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349B1 -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349B1
KR101481349B1 KR1020130156972A KR20130156972A KR101481349B1 KR 101481349 B1 KR101481349 B1 KR 101481349B1 KR 1020130156972 A KR1020130156972 A KR 1020130156972A KR 20130156972 A KR20130156972 A KR 20130156972A KR 101481349 B1 KR101481349 B1 KR 101481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otation
handle
rotation lever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보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6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349B1/ko
Priority to US14/483,038 priority patent/US968918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 측면 충돌사고시의 관성력에 의해 그립핸들(30)이 도어를 개방시킬 때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더라도 핸들레버(35)와 밸런스레버(24)의 연결이 단락됨에 따라 원치 않는 차량의 도어 열림 동작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DOOR OUTSIDE HAND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 충돌사고 발생시 핸들그립과 밸런스웨이트의 연결을 단락시켜서 원치 않는 차량 도어의 열림 동작을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에 구비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차량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핸들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아웃터패널(1)의 안쪽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핸들베이스(10), 상기 핸들베이스(10)에 밸런스축(21)과 밸런스스프링(22)을 매개로 탄력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블(23)을 매개로 도어래치와 연결되며 상기 밸런스축(21)을 기준으로 양방향에 밸런스레버(24)와 웨이트(25)가 구비된 밸런스웨이트(20), 상기 핸들베이스(1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힌지(31)와 상기 밸런스웨이트(20)의 밸런스레버(24)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레버(32)가 일단에 타단에 구비된 그립핸들(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레버(32)의 끝단에는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꺽임부(3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꺽임부(32a)가 상기 밸런스레버(24)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그립핸들(30)을 잡고 당기면(화살표 M1), 핸들레버(32)의 꺽임부(32a)가 밸런스레버(24)를 통해 힘을 전달해서 밸런스웨이트(20)를 회전시키고(화살표 R1), 이때 케이블(23)이 당겨지고 상기 케이블(23)의 당김 작용에 의해 도어래치가 작동되어서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측면 충돌사고 발생시에 원치 않는 도어의 열림 동작이 진행되는 단점이 있다.
즉, 도어패널에 충돌에너지가 전달되면(화살표 F1) 그립핸들(30)은 관성력에 의해 도어를 개방시키는 방향인 화살표 M1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구조는 핸들레버(32)의 끝에 밸런스레버(24)와 접촉하는 꺽임부(32a)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기 때문에, 그립핸들(30)이 측면 충돌시의 관성력에 의해 화살표 M1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때에도 밸런스웨이트(20)가 회전하고(화살표 R1), 케이블(23)이 당겨지면서 도어래치가 작동되어서 원치 않는 차량 도어의 열림 동작이 진행되는 것이다.
물론, 밸런스스프링(22)의 스프링력과 밸런스웨이트(20)를 구성하는 웨이트(25)의 무게를 통해 측면 충돌시의 그립핸들(30)이 관성력에 의해 화살표 M1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나, 충돌력과 충돌 방향이 다양한 점을 고려하여 볼 때 밸런스레버(24)와 접촉하는 꺽임부(32a)가 핸들레버(32)와 일체로 형성된 구조에서는, 다양한 측면 충돌 상황에 대해 도어의 열림 동작을 모두 예방할 수는 없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9672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측면 충돌사고 발생시에 핸들레버와 밸런스레버의 연결상태를 단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치 않는 도어의 열림 동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승객의 안전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그립핸들에 구비된 핸들레버; 상기 핸들레버에 레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레버; 및 상기 핸들레버와 상기 회전레버에 구비된 것으로 측면 충돌 발생시에는 상기 회전레버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레버의 구속을 해제시키고 측면 충돌 미발생시에는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레버구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레버가 상기 회전레버구속수단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상태일 때 상기 회전레버는 밸런스웨이트의 밸런스레버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레버가 상기 회전레버구속수단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 상태일 때 상기 회전레버는 밸런스웨이트의 밸런스레버와 평행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레버구속수단은 상기 회전레버에서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삽입홈; 및 상기 핸들레버에 구비된 것으로 측면 충돌 미발생시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해서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을 구속하고 측면 충돌 발생시에는 관성에 의한 이동으로 상기 삽입홈에서 빠져서 상기 회전레버의 구속을 해제하는 질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레버구속수단은 상기 핸들레버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가이드통로; 및 상기 가이드통로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질량체에 타단이 고정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질량체가 상기 회전레버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질량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질량체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레버구속수단은 상기 레버축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레버에 타단이 결합된 것으로 상기 질량체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빠질 때에 상기 회전레버가 상기 핸들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가 되도록 상기 핸들레버를 축적된 탄성력으로 회전시키는 레버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량체에는 상기 회전레버의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빠지는 질량체축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레버는 상기 핸들레버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레버축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회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핸들레버에는 상기 회전레버와의 접촉으로 상기 회전레버의 직각회전을 구속하는 스톱퍼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레버가 상기 핸들레버에 대해 직각이 되게 회전된 상태일 때 상기 가이드통로의 개구부와 상기 삽입홈의 개구부는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레버가 상기 핸들레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태가 되게 회전된 상태일 때 상기 가이드통로의 개구부와 상기 삽입홈의 개구부는 직각으로 엇갈린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면 충돌사고시의 관성력에 의해 그립핸들이 도어를 개방시킬 때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더라도 핸들레버와 밸런스레버의 연결이 단락됨에 따라 원치 않는 차량의 도어 열림 동작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승객의 안전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핸들레버의 꺽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로서, 도 4 내지 도 5는 측면 충돌사고 미발생시의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7은 측면 충돌사고 발생시 작동상태의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아웃터패널(1)의 안쪽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핸들베이스(10); 상기 핸들베이스(10)에 밸런스축(21)과 밸런스스프링(22)을 매개로 탄력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블(23)을 매개로 도어래치와 연결되며 상기 밸런스축(21)을 기준으로 양방향에 밸런스레버(24)와 웨이트(25)가 구비된 밸런스웨이트(20); 및 상기 핸들베이스(1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동작시 상기 밸런스웨이트(20)를 회전시키도록 동작하는 그립핸들(30)을 포함한 구성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상기 그립핸들(30)의 일단에는 상기 핸들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힌지(31)가 구비되고, 상기 그립핸들(30)의 타단에는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하는 질량체(50)가 설치된 핸들레버(35)가 구비된 구조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레버(35)에 레버축(4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레버(40); 및 상기 핸들레버(35)와 상기 회전레버(40)에 구비된 것으로 측면 충돌 발생시에는 상기 회전레버(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레버(40)의 구속을 해제시키고 측면 충돌 미발생시에는 상기 회전레버(40)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레버구속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회전레버(40)가 상기 회전레버구속수단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상태일 때 상기 회전레버(40)는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밸런스웨이트(20)의 밸런스레버(24)와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회전레버(40)가 상기 회전레버구속수단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 상태일 때에는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상기 회전레버(40)는 밸런스웨이트(20)의 밸런스레버(24)와 평행상태가 된다.
상기 회전레버구속수단은 상기 회전레버(40)에서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삽입홈(42); 및 상기 핸들레버(35)에 구비된 것으로 측면 충돌 미발생시에는 상기 삽입홈(4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해서 상기 회전레버(40)의 회전을 구속하고 측면 충돌 발생시에는 관성에 의한 이동으로 상기 삽입홈(42)에서 빠져서 상기 회전레버(40)의 구속을 해제하는 질량체(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레버구속수단은 상기 핸들레버(35)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가이드통로(36); 상기 가이드통로(36)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질량체(50)에 타단이 고정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질량체(50)가 상기 회전레버(40)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질량체(5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질량체스프링(60); 및 상기 레버축(41)에 감겨진 형태로 상기 레버축(41)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레버(40)에 타단이 결합된 것으로 상기 질량체(50)가 상기 삽입홈(42)으로부터 빠질 때에 상기 회전레버(40)가 상기 핸들레버(3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가 되도록 상기 핸들레버(40)를 축적된 탄성력으로 회전시키는 레버스프링(7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질량체(50)에는 상기 회전레버(40)의 삽입홈(4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삽입홈(42)으로부터 빠지는 질량체축(51)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레버(40)는 상기 핸들레버(35)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레버축(41)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회전되게 결합된 구조이고, 상기 핸들레버(35)에는 상기 회전레버(40)와의 접촉으로 상기 회전레버(40)의 직각회전을 구속하는 스톱퍼돌기(8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레버(40)가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핸들레버(35)에 대해 직각이 되게 회전된 상태일 때 상기 가이드통로(36)의 개구부와 상기 삽입홈(42)의 개구부는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회전레버(40)가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상기 핸들레버(35)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태가 되게 회전된 상태일 때 상기 가이드통로(36)의 개구부와 상기 삽입홈(42)의 개구부는 직각으로 엇갈린 상태가 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5는 측면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로서, 이때의 회전레버(40)는 핸들레버(35)에 대해 직각방향을 유지하고 있게 되고, 상기 회전레버(40)는 밸런스웨이트(20)의 밸런스레버(24)와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또한, 질량체(50)는 질량체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밸런스레버(24)쪽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질량체축(51)은 회전레버(40)의 삽입홈(42)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한편, 회전레버(40)가 핸들레버(35)에 대해 직각으로 회전된 상태가 되면, 레버스프링(70)은 압축상태가 되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되고, 축적된 탄성력이 회전레버(40)에 전달되어 회전레버(40)는 레버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질량체축(51)이 삽입홈(42)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회전레버(40)는 질량체축(51)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회전레버(40)는 핸들레버(35)에 대해 계속해서 직각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정상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립핸들(30)을 잡고 당기면(화살표 M11) 핸들레버(35)가 동일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고(화살표 M12), 밸런스레버(24)와 접촉하고 있던 회전레버(40)가 밸런스레버(24)에 힘을 가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밸런스웨이트(20)는 밸런스축(21)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 케이블(23)이 당겨지고 상기 케이블(23)의 당김 작용에 의해 도어래치가 작동되어서 차량의 도어를 정상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7은 측면 충돌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상황으로, 측면 충돌사고가 발생하고 이때에 발생된 충돌에너지가 그립핸들(30)로 전달되면, 상기 그립핸들(30)은 관성력에 의해 도어를 개방시킬 때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화살표 M13), 핸들레버(35)도 동일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화살표 M14)
그런데, 측면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질량체(50)도 관성력에 의해 핸들레버(35)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화살표 M14)으로 이동하는 힘을 갖게 되어서 상기 질량체(50)는 질량체스프링(60)의 힘을 이기고 가이드통로(36)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질량체스프링(60)은 압축되고, 질량체축(51)은 삽입홈(42)으로부터 빠지게 되며, 동시에 회전레버(40)는 레버스프링(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레버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해서(화살표 R11), 상기 회전레버(40)와 밸런스레버(24)는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측면 충돌사고시의 관성력에 의해 그립핸들(30)이 도어를 개방시킬 때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고(화살표 M13), 핸들레버(35)도 동일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되더라도(화살표 M14), 회전레버(40)가 밸런스레버(24)와 평행한 상태가 되어서 밸런스레버(24)와 접촉하지 않게 되는 바, 이를 통해 밸런스웨이트(20)는 회전하지 않게 되고 케이블(23)도 당겨지지 않게 됨으로써 측면 충돌사고시에 원치 않는 차량의 도어 열림 동작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측면 충돌사고시의 관성력에 의해 그립핸들(30)이 도어를 개방시킬 때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더라도 핸들레버(35)와 밸런스레버(24)의 연결이 단락됨에 따라 원치 않는 차량의 도어 열림 동작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승객의 안전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핸들베이스 20 - 밸런스웨이트
24 - 밸런스레버 30 - 그립핸들
35 - 핸들레버 36 - 가이드통로
40 - 회전레버 41 - 레버축
42 - 삽입홈 50 - 질량체
51 - 질량체축 60 - 질량체스프링
70 - 레버스프링 80 - 스톱퍼돌기

Claims (10)

  1. 그립핸들에 구비된 핸들레버;
    상기 핸들레버에 레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레버; 및
    상기 핸들레버와 상기 회전레버에 구비된 것으로 측면 충돌 발생시에는 상기 회전레버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레버의 구속을 해제시키고 측면 충돌 미발생시에는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레버구속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가 상기 회전레버구속수단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상태일 때 상기 회전레버는 밸런스웨이트의 밸런스레버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가 상기 회전레버구속수단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 상태일 때 상기 회전레버는 밸런스웨이트의 밸런스레버와 평행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구속수단은 상기 회전레버에서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삽입홈; 및
    상기 핸들레버에 구비된 것으로 측면 충돌 미발생시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해서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을 구속하고 측면 충돌 발생시에는 관성에 의한 이동으로 상기 삽입홈에서 빠져서 상기 회전레버의 구속을 해제하는 질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구속수단은 상기 핸들레버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가이드통로; 및
    상기 가이드통로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질량체에 타단이 고정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질량체가 상기 회전레버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질량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질량체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구속수단은 상기 레버축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레버에 타단이 결합된 것으로 상기 질량체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빠질 때에 상기 회전레버가 상기 핸들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가 되도록 상기 핸들레버를 축적된 탄성력으로 회전시키는 레버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에는 상기 회전레버의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빠지는 질량체축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는 상기 핸들레버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레버축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회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핸들레버에는 상기 회전레버와의 접촉으로 상기 회전레버의 직각회전을 구속하는 스톱퍼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가 상기 핸들레버에 대해 직각이 되게 회전된 상태일 때 상기 가이드통로의 개구부와 상기 삽입홈의 개구부는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가 상기 핸들레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태가 되게 회전된 상태일 때 상기 가이드통로의 개구부와 상기 삽입홈의 개구부는 직각으로 엇갈린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1020130156972A 2013-12-17 2013-12-17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101481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972A KR101481349B1 (ko) 2013-12-17 2013-12-17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US14/483,038 US9689184B2 (en) 2013-12-17 2014-09-10 Door outside handl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972A KR101481349B1 (ko) 2013-12-17 2013-12-17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349B1 true KR101481349B1 (ko) 2015-01-21

Family

ID=5259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972A KR101481349B1 (ko) 2013-12-17 2013-12-17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89184B2 (ko)
KR (1) KR101481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12367A1 (it) * 2011-12-22 2013-06-23 Valeo Spa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una maniglia di portiera di veicolo.
JP5934159B2 (ja) * 2013-09-02 2016-06-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ドアアウタハンドル
KR101481352B1 (ko) * 2013-12-19 2015-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핸들
JP6300702B2 (ja) * 2014-10-28 2018-03-28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CN107435473B (zh) * 2017-09-14 2023-04-07 观致汽车有限公司 车门手柄总成及包含其的车辆
DE102019104713A1 (de) * 2018-02-27 2019-08-29 Magna Closures Inc. Angetriebene Verriegelungsanordnung mit Aufprallschutz
DE102021102593A1 (de) * 2021-02-04 2022-08-04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347A (ja) * 2005-01-31 2006-08-10 Alpha Corp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90062866A (ko) *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아웃사이드 핸들
KR20110019672A (ko) * 2009-08-20 2011-0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2159A (en) * 1997-08-01 2000-03-28 Adac Plastics, Inc. Door handle assembly
JP5418549B2 (ja) 2011-07-06 2014-02-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のドアアウタハンドル装置
US9404292B2 (en) * 2012-07-11 2016-08-02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fg. Corp.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with deployable latch connection
US9394729B2 (en) * 2012-07-11 2016-07-19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fg. Corp.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with electrically deployable latch connection
JP5237489B1 (ja) * 2012-09-11 2013-07-17 サカエ理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347A (ja) * 2005-01-31 2006-08-10 Alpha Corp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90062866A (ko) *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아웃사이드 핸들
KR20110019672A (ko) * 2009-08-20 2011-0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89184B2 (en) 2017-06-27
US20150167362A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349B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EP2795022B1 (en) Safety device for vehicle door handle
EP2946051B1 (en) Lock for a motor vehicle
US20140145454A1 (en)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With Inertial Secondary Catch Position
KR101610499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JP4389992B2 (ja) ドア開動作規制装置
KR101827147B1 (ko)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JP2013527345A (ja) 車両の開閉式部分のための安全装置付きハンドル
KR101459964B1 (ko) 차량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EP4030022A1 (en) Handle device for vehicle
US20140306486A1 (en) Door opening preve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KR101491312B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US11131124B2 (en) Opening device with lock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latch
KR20160054990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핸들 장치
US20140361556A1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KR20200014191A (ko) 자동차 도어 핸들 관성 잠금 구조
KR101470248B1 (ko)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KR101575424B1 (ko)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US10246908B2 (en) Optimized locking system
KR101144044B1 (ko)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JP5595133B2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812439B1 (ko) 측면 충돌시 관성력에 의한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의 개방동작구속장치
US10731386B2 (en) Lock for a motor vehicle
KR100901416B1 (ko) 차량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
JP4336216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