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192B1 - 과전류 제한형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과전류 제한형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192B1
KR101482192B1 KR20130070005A KR20130070005A KR101482192B1 KR 101482192 B1 KR101482192 B1 KR 101482192B1 KR 20130070005 A KR20130070005 A KR 20130070005A KR 20130070005 A KR20130070005 A KR 20130070005A KR 101482192 B1 KR101482192 B1 KR 101482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monic filter
image
image harmonic
phase
distribu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6970A (ko
Inventor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이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희 filed Critical 이태희
Priority to KR20130070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192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1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or ripp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40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는 배전 계통의 N 상과 영상 고조파 필터를 연결하는 N 상선 상의 전류값을 모니터링하는 전류 모니터링부; 및 상기 N 상선 상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치 이상인 경우, 바이패스 경로를 통해 상기 영상 고조파 필터와 배전 계통의 N 상을 연결시키는 모드 전환부-상기 바이패스 경로는 상기 N 상선에 병렬로 연결됨-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과전류 제한형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ZERO HARMONIC FILTER}
본 발명은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상 고조파 필터로 유입되는 과전류를 제한하는 것에 의해 영상 고조파 필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과전류 제한형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3상 4선식 배전 계통의 중성선 영상분 고조파 전류가 다양한 형태의 장애를 일으킨다. 영상 고조파 필터는 부하측에 설치되어 비선형 부하에 의해 발생하는 영상분 고조파를 제거한다. 즉, 영상 고조파 필터는 영상분 임피던스를 낮게 하여 부하에 의해 발생한 영상분 전류를 필터로 유입시켜 영상분을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영상분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영상분이 필터 내부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필터 내의 저항 성분에 의한 온도 증가가 유발되기에 부하에 따른 정격 용량을 적용하고 있으나 부하 변동에 따른 일시적인 영상분 증가로 필터 용량을 초과하는 영상분 전류가 필터로 유입되면 필터가 과열되어 필터 소손 또는 분전반 내 화재까지 발생할 수 있기에 이를 해결하고자 현재 필터 내 온도를 감시하여 설정 온도 이상이 되면 필터를 선로에서 분리하는 보호 기능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필터의 열화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과전류가 필터내부에 유입되어도 설정 온도까지 상승하는 시간이 필요하기에 코일의 소손은 피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영상 고조파 필터의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는 배전 계통의 N 상과 영상 고조파 필터를 연결하는 N 상선 상의 전류값을 모니터링하는 전류 모니터링부; 및 상기 N 상선 상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치 이상인 경우, 바이패스 경로를 통해 상기 영상 고조파 필터와 배전 계통의 N 상을 연결시키는 모드 전환부-상기 바이패스 경로는 상기 N 상선에 병렬로 연결됨-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통해 상기 영상 고조파 필터와 배전 계통의 N 상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N 상선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제 2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통해 상기 영상 고조파 필터와 배전 계통의 N 상을 연결하는 것을 중단시키고, 상기 N 상선을 통해 직접 상기 영상 고조파 필터와 상기 배전 계통의 N 상을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통해 상기 영상 고조파 필터와 배전 계통의 N 상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N 상선 상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제 3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고조파 필터를 상기 배전 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N 상으로 유입되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영상 고조파 필터에 유입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영상 고조파 필터의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의 설치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바이패스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바이패스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제어모듈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제어 모듈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의 설치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바이패스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바이패스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제어모듈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고조파 필터(100)가 3상 4선식 배전 계통의 임의의 구간에 연결될 수 있다. 영상 고조파 필터(100)는 일례로, 지그-재그 결선 방식의 변압기일 수 있다. 영상 고조파 필터(100)는 R상선(101), S상선(102), T상선(103), N상선(104)을 통해 배전 계통의 R, S, T, N 상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R, S, T, N 상은 분전반 내의 부스바일 수 있다.
R상선(101), S상선(102), T상선(103), N상선(104)에는 각각 제 1 스위치(201), 제 2 스위치(202), 제 3 스위치(203), 제 4 스위치(204)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 1 스위치(201), 제 2 스위치(202), 제 3 스위치(203), 제 4 스위치(204)는 온/오프 동작을 통해 각각 R상선(101), S상선(102), T상선(103), N상선(104) 상의 전류의 도통/차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바이패스부(300)가 제 4 스위치(204)와 병렬로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바이패스부(300)는 임피던스 소자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 소자가 직렬 및 병렬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된 구조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임피던스 소자가 병렬로 배치되고, 그 각각의 복수의 임피던스 소자를 경유하는 바이패스 경로 상에 스위치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복수의 바이패스 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스위치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임피던스 소자는 영상 고조파의 주파수 특성에 맞도록 설계된 것으로서, 예컨데, 3 고조파를 중심으로 가장 높은 임피던스 특성을 갖도록 저항과 리액턴스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임피던스 소자는 저항 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모듈(400)는 도 4를 참조하면, 전류 모니터링부(410)와 모드 전환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모니터링부(410)는 N상선(104) 상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500)의 전류 검출값을 사용하여 N상선(104) 상의 전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전류 검출부(500)는 예를 들어, CT(Current Transformer)일 수 있다. 그리고, 모드 전환부(420)는 N상선(104) 상의 전류값에 따라, 영상 고조파 필터(100)의 운행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모드 전환부(420)는 N상선(104) 상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정상모드에서 영상 고조파 필터(100)가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N상선(104) 상의 전류값이라 함은, N상선(104) 상의 전류값 자체, 영상분, 또는 기 설정 대역의 고조파 성분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정상모드에서 제 4 스위치(204)는 온되는 것에 의해, N상으로 유입되는 영상분이 바이패스부(300)에 의해 형성된 바이패스 경로를 통하지 않고, N상선(104)을 통해 직접 영상 고조파 필터(100)로 유입될 수 있다. 모드 전환부(420)는 N상선(104) 상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치 이상인 경우, 바이패스 모드에서 영상 고조파 필터(100)가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 바이패스 모드일 때 제 4 스위치(204)가 오프되는 것에 의해, N상으로 유입되는 영상분이 바이패스부(300)에 의해 형성된 바이패스 경로를 통해 영상 고조파 필터(100)로 유입될 수 있다. 바이패스 모드에서 바이패스 경로 상의 임피던스에 의해, 영상 고조파 필터로 유입되는 전류가 저감될 수 있다.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N 상선(104) 상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제 2 기준치 이하인 경우, 모드 전환부(420)는 영상 고조파 필터(100)가 정상모드에서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N 상선(104) 상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제 2 기준치 초과이고 N 상선 상의 전류가 제 3 기준치 이상인 경우, 영상 고조파 필터(100)를 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트립 모드). 이때, 제 1 스위치(201), 제 2 스위치(202), 제 3 스위치(203)는 오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준치는 영상 고조파 필터의 정격용량(A)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기준치는 영상 고조파 필터의 정격용량의 50%에 해당하는 값일 수 있다. 제 3 기준치는 영상 고조파 필터의 정격용량(A)일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기준치는 설계자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영상 고조파 필터(100)의 과부하를 유발할 수 있는 전류값을 제 1 기준치로 설정하고, 그 제 1 기준치의 적정 퍼센티지에 해당하는 값을 제 2 기준치로 설정하고, 바이패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영상 고조파 필터(100)의 과부하를 유발할 수 있는 전류값을 제 3 기준치로 설정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영상 고조파 필터(100)로 유입되는 전류값 또는 영상분에 기초하여 영상 고조파 필터(100)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성선 상에만 바이패스 경로가 형성되므로,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의 사이즈가 작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제어 모듈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의 설명에 의해, 앞서 설명된 구성이 보다 명확해 질 수 있다.
먼저, 영상 고조파 필터(100)가 정상 모드에서 운행될 수 있다(S51). 정상모드에서 제 4 스위치(204)는 온되는 것에 의해, N상으로 유입되는 영상분이 바이패스부(300)에 의해 형성된 바이패스 경로를 통하지 않고, N상선(104)을 통해 직접 영상 고조파 필터(100)로 유입될 수 있다. 정상 모드에서 모드 전환부(420)는 N상선(104) 상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
S52에서 제 1 기준치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정상모드에서 영상 고조파 필터(100)가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S52에서 제 1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바이패스 모드에서 영상 고조파 필터(100)가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S53). 바이패스 모드일 때 모드 전환부(420)는 제 4 스위치(204)를 오프시키는 것에 의해, N상으로 유입되는 영상분이 바이패스부(300)에 의해 형성된 바이패스 경로를 통해 영상 고조파 필터(100)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모드 전환부(420)는 N 상선(104) 상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제 2 기준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4).
S54에서 N 상선(104) 상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제 2 기준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모드 전환부(420)는 영상 고조파 필터(100)가 정상모드에서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S55). 이와 달리, S54에서, N 상선(104) 상의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제 2 기준치 초과라고 판단되면, 모드 전환부(420)는 N 상선 상의 전류가 제 3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6).
S56에서, N 상선 상의 전류가 제 3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모드 전환부(420)는 제 1 스위치(201), 제 2 스위치(202), 제 3 스위치(203)를 오프시키는 것에 의해, 영상 고조파 필터(100)를 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S57).
S51 내지 S57은 그 순서를 달리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일부 단계를 생략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54와 S56이 그 순서를 역으로 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의 순서와 달리, N상선 상의 전류가 제 1 기준치, 제 2 기준치, 제 3 기준치 중 어디에 속하는 지를 일괄적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영상 고조파 필터의 운행 모드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모드에 따라 영상 고조파 필터를 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기준치는 영상 고조파 필터의 정격용량(A)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기준치는 영상 고조파 필터의 정격용량의 50%에 해당하는 값일 수 있다. 제 3 기준치는 영상 고조파 필터의 정격용량(A)일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기준치는 설계자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영상 고조파 필터(100)의 과부하를 유발할 수 있는 전류값을 제 1 기준치로 설정하고, 그 제 1 기준치의 적정 퍼센티지에 해당하는 값을 제 2 기준치로 설정하고, 바이패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영상 고조파 필터(100)의 과부하를 유발할 수 있는 전류값을 제 3 기준치로 설정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영상 고조파 필터(100)로 유입되는 전류값 또는 영상분에 기초하여 영상 고조파 필터(100)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성선 상에만 바이패스 경로가 형성되므로,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의 사이즈가 작을 수 있다.
100: 영상 고조파 필터
101: R상선
102: S상선
103: T상선
104: N상선
201: 제 1 스위치
202: 제 2 스위치
203: 제 3 스위치
204: 제 4 스위치
300: 바이패스부
400: 제어모듈
410: 전류 모니터링부
420: 모드 전환부
500: 전류 검출부

Claims (3)

  1. 배전 계통의 N 상과 영상 고조파 필터를 연결하는 N 상선 상의 전류값을 모니터링하는 전류 모니터링부; 및
    상기 N 상선 상의 영상분이 기 설정된 영상 고조파 필터 정격 용량 이상인 경우, 바이패스 경로를 통해 상기 영상 고조파 필터와 배전 계통의 N 상을 연결시키는 모드 전환부-상기 바이패스 경로는 상기 N 상선에 병렬로 연결됨-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통해 상기 영상 고조파 필터와 배전 계통의 N 상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N 상선 상의 영상분이 기 설정된 영상 고조파 필터 정격 용량의 기 설정 비율 이하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통해 상기 영상 고조파 필터와 배전 계통의 N 상을 연결하는 것을 중단시키고, 상기 N 상선을 통해 직접 상기 영상 고조파 필터와 상기 배전 계통의 N 상을 연결시키며,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통해 상기 영상 고조파 필터와 배전 계통의 N 상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N 상선 상의 영상분이 기 설정된 영상 고조파 필터 정격 용량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고조파 필터를 상기 배전 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



  2. 삭제
  3. 삭제
KR20130070005A 2013-06-18 2013-06-18 과전류 제한형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 KR101482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005A KR101482192B1 (ko) 2013-06-18 2013-06-18 과전류 제한형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005A KR101482192B1 (ko) 2013-06-18 2013-06-18 과전류 제한형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970A KR20140146970A (ko) 2014-12-29
KR101482192B1 true KR101482192B1 (ko) 2015-01-14

Family

ID=5258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0005A KR101482192B1 (ko) 2013-06-18 2013-06-18 과전류 제한형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1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26658B (zh) * 2015-11-13 2017-06-27 四川英杰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有源电力滤波器及其峰值电流限制方法
KR101641516B1 (ko) 2016-04-05 2016-07-22 (주)서전기전 결상 trip 기능형 영상 고조파 필터가 적용된 분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298B1 (ko) 2011-07-07 2011-11-04 송규창 영상 고조파 필터링 기능을 가진 분전반
KR101233403B1 (ko) * 2012-05-23 2013-02-19 최민석 무순단 바이패스와 돌입전류 방지기능을 갖는 영상고조파 저감 장치
KR101245748B1 (ko) * 2012-12-07 2013-03-25 (주) 동보파워텍 과전류, 과열 및 서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고조파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298B1 (ko) 2011-07-07 2011-11-04 송규창 영상 고조파 필터링 기능을 가진 분전반
KR101233403B1 (ko) * 2012-05-23 2013-02-19 최민석 무순단 바이패스와 돌입전류 방지기능을 갖는 영상고조파 저감 장치
KR101245748B1 (ko) * 2012-12-07 2013-03-25 (주) 동보파워텍 과전류, 과열 및 서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고조파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970A (ko) 201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786B1 (ko) 영상고조파 필터가 내장된 분전반
US11264794B2 (en) Series compensator and control method
KR101119636B1 (ko) 과부하 보호기능을 구비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 방법
KR101200999B1 (ko) 영상 고조파 필터 접속 제어 장치
KR101320373B1 (ko) 변압기를 구비한 결상복구장치 및 그 설치공법
KR101245748B1 (ko) 과전류, 과열 및 서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고조파 저감장치
KR101622187B1 (ko) 한류기
KR101482192B1 (ko) 과전류 제한형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
KR20090086141A (ko) 피티시 소자에 의한 전류 제한형 보호기능이 구비된지그재그 결선 변압기형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KR20140121593A (ko) 전력품질 복구계전기
JP6069073B2 (ja) 限流装置
US7923867B2 (en) Electromagnetic noise suppression system for Wye power distribution
JP2011097797A (ja) ループ系統の保護システム
TWI470892B (zh) 電力斷電器電路、操作電力斷電器電路之方法以及具有包含電力斷電器電路之電氣設備的建築物
US9917475B2 (en) Variable neutral impedance for multi-source system
KR101208468B1 (ko) 분배전반의 재해방재장치
US20140204493A1 (en) Relay Control Circuit
KR101446502B1 (ko)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를 적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및 시스템
KR20170042070A (ko) 전력계통에서의 단락 발생시 재해 방지장치 및 방법
KR102586906B1 (ko) 빌딩 영상고조파 저감 및 분산을 통한 전원 보호 및 화재 방지 제어 기술
CN218940660U (zh) 新型高厂变低压侧分支零序过流继电保护电路
KR102237081B1 (ko)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JP2008078002A (ja) 回路遮断器
JPH07274381A (ja) 低圧配電盤
KR20100097944A (ko) 잡음 및 전자기파 방지기능을 가진 전원분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