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949B1 -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 Google Patents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949B1
KR101484949B1 KR20130095689A KR20130095689A KR101484949B1 KR 101484949 B1 KR101484949 B1 KR 101484949B1 KR 20130095689 A KR20130095689 A KR 20130095689A KR 20130095689 A KR20130095689 A KR 20130095689A KR 101484949 B1 KR101484949 B1 KR 101484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asket
shaft
gas container
safet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5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to KR20130095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4Reducing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
    • F17C2260/042Reducing risk of expl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용 부탄가스의 가스용기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 용기 상부면에 설치된 밸브스템과 별도로 용기의 하부면에 설치한 안전밸브를 통해 가스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외부로 분출시켜 가스용기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는, 캠핑용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질 경우 가스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직경이 서로 다른 원통 형상의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 및 제1본체부의 상단에 튜브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본체부의 하단으로는 로킹부가 외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본체부에 걸쳐지도록 위치하고, 상단에 형성된 가스켓체결부는 상기 제1본체부의 상단 내측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가스켓체결부의 하부로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가스유출부가 구비된 샤프트;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의 중앙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와 하부 사이에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측벽으로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분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 관통되어 위치되면서, 측벽의 외주면이 상기 제2본체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서, 샤프트의 가스유출부 하면과 스토퍼 하부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샤프트 상단에 형성된 가스켓체결부에 끼워져서, 상기 제1본체부의 상면과 내주면에 접하여 2중 밀폐 기능을 하도록 설치되는 제1가스켓; 상기 하우징의 튜브삽입부에 끼워지는 원통 형상의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전밸브는 가스용기의 하부면에 장착된 마운팅컵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Safety relief valve for camping gas container}
본 발명은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캠핑용 부탄가스의 가스용기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 가스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외부로 분출시켜 가스용기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가스용기는 액화 석유가스 중 부탄가스를 주원료로 한 부탄가스 혼합물을 충전하여 휴대용 가스렌지에 사용되는 휴대용 부탄가스 용기와, 액화 석유가스 등을 추진제로 사용하는 헤어스프레이, 살충제, 락카스프레이 등 에어로졸 용기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가스용기는 용기 내의 가스압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분출시키는 것으로,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을 경우에는 용기 내에 일정 이상의 압력이 항상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온 또는 일정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여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용기가 변형되거나 파손되고 심할 경우 폭발할 수 있다.
최근 낚시나 캠핑 혹은 레포츠 등 다양한 레저문화가 확산되고 활성화되면서 캠핑용 버너의 휴대 및 사용이 빈번해지고 있는데, 캠핑용 가스용기는 부피가 적어서 휴대가 간편하므로 낚시, 등산, 레저 등과 같은 야외 나들이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휴대용 가스렌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가스용기는 용기 자체를 눕혀서 사용하고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수요가 현저하게 많기 때문에 가스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분출시키기 위한 안전밸브가 많이 개발되어 있다. 하지만, 캠핑용 가스용기의 경우는 용기 자체를 세워서 사용하고, 휴대용 가스렌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가스용기보다 수요가 훨씬 적기 때문에 용기 폭발에 대한 문제가 상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캠핑용 가스용기에 대한 안전밸브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에 관한 기술로 공개특허 제2013-65020호 "안전밸브가 장착된 가스용기"가 출현했는데, 도 9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밸브몸체(1)가 가스용기에 내장되도록 용기의 하부면(2)에 고정되고, 중심축을 따라 가스방출구(3)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압력설정탭(4)이 밸브몸체 내에 나사결합되며, 배출압력설정탭의 상부에 밸브를 개폐시키는 스프링(5)이 장착되어, 스프링에 의해 밸브몸체의 상단 내면에 장착된 패킹(6)에 밀착되었다가 용기 내의 가스 압력에 따라 가스압작용구(7)를 개폐하는 밸브포펫(8)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안전밸브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밸브몸체의 상단이 가스용기 내의 액화된 부탄가스 혼합물의 상부에 있는 기화된 부탄가스가 충전되어 있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밸브몸체의 길이(높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져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밸브몸체 내부가 직경이 동일한 원통형으로만 되어 있어서, 밸브포펫이 밸브몸체 내부의 직경이 동일한 부분에서만 상하 승강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내에 설정된 일정 이상의 과압이 걸리면 밸브포펫이 약간 하강하여 과압가스가 조금만 빠져나가도 곧바로 밸브포펫이 상승하여 밸브가 닫히게 되므로, 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충분히 배출시킬 수 없어서 한번 과압가스가 찬 용기의 내부는 항시 설정된 압력 부근을 유지하게 될 수밖에 없어서 가스용기는 언제나 위험 상태 부근에만 있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밸브몸체의 하부와 가스용기의 하부면이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요철에 의해서만 체결 결합되어 있고 별도의 밀폐수단이 없기 때문에 체결부위로 기체가스 또는 액화가스가 누출될 수 있고, 용기의 하부면에 장착된 밸브몸체의 하부에 힘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밸브몸체가 가스용기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캠핑용 부탄가스의 가스용기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 용기 상부면에 설치된 밸브스템과 별도로 용기의 하부면에 설치한 안전밸브를 통해 가스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외부로 분출시켜 가스용기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밸브를 미리 조립한 상태에서 밀폐수단을 개재시켜 마운팅컵과 안전밸브를 로킹시키고, 마운팅컵을 가스용기의 하부면에 클램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작업이 간편하며, 하우징 상단에 일정 길이의 튜브를 결합시킴으로써 튜브의 상단이 기화된 부탄가스가 충전된 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안전밸브 하우징의 길이(높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의 다단(多段) 구조에 의해 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일시에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는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는, 캠핑용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질 경우 가스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직경이 서로 다른 원통 형상의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 및 제1본체부의 상단에 튜브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본체부의 하단으로는 로킹부가 외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본체부에 걸쳐지도록 위치하고, 상단에 형성된 가스켓체결부는 상기 제1본체부의 상단 내측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가스켓체결부의 하부로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가스유출부가 구비된 샤프트;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의 중앙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와 하부 사이에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측벽으로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분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 관통되어 위치되면서, 측벽의 외주면이 상기 제2본체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서, 샤프트의 가스유출부 하면과 스토퍼 하부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샤프트 상단에 형성된 가스켓체결부에 끼워져서, 상기 제1본체부의 내측 상면과 내주면에 접하여 2중 밀폐 기능을 하도록 설치되는 제1가스켓; 상기 하우징의 튜브삽입부에 끼워지는 원통 형상의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전밸브는 가스용기의 하부면에 장착된 마운팅컵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로킹부와 마운팅컵 사이에는 제2가스켓이 더 구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제2본체부는 제1본체부보다 직경이 크고, 제1 및 제2본체부 사이는 단턱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가스용기 내에 충전된 가스가 정상일 때에는 제1가스켓이 하우징의 제1본체부 내측 상단에 접하여 튜브삽입부를 밀폐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과압가스에 의해 제1가스켓이 작동하여 최고로 하강했을 때 제1가스켓은 제1본체부 하단부를 벗어나도록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가스켓은, 상면은 폐쇄되어 있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면과 하면 사이에는 원통 형상의 측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의 하단에는 단면(斷面)이 원형인 돌출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스토퍼의 측벽과 샤프트의 가스유출부는 등간격으로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홈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는, 안전밸브를 미리 조립한 상태에서 밀폐수단(하우징과 마운팅컵 사이의 가스켓, 용기 하부면과 마운팅컵 사이의 가스켓)을 개재시켜 마운팅컵과 안전밸브를 로킹시켰기 때문에 밀폐성이 뛰어나고, 마운팅컵을 가스용기의 하부면에 클램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작업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매우 높다.
또한, 안전밸브의 하우징을 다단(多段) 형상의 원통형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과압가스가 제1가스켓 상면에 접하는 면적이 커지면서 제1가스켓이 과압가스로부터 받는 힘이 커져서 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일시에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으며, 안전밸브의 상단이 액화된 부탄가스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하는바, 하우징 상단에 일정 길이의 튜브를 결합시킴으로써 튜브의 상단이 기화된 부탄가스가 충전된 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안전밸브 하우징의 길이(높이)를 최소화 할 수 있어서 안전밸브 자체를 매우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가 장착된 캠핑용 가스용기의 과압 배출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안전밸브의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안전밸브의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안전밸브의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안전밸브의 제1가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가스켓의 다른 실시예를 장착한 안전밸브의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안전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의 기술적 특징은,
첫째, 안전밸브를 미리 조립한 상태에서 밀폐수단을 개재시켜 마운팅컵과 안전밸브를 로킹시키고, 마운팅컵을 가스용기의 하부면에 클램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안전밸브의 밀폐성과 조립성을 향상시켰다는 점과,
둘째, 하우징을 다단(多段) 형상의 원통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일시에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게 했다는 점과,
셋째, 하우징 상단에 일정 길이의 튜브를 결합시킴으로써 튜브의 상단이 기화된 부탄가스가 충전된 부분에 위치하게 하여, 안전밸브 하우징의 길이(높이)를 최소화해서 안전밸브를 콤팩트하게 했다는 점이다.
휴대용 가스렌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가스용기는 용기를 눕혀서 사용하지만, 캠핑용 가스용기의 경우는 용기의 상부면에 결합된 마운팅컵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밸브스템을 통해 가스를 분출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용기 자체를 세워서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용 가스렌지에 사용하는 가스용기와 캠핑용 가스용기는 가스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안전밸브의 설치위치와 구조가 달라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20)는 가스용기(10)의 하부면(11)에 클램핑하여 장착된 마운팅컵(12)에 체결되는 것으로, 하우징(21), 샤프트(22), 스프링(23), 스토퍼(24), 제1가스켓(25), 및 튜브(26)를 구비하고, 마운팅컵(12)과 하우징(21)의 하단 사이에 제2가스켓(27)을 더 구비하게 된다.
하우징(21)은 원통 형상의 제1본체부(211)와, 제1본체부(211)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2본체부(212) 및 제1본체부(211)의 상단에 튜브삽입부(2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들 제1본체부(211)와 제2본체부(212) 및 튜브삽입부(213)는 직경이 서로 다르며, 제2본체부(212)의 하단에는 로킹부(214)가 외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제2본체부(212)는 제1본체부(211)보다 직경이 크고, 제1 및 제2본체부 사이는 단턱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튜브삽입부(213)는 제1본체부(211)보다 직경이 작으며, 튜브삽입부(213) 상단부분 외주면에는 돌턱을 형성하여 삽입된 튜브(26)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샤프트(22)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으로, 본체(221)가 하나의 축으로 제작되어 하우징(21)의 제1 및 제2본체부(211, 212) 내에 걸쳐서 위치하게 되고, 상단에 형성된 가스켓체결부(223)는 하우징의 제1본체부(211)의 상단 내측부분에 위치하며, 가스켓체결부(223)의 하부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가스유출부(222)가 형성된 구조이다. 가스유출부(222)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은 가스유출부(222)의 가장자리 원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상하방향을 관통하도록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가스용기 내에 충전된 가스가 정상일 때에는 제1가스켓(25)이 하우징의 제1본체부(211) 내측 상단에 접하여 튜브삽입부(213)의 구멍을 밀폐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제1가스켓(25)이 상하로 승강작동을 할 때 제1가스켓(25)은 제1본체부(211) 하단부를 벗어나 스프링(23)이 최고로 압축될 때까지 후퇴하면서, 과압가스가 배출될 충분한 공간을 만들게 된다.
스토퍼(24)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개방되고, 폐쇄된 하부의 중앙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에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홈이 등간격으로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의 외주면이 제2본체부(212)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샤프트(22)의 하단부분은 스토퍼(24)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 삽입되게 되는데, 샤프트(22)의 본체(221) 하단부분에는 걸림턱(224)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서(도 5 참조), 샤프트(22)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스토퍼(24)의 하부 관통공에 삽입된 샤프트(22)가 스토퍼(24)에서 이탈하지 않고 스토퍼(24)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스프링(23)은 샤프트 본체(221)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샤프트(22)의 가스유출부(222) 하면과 스토퍼(24) 하부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데, 용기 내의 압력이 정상일 때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샤프트(22)를 상방으로 밀어서 제1가스켓(25)이 하우징의 제1본체부(211) 상단 중앙에 밀착되게 하여 튜브삽입부(213)의 구멍을 통해 배출되려고 하는 가스를 배출되지 못하도록 막아준다.
샤프트(22)의 직경은 동일한 것이 아니라 가스유출부(222) 하부부분의 직경을 걸림턱(224) 상부부분보다 굵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굵기가 다르게 형성하는 것은 스프링(23)의 내경이 샤프트(22)의 직경이 굵은 부분의 직경과 같이 함으로써, 스프링(23)이 샤프트(22)에 끼워졌을 때 스프링(23)의 위치가 고정되게 되어, 스프링(23)이 압축되더라도 샤프트(22) 주위에서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1가스켓(25)은 탄성이 있는 고무류로 제작된 것으로, 가스켓의 본체(251)는 상면은 폐쇄되어 있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원통 형상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의 하단에는 단면(斷面)이 원형인 돌출부(252)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도 7 참조).
샤프트(22)의 상단에 형성된 가스켓체결부(223)에 제1가스켓(25)의 본체(251)가 삽입되어 끼워지게 되고, 제1가스켓(25)의 돌출부(252)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샤프트의 가스유출부(222)와 가스켓체결부(223)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서 위치하게 된다. 제1가스켓(25)의 본체(252) 측벽 외주면이 하우징(21)의 제1본체부(211) 내주면에 접하고, 제1가스켓(25)의 본체(252) 상면이 제1본체부(211)의 내측 상면에 접하여 설치되어 제1본체부(211)를 2중으로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용기 내에 과압가스가 발생하면, 제1본체부(211)의 내측 상단을 밀폐시키고 있던 제1가스켓(25)의 상단이 분리되면서 과압가스의 압력을 받는 면적이 커지게 되어 더 큰 힘이 가해지므로, 제1가스켓(25)이 체결된 샤프트(22)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1가스켓(25)의 상면이 제1본체부(211) 하단부를 벗어나 스프링(23)이 최대로 압축될 때까지 후퇴하면서, 과압가스가 배출될 충분한 공간을 만들어 주게 되어, 과압가스가 일시에 배출되게 된다.
튜브(26)는 원통 형상으로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인데, 하우징(21)의 튜브삽입부(213) 외주면에 끼워져서 상단이 가스용기의 기체 가스가 충전된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안전밸브의 하우징(21) 상단에 튜브(26)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밸브 하우징(21)의 길이(높이)를 불필요하게 길게 할 필요가 없어서 안전밸브 자체가 콤팩트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중 하나가 안전밸브(20)가 로킹되어 장착될 마운팅컵(12)을 가스용기의 하부면(11)에 클램핑하여 장착한 것인데, 하우징의 제2본체부(212)의 하단에 형성된 로킹부(214)와 마운팅컵(12) 사이에는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2가스켓(27)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운팅컵(12)과 가스용기의 하부면(11)을 클램핑할 때도 그 사이에 가스켓이나 슬리브가스켓(실리콘)을 넣음으로써 밀폐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제1가스켓의 다른 실시예를 장착한 안전밸브를 도시한 것인데, 제1가스켓을 2개의 구성으로 분리한 것이다. 제1부분(253)은 튜브삽입부(213) 하단 구멍을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제1가스켓의 제1부분(253)이 가스켓체결부(223')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구멍을 밀폐시킨다. 또한 제1가스켓의 제2부분(254)은 오링(O-ring) 형상으로, 샤프트의 가스유출부(222)와 가스켓체결부(223') 사이에 삽입되어 외주면이 하우징의 제1본체부(211)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제1부분(253)과 함께 2중으로 밀폐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가 작동하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용기 내의 가스 압력이 정상상태일 때의 초기에는 스프링(23)의 탄성력으로 샤프트(22)를 상방으로 밀어서 제1가스켓(25)이 하우징의 제1본체부(211) 상단 중앙에 밀착되면서 튜브삽입부(213)의 구멍을 밀폐시켜 튜브삽입부(213)의 구멍을 통해 배출되려고 하는 가스를 배출되지 못하도록 막아준다(도 1 참조).
이후 용기 내의 가스 압력이 점점 올라가서 샤프트(22)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제1가스켓(25)이 약간 하향으로 밀리기 시작하면, 튜브삽입부(213)보다 제1본체부(211)의 단면적이 더 크기 때문에 제1가스켓(25) 상단의 가스 압력을 받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도 2 참조), 가스압에 의해 샤프트(22)가 받는 힘이 커지게 되면서 제1가스켓(25)이 하우징의 제1본체부(211) 하단 부분까지 밀리게 되는데, 제2본체부(212)에서는 제1본체부(211)보다 갑자기 직경이 커지므로 일시에 과압가스가 배출되게 된다(도 3 참조).
이때, 제1가스켓(25)이 하우징의 제1본체부(211) 하단 부분까지 밀리기 전까지는 과압가스가 거의 배출되지 못하고 있다가, 제1가스켓(25)이 하우징의 제1본체부(211) 하단 부분에 오는 순간 갑자기 하우징 본체부의 내경이 커지면서 가스배출 통로가 커지게 되어 일시적으로 과압가스를 배출하게 되어,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로 뚝 떨어지면서 가스용기는 다시 정상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기 때문에 과압가스를 한번 배출하고 나면, 종래의 안전밸브와 같이 용기 내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근처에서 위험한 상태를 지속하는 것이 아니라 용기 내의 압력이 안전한 범위로 뚝 떨어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가스용기 11 : 하부면
12 : 마운팅컵
20 : 안전밸브 21 : 하우징
22 : 샤프트 23 : 스프링
24 : 스토퍼 25 : 제1가스켓
26 : 튜브 27 : 제2가스켓

Claims (10)

  1. 캠핑용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질 경우 가스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캠핑용 가스용기에 장착되는 안전밸브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브는,
    직경이 서로 다른 원통 형상의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 및 제1본체부의 상단에 튜브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본체부의 하단으로는 로킹부가 외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본체부에 걸쳐지도록 위치하고, 상단에 형성된 가스켓체결부는 상기 제1본체부의 상단 내측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가스켓체결부의 하부로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가스유출부가 구비된 샤프트;
    상부는 개방되고, 폐쇄된 하부의 중앙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의 가장지리를 따라 상방으로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측벽이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분이 상기 관통공에 관통 삽입되어 위치되면서, 측벽의 외주면이 상기 제2본체부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서, 샤프트의 가스유출부 하면과 스토퍼 하부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샤프트 상단에 형성된 가스켓체결부에 끼워져서, 상기 제1본체부의 내측 상면과 내주면에 접하여 2중 밀폐 기능을 하도록 설치되는 제1가스켓;
    상기 하우징의 튜브삽입부에 끼워지는 원통 형상의 튜브;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전밸브는 가스용기의 하부면에 장착된 마운팅컵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로킹부와 마운팅컵 사이에는 제2가스켓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2본체부는 제1본체부보다 직경이 크고, 제1 및 제2본체부 사이는 단턱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가스용기 내에 충전된 가스가 정상일 때에는 상기 제1가스켓이 하우징의 제1본체부 내측 상단에 접하여 튜브삽입부의 구멍을 밀폐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과압가스에 의해 제1가스켓이 작동하여 최고로 하강했을 때 제1가스켓은 제1본체부 하단부를 벗어나도록 작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튜브삽입부 상단부분 외주면으로는 돌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분에는, 스토퍼의 하부 관통공을 통과한 샤프트가 이탈하지 않고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직경은, 가스유출부 하부부분의 직경이 걸림턱 상부부분보다 굵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스켓은, 상면은 폐쇄되어 있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으로 원통 형상의 측벽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측벽의 하단에는 단면(斷面)이 원형인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스켓은, 샤프트의 가스켓체결부 상부에 위치하면서 튜브삽입부 구멍을 밀폐시키는 제1부분과, 샤프트의 가스유출부와 가스켓체결부 사이에 삽입되어 외주면이 하우징의 제1본체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오링(O-ring) 형상의 제2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측벽과 샤프트의 가스유출부는 등간격으로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홈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용기의 하부면과 마운팅컵은 클램핑하여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20130095689A 2013-08-13 2013-08-13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101484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5689A KR101484949B1 (ko) 2013-08-13 2013-08-13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5689A KR101484949B1 (ko) 2013-08-13 2013-08-13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949B1 true KR101484949B1 (ko) 2015-01-22

Family

ID=5259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5689A KR101484949B1 (ko) 2013-08-13 2013-08-13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9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633B1 (ko) 2001-10-04 2004-07-23 승일제관주식회사 압력용기의 안전밸브장치
KR20130065020A (ko) * 2011-12-09 2013-06-19 천희승 안전밸브가 장착된 가스용기
KR101281536B1 (ko) 2012-01-19 2013-07-19 주식회사 대륙제관 과압방지 기능이 있는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633B1 (ko) 2001-10-04 2004-07-23 승일제관주식회사 압력용기의 안전밸브장치
KR20130065020A (ko) * 2011-12-09 2013-06-19 천희승 안전밸브가 장착된 가스용기
KR101281536B1 (ko) 2012-01-19 2013-07-19 주식회사 대륙제관 과압방지 기능이 있는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493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폭발방지를 위한 과압배출용 안전밸브
AU2012211513B2 (en) Explosion proof valve for gas containe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US2757964A (en) High pressure fluid dispensing device
KR101523974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US10633167B2 (en) Safety valve of gas container
KR100515120B1 (ko) 가스연료용기의 과압안전장치
US3155292A (en) Safety valve arrangement for pressurized containers
KR100914620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101281536B1 (ko) 과압방지 기능이 있는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101484949B1 (ko) 캠핑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20160011134A (ko) 가스용기 안전장치
KR101064633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101292010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JP5518987B2 (ja) 吐出容器
KR20160090157A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KR20180019343A (ko) 폭발 방지용 가스 용기
JP5255943B2 (ja) 吐出容器
KR101650717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KR200283384Y1 (ko) 충전식 공기주입기
KR100714075B1 (ko) 가스렌지의 용기 과압 안전장치
KR101756437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가스통
KR20020078891A (ko) 에어로졸 용기의 과압 안전장치
KR20160090158A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CN112534177B (zh) 用于液化气瓶的配件
KR200410884Y1 (ko) 충전식 부탄가스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