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391B1 -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391B1
KR101480391B1 KR20130062067A KR20130062067A KR101480391B1 KR 101480391 B1 KR101480391 B1 KR 101480391B1 KR 20130062067 A KR20130062067 A KR 20130062067A KR 20130062067 A KR20130062067 A KR 20130062067A KR 101480391 B1 KR101480391 B1 KR 101480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tion
unit
measurement value
displacemen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972A (ko
Inventor
유지형
김대성
이근호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유지형
(주)서우
(주)호승이앤씨
김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유지형, (주)서우, (주)호승이앤씨, 김대성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62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39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0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67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projecting a pattern on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01M7/025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가 개시된다.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는, 구조물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설치된 위치에서의 구조물의 변형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구조물 변위 측정부, 및 발광부를 포함한다. 구조물 변위 측정부는 설치된 위치에서의 구조물 변위를 측정하고, 발광부는 구조물 변위 측정값에 따라 변화하는 광을 출력하는 가변 발광부를 포함한다. 구조물의 변형 상태를 변형이 발생한 위치에서 바로 측정하고 가변하는 광을 출력하므로,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의 변형 정도를 현장에서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변형이 다수 지점이거나, 변형 자체가 식별이 어려운 위치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도 현장 인원이 발생하는 구조물의 변형을 용이하게 발견하고 대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STRUCTURE DEFORMATION}
본 발명은 토목이나 건축 분야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에 발생된 구조물 변형에 대한 정보를 현장 인원에게 출력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에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에 있어서의 이러한 변형은 공사중인 구조물은 물론 완공된 구조물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로 구조물에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현장에 위치한 사람들은 구조물 변형의 유무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는 형편이며, 구조물 변형에 대한 계측 정보를 입수한다고 해도 입수한 계측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전문 지식이나 그 구조물 자체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구조물 변형에 대한 위험성을 체감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위험은 지하 구조물이나 터널 구조물과 같이 구조물의 환경이 어두운 경우 훨씬 증가하는데, 구조물에 설치된 계측 장치는 물론 구조물의 형태 자체도 용이하게 판별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구조물의 변형으로 인한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종래에는 구조물에 구조물의 변형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장치를 설치하고 계측 장치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원격지의 관리 시스템에서 전송받아 분석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통신망을 통해 현장의 관리자 등에게 위험 상황 및 대처 내용을 전달하고, 현장 인원들은 전달받은 대처 내용에 따라 대피 또는 긴급 보수 등의 조치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급박한 위험 상황을 현장에서 신속하게 파악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계측 데이터 등의 전송을 위한 통신 상태가 어려워진 상황에서는 아예 위험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긴급 상황 이전의 구조물의 변형에 대해서는 변형에 대한 예비 정보를 획득하기가 어려워 구조물의 변형에 대처하는 사전 대비를 준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다수의 부분에서 발생하는 변형에 대해 일일이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의 변형 정도를 현장에서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변형이 다수 지점에서 일어나는 경우나 통신 사정이 악화되는 경우에도 현장에서 발생하는 구조물의 변형을 용이하게 발견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는, 구조물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설치된 위치에서의 구조물의 변형을 검출하기 위한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로서, 구조물 변위 측정부, 및 가변 발광부를 포함한다. 구조물 변위 측정부는 설치된 위치에서의 구조물 변위를 측정하고, 가변 발광부는 구조물 변위 측정값에 따라 변화하는 광을 출력한다.
구조물의 변형 상태를 변형이 발생한 위치에서 바로 측정하고 가변하는 광을 출력하므로,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의 변형 정도를 현장에서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변형이 다수 지점이거나, 변형 자체가 식별이 어려운 위치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도 현장 인원이 발생하는 구조물의 변형을 용이하게 발견하고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변 발광부는 변위 측정값의 변화에 따라 광의 색상을 변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구조물 변형 현장의 인원들이 출력되는 색상의 변화에 의해 구조물의 변형 상황을 더욱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는 광의 색에 대응하는 변위 측정값의 범위를 설정하는 측정값 범위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구조물의 특징을 반영하여, 서로 다른 구조물에서 각각 발생하는 동일한 변위값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위험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는 광의 색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현장 인원이 광 출력을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나 광 출력에 대한 의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구조물 변형으로 인한 위험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변 발광부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부를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저전력을 소비하면서도 내구성이 긴 가변 발광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위 측정값을 출력하는 측정값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단순히 구조물 변형의 위험도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변위 정도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변 발광부의 발광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발광 지속 기간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지속 기간을 설치 조건에 따라 설정함으로써 전력 소비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변 발광부가 발광을 시작하도록 하는 발광 시작 신호를 입력받는 발광 시작 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미리 설정된 조건 하에서만 광이 출력되도록 구현하여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변위 측정값을 저장하는 측정값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측정된 저장값을 사후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물 변형에 대한 대처를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위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측정값을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위치의 사용자도 용이하게 변위 측정값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위 측정값이 전송되는 통신 단말은 통신부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설정되는 무선 통신 단말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관리자는 다수의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에 대해서도 각각 자신의 무선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조물 변형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치 위치에서의 환경 정보를 입력받는 환경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측정된 변위값에 대해 설치 위치의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변형 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입력된 환경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광의 색에 대응하는 변위 측정값의 범위를 변경하는 측정값 범위 변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주위 환경의 변화에 따라 동일한 장치에 대한 동일한 변위 측정값에 대해서도 다른 색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력된 환경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오차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환경 변화에 따라 동일한 변위 측정값에 대해서도 현장 인원이 다른 위험도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의 변형 정도를 현장에서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변형이 다수 지점이거나, 변형 자체가 식별이 어려운 위치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도 현장 인원이 발생하는 구조물의 변형을 용이하게 발견하고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조물 변형 현장의 인원들이 출력되는 색상의 변화에 의해 구조물의 변형 상황을 더욱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조물의 특징을 반영하여, 구조물 변형에 대한 동일한 변위값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위험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장 인원이 광 출력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나 광 출력에 대한 의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구조물 변형으로 인한 위험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전력을 소비하면서도 내구성이 긴 발광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순히 구조물 변형의 위험도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변위 정도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광 지속 기간을 설치 조건에 따라 설정함으로써 전력 소비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조건 하에서만 광이 출력되도록 구현하여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측정된 저장값을 사후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물 변형에 대한 대처를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측정값을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위치의 사용자도 용이하게 변위 측정값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자는 다수의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에 대해서도 각각 자신의 무선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조물 변형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측정된 변위값에 대해 설치 위치의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변형 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한 장치에 대한 동일한 변위 측정값에 대해서도 다른 색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한 변위 측정값에 대해서도 현장 인원이 다른 위험도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의 실제 구현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의 실제 구현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1000)는, 구조물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설치된 위치에서의 구조물의 변형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구조물 변위 측정부(110), 가변 발광부(120), 측정값 범위 설정부(130), 음향 출력부(140), 측정값 출력부(150), 발광 지속 기간 설정부(160), 발광 시작 신호 입력부(170), 측정값 저장부(180), 통신부(190), 환경 정보 입력부(200), 측정값 범위 변경부(210), 및 오차 신호 출력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1000)의 모든 구성 요소는 하드웨어로도 구현 가능하나,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는 하드웨어와 함께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로도 구현 가능하다.
구조물 변위 측정부(110)는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1000)가 설치된 위치에서의 구조물 변위를 측정한다. 구조물 변위 측정부(110)가 측정하는 변위는 구조물의 변형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위라면 어떠한 변위라도 이용 가능하며, 도 2에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구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가변 발광부(120)는 구조물 변위 측정값에 따라 변화하는 광을 출력한다. 광의 변화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광의 밝기, 광의 점멸 주기, 광의 색의 변화를 예로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변 발광부(120)는 변위 측정값의 변화에 따라 광의 색깔을 변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구조물 변형 현장의 인원들이 색깔의 변화에 의해 구조물의 변형 상황을 더욱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조물의 변형 상태를 변형이 발생한 위치에서 바로 측정하고 가변하는 광을 출력하므로,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의 변형 정도를 현장에서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변형이 다수 지점이거나, 어두운 위치와 같이 변형 자체가 식별이 어려운 위치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도 현장 인원이 발생하는 구조물의 변형을 용이하게 발견하고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변 발광부(12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 발광부(120)를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저전력을 소비하면서도 내구성이 긴 가변 발광부(120)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막대(BAR) 형태로 길게 형성하고 LED의 색 변화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변형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측정값 범위 설정부(130)는 광의 색에 대응하는 변위 측정값의 범위를 설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구조물의 특징을 반영하여, 서로 다른 구조물에서 발생한 변형들의 동일한 변위값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위험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구조물에 대해 각각 기울기 변형을 측정하는 경우, 각각의 구조물의 특성상 기울기 변형에 대한 허용 범위가 다를 수 있는 데, 사용자는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각각의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에 대해 서로 다른 측정값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0)는 광의 색깔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현장 인원이 광 출력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나 광 출력에 대한 의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구조물 변형으로 인한 위험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측정값 출력부(150)는 변위 측정값을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단순히 구조물 변형의 위험도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변위 정도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되어, 관리자는 구조물 변형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 도면 하단의 LED BAR와 별도로 도면 상단에 5 자리 숫자의 기울기 값을 출력할 수 있는 측정값 출력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발광 지속 기간 설정부(160)는 가변 발광부(120)의 발광 지속 기간을 설정한다. 이 경우 발광 지속 기간을 설치 조건에 따라 설정함으로써 전력 소비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1000)가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발광 지속 기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고, 설치 위치에 따라 유선 전력을 공급받지 못할 뿐 아니라 배터리 교환까지도 어려운 위치에 설치된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1000)의 경우에는 외부 이벤트 발생시에만 잠시 발광하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발광 시작 신호 입력부(170)는 가변 발광부(120)가 발광을 시작하도록 하는 발광 시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미리 설정된 조건 하에서만 광이 출력되도록 구현하여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발광 시작 신호는,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적외선 신호,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인체 감지 신호 등 다양한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측정값 저장부(180)는 변위 측정값을 저장한다. 이러한 구성은 측정된 저장값을 사후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물 변형에 대한 대처를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통신부(190)는 변위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한다. 이러한 구성은 측정값을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위치의 사용자도 용이하게 변위 측정값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미리 설정된 통신 단말은 통신부(190)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설정되는 무선 통신 단말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관리자는 다수의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에 대해서도 각각 자신의 무선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조물 변형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1000)와 통신하기 위한 앱을 설치할 수 있고, 현장이나 원격지에서 특정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1000)를 호출하여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1000)로부터 여러 가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환경 정보 입력부(200)는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1000) 설치 위치에서의 환경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측정된 변위값에 대해 설치 위치의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변형 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구조물에서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그 변위가 구조물 자체의 변형이 아니라 구조물 주위의 환경에 의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변위일 수 있는 데, 변위 측정값으로부터 구조물의 변형을 검출하는 데 있어서 환경 정보 입력부(200)에 의해 이러한 요인을 반영할 수 있게 된다.
환경 정보는 구조물 주위의 온도, 습도, 풍속, 진동 등 여러 가지 환경에 관한 정보일 수 있으며, 환경 정보 입력부(200)는 이러한 환경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기상 정보 등을 수신하는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측정값 범위 변경부(210)는 입력된 환경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광의 색에 대응하는 변위 측정값의 범위를 변경한다. 이러한 구성은 동일한 장치에 대한 동일한 변위 측정값에 대해서도 다른 색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측정값 범위 설정부(130)에 동일하게 측정값 범위가 설정된 경우라도, 측정값 범위 변경부(210)는 환경 정보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되는 환경 정보에 따라 측정값 범위를 변경하여 가변 발광부(120)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구조물 변형 검출을 위해 환경 정보를 반영하는 경우에, 측정값 범위를 변경하지 않고, 오차 요인 자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오차 신호 출력부(220)는 입력된 환경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오차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동일한 변위 측정값에 대해서도 현장 인원이 다른 위험도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환경 정보 입력부(200)로부터 측정된 변위값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 요인이 검출된 경우,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1000)는 가변 발광부(120)의 동작은 측정값 범위 설정부(130)에 설정된 대로 수행하면서, 별도의 발광 장치(미도시)를 통해 환경 요인의 영향 가능성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100: 구조물 변위 측정부
120: 가변 발광부
130: 측정값 범위 설정부
140: 음향 출력부
150: 측정값 출력부
160: 발광 지속 기간 설정부
170: 발광 시작 신호 입력부
180: 측정값 저장부
190: 통신부
200: 환경 정보 입력부
210: 측정값 범위 변경부
220: 오차 신호 출력부
1000: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Claims (14)

  1. 구조물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된 위치에서의 상기 구조물의 변형을 검출하기 위한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로서,
    상기 설치된 위치에서의 구조물 변위를 측정하는 구조물 변위 측정부;
    상기 구조물 변위 측정값에 따라 변화하는 광을 출력하는 가변 발광부;
    상기 설치위치에서의 환경 정보를 입력받는 환경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광의 색깔에 대응하는 상기 변위 측정값의 범위를 변경하는 측정값 범위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발광부는 상기 변위 측정값의 변화에 따라 광의 색깔을 변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색깔에 대응하는 상기 변위 측정값의 범위를 설정하는 측정값 범위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색깔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발광부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측정값을 출력하는 측정값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발광부의 발광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발광 지속 기간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발광부가 발광을 시작하도록 하는 발광 시작 신호를 입력받는 발광 시작 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측정값을 저장하는 측정값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통신 단말은 상기 통신부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설정되는 무선 통신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환경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오차 신호를 출력하는 오차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KR20130062067A 2013-05-30 2013-05-30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KR101480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2067A KR101480391B1 (ko) 2013-05-30 2013-05-30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2067A KR101480391B1 (ko) 2013-05-30 2013-05-30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972A KR20140140972A (ko) 2014-12-10
KR101480391B1 true KR101480391B1 (ko) 2015-02-12

Family

ID=5245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2067A KR101480391B1 (ko) 2013-05-30 2013-05-30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3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386A (ja) * 2004-02-05 2005-08-18 Hitachi Ltd 物理量センサの較正データ管理方法、物理量センサ、較正装置および物理量センシングシステム
KR101160517B1 (ko) * 2011-09-20 2012-06-28 유지형 건설 구조물 상태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244304B1 (ko) * 2011-10-20 2013-03-18 박현옥 붕괴 사전 인식을 위한 지오그리드 기반 지반 변형 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386A (ja) * 2004-02-05 2005-08-18 Hitachi Ltd 物理量センサの較正データ管理方法、物理量センサ、較正装置および物理量センシングシステム
KR101160517B1 (ko) * 2011-09-20 2012-06-28 유지형 건설 구조물 상태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244304B1 (ko) * 2011-10-20 2013-03-18 박현옥 붕괴 사전 인식을 위한 지오그리드 기반 지반 변형 감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972A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83463B (zh) 一种基于安全帽的施工环境监测系统及方法
CN107918306B (zh) 现场设备的物理位置信息确定
KR101212630B1 (ko) 송전선로 모바일 감시시스템
JP6474948B2 (ja) 作業車両の管理システム
KR20190080258A (ko) 비탈면의 복합위험 감지시스템
US9064400B2 (en) Fencing
CN109205430A (zh) 电梯的安全检查装置、系统以及方法
US117530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 lights of traffic gates
KR101480391B1 (ko) 구조물 변형 검출 장치
CN104077885A (zh) 自动报警方法、装置及系统
KR101665947B1 (ko) Led모듈을 이용한 공정 상태 경보 시스템 및 경보신호의 경보모드 결정방법
CA2896868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led beacon lights
CN110671989B (zh) 一种基于桥梁顶升智能双位移传感器的控制系统
KR101750747B1 (ko) 블루투스 아이비콘을 이용한 전자식 화재감지기 및 수신시스템
JP2009271628A (ja) 安全監視システム
JP5357798B2 (ja) 建物状況表示システム
CN104869873A (zh) 用于监控烹饪设备的方法和具有温度传感器的烹饪设备
KR101602143B1 (ko) 크레인의 안전 감시 시스템
KR101006548B1 (ko)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외용 화염추적 시스템
CN201417487Y (zh) 光缆震动探测报警装置
TWM595296U (zh) 具消防警示的門禁系統
KR20200030746A (ko) 산업용 계측 제어 시스템
JP7399046B2 (ja) 通信装置
JP7407666B2 (ja) 通信装置
KR102433762B1 (ko) 승강기의 스마트 안전 제어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