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657B1 -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 Google Patents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657B1
KR101482657B1 KR20080069138A KR20080069138A KR101482657B1 KR 101482657 B1 KR101482657 B1 KR 101482657B1 KR 20080069138 A KR20080069138 A KR 20080069138A KR 20080069138 A KR20080069138 A KR 20080069138A KR 101482657 B1 KR101482657 B1 KR 101482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vacuum
valve
injection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6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584A (ko
Inventor
김종복
배호기
박태진
문형돈
양회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to KR20080069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657B1/ko
Priority to PCT/KR2009/003664 priority patent/WO2010005213A2/ko
Publication of KR20100008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04Light-sensitiv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e.g. comprising an organic electrolyte
    • H01G9/2013Light-sensitiv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e.g. comprising an organic electrolyte the electrolyte comprising ionic liquids, e.g. alkyl imidazolium iod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에 관한 것으로,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을 고정하는 지지 스테이지; 전해액 투입 탱크와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장된 주입구와 이를 개폐하는 전해액 밸브를 가지는 전해액 주입부; 진공 장치와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장되는 연결구와 이를 개폐하는 진공밸브를 가지는 진공 배출부; 및, 상기 진공밸브를 개방하여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의 전해액 충진부에 진공을 건 후, 다시 상기 진공밸브를 닫은 후에, 상기 전해액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전해액 충진부에 전해액을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모듈로 제작되었을 경우, 손쉽게 전해액을 주입할 수 있으며 진공방식과 가압방식을 함께 적용하여 내부 기포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을 향상하고 품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전해액 주입방식도 2개의 전해액 투입구가 가공된 셀과, 1개의 전해액 투입구가 가공된 셀 모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 전해액, 주입

Description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DEVICE FOR FILLING ELECTROLYTE IN DYE SENSITIZED SOLAR CELL AND METHOD OF FILLING ELECTROLYTE IN DYE SENSITIZED SOLAR CELL}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모듈로 제작되었을 경우, 손쉽게 전해액을 주입할 수 있으며 진공방식과 가압방식을 함께 적용하여 내부 기포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을 향상하고 품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전해액 주입방식도 2개의 전해액 투입구가 가공된 셀과, 1개의 전해액 투입구가 가공된 셀 모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1991년도 스위스 국립 로잔 고등기술원(EPFL)의 마이클 그라첼(Michael Gratzel) 연구팀에 의해 염료감응 나노입자 산화티타늄 태양전지가 개발된 이후 이 분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염료감응태양전지는 기존의 실리콘계 태양전지에 비해 제조단가가 현저기 낮기 때문에 기존의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실리콘 태양전지와 달리 염료감응태양전 지는 가시광선을 흡수하여 전자-홀 쌍을 생성할 수 있는 염료분자와, 생성된 전자를 전달하는 전이금속 산화물을 주 구성 재료로 하는 광전기화학적 태양전지이다.
일반적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단위 셀 구조는 상, 하부 투명한 기판과 그 투명기판의 표면에 각각 형성되는 도전성 투명전극을 기본으로 하여, 제1전극에 해당하는 일 측의 도전성 투명전극위에는 그 표면에 염료가 흡착된 전이금속 산화물 다공질 층이 형성되어지고, 제2전극에 해당하는 타 측 도전성 투명전극 위에는 촉매박막전극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 예를 들면 TiO2, 다공질 전극과 촉매박막전극 사이에는 전해액이 충진되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즉,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정공전달 매개로서 전해액을 사용하며,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해액 의존성은 전해액의 확산속도에 의존하며, 확산속도는 액체상태의 유기용매나 이온액체전해액이 반고체형이나 고체형에 비교하여 확산속도가 크며 따라서 광전변환효율 성능이 우수하므로 주로 전해액을 사용한다.
따라서 단위 셀 제작이나 서브모듈의 제작에 있어서, 전해액의 주입공정이 필수적인데, 이는 주로 일반적인 피펫으로 전해액을 주입하거나, 액정 주입장비처럼 셀 전체를 진공챔버에 넣어서 셀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여 주입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셀 내부 면적이 1 제곱 센티 정도인 경우에서는 가능하지만, 모듈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서브 모듈의 경우에는 전해액 주입구가 수십 개에 이르므로 이러한 주입공정을 자동화하여야 하며, 자동화시에도 전해액 주입 시 발생하는 내부기포를 제거해야하는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전해질 주입공정을 내구기포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자동화할 수 있는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모듈로 제작되었을 경우, 손쉽게 전해액을 주입할 수 있으며 진공방식과 가압방식을 함께 적용하여 내부 기포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을 향상하고 품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전해액 주입방식도 2개의 전해액 투입구가 가공된 셀과, 1개의 전해액 투입구가 가공된 셀 모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을 고정하는 지지 스테이지;
전해액 투입 탱크와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장된 주입구와 이를 개폐하는 전해액 밸브를 가지는 전해액 주입부;
진공 장치와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장되는 연결구와 이를 개폐하는 진공밸브를 가지는 진공 배출부; 및,
상기 진공밸브를 개방하여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의 전해액 충진부에 진공을 건 후, 다시 상기 진공밸브를 닫은 후에, 상기 전해액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전해액 충진부에 전해액을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을 고정하는 지지 스테이지;
일 측은 전해액 투입 탱크와 연결되고, 타 측은 진공 장치와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장되는 주입구를 가지며, 상기 주입구에 전해액 투입 탱크 또는 진공장치를 서로 교번하여 연결하는 연결밸브를 가지는 주입 블록; 및,
상기 연결밸브가 상기 주입구와 진공장치를 연결하여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의 전해액 충진부에 진공을 건 후, 상기 연결밸브가 상기 주입구와 전해액 투입 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전해액 충진부에 전해액을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이외에 본 발명은 상기 주입장치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전해액을 주입하는 주입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에 따르면.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모듈로 제작되었을 경우, 손쉽게 전해액을 주입할 수 있으며 진공방식과 가압방식을 함께 적용하여 내부 기포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을 향상하고 품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전해액 주입방식도 2개의 전해액 투입구가 가공된 셀과, 1개의 전해액 투입구가 가공된 셀 모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아래에 설명할 부가적인 구성을 통하여 진공방식과 가압방식을 함께 적용하여 내부기포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PLC방식의 제어를 이용하여 자동화가 용이하며, 서보 모터를 이용한 정확한 위치제어에 따라 정확한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직선운동 가이드 레일의 적용에 따라 태양전지 또는 서브모듈의 모델 변경 시에도 이에 적용이 용이하며,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전해액 주입구가 1개인 모델에 대해서도 전해액 주입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태양전지 또는 서브모듈의 모델에 대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적응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는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을 고정하는 지지 스테이지(100); 전해액 투입 탱크(600)와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장된 주입구와 이를 개폐하는 전해액 밸브를 가지는 전해액 주입부(200); 진공 장치와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장되는 연결구와 이를 개폐하는 진공밸브를 가지는 진공 배출부(210); 및 상기 진공밸브를 개방하여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의 전해액 충진부에 진공을 건 후, 다시 상기 진공밸브를 닫은 후에, 상기 전해액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전해액 충진부에 전해액을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인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는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을 고정하는 지지 스테이지(100); 일 측은 전해액 투입 탱크(600)와 연결되고, 타 측은 진공 장치와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장되는 주입구를 가지며, 상기 주입구에 전해액 투입 탱크(600) 또는 진공장치를 서로 교번하여 연결하는 연결밸브(700)를 가지는 주입 블록; 및, 상기 연결밸브(700)가 상기 주입구와 진공장치를 연결하여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의 전해액 충진부에 진공을 건 후, 상기 연결밸브(700)가 상기 주입구와 전해액 투입 탱크(600)를 연결하여 상기 전해액 충진부에 전해액을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첫 번째 경우는 도 1 내지 도 4와 도 6에 그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을 고정하는 지지 스테이지(100)를 가지고, 이러한 지지 스테이지(100)는 통상의 다양한 스테이지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면에 요홈이 형성되고 이의 하부에 진공 장치(진공펌프 또는 진공탱크 등)와 연결되어 스테이지 상부에 얹혀지는 물건을 흡착하는 진공으로 흡착하여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을 고정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초기 위치 결정 후,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좋고, 이와 같이 얹혀져 고정된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은 스테이지 결합한 서보 모터(500)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셀 간격에 따라 서보 모터(500)를 이용하여 1/100mm 까지 미세 조정하여 이동이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모든 셀을 자동으로 주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전해액 투입 탱크(600)와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장된 주입구와 이를 개폐하는 전해액 밸브를 가지는 전해액 주입부(200)를 가지는데, 이는 전해액 투입 탱크(600)에 보관된 전해액이 필요시에 전해액 주입부(200)로 배출되어 셀에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전해액 주입이 원활하고, 기포 생성을 방지하면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셀의 전해질 충진부를 진공으로 먼저 만든 후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진공 장치와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장되는 연결구와 이를 개폐하는 진공밸브를 가지는 진공 배출부(210)를 구비한다. 따라서 셀별로 2개의 전해질 주입구를 가지는 경우에 상기 스테이지의 이동에 따라 하나는 상기 전해액 주입부(20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진공 배출부(210)에 연결되어진다.
이와 같은 연결이 이루어지고 난 이후에 상기 진공밸브를 개방하여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의 전해액 충진부에 진공을 건 후, 다시 상기 진공밸브를 닫은 후에, 상기 전해액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전해액 충진부에 전해액을 충진(이 경우에 충진부의 낮은 압력으로 인하여 전해액은 자동으로 충진부에 빨려 들어가게 된다.)하도록 제어부가 제어를 하게 되고, 하나의 셀에 대하여 충진이 이루어지고 난 이후에는 상기 스테이지 서보 모터(500) 등을 통하여 이송이 이루어지고, 다음 셀에 대하여 연결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기술한 전해액 충진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하는 제어부 충진부에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자동으로 전해액을 충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액 주입부(200)는 전해액 투입 탱크(600)와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장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로의 전해액 통로를 상승시 개방, 하강시 폐쇄하는 전해액 밸브를 가지며 상기 전해액 밸브는 폐쇄 시에 전해액의 일부를 주입구 측으로 밀면서 폐쇄되도록 구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해액 밸브는 상하로 이동하는 실린더 밸브(300)로 이를 구성하여 실린더를 상하로 구동 시키면서 하부로 구동하는 경우에 전해액을 밀게 되므로 전해액을 가압하여 셀 내부로 전해액을 밀어 넣어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실린더 밸브(300)는 상기 진공 배출부(210)의 진공밸브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를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는 상하이동을 통하여 연결구에 적용되는 진공밸브를 개/폐시킨다. 다시 말해, 전해액 밸브와 진공밸브는 실린더 밸브(300)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밸브를 개방한 후 다시 닫은 후에, 상기 전해액 밸브를 상승시키고, 이후 진공밸브를 개방하고 이와 동시에 전해액 밸브를 하강하여 주입구 내부의 전해액을 가압한 후, 상기 진공밸브를 닫도록 제어하는 형태로 이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진공 배출부(210)의 실린더를 열어 셀 내부에 진공( 진공조절 게이지 포함 )을 수 초 동안 걸어주고, 이후 진공 배출부(210)의 밸브를 닫아 이를 폐쇄한 후, 반대쪽 전해액 주입부(200)의 실린더를 상승시켜 밸브를 개방하여 전해액 투입구에서 전해액이 자연스럽게 진공에 의하여 빨려 들어가게 한다. 이후 진공 배출부(210)의 실린더를 1초 동안 열어주고 동시에 주입구의 실린더를 하강시켜 노즐내부의 전해액을 가압시킨다. 이와 동시에 진공 배출부(210)의 진공 실린더를 폐쇄하여 주입을 마친다. 짧은 시간에 진공과 가압이 동시에 이뤄지면서 내부의 기포는 모두 제거되며 셀 내부에 전해액을 충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한 개의 셀을 모두 충전시킨 후 PLC제어에 의해 servo-motor를 구동시켜 위치정보가 입력된 다음 투입구까지 이동되며, 자동으로 모든 셀을 충진시킨다.
또한 도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전해액 주입부(200) 또는 진공 배출부(210)는 직선운동 가이드(LM Guide) 레일(40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장비의 적용 모델을 증대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즉, 직선운동 가이드 레일(400)의 적용에 따라 전해액 주입부(200) 또는 진공 배출부(210)를 직선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주입구의 간격이 다른 태양전지 또는 서브모듈의 모델에도 바로 간격만 조절하여 적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 LM 가이드의 배치방향을 달리 한 경우가 도 6에 도시되어진다.
이외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구 또는 연결구의 끝단은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 끝단으로 형성되는 기판과 접촉 시에 충격을 방지하고,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좋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전해액 주입부(200)와 진공 배출부(210)를 일체로 구성한 경우가, 아래에 기술된다.
즉,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을 고정하는 지지 스테이지(100); 일 측은 전해액 투입 탱크(600)와 연결되고, 타 측은 진공 장치와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장되는 주입구를 가지며, 상기 주입구에 전해액 투입 탱크(600) 또는 진공장치를 서로 교번하여 연결하는 연결밸브(700)를 가지는 주입 블록; 및, 상기 연결밸브(700)가 상기 주입구와 진공장치를 연결하여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의 전해액 충진부에 진공을 건 후, 상기 연결밸브(700)가 상기 주입구와 전해액 투입 탱크(600)를 연결하여 상기 전해액 충진부에 전해액을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주입장치로서, 여기서도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을 고정하는 지지 스테이지(100)를 가지고, 이러한 지지 스테이지(100)는 통상의 다양한 스테이지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면에 요홈이 형성되고 이의 하부에 진공 장치(진공펌프 또는 진공탱크 등)와 연결되어 스테이지 상부에 얹혀지는 물건을 흡착하는 진공으로 흡착하여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을 고정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초기 위치 결정 후,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좋고, 이와 같이 얹혀져 고정된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은 스테이지 결합한 서보 모터(500)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셀 간격에 따라 서보 모터(500)를 이용하여 1/100mm 까지 미세 조정하여 이동이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모든 셀을 자동으로 주입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전해액 주입부(200)와 진공 배출부(210)를 주입블록의 형태로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상기 주입구에 전해액 투입 탱크(600) 또는 진공장치를 서로 교번하여 연결하는 연결밸브(700)가 요구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5에 그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장치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전해액 투입 탱크(600)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주입구는 각각 직각 위치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밸브(700)는 직각 연결구간을 가지고, 상기 직각 연결구간에 수직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주입구에 전해액 투입 탱크(600) 또는 진공장치를 서로 교번하여 연결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정확하고, 안정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좋다. 즉, 태양전지 셀의 전해액 투입구가 한 개일 경우에는 진공을 만든 후에 이를 유지하면서 전해액을 주입하여야 하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직각 연결구간 구간을 가지는 기역자 밸브를 이용하여 기역밸브를 좌우로 90도씩 이동하게 모터를 설치하여, 초기 기역밸브를 진공 쪽으로 유도하여 셀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고, 이후 모터를 구동하여 주입구 쪽 밸브로 90도 이동시켜 자연스럽게 전해액이 셀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입 블록은 직선운동 가이드(LM Guide) 레일(40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주입구의 끝단은 탄성부재 끝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제어부가 진행하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는 주입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에 대해서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상세한 설명,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의 촬영 사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로 전해액을 충진하는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의 확대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지지 스테이지
200: 전해액 주입부
210: 진공 배출부
300: 실린더 밸브
400: 직선운동 가이드 레일
500: 서보 모터
600: 전해액 투입 탱크
700: 연결밸브
삭제

Claims (8)

  1.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을 고정하는 지지 스테이지;
    전해액 투입 탱크와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장된 주입구와 이를 개폐하는 전해액 밸브를 가지는 전해액 주입부;
    진공 장치와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장되는 연결구와 이를 개폐하는 진공밸브를 가지는 진공 배출부; 및,
    상기 진공밸브를 개방하여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의 전해액 충진부에 진공을 건 후, 다시 상기 진공밸브를 닫은 후에, 상기 전해액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전해액 충진부에 전해액을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2.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을 고정하는 지지 스테이지;
    일 측은 전해액 투입 탱크와 연결되고, 타 측은 진공 장치와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장되는 주입구를 가지며, 상기 주입구에 전해액 투입 탱크 또는 진공장치를 서로 교번하여 연결하는 연결밸브를 가지는 주입 블록; 및,
    상기 연결밸브가 상기 주입구와 진공장치를 연결하여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의 전해액 충진부에 진공을 건 후, 상기 연결밸브가 상기 주입구와 전해액 투입 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전해액 충진부에 전해액을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부는 전해액 투입 탱크와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장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로의 전해액 통로를 상승시 개방, 하강시 폐쇄하는 전해액 밸브를 가지며 상기 전해액 밸브는 폐쇄 시에 전해액의 일부를 주입구 측으로 밀면서 폐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밸브를 개방한 후 다시 닫은 후에, 상기 전해액 밸브를 상승시키고, 이후 진공밸브를 개방하고 이와 동시에 전해액 밸브를 하강하여 주입구 내부의 전해액을 가압한 후, 상기 진공밸브를 닫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밸브는 상하로 이동하는 실린더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장치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전해액 투입 탱크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주입구는 각각 직각 위치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밸브는 직각 연결구간을 가지고, 상기 직각 연결구간에 수직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주입구에 전해액 투입 탱크 또는 진공장치를 서로 교번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 스테이지는 진공으로 흡착하여 태양전지 셀 또는 서브모듈을 고정하고, 서보 모터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부 또는 진공 배출부 또는 주입 블록은 직선운동 가이드(LM Guide)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 또는 연결구의 끝단은 탄성부재 끝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KR20080069138A 2008-07-07 2008-07-16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KR101482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9138A KR101482657B1 (ko) 2008-07-16 2008-07-16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PCT/KR2009/003664 WO2010005213A2 (ko) 2008-07-07 2009-07-06 염료감응 태양전지 또는 서브모듈, 제조방법 및 이의 전해액 주입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9138A KR101482657B1 (ko) 2008-07-16 2008-07-16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584A KR20100008584A (ko) 2010-01-26
KR101482657B1 true KR101482657B1 (ko) 2015-01-20

Family

ID=4181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69138A KR101482657B1 (ko) 2008-07-07 2008-07-16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763B1 (ko) * 2009-03-25 2011-02-07 에프씨산업 주식회사 염료감응식 태양전지, 염료감응식 태양전지용 전해질 충진장치 및 충진방법
KR20120032645A (ko) * 2010-09-29 2012-04-06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일방향성 전해질 주입구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CN102509616A (zh) * 2011-11-18 2012-06-20 中国科学院等离子体物理研究所 染料敏化太阳电池电解质的灌注方法及设备
KR101224139B1 (ko) * 2011-11-25 2013-02-19 (주)다이솔티모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
KR101349197B1 (ko) * 2011-12-23 2014-01-16 김경민 기압차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염료흡착방법
KR101441978B1 (ko) * 2013-04-03 2014-09-25 주식회사 제우스 태양전지 전해액 주입 장치 및 태양전지 전해액 주입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6949A1 (en) 2001-03-26 2005-04-14 Ryoichi Komiya Dye-sensitized solar cell
KR20050064566A (ko) * 2003-12-24 200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구부림이 가능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2854A (ko) * 2004-04-23 2005-10-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2585A (ko) * 2005-01-13 2006-07-19 한국전기연구원 다공성 멤브레인을 이용한 고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6949A1 (en) 2001-03-26 2005-04-14 Ryoichi Komiya Dye-sensitized solar cell
KR20050064566A (ko) * 2003-12-24 200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구부림이 가능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2854A (ko) * 2004-04-23 2005-10-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2585A (ko) * 2005-01-13 2006-07-19 한국전기연구원 다공성 멤브레인을 이용한 고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584A (ko)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657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Ribeiro et al. Laser assisted glass frit sealing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US81925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of DSSC
CN102610399B (zh) 敏化太阳能电池封装系统和封装方法
CN102956356A (zh) 一种快速制备大面积染料敏化太阳能电池的装置及方法
JP5000118B2 (ja) 色素増感型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
KR101538133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흡착 염료용액의 모니터링 장치 및 염료용액의 조절 장치
JP5743599B2 (ja) 注液装置および注液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色素増感太陽電池の製法
WO2010005213A9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또는 서브모듈, 제조방법 및 이의 전해액 주입장치 및 방법
EP1791142B1 (en) Electrochemical cell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on
CN102544539B (zh) 燃料电池封装模具
JP5469741B2 (ja) 色素増感太陽電池の製造装置及び色素増感太陽電池の製造方法
CN113725371A (zh) 一种钙钛矿太阳能电池原位闪蒸成膜装置
KR20110018010A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전해액 주입장치
US20230371356A1 (en) In-situ flash evaporation film forming apparatus for perovskitesolar cell
JP2013110066A (ja) 色素増感型太陽電池の製造装置及び色素増感型太陽電池の製造方法
KR101441978B1 (ko) 태양전지 전해액 주입 장치 및 태양전지 전해액 주입 방법
US20130139887A1 (en) Scalable production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using inkjet printing
WO2023035449A1 (zh) 一种钙钛矿太阳能电池原位闪蒸成膜装置
CN205427316U (zh) 电润湿油墨填充器件及填充装置
KR20100079379A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작용 염료 착색장치 및 착색방법
KR102168803B1 (ko)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평가 장치
CN218502487U (zh) 钙钛矿薄膜刷涂装置
KR101347478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TW201803140A (zh) 電極吸附染料的方法及其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