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063B1 -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063B1
KR101482063B1 KR20140055256A KR20140055256A KR101482063B1 KR 101482063 B1 KR101482063 B1 KR 101482063B1 KR 20140055256 A KR20140055256 A KR 20140055256A KR 20140055256 A KR20140055256 A KR 20140055256A KR 101482063 B1 KR101482063 B1 KR 101482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es
vending machine
sold
item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송환
배철환
안상균
박기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탬
(주)세환에프앤씨솔루션
배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탬, (주)세환에프앤씨솔루션, 배철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탬
Priority to KR2014005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의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의 영상정보와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의 비교를 통해 자동판매기에서 허가되지 않은 판매품의 판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판매품 중에서 선택된 판매품을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의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을 조명하도록 상기 배출구 주변에 설치된 조명부; 및 상기 영상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이 정상상품인지 또는 비정상상품인지를 결정하는 처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비정상상품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자동판매기에 판매되는 판매품의 판매를 중지하도록 제어유닛에 판매중지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정보 관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VENDING INFORMATION OF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판매기의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의 영상정보와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의 비교를 통해 자동판매기에서 허가되지 않은 판매품의 판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란 무인판매방식으로서, 커피, 담배, 과자, 도서류 등의 상품들을 그 내부에 구비해 두고, 이용자가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에 상응하는 금액을 투입한 다음, 소망하는 상품을 선택하면, 선택된 상품이 배출구로 배출되는 판매기기를 말한다.
특히 자동판매기는 간단하게 구입할 수 있는 음료수, 껌 등을 저장하여 소비자가 어디서든지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건물 내부나 도로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자동판매기는 수요자에게 편리하게 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고, 또한 점포를 임대하지 않고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점포임대료를 많이 지불하지 않고 상품을 판매할 수 있어 수익성이 많다.
그러나, 자동판매기를 운영하는 운영자는 자동판매기에서 판매하기로 약속한 상품을 판매하지 않고 더 많은 수익을 올리기 위해 낮은 단가의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동판매기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자동판매기 사업자와 사전 계약에 의해 약속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판매되는 상품이 정상상품인지 비정상상품인지를 판별하여 비정상상품인 경우에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를 중단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78507호(2010.07.08) "나이식별 자동판매장치 및 자동판매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판매기의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의 영상정보와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의 비교를 통해 자동판매기에서 허가되지 않은 판매품의 판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판매품 중에서 선택된 판매품을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의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을 조명하도록 상기 배출구 주변에 설치된 조명부; 및 상기 영상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이 정상상품인지 또는 비정상상품인지를 결정하는 처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비정상상품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자동판매기에 판매되는 판매품의 판매를 중지하도록 제어유닛에 판매중지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정보 관리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는 상기 배출구로 상기 선택된 판매품의 낙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감지부에 의해 판매품의 낙하가 감지되면 상기 영상획득부 및 상기 조명부를 구동시키도록 구동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는 해당 판매품의 전면에 프린트된 영상정보이고,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영상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판매품의 영상정보와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는 판매품별 기준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판매품 중에서 선택된 판매품을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자동판매기의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와, 상기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을 조명하도록 상기 배출구 주변에 설치된 조명부와, 상기 영상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처리유닛을 포함하는 판매정보 관리장치; 및 상기 처리유닛으로부터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정보와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는 판매품이 정상상품인지 또는 비정상상품인지를 결정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는 판매품이 비정상상품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자동판매기에 판매되는 판매품의 판매를 중지하도록 판매중지신호를 상기 판매정보 관리장치의 상기 처리유닛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정보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는 판매품의 판매정보를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중앙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수신된 판매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자동판매기의 판매를 분석한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처리유닛으로부터 수신된 판매품의 영상정보와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판매품 중에서 선택된 판매품을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방법으로서, 상기 자동판매기의 배출구에 설치된 영상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상정보를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결과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이 정상상품인지 또는 비정상상품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 의해 비정상상품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자동판매기에 판매되는 판매품의 판매를 중지하도록 제어유닛에 판매중지시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방법은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는 판매품의 판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판매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자동판매기의 판매를 분석한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판매기의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의 영상정보와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의 비교를 통해 자동판매기에서 허가되지 않은 판매품의 판매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품의 낙하가 감지되면 영상획득부 및 조명부를 구동시킴에 따라 자동판매기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품의 판매정보를 분석한 분석결과를 생성함으로써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는 판매정보의 분석을 용이하게 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d는 정상품과 비정상품의 판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그리고
도 5는 중앙서버에서 분석한 분석결과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10)는 전원공급부(11)와, 복수의 판매품 중에서 선택된 판매품을 배출구(미도시)로 배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12)과, 판매품의 판매를 관리하기 위한 판매정보 관리장치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11)의 전원을 인가받은 제어유닛(12)은 지폐 또는 동전의 투입이 감지되면 투입된 금액을 표시하고 자동판매기(10)내에 마련된 복수의 판매품메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판매품메뉴에 해당하는 판매품을 배출구로 낙하시키는 일련의 절차가 프로그램화되어 있다.
전원공급부(11)의 전원을 인가받은 판매정보 관리장치는 처리유닛(13), 조명부(13) 및 영상획득부(15) 등을 포함한다. 나아가 판매정보 관리장치는 배출구로 판매품의 낙하를 감지하는 감지부(1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처리유닛(13)은 배출구로 판매품의 낙하가 감지부(16)에 의해 감지되면 배출구 주변에 설치된 조명부(14) 및 영상획득부(15)를 구동시키도록 생성된 구동제어신호를 조명부(14) 및 영상획득부(15)에 인가한다. 이후, 처리유닛(13)은 조명부(14)에 의해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이 조명된 상태에서 영상획득부(15)로부터 획득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처리유닛(13)은 수신된 영상정보와 자동판매기(10)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자동판매기(10)의 판매를 관리한다. 이때 처리유닛(13)은 자동판매기(10)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는 서버(20)로부터 일정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처리유닛(13)은 영상획득부(15)로부터 수신된 판매품의 영상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정상상품의 판매로 결정하여 판매품의 판매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에 전송하고,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비정상상품의 판매로 결정하여 자동판매기(10)에서 판매되는 판매품의 판매를 중지하도록 판매중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유닛(12)에 전송한다.
여기서는 처리유닛(13)에서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이 정상상품인지 또는 비정상상품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처리유닛(13)에서 수신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자동판매기(10)에 구비된 통신부(미도시)를 거쳐 서버(20)에 전송하고 서버(20)에서 정상상품인지 또는 비정상상품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어유닛(12)에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20)에서 정상상품인지 또는 비정상상품인지를 판단하는 경우 서버(20)는 자동판매기(10)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한다.
기준영상정보는 자동판매기(10)에서 판매되는 판매품의 전면에 프린트된 영상정보로, 판매품의 전면을 펼쳐진 상태로 획득하거나 펼쳐진 상태로 제작된 영상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처리유닛(13) 또는 서버(20)에서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의 영상정보와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준영상정보를 모두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동판매기(10)에 마련된 판매품메뉴 중 선택된 메뉴의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인식된 식별정보와 연관지어 저장된 해당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기준영상정보와의 비교를 통해서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에는 판매품의 식별정보도 함께 연관되게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자동판매기(10)에서 판매되고 있는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정보와 기준영상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자동판매기(10)에서 허가된 정상상품인지 아닌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판매기 사업자 입장에서는 자동판매기(10)에서 판매되고 있는 판매품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된 판매정보 관리장치를 구비한 복수의 자동판매기를 총괄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시스템은 도 1에서 이미 설명된 자동판매기(10)의 판매정보관리장치와, 복수의 자동판매기를 총괄하는 중앙서버(50) 등을 포함한다.
중앙서버(50)와 통신망(4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관리자용 단말기(30)는 개별적으로 또는 총괄적으로 자동판매기(10)에서 판매되고 있는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자동판매기별로 판매하고 있는 판매품은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자동판매기의 식별정보와 연관시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통신망(40)은 도 3 예시된 중앙 서버(50)와 관리자용 단말기(30)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이다. 통신망(40)을 구성하는 기반 통신 기술의 구성은 본 발명의 구현에 본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통신망(40)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통신망(40)은 시스템 및 단말기 사이에서 정보 교환이 가능하게 하는 어떠한 종류의 통신 기술에 기초하여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교환과정의 신뢰성 및 보안을 위한 공지의 다양한 기술이 통신망(4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관리자용 단말기(30)는 중앙서버(50)로부터 자동판매기별 판매정보를 분석한 분석결과를 수신하여 어느 위치에 있는 자동판매기의 판매실적을 리스트업할 수 있다. 나아가 관리자용 단말기(30)는 미리 설정된 기준실적에 도달하지 못한 자동판매기를 식별하여 화면상에 알림할 수도 있다. 관리자용 단말기(3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중앙서버(50)는 복수의 자동판매기(10a, 10b, 10c)별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복수의 자동판매기별로 각각 구비된 상술된 판매정보 관리장치를 통하여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수신한다. 즉, 중앙서버(50)는 배출구 주변에 설치된 영상획득부(15)를 통하여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자동판매기의 식별정보와 함께 수신한다.
중앙서버(50)는 자동판매기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고 있는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기준영상정보와 영상획득부(15)에 의해 획득되어 수신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판매품의 영상정보에 추가적으로 판매품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판매품의 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하나의 기준영상정보와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중앙서버(50)는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해당 자동판매기에 판매를 중지시키기 위한 판매중지신호를 해당 자동판매기의 제어유닛(12)에 전송하고,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판매품의 판매정보를 누적시켜 미리 정해진 기간동안의 판매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는 중앙서버(50)에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상품인지 또는 비정상상품인지를 판별하여 해당 비정상제품의 영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복수의 자동판매기에 구비된 각각 판매정보 관리장치에서 정상제품인지 또는 비정상제품인지를 판단하여 판매중지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유닛(12)은 자동판매기에 구비된 판매품메뉴 중에서 선택된 판매품의 메뉴정보를 수신한다(S11).
이후 제어유닛(12)은 수신된 메뉴정보에 해당하는 판매품을 배출구로 낙하시키도록 제어한다(S13). 이때 감지부(16)는 배출구로 판매품의 낙하를 감지할 수 있다.
판매정보 관리장치에 구비된 처리유닛(13)은 감지부(16)에 의해 판매품의 낙하가 감지되거나 또는 판매품메뉴가 선택되면 배출구 주변에 설치된 영상획득부(15) 및 조명부(14)를 구동시킨다(S15). 즉 처리유닛(13)은 영상획득부(15) 및 조명부(14)에 구동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처리유닛(13)은 영상획득부(15)로부터 획득된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수신한다(S17). 이때 조명부(14)가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을 조명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영상획득부(15)로부터 획득된 판매품의 영상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자동판매기내에 구비된 처리유닛(13)에서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자동판매기별로 별도로 연결된 서버(20) 또는 총괄하는 중앙서버(50)에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구현 가능하고 서버(20) 또는 중앙서버(40)에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수신한 경우 후술하는 S19 단계 내지 S21도 서버(20) 또는 중앙서버(40)에서 수행한다.
처리유닛(13)은 수신된 판매품의 영상정보와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
도 4a의 (a)는 배출구로 배출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도시하고 있고, (b)는 정상상품의 전면 이미지 중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처리유닛(13)은 도 4a의 (a)와 같은 판매품의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그와 일치하는 패턴이 도 4a의 (b)와 같은 기준영상정보에 존재하므로, 도 4a의 (a)와 같은 판매품의 영상정보는 정상상품으로 판단한다. 도 4b의 (a)와 (b)도 마찬가지로 도 4b에서 보듯이 판매품의 영상정보와 일치하는 패턴이 도 4b의 (b)와 같은 기준영상정보에 존재하므로 정상상품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도 4c의 (a)와 같은 판매품의 영상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판매품의 기준정보가 도 4c의 (b)와 같은 기준영상정보일때 도 4c의 (a)와 같은 판매품의 영상정보와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처리유닛(13)은 비정상상품으로 판단한다. 도 4d의 (a)와 (b)도 마찬가지로 판매품의 영상정보와 일치하는 패턴이 기준영상정보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비정상상품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은 예시에서 보듯이 처리유닛(13)은 판매품의 영상정보와 자동판매기(10)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기준영상정보와의 비교를 통해서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영상 분석을 통하여 일치하는 패턴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유닛(13)은 자동판매기(10)에서 판매되고 있는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를 예를 들면 도 4a의 (b)와 같은 기준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도 4c의 (a) 및 도 4d의 (a)와 같은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면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비정상상품으로 결정하고, 도 4a의 (a) 및 도 4b의 (a)와 같은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면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므로 정상상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S19 단계의 판단결과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지 않으면 처리유닛(13)은 자동판매기(10)에서 비정상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 결정에 근거하여 자동판매기에서의 판매를 중지시키기 위한 판매중지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판매중지신호를 제어유닛(12)에 전송한다(S21). 이후 처리유닛(13), 서버(20) 또는 중앙서버(50)는 자동판매기 사업자가 지정한 이동통신단말기(미도시)에 판매중지신호를 자동판매기에 전송했음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전송하여 신속하게 자동판매기 사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S19 단계의 판단결과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처리유닛(13)은 자동판매기(10)에서 정상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 결정에 근거하여 판매품의 판매정보를 누적시킨다(S22). 여기서는 판매품의 판매정보를 누적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판매품의 판매정보를 서버(20) 또는 중앙서버(50)에 전송하여 서버(20) 또는 중앙서버(50)에서 판매품의 판매정보를 정해진 기간동안 수집한 결과를 분석하여 분석한 결과를 관리자용 단말기(30) 또는 미리 정해진 화면내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정보외에도 자동판매기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 : 자동판매기 11 : 전원공급부
12 : 제어유닛 13 : 처리유닛
14 : 조명부 15 : 영상획득부
16 : 감지부 20 : 서버
30 : 관리자용단말기 40 : 통신망
50 : 중앙서버

Claims (8)

  1. 복수의 판매품 중에서 선택된 판매품을 배출구로 배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의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을 조명하도록 상기 배출구 주변에 설치된 조명부; 및
    상기 영상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이 정상상품인지 또는 비정상상품인지를 결정하는 처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비정상상품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자동판매기에 판매되는 판매품의 판매를 중지하도록 상기 제어유닛에 판매중지신호를 제공하고, 자동 판매기 사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된 이동통신단말기에 판매중지신호를 자동판매기에 전송했음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정보 관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로 상기 선택된 판매품의 낙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감지부에 의해 판매품의 낙하가 감지되면 상기 영상획득부 및 상기 조명부를 구동시키도록 구동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정보 관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는 해당 판매품의 전면에 프린트된 영상정보이고,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영상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판매품의 영상정보와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는 판매품별 기준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정보 관리장치.
  4. 복수의 판매품 중에서 선택된 판매품을 배출구로 배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와, 상기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을 조명하도록 상기 배출구 주변에 설치된 조명부와, 상기 영상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처리유닛을 포함하는 판매정보 관리장치; 및
    상기 처리유닛으로부터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정보와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는 판매품이 정상상품인지 또는 비정상상품인지를 결정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는 판매품이 비정상상품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자동판매기에 판매되는 판매품의 판매를 중지하도록 판매중지신호를 상기 판매정보 관리장치의 상기 처리유닛에 제공하고, 자동 판매기 사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된 이동통신단말기에 판매중지신호를 자동판매기에 전송했음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판매정보 관리장치의 처리유닛은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수신된 판매중지신호를 상기 제어유닛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정보 관리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처리유닛은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는 판매품의 판매정보를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중앙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수신된 판매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자동판매기의 판매를 분석한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정보 관리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처리유닛으로부터 수신된 판매품의 영상정보와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정보 관리시스템.
  7. 복수의 판매품 중에서 선택된 판매품을 배출구로 배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방법으로서,
    상기 자동판매기의 배출구에 설치된 영상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판매품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상정보를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도록 허가된 판매품의 기준영상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결과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배출구에 배출된 판매품이 정상상품인지 또는 비정상상품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 의해 비정상상품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자동판매기에 판매되는 판매품의 판매를 중지하도록 상기 제어유닛에 판매중지시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자동 판매기 사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된 이동통신단말기에 판매중지신호를 자동판매기에 전송했음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는 판매품의 판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판매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자동판매기의 판매를 분석한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방법.
KR20140055256A 2014-05-09 2014-05-09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KR101482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5256A KR101482063B1 (ko) 2014-05-09 2014-05-09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5256A KR101482063B1 (ko) 2014-05-09 2014-05-09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063B1 true KR101482063B1 (ko) 2015-01-13

Family

ID=5258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5256A KR101482063B1 (ko) 2014-05-09 2014-05-09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0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0327A (zh) * 2018-10-23 2020-05-0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商品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0134100A1 (zh) * 2018-12-29 2020-07-02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售货机控制方法、装置、系统和售货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907A (ko) * 2000-06-14 2001-12-20 김주형 자판기 관리 방법
JP2002074482A (ja) 2000-08-30 2002-03-15 Nidec Copal Corp 自動販売機
JP2012043378A (ja) 2010-08-23 2012-03-01 Toshiba Tec Corp 店舗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907A (ko) * 2000-06-14 2001-12-20 김주형 자판기 관리 방법
JP2002074482A (ja) 2000-08-30 2002-03-15 Nidec Copal Corp 自動販売機
JP2012043378A (ja) 2010-08-23 2012-03-01 Toshiba Tec Corp 店舗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0327A (zh) * 2018-10-23 2020-05-0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商品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0134100A1 (zh) * 2018-12-29 2020-07-02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售货机控制方法、装置、系统和售货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7732B2 (ja) スマートリテール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700923B2 (ja) 製品識別ユニット、販売時点情報管理端末、及び、販売時点情報管理のための方法
CN104885130B (zh) 对自助结账终端处的欺诈活动的验证
JP2019503019A5 (ko)
WO2018218854A1 (zh) 一种无人售货方法及其装置、售货终端以及无人售货系统
KR101547084B1 (ko) 무인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CN108573384B (zh) 拥有双重标识码的产品及产品追溯防伪验证方法及装置
US11416839B2 (en) Checkout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090135013A1 (en) Article management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70080805A1 (en) Point of selection merchandise display system
US9390610B2 (en) Techniques for determining movement of a device away from a preferred location
CN101233540A (zh) 用于监控对目标感兴趣的人的装置及其方法
JP640055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80218347A1 (en) Transaction signaling devices in shopping environment
KR101482063B1 (ko)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KR20150124015A (ko)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분석 및 원격 관리장치와 그 방법
JP2005339132A (ja) 商品嗜好認識システムおよび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20160021019A (ko) 고객 반응형 전자 가격 표시기, 전자 가격 표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2129B1 (ko) Rfid 태그를 이용한 물품 관리 방법 및 물류 감시 방법
US201703163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ventory Management of Retail Products
JP2007004483A (ja) 自動取引装置
US201902953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Point of Sale Terminals
JP6715878B2 (ja) 販売機の購買分析システム
AU2013100416A4 (en) Stock location system
US20240071186A1 (en) A sensor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defining the status of a tagged commod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