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081B1 -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081B1
KR102237081B1 KR1020190029943A KR20190029943A KR102237081B1 KR 102237081 B1 KR102237081 B1 KR 102237081B1 KR 1020190029943 A KR1020190029943 A KR 1020190029943A KR 20190029943 A KR20190029943 A KR 20190029943A KR 102237081 B1 KR102237081 B1 KR 102237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harmonic
resistance
harmonic filter
image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997A (ko
Inventor
두경옥
Original Assignee
두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경옥 filed Critical 두경옥
Priority to KR1020190029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08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1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or ripp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40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Transformer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100)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부(10)의 3상(R,S,T)과 중성선(N)에서 발생되는 영상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는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와;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에서 영상고조파 제거 시에 발생되는 열을 측정하기 위한 저항 센서(122) 및 방열을 위한 급기팬(124), 열전소자(160)가 설치되는 함체(120)와; 상기 저항 센서(122)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제1 저항 기준치 초과 시 상기 급기팬(124)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고조파 필터의 과열 및 과부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영상고조파 필터가 영상고조파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영상고조파 필터의 팽창이나 폭발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영상고조파 필터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Zero-phase harmonic reduction apparatus having overheat and overload protection function and control process}
본 발명은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고조파를 제거하는 영상고조파 필터의 과열 및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조파(Harmonics)란 기본 주파수의 2배, 3배, 4배와 같이 정수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말하며, 왜곡파 또는 왜형파라고 하며, 특히 여러 차수의 고주파 중에서 3, 6, 9 등과 같이 고주파 차수가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주파 성분을 영상고조파라고 한다.
3상4선식을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배전 계통의 특징상 단상부하와 3상부하가 혼합되어 중성선에는 불평형 전류가 흐르게 되고, 최근에는 컴퓨터, LED 등 조명장치, 복사기 등 사무기기,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 등과 같은 비선형 부하장치의 증가로 인하여 중선선에는 더 많은 영상고조파가 흐르게 된다. 영상고조파는 각 3상의 위상이 동상의 값을 가지므로 단상전원 3개가 병렬로 연결된 것과 같이 중성선에 중첩되어 최대 3배의 영상고조파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중성선에 과다한 영상고조파가 흐르게 되면 중성선 도체의 과열, 배전 변압기의 성능저하, 전압의 왜곡, 통신선 잡음, 전기 전자 장비의 오작동 등의 장해를 일으키게 된다.
한편, 전력선에서 발생하는 영상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지그재그(Zig Zag)방식의 영상고조파 필터를 설치하는데 영상고조파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열이 많이 발생하여 영상고조파 필터가 터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관련 분야 특허 기술로서, 복수의 차단기가 분전반으로 결선되고, 전원의 3상(A, B, C) 및 중성선(N)이 분전반 차단기를 거쳐 영상고조파 저감장치의 결선변압기의 각 위상선(A, B, C)과 중성선(N)에 연결되되, 상기 중성선(N)에는 차단스위치를 개재시켜, 결선변압기가 설정된 일정온도이상 상승 시 회로를 차단하고, 다시 결선변압기의 온도가 일정온도 미만으로 낮아지면 회로를 자동 복구하는 과부하 보호기능을 하도록 동작하는 과부하 보호기능을 구비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전반을 통과하는 전원의 3상선(R, S, T) 및 중성선(N)과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분전반으로부터 영상고조파 저감장치로 입력되는 3상선(R, S, T)의 입력단에는 전자접촉기가 구비되며, 상기 전자접촉기를 구성하는 코일이 상기 영상고조파 저감장치에 내장된 온도스위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온도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3상선(R, S, T)을 연결하는 전자접촉기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과부하 방지장치가 구비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3상 전원부의 3상(R.T.S)과 중성선(N)이 각각 대응되도록 3상(R.T.S)과 중성선(N)이 단자로 구비되는 단자대가 구비되는 영상고조파 필터부 및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가 과열되면 영상선에 연결된 온도센서가 자동으로 단락되어 고조파의 인입을 차단시켜 필터부를 보호하는 과열방지 및 과부하보호기능모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와 상기 과열방지 및 과부하보호기능모듈부는,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및 과부하보호기능모듈이 외부에 구비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참조).
또한, 지그재그 결선 변압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지그재그 결선 변압기에서 검출한 검출온도와 기설정된 기준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검출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을 경우 과부하 방지를 위해 탭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한 탭 스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탭 스위치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탭 스위칭 장치와; 상기 탭 스위칭 장치에서 발생한 탭 스위치 구동신호에 따라 탭 스위치를 통해 상기 지그재그 결선 변압기의 권선비를 가변시켜 인입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권선비 조절부를 구비한 과부하 보호기능을 구비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4 참조).
국내등록특허 10-0795037 국내등록특허 10-0849463 국내등록특허 10-1007351 국내등록특허 10-111963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상고조파 필터의 과열 및 과부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영상고조파 필터가 영상고조파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영상고조파 필터의 팽창이나 폭발 등을 방지하여 영상고조파 필터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는, 영상고조파 필터의 과열 및 과부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로서, 전원부의 3상(R,S,T)과 중성선(N)에서 발생되는 영상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는 영상고조파 필터부와;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로 인입된 중성선(N)에 설치되는 전류 측정기와;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에서 영상고조파 제거 시에 발생되는 열을 측정하기 위한 저항 센서 및 방열을 위한 급기팬과 열전소자가 설치되는 함체와; 상기 전원부와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마그네트 스위치와; 상기 전원부와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의 사이에 상기 전류 측정기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설정된 전류 기준치 초과 시 트립되도록 설치되는 과부하 차단기와; 상기 저항 센서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제1 저항 기준치 초과 시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의 작동 중단없이 급기 인버터 형식의 팬이 온도값을 감지하여 저항값에 대한 전류 값을 자동조절하여 단계별 동작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항 센서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제2 저항 기준치(제1 저항 기준치〈 제2 저항 기준치)를 초과할 때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가 오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가 오프된 이후 상기 저항 센서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제1 저항 기준치 이하가 되면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가 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삼중으로 영상고조파 필터의 과열 및 과부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영상고조파 필터가 영상고조파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영상고조파 필터의 팽창이나 폭발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영상고조파 필터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고조파 필터에서 영상고조파 제거 시에 발생되는 열이 제1 저항 기준치를 초과할 때 영상고조파 필터의 작동 중단없이 연속운전이 가능하도록 급기팬을 작동시키고 일정 온도가 넘어갈 경우에는 열전소자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 영상고조파 필터의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영상고조파 필터의 과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영상고조파 필터에서 영상고조파 제거 시에 발생되는 열이 제1 저항 기준치보다 높은 제2 저항 기준치를 초과할 때 마그네트 스위치를 오프시킴으로써 3상(R,S,T)의 선로를 차단하여 영상고조파 필터의 동작을 자동으로 중지시켜 영상고조파 필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지된 영상고조파 필터의 열이 내려가서 정상 온도 범위가 되면 마그네트 스위치를 온 시켜 3상(R,S,T)의 선로를 열어 영상고조파 필터를 자동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중성선(N)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전류 기준치를 초과할 때 과부하 차단기가 트립되도록 함으로써 영상고조파 필터의 동작을 자동으로 중지시켜 영상고조파 필터를 보다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작동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는, 영상고조파 필터의 과열 및 과부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영상고조파 필터가 영상고조파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영상고조파 필터의 팽창이나 폭발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영상고조파 필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100)는 영상고조파 필터의 과열 및 과부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는데, 크게 영상고조파 필터부(110), 함체(120), 제어부(130), 마그네트 스위치(140) 및 과부하 차단기(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는 전원부(10)의 3상(R,S,T)과 중성선(N)에서 발생되는 영상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해 함체(120)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로 인입된 중성선(N)에는 전류 측정기(112)가 별도 설치된다.
상기 함체(120)는 외부 케이스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데,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에서 영상고조파 제거 시에 발생되는 열을 측정하기 위한 저항 센서(122) 및 방열을 위한 급기팬(124), 열전소자(160)가 별도 설치된다. 상기 저항 센서(122)는 물리적, 화학적 효과에 의하여 야기되는 센서 소자의 저항값의 변화를 센싱 원리로 한 저항 변화형 센서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일종의 컨트롤러로서 상기 저항 센서(122)에서 측정된 저항값과 상기 전류 측정기(112)에서 측정된 전류값을 별도의 디스플레이 수단(미도시)을 통해 표시하는데, 상기 저항 센서(122)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제1 저항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급기팬(124)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즉, 저항 센서(122)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설정된 제1 저항 기준치를 초과하여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에서 발생되는 열이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1차적인 조치로서 열로 인한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팽창이나 폭발 등을 방지하기 위해 급기팬(124)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급기팬(124)은 인버터 방식으로 온도 값을 감지하여 저항값에 대한 전류값을 자동조절하여 스피드를 조절하는데 온도조건은 다음과 같다. 제1온도조건은 30°C이상~40°C미만(제1온도영역), 40°C이상~50°C미만(제2온도영역), 제50°C이상~60°C미만(제3온도영역), 60°C이상~70°C미만(제4온도영역)을 포함한다. 제2온도조건 즉, 70°C이상~80°C 미만(제5온도영역)인 경우, 함체(120)에 설치된 열전소자(160)가 작동되어 온도를 낮춰주며 열전소자(160)는 냉각면과 발열면을 갖는 펠티에 소자로도 구성 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40)는 상기 전원부(10)와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저항 센서(122)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제2 저항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제3온도조건: 80°C이상(제6온도영역))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40)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즉, 급기팬(124)과 열전소자(160)를 작동시키더라도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과부하 상태가 되면 2차적인 조치로서 열로 인한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팽창이나 폭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40)를 오프시켜 3상(R,S,T)의 선로를 차단하여 영상고조파 필터부(110)로 영상고조파의 인입을 강제로 중지시키는 것이다.
다른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40)가 오프된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저항 센서(122)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제1 저항 기준치 이하가 되어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온도가 정상 범위로 되돌아가면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40)가 온 되도록 제어한다. 즉, 마그네트 스위치(140)를 온시켜 3상(R,S,T)의 선로를 개방하여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에서 영상고조파를 정상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저감장치(100)를 이전의 동작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상기 과부하 차단기(150)는 영상고조파 저감장치(100)의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전원부(10)와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전류 측정기(112)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기 세팅된 전류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자동 트립(전기 차단)된다.
즉, 3차적인 조치로서 열로 인한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팽창이나 폭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류 측정기(112)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과열 및 과부하로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과부하 차단기(150)에 기 세팅된 전류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과부하 차단기(150)가 개방되어 트립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영상고조파 필터부(110)로 영상고조파의 인입을 강제로 중지시키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작동방법을 나타낸 알고리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에 대한 제어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저항 센서(122)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제1 저항 기준치 초과 시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작동 중단없이 급기팬(124)이 인버터 방식으로 제1온도조건(제1온도영역(30°C이상~40°C미만), 제2온도영역(40°C이상~50°C미만), 제3온도영역(50°C이상~60°C미만), 제4온도영역(60°C이상~70°C미만))에서 저항전류값을 자동조절하여 단계별 팬동작으로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연속운전을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단계가 실행된다.
상기 제1단계에서 제1온도영역을 초과하여 제2온도영역 (제5온도조건(70°C이상~80°C미만))에 이르면 열전소자가 작동하여 정상온도 범위로 되돌아가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연속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제어단계가 실행된다.
상기 저항값이 제2 저항 기준치를 초과할 때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40)가 오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40)가 오프된 이후 상기 저항 센서(122)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제1 저항 기준치 이하가 되면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40)가 다시 온시키는 제3 제어단계가 실행된다.
제3 제어단계이후에 중성선(N)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전류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과부하 차단기가 자동 트립되는 제4 제어단계가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100)에 대한 제어방법를 사용하게 되면, 이중, 삼중으로 영상고조파 필터의 과열 및 과부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영상고조파 필터가 영상고조파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영상고조파 필터의 팽창이나 폭발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영상고조파 필터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고조파 필터에서 영상고조파 제거 시에 발생되는 열이 제1 저항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설치된 급기팬을 작동시킴으로써 영상고조파 필터의 과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영상고조파 필터에서 영상고조파 제거 시에 발생되는 열이 제1 저항 기준치보다 높은 제2 저항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설치된 마그네트 스위치를 오프시켜 3상회로(R,S,T)를 차단시키며 영상고조파 필터의 동작을 자동으로 중지시켜 영상고조파 필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지된 영상고조파 필터의 열이 내려가서 정상 온도 범위가 되는 경우 마그네트 스위치를 온시켜 영상고조파 필터를 자동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중성선(N)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설정된 전류 기준치를 초과할 때 과부하 차단기가 트립되도록 함으로써 영상고조파 필터의 동작을 자동으로 중지시켜 영상고조파 필터를 보다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를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110: 영상고조파 필터부
112 : 전류 측정기 120 : 함체
122 : 저항 센서 124 : 급기팬
130 : 제어부 140 : 마그네트 스위치
150 : 과부하 차단기 160 : 열전소자

Claims (10)

  1. 영상고조파 필터의 과열 및 과부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100)로서,
    전원부(10)의 3상(R,S,T)과 중성선(N)에서 발생되는 영상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는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와;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에서 영상고조파 제거 시에 발생되는 열을 측정하기 위한 저항 센서(122), 방열을 위한 급기팬(124) 및 열전소자(160)가 설치되는 함체(120)와;
    상기 전원부(10)와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사이에 설치되는 마그네트 스위치(140)와;
    상기 저항 센서(122)에서 측정된 저항값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40)를 온, 오프시키는 제어부(130) 및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로 인입된 중성선(N)에 전류 측정기(112)를 설치하여,
    상기 전류 측정기(112)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설정된 전류 기준치 초과 시 트립되도록 상기 전원부(10)와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 사이에 설치되는 과부하 차단기(150)를 포함하며,
    상기 저항 센서(122)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제1 저항 기준치 초과 시 상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작동 중단없이 급기팬(124) 및 열전소자(160)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항 센서(122)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제2 저항 기준치를 초과할 때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40)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40)가 오프된 이후 상기 저항 센서(122)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제1 저항 기준치 이하가 되면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40)가 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을 제1온도조건 또는 제2온도조건으로 치환하여, 상기 제1온도조건은 제1온도영역(30℃이상~40℃미만), 제2온도영역(40℃이상~50℃미만), 제3온도영역(50℃이상~60℃미만), 제4온도영역(60℃이상~70℃미만)을 포함하며, 제2온도조건은 제5온도영역(70℃이상~80℃미만)으로 구분하고,
    상기 급기팬(124)은 인버터 방식으로 상기 제1온도조건에 따라 저항전류값을 자동조절하여 단계별 팬동작으로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연속운전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제1온도조건을 초과하여 상기 제2온도조건에 이르면 상기 열전소자(160)가 작동하여 정상온도 범위로 되돌아가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연속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측정기(112)에서 측정된 전류값과 상기 저항 센서(122)에서 측정된 저항값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8. 저항 센서(122)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제1 저항 기준치 초과 시 상기 저항값을 제1온도조건 또는 제2온도조건으로 치환하고, 상기 제1온도조건이 제1온도영역(30℃이상~40℃미만), 제2온도영역(40℃이상~50℃미만), 제3온도영역(50℃이상~60℃미만), 제4온도영역(60℃이상~70℃미만)일 경우에는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작동 중단없이 급기팬(124)이 인버터 방식으로 상기 제1온도조건에 따라 저항전류값을 자동조절하여 단계별 팬동작으로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연속운전을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제1온도조건을 초과하여 제2온도조건(70℃이상~80℃미만)에 이르면 열전소자(160)가 작동하여 정상온도 범위로 되돌아가며 영상고조파 필터부(110)의 연속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2단계;
    상기 저항값이 제2 저항 기준치를 초과할 때 마그네트 스위치(140)가 오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40)가 오프된 이후 상기 저항 센서(122)에서 측정된 저항값이 제1 저항 기준치 이하가 되면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40)를 다시 온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 이후, 전류 측정기(112)에서 측정한 전류값이 전류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과부하 차단기가 자동 트립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제어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측정기(112)에서 측정된 전류값과 상기 저항 센서(122)에서 측정된 저항값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제어방법.
KR1020190029943A 2019-03-15 2019-03-15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KR10223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943A KR102237081B1 (ko) 2019-03-15 2019-03-15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943A KR102237081B1 (ko) 2019-03-15 2019-03-15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997A KR20200109997A (ko) 2020-09-23
KR102237081B1 true KR102237081B1 (ko) 2021-04-06

Family

ID=7270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943A KR102237081B1 (ko) 2019-03-15 2019-03-15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0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37B1 (ko) 2007-08-14 2008-01-15 송규창 과부하 보호기능을 구비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KR100849463B1 (ko) 2008-02-22 2008-07-31 (주) 청송설계이앤씨 과부하 방지장치가 구비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KR20100137977A (ko) * 2009-06-24 2010-12-31 오석환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20110066327A (ko) * 2009-12-11 2011-06-17 (주)에너지플러스 고주파 치료기의 치료강도 및 온도 조절시스템
KR101007351B1 (ko) 2010-05-12 2011-01-13 김성규 과열방지 및 과부하보호기능모듈이 외부에 구비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KR101119636B1 (ko) 2010-09-17 2012-03-16 이수미 과부하 보호기능을 구비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19461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현대이엔티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997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786B1 (ko) 영상고조파 필터가 내장된 분전반
EP3672008A1 (en) Series compensator, and control method
KR101119636B1 (ko) 과부하 보호기능을 구비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 방법
US5790356A (en) Transformer protection system for protecting source transformers from ill effects of zero-sequence currents
RU2481666C2 (ru) Автомат защитного отключения тока повреждения
KR101440492B1 (ko) 전기화재 예방 및 과부하 차단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US11588321B2 (en) Low-voltage protection switch unit
KR100795037B1 (ko) 과부하 보호기능을 구비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KR101045021B1 (ko) 중성선 전류 감지장치 및 능동형 영상고조파 필터를 구비한 분전반
KR101245748B1 (ko) 과전류, 과열 및 서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고조파 저감장치
KR101241859B1 (ko) 능동형 영상고조파 필터를 구비한 분전반
KR101080298B1 (ko) 영상 고조파 필터링 기능을 가진 분전반
KR100849463B1 (ko) 과부하 방지장치가 구비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KR20090086141A (ko) 피티시 소자에 의한 전류 제한형 보호기능이 구비된지그재그 결선 변압기형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KR102237081B1 (ko)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KR20080075937A (ko) 복합형 누전 차단기
KR101080294B1 (ko) 다중 안전 수단을 구비한 영상 고조파 필터링 장치
KR102230454B1 (ko) 다중 고조파 필터링 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KR20180119461A (ko) 과열 및 과부하 방지용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JP6116499B2 (ja) 回路遮断器
KR20020041973A (ko) 누전 차단기
EP1435127B1 (en) Residual current operated circuit breaker
Fulchiron Protection of MV/LV substation transformers
KR102621340B1 (ko) 고저항 접지 장치 및 차단기를 구비하는 전기 설비용 차단 장치
KR20140146970A (ko) 과전류 제한형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