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227B1 - 속성정보를 이용한 cctv 모니터링이 가능한 영상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제시스템 - Google Patents

속성정보를 이용한 cctv 모니터링이 가능한 영상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227B1
KR101482227B1 KR1020140057194A KR20140057194A KR101482227B1 KR 101482227 B1 KR101482227 B1 KR 101482227B1 KR 1020140057194 A KR1020140057194 A KR 1020140057194A KR 20140057194 A KR20140057194 A KR 20140057194A KR 101482227 B1 KR101482227 B1 KR 101482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dule
image data
informa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Priority to KR1020140057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범죄 및 사건사고 발생 후 사용자가 지정한 속성정보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제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내장된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영상데이터의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하는 이동체의 속성을 추출하여 속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속성정보에 연계된 이동체에 대한 프레임을 추출하여 프레임정보를 생성하는 영상분석모듈과, 상기 속성정보와 프레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사용자로부터 복수개의 속성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복수개의 속성에 매칭된 속성정보를 저장모듈을 통해 분석하고, 속성정보에 연계된 프레임정보를 저장모듈로부터 추출하며, 복수개의 속성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프레임정보를 편집하여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편집모듈, 및 상기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모듈을 포함하는 영상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속성에 따라 상기 속성에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감시영상을 판독할 수 있어 감시영상에 대한 효율적인 판독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속성정보를 이용한 CCTV 모니터링이 가능한 영상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제시스템{APPARATUS FOR VIDEO MONITORING AND SYSTEM FOR INTERGRATED CONTRO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속성정보에 따라 효율적인 CCTV 모니터링이 가능한 영상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범죄 및 사건사고 발생 후 사용자가 지정한 속성정보에 따라 감시영상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범죄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나, 교통사고 또는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에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설치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중앙의 통제장치로 전송하여 모니터링하거나 저장함으로써 범죄, 사고 또는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며, 이미 발생한 범죄, 사고 또는 화재에 대해서는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당사자들 사이의 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기술들 즉, 비디오 인덱싱 기능을 이용한 CCTV 영상분석 방법은 서로 다른 시점에 관찰되는 객체를 동시에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짧은 시간 안에 다양한 객체의 이동을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디스플레이 시간이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될 객체가 매우 많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시간이 너무 짧아서 동시에 너무 많은 객체가 출몰하게 되므로, 감시영상의 판독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 시간이 고정되고 감지되는 객체가 너무 적은 경우에는 불필요한 시간을 소비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객체가 화면에 나타나는 순서의 배열을 최적화하거나,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시간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게 하여 짧은 시간에 판독율을 향상시키거나 디스플레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7933호(2013.07.1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26079호(2014.03.05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3262호(2009.05.2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사용자가 지정한 속성을 고려하여 적합도가 높은 이동체부터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속성정보에 따라 효율적인 CCTV 모니터링이 가능한 영상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사용자가 지정한 속성을 고려하여 적합도가 높은 차량부터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며, 표시되는 차량의 문제차량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속성정보에 따라 효율적인 CCTV 모니터링이 가능한 통합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내장된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영상데이터의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하는 이동체의 속성을 추출하여 속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로부터 속성정보가 추출된 이동체에 대한 프레임을 추출하여 프레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속성정보와 프레임정보를 연계시키는 영상분석모듈; 상기 속성정보와 프레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사용자로부터 복수개의 속성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전달된 복수개의 속성에 매칭된 속성정보를 저장모듈을 통해 분석하고, 분석된 속성정보에 연계된 프레임정보를 저장모듈로부터 추출하며, 복수개의 속성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프레임정보를 편집하여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편집모듈; 및 상기 영상편집모듈로부터 제공된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모듈을 포함하는 영상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감시 대상지역에 설치되어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송출하는 감시 카메라; 문제차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문제차량 DB; 및 상기 감시 카메라로부터 송출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내장된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하는 이동체의 속성을 추출하여 속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로부터 속성정보가 추출된 이동체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프레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속성정보와 프레임정보를 연계시켜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영상분석모듈과, 사용자로부터 복수개의 속성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전달된 복수개의 속성에 매칭된 속성정보를 저장모듈을 통해 분석하며, 분석된 속성정보에 연계된 프레임정보를 저장모듈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문제차량 DB에 접속하여 상기 속성정보 중 차량번호에 부합한 문제차량 정보를 다운로드 받으며, 복수개의 속성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이동체의 프레임정보와 문제차량 정보를 편집하여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편집모듈, 및 상기 영상편집모듈로부터 제공된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모듈을 포함하는 영상 감시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관제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 감시 장치를 사용하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속성에 따라 상기 속성에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감시영상을 판독할 수 있어 감시영상에 대한 효율적인 판독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꺼번에 많은 이동체가 표시되거나 적은 수의 이동체가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여 감시영상을 빠르고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시영상의 출력시간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어 감시영상의 판독에 필요한 시간을 사용자의 여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감시영상에 포함된 이동체들 중 불필요한 이동체를 시놉시스 영상에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링 시 판독이 불필요한 이동체의 의해 발생하게 되는 혼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감시 카메라를 통해 시간의 순서에 따라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버스 차종 및 이동속도에 대한 적합도에 따라 편집된 이동체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승용차 차종 및 이동속도에 대한 적합도에 따라 편집된 이동체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제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속성정보에 따라 효율적인 CCTV 모니터링이 가능한 영상 감시 장치(이하, '영상 감시 장치'라고 약칭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100)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동체의 속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체의 속성정보에 연계된 프레임정보를 추출하는 영상분석모듈(110)과, 상기 영상데이터와 속성정보 및 프레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120)과, 사용자로부터 복수개의 속성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와, 상기 복수개의 속성을 기반으로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프레임정보를 편집하여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편집모듈(140), 및 상기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모듈(150)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감시 카메라를 통해 시간의 순서에 따라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버스 차종 및 이동속도에 대한 적합도에 따라 편집된 이동체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 4는 승용차 차종 및 이동속도에 대한 적합도에 따라 편집된 이동체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저장모듈(120)에 저장된 감시영상의 영상데이터는 시간 순서에 따라 감시 대상영역을 촬영한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은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하는 제 1 승용차 내지 제 5 승용차(11, 12, 13, 14, 15)의 프레임과 제 1 버스 내지 제 3 버스(21, 22, 23)의 프레임 및 어떠한 이동체도 존재하지 않는 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감시영상의 한 화면(A)에는 한 대의 차량만이 존재하거나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100)는 영상분석모듈(110)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분석모듈(110)은 내장된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으로,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하는 이동체의 속성을 추출하여 속성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영상 분석 알고리즘으로는 이동체의 속도 측정을 위한 속도 측정 알고리즘, 이동체의 색상을 분석하기 위한 색상 측정 알고리즘,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분석하기 위한 이동방향 측정 알고리즘, 이동체의 크기와 종류를 분석하기 위한 크기 측정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속성정보에는 이동체의 색상, 이동방향, 이동속도, 종류(차종), 크기, 차량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분석모듈(110)은 감시영상의 영상데이터로부터 속성정보가 추출된 이동체의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여 프레임정보를 생성한다. 아울러, 영상분석모듈(110)은 속성정보와 프레임정보를 연계시켜 저장모듈(120)에 저장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분석모듈(110)은 감시영상의 영상데이터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분석모듈(110)은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동체 중 차량의 프레임을 구분하고, 상기 차량의 프레임을 판독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며,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차량번호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차량번호의 인식 결과 차량번호 정보가 생성되면 영상분석모듈(110)은 프레임정보와 함께 차량번호 정보를 저장모듈(120)에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분석모듈(110)은 도 2의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제 1 승용차 내지 제 5 승용차(11, 12, 13, 14, 15)의 속성(차량 종류, 속도, 색상, 자동차번호, 크기)을 추출하고, 제 1 버스 내지 제 3 버스(21, 22, 23)의 속성(차량 종류, 속도, 색상, 자동차번호, 크기)을 추출하여 속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분석모듈(110)은 속성정보가 추출된 이동체(제 1 승용차 내지 제 5 승용차 및 제 1 버스 내지 제 3 버스)의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여 프레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100)는 저장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모듈(1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업로드 되거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감시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감시영상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120)에는 영상분석모듈(110)에 의해 생성된 속성정보와 프레임정보가 저장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개의 속성을 입력받는 것으로, 마우스나 터치스크린 또는 키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속성으로는 색상, 이동방향, 이동속도, 차종, 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이 포함된다.
일 실시 양태로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속성으로 이동속도(90㎞/h 이상)와 차종(버스)이 입력되면, 복수개의 속성으로 이동속도(90㎞/h 이상)와 차종(버스)을 영상편집모듈(140)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속성으로 이동속도(100㎞/h 이상)와 차종(승용차)이 입력되면, 복수개의 속성으로 이동속도(100㎞/h 이상)와 차종(승용차)을 영상편집모듈(140)로 전송한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수개의 속성에 대해 우선순위를 지정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속성으로 이동속도와 차종이 입력되는 경우, 이동속도와 차종 중 어느 것이 우선순위인지 지정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복수개의 속성에 부합하지 않은 이동체에 대한 프레임 화상의 노출 여부를 결정하는 이동체 편집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복수개의 속성 중 하나의 속성에도 매칭되지 않는 이동체의 프레임 화상의 삭제 여부를 설정받을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시놉시스 영상데이터의 출력시간을 단축시켜주는 출력모드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력모드 신호로는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하는 이동체가 표시되지 않은 영상 프레임을 제거한 후 서로 다른 시간대에 촬영된 이동체의 영상 프레임을 속성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차례차례 출력해 주는 일반모드 신호와,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하는 이동체가 표시되지 않은 영상 프레임을 제거한 후 서로 다른 시간대에 촬영된 이동체의 영상 프레임을 한 화면에서 한꺼번에 출력해 주는 단축모드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입력된 일반모드 신호를 영상편집모듈(140)로 전송하고, 단축모드 신호를 영상단축모듈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100)는 영상편집모듈(140)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편집모듈(14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은 속성을 기반으로 프레임정보를 편집하여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하는 이동체가 표시되지 않은 영상 프레임을 제거한다.
이러한 영상편집모듈(14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전달된 복수개의 속성에 매칭된 속성정보를 저장모듈(120)을 통해 분석하고, 분석된 속성정보에 연계된 프레임정보를 저장모듈(120)로부터 추출하며, 복수개의 속성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추출된 프레임정보를 편집하여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영상편집모듈(14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속성에 대한 우선순위가 입력되면,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프레임정보를 편집하여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로부터 복수개의 속성으로 이동속도(90㎞/h 이상)와 차종(버스)이 전송되면, 상기 영상편집모듈(140)은 저장모듈(120)을 통해 이동속도(90㎞/h 이상)와 차종(버스)에 매칭된 속성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속성정보에 연계된 프레임정보를 저장모듈(120)로부터 추출하며, 이동속도(90㎞/h 이상)와 차종(버스)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프레임정보를 편집하여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는 이동속도(90㎞/h 이상)와 차종(버스)의 속성에 모두 부합하는 제 1 버스(21)와 제 2 버스(22) 및 제 3 버스(23)에 대한 프레임 화상이 먼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로부터 복수개의 속성으로 이동속도(100㎞/h 이상)와 차종(승용차)이 전송되면, 상기 영상편집모듈(140)은 저장모듈(120)을 통해 이동속도(100㎞/h 이상)와 차종(승용차)에 매칭된 속성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속성정보에 연계된 제 2 승용차(12)와 제 3 승용차(13)의 프레임정보를 추출하며, 이동속도(100㎞/h 이상)와 차종(승용차)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프레임정보를 편집하여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는 이동속도(100㎞/h 이상)와 차종(승용차)의 속성에 모두 부합하는 제 2 승용차(12)와 제 3 승용차(13)에 대한 프레임 화상이 먼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이동속도(100㎞/h 이상)와 차종(승용차) 중 우선순위가 이동속도(100㎞/h 이상)로 지정되면, 영상편집모듈(140)은 제 2 승용차(12)와 제 3 승용차(13)에 대한 프레임 화상 이후에 제 3 버스에 대한 프레임 화상이 출력되도록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편집한다.
아울러, 영상편집모듈(14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전달된 이동체 편집신호의 따라 복수개의 속성에 부합하지 않은 이동체의 프레임 화상을 노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로서, 영상편집모듈(14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로부터 복수개의 속성으로 이동속도(100㎞/h 이상)와 차종(승용차)이 전송되고 이동체 편집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영상편집모듈(140)은 저장모듈(120)을 통해 이동속도(100㎞/h 이상)와 차종(승용차)에 매칭된 속성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속성정보에 연계된 제 2 승용차(12)와 제 3 승용차(13)의 프레임정보를 추출하며, 이동속도(100㎞/h 이상)와 차종(승용차)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프레임정보를 편집하여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는 이동속도(100㎞/h 이상)와 차종(승용차)의 속성에 모두 부합하는 제 2 승용차(12)와 제 3 승용차(13)에 대한 프레임 화상만이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영상편집모듈(14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로부터 복수개의 속성으로 이동속도(100㎞/h 이상)와 차종(승용차)이 전송되고 이동체 편집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편집모듈(140)은 저장모듈(120)을 통해 이동속도(100㎞/h 이상)와 차종(승용차)에 매칭된 속성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속성정보에 연계된 제 2 승용차(12)와 제 3 승용차(13)의 프레임정보를 추출하며, 이동속도(100㎞/h 이상)와 차종(승용차)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프레임정보를 편집하여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는 이동속도(100㎞/h 이상)와 차종(승용차)의 속성에 모두 부합하는 제 2 승용차(12)와 제 3 승용차(13)에 대한 프레임 화상이 먼저 출력되고, 이어서 촬영된 시간 순서에 따라 나머지 차량(제 1 승용차, 제 1 버스, 제 2 버스, 제 4 승용차, 제 3 버스, 제 5 승용차)의 프레임 화상이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100)는 영상출력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출력모듈(150)은 영상편집모듈(140)로부터 제공된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출력모듈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영상출력모듈(150)로는 모니터나 TV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100)는 영상단축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단축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로부터 단축모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동작하는 것으로, 각각 다른 시간에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한 이동체가 속성에 대한 적합도에 따라 한 화면에서 한꺼번에 출력되도록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편집한다. 이러한 영상단축모듈은 약 2.5시간 길이의 감시영상 데이터를 약 5분 길이의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로 편집할 수 있다.
예컨데, 영상편집모듈(140)에 의해 생성된 시놉시스 영상은 도 2의 제 1 버스(21)와 제 2 버스(22) 및 제 3 버스(23)가 각각 독립적으로 노출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나, 영상단축모듈에 의해 편집된 시놉시스 영상은 도 3과 같이 제 1 버스(21)와 제 2 버스(22) 및 제 3 버스(23)가 한꺼번에 노출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단축모듈은 감시영상의 배경화면에 대한 영상 프레임을 분리하고, 상기 배경화면에 대한 영상 프레임에 제 1 버스(21)와 제 2 버스(22) 및 제 3 버스(23)의 이동 궤적에 대한 이미지를 결합시키도록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편집하여, 시놉시스 영상데이터의 출력시간을 단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단축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로부터 단축모드 신호가 전송되면, 서로 다른 시간대에 촬영된 이동체가 한 화면에서 한꺼번에 출력되도록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편집한다.
이는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하는 제 1 버스 내지 제 3 버스(21, 22, 23)의 이동 궤적이 본래 촬영된 시간에서는 감시영상의 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으나, 영상단축모듈이 제 2 버스(22) 및 제 3 버스(23)의 이동 궤적을 제 1 버스(21)의 이동 궤적이 표시된 이미지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한꺼번에 적은 수의 이동체가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여 감시영상을 빠르고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영상 감시 장치(100)를 이용한 통합관제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제시스템은 감시 대상지역에 설치되어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송출하는 복수개의 감시 카메라(200)와, 문제차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문제차량 DB(300), 및 상기 복수개의 감시 카메라(200)와 문제차량 DB(300)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영상 감시 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감시 카메라(200)로는 초당 15 프레임 이상의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카메라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가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CCTV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문제차량 DB(300)로는 영상 감시 장치(100)에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근거리에 설치된 문제차량 DB(300)를 사용하거나, 관공서 서버에 구비된 문제차량 DB(300)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관공서는 무적(대포)차량과 도난차량 등에 대한 차량정보를 관리하는 경찰서, 구청 등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영상 감시 장치(100)는 저장모듈(120)과, 영상분석모듈(110)과, 영상편집모듈(140), 및 영상출력모듈(150)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영상단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모듈(120)은 상기 감시 카메라(200)로부터 송출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영상분석모듈(110)은 상기 내장된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하는 이동체의 속성을 추출하여 속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로부터 속성정보가 추출된 이동체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프레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속성정보와 프레임정보를 연계시켜 상기 저장모듈(120)에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개의 속성을 입력받는 것이다.
상기 영상편집모듈(14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전달된 복수개의 속성에 매칭된 속성정보를 저장모듈(120)을 통해 분석하고, 분석된 속성정보에 연계된 프레임정보를 저장모듈(120)로부터 추출하며, 복수개의 속성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이동체의 프레임정보 편집하여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영상편집모듈(140)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접속하여 상기 속성정보 중 차량번호에 부합한 문제차량 정보를 다운로드 받으며, 상기 문제차량 정보를 프레임정보와 함께 편집하여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영상출력모듈(150)은 영상편집모듈(140)로부터 제공된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영상단축모듈은 각각 다른 시간에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한 이동체가 속성에 대한 적합도에 따라 한 화면에서 한꺼번에 출력되도록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이다.
이러한 저장모듈(120), 영상분석모듈(110), 영상편집모듈(140), 영상출력모듈(150), 및 영상단축모듈은 전술한 영상 감시 장치(100)를 통해 설명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영상 감시 장치 110 :영상분석모듈
120 : 저장모듈 13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40 : 영상편집모듈 150 : 영상출력모듈
200 : 감시 카메라 300 : 문제차량 DB

Claims (7)

  1. 내장된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영상데이터의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하는 이동체의 속성을 추출하여 속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로부터 속성정보가 추출된 이동체에 대한 프레임을 추출하여 프레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속성정보와 프레임정보를 연계시키는 영상분석모듈;
    상기 속성정보와 프레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사용자로부터 각각 우선순위가 지정된 복수개의 속성을 입력받고, 서로 다른 시간대에 촬영된 이동체의 영상 프레임을 속성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차례차례 출력해 주는 일반모드 신호와, 서로 다른 시간대에 촬영된 이동체의 영상 프레임을 한 화면에서 한꺼번에 출력해 주는 단축모드 신호로 구성된 출력모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전달된 복수개의 속성에 매칭된 속성정보를 저장모듈을 통해 분석하고, 분석된 속성정보에 연계된 프레임정보를 저장모듈로부터 추출하며, 복수개의 속성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프레임정보를 편집하되, 우선순위에 따라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프레임정보를 편집하여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편집모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단축모드 신호가 입력되면 각각 다른 시간에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한 이동체가 속성에 대한 적합도에 따라 한 화면에서 한꺼번에 출력되도록 상기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편집하는 영상단축모듈; 및
    상기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하는 이동체의 영상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편집모듈과 영상단축모듈로부터 제공된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모듈을 포함하는 영상 감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속성은
    색상, 이동방향, 이동속도, 차종, 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장치.
  3. 삭제
  4. 삭제
  5. 감시 대상지역에 설치되어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송출하는 복수개의 감시 카메라;
    문제차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문제차량 DB; 및
    상기 복수개의 감시 카메라로부터 송출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내장된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하는 이동체의 속성을 추출하여 속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로부터 속성정보가 추출된 이동체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프레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속성정보와 프레임정보를 연계시켜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영상분석모듈과, 사용자로부터 각각 우선순위가 지정된 복수개의 속성을 입력받고, 서로 다른 시간대에 촬영된 이동체의 영상 프레임을 속성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차례차례 출력해 주는 일반모드 신호와, 서로 다른 시간대에 촬영된 이동체의 영상 프레임을 한 화면에서 한꺼번에 출력해 주는 단축모드 신호로 구성된 출력모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전달된 복수개의 속성에 매칭된 속성정보를 저장모듈을 통해 분석하며, 분석된 속성정보에 연계된 프레임정보를 저장모듈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문제차량 DB에 접속하여 상기 속성정보 중 차량번호에 부합한 문제차량 정보를 다운로드 받으며, 복수개의 속성 중 우선순위에 따라 적합도가 높은 순서로 이동체의 프레임정보와 문제차량 정보를 편집하여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편집모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단축모드 신호가 입력되면 각각 다른 시간에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한 이동체가 속성에 대한 적합도에 따라 한 화면에서 한꺼번에 출력되도록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편집하는 영상단축모듈, 및 상기 감시 대상영역을 통과하는 이동체의 영상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편집모듈과 영상단축모듈로부터 제공된 시놉시스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모듈을 포함하는 영상 감시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관제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57194A 2014-05-13 2014-05-13 속성정보를 이용한 cctv 모니터링이 가능한 영상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제시스템 KR101482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194A KR101482227B1 (ko) 2014-05-13 2014-05-13 속성정보를 이용한 cctv 모니터링이 가능한 영상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194A KR101482227B1 (ko) 2014-05-13 2014-05-13 속성정보를 이용한 cctv 모니터링이 가능한 영상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227B1 true KR101482227B1 (ko) 2015-01-15

Family

ID=5258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194A KR101482227B1 (ko) 2014-05-13 2014-05-13 속성정보를 이용한 cctv 모니터링이 가능한 영상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2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9710A (ja) * 2000-05-25 2001-12-07 Fujitsu Denso Ltd 監視画像選択制御システム
KR20020076828A (ko) * 2001-03-30 2002-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내용기반 멀티채널 감시비디오 색인 및 검색장치와 방법
KR20050114916A (ko) * 2004-06-02 2005-12-07 (주)에이직뱅크 교통정보수집과 부가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카메라 장치 및그 교통정보 처리방법
KR20140098959A (ko) * 2013-01-31 2014-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거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9710A (ja) * 2000-05-25 2001-12-07 Fujitsu Denso Ltd 監視画像選択制御システム
KR20020076828A (ko) * 2001-03-30 2002-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내용기반 멀티채널 감시비디오 색인 및 검색장치와 방법
KR20050114916A (ko) * 2004-06-02 2005-12-07 (주)에이직뱅크 교통정보수집과 부가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카메라 장치 및그 교통정보 처리방법
KR20140098959A (ko) * 2013-01-31 2014-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거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03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tadata extraction from master-slave cameras tracking system
US9779311B2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surveillance camera for vehicle
US107086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processing
US10116910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imaging information
CN105554437B (zh) 用于可视化徘徊对象的方法和设备
KR102334888B1 (ko) 디스플레이 기반 비디오 분석
US10198802B2 (en) Monitoring system, photography-side device, and verification-side device
JP2018139403A (ja) ビデオ監視システムで警告を発する方法
US9628874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video summary
US201602105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video summary
CN106529401A (zh) 一种车辆反跟踪方法、装置及系统
US10373015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moving objects
US11882387B2 (en) Duration and potential region of interest for suspicious activities
CN110910415A (zh) 抛物检测方法、装置、服务器和计算机可读介质
KR101459103B1 (ko) 효율적인 cctv 모니터링 구현을 위한 영상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KR20160093253A (ko) 영상 기반 이상 흐름 감지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469305A (zh) 发送装置及发送方法
JP2007158496A (ja) 地図連携映像監視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482227B1 (ko) 속성정보를 이용한 cctv 모니터링이 가능한 영상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제시스템
KR101612490B1 (ko) 공간중첩을 이용한 cctv 모니터링이 가능한 영상 감시 장치
KR102030352B1 (ko) 차량번호 인식에 기반한 실시간 차량 추적 시스템
KR20150140485A (ko) Cctv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KR101976493B1 (ko) 영상 감시장치에서 객체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82226B1 (ko) 시놉시스 영상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cctv 통합관제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KR20160041462A (ko)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