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843B1 - 고체절연개폐기 - Google Patents
고체절연개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0843B1 KR101480843B1 KR20100133688A KR20100133688A KR101480843B1 KR 101480843 B1 KR101480843 B1 KR 101480843B1 KR 20100133688 A KR20100133688 A KR 20100133688A KR 20100133688 A KR20100133688 A KR 20100133688A KR 101480843 B1 KR101480843 B1 KR 1014808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elastic body
- damper
- housing
- solid insula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폭시 몰드를 사용하는 고체절연개폐기의 동작하중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고체절연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고체절연개폐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모터의 회전력을 가동접촉단자에 전달하여 가동접촉단자를 고정접촉단자와의 접촉하도록 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캠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캠플레이트에 접촉하여 상기 구동축의 충격을 감쇄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탄성체의 압축에 의해 상기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체절연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에폭시 몰드를 사용하는 고체절연개폐기의 동작하중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고체절연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수력, 화력 또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전되는 전력은 승압 변압기를 통해 대전력의 장거리 송전에 적당한 전압, 즉 66~345kV 또는 그 이상의 초고압으로 승압하여 1차 송전선로를 통해 1차 변전소로 송전된다. 1차 변전소는 수전한 전력을 22~154kV 정도의 전압으로 강압하고, 다시 2차 송전 선로를 거쳐서 2차 변전소에 보내게 되며, 2차 변전소는 다시 수전한 전력을 11~66kV의 전압을 가진 전력으로 강압한다. 2차 변전소는 다시 3차 송전 선로에 의해서 배전용 3차 변전소로 송전하고, 3차 변전소에서 3.3~6.6Kv정도의 전압을 가진 전력으로 낮추어진 후 배전선로라든가 배전용 변압기를 통해서 수용가에게 공급된다.
이러한 송,배전 계통 중 배전선로(25.8kV)의 지중(地中)선로 상에서 선로구분 및 분기, 부하 개폐를 위해 사용되는 지중선로용 다회로 부하개폐기는, 고압 선로 상에서 부하를 개폐하고 선로를 분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3 선로 또는 4 선로를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다 회로 개폐 기능을 갖는다. 또한 지중선로용 다회로 부하개폐기는 개폐기의 상(phase)간 및 각각의 개폐기 간의 전기적 절연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고, 부하 개방동작 시 아크(ARC) 소호 기능과 각각의 상의 개폐기 외부가 완벽하게 접지처리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다회로 부하개폐기는 SF6(6불화황)과 같은 소호 가스가 봉입된 금속재 탱크(tank)내에 개폐기구, 다른 표현으로는 소호 기구를 내장시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SF6(6불화황)과 같은 소호 가스를 사용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회로 부하개폐기의 소호 기구는 지구온난화의 요인이 되는 가스로서 향후 사용의 제한을 받으며 또한 대기중으로 오염된 소호 가스가 방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호 가스를 이용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회로 부하개폐기의 소호 기구는 가스 압력에 따라 절연 및 소호 능력이 영향을 받으므로, 가스 누설에 대한 유지관리가 수반되어야 함에 따라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인 에폭시 몰드를 사용하는 고체절연개폐기(SLBS)이다. 고체절연개폐기는 녹생성장을 위해 온실가스와 환경오염을 줄이는 제품으로 청정에너지를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효율적인 장치다. 보다 상세하게는 국토, 도시, 건물, 주거단지 등에서 사용하는 장치로 전력을 분배해 주고, 전력계통에서 발생되는 서지나 사고발생시 차단기 작동 후 안전을 위하여 신속한 개폐를 하여 고장구간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고체절연개폐기는 전력계통에서 전력의 흐름을 통제하는 친환경적 제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체절연개폐기는 개폐를 위한 기구 장치를 내장한다. 이러한 기구장치는 개폐시 충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안정적으로 감쇄하여 주어야 파손이 방지된다. 이러한 충격의 감쇄 또는 흡수 방안으로 유압댐퍼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유압댐퍼의 경우, 오일(oil)의 누설로 인한 충격 흡수의 불량 작동으로 파손이 발생되기도 하고, 오일로 인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기구적인 구성만으로 개폐동작에서 발생되는 강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고체절연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고체절연개폐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모터의 회전력을 가동접촉단자에 전달하여 가동접촉단자를 고정접촉단자와의 접촉하도록 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캠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캠플레이트에 접촉하여 상기 구동축의 충격을 감쇄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탄성체의 압축에 의해 상기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댐퍼는, 상기 캠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댐퍼플레이트; 상기 댐퍼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어 댐퍼플레이트와 연동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탄성체;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체의 일단이 결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의 충격은 상기 댐퍼플레이트와 스토퍼 사이에서 압축되는 탄성체에 의해 흡수되도록 구성된다. .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의 댐퍼플레이트측 단부에 결합되는 조절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의 타단부는 상기 조절너트에 접촉되며, 상기 샤프트에서의 조절너트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탄성체의 초기변위를 조절가능하다.
한편 상기 탄성체는 압축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오일을 사용하는 유압댐퍼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구적인 구성인 압축스프링을 사용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개폐동작에서 발생하는 강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고체절연개폐기의 파손이 방지되고, 원가 절감 및 환경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체절연개폐기의 개략도.
도 2는 개폐기구부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체절연개폐기의 조작기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3의 동작도.
도 2는 개폐기구부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체절연개폐기의 조작기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3의 동작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체절연개폐기의 개략도를, 도 2는 개폐기구부의 측면 단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충격 흡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를, 도 4는 도 3의 동작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는 고체절연개폐기의 전체 외관을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구를 포함하는 고체 절연 개폐기는 제어함(100), 배터리(battery)(90), 조작기구(actuator)(130), 동력전달장치(150), 개폐기구(160), 열반 모선 부(20), 전압 변성기(30), 접속자(40) 및 접지 부스 바(busbar)(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함(100)은 고체 절연 개폐기의 개폐제어를 위한 전자회로 부와 원격제어를 위한 통신 부를 포함하는 전자제어 기능 부이다.
배터리(90)는 제어함(100)에 축전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조작기구(130)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구(160)의 개폐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으로서, 수동조작 핸들을 접속하여 수동력의 동력발생도 가능하고 전동기에 접속하여 전동조작에 의한 전동동력발생도 가능하다. 조작기구(130)에 대한 더욱 상세한 구성과 동작은 후술된다.
동력전달장치(150)는 조작기구(130)로부터의 개폐구동력을 개폐기구(16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부분으로서, 구동축(도 2의 부호 151 참조)과, 구동축(151)에 의해 전달된 회전동력을 개폐기구(160)의 접접 개폐를 위한 상하의 수직방향 동력으로 전환해주는 링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력전달장치(150)의 더욱 상세한 구성과 작용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개폐기구(160)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으로서 일명 소호 기구라고도 불리는 부분으로서, 가동 및 고정 접점부, 가동 접점부와 상기 링크기구를 접속하는 로드(rod), 외부 회로 접속을 위한 부분과, 이들 부분 전체를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내장 수용하는 고체 절연 주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폐기구(160)의 더욱 상세한 구성과 작용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열반 모선 부(20)는 개폐기구(160)의 고정접점 부에 접속되고 개폐기구(160)의 상 별 상기 고정접접 부들을 서로 같은 상 끼리 접속해주는 모선 부를 말한다. 고체 절연 개폐기 한대에 있어서, 조작기구(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원 측 회로 접속용과 3개의 분기 회로 용으로서 4개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조작기구(130) 마다 3상에 대응되게 3개의 개폐기구(160)가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고, 따라서 열반 모선 부(20)는 4개의 조작기구(130)별 3상용으로 3개의 개폐기구(160)에 대응되게 3개가 각각의 상별로 마련될 수 있다.
전압 변성기(30)는 상기 열반 모선 부(20)의 한 상(단상)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함(100) 및 배터리(90)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컨대 전압을 강압하는 강압 변압기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로 이루어진 정류기와, 정류된 전압을 평활시키는 커패시터(capacito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접속자(40)는 상기 한 상(단상)의 열반 모선 부(20)와 상기 전압 변성기(30)를 전기적으로 접속해주기 위한 전기적 접속수단이다.
접지 부스 바(bus bar)(50)는 개폐기구(160)의 접지용 진공인터럽터를 대지로 접속하기 위해서 상기 접지용 진공 인터럽터와 대지간에 접속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도선과 접지봉을 통해 각각 상기 접지용 진공 인터럽터와 대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절연 개폐기용 개폐기구와 구동 기구 및 동력전달 축과 링크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요부 측면 및 부분 단면도이다.
고체절연개폐기의 개폐기구는 개폐기구(160)를 내장하게 성형하여 마련되는 고체 절연 주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고체 절연 주조물의 재료로서 에폭시(epoxy) 수지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160)는, 주회로 개폐용 진공 인터럽터(110)와 접지용 진공 인터럽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회로 개폐용 진공 인터럽터(110)와 접지용 진공 인터럽터(120)는 세라믹(ceramic) 절연재로 피복된 진공용기 내에 가동 접점과 고정접점이 설치된 잘알려진 바와 같은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VI로도 통칭 됨)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기구(160)는, 상기 주회로 개폐용 진공 인터럽터(110)에 접속되는 주회로용 푸시 로드(push rod)(164)를 포함하고, 주회로용 푸시 로드(164)의 하 단부에 접속되는 가동접촉단자(112)와 가동접촉단자(112)에 마주보게 고정설치되는 고정접촉단자(114)를 포함한다. 한편,상기 개폐기구(160)는 접지용 푸시 로드(push rod)(163)와 가동접촉단자(122)와 고정접촉단자(124)를 더 포함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조작 기구(130)로부터의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의 회전 동력은 구동축(151)을 통해 동력전달장치(150)로 전달되어, 동력전달장치(150)는 상기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의 회전 동력을 하부의 개폐기구(160)의 접지회로 개폐기와 주회로 개폐기를 개폐 구동할 수 있는 수직방향의 개폐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도 2에서 동력전달장치(150)는, 일 단이 상기 조작기구(130)에 연결되는 동력전달 구동축(151)과; 상기 주회로 개폐기(110) 및 상기 접지회로 개폐기(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151)과 연동하며 캠(175)이 구비된 캠 축(171)과; 일 단(하단)이 상기 구동축(151)에 접속되고 타 단(상단)이 상기 캠 축(171)에 접속되어 상기 동력전달 축(151)의 회전동력을 캠 축(171)에 전달하여 캠 축(171)을 회전 구동하는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152)와; 상기 주회로 개폐기(110) 및 상기 접지회로 개폐기(120)의 각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동작 축(181) 및 제2 동작 축(191)과; 상기 주회로 개폐기(110)의 가동접점부에 연결되는 주회로 접압 스프링유닛(부호 미지정)과; 상기 접지회로 개폐기(120)의 가동접점부에 연결되는 접지회로 접압 스프링유닛(부호 미지정)과; 상기 제1 동작 축(181)과 상기 주회로 접압 스프링유닛에 각각 연결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구비하여 연결부위가 상기 캠(175)의 일 측에 접촉되는 주회로 링크 부(251)와; 상기 제2 동작 축(191)과 상기 접지회로 접압 스프링유닛에 각각 연결되는 제3링크 및 제4링크를 구비하여 연결부위가 상기 캠(175)의 타 측에 접촉되는 접지회로 링크 부(26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조작 기구(130)에 조작 핸들(미 도시)을 접속하여 수동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사용자가 전동조작하면, 조작 기구(130)는 동력전달 구동축(151)을 통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동력전달 구동축(151)에 하단이 접속된 커넥팅 로드(152)가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함과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함에 의해서, 커넥팅 로드(152)의 상단과 접속된 캠 축(171)이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따라서 캠(175)이 같은 방향으로 따라서 회동하게 된다. 도 2에서 캠(175)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캠(175)의 외주면에 의해 가압되는 접지회로 링크 부(261)가 펴지면서 접지용 푸시로드(163)가 하강하고 따라서 접지용 진공 인터럽터(120)의 내부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하여, 전류는 대지로 방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접지 동작은 통상 선로의 분기, 교체 등의 작업시 회로를 차단한 후, 선로 상의 잔여 전류에 의한 감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실시된다.
도 2에서 캠(17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캠(175)의 외주 면에 의해 가압되는 주회로 링크 부(251)가 펴지면서 가동 접점부(112)가 하강하고, 주회로용 푸시 로드(164)가 하강하고 따라서 주회로 개폐용 진공 인터럽터(110)의 내부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하여, 주회로 개폐용 진공 인터럽터(110)의 하부에 접속된 열반 모선 부(도1의 부호 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개폐기구(160)에 외부 전원 측 선로가 접속되는 경우 전력의 인입이 이루어지고, 개폐기구(160)에 분기선로가 접속되는 경우 분기선로를 통한 전력의 분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3과 도 4는 조작기구에 관한 것으로, 조작기구(130)는 하우징(137)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30)은 조작기구(13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리어플레이트(138)를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같이 스위치 등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38)는 하우징의 뒷면에 구비된 것으로, 조작기구의 기구적인 구성품들이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조작기구(130)는 내부에 전동 조작을 위한 구동원이 되는 모터(미도시)를 내장하고 있으며, 모터의 구동력을 동력전달 구동축(151)을 통해 주회로 및 접지회로의 가동접촉단자로 전달한다. 따라서, 조작기구(130)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모터의 회전력을 가동접촉단자에 전달하여 가동접촉단자를 고정접촉단자와의 접촉하도록 하는 구동축(151)과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조작기구(130)는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캠플레이트(131)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캠플레이트에 접촉하여 상기 구동축의 충격을 감쇄하는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캠플레이트(131)는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댐퍼의 직선운동으로 변경하여 준다.
여기서 댐퍼는, 상기 캠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댐퍼플레이트(132), 상기 댐퍼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어 댐퍼플레이트와 연동되는 샤프트(133),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탄성체(134)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체의 일단이 결합되는 스토퍼(1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댐퍼플레이트(132)는 상기 캠플레이트(131)과 접촉되며, 캠플레이트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캠의 반경변화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댐퍼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샤프트(133)가 댐퍼의 운동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에는 탄성체(134)가 관통되어 결합되며, 상기 탄성체는 압축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스토퍼(139)를 관통하여 직선운동 가능하다. 상기 스토퍼(139)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리어플레이트(138)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39)는 상기 탄성체의 상부를 고정 지지한다. 그에 따라, 샤프트가 스토퍼를 관통하여 이동하게 되면, 탄성체가 압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의 댐퍼플레이트측 단부에는 조절너트(135a)가 구비된다. 상기 조절너트(135a)는 탄성체의 하부를 고정 지지하며, 상기 샤프트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의 이동시 탄성체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의 타단부는 상기 조절너트에 접촉되며, 상기 샤프트에서의 조절너트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탄성체의 초기변위를 조절가능하다. 그에 따라, 탄성체가 저장하고 흡수할 수 있는 충격의 정도를 조절하여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적절히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에는 샤프트의 하사점을 설정하기 위한 고정너트(135b)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체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와셔(136a,136b,136c)들이 탄성체의 주변에 결합된다.
상기 구동축(151)의 충격은 상기 댐퍼플레이트(132)와 스토퍼(139) 사이에서 압축되는 탄성체(134)에 의해 흡수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댐퍼는 탄성체(134)의 압축에 의해 상기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의 좌측 도면에서 우측도면으로 변화되듯이, 구동축(151)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력은 캠플레이트(131)가 회전하여 댐퍼플레이트(1323)를 거쳐 샤프트(133)에 전달되고, 샤프트의 이동에 의해 압축스프링인 탄성체(134)가 스토퍼(139)와 조절너트(135a) 사이에서 길이 L1에서 L2로 압축되어 충격력을 탄성력으로 변경하여 저장 흡수하게 된다. 상기 탄성체가 흡수한 탄성력은 스토퍼(139)에 전달되지만, 탄성체 자체에 저장되는 탄성력에 의해 감쇄되어 리어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스토퍼는 전달되는 충격력을 충분히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오일을 사용하는 유압댐퍼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구적인 구성인 압축스프링을 사용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개폐동작에서 발생하는 강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고체절연개폐기의 파손이 방지되고, 원가 절감 및 환경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제어함
130 : 조작기구 131 : 캠플레이트
132 : 댐퍼플레이트 133 : 샤프트
134 : 탄성체 135a : 조절너트
136 : 와셔 137 : 하우징
138 : 리어플레이트 150 : 동력전달장치
151 : 구동축 160 : 개폐기구
130 : 조작기구 131 : 캠플레이트
132 : 댐퍼플레이트 133 : 샤프트
134 : 탄성체 135a : 조절너트
136 : 와셔 137 : 하우징
138 : 리어플레이트 150 : 동력전달장치
151 : 구동축 160 : 개폐기구
Claims (5)
-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모터의 회전력을 가동접촉단자에 전달하여 가동접촉단자를 고정접촉단자와의 접촉하도록 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캠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캠플레이트에 접촉하여 상기 구동축의 충격을 감쇄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캠플레이트와 접촉되는 댐퍼플레이트;
상기 댐퍼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어 댐퍼플레이트와 연동되는 샤프트;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공을 갖는 스토퍼;
상기 샤프트의 댐퍼플레이트측 단부에 결합되는 조절너트; 및
일단이 상기 스토퍼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너트에 의해 가압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스토퍼와 상기 조절너트 사이에서 압축되어 상기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조절너트는 상기 댐퍼플레이트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서 이동되어 상기 탄성체의 초기변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개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개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133688A KR101480843B1 (ko) | 2010-12-23 | 2010-12-23 | 고체절연개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133688A KR101480843B1 (ko) | 2010-12-23 | 2010-12-23 | 고체절연개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1943A KR20120071943A (ko) | 2012-07-03 |
KR101480843B1 true KR101480843B1 (ko) | 2015-01-09 |
Family
ID=4670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133688A KR101480843B1 (ko) | 2010-12-23 | 2010-12-23 | 고체절연개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084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24195A (ja) | 2000-08-10 | 2002-04-26 | Sanyo Electric Co Ltd | マグネトロン |
US20040020031A1 (en) | 2002-07-31 | 2004-02-05 | Tien-Min Lu | Method for manufacturing membranes |
JP2006063748A (ja) * | 2004-08-30 | 2006-03-09 | Nhk Spring Co Ltd | 跳ね上げ式門扉の開閉機構アッセンブリ |
KR100832331B1 (ko) * | 2007-05-04 | 2008-05-26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고전압 부하개폐기의 동력전달장치 |
-
2010
- 2010-12-23 KR KR20100133688A patent/KR1014808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24195A (ja) | 2000-08-10 | 2002-04-26 | Sanyo Electric Co Ltd | マグネトロン |
US20040020031A1 (en) | 2002-07-31 | 2004-02-05 | Tien-Min Lu | Method for manufacturing membranes |
JP2006063748A (ja) * | 2004-08-30 | 2006-03-09 | Nhk Spring Co Ltd | 跳ね上げ式門扉の開閉機構アッセンブリ |
KR100832331B1 (ko) * | 2007-05-04 | 2008-05-26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고전압 부하개폐기의 동력전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1943A (ko) | 2012-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5479B1 (ko) | 스위치 기어 | |
KR101716284B1 (ko) | 가스 절연 개폐 장치 | |
CN101145677B (zh) | 电气化铁道专用气体绝缘组合电器 | |
CN1945771B (zh) | 户外高压双电源真空断路器 | |
JPH11113109A (ja) | 母線の接続構造及び絶縁カバー | |
CN110853952A (zh) | 一种带内置隔离开关的柱上开关 | |
KR20020039244A (ko) | 가스절연개폐장치 | |
JP5238632B2 (ja) | ガス遮断器及びガス絶縁開閉装置 | |
US9953778B2 (en) | Gas circuit breaker and breaker for gas insulated switching device | |
CN101728781A (zh) | 固体绝缘真空环网柜 | |
CN103972809A (zh) | 双断路器dcb型高压组合电器 | |
KR20100007231A (ko) | 고체 절연 개폐기의 개폐기구 | |
KR20190006200A (ko) | 접지 부착형 단로기 연동 조작기 | |
CN104658806B (zh) | 气体断路器 | |
KR101480843B1 (ko) | 고체절연개폐기 | |
CN204835350U (zh) | 环氧浇注固体绝缘开关柜 | |
CN104143451A (zh) | 一种高速接地开关及其构成的接地开关装配单元 | |
CN203086051U (zh) | 双断路器dcb型高压组合电器 | |
CN104143464B (zh) | 接地开关装配单元及其高速接地开关 | |
CN206225875U (zh) | 一种固体绝缘断路器 | |
US20220013312A1 (en) | Vacuum load break switch for performing vacuum making/breaking and isolation operation in a single stroke | |
CN202797734U (zh) | 固体绝缘熔断器组合开关柜 | |
KR20180104984A (ko) | 접지 부착형 단로기 연동 조작기 | |
KR102094870B1 (ko) |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가스 차단기 | |
CN101355234B (zh) | 环氧浇注固体绝缘开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