01-18
KR101485150B1 true KR101485150B1 (ko) 2015-01-26

Family

ID=4783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65103A KR101485150B1 (ko) 2011-06-30 2011-06-30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충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1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8468A (ja) * 1997-01-09 1998-07-31 Canon Inc バッテリ制御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制御方法
JPH10327537A (ja) * 1997-05-22 1998-12-08 Canon Inc 電池充電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070087439A (ko) * 2006-02-23 2007-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충전 기능을 가지는 도킹장치 및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8468A (ja) * 1997-01-09 1998-07-31 Canon Inc バッテリ制御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制御方法
JPH10327537A (ja) * 1997-05-22 1998-12-08 Canon Inc 電池充電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070087439A (ko) * 2006-02-23 2007-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충전 기능을 가지는 도킹장치 및 배터리 충전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99A (ko)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32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portable terminal
KR1016722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141155B1 (ko) 모바일 장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변경된 숏컷 아이콘을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0636B1 (ko) 카메라에 기반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US11574009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device for searching audio, and storage medium
KR20140076261A (ko) 펜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US20130050122A1 (en) Controlling user equipment as touch pad for external device connected thereto
US10019219B2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54599B1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9542338B2 (en) Controlling applications according to connection state and execution condition
CN107407945A (zh) 从锁屏捕获图像的系统和方法
EP2778886A2 (en) Mobile device of executing action in display unchecking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60126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3677480B (zh) 用于测量坐标的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630812B1 (ko) 단말 가이드와 결합되는 휴대 단말 및 자동 환경 설정 방법
CN110457082A (zh) 控制应用程序签到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9542095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106354B1 (ko) 전자장치에서 터치 입력을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5339946A (zh) 用于提供安全环境的设备和方法
KR101485150B1 (ko)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충전 제어 방법
US2012019441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CN106292878B (zh) 一种电子设备和信息处理方法
KR20140131051A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06480A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KR101772208B1 (ko)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