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489B1 -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489B1
KR101267489B1 KR1020110056298A KR20110056298A KR101267489B1 KR 101267489 B1 KR101267489 B1 KR 101267489B1 KR 1020110056298 A KR1020110056298 A KR 1020110056298A KR 20110056298 A KR20110056298 A KR 20110056298A KR 101267489 B1 KR101267489 B1 KR 101267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ervice
fraud prevention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7022A (ko
Inventor
박주홍
Original Assignee
(주)씽크에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씽크에이티 filed Critical (주)씽크에이티
Priority to KR1020110056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48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방지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제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기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이용 정보 및 사기 방지 확인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 요청에 포함된 확인 대상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로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을 전송하여 사기 방지 확인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이 제공 요청한 서비스에 대한 승인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생성한 후 인증 결과 따라 제1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phishing fraud using call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특정 서비스 이용에 따른 음성 확인(전화 승인)을 해당 서비스와 직접 관련된 상대방 또는 관공서로부터 제공받음으로써 양방향 인증뿐만 아니라 사기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상에서의 본인 확인은 일반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한 실명인증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한 실명인증은 주민등록번호의 유출의 위험이 존재하여 최근에는 주민등록번호를 대체하는 개인식별번호인 아이핀(I-PIN)이 이용되고 있다.
인터넷상에서의 금융거래와 같은 전자거래분야에서는 현재 거래 당사자가 본인인지에 대한 본인확인 기능뿐만 아니라, 보안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이체비밀번호, 계좌비밀번호 등 다양한 비밀번호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전자서명법상 법적 효력을 지닌 인증 수단으로 공인인증서 사용이 일반화되었으며, 최근에는 전자거래마다 비밀번호가 변경되는 일회성 비밀번호인 OTP(One-Time-Password)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메신저 피싱, 전화 피싱 등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들 피싱 사기는 본인 확인만으로는 피싱 사기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화 승인을 통해 특정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기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서비스와 직접 관련된 상대방으로부터 음성으로 직접 사기 방지를 확인받거나 관공서를 통해 확인하여 사기 피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특정 서비스 이용에 따른 피싱 사기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을 확인자 단말로 제공하여 확인자 단말로부터 사기 방지 확인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기 방지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승인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전화 인증 서버; 및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복수일 수 있다.
상기 확인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요청한 서비스와 직접 관련된 상대방 단말이거나 관공서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전화 인증 서버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확인을 위해 미리 등록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상세 내용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여 본인 확인 정보를 더 획득하고 저장하며, 상기 획득된 본인 확인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승인 인증에 더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은 음성 데이터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고, 상기 사기 방지 확인 정보는 DTMF로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기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기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이용 정보 및 사기 방지 확인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은 확인 대상 단말 정보를 포함함;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확인 대상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자 단말로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을 전송하여 사기 방지 확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기 방지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제공 요청한 서비스에 대한 승인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은 음성 데이터 형태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고, 상기 사기 방지 확인 정보는 DTMF로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승인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이용 정보를 포함하는 본인 확인 요청을 서비스 이용에 따른 확인을 위해 미리 등록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음성 데이터 형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상기 승인 인증에 더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방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전화 승인을 통해 특정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서비스와 직접 관련된 상대방으로부터 음성으로 직접 사기 방지를 확인받거나 관공서를 통해 확인받아 사기 피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기를 예방할 수 있는 사기 예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기 예방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및 사기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기 방지 확인을 요청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기를 예방할 수 있는 사기 예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 이용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은 전자상거래, 금융 거래, 특정 사이트에서 아이템 거래(예를 들어, 온라인 게임상에서의 아이템 거래 등)와 같이, 사용자의 금융 거래를 수반하는 모든 서비스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금융 거래는 현금, 전자화폐를 이용한 거래, 신용거래 또는 온라인 상의 특정 아이템을 이용한 거래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기 예방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110), 제2 사용자 단말(120), 서비스 제공 서버(130), 전화 인증 서버(140) 및 확인자 단말(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30)와 연결되어 해당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요청한 서비스에 대한 본인의 승인 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전화 통신망으로 연결된 전화 인증 서버(13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요청한 상세 내용 정보를 오디오 형태로 제공받고, 이에 대한 사용자 확인 정보를 전화 인증 서버(130)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물론, 제2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이용에 대한 승인을 위해 사전 등록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이 각각 상이한 장치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은 단일 장치내에서 기능적으로 구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150)은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요청한 서비스에 대한 승인 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제2 사용자 단말(150)은 전화 통신망으로 연결된 전화 인증 서버(13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요청한 상세 내용 정보를 오디오 형태로 제공받고, 이에 대한 사용자 확인 정보를 전화 인증 서버(130)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물론, 제2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이용에 대한 승인을 위해 사전 등록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이 각각 상이한 장치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은 단일 장치내에서 기능적으로 구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유형으로는 예를 들어, 컴퓨터, 노트북,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PDA 등일 수 있다.
확인자 단말(150)은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기 방지를 위한 승인 응답을 전화 인증 서버(140)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확인자 단말(150)은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이용시, 사기 방지 확인을 위해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선택되거나 사전 등록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자 단말(150)은 공신력이 있는 관공서(예를 들어, 경찰청, 우체국, 금융결제원 등) 장치이거나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상대방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서비스 제공 서버(130)을 통해 이용하는 서비스가 인터넷 뱅킹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확인자 단말(150)은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인터넷 뱅킹에 따른 사기 방지 확인을 위해 해당 인터넷 뱅킹을 위한 수취인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확인자 단말(150)은 전화 통신망을 통해 전화 인증 서버(140)와 연결되며, 전화 인증 서버(14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서비스 제공 서버(130)를 통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음성 데이터 형태의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을 제공받고, 이에 대한 사기 방지 확인 정보를 전화 인증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은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요청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이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제1 사용자 단말(110)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당해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공 요청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이용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을 전화 인증 서버(140)로 전송하고, 해당 전화 인증 서버(140)로부터 인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이용 정보는 확인 대상 단말 정보(확인 대상 단말 정보는 사기 방지 확인을 위해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선택 또는 등록한 확인자 단말(150)의 단말 정보를 지칭함), 수취인 정보 및 서비스 이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서비스 이용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인증 결과는 인증 성공 또는 인증 실패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30)은 전화 인증 서버(140)로부터 획득된 인증 결과에 따라 해당 제1 사용자 단말(110)에서 제공 요청한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10)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금융 기관 서버(미도시) 또는 신용 카드사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온라인 상에서 해당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전자상거래를 제공하는 장치인 경우, 해당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온라인 중계 서버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해당 제1 사용자 단말(110)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서버일 수도 있다.
전화 인증 서버(140)는 서비스 제공 서버(130)와 연동되며, 해당 서비스 제공 서버(130)의 인증 요청에 따라, 확인자 단말(150)로 서비스 이용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 형태의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사기 방지 확인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사기 방지 확인 정보는 승인, 부인 및 신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사기 방지 확인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확인자 단말(150)로 제공한 사기 방지를 위한 승인비밀번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기 방지 확인 정보는 확인자 단말(150)에 대한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전화 인증 서버(14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기 방지 확인을 위한 음성 안내, 음성 인식,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수집, TTS(Text-To-Speech)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특수 자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서버(140)는 지능망 시스템의 IP(Intellectual peripheral) 등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기 방지를 위해 확인자 단말(150)로부터 사기 방지 확인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확인자 단말(150)로부터의 확인 응답(즉, 사기 방지 확인 정보)과 전화 인증 서버(130)은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상세 내용 정보를 별도의 단말로 음성 데이터 형태로 제공한 후 이에 대한 확인 응답(사기 방지 확인 정보을 획득하여 저장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2 설명]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기 예방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및 사기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210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요청을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요청은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서비스 이용 정보 및 확인자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인자 단말 정보는 사기 방지 확인을 위해 제1 사용자 단말(110)이 등록한 단말 정보이거나 선택한 단말의 단말정보일 수 있다. 즉, 확인자 단말 정보는 관공서 시스템으로의 연결을 위한 정보이거나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하는 서비스에 직접 관련된 상대방 단말의 단말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서비스 제공 서버(140)를 통해 인터넷 뱅킹을 요청하였으며, 수취인이 친구라고 가정하자. 이때, 확인자 단말 정보는 수취인(즉, 친구)의 단말 정보일 수도 있으며, 경찰청 시스템 또는 우체국 시스템으로의 연결을 위한 정보일 수도 있다.
단계 21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서비스 이용 정보 및 확인자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을 전화 인증 서버(14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인증 요청은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단말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220에서 전화 인증 서버(140)는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의 인증 요청에 따라, 해당 인증 요청에 포함된 확인자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을 확인자 단말(15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은 서비스 이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 데이터 형태로 확인자 단말(15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 인증 서버(140)는 "대한 은행 홍길동 고객님 OO계좌에서 대한 은행 신사임당 고객님 OO 계좌로 OOOO원이 이체를 요청하셨습니다. 신사임당 고객님이 요청하신 이체가 맞으시면 1번, 신사임당 고객님이 요청하신 이체가 아니면 2번, 다시 들으시려면 3번을 눌러주십시요" 와 같은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을 음성 데이터 형태로 확인자 단말(15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계 225에서 전화 인증 서버(140)는 확인자 단말(150)로부터 사기 방지 확인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사기 방지 확인 정보는 음성 데이터 형태로 획득되거나 DTMF로 획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을 하나의 확인자 단말(150)로 전송하여 획득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구현 방법에 따라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을 복수의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230에서 전화 인증 서버(140)는 제2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본인 확인 요청을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본인 확인 요청은 서비스 이용 정보(즉, 서비스에 대한 상세 내용 정보)를 포함하며, 음성 데이터 형태로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 인증 서버(140)는 "대한 은행 홍길동 고객님 OO계좌에서 대한 은행 신사임당 고객님 OO 계좌로 OOOO원이 이체됩니다. 이체 후 잔액은 OOOOO원입니다. 승인인 1번, 취소는 2번, 다시 들으시려면 3번, 본인이 아니거나, 거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4번을 눌러주십시오" 와 같은 본인 확인 요청을 음성 데이터 형태로 제2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 235에서 전화 인증 서버(140)는 제2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저장한다. 여기서, 본인 확인 정보는 음성 데이터 형태이거나 DTMF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단계 230 및 단계 235의 본인 확인 절차가 사기 방지 확인 절차 이후에 수행되는 것처럼 설명되고 있으나, 단계 230 및 단계 235은 단계 220 및 단계 225와 병렬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전화 인증 서버(140)는 단계 220 및 단계 225의 사기 방지 확인 요청 및 단계 230 및 단계 235의 본인 확인 요청시, 별도의 승인비밀번호 또는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하여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인증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230 및 단계 235의 본인 확인 요청은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등록된 기초 정보를 이용한 본인 확인 이후에 추가적으로 전화 인증 서버(140)에서 수행되는 2차 본인 확인 절차로, 이는 제2 사용자 단말(120)이외에도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본인 확인을 위해 등록한 별도의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단계 220 내지 단계 235에서 전화 인증 서버(140)는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20)과 각각 전화망을 통해 사기 방지 확인을 요청하거나 본인 확인을 요청하여 상응하는 각각의 확인 정보(또는 확인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220 내지 단계 235에서 전화 인증 서버(140)가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기 방지 확인 정보 또는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저장함으로써, 서비스를 직접 이용하는 당사자 또는 해당 서비스에 직접 관련된 상대방이 이를 부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서비스 이용에 따른 서비스 이용 정보를 백업하는 기록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30) 및 특정 관련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보유하는 서비스 거래 내역이 해킹 등에 의해 소실되는 경우에도 전화 인증 서버(140)에 저장된 서비스 이용 정보를 활용하여 서비스 이용에 따른 내역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전화 인증 서버(140)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디지털로 기록되어 위변조가 가능한 종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대비하여 진위여부를 대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다.
단계 240에서 전화 인증 서버(140)는 획득된 사기 방지 확인 정보 및 본인 확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승인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인증 결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 성공 또는 인증 실패일 수 있다.
단계 24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전화 인증 서버(140)로부터 획득한 인증 결과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10)로의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인증 결과가 인증 실패이면, 미리 설정된 인증 실패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 후 해당 제1 사용자 단말(110)에서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이면, 제1 사용자 단말(110)에서 제공 요청한 서비스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화 인증을 통해 사용자 자신이 요청한 서비스에 대해 관공서 또는 해당 서비스와 직접 관련된 상대방(예를 들어, 수취인 등)에게 음성으로 사기 방지 확인을 요청하고 그에 따른 확인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여 해당 서비스(예를 들어, 금융 서비스 등)에 대한 사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서비스와 직접 연관된 상대방도, 특정 서비스 이용 정보를 청취한 후 이를 확인하여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이 특정 서비스 사기에 연관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자신과 관련된 금융 서비스와 같은 특정 서비스에 대해 확인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당사자 및 해당 서비스와 직접 연관된 상대방 각각이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직접 청취하고 이를 확인하여 저장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사자 및 상대방이 서비스 이용 정보를 직접 청취하고 승인하였음을 저장하여 마치 당사자 및 상대방이 음성으로 '서명'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되어 특정 서비스(예를 들어, 인터넷 뱅킹)이 진정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결국 양방향 인증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3 설명]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기 방지 확인을 요청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제공 요청하는 서비스가 인터넷 뱅킹인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서비스 제공 서버(130)을 통해 인터넷 뱅킹 요청시, 인터넷 뱅킹을 위해 기본적인 정보들을 입력한 후 도 3의 310과 같이 사기 방지 확인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사기 방지 확인이 선택되는 경우, 사기 방지를 확인 받을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320)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10)은 도 3의 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기 방지를 확인받을 대상의 유형을 선택한 후 해당 대상 유형에 따라 사기 방지 확인을 위한 대상 단말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유형은 상대방 또는 관공서일 수 있다. 상대방은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와 직접 관련된 상대방으로, 예를 들어, 인터넷 뱅킹을 가정하는 경우, 상대방은 수취인일 수 있다.
반면, 관공서는 공신력있는 기관을 나타낸다.
대상 유형이 상대방으로 선택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은 도 3의 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이용에 관련된 상대방의 단말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해당 상대방으로 사기 방지 확인을 요청하여 사기 방지 확인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대상 유형이 관공서로 선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관공서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전화 인증 서버(140)는 해당 관공서 시스템과 연계되어 전화 승인을 통해 사기 방지 확인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데이터 전자 서명을 이용한 사기 방지를 수행하는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로써 미성년자가 제한된 게임 이용 시간 연장을 위하여 법정보호자 또는 대리인에게 승인을 구하는 경우, 또다른 예로써 업무 위임을 받은 대리인이 위임장을 가지고 은행 예금 인출을 요청하거나 공공기관(업체 등)에서 서류 발급 업무를 하고자 하는 등, 통신망을 통한 서비스를 신청(이용)하는 사람과 서비스 신청에 결정(확인)권을 가지는 사람이 분리되어 결정(확인)권을 가지는 사람이 보유한 단말로부터 결정(확인) 정보를 획득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역시 넒은 의미의 사기행위를 방지하는 측면에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110: 제1 사용자 단말
120: 제2 사용자 단말
130: 서비스 제공 서버
140: 전화 인증 서버
150: 확인자 단말

Claims (8)

  1. 제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을 확인자 단말로 제공하여 확인자 단말로부터 사기 방지 확인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기 방지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승인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전화 인증 서버; 및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화 인증 서버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확인을 위해 서비스 이용자가 요청한 서비스의 상세 내용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제2 사용자 단말 이용자의 본인 확인 정보를 더 획득하고 저장하며, 상기 획득된 본인 확인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승인 인증에 더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요청한 서비스와 직접 관련된 상대방 단말이거나 관공서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인증 서버는 서비스 이용자가 요청한 서비스의 상세 내용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음성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은 음성 데이터 형태로 상기 확인자 단말로 제공되고,
    상기 사기 방지 확인 정보는 DTMF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시스템.
  6. 제1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기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이용 정보 및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은 확인 대상 단말 정보를 포함함;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확인 대상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자 단말로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을 전송하여 사기 방지 확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기 방지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제공 요청한 서비스에 대한 승인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승인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이용 정보를 포함하는 본인 확인 요청을 서비스 이용에 따른 확인을 위한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 이용자의 본인 확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상기 승인 인증에 더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기 방지 확인 요청은 음성 데이터 형태로 상기 확인자 단말로 제공되고,
    상기 사기 방지 확인 정보는 DTMF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 정보를 포함하는 본인 확인 요청은 제2 사용자 단말로 음성 데이터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방법.
KR1020110056298A 2011-06-10 2011-06-10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67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298A KR101267489B1 (ko) 2011-06-10 2011-06-10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298A KR101267489B1 (ko) 2011-06-10 2011-06-10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022A KR20120137022A (ko) 2012-12-20
KR101267489B1 true KR101267489B1 (ko) 2013-05-31

Family

ID=4790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298A KR101267489B1 (ko) 2011-06-10 2011-06-10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4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022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62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transactions on a mobile device
AU2011342282B2 (en) Authenticating transactions using a mobile device identifier
RU2427893C2 (ru) Способ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служебного сервер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оплаты услуг (варианты) в беспроводном интернете
EP3779753A2 (en) Validation cryptogram for interaction
US201201507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transactions through a mobile device
US20060005024A1 (en) Dual-path pre-approval authentication method
JP2014524622A (ja) 取引支払方法及びシステム
CN102202300A (zh) 一种基于双通道的动态密码认证系统及方法
CN102790674A (zh) 身份验证方法、设备和系统
CN102197407A (zh) 安全支付交易的系统和方法
CN109308416B (zh) 业务服务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和设备
KR20130107188A (ko) 사운드 코드를 이용한 인증 서버 및 인증방법
KR101260698B1 (ko) 인증정보가 입력되는 단말 식별정보를 이용한 이상징후 분석 및 2채널 사용자 확인 방법 및 시스템
EP2943944A1 (en) Audio-based electronic transaction authorization system and method
CN104778579A (zh) 基于电子身份识别载体的感应支付方法及相应装置
CN101025843A (zh) 自助金融交易系统和方法
CN102299910B (zh) 借助于电话鉴别的防攻击系统
TWI753102B (zh) 實名認證服務系統及實名認證服務方法
Park et al. A study on secure authentication system using integrated user authentication service
KR101267488B1 (ko)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및 신뢰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25299A (ko) 모바일 메시징 기반의 전자서명 인증을 통한 자동이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67489B1 (ko)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2182653A (zh) 一种业务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090019278A (ko) 전자서비스를 위한 전화망 인증 시스템
GB2438651A (en) Secure financial trans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