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187B1 -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187B1
KR101484187B1 KR1020140119127A KR20140119127A KR101484187B1 KR 101484187 B1 KR101484187 B1 KR 101484187B1 KR 1020140119127 A KR1020140119127 A KR 1020140119127A KR 20140119127 A KR20140119127 A KR 20140119127A KR 101484187 B1 KR101484187 B1 KR 101484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user
voic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완
박제기
Original Assignee
(주)씽크에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씽크에이티 filed Critical (주)씽크에이티
Priority to KR1020140119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9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for achieving mutual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인에 의한 서비스 이용임을 부인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웃바운드 방식, 인바운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ARS 인증을 비롯한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추후 부인할 수 없도록 하는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non-repudiation using voice recognition on telephone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본인에 의한 서비스 이용임을 부인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본인에 의한 서비스 이용임을 확인코자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부인을 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상거래를 할 때 신원을 확인하고, 문서의 위조와 변호, 거래 사실의 부인 방지 등을 목적으로 공인인증기관이 발행하는 전자적 정보로서, 공인인증서가 사용되고 있었으며, 그 범위는 인터넷뱅킹을 포함한 금융 부분, 인터넷 쇼핑을 포함한 전자상거래 부문, 행정민원 사무을 포함한 공공부문 등 다양하다.
그러나, 개인정보 유출과 전자상거래 간편화 방안 등에 따라 공인인증서 의무사용 규정이 폐지되었으며, 이를 대체하기 위한 여러 인증수단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체인증수단 중 하나가 자동응답전화(ARS) 인증으로, ARS 인증은 소비자가 걸려온 전화를 받는 '아웃바운드 방식'과 소비자가 직접 전화를 거는 '인바운드 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인바운드 방식'은 텔레뱅킹이나 금융기관 콜센터에 전화를 하는 것처럼 고객이 직접 금융기관에 전화를 걸어 본인임을 증명하는 방식이다. 상기 금융기관은 고객이 사전에 지정한 전화번호와 고객 발신번호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통해 본인확인을 하게 하는데, 전화교환기 등을 이용하여 발신번호 조작이 가능하므로 해킹 또는 사기의 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ARS 인증의 대부분은 '아웃바운드 방식'이며, 이는 금융기관에서 고객이 사전에 지정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본인확인을 하는 형태로, ARS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고객에게 전화가 걸리며, ARS 멘트로 거래 내역 사실이 고객에게 안내되면 확인 후, 최종적으로 고객이 승인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아웃바운드 방식'은 ARS 멘트로 임의의 값을 안내하고 고객이 상기 임의의 값을 단말기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승인이 이루어지는바, 추후 고객이 자신에 의한 승인임을 부인하는 경우 금융기관으로써는 이를 입증하기가 난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기술문헌]
1. 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05314호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대체인증 서비스 방법(Method to provide service of authenticating in user'splace for Internet sites)
2. 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60725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성인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ULT AUTHENTICATIONSERVICE USING VOI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웃바운드 방식, 인바운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ARS 인증을 비롯한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추후 부인할 수 없도록 하는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제공서버 간에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확인하는 전화인증 수행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사용자 단말로 음성인식멘트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하는 음성입력요청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음성인식멘트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로 전송하는 음성정보수집단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음성정보에 대한 단어인식을 실시한 후 상기 음성인식멘트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음성정보검증단계; 및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음성인식멘트와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음성정보저장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확인고자 사용자 단말과 전화인증을 수행하는 서비스제공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음성인식멘트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입출력부; 상기 음성정보에 대한 단어인식을 실시한 후 상기 음성인식멘트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검증부; 상기 음성인식멘트와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인식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전화인증시 간편하게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서비스제공자에게 확인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화인증시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음성인식멘트와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해놓음으로써, 추후 사용자가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부인하는 경우 서비스제공자가 용이하게 입증할 수 있어 사용자와 서비스제공자 모두에게 효율적인 대체인증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본인에 의한 서비스 이용임을 부인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웃바운드 방식, 인바운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ARS 인증을 비롯한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추후 부인할 수 없도록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제공서버 간에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확인하는 전화인증 수행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사용자 단말로 음성인식멘트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하는 음성입력요청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음성인식멘트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로 전송하는 음성정보수집단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음성정보에 대한 단어인식을 실시한 후 상기 음성인식멘트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음성정보검증단계; 및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음성인식멘트와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음성정보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확인고자 사용자 단말과 전화인증을 수행하는 서비스제공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음성인식멘트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입출력부; 상기 음성정보에 대한 단어인식을 실시한 후 상기 음성인식멘트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검증부; 상기 음성인식멘트와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및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제공'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서버'란 사용자가 접속하여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하며,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적은 경우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더욱이,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수가 많은 경우 서버의 기능에 따라 하나의 시스템 운영을 위한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서버'에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하는 DB가 포함될 수 있으며,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은 전화인증이 1채널로 이루어질 때, 도 2에 도시된 전화인증이 2채널로 이루어질 때 구현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100) 및 서비스제공서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전화인증을 수행하는 단말이다. 따라서, 2채널 전화인증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100) 외에 별도의 전화인증요청 단말(400)이 존재하며, 이 경우 상기 전화인증요청 단말(400)이 서비스제공서버(200)로 전화인증을 요청하면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와 사용자 단말(100) 간에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확인하는 전화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전화인증요청 단말(400)의 소지자와 동일한 소지자가 지닌 단말임이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 소지자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 및 전화인증요청 단말(400)은 유선단말 및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단말을 의미하는바, PC(Personal Computer), IP 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노트형 퍼스컴(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하며, 서로 다른 단말들, 서버 및 시스템과 음성 및 영상에 대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통신망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유무선 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상기 통신망(20)은 사용자 단말(100), 서비스제공서버(200), 전화인증요청 단말(400)을 비롯하여 본 발명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본인에 서비스요청임을 확인하고자 사용자 단말(100)과 전화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입출력부(210), 검증부(220), 저장부(230)를 포함하며, 등급판단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210)는 우선 서비스제공자와 사용자 간의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확인하는 방식이 '인바운드 방식'의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본인확인을 위해 걸려온 전화를 수신하며, '아웃바운드 방식'인 경우 ARS 시스템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화가 걸리도록 한다. 이후 상기 입출력부(2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음성인식멘트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멘트는 서비스제공서버(20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게 임의로 제공하는 특정 숫자 또는 문자, OTP와 같은 일회성 음성인식멘트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입출력부(210)는 상기 일회성 음성인식멘트를 음성인식멘트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 "34"를 말해주세요"와 같은 음식인식멘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출력부(21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전화인증 전 지정한 본인확인용 멘트를 상기 저장부(230)로부터 전달받아 이를 음성인식멘트로 하여 이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본인확인용 멘트는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숫자 또는 문자,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사전에 본인확인용 멘트를 지정한 경우, 상기 입출력부(210)는 일회성 음성인식멘트의 경우와 달리 "본인이 지정한 음성인식멘트를 말해주세요"와 같은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하여 본인확인용 멘트에 대한 음성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210)는 전화인증 수행 전에 지정한 본인확인용 멘트에 대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본인확인용 멘트로 자신의 생일로 "9월 1일"을 지정한 경우, 이를 사용자가 음성으로 말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를 입력받는 것이다.
상기 검증부(220)는 상기 입출력부(210)에서 수신한 상기 음성정보에 대한 단어인식을 실시한 후 상기 음성인식멘트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일 예로 상기 음성인식멘트가 "34 말해주세요"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34"를 말하게 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이를 서비스제공서버(200)의 입출력부(210)로 전송한 다음 상기 검증부(220)는 사용자가 말한 음성이 "34"를 나타내는 것인지 단어인식을 한 후 상기 음성인식멘트인 "34"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음성인식멘트와 음성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인증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간편하게 사용자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서비스제공자에게 확인시키게 된다. 만약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전송된 음성정보가 상기 검증부(220)에서 "34"가 아닌 다른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검증부(220)는 상기 입출력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재차 음성인식멘트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화자인식을 위해 음성정보에 대한 성문인식 또는 패턴인식을 일 예로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부(220)는 전화인증시 상기 음성정보에 대하여 음성인식멘트와의 단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추가적으로 상기 음성정보와 기저장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에 대한 성문인식 또는 패턴인식을 실시한 후 일치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성문인식 또는 패턴인식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가 서비스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전화인증 이전에 자신의 음성을 저장해 놓는 절차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절차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자는 진정한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음성정보에 대한 성문인식 또는 패턴인식을 실시한 후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는 상기 전화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가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이 아니었다고 부인하는 경우에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사전에 본인확인용 멘트를 지정하고 상기 입출력부(210)에서 이를 음성인식멘트로 요청하여 음성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검증부(220)는 음성정보에 대한 단어인식을 실시하여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본인확인용 멘트와 상이한 경우 인증을 불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210)가 본인확인용 멘트에 대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받아 저장부(220)에 저장해놓은 경우, 상기 검증부(220)는 전화인증시 상기 음성정보에 대하여 음성인식멘트, 즉 본인확인용 멘트와의 단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추가적으로 상기 음성정보와 기저장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에 대한 성문인식 또는 패턴인식을 실시한 후 일치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는 상기 전화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가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이 아니었다고 부인하는 경우에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증부(220)는 상기 기저장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로 저장부(230)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샘플링하여 생성한 표준음성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서비스제공서버(200)로부터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받는 경우 추후 설명할 저장부(220)에는 전화인증시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이 다수 개 저장되게 된다. 이렇게 저장된 음성정보를 샘플링하여 표준음성정보를 생성한 후 전화인증시 또는 전화인증 이후 사용자가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부인하는 경우 성문인식 또는 패턴인식을 실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서비스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횟수가 증가할수록 표준음성정보를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바, 상기 사용자의 음성정보와의 일치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검증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표준음성정보의 생성은 전화인증시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이용하게 되는바, 이를 생성하기 위해 별도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저장부(230)는 음성인식멘트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음성인식멘트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음성정보를 저장한다. 이는 사용자가 추후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부인하는 경우 서비스제공자가 사용자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이었음을 용이하게 입증할 수 있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저장부(2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화인증 전,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서비스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지정한 본인확인용 멘트를 상기 입출력부(210)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해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30)는 상기 본인확인용 멘트에 대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를 저장해놓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서비스제공서버(200)로부터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받는 경우 상기 저장부(230)에는 동일한 사용자의 음성정보가 누적적으로 저장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저장부(230)는 사용자별로 음성정보가 구분되도록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누적적으로 저장된 동일한 사용자의 음성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준음성정보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상기 저장부(23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영상통화를 이용한 전화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추후 상기 전화인증 수행 이후 사용자가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부인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230)에 저장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부인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저장된 음성정보의 수가 적거나 저장된 음성정보가 인식되지 않아 성문인식 또는 패턴인식을 실시할 수 없거나 정확도가 낮은 경우 상기 저장부(230)에 저장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부인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등급판단부(240)는 사용자 단말(100)이 요청한 서비스의 보안등급을 판단하게 되며,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음성입력을 요청할 음성인식멘트를 달리하도록 상기 입출력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보안등급이 낮은 서비스인 경우 상기 등급판단부(240)는 상기 입출력부(210)가 특정 숫자나 문자와 같은 일회성 음성인식멘트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며, 보안등급이 높은 서비스인 경우 상기 입출력부(210)가 사용자의 개인정보, 개인화식별정보, 결제카드정보 등과 같은 음성인식멘트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서비스제공서버(200)와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과 서비스제공서버(200) 간에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확인하는 전화인증 수행시에 이하의 절차가 진행되며, '인바운드 방식'의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서비스제공서버(200)로 본인확인 요청을 하게 되며, '아웃바운드 방식'의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 본인확인 요청을 하게 된다.
'인바운드 방식' 또는 '아웃바운드 방식' 전화인증과 상관없이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 음성인식멘트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하게 되며(S11 - 음성입력요청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음성인식멘트에 대한 음성정보를 입력받게 된다(S12).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음성인식멘트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로 전송하게 되며(S13 - 음성정보수집단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음성정보에 대한 단어인식을 실시한 후 상기 음성인식멘트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한다(S14 - 음성정보검증단계). 이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상기 음성인식멘트와 음성정보를 저장하게 되며(S15 - 음성정보저장단계), 이는 음성인식멘트와 음성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음성인식멘트와 음성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재차 사용자 단말(100)로 음성인식멘트에 대한 음성정보의 입력을 요청하거나 전화인증 절차를 종료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음성입력요청단계에서 일회성 음성인식멘트를 음성인식멘트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할 수 있으며(S21),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정보검증단계에서 추가적으로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화인증 수행 이후(일 예로 전화인증을 수행한 사용자가 추후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부인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음성정보와 기저장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에 대한 성문인식 또는 패턴인식을 실시한 후 일치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5-1, S26-2). 이때 기저장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는 상기 음성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음성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샘플링하여 생성한 표준음성정보일 수 있다. 상기 표준음성정보의 생성은 상기 성문인식 또는 패턴인식을 실시할 때 함께 수행되거나 사용자에 대한 전화인증이 종료된 후 기저장된 음성정보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화인증 수행 전, 사용자 단말(100)이 서비스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본인확인용 멘트를 지정하고(S31),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가 본인확인용 멘트를 저장(S32)하는 본인확인지정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음성입력요청단계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가 본인확인용 멘트를 음성인식멘트로 하여 이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하게 된다(S33).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화인증 수행 전, 사용자 단말(100)이 서비스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본인확인용 멘트를 지정하고 상기 본인확인용 멘트에 대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S31), 이때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본인확인용 멘트 및 본인확인용 음성정보를 저장하게 된다(S32).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정보검증단계에서 추가적으로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화인증 수행 이후(일 예로 전화인증을 수행한 사용자가 추후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부인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음성정보와 기저장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에 대한 성문인식 또는 패턴인식을 실시한 후 일치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7-1, S38-2). 이때 기저장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는 상기 음성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음성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샘플링하여 생성한 표준음성정보일 수 있다. 상기 표준음성정보의 생성은 상기 성문인식 또는 패턴인식을 실시할 때 함께 수행되거나 사용자에 대한 전화인증이 종료된 후 기저장된 음성정보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음성입력요청단계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이 요청한 서비스의 보안등급을 판단하여(S41),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음성입력을 요청할 음성인식멘트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인증시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입력된 음성정보에 대한 인식방법을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음성정보에 대한 단어인식만 수행되도록 하거나, 상기 음성정보에 대한 단어인식은 물론, 성문인식 또는 패턴인식이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전화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영상통화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전화인증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화인증 수행 이후 사용자가 본인에 의한 서비스임을 부인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저장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부인을 방지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서비스제공서버
210 : 입출력부 220 : 검증부
230 : 저장부 240 : 등급판단부
400 : 전화인증요청 단말

Claims (14)

  1.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제공서버 간에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확인하는 전화인증 수행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사용자 단말로 음성인식멘트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하는 음성입력요청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음성인식멘트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로 전송하는 음성정보수집단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음성정보에 대한 단어인식을 실시한 후 상기 음성인식멘트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음성정보검증단계; 및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음성인식멘트와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음성정보저장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입력요청단계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의 보안등급을 판단하여,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음성입력을 요청할 음성인식멘트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력요청단계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일회성 음성인식멘트를 음성인식멘트로 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하되,
    상기 음성정보검증단계에서 추가적으로 또는 상기 전화인증 수행 이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음성정보와 기저장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에 대한 성문인식 또는 패턴인식을 실시한 후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인증 수행 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제공서버에 접속하여 본인확인용 멘트를 지정하는 본인확인지정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성입력요청단계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본인확인용 멘트를 음성인식멘트로 하여 이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인확인지정단계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확인용 멘트에 대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되,
    상기 음성정보검증단계에서 추가적으로 또는 상기 전화인증 수행 이후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음성정보와 기저장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에 대한 성문인식 또는 패턴인식을 실시한 후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장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는 상기 음성정보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음성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샘플링하여 생성한 표준음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제공서버가 영상통화를 이용한 전화인증을 수행하되,
    상기 전화인증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서비스제공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7. 본인에 의한 서비스요청임을 확인고자 사용자 단말과 전화인증을 수행하는 서비스제공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음성인식멘트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입출력부; 상기 음성정보에 대한 단어인식을 실시한 후 상기 음성인식멘트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검증부; 상기 음성인식멘트와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의 보안등급을 판단하는 등급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등급판단부는 보안등급에 따라 음성입력을 요청할 음성인식멘트를 달리하도록 상기 입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일회성 음성인식멘트를 음성인식멘트로 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하되,
    상기 검증부는 추가적으로 또는 상기 전화인증 수행 이후, 상기 음성정보와 기저장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에 대한 성문인식 또는 패턴인식을 실시한 후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저장부로부터 상기 전화인증 수행 전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여 지정한 본인확인용 멘트를 전달받아 상기 본인확인용 멘트를 음성인식멘트로 하여 이에 대한 음성입력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확인용 멘트에 대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저장부는 본인확인용 음성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검증부는 추가적으로 또는 상기 전화인증 수행 이후, 상기 음성정보와 기저장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에 대한 성문인식 또는 패턴인식을 실시한 후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시스템.
  11.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장된 본인확인용 음성정보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상기 검증부가 생플링하여 생성한 표준음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영상통화를 이용한 전화인증을 수행하되,
    상기 저장부는 전화인증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KR1020140119127A 2014-09-05 2014-09-05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484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127A KR101484187B1 (ko) 2014-09-05 2014-09-05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127A KR101484187B1 (ko) 2014-09-05 2014-09-05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187B1 true KR101484187B1 (ko) 2015-01-26

Family

ID=52592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127A KR101484187B1 (ko) 2014-09-05 2014-09-05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2990B2 (en) 2005-02-18 2008-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989B1 (ko) * 2000-08-22 2003-02-26 주식회사 드림캐스트 음절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시스템
KR20070105072A (ko) * 2006-04-25 2007-10-30 (주) 코아보이스 인터넷 전자결제 서비스 시스템에서 음성신호를 이용한일회용 비밀번호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9033B1 (ko) * 2012-02-14 2012-12-06 주식회사 예스피치 자동응답시스템의 화자인식을 이용한 고객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7065A (ko) * 2011-06-10 2012-12-20 (주)씽크에이티 음성데이터 전자서명을 통한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989B1 (ko) * 2000-08-22 2003-02-26 주식회사 드림캐스트 음절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시스템
KR20070105072A (ko) * 2006-04-25 2007-10-30 (주) 코아보이스 인터넷 전자결제 서비스 시스템에서 음성신호를 이용한일회용 비밀번호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37065A (ko) * 2011-06-10 2012-12-20 (주)씽크에이티 음성데이터 전자서명을 통한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09033B1 (ko) * 2012-02-14 2012-12-06 주식회사 예스피치 자동응답시스템의 화자인식을 이용한 고객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2990B2 (en) 2005-02-18 2008-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90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remote server access
US9002814B2 (en) Location based authorization of financial card transactions systems and methods
US8510319B2 (en) Location based information for emergency services systems and methods
US8935226B2 (en) Location based access to financial information systems and methods
US7487170B2 (en) Location information for avoiding unwanted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US7697942B2 (en) Location based rules architecture systems and methods
JP5739008B2 (ja) 通信セッションを検証する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14500991A (ja) 音声署名認証の方法および装置
CN110225002A (zh) 业务办理方法及相关产品
WO2012004640A1 (en) Transaction authentication
US20110317824A1 (en) Anti-hacking system through telephone authentication
KR101484187B1 (ko)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46061A (ko) 음성인식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인식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515172B1 (ko) 전화인증시 음성인식을 이용한 부인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701676B1 (ko) 목소리 특징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의뢰 및 대행 방법
KR101400736B1 (ko) 신뢰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부인방지기능을 포함한 전화인증서 구현방법 및 시스템
US20230120373A1 (en) Strong authentication of a user of a communication terminal
WO2018232667A1 (zh) 一种网络支付方法和系统
KR20180092144A (ko) 통화기반의 점유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010068124A (ko) 사용자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1361066B1 (ko) 전화 인증 기반의 전자입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입찰 방법
KR101267489B1 (ko)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137065A (ko) 음성데이터 전자서명을 통한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TW201909603A (zh) 管理一或多個運算裝置的通訊之系統、裝置和方法
KR20150085168A (ko) 인증서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