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133B1 - 휴대용 이동 탈의실 - Google Patents

휴대용 이동 탈의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133B1
KR101485133B1 KR1020130163849A KR20130163849A KR101485133B1 KR 101485133 B1 KR101485133 B1 KR 101485133B1 KR 1020130163849 A KR1020130163849 A KR 1020130163849A KR 20130163849 A KR20130163849 A KR 20130163849A KR 101485133 B1 KR101485133 B1 KR 101485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unfolded
state
portabl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형지
Original Assignee
광주광역시 광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광역시 광산구 filed Critical 광주광역시 광산구
Priority to KR1020130163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6Cubicles for dressing; Toi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44Dressing or beach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 탈의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교, 소형 의류매장, 해수욕장, 공원, 유원지 등 탈의실을 갖추지 못한 장소에서 간편하게 설치하여 다수의 인원이 탈의할 수 있는 탈의실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휴대용 이동 탈의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휴대용 이동 탈의실은, 원형의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에 테두리 부분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로 펼쳐진 경우 외형이 원뿔 형상을 이루도록 재봉된 천막과; 상기 천막이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천막의 단면을 따라 코일형으로 감기게 설치되어 탄성 압축 및 팽창되는 접철스프링과; 양측 프레임이 접힘 가능하게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접철스프링의 팽창 작용에 의해 양측 프레임이 서로 접히면서 상기 천막의 지붕 골격을 이루고, 상기 천막이 상기 바닥프레임 내부로 모인 상태로 접히도록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경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 프레임이 펼쳐지며 상기 바닥프레임의 중앙을 가로지르게 고정되면서 상기 접철스프링을 압축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이동 탈의실{PORTABLE DRESSING ROOM}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 탈의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교, 소형 의류매장, 해수욕장, 공원, 유원지 등 탈의실을 갖추지 못한 장소에서 간편하게 설치하여 다수의 인원이 탈의할 수 있는 탈의실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휴대용 이동 탈의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소형 의류매장, 해수욕장, 공원, 유원지 등 다수의 사람이 동시에 몰리는 장소에서는 탈의 공간이 부족하게 마련이다.
특히, 학교와 같은 장소에서는 별도의 탈의실이 갖춰져 있지만, 성별이 다른 다수의 학생을 동시에 수용하기에는 그 공간이 매우 협소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탈의를 진행하는 학생끼리의 개인 프라이버시는 자유롭지 못한 실정인 것이었다.
따라서, 탈의실이 과부하된 경우에는 체육복이나 기타 활동복으로 갈아입기 위해서 학생들이 화장실 등의 장소로 이동하여 옷을 갈아 입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쾌적하지 못하고, 비위생적이었으며, 항상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그로 인해 지체되는 시간 또한 상당한 것으로, 종래에는 이와 같은 탈의 작업이 상당히 번거럽고 까다로웠던 것이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6524호(2001.09.01 등록) "휴대용 탈의실"에서는 피라미드형태로 유지되도록 4개의 프레임이 서로 잇대어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각 프레임은 자체탄성을 갖는 재질을 이용하여 폐루프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휴대주머니에 접어서 수납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탈의실"은 휴대 주머니에서 꺼내어 펼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시 간편하다는 장점은 있다 하겠으나, 상기와 같이 자체 탄성을 갖는 4개의 프레임을 원형으로 접어 휴대주머니에 넣기 위해서는 사람의 손으로 각각의 프레임이 겹쳐지도록 구부린 상태에서 넣어야하기 때문에 탄성을 갖는 각각의 프레임을 한 사람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접어서 넣는 작업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프레임과, 도어 및 커튼 등 다수의 구성과 연결되도록 재봉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럽게 구성되어 있어 제작 또한 매우 어렵게 되어 구조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코일형의 접철스프링이 원뿔 형태로 재봉 형성된 천부재의 단면을 따라 감기게 설치되어 상기 접철스프링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천부재가 원뿔 형상의 내부공간을 이루도록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코일형의 접철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간편하게 고정함으로써 상기 천부재가 원형의 형태로 접힌 상태로 간편하게 보관될 수 있어 설치 및 해체가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진 휴대용 이동 탈의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휴대용 이동 탈의실은, 원형의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에 테두리 부분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로 펼쳐진 경우 외형이 원뿔 형상을 이루도록 재봉된 천막과; 상기 천막이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천막의 단면을 따라 코일형으로 감기게 설치되어 탄성 압축 및 팽창되는 접철스프링과; 양측 프레임이 접힘 가능하게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접철스프링의 팽창 작용에 의해 양측 프레임이 서로 접히면서 상기 천막의 지붕 골격을 이루고, 상기 천막이 상기 바닥프레임 내부로 모인 상태로 접히도록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경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 프레임이 펼쳐지며 상기 바닥프레임의 중앙을 가로지르게 고정되면서 상기 접철스프링을 압축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이동 탈의실은, 상기 천막은, 상기 천막이 펼쳐진 상태에서 내부공간의 채광을 위해 상단 부분 일부가 망사천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이동 탈의실은,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힌지축 하단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길게 늘어진 당김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이동 탈의실은, 상기 바닥프레임은,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둘레 방향을 따라 내부 투시가 가능한 다수의 투시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이동 탈의실은 코일형의 접철스프링이 원뿔 형태로 재봉 형성된 천부재의 단면을 따라 감기게 설치되어 상기 접철스프링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천부재가 원뿔 형상의 내부공간을 이루도록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코일형의 접철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간편하게 고정함으로써 상기 천부재가 원형의 형태로 접힌 상태로 간편하게 보관될 수 있어 설치 및 해체가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진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이동 탈의실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이동 탈의실의 접철스프링이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하여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이동 탈의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이동 탈의실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이동 탈의실의 접철스프링이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하여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이동 탈의실(1)은, 바닥프레임(10), 천막(20), 접철스프링(30), 고정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프레임(10)은 평면상에서 볼 때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천막(20)의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프레임(10)은 내부 투시 가능한 다수의 투시창(10a)이 형성되는데, 상기 투시창(10a)은 상기 바닥프레임(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천막(20)이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 경우, 내부공간에서 탈의를 진행하는 사람의 다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투시창(10a)은 투명한 합성수지 또는 비닐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천막(20)은 테두리 부분이 원형의 상기 바닥프레임(10)에 지지된 상태에서 중앙 부분이 상부로 펼쳐진 경우 외형이 원뿔 형상을 이루도록 재봉된 구성이다.
상기 천막(20)은, 외형이 원뿔 또는 고깔 모양과 같이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 경우, 내부에 1인 또는 2인 정도가 탈의할 수 있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접철스프링(30)은 상기 천막(20)을 상기 바닥프레임(10) 부분으로 접거나 상부로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천막(20)의 단면을 따라 코일형으로 감기게 설치되어 탄성 압축 및 팽창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접철스프링(30)은 상기 천막(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외형이 원뿔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천막(20)과 일체로 재봉되는데, 상기 접철스프링(30)은 상기 천막(20)을 지지할 수 있는 골격을 이루도록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상부로 갈수록 감김 간격이 좁아지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천막(20)이 접힘 및 펼침되도록 상기 접철스프링(30)을 압축 및 팽창 상태로 변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상기 고정부재(40)는 양측 프레임(40a,40b)이 접힘 가능하게 중앙이 힌지축(41)으로 연결된 바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 프레임(40a,40b) 각각이 상기 천막(20)의 중앙 부분에 재봉되어 상호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접철스프링(30)이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천막(20)의 상단 꼭지점 부분에서 상기 양측 프레임(40a,40b)이 대략 "Λ"자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천막(20)의 지붕 골격을 이루게 됨으로써, 상기 천막(20)의 중앙 부분 즉, 펼쳐진 상태에서의 상단 부분이 처지는 것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천막(20)이 상기 바닥프레임(10) 내부로 모인 상태로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탈의를 위해 본 발명 휴대용 이동 탈의실(1)의 사용이 끝난 경우, 사용자가 간편하게 접어서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고정부재(40)는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경우, 상기 힌지축(41)을 중심으로 상기 양측 프레임(40a,40b)이 펼쳐지며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중앙을 가로지르게 고정되면서 상기 접철스프링(30)을 압축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힌지축(41)에 의해 양측 프레임(40a,40b)이 바 형태로 펼쳐질 수 있는데, 상기 양측 프레임(40a,40b)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양측 프레임(40a,40b)이 상기 바닥프레임(10) 중앙을 가로지르며 그 양측 각각의 말단부가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10b)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41) 주변에는 상기 양측 프레임(40a,40b)이 상기 접철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구(42)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구(42)는 몸체(42a)와, 압축스프링(42b), 고정핀(42c), 고리(42d)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42)는 상기 고정부재(40)의 양측 프레임(40a,40b)이 접힘 및 펼침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구(42)의 몸체(42a)는 상기 힌지축(41) 부분에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어느 일측 프레임(40b)과 일체로 고정되어 내부에서 상기 고정핀(42c)이 수직하게 출몰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42c)은 상기 관통공 내부에서 상기 고정핀(42c)을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42b)에 의해 하단 부분 일부가 상기 몸체(42a)의 저부로 소정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고정부재(40) 즉, 상기 양측 프레임(40a,40b)은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점차적으로 펼쳐지는데, 이때, 상기 양측 프레임(40a,40b)이 완전히 펼쳐지면서 각각의 양측 말단부가 상기 걸림홈(10b)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힌지축(41) 부분에서 어느 일측 프레임(40b)에 설치된 고정구(42)의 고정핀(42c) 하단부가 타측 프레임(40a)에 형성된 끼움공(40a')에 삽입되어 상기 양측 프레임(40a,40b) 서로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와 고정된 상기 양측 프레임(40a,40b)을 다시 펼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고정핀(42c)의 상단부에 구비된 고리(42d)를 상부로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핀(42c)의 하단부가 상기 끼움공(40a')으로부터 빠지게 되면서 상기 절첩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40) 즉, 상기 양측 프레임(40a,40b)이 상기 힌지축(41)을 중심으로 접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 휴대용 이동 탈의실(1)은 상기 천막(20)이 원뿔 또는 고깔 모양으로 간편하게 펼쳐질 수 있는데, 직물재의 천막(20)과 소정의 접철스프링(30) 등으로만 이루어져 경량으로 콤팩트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탈의를 하고자 하는 경우 밀거나 들어올려 내부공간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으며, 탈의가 끝난 후에는 간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천막(20)은 상기 천막(20)이 원뿔 또는 고깔 모양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내부공간의 채광을 위해 상단 부분 일부가 망사천(20a)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힌지축(41) 하단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길게 늘어진 당김줄(43)이 구비되어 탈의를 끝낸 사용자가 본 발명 휴대용 이동 탈의실(1)을 접고자 하는 경우, 탈의실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당김줄(43)을 잡아당겨 간편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휴대용 이동 탈의실(1)을 뒤집은 상태로 접는 작업이 편리해지도록 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휴대용 이동 탈의실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탈의실 10 바닥프레임
10a 투시창 20 천막
20a 망사천 30 접철스프링
40 고정부재 41 힌지축
42 고정구 43 당김줄

Claims (4)

  1. 원형의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에 테두리 부분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로 펼쳐진 경우 외형이 원뿔 형상을 이루도록 재봉된 천막과;
    상기 천막이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천막의 단면을 따라 코일형으로 감기게 설치되어 탄성 압축 및 팽창되는 접철스프링과;
    양측 프레임이 접힘 가능하게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접철스프링의 팽창 작용에 의해 양측 프레임이 서로 접히면서 상기 천막의 지붕 골격을 이루고, 상기 천막이 상기 바닥프레임 내부로 모인 상태로 접히도록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경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 프레임이 펼쳐지며 상기 바닥프레임의 중앙을 가로지르게 고정되면서 상기 접철스프링을 압축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동 탈의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막은, 상기 천막이 펼쳐진 상태에서 내부공간의 채광을 위해 상단 부분 일부가 망사천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동 탈의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힌지축 하단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길게 늘어진 당김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동 탈의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은,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둘레 방향을 따라 내부 투시가 가능한 다수의 투시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동 탈의실.
KR1020130163849A 2013-12-26 2013-12-26 휴대용 이동 탈의실 KR101485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849A KR101485133B1 (ko) 2013-12-26 2013-12-26 휴대용 이동 탈의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849A KR101485133B1 (ko) 2013-12-26 2013-12-26 휴대용 이동 탈의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133B1 true KR101485133B1 (ko) 2015-01-26

Family

ID=5259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849A KR101485133B1 (ko) 2013-12-26 2013-12-26 휴대용 이동 탈의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1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617B1 (ko) * 2020-07-27 2021-02-17 주식회사 미성 휴대형 간이 가림막
CN115075650A (zh) * 2022-07-08 2022-09-20 高琳霞 一种折叠式的便携式帐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905Y1 (ko) * 2001-06-01 2001-10-17 박성상 천정고정용 절첩 모기장
JP2011019787A (ja) * 2009-07-17 2011-02-03 Masaki Isotani シャワー浴槽
WO2012013385A1 (en) * 2010-07-27 2012-02-02 Donatella Meneghini Booth with variable configuration usable as a screen, changing booth, shower cubicle, toilet, portable and storable in small spa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905Y1 (ko) * 2001-06-01 2001-10-17 박성상 천정고정용 절첩 모기장
JP2011019787A (ja) * 2009-07-17 2011-02-03 Masaki Isotani シャワー浴槽
WO2012013385A1 (en) * 2010-07-27 2012-02-02 Donatella Meneghini Booth with variable configuration usable as a screen, changing booth, shower cubicle, toilet, portable and storable in small spac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617B1 (ko) * 2020-07-27 2021-02-17 주식회사 미성 휴대형 간이 가림막
CN115075650A (zh) * 2022-07-08 2022-09-20 高琳霞 一种折叠式的便携式帐篷
CN115075650B (zh) * 2022-07-08 2023-09-05 高琳霞 一种折叠式的便携式帐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36956B2 (ja) 自動的に起ち上がるルーフ支持構造を備えた折りたたみ式の天蓋
US6230728B1 (en) Umbrella-type tent apparatus and method
US20100116306A1 (en) Collapsible covers and shades
CN112236058A (zh) 儿童的游戏场设备
US20120085379A1 (en) Canopy for Coverings
KR101485133B1 (ko) 휴대용 이동 탈의실
GB2410262A (en) Igloo/dome tent
US6840254B1 (en) Portable dressing blind and method of use
JP7238104B2 (ja) 短縮したハンモックを備えた携帯式自立型ハンモックフレーム、および短縮したハンモックをフレームに吊り下げる方法
US20210115694A1 (en) Self-opening and collapsible tent structure
KR101425756B1 (ko) 높이 조정이 용이한 접이식 텐트
US10711483B2 (en) Collapsible changing tent assembly
CN214386500U (zh) 一种多功能户外应急装备
KR101281027B1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KR20030026260A (ko) 접철식 텐트
KR101170823B1 (ko) 자동 접이식 우산
JP3213536U (ja) テント
KR20060117478A (ko) 휴대용 텐트의 차양막 고정구조
US20070144571A1 (en) Selferecting structure
JP2011125519A (ja) 日傘
RU158031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палатки с каркасом по типу зонта
US20230304317A1 (en) Collapsible Tent Structures
CN213175066U (zh) 一种充气睡垫
CN220319249U (zh) 一种围栏式自动帐篷
KR200246524Y1 (ko) 휴대용 탈의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