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906B1 - 빌딩 영상고조파 저감 및 분산을 통한 전원 보호 및 화재 방지 제어 기술 - Google Patents

빌딩 영상고조파 저감 및 분산을 통한 전원 보호 및 화재 방지 제어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906B1
KR102586906B1 KR1020220142172A KR20220142172A KR102586906B1 KR 102586906 B1 KR102586906 B1 KR 102586906B1 KR 1020220142172 A KR1020220142172 A KR 1020220142172A KR 20220142172 A KR20220142172 A KR 20220142172A KR 102586906 B1 KR102586906 B1 KR 102586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harmonic
harmonic
zigzag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우
Original Assignee
(주)파노텍
정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노텍, 정광우 filed Critical (주)파노텍
Priority to KR1020220142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1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or rip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20Measurement of non-linea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40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빌딩 관리 시스템은 3상 전력을 입력받아 수용가에 단상 전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분전반; 상기 복수의 분전반 중 2 이상의 분전반에 각각 설치되는 2 이상의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 상기 분전반과 상기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의 전기적 연결 여부를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부; 상기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가 설치된 상기 2 이상의 분전반의 중성선에서 영상고조파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부; 및 상기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 크기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빌딩내 발생하는 영상고조파를 저감 및 분산시킬 수 있고, 따라서 영상고조파의 대전류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고, 전력 설비를 보호하며 소비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빌딩 영상고조파 저감 및 분산을 통한 전원 보호 및 화재 방지 제어 기술{CONTROL TECHNOLOGY FOR POWER SOURCE PROTECTION AND FIRE PREVENTION BY THE REDUCTION AND DISPERSION OF BUILDING ZERO-SEQUENCE HARMONIC COMPONENT}
본 발명은 빌딩내 영상고조파를 저감 및 분산시켜 전원 보호 및 화재 방지를 위한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빌딩 내에 LED 램프의 사용이 늘어나고, 대형 LED/LCD 디스플레이가 더욱 휘황 찬란하게 사용될 수록 그리고 빌딩의 사무실에 대규모 서버와 업무용 PC 사용이 늘어날 수록 빌딩에서는 더욱 더 많은 고조파가 발생한다. 아날로그 전자장비는 계통에서 제공되는 아날로그 형태로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디지털 데이터 처리, 디지털 통신, DC 전원 등에 기반한 디지털 전자기기가 일반화되면서 종래보다 고조파 발생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고조파는 중성선의 과전류, 소음 및 진동, 무효 전력, 차단기 오동작, 전자기기 오동작 및 수명 감소 등을 유발하며, 특히 제3 고조파인 영상고조파의 영향이 가장 크기 때문에 영상고조파 필터를 분전반에 설치하여 이를 저감하는 경우가 있다. 영상고조파 필터에는 변압기 형태로 코일을 감은 리액터, 지그재그 방식의 결선에 의해 제3 고조파에 대해 낮은 임피던스를 형성하는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 등이 있으며, 이 중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수용가에서 전력 품질이 양호하지 못할 때, 전문가를 통해 영상고조파의 크기를 측정하는 등 전력 품질을 평가한 후 이를 저감하기 위해 영상고조파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솔루션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주변의 전기 사용 양태에 따라서는 오히려 영상고조파 필터가 영상고조파를 유입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음이 간과되고 있었다.
예컨대, 빌딩 내에는 변압기로부터 3상 전력이 인가되는 다수의 분전반이 있고, 이 분전반으로부터 각 층의 다수의 수용가에 전력이 공급된다. 각 수용가에서 발생하는 영상고조파는 3상 델타 결선 또는 와이 결선을 타고 부유하며 열 에너지로 환원되거나 표피 효과를 일으켜 전력 손실을 일으키면서 감쇄되기도 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며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고조파 저감을 위해 분전반에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를 설치하게 되면, 다른 층의 분전반에 연결된 수용가 부하들로부터 발생한 영상고조파가 오히려 영상고조파 필터가 설치된 분전반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영상고조파에 대해 필터가 저 임피던스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빌딩 내에서 영상고조파를 저감하는 동시에 영상고조파 전류 상승을 제한할 수 있는 영상고조파 필터 운영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5021호 (2011.06.22) "중성선 전류 감지장치 및 능동형 영상고조파 필터를 구비한 분전반"
따라서 본 발명은 빌딩내 발생한 영상고조파를 저감시키는 동시에 영상고조파를 분산시켜 영상고조파 전류의 크기를 제한시킴으로써, 과전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제어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빌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3상 전력을 입력받아 수용가에 단상 전력을 제공하는 분전반; 상기 분전반에 설치되는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 상기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와 상기 분전반 사이에 설치되어 전기적 연결 여부에 관여하는 스위치부; 상기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가 설치된 상기 분전반의 중성선에서 영상고조파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부; 및 상기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의 크기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개방 상태로 전환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에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빌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3상 전력을 입력받아 수용가에 단상 전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분전반; 상기 복수의 분전반 중 2 이상의 분전반에 각각 설치되는 2 이상의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 상기 분전반과 상기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의 전기적 연결 여부를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부; 상기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가 설치된 상기 2 이상의 분전반의 중성선에서 영상고조파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부; 및 상기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 크기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영상고조파 전류 크기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비활성 상태의 영상고조파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임계치가 초과된 영상고조파를 분산 저감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비활성 상태의 영상고조파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선택 기준으로 임피던스 맵에 따라 상기 임계치가 초과된 영상고조파를 최대 분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비활성 상태의 영상고조파 필터가 없는 경우, 상기 영상고조파가 임계치를 초과한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에 상기 스위치부를 오프시켜 영상고조파 필터를 비활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이상의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상기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영상고조파 전류의 크기 및 측정 위치에 따른 영상고조파 발생 분포를 도출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고조파 발생 분포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선택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빌딩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분전반 및 상기 복수의 분전반 중 2 이상의 분전반에 각각 전기적 연결을 결정하기 위한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와 직렬로 상기 분전반의 3상 4선에 연결되는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를 마련하는 단계; 직렬로 연결된 상기 스위치부가 닫힌 상태에 있는 상기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의 중성선에 흐르는 영상고조파 전류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전류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개방 상태에서 비활성화된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가 있다면 상기 스위치부를 닫힌 상태로 제어하여 비활성 영상고조파 필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관리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비활성된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가 없는 경우,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 영상고조파 전류가 흐르는 상기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활성 상태의 2 이상의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를 교차로 온 오프시켜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전류를 분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빌딩내 발생하는 영상고조파를 저감 및 분산시킬 수 있고, 따라서 영상고조파의 대전류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고, 전력 설비를 보호하며 소비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딩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2는 도1에 대응하는 빌딩 영상고조파 분산 전략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결선도; 및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딩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딩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딩 관리 시스템은 분전반(10),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20), 스위치부(30), 전류측정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전반(10)은 빌딩 내의 변압기(11)로부터 3상 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3상 4선식으로 연결되고, 수용가(12) 또는 부하들에게 단상 전력을 제공하도록 연결된다. 빌딩에는 복수의 분전반(10)이 각 층마다 마련될 수 있으며, 위치 및 용도에 따라서 필요한 수량 만큼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전반(10)의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인 경우에도 빌딩 외부의 다른 수용가(12)와의 관계에서 동작할 수 있다.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20)는 빌딩내 복수의 분전반(10)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다.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20)는 결선 방식은 공지되어 있으며, 도2에 구체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도2는 도1의 블록도에 대한 변압기(11), 분전반(10), 수용가(12),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20), 및 후술하는 스위치부(30)의 결선도이며,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20)는 R, S, T 3상이 변압기(11) 및 분전반(10)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중성선은 수용가(12)(단상 가변형 부하)까지 공통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수용가(12)에서 발생한 고조파가 중성선을 따라 직접 영상고조파 필터(20)에 유입된다.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20)는 독립형 제품의 경우 분전반(10)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고, 분전반(10) 내부의 여유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20)가 2 이상의 분전반(10)에 대해 설치되는, 예컨대 층마다 분전반(10)이 설치된 20층 빌딩에서 1층 및 10층의 분전반(10)에 영상고조파 필터(2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스위치부(3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S, T, N 단 각각에 대해 분전반(10)과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20) 사이의 전기적 연결 또는 차단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스위치부(30)는 트랜지스터, 릴레이 등 기타 스위칭 소자로 알려진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전류측정부(40)는 영상고조파 필터(20) 또는 분전반(10)의 중성선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고조파 필터(20)가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중성선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로 구현된다. 측정된 전류값은 후술하는 제어부(50)로 제공되어 제어부(50)의 제어를 위한 주요 판단 자료로 활용된다.
제어부(50)는 복수의 영상고조파 필터(2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여 영상고조파 전류를 저감 및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위치부(30)에 대한 개폐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스위치부(30)의 개폐 제어 및 영상고조파 필터(20)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제어의 기준으로는, (i) 영상고조파 필터(20)가 설치된 분전반(10) 주변의 중성선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넘는 과전류에 해당하는지의 여부, (ii) 임피던스 맵 또는 고조파 전류 발생 분포에 기초한 분산을 위한 영상고조파 필터(20)의 선택적 활성/비활성 여부, (iii) 빌딩 외부로부터의 영상고조파 유입 등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활성화된 영상고조파 필터(20)가 설치된 분전반(10) 또는 영상고조파 필터(20)의 중성선에 흐르는 영상고조파의 전류 크기를 전류측정부(40)를 통해 획득하고, 측정된 전류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했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빌딩 1층의 분전반(10)에 흐르는 영상고조파 전류가 150A 이고 임계치가 100A 라면, 빌딩 10층에 설치된 영상고조파 필터(20)를 온 상태로 전환시켜 1층의 영상고조파 필터(20)측으로 유입되는 영상고조파 전류를 분산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부(50)는 과전류가 측정된 영상고조파 필터(20) 외의 다른 영상고조파 필터(2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영상고조파 전류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10층 이상의 고층에서 발생한 영상고조파는 10층의 영상고조파 필터(20)로, 그리고 10층과 1층 사이에서는 1층 또는 10층까지의 선로 임피던스에 따라 1층 또는 10층의 필터(20)로 영상고조파 전류가 유입되어 분산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수용가(12)에서 발생한 영상고조파는 분전반(10)을 통해 다른 분전반(10)으로 이동하고, 영상고조파 필터(20)가 설치된 곳으로 집중되므로 이를 다수의 영상고조파 필터(2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분산시킬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1층의 영상고조파 필터(20)에 과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10층의 영상고조파 필터(20)도 활성화된 상태여서 더 이상 분산시킬 수 없는 경우, 제어부(50)는 1층 및 10층의 영상고조파 필터(20)를 모두 비활성화시켜 영상고조파가 서로 더해져 대 전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50)는 1층 및 10층의 영상고조파 필터(20)를 교차 활성화시키는 방식으로 고조파 전류가 과전류로 형성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영상고조파 필터(20)의 스위칭 조합에 의해서 각 층마다 고조파 발생 분포를 추정할 수 있으며, 빌딩 외부에서 유입되는 고조파에 대해서도 추정이 가능하다. 1층 및 10층에 영상고조파 필터(20)를 설치한 경우를 앞서 설명하였으나, 더 많은 영상고조파 필터(20)를 설치했다고 가정할 때 스위치 개폐 조합에 따라서 측정되는 영상고조파 전류 크기를 임피던스 맵을 통해 영상고조파의 분포를 추정할 수 있다. 특히, 영상고조파 필터(20)를 모두 오프시켰을 때, 모든 분전반(10)에 흐르는 고조파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모두 활성화시켰을 때 측정되는 고조파 전류와의 차를 통해 빌딩 외부로부터의 영상고조파 유입량을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빌딩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영상고조파 전류에 대한 제한을 설정하고, 제한을 넘어서 유입되는 경우에 스위치부(30)를 오프시켜 영상고조파 필터(20)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도1 및 도2의 제어부(50)의 제어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도3의 각 단계는 논리적으로 전후가 분명한 경우가 아니라면 그 순서가 바뀔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에 주의하도록 한다.
도3을 참조하면, 제어부(50)는 전류측정부(40)에서 측정된 영상고조파 전류값을 획득하고(S10), 전류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큰 과전류인지를 판단한다(S20).
측정된 전류값이 과전류가 아니라면 현 상태를 유지하면 되지만, 영상고조파 전류가 과전류라면 이를 분산시키고 저감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분산시킬 수 있는 아직 비활성 상태인 영상고조파 필터(20)가 있는지 판단한다(S30).
만약 비활성된 영상고조파 필터(20)가 있다면, 해당 필터(20)를 활성화하기 위해 스위치부(30)를 온 상태로 전환시켜 과전류를 분산시킨다(S40). 이때 비활성 상태의 영상고조파 필터(20)가 2 이상인 경우, 과전류를 가장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필터(20)를 선택할 수 있다. 비활성 상태의 모든 영상고조파 필터(20)를 활성화 시키는 경우, 최대 분산이 일어날 수 있으며 최소한의 필터(20)를 활성화하는 경우 임피던스 맵에 따라 최대 분산을 일으킬 수 있는 필터(2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에, 영상고조파 발생 분포를 고려함으로써 최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비활성된 영상고조파 필터(20)가 없다면, 과전류가 흐르는 영상고조파 필터(20)의 스위치를 오프시켜 영상고조파 필터(20)로 인해 유입되는 고조파 전류를 분산시킴으로써 과전류를 우선적으로 저감하도록 한다(S50).
과전류가 흐르는 영상고조파 필터(20)를 비활성화 시켰음에도 불구하고 과전류 상태가 유지된다면(S60), 활성화된 2 이상의 영상고조파 필터(20)들을 순차적으로 혹은 중복적으로 혹은 조합하는 방식으로 교차 활성/비활성되도록 스위치부(30)의 스위칭 제어를 수행한다(S70). 이때, 전류측정부(40)에서 측정되는 각각의 영상고조파 필터(20)들 또는 이와 연결된 분전반(10)의 중성선에서 측정되는 영상고조파 전류의 크기에 따라 고조파 발생 분포를 추정할 수 있다(S80).
추정된 고조파 발생 분포에 따라 영상고조파 필터(20)들의 제어 방식을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방식으로 제어부(50)는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S90). 즉, 각각의 분전반(10)에서 영상고조파의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활성화 및 비활성화할 영상고조파 필터(20)를 선택하고, 시간을 분할하거나 중복 조합의 경우를 도출한다. 상기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도록 영상고조파 전류를 최대한 분산시키도록 하고, 임계치에 도달하더라도 다른 필터(20)로 전환시켜 영상고조파 전류가 일측에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 고조파는 수용가(12)에서 전력을 사용하는 양태에 따라서 계속해서 변경된다. 그러므로, 제어부(50)의 스위치부(30) 제어 방식은 계속해서 적응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된 실시예들을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은 빌딩 내의 변압기를 예를 들었으나 계통의 주상 변압기에 연결되어 직접 3상 전력을 받을 수 있으며, 빌딩은 단층의 하나 이상의 분전반을 가지는 경우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분전반
20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
30 스위치부
40 전류측정부
50 제어부
11 변압기
12 수용가

Claims (10)

  1. 삭제
  2.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빌딩에 대한 빌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에 설치되고, 3상 전력을 입력받아 수용가에 단상 전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분전반;
    상기 복수의 분전반 중 2 이상의 분전반에 각각 분산 설치되는 2 이상의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
    상기 분전반과 상기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의 전기적 연결 여부를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부;
    상기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가 설치된 상기 2 이상의 분전반의 중성선에서 영상고조파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부; 및
    상기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 크기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의 개폐 제어를 통해 상기 2 이상의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켜 활성 또는 비활성되는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의 조합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조합에 대해 상기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영상고조파 전류의 크기 및 측정 위치에 따른 영상고조파 발생 분포를 추정하고, 상기 빌딩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영상고조파의 크기를 추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추정된 상기 빌딩의 외부 유입 영상고조파가 미리 결정된 제한보다 큰 경우 상기 2 이상의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 모두에 대한 상기 스위치부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이상의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를 모두 오프시킨 경우와 모두 스위치 온 시킨 경우 각각에 대해 상기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영상고조파의 크기의 차를 기초로 상기 빌딩의 외부 유입 영상고조파를 추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영상고조파 전류 크기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비활성 상태의 영상고조파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임계치가 초과된 영상고조파를 분산 저감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비활성 상태의 영상고조파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선택 기준으로 상기 추정된 영상고조파 발생 분포에 따라 상기 임계치가 초과된 영상고조파를 최대 분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비활성 상태의 영상고조파 필터가 없는 경우, 상기 영상고조파가 임계치를 초과한 지그재그 영상고조파 필터에 상기 스위치부를 오프시켜 영상고조파 필터를 비활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고조파 발생 분포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선택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42172A 2022-10-31 2022-10-31 빌딩 영상고조파 저감 및 분산을 통한 전원 보호 및 화재 방지 제어 기술 KR102586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172A KR102586906B1 (ko) 2022-10-31 2022-10-31 빌딩 영상고조파 저감 및 분산을 통한 전원 보호 및 화재 방지 제어 기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172A KR102586906B1 (ko) 2022-10-31 2022-10-31 빌딩 영상고조파 저감 및 분산을 통한 전원 보호 및 화재 방지 제어 기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906B1 true KR102586906B1 (ko) 2023-10-12

Family

ID=8829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172A KR102586906B1 (ko) 2022-10-31 2022-10-31 빌딩 영상고조파 저감 및 분산을 통한 전원 보호 및 화재 방지 제어 기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9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021B1 (ko) 2010-06-10 2011-06-30 (주)엘지산업 중성선 전류 감지장치 및 능동형 영상고조파 필터를 구비한 분전반
KR101080298B1 (ko) * 2011-07-07 2011-11-04 송규창 영상 고조파 필터링 기능을 가진 분전반
KR101138430B1 (ko) * 2011-12-15 2012-04-26 주식회사 태스콘 영상 고조파 필터링 시스템
KR101200999B1 (ko) * 2012-07-10 2012-11-13 이태희 영상 고조파 필터 접속 제어 장치
KR101233403B1 (ko) * 2012-05-23 2013-02-19 최민석 무순단 바이패스와 돌입전류 방지기능을 갖는 영상고조파 저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021B1 (ko) 2010-06-10 2011-06-30 (주)엘지산업 중성선 전류 감지장치 및 능동형 영상고조파 필터를 구비한 분전반
KR101080298B1 (ko) * 2011-07-07 2011-11-04 송규창 영상 고조파 필터링 기능을 가진 분전반
KR101138430B1 (ko) * 2011-12-15 2012-04-26 주식회사 태스콘 영상 고조파 필터링 시스템
KR101233403B1 (ko) * 2012-05-23 2013-02-19 최민석 무순단 바이패스와 돌입전류 방지기능을 갖는 영상고조파 저감 장치
KR101200999B1 (ko) * 2012-07-10 2012-11-13 이태희 영상 고조파 필터 접속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786B1 (ko) 영상고조파 필터가 내장된 분전반
US11264794B2 (en) Series compensator and control method
KR101320373B1 (ko) 변압기를 구비한 결상복구장치 및 그 설치공법
KR101119636B1 (ko) 과부하 보호기능을 구비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 방법
US20120236442A1 (en) intelligent controller
KR101540998B1 (ko)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KR20130044247A (ko) 전력계통의 결상 시 결상복구장치 및 그 복구방법
KR101049862B1 (ko)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분배전반
KR102586906B1 (ko) 빌딩 영상고조파 저감 및 분산을 통한 전원 보호 및 화재 방지 제어 기술
KR20140120084A (ko)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고조파 상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08468B1 (ko) 분배전반의 재해방재장치
KR101030193B1 (ko)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분배전반 및 그 분배전반의 중성선 대체방법
KR102482385B1 (ko) 상하위 비교분석에 의한 부하 측 전원 관리제어 기능 및 과열에 의한 단락사고 방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1482192B1 (ko) 과전류 제한형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
JP4471282B2 (ja) 低圧配電系統の潮流制御方法
KR101365290B1 (ko) 친환경 절전형 전력품질 복구장치를 구비한 분배전반
KR20170042070A (ko) 전력계통에서의 단락 발생시 재해 방지장치 및 방법
RU2594355C2 (ru) Способ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установки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и установка, в которой реализован такой способ
KR101302806B1 (ko) 친환경 절전형 전력품질 복구장치를 내장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제어반, 분전반)
KR20140121586A (ko) 역상과 전력품질을 복구하는 분배전반
KR20120086557A (ko)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분배전반 및 그 분배전반의 중성선 대체방법
KR102134872B1 (ko) 제어설비의 제어그룹 운영 방법 및 제어설비의 제어그룹 운영 시스템
KR20130043127A (ko) 친환경 절전형 전력품질 복구장치를 구비한 분배전반
KR101246886B1 (ko) 중성선 보호 기능이 구비된 분배전반
KR102640875B1 (ko)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