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076B1 -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076B1
KR101485076B1 KR1020140055686A KR20140055686A KR101485076B1 KR 101485076 B1 KR101485076 B1 KR 101485076B1 KR 1020140055686 A KR1020140055686 A KR 1020140055686A KR 20140055686 A KR20140055686 A KR 20140055686A KR 101485076 B1 KR101485076 B1 KR 101485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monics
bandwidth
harmonic
mix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욱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5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1S13/32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 G01S13/34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frequency-modulated waves while heterodyning the received signal, or a signal derived therefrom, with a locally-generated signal related to the contemporaneously transmitted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66Radar-tracking systems; Analogou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87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detection of concealed objects, e.g. contraband or weap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6Means for anti-jamming, e.g. ECCM, i.e. electronic counter-counter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을 공개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고조파를 생성하고 증폭하며, 증폭된 복수개의 고조파와 복수개의 고조파 각각을 커플링하여 복수개의 중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고조파 발생 증폭부, 복수개의 고조파 발생 증폭부로부터 복수개의 고조파를 인가받고, 기설정된 대역폭을 갖는 복수개의 대역폭 신호를 복수개의 고조파 중 대응하는 고조파와 혼합하여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를 생성하는 대역폭 설정부,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 각각의 대역폭을 조절하고, 대역폭이 조절된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를 방사하고,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 각각이 대상 객체에 반사된 복수개의 반사파를 수신하는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 복수개의 반사파 각각을 복수개의 중간 주파수 신호 중 대응하는 중간 주파수 신호와 비교하여, 복수개의 반사파 각각에 대한 대상 객체의 위치 및 RCS를 분석하여 객체 분석 정보를 획득하는 고조파 수신부 및 복수개의 대역폭 신호를 생성하여 대역폭 설정부로 전송하고, 고조파 수신부에서 획득된 객체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고조파 중 대상 객체의 RCS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고조파를 판별하는 대역폭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SYSTEM FOR DETECTING COVERT OBJECT}
본 발명은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조파 어레이 시스템을 이용한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은신 객체(Covert Object)는 좁은 의미에서 상대의 망에 포착되지 않는 은신 기능을 갖는 객체를 말하며, 넓은 의미에서는 상대의 레이더, 적외선 탐지기, 음향탐지기 및 육안에 의한 탐지까지를 포함한 모든 탐지 기능에 대항하는 은신 기술이 적용된 객체를 일컫는다.
은신 기술은 현대 무기체계의 핵심적인 기술로 부각되어 세계 각국에서 은신 기능이 포함된 무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특히 은신 기술을 결합한 무인정보전술기 및 전투기 등의 개발 및 배치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국가 안보에 큰 위협이 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레이더 감시 체계는 은신 기술이 적용된 각종 객체를 효과적으로 탐색 및 추적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 1052050호 에는 "다수의 레이더를 가간섭적으로 결합하여 이동 표적의 감지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은 동일한 주파수와 동일한 위상을 갖는 신호들을 2개 이상의 레이더에서 송출하여 반사파의 도플러 주파수를 일치시키는 방식으로 표적을 감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의 레이더를 구비해야 한다. 또한 단순히 레이더의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하여 탐지하는 기술이므로 실제 은신 기술이 적용된 객체에 대해 탐지 가능성은 매우 불확실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고조파를 이용하여 기존의 레이더가 탐지할 수 없는 은신 기술이 적용된 객체를 탐지할 수 있는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은 복수개의 고조파를 생성하고 증폭하며, 증폭된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와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각각을 커플링하여 복수개의 중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고조파 발생 증폭부;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발생 증폭부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를 인가받고, 기설정된 대역폭을 갖는 복수개의 대역폭 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중 대응하는 고조파와 혼합하여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를 생성하는 대역폭 설정부; 상기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 각각의 대역폭을 조절하고, 대역폭이 조절된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를 방사하고, 상기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 각각이 대상 객체에 반사된 복수개의 반사파를 수신하는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 상기 복수개의 반사파 각각을 상기 복수개의 중간 주파수 신호 중 대응하는 중간 주파수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복수개의 반사파 각각에 대한 상기 대상 객체의 위치 및 RCS를 분석하여 객체 분석 정보를 획득하는 고조파 수신부; 및 상기 복수개의 대역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대역폭 설정부로 전송하고, 상기 고조파 수신부에서 획득된 상기 객체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중 상기 대상 객체의 상기 RCS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고조파를 판별하는 대역폭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고조파 발생 증폭부는 기설정된 기본 주파수의 정수배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를 생성하는 고조파 발생기;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가 입사되어 컷 오프 주파수를 제거하는 복수개의 도파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도파관 중 대응하는 도파관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들의 세기가 균등해지도록 증폭하는 복수개의 제1 이득 증폭기;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이득 증폭기에서 증폭된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각각을 커플링하여, 상기 복수개의 중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중간 주파수 신호를 상기 고조파 수신부로 전송하는 복수개의 커플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역폭 설정부는 각각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발생 증폭부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중 대응하는 고조파를 인가받고, 상기 대역폭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상기 복수개의 대역폭 신호 중 인가된 상기 고조파에 대응하는 대역폭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는 복수개의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송신부 각각은 상기 대역폭 설정부로부터 각각 상기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 중 대응하는 혼합 고조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혼합 고조파의 대역폭을 조절하는 스위칭 뱅크; 상기 스위칭 뱅크에서 대역폭이 조절된 상기 혼합 고조파를 복수개로 분배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에서 분배된 복수개의 상기 혼합 고조파 각각의 위상 및 세기를 조절하여 방사하고, 상기 반사파를 수신하는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 및 상기 스위칭 뱅크에서 인가되는 상기 혼합 고조파를 상기 분배기로 전송하고, 상기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에서 인가되는 상기 반사파를 상기 고조파 수신부로 전송하는 다이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 뱅크는 각각 기설정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 상기 대역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대역패스 필터 중 하나의 대역패스 필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대역패스 필터로 수신된 상기 혼합 고조파를 전달하는 제1 SPMT; 상기 대역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SPMT가 선택한 상기 대역패스 필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대역통과 필터에 의해 대역폭이 조절된 상기 혼합 고조파를 인가받는 제2 SPMT; 및 상기 제2 SPMT에서 인가되는 상기 혼합 고조파를 증폭하는 제2 이득 증폭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는 각각 상기 분배기에서 분배된 상기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 중 대응하는 혼합 고조파의 위상을 상기 대역폭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조절하는 복수개의 위상 천이기; 상기 복수개의 위상 천이기 중 대응하는 위상 천이기에서 인가되는 상기 혼합 고조파의 세기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디지털 제어 감쇠기; 및 상기 복수개의 디지털 제어 감쇠기 중 대응하는 디지털 제어 감쇠기에서 인가되는 상기 혼합 고조파를 방사하고, 상기 반사파를 수신하는 복수개의 패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는 상기 복수개의 송신부 각각의 상기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상기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가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이격되어 원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조파 수신부는 복수개의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수신부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송신부 중 대응하는 송신부로부터 상기 반사파를 수신하여, 다운 샘플링하는 다운 컨버터; 및 상기 다운 컨버터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반사파와 상기 고조파 발생 증폭부의 상기 복수개의 커플러 중 대응하는 커플러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비교 및 분석하여, 상기 대상 객체의 위치 및 RCS를 판별하여 상기 객체 분석 정보를 획득하는 비교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역폭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각각의 최대 및 최소 대역폭을 설정하기 위해 각각 상기 대역폭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직접 디지털 합성기; 상기 복수개의 직접 디지털 합성기에서 생성하는 상기 대역폭 신호의 대역폭을 조절하고, 상기 스위칭 뱅크를 제어하여 상기 혼합 주파수 신호의 대역폭을 조절하며, 상기 고조파 수신부로부터 상기 객체 분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대상 객체의 상기 RCS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고조파를 판별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개의 직접 디지털 합성기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동기화하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럭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 은 단일 PEC 구면체의 RCS 를 측정하기 위해 주파수 신호를 입사하는 시뮬레이션을 나타낸다.
도2 는 도1 의 시뮬레이션에 따라 측정되는 주파수에 따른 RCS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3 은 도1 의 시뮬레이션에서 측정되는 PEC 구면체의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RCS를 나타낸다.
도4 는 6개의 PEC 구면체의 RCS 를 측정하기 위해 주파수 신호를 입사하는 시뮬레이션을 나타낸다.
도5 는 도4 의 시뮬레이션에서 측정되는 PEC 구면체의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RCS를 나타낸다.
도6 은 도4 의 시뮬레이션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따른 RCS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8 은 도7 의 주파수 발생 증폭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9 는 도7 의 대역폭 설정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10 은 도7 의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11 은 도10 의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12 는 도7 의 대역폭 제어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13 은 도7 의 고조파 수신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14 는 도7 의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을 도8 내지 도13 의 상세 구성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은신 기술은 크게 객체의 엔진소음 같은 음향신호(acoustic signature)를 최소화시키는 기술과, 배기가스에 의한 광학적신호(optical signature)를 최소화시키는 기술과, 열에 의한 적외선신호(infrared signature)를 최소화시키는 기술과, 레이더 전자파에 의한 전자적신호(electronic signature)를 최소화시키는 기술로 구분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은신 기술이라 함은 전자적신호를 최소화시키는 기술을 의미하여 레이더에 객체가 탐지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일컫는다. 따라서 이하에서 은신 기술은 전자적신호를 최소화하는 기술을 지칭한다. 그리고 전자적신호를 최소화시키는 은신 기술은 기존의 레이더가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RCS 라이브러리(RCS library)를 왜곡하는 RCS(radar cross section, 레이더 반사면적) 최소화 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RCS는 레이더가 송출한 송신파가 객체에 반사되어 돌아올 때, 그 반사된 양을 나타내기 위해 규정한 평면 면적을 나타낸다. 객체의 레이더 반사면적이 작을수록, 그 대상물은 레이더 전자파에 대한 은신 성능이 좋다. 즉 레이더에 의해 탐지되지 않는다. 다만 RCS를 완전하게 제거하는 기술은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며, 현재의 은신 기술은 레이더가 객체를 탐지할 수 없는 수준으로 RCS를 줄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RCS를 작게 하는 기술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은신 기술이 적용될 대상 객체 표면의 전류 분포를 분산시켜는 EBG(Electromagnetic Band Gap) 기법이 있다. 그리고 레이더가 송출한 전자파를 은신 객체의 표면에서 흡수하도록 하는 나노(nano)재질을 이용하는 유전체 제작 기술이다. 마지막으로 레이저가 송출한 송신파에 대한 반사파가 레이더로 입사되지 않도록 반사파의 방향을 기구적으로 왜곡시켜 레이더에서 상대적으로 RCS가 작게 관측되도록 하는 기계적 틸트(Tilt)기술이다.
그러나 상기한 RCS를 작게 하는 기술들은 모두 레이더가 사용하는 일정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RCS를 감쇠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설계된 주파수 이외의 다른 대역의 주파수 또는 광대역 주파수에서는 RCS 감쇠 성능이 크게 줄어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역으로 이용하면 은신 기술이 적용된 객체에 대한 탐지 및 추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은신 기술이 적용된 객체에 대한 탐지 및 추적을 위해 우선 RC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한다. RC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지 대상이 되는 객체의 전체적인 물리적 형태와 레이더의 송신 방향, 레이더의 송신 주파수 및 객체의 표면 물질 등이 있다.
참고적으로 RCS는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14043835765-pat00001
(여기서, σ는 RCS 값이며 단위는 m2 이다. 그리고 R은 레이더로부터 객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St는 거리(R)의 반경 내에 산란된 전력 밀도(power density)를 나타내며, Sr은 대상 객체에 의해 소실된 전력 밀도를 나타낸다.)
도1 은 단일 PEC 구면체의 RCS 를 측정하기 위해 주파수 신호를 입사하는 시뮬레이션을 나타내고, 도2 는 도1 의 시뮬레이션에 따라 측정되는 주파수에 따른 RCS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3 은 도1 의 시뮬레이션에서 측정되는 PEC 구면체의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RCS를 나타낸다.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RCS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 대상 객체로서 가상의 PEC(Perfect electric conductor : 완전 전기 도전체)를 이용하고, PEC에 대해 특정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신호를 Z축 방향에서 평면파의 형태로 입사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도2 를 참조하면, PEC에 입사되는 평면파의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RCS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 의 시뮬레이션에 따라 PEC에 입사되는 평면파의 주파수를 가변하면,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PEC의 RCS가 변화됨을 알 수 있다. 특히 RCS의 피크값의 방향이 특정 주파수를 기점으로 반대로 형성된다.
도4 는 6개의 PEC 구면체의 RCS 를 측정하기 위해 주파수 신호를 입사하는 시뮬레이션을 나타내고, 도5 는 도4 의 시뮬레이션에서 측정되는 PEC 구면체의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RCS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6 은 도4 의 시뮬레이션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따른 RCS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PEC가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된 경우에도 Z축 방향에서 평면파 형태의 주파수 신호를 입사한다. 그리고 PEC에 입사되는 주파수를 증가시키면,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RCE 가 주파수에 대응하여 가변된다. 특히 도5 에서 (e) 내지 (g)는 주파수가 증가되기 이전의 (a) 내지 (d)의 RCS에 비해 RSC 방향이 반대로 역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6 을 살펴보면, 주파수의 증가에 따라 RCS의 변화가 크게 3개의 구역으로 구분됨을 확인 할 수 있다. 최초 주파수 신호가 인가되면, RCS가 점차로 증가하지만, 대략 4GHz 부터 7GHz까지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RCS의 변화가 거의 없는 제1 안정화 구간(A)이 존재한다. 그러나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가 7GHz 이상이 되면, 약 10GHz까지 다시 RCS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변동 구간(B)이 나타난다. 이후 주파수 신호가 10GHz를 초과하면, 다시 주파수에 대한 RCS의 변화가 거의 없는 제2 안정화 구간(C)이 존재한다. 이때 제1 안정화 구간(A)에서의 RCS를 정방향이라고 한다면, 제2 안정화 구간(C)은 도5 의 (e) 내지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정화 구간(A)의 RCS에 비해 RCS 피크 방향이 반대인 역방향으로 나타난다.
특히 RCS의 방향과 무관하게, 제2 안정화 구간(C)의 RCS는 제1 안정화 구간(A)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난다. 도6 에 도시된 그래프에서는 제2 안정화 구간(C)의 RCS가 제1 안정화 구간(A)의 RCS에 비해 대략 2배 수준까지 높게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RCS를 최소화하여 객체가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도록 하는 은신 기술에 대응하여 객체에 대한 탐지 성능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기존의 레이더는 제1 안정화 구간(A)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객체를 탐지하였으나, RCS를 최소화하는 은신 기술이 적용된 객체를 탐지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레이더가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정화 구간(A)에 비해 RCS가 크게 나타나는 제2 안정화 구간(C)에 대응하는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게 되면, 은신 기술이 적용된 객체를 탐색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다. 다만 은신 객체에 적용된 은신 기술이 어느 주파수 대역에서 RCS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었는지 알 수 없으며, 제1 및 제2 안정화 구간(A, C) 또한 객체에 따라 상이하므로, 은신 기술이 적용된 객체를 정확하게 탐지하기 위해서는 우선 객체의 RCS가 최대가 되는 주파수를 판별할 수 있어야 한다.
도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기존의 레이더들은 기본적으로 단일 캐리어(carrier)를 이용하여 송신파를 송신하고, 객체가 송신파를 반사한 반사파를 수신한 후, 송신파와 반사파 사이의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 IF)의 주파수 축 및 시간 축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탐색하고자 하는 객체의 위치를 탐지한다. 본 발명의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10)은 RCS를 감쇠하는 은신 기술이 적용된 객체를 감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고조파(harmonics)를 이용한다. 통상적으로 고조파는 기존의 전파 기술에서 기본파를 생성할 때 부수적으로 생성되는 파형으로서, 대부분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으로 인식되어, 이를 억제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전파 기술과는 달리 여러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생성하기 용이하고, 기본파형의 주파수의 정수배로 발생하여 상호 간섭이나 왜곡이 적은 고조파의 특성을 이용하여, 광대역의 송신파를 용이하게 발생 및 방사하고, 반사파를 획득하여 은신 기술이 적용된 대상 객체를 용이하게 탐지하도록 한다.
도1 내지 도6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RCS를 최소화하여 레이더의 탐지를 회피하는 은신 기술은 설계시 적용된 대역의 주파수가 아닌 대역의 주파수에서는 그 성능이 크게 낮아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고조파 신호를 광대역의 송신파로 사용하여 객체를 탐지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10)이 복수개의 고조파를 방사하고, 반사파를 수신 및 분석하여, 도6 의 제2 안정화 구역(C)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획득함으로써, RCS를 최소화하는 은신 기술을 무력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도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10)은 고조파 발생 증폭부(100), 대역폭 설정부(200),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300), 대역폭 제어부(400) 및 고조파 수신부(500)를 포함한다.
우선 고조파 발생 증폭부(100)는 복수개의 고조파(harmonics)를 발생시키고 증폭하여 대역폭 설정부(200) 및 고조파 수신부(500)로 전송한다. 이때 주파수 발생 증폭부(100)는 고조파의 특성상 주파수 성분별로 서로 다른 신호의 세기를 가지므로, 복수개의 고조파 각각이 균등한 세기를 갖도록 증폭하고, 증폭된 복수개의 고조파를 각각을 대역폭 설정부(200)로 전송한다. 또한 증폭된 복수개의 고조파를 각각을 커플링하여 복수개의 중간 주파수 신호로서 고조파 수신부(500)로 전송한다.
대역폭 설정부(200)는 대역폭 제어부(400)로부터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폭 신호를 수신하고, 고조파 발생 증폭부(100)로부터 증폭된 복수개의 고조파를 인가 받는다. 그리고 증폭된 복수개의 고조파 각각을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폭 신호 중 대응하는 대역폭 신호와 혼합하여, 복수개의 고조파들이 기설정된 특정 대역폭을 갖도록 한다. 대역폭 설정부(200)는 대역폭이 지정된 복수개의 고조파를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300)로 전송한다.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300)는 대역폭이 지정된 복수개의 고조파를 수신하고, 대역폭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복수개의 고조파 각각을 지정된 대역폭보다 좁은 특정 대역폭으로 제한한다. 그리고 선택된 고조파를 분배하고,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를 통해 방사한다. 즉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300)는 복수개의 고조파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를 통해 방사한다.
대역폭 제어부(400)는 복수개의 고조파 및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 타이밍을 동기 시키며, 발생된 복수개의 고조파 중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300)에서 방사할 고조파를 선택한다. 또한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300)의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를 제어하여, 고조파를 방사할 방향 및 위상을 조절한다. 그리고 대역폭 제어부(400)는 고조파 수신부(500)에서 탐지된 객체에 대해 분석된 RCS가 최대가 되는 고조파를 판별하고, 판별된 고조파로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10)이 탐지된 객체를 계속 감지하도록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300)를 제어한다. 대역폭 제어부(400)는 객체가 더 이상 탐지되지 않으면, 다시 복수개의 고조파가 순차적으로 방사되도록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다른 객체에 대한 탐색을 수행한다.
고조파 수신부(500)는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300)로부터 복수개의 중간 주파수를 수신하고,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를 통해 현재 방사된 고조파에 대한 반사파를 수신한다. 그리고 현재 방사된 고조파에 대응하는 중간 주파수와 반사파를 비교 분석하여 객체를 탐지하고 위치를 추정한다. 이때 고조파 수신부(500)는 탐지된 객체의 RCS를 함께 분석한다. 또한 고조파 수신부(500)는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300)에서 순차적으로 방사되는 복수개의 고조파에서 탐지된 객체의 RCS 변화를 분석하여 최대 RCS가 획득되는 고조파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판별된 고조파를 대역폭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10)은 복수개의 고조파를 생성하여 순차적으로 방사하고, 방사된 고조파에 대한 반사파들로부터 객체를 탐지하고 위치를 추정하며, 고조파의 변화에 따른 RCS 변화를 분석한다. 그리고 RCS가 최대가 되는 고조파를 판별한 후, 판별된 고조파를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추적을 계속한다. 따라서 은신 기술이 적용된 객체가 어떤 주파수 대역에서 RCS가 최소화되도록 설계되더라도, 해당 객체의 RCS가 최대가 되는 주파수를 용이하게 획득하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7 의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10)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8 은 도7 의 주파수 발생 증폭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8 을 참조하면, 주파수 발생 증폭부(100)는 고조파 발생기(Harmonics Generator : PLO)와 도파관(Waveguide : WG), 복수개의 저대역통과 필터(LPF), 복수개의 이득 증폭기(Gain Amp : GA),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BPF), 복수개의 커플러(CP) 및 복수개의 디지털 제어 감쇠기(Digitally Controlled Attenuator : DCA)를 포함한다.
고조파 발생기(PLO)는 기설정된 주파수의 기본 주파수 신호에 대한 복수개의 고조파(f0, 2f0 ~ nf0)를 생성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고조파(f0, 2f0 ~ nf0)는 기본 신호에 대한 주파수 성분(f0)의 정수배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f0, 2f0 ~ nf0과 같이 표현하였다. 고조파 발생기(PLO)는 일예로 위상 고정 발진기(PLO : Phase-Locked Oscillator)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도파관(Waveguide : WG)은 고조파 발생기(PLO)에서 발생된 고조파(f0, 2f0 ~ nf0) 중 하나의 고조파가 입사되고, 입사된 고조파(f0, 2f0 ~ nf0)를 복수개의 저대역통과 필터(LPF) 중 대응하는 저대역통과 필터로 전송한다. 이때 복수개의 도파관(WG)은 입사된 복수개의 고조파들(f0, 2f0 ~ nf0) 각각이 기본 모드(Dominant mode)로 전송되도록 하고, 컷오프(cut-off) 주파수를 제거한다.
복수개의 저대역통과 필터(LPF) 각각은 대응하는 도파관(WG)를 통해 전송된 고조파(f0, 2f0 ~ nf0)를 인가받아 불필요한 상위 주파수들의 스퍼(spur) 성분을 제거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이득 증폭기(GA) 각각은 신호의 세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고조파(f0, 2f0 ~ nf0)들의 신호들의 세기가 균등해지도록 증폭한다.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BPF)는 복수개의 이득 증폭기 중 대응하는 이득 증폭기로부터 증폭된 고조파(f0, 2f0 ~ nf0)를 수신하고, 이득 증폭기(GA)에 의해 증폭되는 과정에서 고조파에 포함될 수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여 복수개의 커플러(Coupler : CP) 중 대응하는 커플러로 전송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BPF)는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복수개의 커플러(CP) 각각은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BPF) 중 대응하는 대역통과 필터 증폭된 복수개의 고조파(f0, 2f0 ~ nf0) 중 대응하는 고조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고조파를 커플링하여 커플링된 고조파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서 고조파 수신부(500)로 전송한다. 복수개의 커플러(CP)가 각각 대응하는 고조파를 커플링하여 고조파 수신부(500)로 전송하는 것은, 이후 고조파 수신부(500)가 커플링되어 수신되는 고조파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서 활용하여 방사되는 고조파와 반사파와의 중간 주파수의 주파수 축 및 시간 축에 대한 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복수개의 디지털 제어 감쇠기(DCA) 각각은 복수개의 커플러(CP) 중 대응하는 커플러로부터 고조파를 수신하고, 이득 증폭기(GA)에서 고조파가 증폭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고조파간의 신호 세기의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평탄화(Flatness)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평탄화된 복수개의 고조파(f0, 2f0 ~ nf0)를 대역폭 설정부(200)로 전송한다.
도9 는 도7 의 대역폭 설정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7 내지 도8 을 참조하여, 도9 의 대역폭 설정부(200)를 설명하면, 대역폭 설정부(200)는 복수개의 혼합기(Mixer) 및 복수개의 저대역통과 필터(LPF)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혼합기(Mixer) 각각은 고조파 발생 증폭부(100)의 복수개의 디지털 제어 감쇠기(DCA) 중 대응하는 DCA에서 전송되는 고조파(f0, 2f0 ~ nf0)를 수신하고, 대역폭 제어부(400)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BW)을 갖는 대역폭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개의 고조파(f0, 2f0 ~ nf0)와 대역폭 신호를 각각 혼합한다. 즉 복수개의 고조파(f0, 2f0 ~ nf0) 각각이 대역폭 신호에 대응하는 대역폭(±BW)을 갖도록 혼합된다. 그리고 혼합된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f0±BW, 2f0±BW ~ nf0±BW) 각각은 복수개의 저대역통과 필터(LPF) 중 대응하는 저대역통과 필터로 인가된다. 여기서 대역폭 제어부(400)에서 인가되는 대역폭 신호는 복수개의 고조파(f0, 2f0 ~ nf0) 각각의 최대 및 최소 대역폭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이다. 즉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f0±BW, 2f0±BW ~ nf0±BW) 각각은 대역폭 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대역폭(±BW)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복수개의 저대역통과 필터(LPF) 각각은 복수개의 혼합기(Mixer) 중 대응하는 혼합기로부터 혼합된 고조파(f0±BW, 2f0±BW ~ nf0±BW)를 수신하고, 혼합기(Mixer)의 신호 혼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퍼(spur)나 고차 성분들, 즉 노이즈를 제거하여, 혼합 고조파를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300)로 전송한다.
상기에서는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f0±BW, 2f0±BW ~ nf0±BW)가 동일한 대역폭(±BW)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f0±BW, 2f0±BW ~ nf0±BW) 각각이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도10 은 도7 의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300)는 발생되는 복수개의 고조파(f0, 2f0 ~ nf0)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송신부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송신부 각각은 대역폭 설정부(200)로부터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f0±BW, 2f0±BW ~ nf0±BW) 중 대응하는 혼합 고조파를 수신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송신부 각각은 스위칭 뱅크와 이퀄라이저(Equalizer), 양방향 커플러(Dual Directional Coupler), 다이플렉서(Diplexer), N 방향 분배기(N way-Divider) 및 액티브 패치 어레이(Active Patch Arrays) 안테나를 포함한다.
스위칭 뱅크는 2개의 SPMT(Single Pole Multi Throw) 스위치와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BPF) 및 이득 증폭기(Gain Amp)를 구비하여, 혼합 고조파(f0±BW, 2f0±BW ~ nf0±BW) 중 인가된 혼합 고조파에서 다시 세부적으로 송신파의 대역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제1 SPMT는 대역폭 설정부(200)에서 인가된 혼합 고조파를 수신하고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BPF)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신된 혼합 고조파를 전송한다. 여기서 제1 SPMT가 선택하는 대역통과 필터(BPF) 는 대역폭 제어부(400)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대역폭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BPF)가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SPMT로부터 혼합 고조파를 수신한 대역통과 필터(BPF)는 인가된 혼합 고조파를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으로 필터링하여 제2 SPMT로 전송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BPF)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대역폭 설정부(200)에서 설정된 혼합 고조파의 최대 및 최소 대역폭 내의 기설정된 대역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BPF)는 m개(여기서 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최대 및 최소 대역폭 내에서 대역통과 필터(BPF)로 구분하고자 하는 대역폭의 개수에 따라 대역통과 필터(BPF)의 개수(m)는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SPMT는 대역폭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BPF) 중 제1 SPMT가 선택한 하나의 대역통과 필터를 선택하여 대역 필터링된 혼합 고조파를 수신하여 이득 증폭기(Gain Amp)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득 증폭기(Gain Amp)는 스위칭 및 대역 필터 과정에서 혼합 고조파의 감쇠를 보상하기 위해 증폭하여 이퀄라이저(Equalizer)로 전송한다.
즉 스위칭 뱅크부는 대역폭 설정부(200)에서 최대 및 최소 대역폭을 갖도록 혼합되어 인가되는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 중 대응하는 혼합 고조파를 인가받고, 최대 및 최소 대역폭 이내의 일정 대역폭을 각각 갖는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BPF) 중 하나의 대역통과 필터를 선택하여 필터링함으로써, 혼합 고조파의 대역폭을 더욱 세부적으로 조절한다.
이퀄라이저(Equalizer)는 복수개의 송신부 각각에서 혼합 고조파들의 신호 세기를 조절하여 평활화한다. 그리고 양방향성 커플러(DDC)는 이퀄라이저(Equalizer)에서 출력되는 혼합 고조파 또는 다이플렉서를 통해 인가되는 수신신호를 커플링하여, 정방향(forward) 및 역방향(reverse) 신호 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커플링된 정방향 및 역방향 신호는 대역폭 제어부(400)로 인가되어, 이후 생성되는 복수개의 고조파의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양방향성 커플러(DDC)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이플렉서(Diplexer)는 양방향성 커플러(DDC)에서 인가되는 송신을 위한 혼합 고조파 신호와 N 방향 분배기에서 인가되는 수신 신호를 구분하여, 혼합 고조파를 N방향 분배기로 전송하고, 수신 신호를 고조파 수신부(500)로 전송한다. 즉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의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구분한다. 경우에 따라서 다이플렉서(Diplexer)는 듀플렉서(Duplexer) 등과 같이 신호를 구분하는 기능을 갖는 다른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N 방향 분배기(N way-Divider)는 다이플렉서(Diplexer)에서 인가되는 혼합 고조파를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로 전송한다. 그리고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를 통해 인가되는 반사파를 다이플렉서(Diplexer)로 전송한다. 즉 N방향 분배기(N way-Divider)는 인가된 혼합 고조파를 복수개로 분배하여 액티브 패치 어레이의 복수개의 방사 경로로 전송하고, 복수개의 방사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반사파를 병합하여 다이플렉서(Diplexer)로 전달한다.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는 각각 위상 천이기(Phase Shifter), 디지털 제어 감쇠기(DCA) 및 패치(patch)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방사 경로를 구비할 수 있다. 위상 천이기(Phase Shifter)는 N 방향 분배기(N way-Divider)에서 인가되는 혼합 고조파의 위상을 대역폭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하고, 디지털 제어 감쇠기(DCA)는 대역폭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위상 조절된 혼합 고조파의 신호 세기를 조절한다. 그리고 패치(patch)는 대응하는 디지털 제어 감쇠기(DCA)에서 인가되는 혼합 고조파를 방사한다. 즉 복수개의 방사 경로 각각은 N 방향 분배기(N way-Divider)에서 분배된 동일한 혼합 고조파를 서로 다른 위상 및 세기로 조절하여 패치(patch)를 통해 방사하거나, 패치(patch)를 통해 인가된 반사파를 서로 다른 위상 및 세기로 조절하여 N 방향 분배기(N way-Divider)로 전송한다.
이렇게 동일한 신호를 분배하여 위상 및 세기를 조절하여 방사하거나, 수신하는 방식은 빔 포밍 기법으로 안테나의 지향성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빔 포밍 기법은 잘 알려진 방식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결과적으로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300)는 복수개의 송신부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송신부 각각은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f0±BW, 2f0±BW ~ nf0±BW) 중 대응하는 혼합 고조파를 수신 및 대역폭을 제한하여 방사한다. 그리고 대상 객체에서 반사된 반사파를 수신하여 고조파 수신부(500)로 전송한다.
도11 은 도10 의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다.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는 짐벌(gimbal)과 같은 기구물에 장착되어 혼합 고조파(f0±BW, 2f0±BW ~ nf0±BW)를 방사하고, 반사파를 수신할 방향이 대략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한 빔 포밍 기법을 이용하여 대상 객체를 탐지할 영역을 추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복수개의 송신부 각각에 구비되는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가 방사하는 혼합 고조파는 다른 송신부에 구비된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에서 방사하는 혼합 고조파(f0±BW, 2f0±BW ~ nf0±BW)와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를 원형 형태로 배치하고, 복수개의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혼합 고조파(f0±BW, 2f0±BW ~ nf0±BW)들이 서로 상호 간섭이 없도록 이격 시킨다. 도11 에 도시된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f0±BW, 2f0±BW ~ nf0±BW) 각각은 복수개의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 중 대응하는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를 통해 방사됨을 나타내며, 복수개의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 각각은 도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패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11 에서는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f0±BW, 2f0±BW ~ nf0±BW) 각각의 대역폭이 대역폭 제어부(400)에 의해 설정된 최대 및 최소 대역폭(±BW)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이다. 실제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 각각의 대역폭은 대응하는 송신부의 스위칭 뱅크에서 선택된 대역통과 필터(BPF)에 의해 최대 및 최소 대역폭(±BW) 보다 좁은 범위로 결정된다.
도12 는 도7 의 대역폭 제어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12 를 참조하면 대역폭 제어부는 2개의 클럭 발생부(FPGA CLK, DDS CLK)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으로 구현되는 2개의 제어부 및 복수개의 직접 디지털 합성기(Direct Digital Synthesis : DDS)를 구비한다. 2개의 클럭 발생부(FPGA CLK, DDS CLK) 중 제1 클럭 발생부(FPGA CLK)는 2개의 제어부(FPGA)를 동기시키기 위한 클럭을 발생하고, 제2 클럭 발생부(DDS CLK)는 복수개의 직접 디지털 합성기(DDS)를 동기시키기 위한 클럭을 발생한다.
복수개의 직접 디지털 합성기(DDS)는 2개의 제어부 중 제1 제어부(master)의 제어에 응답하여, 최대 및 최소 대역폭(±BW)의 대역폭 신호를 생성하여 대역폭 설정부(200)의 복수개의 혼합기(Mixer) 중 대응하는 혼합기로 전송한다.
2개의 제어부 중 제1 제어부(master)는 복수개의 직접 디지털 합성기(DDS)를 제어하여, 복수개의 직접 디지털 합성기(DDS)가 최대 및 최소 대역폭(±BW)의 대역폭 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고조파 발생 증폭부(100)의 복수개의 디지털 제어 감쇠기(DCA) 중 대응하는 디지털 제어 감쇠기를 제어하여, 복수개의 증폭된 고조파들의 신호 세기를 평탄화한다. 뿐만 아니라,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300)의 복수개의 송신부 각각의 스위칭 뱅크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SPMT가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BPF)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 제어부(master)는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10)에서 방사하는 복수개의 고조파 각각을 동기시키고 주파수 대역폭을 조절하며, 세기가 균일해지도록 평탄화한다.
제2 제어부(sub)는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300)의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를 제어하여 빔 포밍을 수행하며, 고조파 수신부(500)가 복수개의 고조파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반사파 각각에 대한 분석 정보를 획득하면, 획득한 분석 정보를 수신하여, 대상 객체를 탐지한다. 그리고 탐지된 대상 객체를 가장 용이하게 계속 탐지할 수 있도록 대상 객체의 위치와 대상 객체의 RCS가 최대가 되는 주파수를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된 주파수 정보를 제2 제어부(sub)는 제1 제어부(master)로 전송하여,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10)이 해당 주파수의 고조파로 객체를 계속 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상 객체의 위치에 따라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의 빔 포밍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제어부(master, sub)를 별도로 도시하였으나, 제1 및 제2 제어부(master, sub)는 하나의 제어부로 통합되어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제2 제어부(sub)가 고조파 수신부(500)에서 복수개의 반사파 각각에 대해 분석한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객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고조파 수신부(500)가 대상 객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13 은 도7 의 고조파 수신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13 을 참조하면, 고조파 수신부(500)는 복수개의 수신부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수신부 각각은 다운 컨버터및 비교 분석부를 포함한다. 다운 컨버터는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300)의 복수개의 송신부 중 대응하는 송신부의 다이플렉서(Diplexer)로부터 반사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반사파를 다운 샘플링하여 중간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고조파를 추출한다. 그리고 비교 분석부는 고조파 발생 증폭부(100)에서 인가되는 중간 주파수와 다운 컨버터에서 인가되는 고조파를 비교 분석하여, 대상 객체의 위치 및 RCS를 분석한다. 복수개의 수신부 각각이 고조파 발생 증폭부(100)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고조파 중 하나의 고조파에 대응하여 대상 객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기 때문에, 은신 기능이 적용된 대상 객체, 즉 은신 객체에 대해서는 복수개의 수신부가 모두 대상 객체를 탐지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도1 내지 도6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은신 객체일지라도 광대역의 주파수 신호 모두에 대해 은신 기능을 제공할 수 없다. 특히 제2 안정화 구간(C)과 같은 경우에는 RCS가 크게 증가되기 때문에 은신 객체의 제2 안정화 구간에 대응하는 고조파에 대응하는 반사파를 분석하는 수신부는 은신 객체를 탐지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리고 이렇게 대상 객체에 대해 분석된 분석 정보는 별도의 통합 분석부(미도시)에서 통합 분석하여 은신 객체의 위치와 RCS가 최대가 되는 주파수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합 분석부는 대역폭 제어부(400)의 제2 제어부(sub)에 구현될 수도 있으나, 고조파 수신부(500)에 별도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14 는 도7 의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을 도8 내지 도13 의 상세 구성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역폭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복수개의 고조파를 생성하고, 특정 대역폭을 갖도록 혼합되어 방사될 수 있으며, 방사된 복수개의 고조파는 대상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분석됨으로써, 대상 객체의 위치 및 RCS가 최대가 되는 주파수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RCS가 최대가 되는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이후 해당 주파수에 대응하는 고조파를 대상 객체를 탐지하기 위해 사용함으로써, 대상 객체의 추적을 계속 수행할 수 있으며, 그 동안에도 다른 주파수의 고조파들의 방사 방향을 빔 포밍 기법등으로 제어하여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은신 기능이 적용된 객체를 추가로 탐지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은식 객체 탐지 시스템은 복수개의 고조파를 생성하여 방사하고, 대상 객체에서 반사된 반사파를 분석함으로써,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은신 기능이 적용된 은신 객체를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탐색된 은신 객체의 RCS가 최대가 되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은신 객체를 계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복수개의 고조파를 생성하고 증폭하며, 증폭된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와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각각을 커플링하여 복수개의 중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고조파 발생 증폭부;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발생 증폭부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를 인가받고, 기설정된 대역폭을 갖는 복수개의 대역폭 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중 대응하는 고조파와 혼합하여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를 생성하는 대역폭 설정부;
    상기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 각각의 대역폭을 조절하고, 대역폭이 조절된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를 방사하고, 상기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 각각이 대상 객체에 반사된 복수개의 반사파를 수신하는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
    상기 복수개의 반사파 각각을 상기 복수개의 중간 주파수 신호 중 대응하는 중간 주파수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복수개의 반사파 각각에 대한 상기 대상 객체의 위치 및 RCS를 분석하여 객체 분석 정보를 획득하는 고조파 수신부; 및
    상기 복수개의 대역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대역폭 설정부로 전송하고, 상기 고조파 수신부에서 획득된 상기 객체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중 상기 대상 객체의 상기 RCS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고조파를 판별하는 대역폭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조파 발생 증폭부는
    기설정된 기본 주파수의 정수배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를 생성하는 고조파 발생기;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가 입사되어 컷 오프 주파수를 제거하는 복수개의 도파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도파관 중 대응하는 도파관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들의 세기가 균등해지도록 증폭하는 복수개의 제1 이득 증폭기;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이득 증폭기에서 증폭된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각각을 커플링하여, 상기 복수개의 중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중간 주파수 신호를 상기 고조파 수신부로 전송하는 복수개의 커플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조파 발생 증폭부는
    복수개의 도파관을 통해 인가되는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각각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각각에 대해 저대역통과 필터링으로 스퍼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1 이득 증폭기 중 대응하는 제1 이득 증폭기로 전송하는 복수개의 제1 저대역통과 필터(LPF),
    각각 상기 복수개의 제1 이득 증폭기 중 대응하는 제1 이득 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를 수신하고, 대역통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한 후 상기 복수개의 커플러 중 대응하는 커플러로 전송하는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BPF),
    각각 상기 복수개의 커플러 중 대응하는 커플러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중 대응하는 고조파를 수신하고, 상기 대역폭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의 세기 편차를 감소시키는 복수개의 디지털 제어 감쇠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설정부는
    각각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발생 증폭부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중 대응하는 고조파를 인가받고, 상기 대역폭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상기 복수개의 대역폭 신호 중 인가된 상기 고조파에 대응하는 대역폭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설정부는
    상기 복수개의 혼합기 각각에서 생성된 상기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를 저대역통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로 전송하는 복수개의 저대역통과 필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는
    복수개의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송신부 각각은
    상기 대역폭 설정부로부터 각각 상기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 중 대응하는 혼합 고조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혼합 고조파의 대역폭을 조절하는 스위칭 뱅크;
    상기 스위칭 뱅크에서 대역폭이 조절된 상기 혼합 고조파를 복수개로 분배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에서 분배된 복수개의 상기 혼합 고조파 각각의 위상 및 세기를 조절하여 방사하고, 상기 반사파를 수신하는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 및
    상기 스위칭 뱅크에서 인가되는 상기 혼합 고조파를 상기 분배기로 전송하고, 상기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에서 인가되는 상기 반사파를 상기 고조파 수신부로 전송하는 다이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뱅크는
    각각 기설정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복수개의 대역통과 필터;
    상기 대역폭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대역패스 필터 중 하나의 대역패스 필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대역패스 필터로 수신된 상기 혼합 고조파를 전달하는 제1 SPMT;
    상기 대역폭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SPMT가 선택한 상기 대역패스 필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대역통과 필터에 의해 대역폭이 조절된 상기 혼합 고조파를 인가받는 제2 SPMT; 및
    상기 제2 SPMT에서 인가되는 상기 혼합 고조파를 증폭하는 제2 이득 증폭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는
    각각 상기 분배기에서 분배된 상기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 중 대응하는 혼합 고조파의 위상을 상기 대역폭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조절하는 복수개의 위상 천이기;
    상기 복수개의 위상 천이기 중 대응하는 위상 천이기에서 인가되는 상기 혼합 고조파의 세기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디지털 제어 감쇠기; 및
    상기 복수개의 디지털 제어 감쇠기 중 대응하는 디지털 제어 감쇠기에서 인가되는 상기 혼합 고조파를 방사하고, 상기 반사파를 수신하는 복수개의 패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는
    상기 대역폭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혼합 고조파를 빔포밍하여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조파 송신 및 안테나부는
    상기 복수개의 송신부 각각의 상기 액티브 패치 어레이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상기 복수개의 혼합 고조파가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이격되어 원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송신부 각각은
    복수개의 송신부 각각에서 상기 스위칭 뱅크에 의해 대역폭이 조절된 상기 혼합 고조파들의 신호 세기를 평활화하는 위한 이퀄라이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조파 수신부는
    복수개의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수신부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송신부 중 대응하는 송신부로부터 상기 반사파를 수신하여, 다운 샘플링하는 다운 컨버터; 및
    상기 다운 컨버터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반사파와 상기 고조파 발생 증폭부의 상기 복수개의 커플러 중 대응하는 커플러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 비교 및 분석하여, 상기 대상 객체의 위치 및 RCS를 판별하여 상기 객체 분석 정보를 획득하는 비교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고조파 각각의 최대 및 최소 대역폭을 설정하기 위해 각각 상기 대역폭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직접 디지털 합성기;
    상기 복수개의 직접 디지털 합성기에서 생성하는 상기 대역폭 신호의 대역폭을 조절하고, 상기 스위칭 뱅크를 제어하여 상기 혼합 고조파의 대역폭을 조절하며, 상기 고조파 수신부로부터 상기 객체 분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대상 객체의 위치 및 상기 대상 객체의 상기 RCS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고조파를 판별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개의 직접 디지털 합성기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동기화하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럭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KR1020140055686A 2014-05-09 2014-05-09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KR101485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686A KR101485076B1 (ko) 2014-05-09 2014-05-09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686A KR101485076B1 (ko) 2014-05-09 2014-05-09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076B1 true KR101485076B1 (ko) 2015-01-21

Family

ID=5259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686A KR101485076B1 (ko) 2014-05-09 2014-05-09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710A (ko) * 2017-11-17 2019-05-2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외삽법을 이용한 rcs 데이터 추정 방법, 그 추정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및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추정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10B1 (ko) * 2010-05-01 2011-01-12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항공 전자용 소형 고주파 주파수 합성기
KR101241100B1 (ko) * 2011-10-26 2013-03-11 국방과학연구소 초고주파 주파수합성기에서 생성한 연속 위상을 갖는 선형주파수변조 파형의 시간지연 및 펄스폭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348212B1 (ko) * 2012-12-18 2014-01-07 국방과학연구소 은닉 물체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04430A (ko) * 2012-07-02 2014-01-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용 레이더 장치, 이를 이용한 선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10B1 (ko) * 2010-05-01 2011-01-12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항공 전자용 소형 고주파 주파수 합성기
KR101241100B1 (ko) * 2011-10-26 2013-03-11 국방과학연구소 초고주파 주파수합성기에서 생성한 연속 위상을 갖는 선형주파수변조 파형의 시간지연 및 펄스폭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40004430A (ko) * 2012-07-02 2014-01-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용 레이더 장치, 이를 이용한 선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348212B1 (ko) * 2012-12-18 2014-01-07 국방과학연구소 은닉 물체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710A (ko) * 2017-11-17 2019-05-2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외삽법을 이용한 rcs 데이터 추정 방법, 그 추정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및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추정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77100B1 (ko) * 2017-11-17 2020-02-1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외삽법을 이용한 rcs 데이터 추정 방법, 그 추정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및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추정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6197B2 (en) Methods for operating stepped frequency radar systems with digital demultiplexing
US71421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cating, and identifying microwave transmitters and receivers at distant locations
GB2443456A (en) MIMO radar system
KR101619921B1 (ko) 타겟의 위치 정보 탐지 장치
KR101553877B1 (ko) 부엽 레벨을 억제할 수 있는 송신 스위칭 레이더 시스템
KR20140078245A (ko) 합성 개구면 레이더 능동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재밍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Balajti et al. Increased importance of VHF radars in ground-based air defense
KR101485077B1 (ko) 은신 객체 탐지 방법
KR101485076B1 (ko) 은신 객체 탐지 시스템
KR101705348B1 (ko) 대방사 유도무기용 탐색기
Marra et al. New algorithm for signal detection in passive FSR
KR20160097906A (ko) W 대역 탐색기용 수신기
KR101553878B1 (ko) 송신 스위칭 레이더 시스템의 부엽 레벨 억제 방법
Kim et al. A dual-band FMCW radar for through-wall detection
KR20200043166A (ko) 다중빔조향 재밍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송신시스템
KR102207567B1 (ko) 차량용 레이더 및 이의 탐지 성능 개선 방법
KR101912519B1 (ko) 하이브리드 마이크로파 영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8013792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minimize antenna backside signal response and ambiguity
WO2008109946A1 (en) Three-dimensional millimeter-wave imaging system
KR101839044B1 (ko) 이중편파를 이용하는 w대역 밀리미터파 표적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1052034B1 (ko) 전자전 체계의 다기능 수신기
KR101705350B1 (ko) 대방사 유도무기용 탐색기의 표적 탐색 방법
KR102541473B1 (ko) 다차원 주파수 동기화를 기반으로 다중 대역 동시 대응이 가능한 신호 송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541472B1 (ko) 다중 대역 동시 대응이 가능한 신호 송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JP6151139B2 (ja) 角度測定装置、飛翔体、ランチャー、角度測定方法、飛翔体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