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208B1 -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208B1
KR101772208B1 KR1020120123830A KR20120123830A KR101772208B1 KR 101772208 B1 KR101772208 B1 KR 101772208B1 KR 1020120123830 A KR1020120123830 A KR 1020120123830A KR 20120123830 A KR20120123830 A KR 20120123830A KR 101772208 B1 KR101772208 B1 KR 101772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priority
us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111A (ko
Inventor
정재훈
강유진
강신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123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20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7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5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network layer [OSI layer 3], e.g. X.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사용자 장치가 통신 단말과의 테더링 연결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하는 방법은, 상기 통신 단말과의 테더링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단말의 테더링 연결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of priority about network interface}
본 발명은 통신 단말과 통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장치의 테더링 연결시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케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게임 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는 게임, 동영상 또는 방송 재생 등의 다양한 기능이 구비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 전자기기의 휴대 편의상 작은 화면이 구비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비록,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된 듀얼 스크린(duel screen)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는 두 개의 화면만을 제공하는 이점만이 있을 뿐, 큰 화면을 제공할 수 는 없으며, 더욱이 두 개의 화면을 구비함에 따라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휴대 전자기기의 부피도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 전자기기가 다른 장치와 테더링 연결시, 연결된 다른 장치에서 휴대 전자기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추가적인 과금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또는 물리적 연결을 통해 테더링 연결된 통신 단말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과 사용자 장치가 테더링 연결시,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케 하여 불필요한 과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 단말과 사용자 장치의 테더링 연결시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케 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과의 연결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제어하는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과의 테더링 연결을 감지하는 원격 관리 수단; 및 상기 테더링 연결 감지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높게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수단은 상기 테더링 연결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을 수신하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에 따라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구동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의 구동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사용자 장치는 원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원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RNDIS(Remote network driver interface spec)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사용자 장치가 최초 연결시, 상기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에 따른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제어하는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감지하는 원격 관리부; 및 상기 테더링 연결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테더링 연결 감지에 따라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에 따라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보다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단말과 사용자 장치의 테더링 연결시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케 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르면, 사용자 장치가 통신 단말과의 테더링 연결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과의 테더링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단말의 테더링 연결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높게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테더링 연결 감지하는 단계 이후,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에 따라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높게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사용자 장치가 최초 연결시에 1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말의 연결에 따른 변경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이 사용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에 따른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테더링 연결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테더링 연결 감지에 따라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이되,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에 따라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보다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통신 단말과 사용자 장치가 테더링 연결시,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케 하여 불필요한 과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간의 테더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과 사용자 장치간의 테더링 연결에 따른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간의 테더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통신 단말(110)은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110)은 이동통신 통신 단말이기와 같은 자체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독립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다.
통신 단말(11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20)와 유무선 연결(결합)을 통해 동작될 수도 있다. 이때, 통신 단말(110)은 사용자 장치(120)의 일부 자원을 이용하여 동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120)의 제어에 따라 통신 단말(110)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또는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단말(110)은 사용자 장치(120)와의 유무선 연결(또는 결합)에 따라, 미리 정해진 주기로 당해 통신 단말(110)의 화면을 사용자 장치(12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장치(120)를 통해서도 통신 단말(110)의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110)은 사용자 장치(120)의 입력 이벤트에 따라 당해 통신 단말(110) 또는 통신 단말(110)상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도 있다. 통신 단말(110)이 유무선 연결(또는 결합)된 사용자 장치(120)의 입력 이벤트에 따라 통신 단말(110)을 제어 또는 통신 단말(110)상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도록 하는 방법은 이미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고, 본 발명의 주요 논지를 설명하는데 무관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 장치(120)는 통신 단말(110)과는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별도의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로, 통신 단말(110)과의 유무선 연결(또는 결합)을 통해 통신 단말(110)의 화면을 주기적으로 제공받아 사용자 장치(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때, 사용자 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통신 단말(110)의 제어 또는 통신 단말(110)상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명령에 따른 입력 이벤트를 통신 단말(110)로 전송하여 제어가 가능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20)는 컴퓨터, 노트북과 같은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통신 단말(110)과 사용자 장치(120)가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상세히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통신 단말(110)과 사용자 장치(120)가 USB 케이블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USB 케이블 이외에도, IEEE 1394, InfiniBand, BlueTooth 방식을 통해 연결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부(210), 통신부(215),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220), 원격 관리부(225), 디스플레이부(230), 메모리(235) 및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당해 통신 단말(1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또는 통신 단말(110)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터치 패드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215)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220)는 사용자 장치(120)와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세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USB 인터페이스인 것을 가정하여 도시한 것으로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IEEE 1394일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220)는 InfiniBand, BlueTooth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원격 관리부(225)는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사용자 장치(120)와의 테더링 연결을 감지하고, 사용자 장치(120)와의 테더링 연결에 따른 화면 전송, 입출력 이벤트 송수신 등을 관리/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명세서에서 테더링 연결은 통신 단말(110)과 사용자 장치(120)가 유무선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또는 공유)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원격 관리부(225)는 입력부(210)를 통해 테더링 연결이 선택(또는 입력)된 상태에서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사용자 장치(120)와 유무선 결합되면, 테더링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당해 통신 단말(110)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저장된 데이터 등을 시각 정보의 형태로 표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는 액정화면(LCD)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입력부(210)와 디스플레이부(230)가 독립된 구성 요소로써, 통신 단말(110)에 포함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입력부(210)와 디스플레이부(230)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신 단말(110)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235)는 통신 단말(110)을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통신 단말(110)을 통해 입력/수신된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제어부(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11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215), 입력부(210),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220), 원격 관리부(225), 디스플레이부(230), 메모리(23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제어부(240)는 원격 관리부(225)를 통해 테더링 연결이 감지되면, 사용자 장치(1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장치(120)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테더링 연결에 따라,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을 생성하여 원격 관리부(225)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원격 관리부(225)는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을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사용자 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은 예를 들어, RNDIS 드라이버 구동 명령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120)는 원격 관리부(225)를 통해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이 수신됨에 따라,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구동시키고, 당해 사용자 장치(1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이동통신을 이용하는 통신 단말(11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가 LAN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1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20)는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구동시킨 후, 사용자 장치(120)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통신 단말(110)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120)는 통신 단말 식별정보(또는 통신 단말의 통신 방식)별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 장치(120)는 통신 단말(110)과 최초 테더링 연결시에만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두번째 연결부터는 자동으로 변경된 네트워크 우선 순위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20)는 입력 수단(410),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415), 통신 수단(420), 출력 수단(425), 원격 관리 수단(430), 저장 수단(435) 및 제어 수단(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 수단(41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장치(120)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명령, 당해 사용자 장치(120)상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 수단(410)은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수단(410)은 키보드, 마우스 등일 수 있다.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415)는 통신 단말(110)과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세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USB 인터페이스인 것을 가정하여 도시한 것으로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IEEE 1394일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415)는 InfiniBand, BlueTooth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통신 수단(420)은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통신 단말(110)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출력 수단(425)은 당해 입력 수단(410)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 저장된 데이터 등을 시각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출력 수단(425)은 액정화면일 수 있다.
원격 관리 수단(430)은 당해 사용자 장치(120)에 구비된 데이터 입출력 커넥터를 통해 통신 단말(110)과의 테더링 연결을 감지하고, 해당 통신 단말(110)과의 테더링 연결에 따른 화면 송수신, 입출력 이벤트 송수신 등을 관리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원격 관리 수단(430)은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415)를 통해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 수단(44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저장 수단(43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20)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각 장치(또는 통신 방식)별 네트워크 우선순위를 저장한다.
제어 수단(4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해 사용자 장치(120)의 내부 구성 요소들(입력 수단(410),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415), 통신 수단(420), 출력 수단(425), 원격 관리 수단(430), 저장 수단(435))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제어 수단(440)은 원격 관리 수단(430)을 통해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구동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어, 제어 수단(440)은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개시에 따라, 사용자 장치(1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110)이 데이터 통신을 이용(또는 공유)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장치(120)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통신 단말(11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과 사용자 장치간의 테더링 연결에 따른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510에서 통신 단말(110)과 사용자 장치(120)는 데이터 입출력 커넥터를 통한 물리적 연결을 감지한다. 이하에서는 통신 단말(110)과 사용자 장치(120)가 USB 연결된 것을 가정하며, 그 이후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515에서 통신 단말(110)은 사용자 장치(120)와의 물리적 연결이 감지되면,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을 생성한 후, 사용자 장치(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은 예를 들어, RNDIS 드라이버 구동 명령일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사용자 장치(120)는 통신 단말(110)의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 수신에 따라,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구동 개시한다.
단계 525에서 사용자 장치(120)는 통신 단말(110)의 네트워크 우선순위보다 사용자 장치(120)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가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사용자 장치(120)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가 통신 단말(110)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보다 높으면, 기존과 동일하게 동작한다(단계 525).
즉, 기존과 동일하게, 통신 단말(110)은 사용자 장치(120)와의 테더링 연결시, 사용자 장치(1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통신 단말(110)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가 사용자 장치(120)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보다 높으면, 단계 525에서 사용자 장치(120)는 통신 단말(110)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보다 사용자 장치(120)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높게 변경 설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장치(120)가 통신 단말(110)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보다 사용자 장치(120)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높게 변경한다는 의미는, 사용자 장치(120)가 예를 들어, 테더링 또는 외부 모뎀 연결을 통해 통신 단말(110)과 연동된 경우, 통신 단말(110)과 연결된 테더링 또는 외부 모뎀 연결에 따른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당해 사용자 장치(120)에서 기본 연결된 통신 방식(예를 들어, LAN, 무선 연결(wi-fi)등)보다 우선 순위가 낮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 장치(120)는 당해 사용자 장치(120)에 연결 설정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 단말(110)과 연결 설정된 네트워크에 대한 우선 순위를 가장 낮도록 설정할 수 있다.
통신 단말(110)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보다 사용자 장치(120)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 변경하는 과정은 통신 단말(110)이 사용자 장치(120)에 최초 연결된 경우에만 수행되고, 이후에는 사용자 장치(120)에 통신 단말(110)의 네트워크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변경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과 사용자 장치의 테더링 연결시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케 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10: 입력부
215: 통신부
220: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
225: 원격 관리부
230: 디스플레이부
235: 메모리
240: 제어부

Claims (18)

  1. 이동 통신 단말과의 연결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제어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의 테더링 연결을 감지하고, 상기 테더링 연결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을 수신하는 원격 관리 수단; 및
    상기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에 따라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구동시키고,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보다 높게 변경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RNDIS(Remote network driver interface sp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상기 사용자 장치가 최초 연결시, 상기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장치.
  7. 통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장치가 이동 통신 단말과의 테더링 연결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의 테더링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에 따라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보다 높게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은 우선 순위가 높은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RNDIS(Remote network driver interface sp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높게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상기 사용자 장치가 최초 연결시에 1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연결에 따른 변경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이동 통신 단말이 통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에 따른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테더링 연결 감지에 따라 원격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동 명령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우선 순위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보다 높게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테더링 연결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
  17. 삭제
  18. 삭제
KR1020120123830A 2012-11-02 2012-11-02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 및 장치 KR101772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830A KR101772208B1 (ko) 2012-11-02 2012-11-02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830A KR101772208B1 (ko) 2012-11-02 2012-11-02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111A KR20140057111A (ko) 2014-05-12
KR101772208B1 true KR101772208B1 (ko) 2017-08-28

Family

ID=5088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830A KR101772208B1 (ko) 2012-11-02 2012-11-02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2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20934A1 (en) 2010-11-15 201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ethering network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to network, and wireless communication group apply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20934A1 (en) 2010-11-15 201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ethering network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to network, and wireless communication group apply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111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366B1 (ko) 전자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 및 장치
US9516453B2 (en)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in bluetooth device and apparatus thereto
CN105556417B (zh) 用于控制电力的电子设备及其方法
US98436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rough sub device that is connectabl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061913B1 (ko)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06380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display apparatus
CN103164112A (zh) 使用握持传感器的基于用户的用户终端显示控制装置和方法
KR102064929B1 (ko)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30110789A (ko) 이동 단말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US2016026674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notification bar thereof
US9542338B2 (en) Controlling applications according to connection state and execution condition
TWI559759B (zh) 進度指示列的顯示方法和相關裝置
KR20110111828A (ko) 다중 운영체제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과 도킹 스테이션, 및 그 구동 방법
US20130166789A1 (en) Controlling device setting based on device setting guide information
WO2016206066A1 (zh) 一种智能终端模式的控制方法、装置及智能终端
US20160205203A1 (en) Method for active notification for intera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772208B1 (ko) 네트워크 우선 순위 변경 방법 및 장치
CN102890606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程序
KR101219976B1 (ko) 디스플레이 인터렉션 방법, 장치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
KR100764460B1 (ko) 개인용 컴퓨터의 다자간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130857A (ja) 携帯機器、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赤外線通信システム
KR101485150B1 (ko)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충전 제어 방법
KR20120131056A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KR101882712B1 (ko) Tv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522404B1 (ko) 화면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