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738B1 -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738B1
KR101481738B1 KR1020140002368A KR20140002368A KR101481738B1 KR 101481738 B1 KR101481738 B1 KR 101481738B1 KR 1020140002368 A KR1020140002368 A KR 1020140002368A KR 20140002368 A KR20140002368 A KR 20140002368A KR 101481738 B1 KR101481738 B1 KR 101481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information
phrase
pseudo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진
강장묵
고경곤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2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LED전구로 구성된 전방 차량 후미등의 LED전구 개별 점멸 제어를 통해 의사표시문구 또는 의사표시문구와 매칭되는 QR코드패턴이 후방 차량에게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차량의 운전자 간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LED전구로 구성된 후미등; 차량의 방향정보와 속도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처리부; 차량 운행상황별 의사표시문구를 저장한 메모리부; 및 상기 정보처리부의 수집정보로부터 차량 운행상황을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부에서 의사표시문구를 추출하고, 상기 LED전구의 점멸을 개별 제어하여 상기 후미등에 상기 의사표시문구가 현시되도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A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s System}
본 발명은 다수의 LED전구로 구성된 차량 후미등의 LED전구 개별 점멸 제어를 통해 의사표시문구 또는 의사표시문구와 매칭되는 QR코드패턴이 후방 차량에게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차량의 운전자 간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통사고의 상당량은 앞지르기, 추월하기, 차선변경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그렇게 발생하는 사고의 많은 부분은 운전자 간 의사소통의 부재에 기인한다. 그러나, 현실에서 운전자 간의 의사소통 방법은 제한되어 있다. 창문을 열고 관습화된 몇 가지 수신호(손을 앞뒤로 휘저어 뒷차에게 먼저 가라는 의미의 손짓, 손을 내밀어 위아래로 흔들어 차선을 바꾸겠다는 손짓, 손을 위로 들어 미안함이나 고마움을 표시하는 손짓 등)를 보내거나, 좌·우방향지시등을 켜 차선변경을 예고한다든지, 비상등을 눌러 뒷차에게 돌발상황을 경고하거나 미안함, 고마움 등을 표시하는 정도에 불과하다.
이와 같은 상황속에서 차량 운전자 간의 의사소통 방법에 관한 발명들이 특허출원되거나 등록된 것들이 있다.
공개특허 10-2010-0115859 "차량표시등과 그 표시방법"은 아래의 [참고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후미등을 다수의 LED전구들로 구성함으로써, LED전구들의 점멸을 통해 방향화살표, 유턴표시 등을 구현하고, LED전구들의 발광색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여러 상황을 표시하고자 한 것이다. 다만, 차량 진행 방향 표시 외에 다양한 의사소통과 감성 전달 수단으로는 부족하다.
[참고도 1]
Figure 112014001977384-pat00001

등록실용신안 20-0308411 "운전자의 의사표시장치"는 본 고안은 운전자가 비상등 스위치를 온(On) 시키면 차량의 방향표시등이 점멸하도록 하는 동시에 의사표지장치의 제어부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의 제어부에서는 문자표시용 구동부를 통하여 아래의 [참고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안합니다'의 글자를 표시하는 중에 점멸하도록 하고, 동시에 신호표시용 구동부를 통하여 손을 좌측과 우측으로 흔들면서 수신호를 보내는 듯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으로써 양보를 받은 운전자가 자신의 의사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이 역시 문구 표시에 한계가 있어 차량 간 의사소통수단으로는 부족하다.
[참고도 2]
Figure 112014001977384-pat00002

공개특허 10-2013-0023535 "감성기반 안전운전 자동차 서비스 시스템, 안전운전 서비스를 위한 감성인지 처리 장치 및 안전운전 서비스 장치, 감성기반 차량용 안전운전 서비스 방법"은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감성과 자동차의 감성을 인지하여 이를 기반으로 안전 운전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감성인지기반 안전운전 자동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핸들이나 좌석, 변속기, 천정 등 에 멀티센서 노드를 구축하고 운전환경에서 인간의 자율신경계 반응을 통해 나타나는 생체신호 및 환경신호를 센싱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감성 및 운전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감성정보에 기반한 안전운전 제어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감성인지기반 안전운전 자동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차가 여러 가지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도록 한 점에 의의가 있으나 차량 운전자 간 의사소통을 위한 기술은 아니다.
1. 공개특허 10-2010-0115859 "차량표시등과 그 표시방법" 2. 등록실용신안 20-0308411 "운전자의 의사표시장치" 3. 공개특허 10-2013-0023535 "감성기반 안전운전 자동차 서비스 시스템, 안전운전 서비스를 위한 감성인지 처리 장치 및 안전운전 서비스 장치, 감성기반 차량용 안전운전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다수의 LED전구로 구성된 차량 후미등의 LED전구 개별 점멸 제어를 통해 의사표시문구 또는 의사표시문구와 매칭되는 QR코드패턴이 후방 차량에게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차량의 운전자 간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LED전구로 구성된 후미등; 차량의 방향정보와 속도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처리부; 차량 운행상황별 의사표시문구를 저장한 메모리부; 및 상기 정보처리부의 수집정보로부터 차량 운행상황을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부에서 의사표시문구를 추출하고, 상기 LED전구의 점멸을 개별 제어하여 상기 후미등에 상기 의사표시문구가 현시되도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의사표시문구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지정된 의사표시문구가 상기 후미등에 현시되도록 LED전구의 점멸을 개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은, 상기 메모리부에는 차량 운행상황별 의사표시문장이 디코딩된 QR코드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의사표시문장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추가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지정된 의사표시문구와 매칭되는 QR코드패턴이 상기 후미등에 현시되도록 상기 LED전구의 점멸을 개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전방 차량의 후미등을 통해 현시되는 QR코드를 인지하고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QR코드 이미지를 디코딩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현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은,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 전후좌우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를 매개로 선택적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 차량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음성을 녹음하여 음성파일로 전환하는 녹음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인근 차량에서 수신된 음성파일을 송출하는 스피커; 를 차량 내에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차량 운전자가 전후좌우의 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추가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작부를 통해 지정된 차량의 근거리 무선통신부에 상기 음성파일이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은,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 전후좌우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를 매개로 선택적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 및 상기 고유 식별정보 디코딩에 의해 연결되는 SNS페이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차량 운전자가 전후좌우의 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추가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작부를 통해 지정된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를 디코딩하여 연결되는 SNS페이지에 임의의 의사표시문구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정보처리부의 수집정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GPS정보를 수신하는 GPS장치; 상기 GPS장치와 연계된 전자지도 서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미등에 현시된 의사표시문구를 해당 문구가 현시된 지점의 GPS정보와 함께 상기 전자지도 서버에 전송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보처리부, 메모리부, 제어부, 조작부, 녹음부, 무선통신부, 스피커 및 GPS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는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차량의 운전자들은 수신호 또는 방향등 점멸 등으로 한정되어 있는 운전 중 차량 간 의사표시 수단의 제한에서 벗어나 다양한 의사를 다른 차량에 전달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의사를 다른 차량으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게 되므로 교통안전, 양보문화 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2. 위치정보와 차량 간 의사표시 수집 분석이 이루어질 경우 양보 많은 도로, 욕설 많은 도로, 특정 유형의 사고 주의 등의 알림정보 등 고급 콘텐츠의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의 기본 구성 개념도이다.
[도 2]는 후미등에 특정 의사표시문구가 현시되는 실시예이다.
[도 3]은 전방 차량의 후미등에 특정 의사표시문구와 매칭되는 QR코드가 현시되고, 이것이 후방 차량에 의해 촬영 및 디코딩되어 현시되는 실시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의 기본 구성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은 다수의 LED전구로 구성된 후미등, 차량의 방향정보와 속도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처리부, 차량 운행상황별 의사표시문구를 저장한 메모리부 및 상기 정보처리부의 수집정보로부터 차량 운행상황을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부에서 의사표시문구를 추출하고, 상기 LED전구의 점멸을 개별 제어하여 상기 후미등에 상기 의사표시문구가 현시되도록하는 제어부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처리부는 차량의 조향장치 및 속도계측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저장 및 연산이 가능한 IC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부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기억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제어정보의 연산 처리가 가능한 컴퓨팅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정보처리부의 수집정보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미등에 특정 의사표시문구가 현시될 수 있게 해준다. [도 2]에서는 '감사'라는 의사표시문구가 차량의 후미등에 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예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전방 차량 운전자의 의사를 기존의 손인사 등과 비교할 때 훨씬 명확하게 후방 차량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은 차량 운전자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의사표시문구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지정된 의사표시문구가 상기 후미등에 현시되도록 LED전구의 점멸을 개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정보처리부에 의한 운행상황 판단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서 단순한 의사표시문구는 자동적으로 추출하는 것이 시스템적으로 효율적인 부분은 있지만 상황에 맞는 적절하고 다양한 의사표시문구를 추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는 차량 운행상황별 의사표시문장이 디코딩된 QR코드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의사표시문장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추가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지정된 의사표시문구와 매칭되는 QR코드패턴이 상기 후미등에 현시되도록 상기 LED전구의 점멸을 개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전방 차량의 후미등을 통해 현시되는 QR코드를 인지하고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QR코드 이미지를 디코딩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현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아래의 [참고도 3]을 보면 LED전구로 QR코드패턴이 구현된 예가 나타나 있다. LED전구를 이용하여 QR코드패턴을 구현할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QR코드패턴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미등 역시 다수개의 LED전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다양한 QR코드패턴의 현시가 가능하다.
[참고도 3]
Figure 112014001977384-pat00003

이와 같이 전방 차량의 후미등에 의한 QR코드패턴의 현시와 후방 차량의 카메라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의한 QR코드패턴의 촬영 및 디코딩 과정을 통해 의사표시문구가 후방 차량의 디스플레이부 현시되도록 할 경우 상기 후미등에 직접적으로 의사표시문구를 현시하는 경우에 비하여 길고 복잡한 의사표시문구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에는 그 구체적인 실시예가 나타나 있는데, 전방 차량의 후미등에 "우측차선으로 변경합니다."와 같은 의사표시문구와 매칭되는 QR코드가 현시되었고, 후방 차량의 카메라부는 이를 촬영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이를 디코딩하여 의사표시문구 "우측차선으로 변경합니다"를 현시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은 상기 후미등, 상기 정보처리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제어부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과 상기 조작부에 더하여,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 전후좌우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를 매개로 선택적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 차량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음성을 녹음하여 음성파일로 전환하는 녹음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인근 차량에서 수신된 음성파일을 송출하는 스피커를 차량 내에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차량 운전자가 전후좌우의 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추가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작부를 통해 지정된 차량의 근거리 무선통신부에 상기 음성파일이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LED 가시광 통신, 적외선 통신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는 차량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부의 기기 고유정보가 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은 상기 후미등, 상기 정보처리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제어부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과 상기 조작부에 더하여,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 전후좌우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를 매개로 선택적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 및 상기 고유 식별정보 디코딩에 의해 연결되는 SNS페이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차량 운전자가 전후좌우의 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추가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작부를 통해 지정된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를 디코딩하여 연결되는 SNS페이지에 임의의 의사표시문구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및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SNS페이지에 의사표시문구가 전송될 경우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이 소셜 네트워크로 확장될 수 있게 되며, 의사표시문구와 위치정보의 수집 분석이 이루어질 경우 양보 많은 도로, 욕설 많은 도로, 특정 유형의 사고 주의 등의 알림정보 등 고급 콘텐츠의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GPS정보를 수신하는 GPS장치, 상기 GPS장치와 연계된 전자지도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미등에 현시된 의사표시문구를 해당 문구가 현시된 지점의 GPS정보와 함께 상기 전자지도 서버에 전송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전자지도 서버는 전자지도의 API를 구비하고 있어 의사표시문구가 현시된 GPS정보를 기초로 메쉬업(Mash-Up)과정을 수행하여 GPS정보에 대응되는 전자지도 상의 위치에 의사표시문구와 GPS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에서 상기 정보처리부, 메모리부, 제어부, 조작부, 녹음부, 무선통신부, 스피커 및 GPS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는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컴퓨팅과 인터넷, 근거리 무선통신 등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었는 바 상기한 구성들이 스마트 단말기에 구현된 경우 차량에 별도의 장치를 부가하지 않고도 본 발명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해당 없음.

Claims (8)

  1. 다수의 LED전구로 구성된 후미등;
    차량의 방향정보와 속도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처리부;
    차량 운행상황별 의사표시문구를 저장한 메모리부;
    상기 정보처리부의 수집정보로부터 차량 운행상황을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부에서 의사표시문구를 추출하고, 상기 LED전구의 점멸을 개별 제어하여 상기 후미등에 상기 의사표시문구가 현시되도록하는 제어부;
    차량의 GPS정보를 수신하는 GPS장치; 및
    상기 GPS장치와 연계된 전자지도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미등에 현시된 의사표시문구를 해당 문구가 현시된 지점의 GPS정보와 함께 상기 전자지도 서버에 전송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2. 제1항에서,
    차량 운전자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의사표시문구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지정된 의사표시문구가 상기 후미등에 현시되도록 LED전구의 점멸을 개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차량 운행상황별 의사표시문장이 디코딩된 QR코드패턴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의사표시문장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추가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지정된 의사표시문구와 매칭되는 QR코드패턴이 상기 후미등에 현시되도록 상기 LED전구의 점멸을 개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전방 차량의 후미등을 통해 현시되는 QR코드를 인지하고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QR코드 이미지를 디코딩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현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4. 제2항에서,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
    전후좌우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를 매개로 선택적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
    차량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음성을 녹음하여 음성파일로 전환하는 녹음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인근 차량에서 수신된 음성파일을 송출하는 스피커; 를 차량 내에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차량 운전자가 전후좌우의 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추가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작부를 통해 지정된 차량의 근거리 무선통신부에 상기 음성파일이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5. 제2항에서,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
    전후좌우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를 매개로 선택적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 및
    상기 고유 식별정보 디코딩에 의해 연결되는 SNS페이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차량 운전자가 전후좌우의 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추가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작부를 통해 지정된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를 디코딩하여 연결되는 SNS페이지에 임의의 의사표시문구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정보처리부의 수집정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정보처리부, 메모리부, 제어부, 조작부, 녹음부, 무선통신부, 스피커 및 GPS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는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KR1020140002368A 2014-01-08 2014-01-08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KR10148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368A KR101481738B1 (ko) 2014-01-08 2014-01-08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368A KR101481738B1 (ko) 2014-01-08 2014-01-08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75774A Division KR101490403B1 (ko) 2014-12-09 2014-12-09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KR20140175776A Division KR101490408B1 (ko) 2014-12-09 2014-12-09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738B1 true KR101481738B1 (ko) 2015-01-13

Family

ID=5258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368A KR101481738B1 (ko) 2014-01-08 2014-01-08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7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6709A1 (zh) * 2019-04-12 2020-10-15 变衣(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车语言互动的装置
US11166134B2 (en) 2019-10-25 2021-11-02 Toyota Motor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ular communications based on internet communication identifiers associated with codes of vehic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6777A (ja) * 1995-02-17 1996-08-27 Nippon Soken Inc 車両の割り込み進入処理装置
KR200249177Y1 (ko) * 2001-06-28 2001-10-17 조운수 후방차량을 위한 차량의 문자표시장치
KR20050061108A (ko) * 2003-12-18 2005-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간의 무선 통신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6777A (ja) * 1995-02-17 1996-08-27 Nippon Soken Inc 車両の割り込み進入処理装置
KR200249177Y1 (ko) * 2001-06-28 2001-10-17 조운수 후방차량을 위한 차량의 문자표시장치
KR20050061108A (ko) * 2003-12-18 2005-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간의 무선 통신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6709A1 (zh) * 2019-04-12 2020-10-15 变衣(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车语言互动的装置
US11166134B2 (en) 2019-10-25 2021-11-02 Toyota Motor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ular communications based on internet communication identifiers associated with codes of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4263B (zh) 步车间通信系统、车载终端装置、步行者终端装置以及安全驾驶辅助方法
US10409282B2 (en) Hailing a vehicle
JP6461318B2 (ja) 道路ユーザを認知したことを示すことを制御する装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2625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rward traffic light information during stop
US20230106673A1 (en) Vehicle and mobile device interface for vehicle occupant assistance
US11562550B1 (en) Vehicle and mobile device interface for vehicle occupant assistance
US20180053276A1 (en) Hailing a vehicle
US10839691B2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driving assistance system, and driving assistance method
RU2706506C1 (ru) Бор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US20140375810A1 (en) Vehicular safety methods and arrangements
EP3500898B1 (en) Hailing a vehicle
EP3715162B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JP6513316B2 (ja) 情報制御装置、情報制御システムおよび情報制御方法
KR101490403B1 (ko)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CN109421733A (zh) 驾驶者状态掌握装置、驾驶者状态掌握系统及方法
CN110214345A (zh) 用于由等待自动驾驶车辆的个人识别该车辆的信号设备
CN112298024A (zh) 一种避让提醒系统、方法、车辆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490408B1 (ko)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CN112298016A (zh) 一种远光灯提醒系统、方法、车辆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481738B1 (ko) 차량 간 의사표시 시스템
JP6810314B2 (ja) 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12652A (ko) 차량용 정보 표시 시스템
CN112298015A (zh) 一种车队信息共享系统、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298018A (zh) 一种求助系统、方法、车辆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365729A (zh) 一种路况提醒系统、方法、车辆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