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371B1 - 장치 내 공존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장치 내 공존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371B1
KR101480371B1 KR1020137011219A KR20137011219A KR101480371B1 KR 101480371 B1 KR101480371 B1 KR 101480371B1 KR 1020137011219 A KR1020137011219 A KR 1020137011219A KR 20137011219 A KR20137011219 A KR 20137011219A KR 101480371 B1 KR101480371 B1 KR 10148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val
signaling
variable
coexistence
signaling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6697A (ko
Inventor
창회 구
준 리
지준 카이
Original Assignee
블랙베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랙베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블랙베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6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LTE 시그널링을 비-LTE 시그널링으로부터 분리하는 전용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LTE 시그널링과 비-LTE 시그널링을 제어 및 분리함으로써 동일 장치의 인접 대역에서 전개되는 상이한 무선 기술들 간의 장치 내 공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비 간섭성 네트워크 노드가 핸드오프 후에 간섭성 네트워크 노드로 다시 전환되지 않도록 "유지 시간" 파라미터를 확립함으로써 공존 간섭을 회피하고 핑퐁 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문턱 값 기반형 트리거링 이벤트를 사용하는 공존 모드 핸드오버 절차가 제공된다. 공존 간섭은 동일한 장치에서 LTE 활동으로부터의 간섭없이 비-LTE 장치에 대한 시간 간격을 최대화하기 위해 비-LTE 활동이 존재하는지를 표시하는 활동 파라미터 및 고정형 또는 가변형 온 간격 파라미터를 제공함으로써 공존 간섭을 고려하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메카니즘을 제공함으로써 또한 회피된다.

Description

장치 내 공존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인접 대역에서 전개되는 상이한 무선 기술들 간의 공존 간섭(coexistence interference)을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성장하고 있는 스마트 접속 장치 시장은 동일한 장치가 장치 내 플랫폼에서 복수의 무선 기술을 지원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일부 구성은 장치 내 간섭 때문에 심각한 성능 감퇴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및 산업, 과학 및 의료(Industrial, Science and Medical; ISM) 기술을 둘 다 지원하는 장치(예를 들면, 블루투스 및/또는 WLAN)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술의 동시 운용을 위한 중요한 유즈케이스(use case)가 있다. 공존 문제는 인접 대역에서 전개되는 LTE와 ISM 기술들 간에 발생한다.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존 간섭은 ISM 송신이 LTE 수신기에 대하여 간섭을 생성하는 경우에 발생하고, LTE 송신이 ISM 수신기에 대하여 간섭을 생성하는 경우에도 또한 발생한다.
장치 내 구성에서 LTE 컴포넌트와 ISM 컴포넌트의 간섭
LTE TDD(2.3 ~ 2.4 GHz, 대역 40)
LTE UL(2.5 ~ 2.6 GHz, 대역 7)
ISM
(2.4 ~ 2.4835 GHz)
공존
Rx Tx LTE: 간섭받음
ISM: 정상
Tx Rx LTE: 정상
ISM: 간섭받음
유사한 공존 문제는 LTE 컴포넌트와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GPS) 컴포넌트를 둘 다 포함하는 장치에서도 발생한다. 아래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LTE 및 GPS 컴포넌트가 동일한 장치에서 동작할 때, 저조파 주파수에서 보호 주파수대의 할당에 의해 회피될 수 없는 인접 운용 또는 고조파 주파수에 기인하는 간섭이 발생할 것이다.
장치 내 구성에서 LTE 컴포넌트와 GPS 컴포넌트의 간섭
LTE
(777~787 MHz/(746~756 MHz, 대역 13)
(788~798 MHz/(758~768 MHz, 대역 14)
GPS
(1575.42 MHz)
공존
Tx Rx LTE: 정상
GPS: 간섭받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단말기 필터는 인접 채널 간섭에 대하여 충분한 거절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현재의 최신형 필터 기술을 이용하여 공존 간섭을 다루는데 있어서는 난제(challenge)가 있다. 이러한 난제는 LTE 컴포넌트가 특정 대역에서 송신할 때 간섭이 발생하는 단일 장치 내에 상기 컴포넌트들이 구성되는 경우에 특히 심각하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극복하도록 상이한 무선 기술들 간의 공존 간접을 관리하는 개선된 방법, 시스템 및 장치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종래의 공정 및 기술의 추가적인 제한 및 단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하는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하게 될 것이다.
LTE 시그널링을 비-LTE 시그널링으로부터 분리하는 전용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LTE 시그널링과 비-LTE 시그널링을 제어 및 분리함으로써 동일 장치의 인접 대역에서 전개되는 상이한 무선 기술들 간의 장치 내 공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비 간섭성 네트워크 노드가 핸드오프 후에 간섭성 네트워크 노드로 다시 전환되지 않도록 "유지 시간" 파라미터를 확립함으로써 공존 간섭을 회피하고 핑퐁 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문턱 값 기반형 트리거링 이벤트를 사용하는 공존 모드 핸드오버 절차가 제공된다. 공존 간섭은 동일한 장치에서 LTE 활동으로부터의 간섭없이 비-LTE 장치에 대한 시간 간격을 최대화하기 위해 비-LTE 활동이 존재하는지를 표시하는 활동 파라미터 및 고정형 또는 가변형 온 간격 파라미터를 제공함으로써 공존 간섭을 고려하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메카니즘을 제공함으로써 또한 회피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많은 목적, 특징 및 얻어지는 장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자원 관리 시그널링 절차가 공존 간섭을 다루기 위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 통화 흐름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은 오프 간격 중에 LTE 장치 신호 수신이 예상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제1값으로 "가능 링크"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 LTE 및 ISM 장치에 대한 신호 타이밍 흐름을 보인 도이다.
도 4는 오프 간격 중에 다운링크 LTE 장치 신호 수신이 예상됨을 표시하는 제2값으로 "가능 링크"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 LTE 및 ISM 장치에 대한 신호 타이밍 흐름을 보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른 UE-요청 핸드오버 시그널링 통화 흐름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은 오프 간격 중에 LTE 장치 신호 수신이 예상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제1값으로 "가능 링크"가 설정된 고정형 온 간격을 가진 핸드오버 시그널링 통화 흐름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오프 간격 중에 다운링크 LTE 장치 신호 수신이 예상됨을 표시하는 제2값으로 "가능 링크"가 설정된 고정형 온 간격을 가진 핸드오버 시그널링 통화 흐름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오프 간격 중에 LTE 장치 신호 수신이 예상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제1값으로 "가능 링크"가 설정된 가변형 온 간격을 가진 핸드오버 시그널링 통화 흐름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오프 간격 중에 LTE 장치 신호 수신이 예상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제1값으로 "가능 링크"가 설정된 가변형 온 간격을 이용한 핸드오버 시그널링 통화 흐름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10은 오프 간격 중에 다운링크 LTE 장치 신호 수신이 예상됨을 표시하는 제2값으로 "가능 링크"가 설정된 가변형 온 간격을 가진 핸드오버 시그널링 통화 흐름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형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보인 개략적 블록도이다.
동일 장치의 인접 대역에서 전개되는 상이한 무선 기술들 간의 장치 내 공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가 제공된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LTE 시그널링과 비-LTE 시그널링을 제어 및 분리함으로써 공존 운용 모드를 제공하는 무선 자원 관리 메카니즘(RRM) 및 시그널링 절차가 개시되고, 이것에 의해 공존 간섭이 없는 시분할 다중화 기반 솔루션을 확립한다. 시그널링 방식이 가능하도록, 무선 자원 제어 신호 메시지(예를 들면, CoExist-REQ, CoExist-RSP, CoExist-REJ, CoExistDeact-REQ 및 CoExistDeact-RSP) 및/또는 정보 요소(액션, 시작시간 옵셋, 유지 시간(Keeping Time), 온 간격, 오프 간격, 공존 주기, 최대 비율, 가능 링크(Possible Link), 및/또는 연장(Extension))이 장치 내 간섭을 회피하도록 시분할 다중화(TDM) 공존 모드로 동작할 수 있게끔 시그널링 동작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UE) 및 향상된 노드 B(eNB)에서 사용되도록 제공된다. 또한, 비 간섭성 네트워크 노드가 핸드오프 후에 간섭성 네트워크 노드로 다시 전환되지 않도록 "유지 시간" 파라미터를 확립함으로써 공존 간섭을 회피하고 핑퐁 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문턱 값 기반형 트리거링 이벤트를 사용하는 공존 모드 핸드오버 절차가 제공된다. 공존 간섭은 동일한 장치에서 LTE 활동으로부터의 간섭없이 비-LTE 장치에 대한 시간 간격을 최대화하기 위해 비-LTE 활동이 존재하는지를 표시하는 활동 파라미터(activity parameter) 및 고정형 또는 가변형 온 간격(on-interval) 파라미터를 제공함으로써 공존 간섭을 고려하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메카니즘을 제공함으로써 또한 회피된다.
이제, 본 발명의 각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종의 세부가 이하의 설명에서 나타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체적인 세부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 및 다수의 구현예 특유의 결정이 여기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대하여 행하여져서, 구현예마다 다를 수 있는 처리 기술 또는 설계 관련 제약과의 호환성과 같은 장치 설계자 특유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한 개발 노력이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이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기술에 통상이 지식을 가진 사람이 본 발명의 이익을 취하는 것은 일상적인 일이다. 예를 들면, 선택된 양태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대신에 블록도 및 흐름도 형태로 나타내었다. 또한, 여기에서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의 일부는 컴퓨터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대한 알고리즘 또는 동작과 관련하여 제시된다. 그러한 설명 및 표시는 당업자가 다른 당업자에게 그들의 작업 내용을 설명하고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각종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현행의 3GPP 논의는 복수의 무선 기술의 동시 운용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을 다루는 것과 관련된 기술적 난제를 취급하였다. 여기에서의 어려움은 예컨대 ISM 송신기가 LTE 수신기와 간섭할 때, 또는 LTE 송신기가 ISM 및 GPS 수신기 동작과 간섭을 야기할 때와 같이 서로 간섭할 수 있는 ISM(예를 들면, 블루투스 및/또는 WLAN) 및/또는 GPS 기술과 함께 LTE 기술을 지원하는 단일 장치의 예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 내 공존 간섭의 LS"라는 제목의 3GPP 리포트 R4-102268에서 보고된 것처럼, 블루투스(BT) 컴포넌트 에러율은 LTE 컴포넌트가 일부 BT 컴포넌트 채널 조건에 대하여 대역 7 또는 대역 40의 일부 채널에서 활성일 때 허용될 수 없다. 따라서, LTE 컴포넌트에 대하여 감퇴가 없다 하더라도, BT 컴포넌트와의 동시 운용은 BT 헤드셋에서 종결하는 음성 서비스의 허용할 수 없는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 LTE 송신이 GPS 컴포넌트에 의해 방해될 때 유사한 문제가 존재한다. 현재, LTE 자체는 어떠한 감퇴도 받지 않으므로 이 문제를 다루는 RRM 메카니즘이 없다. 비-LTE 컴포넌트에 의해 야기되는 LTE 컴포넌트에 대한 간섭 시나리오가 또한 있다. 예를 들면, 3GPP 리포트 R4-102268에서 보고된 것처럼, LTE 다운링크(DL) 에러율은 BT 컴포넌트가 활성이고 LTE가 대역 40에서 전개될 때 매우 높을 수 있다(PDSCH에서 44~55%).
상이한 무선 기술의 동시 운용으로부터의 잠재적 간섭을 더 설명하기 위해, 아래의 표 3은 테스트 데이터 및 3GPP 명세서 TS36.101 및 TS36.104로부터 취해진 LTE 및 WLAN 관련 RF 파라미터를 리스트한 것이고, 여기에서, 위조(spurious) 방사의 명세서 및 WLAN의 허용 간섭 전력은 "LTE와 WLAN 간의 공존 연구"라는 명칭의 3GPP 리포트 R4-100706으로부터 획득된 테스트 데이터에 기초를 둔다.
LTE 및 ISM 구성의 RF 파라미터
LTE BS LTE UE WLAN AP WLAN SS
Pout 46 dBm
(TS36.104)
23 dBm
(TS36.101)
위조 방사 -30 dBm/MHz
(TS36.104)
-30 dBm/MHz
(TS36.101)
-30 dBm/MHz
(지정되지 않음)
-40 dBm/MHz
허용 간섭 전력 -116 dBm/MHz
(@5dB Rx 잡음지수)
-105 dBm/MHz
(@9dB Rx 잡음지수)
-116 dBm/MHz
(지정되지 않음)
-105 dBm/MHz
(지정되지 않음)
OOB 차단 전력 필요조건 -30 MHz
(TS36.104)
-44 MHz
(TS36.101)
전력 종류 Pout=27 dBm Pout=20 dBm
주파수 옵셋 30 MHz 80 MHz 30 MHz 80 MHz
-40 dBm -25 dBm -35 dBm -25 dBm
현재의 최신식 필터 기술에 기초해서, 단말기 필터가 인접 주파수에 대하여 충분한 거절을 제공하는 것은 어렵다. 이것은 아래의 표 4를 참조하여 설명되며, 표 4는 표 3에 나타낸 파라미터에 기초한 LTE UE 및 WLAN 스테이션 서비스(SS) 구성의 최소 결합 손실(MCL) 필요조건을 보인 것이다.
LTE UE 및 WLAN SS 구성의 MCL 필요조건
간섭의 경우 위조 방사 차단
WLAN SS에 대한 LTE UE 75 dB 63 dB
LTE UE에 대한 WLAN SS 65 dB 71 dB
위에서 나타낸 것처럼, 지리적으로 공존하는 LTE UE와 WLAN SS 사이에는, 비록 이들이 동일한 장치 내에 있지 않더라도 간섭이 있다. 그 결과, 공존 간섭 문제는 장치 내 경우에 대하여 단일의 일반적인 RF 설계에 의해 해결되지 않는다. 장치 내 상호 간섭을 다루기 위해 동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필터링 동작을 제공하는 시도는 장치 설계 및 제조에 상당한 비용 및 복잡도를 추가한다.
예컨대 RSRQ 측정, 주파수간/RAT간 핸드오버, 셀 (재)선택, RLF 모니터링 및 접속 (재)확립과 같은 기존의 무선 자원 관리(RRM) 메카니즘 및 시그널링 절차를 이용하여 공존 간섭 문제를 다루기 위한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들은 공존 간섭을 취급하고 필요한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의 평가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RRC 메시지 교환을 이용하는 통상의 LTE 핸드오버 절차는 높은 DL 에러율이 DL 무선 링크 실패(RLF)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LTE DL 간섭이 있을 때 성공이 보장되지 않고, 이것은 UE가 다른 주파수에 액세스함으로써 접속을 재확립하려고 시도할 때 수용불능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기존의 RRM 메카니즘을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 이러한 문제점 중의 하나는 극한 시나리오에서만 사용되도록 제안되고 현행 접속의 QoS 보장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지 않은 RLF로부터의 복구 지연에 의해 야기되는 QoS 감퇴이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신호 흐름도(100)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것처럼, RLF를 선언하기까지의 시간은 RLF 타이머 T310 및 N310 카운터의 네트워크 설정에 따라서 매우 클 수 있다. UE(10)가 다른 장치 무선 컴포넌트(예를 들면, ISM)로부터 간섭을 검출하여 DL RLF를 선언한 때, UE는 비동기 표시(신호 흐름 1.1)를 보내기 전의 제1 측정 간격(16)(이 예에서는 200 ms가 필요한 것으로 도시됨) 중에 초기 조사를 수행한다. 그 다음에, UE는 RLF 타이머 T310으로부터의 카운터 지연(18)(예를 들면, 1000 ms), 주파수 스캐닝 지연(20)(예를 들면, 40 ms × k, 여기에서 k는 주파수의 수임), 및 RRC 접속이 신호 흐름 1.2를 통해 동일한 eNB 또는 다른 eNB의 셀(14)까지 확립되는 시간까지의 RRC 재접속 시간(22)(예를 들면, 적어도 200 ms)과 관련된 소스 eNB(12)에서의 추가 지연을 유도하는 다른 채널에 액세스하여야 한다. 이 예에서, RLF 복구는 무선 링크 실패를 결정하고 복구하는 데까지 적어도 1.56 초(=200ms+1000ms+40ms*k+200ms, k=4일 때)가 소요될 수 있다.
기존 RRM 메카니즘을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 다른 문제점은 새로운 주파수 채널에서의 재확립된 접속으로부터 장치 내 간섭에 의해 붕괴된 원래 주파수 채널로의 제2 핸드오버가 있을 때 발생하는 핑퐁 효과이다. 예를 들면, 핑퐁 시나리오는 붕괴된 채널에서의 바람직한 신호 강도가 새로운 주파수 채널보다 더 높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만일 핸드오버 결정이 UE(10)로부터의 RSRP 기반형 측정 보고에 기초를 둔 것이면, 핑퐁 효과는, 특히 붕괴된 채널을 가장 강한 채널로 되게 하는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에서 커버리지가 상이할 때, 붕괴된 채널과 바람직한 채널 사이에서 UE(10)를 전후로 이동시킨다. 만일 소스 eNB(12)가 핸드오버 결정을 하기 위해 RSRP 대신에(또는 추가로) RSRQ 측정을 사용하면 핑퐁 효과를 제거할 수 있지만, 이것은 어떤 UE가 그들의 ISM 무선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eNB(12)가 식별할 수 없으므로 eNB(12)가 셀 내의 모든 UE를 RSRQ 측정을 이용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고, 이것은 추가의 바람직하지 않은 구성/보고 오버헤드를 야기한다.
종래의 솔루션으로부터 공존 간섭 문제 및 제한을 다루기 위해, 충돌 가능성이 있는 시그널링 동작을 서로 분리시키는 자원 공유 또는 재할당 방식을 제공하는 시그널링 절차가 여기에서 설명된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시된 시그널링 절차는 LTE 컴포넌트와 비-LTE 컴포넌트(예를 들면, ISM과 GPS) 사이에서 공존 운용이 가능하도록 시분할 다중화(TDM) 동작 모드를 확립하기 위해 네트워크와 모바일 장치 사이에서 교환되는 새로운 RRC 시그널링 메시지를 규정함으로써 공존 운용 모드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LTE 컴포넌트와 비-LTE 컴포넌트 사이에서 공존 운용이 가능하도록 TDM 기반형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RRC 메시지에 삽입될 수 있는 새로운 정보가 규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안된 메시지(예를 들면, CoExist-REQ 및 CoExist-RES)의 기능성이 다른 새로운 또는 기존의 RRC 메시지(예를 들면, RRC접속재구성 또는 RRC접속재구성완료 또는 UE능력정보 메시지)의 정보 요소(IE)로서 채용될 수 있기 때문에 임의의 특수한 응용 또는 메시지 방식으로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UE가 장치 내 공존 문제를 가질 수 있는 다중 컴포넌트 UE임을 표시하는 새로운 정보 요소를 추가하기 위해 UE능력정보 메시지에 하나 이상의 비트가 추가될 수 있다. 물론, 여기에서 사용하는 특수한 용어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고, 메시지의 처리로부터 묘사된 기능 또는 결과를 달성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구성 메시지(또는 정보 요소)에 의해, UE가 UE 장치에서 비-LTE 컴포넌트의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eNB에게 보내는 공존 요청 메시지(예를 들면, CoExist-REQ)가 제공된다. 이 메시지/IE에 의해, UE 장치는 LTE 컴포넌트와 비-LTE 컴포넌트 사이에서 협력 시그널링을 지원하기 위해 동작들이 eNB와 함께 구성될 것을 요구한다. 뒤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공존 요청 메시지는 시작시간 옵셋, 유지 시간, 온 간격, 오프 간격, 가능 링크 및 액션과 같은 공존 운용 모드를 위한 제안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공존 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CoExist-RSP)는 공존 운용 모드를 허용하도록 CoExist-REQ에 응답하여 eNB에 의해 전송되는 구성 메시지/IE로서 또한 제공된다. 이 공존 응답 메시지에 의해, eNB는 UE의 요청에 기초해서 및/또는 스케줄링, HARQ 등과 같은 eNB의 운용 필요조건에 기초해서 공존 모드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할 수 있다.
공존 거절 메시지는 UE로부터의 공존 요청 메시지를 거절하도록 eNB에 의해 전송되는 구성 메시지/IE로서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존 거절 메시지는 별도의 메시지(예를 들면, CoExist-REJ)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 또는 필드를 구성 또는 추가함으로써(예를 들면, 유지 시간 파라미터를 "0"으로 설정함으로써) 공존 응답 메시지가 대신 사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공존 운용 모드를 디스에이블하기 위해 네트워크 eNB가 셀 내의 모든 UE에게 표시를 방송하게 함으로써 거절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
공존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공존 운용 모드를 비활성화 또는 수정하기 위해 UE에 의해 전송되는 구성 메시지/IE로서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존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별도의 메시지(예를 들면, CoExistDeact-REQ)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메시지의 목적을 표시하도록 미리 정해진 필드 또는 비트(예를 들면, 액션 필드)를 구성 또는 추가함으로써 공존 요청 메시지가 대신 사용된다.
공존 비활성화 응답 메시지는 공존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eNB에 의해 전송되는 구성 메시지/IE로서 또한 제공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존 비활성화 응답 메시지는 간청(solicitation) 없이 eNB에 의해 전송된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존 비활성화 응답 메시지는 별도의 메시지(예를 들면, CoExistDeact-RSP)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메시지의 목적을 표시하도록 미리 정해진 필드 또는 비트(예를 들면, 액션 필드)를 구성 또는 추가함으로써 공존 응답 메시지가 대신 사용된다.
UE 능력 메시지는 eNB에게 UE의 다중 컴포넌트 능력을 표시하기 위해 UE에 의해 전송되는 구성 메시지/IE로서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안된 운용 및 표준 명세서에 대하여 결정될 수 있는 특유의 파라미터를 가진 제안된 메시지 및/또는 정보 요소의 추가적인 세부를 아래의 표 5에 나타내었다.
제안된 메시지 및 정보 요소
정보 요소 CoExist-REQ CoExistDeact-REQ CoExist-RSP CoExistDeact-RSP 비고
액션 세트 리세트 또는 N/A 세트 리세트 또는 N/A 메시지 액션. 만일 4개의 메시지가 사용되면, CoExistDeact-REQ 및 RSP 메시지는 이 필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시작시간 옵셋 즉시 또는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즉시 또는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즉시 또는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즉시 또는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공존 모드 운용의 시작시간
유지 시간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N/A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N/A 공존 모드 운용의 종료시간
온 간격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N/A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N/A LTE 컴포넌트의 활성화를 위한 지속기간
오프 간격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N/A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N/A 비-LTE 컴포넌트의 활성화를 위한 지속기간
가능 링크 없음, DL, UL 또는 둘 다 N/A 없음, DL, UL 또는 둘 다 N/A 오프간격 중의 가능한 LTE 컴포넌트 링크
표 5에 리스트된 각 메시지(CoExist-REQ, CoExistDeact-REQ, CoExist-RSP, CoExistDeact-RSP) 하에서, "비고" 열에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을 제공하는 정보 요소 파라미터(동작, 시작시간 옵셋, 유지 시간, 온 간격, 오프 간격, 및 가능 링크)가 나타나 있다.
시작시간 옵셋 필드 또는 파라미터는 공존 모드 운용이 절대치 또는 상대치로서 시작할 때의 실제 동작 시간을 표시하고,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 서브프레임, 슬롯 또는 실제 시간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SFN은 공존 모드 운용의 시작을 표시하는 유용하고 용이한 기준점이다. 절대 시작시간 값은 절대 시간(예를 들면, SFN, 서브프레임, 슬롯 등)을 특정하고, 상대 시작시간은 시간 옵셋 값(예를 들면, 서브프레임, 슬롯 또는 절대 지속기간에서, 말하자면 100 밀리초)을 가진 시점(예를 들면, 응답 메시지가 UE에 의해 수신된 때)에 관한 시작시간 옵셋을 특정한다.
유지 시간 필드/파라미터는 UE 장치를 공존 모드로 유지하는 지속기간을 특정한다. 유지 시간 간격의 끝에서, UE 장치는 비-LTE 컴포넌트를 턴오프시키고 통상의 LTE 모드로 되돌아간다. UE에 의해 신호되는 대신에, 유지 시간 파라미터는 유지 시간 파라미터가 신호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예를 들면 비-LTE 컴포넌트를 턴오프시키도록 UE에게 요청하는 "턴오프" 표시자를 직접 보내게 함으로써 네트워크 구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러한 네트워크 제어는 비록 MAC CE가 더 적은 지연 및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요구하지만, MAC CE 또는 RRC 메시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UE는 비-LTE 컴포넌트를 턴오프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표시하는 턴오프 요청을 네트워크에게 보낼 수 있고(예를 들면, MAC CE를 통해서), 네트워크는 턴오프 표시자를 UE에게 다시 보낼 수 있다(예를 들면, MAC CE를 통해서).
온 간격 필드/파라미터는 LTE 컴포넌트가 비-LTE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키지 않고 DL 및 UL에서 모든 무선 자원을 이용(송신 및 수신)할 수 있을 때의 LTE 시그널링 지속기간을 특정한다. 온 간격 중에, 임의의 비-LTE 컴포넌트는 디스에이블될 것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오프 간격 필드/파라미터는 LTE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되거나 간섭을 수신하는 것 없이 비-LTE 컴포넌트가 송신 및 수신을 할 수 있을 때의 비-LTE 시그널링 지속기간을 특정한다.
가능 링크 필드/파라미터는 오프 간격(LTE 컴포넌트가 정상적으로 비활성화된 때) 동안에 동작을 계속할 수 있는 LTE 컴포넌트 활동(없음,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둘 다)을 특정한다. 이 필드는 GPS 컴포넌트가 항상 수신 상태에 있는 경우에 LTE 및 GPS 컴포넌트를 둘 다 포함하는 UE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GPS 컴포넌트는 오프 간격 동안에도 UE 장치에서 다운링크 LTE 신호를 수신하고, 그래서 LTE 컴포넌트는 각 컴포넌트들 간에 간섭을 야기하지 않고 수신을 위해 자원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능 링크 필드를 다운링크(DL)로 설정함으로써, LTE 컴포넌트는 오프 간격 동안에 DL 수신에서만 발생하는 시스템 정보, 페이징 및 MBSFN 서브프레임을 계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가능 링크 파라미터에 의해 특정된 링크는 온/오프 간격 지속기간에 관계없이 활성화될 것이다. 4개의 가능 링크 활동을 특정하기 위해 2 비트로서 충분하지만(예를 들면, "00=없음", "01=DL", "10=UL" 및 "11=둘 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링크 활동들이 추가의 또는 더 적은 비트로 특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라서, 메시지의 특유의 번호 및 명칭은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4개의 리스트된 메시지(CoExist-REQ, CoExistDeact-REQ, CoExist-RSP, CoExistDeact-RSP)는 예컨대 공존 요청 메시지를 지시하도록 메시지(예를 들면, CoExist-REQ 메시지)의 액션 필드를 설정함으로써, 및 공존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지시하는 제2값(예를 들면 "0")으로 설정함으로써 더 적은 수의 메시지로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oExist-RSP 메시지의 액션 필드는 CoExist-RSP 및 CoExistDeact-RSP 메시지를 둘 다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메시징 기능은 메시지가 CoExist-REQ 메시지의 수신 없이 비간청 방식으로 보내졌음을 표시하기 위해 "0"으로 CoExist-RSP(및 CoExistDeact-RSP) 메시지의 액션 필드 설정을 설정함으로써 이전 메시지에 의한 간청을 요구함이 없이 CoExistDeact-REQ 및 CoExistDeact-RSP 메시지로 대안적으로 간청될 수 있다. 액션 필드는 임의의 다른 정보 요소를 추가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메시징에 의해, UE 장치는 초기 공존 요청 메시지에서 파라미터 값들을 제안함으로써 공존 운용 모드를 요청하고, eNB는 공존 구성을 특정하는 운용 파라미터의 집합으로 응답한다. 만일 UE 장치의 LTE 컴포넌트가 특정의 공존 구성을 수행할 수 없거나 eNB로부터 CoExist-RSP 메시지에서 특정된 것과 다른 구성을 요청하고자 하면, LTE 컴포넌트는 공존 운용 모드를 재조정하기 위해 새로운 요청 파라미터와 함께 다른 CoExist-REQ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만일 LTE 컴포넌트가 CoExist-RSP 메시지에 응답하여 다른 CoExist-REQ 메시지를 보내지 않으면, LTE 컴포넌트는 CoExist-RSP 메시지에 의해 표시된 구성 파라미터를 암시적으로 수용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 통화 흐름(200)이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서 단일 UE 장치 플랫폼에 설치된 LTE 및 비-LTE 컴포넌트는 LTE 및 비-LTE 시그널링을 시간에 따라 분리하기 위해 공존 시그널링 메시지를 교환하고, 이것에 의해 공존 간섭을 회피한다. 이 공유된 플랫폼에서, UE(202)의 LTE 컴포넌트는 비-LTE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때의 순간을 알 수 있고, 신호 흐름 2.1에서 eNB(204)에게 요청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공존 모드 운용을 요청할 수 있다. eNB(204)는 LTE 및 비-LTE 컴포넌트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및 교호하는 운용 간격으로 공존 운용 모드를 규정하는 신호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로 UE(202)에게 응답한다(신호 흐름 2.2).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UE(202)는 비-LTE 컴포넌트로 전환시키는 내부 요청이 개시된 때를 검출한다(201). 그 응답으로, UE(202)(또는 그 LTE 컴포넌트)는 시작시간 옵셋, 유지 시간, 온 간격, 오프 간격, 가능 링크, 및 "1"로 설정된 액션 필드와 같은 제안된 공존 파라미터와 함께 요청 메시지(CoExist-REQ 메시지(2.1))를 eNB(204)에게 보낸다. 만일 UE(202)의 LTE 컴포넌트가 ISM 컴포넌트와 공존하면, 가능 링크 파라미터는 공존 간섭 문제가 없음을 보장하기 위해 "없음"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에, 만일 UE(202)의 LTE 컴포넌트가 GPS 컴포넌트와 공존하면, 가능 링크 파라미터는 GPS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되어 있는 동안에 LTE 컴포넌트가 DL에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DL"로 설정될 수 있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UE(202)의 LTE 컴포넌트는 요청 메시지를 eNB(204)에게 보내고, 그래서 LTE 컴포넌트는 공존 모드 중에 "온"으로 되거나 적어도 "온 간격"에서 활성화되어야 한다(220).
수신시에, eNB(204)는 요청 메시지(CoExist-REQ)에 응답하여 UE(202)에게 응답 메시지(CoExist-RSP 메시지(2.2))를 역으로 보낸다. 이 응답 메시지는 시작시간 옵셋, 유지 시간, 온 간격, 오프 간격, 가능 링크, 및 "1"로 설정된 액션 필드와 같은 (역 제안된) 공존 파라미터의 집합을 되돌려 보냄으로써 UE의 요청 메시지로부터의 제안된 공존 파라미터를 수용 또는 수정한다. 응답 메시지(2.2)는 공존 파라미터를 절대 구성 값 또는 델타 구성 값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절대값 구성에 의해, eNB(204)는 응답 메시지(2.2)의 모든 관련된 공존 파라미터를 보내지만, 델타값 구성에 의해, eNB(204)는 요청 메시지(2.1)와 다른 응답 메시지(2.2)의 공존 파라미터만을 보낸다.
UE(202)에 의해 수신된 응답 메시지의 공존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LTE 컴포넌트는 시작시간 옵셋(203)에서 시작하여 유지 시간(211)의 만료시까지 계속되며 그 사이에 온 간격(205, 209)(LTE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되는 간격)과 오프 간격(207)(비-LTE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되는 간격)이 교호하는 공존 운용 모드에 진입한다.
공존 모드(210) 중에, LTE 컴포넌트는, 선택적으로, 공존 운용 모드(210)의 지속기간을 연장할 것인지 종결할 것인지를 요청하는 갱신 메시지(2.3)를 eNB(204)에게 보낼 수 있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갱신 메시지(2.3)는 예를 들면 유지 시간을 종결 또는 연장함으로써 공존 운용 모드를 비활성화하거나 연장시키는, eNB(204)에서 수신되는 별도의 메시지(예를 들면, CoExistDeact-REQ 메시지)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갱신 메시지는 "0"으로 설정된 액션 필드를 가진 제1의 요청 메시지(CoExist-REQ 메시지)를 사용한다. 어느 경우이든, 갱신 메시지(2.3)는 시작시간 옵셋 및 "0"으로 재설정된 액션 필드와 같은 갱신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갱신된 시작시간 옵셋 값은 공존 운용 모드(210)의 새로운 종료점 또는 유지 시간 값을 특정한다.
eNB(204)는 이용가능한 온 간격(209) 중에 갱신 응답(2.4)을 보냄으로써 갱신 메시지(2.3)에게 응답한다(222). 선택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갱신 응답(2.4)은 별도의 메시지(예를 들면, CoExistDeact-RSP 메시지)이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갱신 메시지는 "0"으로 재설정된 액션 필드를 가진 제1의 응답 메시지(CoExist-RSP 메시지)를 사용한다. 갱신 응답 메시지(2.4)에 의해, 공존 운용 모드는 eNB 상태에 따라서, 예를 들면 유지 시간을 종결 또는 연장함으로써 비활성화되거나 연장된다(223). 비록 갱신 응답(2.4)이 갱신 메시지(2.3)에 응답하여 보내지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갱신 응답(2.4)은 갱신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 비간청 방식으로 보내질 수 있다(224). 예를 들면, 갱신 메시지(2.4)는 만일 공존 운용 모드가 연장 또는 조기 종결을 요구한다고 eNB(204)가 결정하면 간청 없이 보내질 수 있다(224). 유지 시간(211)이 만료되면, UE(202) 및 eNB(204)의 LTE 컴포넌트는 LTE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되고 비-LTE 컴포넌트가 디스에이블 및 턴오프되는 정상 모드로 되돌아간다(213).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LTE 및 ISM 컴포넌트를 구비한 UE 장치(304)와 eNB 장치(302) 사이에서 공존 운용 모드를 확립하는 신호 타이밍 흐름(300)이 도시되어 있다. 예상되는 공존 운용 모드는 요청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를 교환함으로써 구성되고, 여기에서 공존 파라미터의 "가능 링크" 설정은 비-LTE 장치 신호 수신이 오프 간격 중에 예상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제1값으로 설정된다. 먼저, UE(304)는 시작시간(예를 들면, 시작시간 옵셋(310)), 종료시간(예를 들면, 유지시간(318)), 온 간격(312), 오프 간격(314), 및 액션 필드(예를 들면, "1"로 설정됨)와 같은 제안된 공존 파라미터와 함께 제1 요청 메시지(3.1)(예를 들면, CoExist-REQ 메시지)를 eNB(302)에게 보낸다. 또한, 가능 링크 필드는 ISM 컴포넌트가 활성화된 때 LTE 신호 수신이 예상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LTE 및 ISM 컴포넌트에 대하여 "없음"(예를 들면, "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응답 메시지(3.2)(예를 들면, CoExist-RSP 메시지)에서, 제안된 파라미터들은 UE(304) 및 eNB(302)가 규정된 온 간격(312, 316)을 가진 공존 운용 모드를 확립하게끔 구성되도록 수용, 반복 또는 수정되고, 상기 온 간격 동안에 LTE 컴포넌트는 정상 운용 모드에 있다. 정상 운용 모드에서, UE(304)의 활성화된 LTE 컴포넌트는 업링크 데이터를 eNB(302)에게 보내고 다운링크 데이터를 eNB(302)로부터 수신하며, 비-LTE 컴포넌트는 디스에이블 및 턴오프된다. 확립된 공존 운용 모드는 LTE 컴포넌트가 디스에이블되고 비-LTE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되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규정된 오프 간격(314)을 또한 갖는다. 도시된 온 간격 및 오프 간격은 갱신 응답 메시지가 eNB(302)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유지 시간(318)의 만료시까지 교호하는 간격들이 반복되도록 고정된 지속기간 및 주기성을 각각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갱신 메시지는 유지 시간을 종결 또는 연장하도록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E(304)는 유지 시간의 연장 또는 조기 종결을 요청하기 위해 갱신 메시지(3.3)(예를 들면, CoExistDeact-REQ 메시지 또는 리세트 CoExist-REQ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eNB가 유지 시간을 연장 또는 종결하기 위해 (비간청) 갱신 응답 메시지(3.4)(예를 들면, CoExistDeact-RSP 메시지 또는 리세트 CoExist-RSP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유지 시간(318)의 만료시에, UE(304)는 정상의 LTE 모드로 되돌아가고(320) 비-LTE 컴포넌트는 비활성화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LTE 및 GPS 컴포넌트를 구비한 UE 장치(404)와 eNB 장치(402) 사이에서 공존 운용 모드를 확립하는 신호 타이밍 흐름(400)이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서 LTE 다운링크 장치 신호 수신은 오프 간격 중에 예상된다. 예상되는 공존 운용 모드는 요청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를 교환함으로써 구성되고, 여기에서 공존 파라미터의 "가능 링크" 설정은 LTE 다운링크 신호 수신이 오프 간격 중에 예상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제2값으로 설정된다. 예상된 공존 운용 모드를 구성하기 위해, UE(404)는 시작시간(예를 들면, 시작시간 옵셋(410)), 종료시간(예를 들면, 유지시간(418)), 온 간격(412), 오프 간격(414), 및 액션 필드(예를 들면, "1"로 설정됨)와 같은 제안된 공존 파라미터와 함께 제1 요청 메시지(4.1)(예를 들면, CoExist-REQ 메시지)를 eNB(402)에게 보낸다. 또한, 가능 링크 필드는 LTE 컴포넌트가 활성화된 때 LTE 다운링크 시그널링이 예상된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LTE 및 GPS 컴포넌트에 대하여 "DL"(예를 들면, "01")로 설정될 수 있다. 응답 메시지(4.2)(예를 들면, CoExist-RSP 메시지)에서, 제안된 파라미터들은 UE(404) 및 eNB(402)가 규정된 온 간격(412, 416)을 가진 공존 운용 모드를 확립하게끔 구성되도록 수용, 반복 또는 수정되고, 상기 온 간격 동안에 LTE 컴포넌트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정상 운용 모드에 있고, 한편 비-LTE 컴포넌트는 디스에이블 및 턴오프된다. 확립된 공존 운용 모드는 비-LTE 컴포넌트 및 LTE 다운링크 시그널링이 인에이블되지만 LTE 컴포넌트는 다른 방식으로 디스에이블되는 규정된 오프 간격(414)을 또한 갖는다. 이 구성에서, 비록 LTE 컴포넌트가 오프 간격(414) 내에 있다 하더라도, LTE 컴포넌트는 eNB(402)로부터 DL 트래픽 및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시된 온 간격(412) 및 오프 간격(414)은 갱신 메시지(4.3 및/또는 4.4)가 유지 시간(418)을 종결 또는 연장하도록 발생되지 않는 한 유지 시간(418)의 만료시까지 교대로 발생된다. 유지 시간(418)의 만료시에, UE(404)는 정상의 LTE 모드로 되돌아가고(420) 비-LTE 컴포넌트는 비활성화된다.
공존 운용 모드를 확립하기 위한 개시된 구성에 의해, LTE 및 비-LTE 시그널링은 상이한 시그널링 간격으로 분리되고, 이것에 의해 DL RLF 메카니즘과 관련된 QoS 감퇴 및 시간 지연을 야기하지 않고 공존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LTE 및 비-LTE 시그널링을 시간적으로 분리시키는 방식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으로, 공존 간섭은 제1 eNB/셀/주파수에서 공존 간섭이 있는 경우에 제1 eNB/셀/주파수로부터 제2 eNB/셀/주파수로 LTE 핸드오버를 수행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LTE 컴포넌트로부터 간섭을 받고 있는 LTE 컴포넌트는 기존의 RRM 절차를 이용하여 이웃 셀 또는 주파수로의 핸드오버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이전의 eNB/셀 또는 주파수가 더 강한 신호를 가질 때와 같이, 비-LTE 컴포넌트가 턴오프된 것에 기인하여 제1 eNB/셀/주파수에서의 상호 간섭이 감소될 때 LTE 컴포넌트가 이전의 eNB/셀/주파수로 되돌아가려고 시도할 때 "핑퐁" 핸드오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비-LTE 컴포넌트의 행동에 따라서, 핑퐁 핸드오버가 자주 발생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은 시그널링 오버헤드와 함께 대역폭을 소비한다. 핑퐁 핸드오버 동작을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해, 특정된 시간 간격 동안에 소스 eNB/셀/주파수로의 역으로의 핸드오버를 방지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트리거링 이벤트 및 관련 절차를 이용하는 개선된 핸드오버 동작이 설명된다.
개선된 핸드오버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이제,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라 UE 요청형 공존 핸드오버 운용에 대한 신호 흐름도(500)를 보인 도 5를 참조한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UE(502)는 소스 eNB/셀(504)이 타겟 eNB/셀(506)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요청하고, 여기에서 핸드오버는 주파수간 또는 RAT간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요청된 핸드오버는 타겟 eNB/셀(506)이 소스 eNB/셀(504)로 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이 금지되는 시간 간격 또는 유지 시간을 특정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공존 핸드오버 운용에 의해, UE(502)에서의 LTE 컴포넌트는 UE(502)에서 임의의 비-LTE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때를 eNB(504)에게 표시할 필요가 없고, UE(502)에서 비-LTE 컴포넌트로/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간섭을 회피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핸드오버가 완성된 후, UE(502)에서의 LTE 및 비-LTE 컴포넌트는 그들 사이에 어떠한 간섭도 없이 동시에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신호 흐름은 핸드오버가 필요하다는 것을 UE(502)가 검출한 때 시작한다. 이 결정은 UE(502)가 인에이블되거나 비-LTE 컴포넌트로 전환하는 것을 요청하는 내부 메시지 신호(5.1)를 수신하는 것과 같은 임의의 바람직한 트리거링 이벤트에 기초를 둘 수 있다. 그 응답으로, UE(502)는 이웃하는 eNB/셀 또는 주파수를 스캔(501)하여 그들의 신호 강도를 평가하고, UE(502)에서 비-LTE 시그널링과 간섭하지 않는 임의의 이웃 eNB 또는 셀을 식별한다. 스캔 결과에 따라서, UE(502)는 핸드오버를 위한 트리거링 이벤트를 식별하는 측정 보고(메시지 신호 5.2)를 발생하여 서빙 eNB/셀(504)에게 보낸다. 이 시점에서, LTE 컴포넌트는 공존 간섭을 충분히 회피하기 위한 타겟 eNB/셀 또는 주파수(506)를 선택한다(예를 들면, 주파수간 또는 RAT간). 핸드오버가 장치 내 공존 간섭에 의해 트리거된 경우에, 측정 보고(5.2)의 "이유/트리거링" 필드는 공존 간섭이 어떻게 검출되었는가에 따라서 그 원인을 "공존 간섭"으로서 식별한다.
효과적이고 신속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미리 정해진 트리거링 이벤트가 측정 보고(5.2)의 "이유/트리거링" 필드에서 사용하도록 제안된다. 특히, 아래의 표 6은 새로운 트리거 A6-A8 및 B3와 함께 3GPP TS 36.331에서 리스트된 핸드오버 트리거링 이벤트("진화형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E-UTRA); 무선 자원 제어(RRC); 프로토콜 명세서")를 나타낸 것이다.
핸드오버 경우의 트리거링 이벤트
이벤트 기존 및 새로운 트리거링 이유 HO 사용
A1 서빙 셀이 절대 문턱값보다 좋아진다 LTE
A2 서빙 셀이 절대 문턱값보다 나빠진다 LTE
A3 이웃 셀이 서빙 셀에 관한 옵셋보다 좋아진다 LTE
A4 이웃 셀이 절대 문턱값보다 좋아진다 LTE
A5 서빙 셀이 하나의 절대 문턱값보다 나빠지고 이웃 셀이 다른 절대 문턱값보다 좋아진다 LTE
A6 장치 내 공존 간섭 때문에 서빙 셀이 하나의 절대 문턱값보다 나빠지고 이웃 셀이 다른 절대 문턱값보다 좋아진다 LTE
A7 장치 내 공존 간섭 때문에 이웃 셀이 서빙 셀에 관한 옵셋보다 좋아진다 LTE
A8 장치 내 공존 간섭 때문에 서빙 셀이 절대 문턱값보다 나빠진다 LTE
B1 이웃 셀이 절대 문턱값보다 좋아진다 RAT간
B2 서빙 셀이 하나의 절대 문턱값보다 나빠지고 이웃 셀이 다른 절대 문턱값보다 좋아진다 RAT간
B3 장치 내 공존 간섭 때문에 서빙 셀이 절대 문턱값보다 나빠지고 이웃 셀이 다른 절대 문턱값보다 좋아진다 RAT간
표 6에 나타낸 것처럼, A6-A8의 트리거링 이벤트는 LTE 핸드오버용으로 제안되고, 트리거링 이벤트 B3는 RAT간 핸드오버용으로 제안된다. 트리거 이벤트 A6는 서빙 eNB/셀(504)의 신호 강도 측정치(예를 들면,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또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가 제1의 절대 문턱 값 이하이고 타겟 eNB/셀(506)의 신호 강도 측정치(예를 들면, RSRQ 또는 RSRP)가 제2의 절대 문턱 값 이상일 때 LTE 핸드오버를 요청하기 위해 UE(502)에서 사용된다. 트리거 이벤트 A7은 UE(502)에서의 장치 내 공존 간섭 때문에 이웃/타겟 eNB/셀(506)의 신호 강도 측정치가 서빙 eNB/셀(504)의 신호 강도 측정치에 관한 옵셋보다 좋을 때 LTE 핸드오버를 요청하기 위해 UE(502)에서 사용된다. 트리거 이벤트 A8은 UE(502)에서의 장치 내 공존 간섭 때문에 서빙 eNB/셀(504)의 신호 강도 측정치가 절대 문턱 값보다 나빠질 때 LTE 핸드오버를 요청하기 위해 UE(502)에서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트리거 이벤트 B3은 UE(502)에서의 장치 내 공존 간섭 때문에 서빙 eNB/셀(504)의 신호 강도 측정치가 절대 문턱 값보다 나빠질 때 RAT간 핸드오버를 요청하기 위해 UE(502)에서 사용된다.
UE(502)가 제안된 트리거 A6-A8 및 B3에 기초하여 주파수간/RAT간 측정 보고(5.2)를 보내기 위해, 서빙 eNB/셀(504)은 주파수간/RAT간 측정 대상에 대응하는 측정 아이덴티티로 UE(502)를 구성한다. RRC 접속 확립시에 또는 접속 모드에 있는 동안의 임의의 시간에, UE(502)는 UE(502)가 LTE 컴포넌트 및 기존의 비-LTE 컴포넌트(예를 들면, ISM 및/또는 GPS)를 둘 다 구비하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해 RRC 메시지를 서빙 eNB/셀(504)에게 보낸다. 이 메시지는 공존 간섭이 발생할 때 핸드오버를 행한 바람직한 타겟 캐리어 주파수(또는 회피할 캐리어 주파수)를 나타내는 UE(502)로부터의 표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서빙 eNB/셀(504)은 공존 간섭이 낮거나 허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캐리어 주파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아이덴티티를 구성할 수 있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빙 eNB/셀(504)은 캐리어 주파수가 비-LTE 컴포넌트 대역에 근접하여 위치되거나 UE(502)에 의해 표시된 것처럼 회피할 캐리어 주파수 중의 하나에 속하기 때문에 서빙 eNB/셀(504)의 캐리어 주파수가 간섭받을 가능성이 있으면 UE(502)의 주파수간/RAT간 측정 아이덴티티만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주파수간/RAT간 측정 아이덴티티용으로 구성된 측정 양은 비-LTE 컴포넌트 대역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을 포착하기 위해 RSRQ로 설정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리거링 핸드오버 메카니즘은 비-LTE 대역에서의 송신에 의해 야기되는 폭주(bursty) 간섭을 고려하도록 서빙 eNB/셀(504)의 RSRQ 측정에 적용될 수 있다. 트리거링 핸드오버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만일 RSRQ 신호 강도 측정치가 특정의 지속기간(Y) 동안 특정의 문턱 값(X) 이하이면, UE(502)에서의 카운터(N)는 1만큼 증분된다. 카운터(N)의 값이 특정의 문턱 값을 초과할 때, UE(502)는 구성된 측정 아이덴티티의 주파수/RAT에 대응하는 주파수간/RAT간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eNB(504)에게 보낸다.
핸드오버 트리거링 이벤트를 특정하는 것 외에, LTE 컴포넌트로부터의 측정 보고(5.2)는 시간 간격(예를 들면, 유지 시간)을 eNB/셀(504)에게 또한 제안한다. 특정된 유지 시간 값은 특정의 시간 간격 동안 타겟 eNB/셀(506)과의 새로운 접속을 유지하기 위해 핸드오버 후에 사용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유지 시간/시간 간격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eNB가 유지 시간 정보를 eNB/셀에게 방송하게 함으로써 UE(502)로부터의 시그널링에 의하기보다는 네트워크 정보에 의해 또한 제어될 수 있다.
측정 보고 메시지(5.2)를 수신한 때, 서빙 eNB/셀(504)은 UE(502)로부터 수신된 이유(예를 들면, 이유/트리거링 필드에 있는 것) 및 유지 시간을 식별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5.3)(HO-REQUEST)를 타겟 eNB/셀(506)에게 보낸다. 만일 UE(502)가 아직 타겟 eNB/셀(506)을 선택하지 않았으면, 소스 eNB/셀(504)은 소스 eNB/셀(504)을 포함하지 않은 타겟 셀의 리스트에서 타겟 eNB/셀(506)을 식별할 수 있다(503).
타겟 eNB/셀(506)에서, UE(502)의 자원들이 구성되고(505), 타겟 eNB/셀(506)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5.3)에 응답하여 서빙 eNB/셀(504)에게 유지 시간과 함께 핸드오버 확인응답 메시지(5.4)(HO-REQUEST-ACK)를 역으로 보낸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겟 eNB/셀(506)은 타겟 eNB/셀(506)에서의 상태 및/또는 환경 조건에 기초해서, UE(502)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부터 유지 시간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수신된 유지 시간 및 공존 간섭에 관한 임의의 식별된 트리거링 이벤트에 기초해서, 타겟 eNB/셀(506)은 적어도 유지 시간의 지속기간 동안 LTE 컴포넌트와의 새로운 접속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타겟 eNB/셀(506)은 이전의 서빙 eNB/셀(504)과 새로운 타겟 eNB/셀(506) 간의 바람직하지 않은 핑퐁 핸드오버를 회피하기 위해 유지 시간의 지속기간 동안 주파수를 서빙 eNB/셀(504)로 역으로 핸드오버할 수 없도록 UE(502)에게 지시한다.
핸드오버 확인응답 메지시(5.4)를 수신한 때, 서빙 eNB/셀(504)은 타겟 eNB/셀(506)에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UE(502)에게 지시하는 핸드오버 커맨드 메시지(5.5)(HO-COMMAND)를 보낸다. 핸드오버 커맨드 메시지(5.5)는 핑퐁 핸드오버를 방지하기 위해 UE(502)에 의해 사용되는 타겟 eNB/셀(506)에 의해 특정된 유지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드오버 커맨드 메시지(5.5)는 UE(502)가 유지 시간 간격 동안에 측정 보고를 발생하는 것을 금지시키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다른 핸드오버 절차의 개시를 금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핸드오버 커맨드 메시지(5.5)는 유지 시간 간격 동안에 시행되는 임의의 측정 보고로부터 서빙 eNB/셀(504)의 주파수를 배제하도록 UE(502)에게 지시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서빙 eNB/셀(504)에 대한 다른 핸드오버 절차의 개시를 금지할 수 있다.
타겟 eNB/셀(506)이 성공적으로 획득한 때, UE(502)는 핸드오버 절차의 완료를 표시하기 위해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5.6)(HO-COMPLETE)를 보낸다. 핸드오버의 완료 후에, 타겟 eNB/셀(506)은 유지 시간 간격 동안에 이전 서빙 eNB/셀(504)의 주파수로 역으로 UE의 핸드오버를 금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타겟 eNB/셀(506)은 서빙 eNB/셀(504)의 주파수에 없는 다른 타겟 eNB/셀(도시 생략됨)로의 핸드오버를 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공존 핸드오버 운용에 의해, 서빙 eNB/셀(504)은 UE(502)가 특정의 유지 시간 간격 동안에 서빙 eNB/셀(504)로 역으로 핸드오버되지 않아야 된다는 것을 타겟 eNB/셀(506)에게 통보한다. 이 제한은 UE(502)에서의 비-LTE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되지 않은 경우에도, 서빙 eNB/셀(504)(또는 동일 주파수의 임의 셀)의 신호 강도가 타겟 eNB/셀(506)의 신호 강도보다 더 높은 상황에서조차, 이전 서빙 eNB/셀(504)의 원래(original) 주파수로 역으로의 핸드오버를 금지한다. 만일 UE(502)의 핸드오버가 공존 간섭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타겟 eNB/셀(506)이 통지받지 않으면, 타겟 eNB/셀(506)은 UE(502)를 이전 서빙 eNB/셀(504)의 원래 주파수로 또는 비-LTE 컴포넌트가 디스에이블된 때의 주파수로 역으로 핸드오버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이것은 비-LTE 컴포넌트의 비활성화시에 원래의 셀(504)로부터 즉시 다른 핸드오버를 트리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만일 소스 eNB/셀 또는 주파수를 측정하는 LTE 컴포넌트에서의 제약이 없으면, 유지 시간 중의 다수의 연속적인 온 간격/오프 간격 반복이 바람직하지 않은 핑퐁 동작을 유도할 수 있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리거링 이벤트 A6-A8 및 B3는 공존 간섭이 UE(502)에서 검출된 때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UE(502)가 이웃 eNB/셀을 스캔하고 관련 측정 보고를 발생할 때, 측정 보고는 표시자(측정 보고가 공존 시나리오에 의해 야기된다는 것을 네트워크에게 표시하기 위해) 및 유지 시간 값(유지 시간 간격 동안에 핑퐁 핸드오버를 금지하기 위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LTE 및 비-LTE 시그널링을 시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시그널링 방식과 관련하여, 공존 간섭의 회피를 돕기 위해 UE 장치의 공존 운용 모드로 고정 온 간격을 구현하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하이브리드 ARQ 또는 HARQ) 방식이 여기에서 또한 설명된다. 이 구성에서, HARQ 절차(ARQ 오차 조절 기술을 이용한 순방향 오차 보정 부호화 및 오차 검출을 포함한다)는 비-LTE 컴포넌트의 활동 상태에 따라서, 공존 운용 모드에서 고정 온 간격 동안에만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이것에 의해 장치 내 LTE 컴포넌트로부터의 간섭 또는 HARQ 관련 시그널링 없이 오프 간격 동안에 비-LTE 컴포넌트가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공존 운용 모드용으로 확립된 고정 온 간격은 HARQ 동작에 따라 조정되지 않을 것이고, DL/UL 데이터 송신과 RRC 접속 상태로 동작하는 임의의 HARQ 절차는 LTE 컴포넌트의 고정 온 간격 동안에 송신이 제한되어 동일한 장치에서 임의의 인에이블된 비-LTE 컴포넌트가 공존 간섭 없이 오프 간격 동안에 송신/수신할 수 있게 한다.
고정 온 간격을 가진 제안된 HARQ 시그널링 방식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이제, ISM 컴포넌트가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에 LTE 컴포넌트 신호 수신이 예상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제1값으로 "가능 링크"가 설정되고 고정 온 간격을 가진 핸드오버 시그널링 통화 흐름(600)의 흐름도를 보인 도 6을 참조한다.
단계 602에서, 신호 흐름(600)은 비-LTE 컴포넌트 시그널링 동안에 LTE 신호 간섭 없이 UE의 LTE 컴포넌트가 ISM 컴포넌트와 공존하는 시나리오를 반영하기 위해 가능 링크 필드가 "없음"으로 설정되는 제어 신호 메시지 및/또는 정보 요소를 UE 장치가 발생할 때 시작한다. 이 경우에는 공존 간섭 문제가 없음을 보장하기 위해 3가지의 시나리오가 다루어진다.
제1 시나리오에서, UE는 HARQ 처리가 LTE 컴포넌트에서 이미 가동중에 있는지를 결정한다(단계 604). 만일 아니면(결정 단계 604에서 부정 결정), UE의 LTE 컴포넌트는 데이터 송신 모드에 있지 않고, 비-LTE 컴포넌트는 공존 간섭을 회피하도록 추가 동작 없이 쉽게 개시될 수 있다. 따라서, UE는 LTE 컴포넌트에 대한 고정 온 간격의 만료시에 비-LTE 컴포넌트를 인에이블한다(단계 606).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UE는 비-LTE 컴포넌트가 eNB와 요청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를 교환함으로써 인에이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UE는 LTE 컴포넌트에 대한 고정 온 간격 동안에 DL/UP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정상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LTE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킨다(단계 608).
LTE 컴포넌트에서의 HARQ 처리가 검출된 제2의 시나리오(결정 단계 604에서 긍정 결정)에서, UE는 비-LTE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단계 610). 만일 인에이블이 허용되지 않으면(결정 단계 610에서 부정 결정), UE는 예를 들면 LTE 컴포넌트가 데이터 송신 상태(예를 들면 HARQ가 가동중)에 있을 때 비-LTE 컴포넌트를 개시하는 것이 금지된다. 비-LTE 컴포넌트의 인에이블을 금지하는 결정(단계 612)은 UE의 모든 자원들이 LTE 컴포넌트에 할당될 수 있게 하고, 비-LTE 컴포넌트는 LTE HARQ가 LTE 컴포넌트에 의해 완료된 때 다음의 이용가능한 시간 간격까지 대기하도록 지시된다.
반면에, 비-LTE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될 수 있다고 UE가 결정하면(결정 단계 610에서 긍정 결정), UE는 LTE 컴포넌트에 대한 고정 온 간격의 만료시에 비-LTE 컴포넌트를 인에이블한다(단계 614). 이 제3 시나리오에서, LTE 컴포넌트에 대한 HARQ 관련 동작은 고정 온 간격 동안에만 수행된다. 이 동작은 온 간격이 만료되지 않는 한(결정 단계 616에서 부정 결정) DL, UL 또는 둘 다에 대하여 HARQ 동작(예를 들면, ACK/NACK, 재송신, 잔류 버퍼 등)을 수행함으로써 단계 618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온 간격이 만료되면(결정 단계 616에서 긍정 결정), 임의의 아직 진행중인 HARQ 동작은 중지되거나 다음의 이용가능한 온 간격까지 연기되거나 단순히 취소된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 온 간격의 만료에 기인하여 교환될 수 있는 HARQ 피드백이 없을 때, 네트워크는 DL HARQ 송신을 위해 LTE 컴포넌트로부터 ACK가 수신되는 것을 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L HARQ 송신을 위하여, LTE 컴포넌트는 네트워크로부터 NACK가 수신되는 것을 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온 간격을 가진 제안된 HARQ 시그널링 방식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이제, 오프 간격 동안에 다운링크 LTE 장치 신호 수신이 예상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제2값(예를 들면, DL)으로 "가능 링크"가 설정되고 고정 온 간격을 가진 핸드오버 시그널링 통화 흐름(700)의 흐름도를 보인 도 7을 참조한다. 이 경우에, eNB로부터의 다운링크 수신은 오프 간격 동안에 여전히 허용될 수 있다. UE가 항상 수신 상태에 있는 GPS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LTE 컴포넌트가 GPS 컴포넌트에 대하여 어떠한 간섭도 주지 않고 eNB로부터 DL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DL 링크 활동 표시가 사용될 수 있다.
단계 702에서, 신호 흐름(700)은 다운링크 LTE 장치 신호 수신이 오프 간격 동안에 예상되는 시나리오를 반영하기 위해 가능 링크 필드가 "DL"로 설정되는 제어 신호 메시지 및/또는 정보 요소를 UE 장치가 발생할 때 시작한다. 이 경우에는 공존 간섭이 없음을 보장하기 위해 3가지의 시나리오가 다루어진다.
제1 시나리오에서, UE는 HARQ 처리가 LTE 컴포넌트에서 이미 가동중에 있는지를 결정한다(단계 704). 만일 아니면(결정 단계 704에서 부정 결정), UE의 LTE 컴포넌트는 데이터 송신 모드에 있지 않고, 따라서, UE는 LTE 컴포넌트에 대한 고정 온 간격의 만료시에 비-LTE 컴포넌트를 인에이블하고(단계 706), LTE 컴포넌트에 대한 고정 온 간격 동안에 DL/UP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LTE 컴포넌트를 정상 모드에서 동작하게 한다(단계 708). 공존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한 교섭 절차는 비-LTE 컴포넌트의 개시 전에 수행되어야 한다.
LTE 컴포넌트에서의 HARQ 처리가 검출된 제2의 시나리오(결정 단계 704에서 긍정 결정)에서, UE는 비-LTE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단계 710). 만일 인에이블이 허용되지 않으면(결정 단계 710에서 부정 결정), UE는 비-LTE 컴포넌트를 개시하는 것이 금지되고(단계 712), 이것에 의해 충분한 자원 할당을 LTE 컴포넌트에게 제공한다. 이 시점에서, 비-LTE 컴포넌트는 LTE HARQ가 LTE 컴포넌트에 의해 완료된 때 다음의 이용가능한 시간 간격까지 대기하도록 지시된다.
제3 시나리오에서, UE는 비-LTE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될 수 있고(결정 단계 710에서 긍정 결정) 비-LTE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될 수 있다고 결정한다(단계 714). 이 경우에, LTE 컴포넌트에 대한 HARQ 관련 동작은 뒤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고정 온 간격 동안에만 수행된다. 특히, 온 간격이 만료되지 않는 한(결정 단계 716에서 부정 결정) DL, UL 또는 둘 다에 대한 HARQ 동작(예를 들면, ACK/NACK, 재송신, 잔류 버퍼 등)이 수행된다(단계 718). 그러나, 현재의 온 간격이 만료되면(결정 단계 716에서 긍정 결정), 임의의 아직 진행중인 HARQ 업링크 동작이 중지되거나 다음의 이용가능한 온 간격까지 연기되거나 단순히 취소된다(단계 720). 또한, 아직 진행중인 HARQ 다운링크 시그널링 및 eNB로부터의 트래픽이 있다고 UE가 검출하면(결정 단계 722에서 긍정 결정), HARQ 다운링크 동작이 현재의 고정 온 간격 동안에 허용될 것이고 오프 간격 동안에도 역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현재의 고정 온 간격의 끝에서 임의의 진행중인 HARQ 다운링크 시그널링 및 eNB로부터의 트래픽은 다음의 이용가능한 온 간격까지 연기될 것이다(단계 724). 선택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온 간격의 만료에 기인하여 교환될 수 있는 HARQ 피드백이 없을 때, 네트워크는 DL HARQ 송신에 대하여 LTE 컴포넌트로부터 ACK가 수신되었다고 가정할 것이다. UL HARQ 송신에 대하여, LTE 컴포넌트는 네트워크로부터 NACK가 수신되었다고 가정할 것이다.
LTE 및 비-TLE 시그널링을 시간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시그널링 방식과 관련하여, 공존 간섭을 회피하고 데이터 송신/수신 및 효율적인 HARQ 동작(예를 들면, 신속한 ACK/NACK 피드백, 잔류 버퍼 및 임의의 진행중인 동작 등)에 관한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돕도록 UE 장치의 공존 운용 모드에서 가변형 온 간격을 구현하는 HARQ 방식을 여기에서 또한 설명한다. 가변형 또는 연장형 LTE 온 간격의 제공은 LTE 컴포넌트가 장치 내 플랫폼에서 1차 컴포넌트일 때 LTE 컴포넌트에 할당되는 시간 자원을 최대화하도록 UE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이 구성에서, HARQ 절차는 비-LTE 컴포넌트의 행동 상태에 따라서 공존 운용 모드의 가변형 온 간격 동안에만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이것에 의해 비-LTE 컴포넌트가 장치 내 LTE 컴포넌트로부터의 간섭 또는 HARQ 관련 시그널링 없이 오프 간격 동안에 동작하게 할 수 있다. 가변형 온 간격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비-LTE 컴포넌트에 대한 보장된 시간 간격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HARQ 동작 동안에 LTE 컴포넌트에 대한 이용가능한 시간 간격을 최대화하기 위해 타이머 및 정보 요소들이 설명된다. 이 동작은 UL 허가 수신 및 RACH 절차와 같은 다른 동작에도 또한 유용할 수 있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라서, LTE 컴포넌트와 비-LTE 컴포넌트(예를 들면, ISM 및 GPS) 사이의 공존 운용이 가능하도록 고정형 또는 가변형 운용 모드를 확립하기 위해 네트워크와 모바일 장치 사이에서 교환되는 제안된 메시지 및/또는 정보 요소의 추가적인 세부를 아래의 표 7에 나타내었다. 대안적으로, 융통성 있는 또는 가변형 운용 모드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RRC 메시지에 삽입될 수 있는 새로운 정보 요소가 규정된다. 네트워크는 많은 다른 수단에 의해, 예를 들면 미리 구성된 또는 미리 설정된 세팅 등을 통해 가변형의 온 간격 동작으로 동작하도록 UE를 또한 구성할 수 있다.
가변형 온 간격 동작을 위한 제안된 새로운 정보 요소
정보 요소 CoExist-REQ(UE) CoExistDeact-REQ(UE) CoExist-RSP(eNB) CoExistDeact-RSP(eNB) 비고
액션 세트 리세트 세트 리세트(eNB는 비간청 방식으로 보낼 수 있다) 메시지 동작
시작시간 옵셋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즉시 또는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N/A 즉시 또는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공존 시작/종료 운용의 시작시간
유지 시간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N/A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N/A 공존의 종료시간
초기 온 간격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N/A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N/A LTE 컴포넌트의 초기 활성화 시간 간격
공존 주기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N/A SFN/서브프레임/슬롯 또는 시간 N/A 온 간격의 주기적 반복 후의 오프 간격의 주기
최대 비율 SFN/서브프레임/슬롯/시간 또는 % N/A SFN/서브프레임/슬롯/시간 또는 % N/A 공존 주기의 최대 온 간격 비율
가능 링크 없음, Tx, Rx 또는 둘 다 N/A 없음, Tx, Rx 또는 둘 다 N/A 오프간격 중의 가능한 LTE 컴포넌트 링크
연장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 N/A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 N/A 고정형 또는 가변형 온 간격의 사용
표 7에 리스트된 각 메시지(CoExist-REQ, CoExistDeact-REQ, CoExist-RSP, CoExistDeact-RSP) 하에서, "비고" 열에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을 제공하는 정보 요소 파라미터(액션, 시작시간 옵셋, 유지 시간, 초기 온 간격, 공존 주기, 최대 비율, 가능 링크 및 연장(extension))가 나타나 있다. 메시지 및 정보 요소의 동작 및 기능은 가변형 온 간격 동작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공존 주기, 최대 비율, 및 연장 요소 또는 파라미터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면 표 5의 것과 동일하다.
공존 주기 필드 또는 파라미터는 온 간격의 주기적 반복 후의 오프 간격의 주기를 특정한다. 그 값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 서브프레임, 슬롯 또는 실제 시간에 의해, 또는 복수의 온 간격 값으로서도 특정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된 공존 주기 필드 또는 파라미터는 LTE UE가 오프 간격과 관련하여 온 간격의 지속기간을 효과적으로 연장하는 공존 주기 필드 또는 파라미터보다 더 융통성 있는 지속기간을 갖게 한다.
초기 온 간격 필드 또는 파라미터는 LTE 컴포넌트가 활성화되는 동안의 초기 시간 간격을 표시하고, SFN, 서브프레임, 슬롯 등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초기 온 간격 값은 HARQ 동작, 및 LTE 컴포넌트의 DL 및 UL의 다른 필요한 동작을 위한 공존 주기 필드/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연장될 수 있다.
비록 공존 주기 필드/파라미터가 LTE 컴포넌트의 온 간격을 연장하는 것에 대한 융통성을 제공하지만, 이 융통성은 비-LTE 컴포넌트에 이용가능한 시간 자원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LTE 컴포넌트에 대한 과도한 자원 할당을 방지함으로써 비-LTE 컴포넌트를 보호하고 비-LTE 컴포넌트에 대하여 최소의 시간 자원이 할당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최대 비율 파라미터가 제공된다. 최대 비율 필드/파라미터는 복수로서, 비율로서, 또는 바람직한 것으로서 임의의 바람직한 시간 단위(SFN, 서브프레임, 슬롯, 시간 또는 백분위수)로 특정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된 최대 비율 필드/파라미터는 온 간격이 최대 비율 값을 넘어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된다. 동작시에, 만일 연장된 온 간격이 최대 비율 값에 도달하면, 온 간격은 종결되고 오프 간격이 시작되어 비-LTE 컴포넌트에 대한 시간 자원이 보장될 수 있다.
연장 필드/파라미터는 UE가 고정형 온 간격을 사용하는지 가변형 온 간격을 사용하는지를 표시한다. 만일 이 필드가 "인에이블"로 설정되면, LTE 컴포넌트는 가변형 온 간격을 사용하고, 만일 연장 필드/파라미터가 리세트되면, LTE 컴포넌트는 고정형 온 간격 동작을 사용한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가변형 온 간격에 제공될 수 있는 연장의 크기를 제한 또는 조절하는 데는 연장을 계속적으로 추적하기 위해 타이머 및 카운터를 사용하는 것을 비롯해서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공존 타이머는 시간 연장의 수를 카운트하고 시간 연장의 수가 연장된 온 간격 시간의 특정된 타이머 한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유지될 수 있다(예를 들면, UE에서, eNB에서 또는 둘 다에서). 특정된 타이머 한계 값이 표 7에 나타낸 파라미터와 함께 시그널링 메시지에 의해 설정될 수 있지만, 타이머 한계는 또한 미리 구성되거나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동작시에, 아래의 표 8에 나타낸 것처럼, 공존 타이머는 특정된 타이머 한계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시작 이벤트 및 종료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공존 타이머 및 가변형 온 간격 동작을 위한 공존 타이머 사용
타이머 유닛 시작 종료
공존 타이머 연속적인 PDCCH-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시간 1) PDCCH가 DL 또는 UL 데이터 송신을 표시한 때
2) UL 허가를 기다릴 때
3) ACK/NACK 송신 중일 때
4) RACH 절차가 진행중일 때
5) PUCCH에서 보내진 스케줄링 요청이 진행중일 때
1) 최대 비율에 도달한 때
2) 이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표시가 없을 때
3) 이 서브프레임에서 진행중인 ACK/NACK가 없을 때
표 8에 나타낸 예에서, 공존 타이머는 유닛 값(예를 들면, 연속적인 PDCCH-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지속기간)으로 특정된 타이머 한계를 갖는다. 공존 타이머는 특정의 시작 이벤트가 발생한 때, 예를 들면, (1) PDCCH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 송신이 있음을 표시한 때, 또는 (2) UE가 업링크 허가를 기다릴 때, 또는 (3) 진행중인 ACK/NACK 신호가 있는 때, 또는 (4) RACH 절차가 진행중인 때, 또는 (5) PUCCH에서 보내진 진행중인 스케줄링 요청이 있는 때 시작한다. 유사하게, 공존 타이머는 특정의 종료 이벤트가 발생한 때, 예를 들면, (1) 유닛의 수가 최대 비율에 도달한 때, 또는 (2) 이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표시가 없을 때, 또는 (3) 이 서브프레임에서 진행중인 ACK/NACK가 없을 때 정지 또는 종료한다.
표시된 공존 타이머에 의해, 온 간격은 공존 타이머가 가동중일 때 초기 온 간격을 넘어서 연장될 수 있다. 유닛 값을 설정하는 것 외에, eNB는 표 8의 어떤 트리거링 이벤트가 사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동작시에, 만일 공존 타이머의 특정된 시간 한계가 나머지의 온 간격 시간보다 더 크면, 실제 온 간격 시간은 공존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연장된다. 그렇지 않으면, 현재의 온 간격이 사용된다. 이 시간 연장은 최대 비율 값에 도달할 때까지 이벤트가 트리거될 때마다 반복될 수 있다. 다음 섹션에서는 가능 링크의 다른 설정에 기초해서 가변형 온 간격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가변형 온 간격을 가진 제안된 HARQ 시그널링 방식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이제, ISM 컴포넌트가 활성화된 때 LTE 컴포넌트 신호 수신이 예상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제1값(예를 들면, "없음")으로 "가능 링크"가 설정되고 가변형 온 간격을 가진 핸드오버 시그널링 통화 흐름(800)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 8을 참조한다.
단계 802에서, 신호 흐름(800)은 제어 신호 메시지 및/또는 정보 요소에서 연장 파라미터/필드가 설정되었는지를 UE 장치가 결정할 때 시작한다. 만일 아니면(결정 단계 802에서 부정 결정), 가변 온 간격 동작이 인에이블되지 않고, LTE 컴포넌트는 고정 온 간격 동작을 이용한다(804). 반면에, 만일 연장 필드/파라미터가 "인에이블"로 설정되면(결정 단계 802에서 긍정 결정), LTE 컴포넌트는 가변 온 간격 동작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및 업링크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806).
단계 808에서, UE는 온 간격을 연장할 목적으로 연장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한다. 만일 시작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으면(결정 단계 808에서 부정 결정), 온 간격이 만료되지 않는 한(결정 단계 810에서 부정 결정) LTE 컴포넌트에서 DL/UL 동작을 계속한다(단계 806). 그러나, 온 간격이 만료되면(결정 단계 810에서 긍정 결정), 비-LTE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되고(단계 816), 오프 간격이 만료되지 않는 한(결정 단계 818에서 부정 결정) 오프 간격 동안에 비-LTE 시그널링을 진행한다. 오프 간격이 만료된 때(결정 단계 818에서 긍정 결정) 온 간격 동안에 LTE 컴포넌트에서 DL/UL 동작을 계속한다(단계 806).
반면에, 만일 연장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UE가 결정하면(결정 단계 808에서 긍정 결정), 온 간격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만일 HARQ가 LTE 컴포넌트에서 가동중이고 메지시의 연장 필드/파라미터가 "1"로 설정되면, 연장 이벤트의 발생시(결정 단계 808에서 긍정 결정)에 공존 타이머를 나머지의 온 간격과 비교함으로써(단계 812) 온 간격이 연장될 수 있다. 만일 타이머 비교 단계(812)에서 공존 타이머가 나머지 온 간격보다 더 적은 시간을 갖는 것으로 표시하면(결정 단계 812에서 부정 결정), DL/UL 동작(단계 806)을 계속할 목적으로 현재의 온 간격이 유지된다(단계 814). 그러나, 만일 타이머 비교 단계(812)에서 공존 타이머가 나머지 온 간격보다 더 많은 시간을 갖는 것으로 표시하면(결정 단계 812에서 긍정 결정), UE는 단계 820으로 진행한다.
단계 820에서, UE는 공존 타이머가 최대 비율 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한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온 간격 타이머(및 임의의 연장)는 절대 시간 값을 이용하여 처리 및 평가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UE는 최대 비율 값과의 비교를 위해 연장된 온 간격에서 시간 누적을 계속 추적하기 위해 내부 파라미터를 유지한다. 그러나, 만일 상대 시간 흐름이 적용되면(예를 들면, 새로운 온 간격이 현재 시간 흐름에서 시작한다), 온 간격에 대한 총 시간은 누적 없이 계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만일 공존 타이머가 최대 비율 값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UE가 결정하면(결정 단계 820에서 부정 결정), 현재 온 간격은 정지되고 공존 타이머는 새로운 (연장된) 온 간격으로 LTE 컴포넌트에서 DL/UL 동작을 재개(단계 806)하기 전에 새로운 온 간격으로서 시작된다(단계 822). 그러나, 만일 공존 타이머가 최대 비율 값을 초과하면(결정 단계 820에서 긍정 결정), 최대 비율 값이 새로운 온 간격으로서 설정되고(단계 824), 새로운 온 간격이 만료되었음을 UE가 검출(결정 단계 828에서 긍정 결정)할 때까지 DL/UL 동작이 새로운 온 간격으로 LTE 컴포넌트에서 계속되며(단계 826), 이 시점에서 DL/UL 동작이 정지되고 다음의 이용가능한 온 간격을 기다린다(단계 830). 이 방법으로, 최대 비율이 비-LTE 컴포넌트에 대한 오프 간격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고, 그래서 LTE 컴포넌트의 일부 진행중인 DL/UL 동작이 있는 때에도 그 DL/UL 동작은 다음의 이용가능한 온 간격이 될 때까지 계속되지 않는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LTE 및 ISM 컴포넌트를 구비한 UE 장치(904)와 eNB 장치(902) 사이에 가변형 온 간격을 이용하여 HARQ 동작에 의해 공존 운용 모드를 확립하는 신호 타이밍 흐름(900)이 도시되어 있다. 예상되는 공존 운용 모드는 요청 및 응답 메시지를 교환함으로써 구성되고, 여기에서 공존 파라미터의 "가능 링크" 설정은 LTE 장치 신호 수신이 오프 간격 동안에 예상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제1값으로 설정된다. 먼저, UE(904)는 시작시간(예를 들면, 시작시간 옵셋(910)), 종료시간(예를 들면, 유지시간(918)), 온 간격(912), 공존 주기(914), 최대 비율 및 연장 필드와 같은 제안된 공존 파라미터와 함께 제1 요청 메시지(9.1)(예를 들면, CoExist-REQ 메시지)를 eNB(902)에게 보낸다. 또한, 가능 링크 필드는 ISM 컴포넌트가 활성화된 때 LTE 신호 수신이 예상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LTE 및 ISM 컴포넌트에 대하여 "없음"(예를 들면, "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응답 메시지(9.2)(예를 들면, CoExist-RSP 메시지)에서, 제안된 파라미터들은 UE(904) 및 eNB(902)가 규정된 온 간격(912, 916)을 가진 공존 운용 모드를 확립하게끔 구성되도록 수용, 반복 또는 수정되고, 상기 온 간격 동안에 LTE 컴포넌트는 UE(904)의 활성화된 LTE 컴포넌트가 업링크 데이터를 eNB(902)에게 보내고 다운링크 데이터를 eNB(902)로부터 수신하며, 비-LTE 컴포넌트가 디스에이블 및 턴오프된 때인 정상 운용 모드에 있다. 확립된 공존 운용 모드는 온 간격(912)에 할당되지 않은 공존 주기(914)의 일부로서 규정된 오프 간격을 또한 갖는다. 오프 간격에서, LTE 컴포넌트는 디스에이블되고 비-LTE 컴포넌트는 인에이블되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비록 도시된 온 간격 및 오프 간격이 유지 시간(918)의 만료시까지 반복하는 초기 지속기간 및 주기성을 각각 가질 수 있지만, 요청 및 응답 메시지(9.1, 9.2)에서 제공된 공존 파라미터는 현재 공존 주기의 최대 비율에 도달될 때까지 온 간격이 반복적으로 연장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eNB(902)는 애플리케이션, 트래픽 상태 등에 기초하여 "1"로 설정된 연장 필드와 함께 응답 메시지(9.2)(예를 들면, CoExist-RSP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가변형 온 간격을 이용하도록 UE(904)를 구성할 수 있다. 가변형 온 간격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때, UE(904-1)는 시작시간 옵셋(910)을 이용하여 LTE 시그널링을 위한 초기 온 간격을 확립함으로써 정상으로서 동작한다. 그러나, 연장 이벤트(922)가 검출된 때 UE(904-1)는 온 간격을 연장한다. 연장 이벤트의 예는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의 PDCCH 표시를 수신하는 것, 업링크 허가를 기다리는 것, 또는 ACK/NACK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연장 이벤트를 검출한 때, UE(904-1)는 공존 타이머를 시작하고 초기 온 간격을 정지하며(903), 이것에 의해 초기 온 간격에 연장 간격(911)을 제공하여 연장된 온 간격(913)을 발생한다. 연장은 어느 쪽이 먼저 발생하든, 종료 이벤트(905)가 검출될 때까지 또는 최대 비율 값 한계(909)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허가될 수 있다. 종료 이벤트의 예는 데이터 또는 진행중인 ACK/NACK가 없다는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9에서, 연장된 온 간격(913)은 검출된 종료 이벤트(905)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그 후 비-LTE 간격(915)이 공존 주기(914)의 균형값(balance)으로서 제공된다. 연장이 공존 주기(914) 전체를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UE(904-1)에서 최대 비율 값을 이용하여 LTE 활성화를 위해 이용가능한 연장의 크기를 공존 주기(914)의 미리 정해진 부분까지 제한한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UE(904-1)는 최대 비율 값과 공존 주기의 곱으로서 규정되는 최대 온 간격(909)까지 연장성 공존 시간 간격(907)을 포함하도록 온 간격을 연장할 수 있다. 그러나, 연장된 온 간격이 종결된 때, LTE 컴포넌트는 초기 온 간격 값으로 되돌아가는 다음 온 간격(916)까지 비활성화되고, 처리는 UE(904-1)가 정상의 LTE 모드(920)으로 되돌아가고 비-LTE 컴포넌트가 비활성화되는 때인 유지 시간(918)의 종료점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된다.
도 10은 가변형 온 간격을 가진 핸드오버 시그널링 통화 흐름의 흐름도를 보인 것이고, 여기에서 "가능 링크"는 다운링크 ISM 장치 신호 수신이 예상됨을 표시하는 제2값으로 설정된다.
가변형 온 간격을 가진 제안된 HARQ 시그널링 방식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이제, LTE 다운링크 신호 수신이 오프 간격 동안에 예상되는 것을 표시하는 제2값(예를 들면, "다운링크")으로 "가능 링크"가 설정되고 가변형 온 간격을 가진 핸드오버 시그널링 통화 흐름(1000)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 10을 참조한다. 이 구성은 LTE 및 GPS 컴포넌트를 둘 다 포함한 UE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단계 1002에서, 신호 흐름(1000)은 제어 신호 메시지 및/또는 정보 요소에서 연장 파라미터/필드가 설정되었는지를 UE 장치가 결정할 때 시작한다. 만일 아니면(결정 단계 1002에서 부정 결정), 가변 온 간격 동작이 인에이블되지 않고, LTE 컴포넌트는 고정 온 간격 동작을 이용한다(1004). 반면에, 만일 연장 필드/파라미터가 "인에이블"로 설정되면(결정 단계 1002에서 긍정 결정), LTE 컴포넌트는 가변 온 간격 동작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및 업링크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1006).
단계 1008에서, UE는 온 간격을 연장할 목적으로 연장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한다. 만일 시작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으면(결정 단계 1008에서 부정 결정), 온 간격이 만료되지 않는 한(결정 단계 1010에서 부정 결정) LTE 컴포넌트에서 DL/UL 동작을 계속한다(단계 1006). 그러나, 온 간격이 만료되면(결정 단계 1010에서 긍정 결정), 비-LTE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되고(단계 1012), 오프 간격이 만료되지 않는 한(결정 단계 1014에서 부정 결정) 오프 간격 동안에 비-LTE 시그널링을 진행한다. 오프 간격이 만료된 때(결정 단계 1014에서 긍정 결정) 온 간격 동안에 LTE 컴포넌트에서 DL/UL 동작을 계속한다(단계 1006).
반면에, 만일 연장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UE가 결정하면(결정 단계 1008에서 긍정 결정), 온 간격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만일 HARQ가 LTE 컴포넌트에서 가동중이고 메지시의 연장 필드/파라미터가 "1"로 설정되면, 연장 이벤트의 발생시(결정 단계 1008에서 긍정 결정)에 공존 타이머를 나머지의 온 간격과 비교함으로써(단계 1016) 온 간격이 연장될 수 있다. 만일 타이머 비교 단계(1016)에서 공존 타이머가 나머지 온 간격보다 더 적은 시간을 갖는 것으로 표시하면(결정 단계 1016에서 부정 결정), DL/UL 동작(단계 1006)을 계속할 목적으로 현재의 온 간격이 유지된다(단계 1018). 그러나, 만일 타이머 비교 단계(1016)에서 공존 타이머가 나머지 온 간격보다 더 많은 시간을 갖는 것으로 표시하면(결정 단계 1016에서 긍정 결정), UE는 단계 1020으로 진행한다.
단계 1020에서, UE는 공존 타이머가 최대 비율 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한다. 만일 공존 타이머가 최대 비율 값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UE가 결정하면(결정 단계 1020에서 부정 결정), 현재 온 간격은 정지되고 공존 타이머는 새로운 (연장된) 온 간격으로 LTE 컴포넌트에서 DL/UL 동작을 재개(단계 1006)하기 전에 새로운 온 간격으로서 시작된다(단계 1022). 그러나, 만일 공존 타이머가 최대 비율 값을 초과하면(결정 단계 1020에서 긍정 결정), 최대 비율 값이 새로운 온 간격으로서 설정되고(단계 1024) 새로운 온 간격이 만료되었음을 UE가 검출(결정 단계 1028에서 긍정 결정)할 때까지 DL/UL 동작이 새로운 온 간격으로 LTE 컴포넌트에서 계속되며(단계 1026), 이 시점에서 다운링크 동작은 오프 간격 동안에 계속되고 업링크 동작은 정지되어(단계 1030) 진행중인 업링크 동작이 있는 한(결정 단계 1032에서 긍정 결정) 다음의 이용가능한 온 간격을 기다린다(단계 1034). 이 방법으로, 최대 비율이 비-LTE 컴포넌트에 대한 오프 간격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고, 그래서 LTE 컴포넌트의 일부 진행중인 DL/UL 동작이 있는 때에도 그 DL/UL 동작은 다음의 이용가능한 온 간격이 될 때까지 계속되지 않는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형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무선 통신 장치(101)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무선 장치(101)는 위에서 설명한 특징들을 구현하는 특유의 컴포넌트들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무선 장치(101)는 단순히 예시 목적으로 매우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처리 장치(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128))는 키보드(114)와 디스플레이(126) 사이에 결합된 것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8)는 디스플레이(126)의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키보드(114)의 키를 조작한 것에 응답하여 무선 장치(10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장치(101)는 수직으로 연장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또는 다른 크기 및 형상(조가비(clamshell) 하우징 구조를 포함함)을 취할 수 있다. 키보드(114)는 모드 선택 키, 또는 텍스트 입력과 전화 입력 사이에서 스위칭을 하기 위한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8) 외에, 무선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구성요소들은 통신 서브시스템(170);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102); LED(104)의 집합, 보조 I/O 장치(106)의 집합, 직렬 포트(108), 스피커(111) 및 마이크로폰(112)을 포함한 다른 입력/출력 장치와 함께하는 키보드(114) 및 디스플레이(126); 플래시 메모리(116)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8)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및 각종의 다른 장치 서브시스템(120)을 포함한다. 무선 장치(101)는 무선 장치(101)의 능동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21)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 장치(101)는,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음성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이 있는 양방향 무선 주파수(RF) 통신 장치이다. 또한, 무선 장치(101)는,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능력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8)에 의해 실행되는 운영체제 소프트웨어는,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래시 메모리(116) 등의 영속적 저장 장치에 저장되지만, 읽기 전용 메모리(ROM) 또는 유사한 저장장치 요소와 같은 다른 유형의 메모리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특수 장치 애플리케이션, 또는 그 일부가 RAM(118)과 같은 휘발성 저장장치에 임시로 로드될 수 있다. 무선 장치(101)에 의해 수신된 통신 신호는 RAM(118)에 또한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8)는, 운영체제 기능 외에, 무선 장치(101)에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음성 통신 모듈(130A) 및 데이터 통신 모듈(130B)과 같은 기본 장치 동작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미리 정해진 집합은 제조 중에 무선 장치(101)에 인스톨될 수 있다. 또한, 개인 정보 관리자(PIM) 애플리케이션 모듈(130C)이 제조 중에 무선 장치(101)에 인스톨될 수 있다. PIM 애플리케이션은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메일, 캘린더 이벤트, 음성 메일, 약속 및 작업 항목과 같은 데이터 아이템을 조직 및 관리할 수 있다. PIM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110)를 통하여 데이터 아이템을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PIM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 아이템은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된 또는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과 관련된 장치 사용자의 대응하는 데이터 아이템과 무선 네트워크(110)를 통해 끊김없이 통합되고 동기화되고 갱신된다. 또한,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130N)로 표시된 추가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이 제조 중에 인스톨될 수 있다.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포함한 통신 기능은 통신 서브시스템(170)을 통해서, 및 아마도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102)을 통해서 수행된다. 통신 서브시스템(170)은 수신기(150), 송신기(152), 및 수신 안테나(154)와 송신 안테나(156)로서 도시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통신 서브시스템(170)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158) 및 국부 발진기(LO)(160)와 같은 처리 모듈을 또한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 서브시스템(170)은 각 RAT에 대하여 별도의 안테나 구성(안테나(154, 156)와 유사함) 및 RF 처리 칩/블록(수신기(150), LO(160) 및 송신기(152)와 유사함)을 포함하지만, 공통의 기저대역 신호 프로세서(DSP(158)와 유사함)가 복수의 RAT에 대한 기저대역 처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170)의 특수한 설계 및 구현은 무선 장치(101)가 작용하려고 의도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무선 장치(101)의 통신 서브시스템(170)은 모비텍스(Mobitex™), 데이터택(DataTAC™), 또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모바일 데이터 통신망과 함께 작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진보형 이동 전화기 서비스(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AMPS),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코드분할 다중 접속(CDMA), 개인 통신 서비스(PCS), 글로벌 이동통신 시스템(GSM) 등과 같은 다양한 음성 통신망 중의 임의의 것과 함께 작용하도록 또한 설계될 수 있다. CDMA의 예로는 1X 및 1x EV-DO가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170)은 또한 802.11 Wi-Fi 네트워크 및/또는 802.16 WiMAX 네트워크와 함께 작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데이터 및 음성 네트워크가, 분리형이든지 통합형이든지 간에 무선 장치(101)와 함께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액세스는 통신 시스템의 유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비텍스 및 데이터택 네트워크에 있어서, 무선 장치는 각 장치와 관련된 유일한 개인 식별 번호(PIN)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등록된다. 그러나, GPRS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액세스가 전형적으로 장치의 가입자 또는 사용자와 관련된다. 그러므로, GPRS 장치는 전형적으로 통상 가입자 식별 모듈(SIM) 카드라고 부르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구비하여 GPRS 네트워크에서 작용한다.
네트워크 등록 또는 활성화 절차가 종료된 때, 무선 장치(101)는 통신 네트워크(113)를 통해 통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수신 안테나(154)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113)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수신기(150)로 라우트되고, 수신기(150)는 신호 증폭, 주파수 다운 변환, 필터링, 채널 선택 등을 제공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은 DSP(158)가 복조 및 디코딩과 같은 더 복잡한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110)로 전송되는 신호는 DSP(158)에 의해 처리(예를 들면, 변조 및 인코딩)되어 송신기(152)에 제공되고, 송신기(152)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주파수 업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송신 안테나(156)를 통한 통신 네트워크(113)(또는 네트워크들)로의 송신을 제공한다.
통신 신호를 처리하는 것 외에, DSP(158)는 수신기(150) 및 송신기(152)의 제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수신기(150) 및 송신기(152)에서 통신 신호에 적용되는 이득은 DSP(158)에서 구현되는 자동 이득 제어 알고리즘을 통하여 적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텍스트 메시지 또는 웹 페이지 다운로드와 같은 수신 신호는 통신 서브시스템(170)에 의해 처리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128)에 입력된다. 수신 신호는 그 다음에 마이크로프로세서(128)에 의해 추가로 처리되어 디스플레이(126)에 출력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어떤 다른 보조 I/O 장치(106)에 출력된다. 장치 사용자는 키보드(114) 및/또는 어떤 다른 보조 I/O 장치(106), 예를 들면 터치패드, 라커 스위치, 덤휠, 또는 어떤 다른 유형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이메일 메시지 등의 데이터 아이템을 또한 구성할 수 있다. 구성된 데이터 아이템은 그 다음에 통신 서브시스템(170)을 거쳐서 통신 네트워크(113)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음성 통신 모드에서,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은 수신 신호가 스피커(111)로 출력되고 송신을 위한 신호가 마이크로폰(112)에 의해 발생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데이터 통신 모드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음성 메시지 기록 서브시스템과 같은 대안적인 음성 또는 오디오 I/O 서브시스템이 무선 장치(101)에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6)가 예를 들면 통화 당사자의 아이덴티티, 음성 통화 지속기간, 또는 다른 음성 통화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음성 통신 모드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102)은 반드시 유사한 장치일 필요가 없는 무선 장치(101)와 다른 근접 시스템 또는 장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은 적외선 장치 및 관련 회로 및 컴포넌트, 또는 유사하게 인에이블되는 시스템 및 장치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단일 플랫폼에서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예를 들면, LTE 컴포넌트)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예를 들면, GPS 또는 ISM)을 구비한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여기에서 설명하였다. 여기에서 설명한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공존 요청 메시지는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가변형의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과 함께 고정형의 공존 주기 지속기간을 가진 공존 모드를 확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안된 제어 파라미터를 운반하도록 전송된다. 공존 요청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제안된 제어 파라미터를 운반하도록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 첨부된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와 함께 RRC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또는 제안된 제어 파라미터를 운반하도록 RRC 시그널링 메시지(CoExist-REQ)를 전송함으로써 전송될 수 있다. 제안된 제어 파라미터는 공존 모드의 시작시간을 특정하는 시작시간 옵셋 파라미터, 공존 모드의 종료시간을 특정하는 유지 시간 파라미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의 초기 지속기간을 특정하는 초기 온 간격 파라미터, 가변형의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의 주기적 반복의 지속기간을 특정하는 공존 주기 파라미터, 고정형 공존 주기 지속기간에 대한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의 비율의 최대값을 특정하는 최대 비율 파라미터, 및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의 활동 유형을 특정하는 가능 링크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가능 링크 파라미터는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활동이 예상되지 않는 경우의 제1값,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다운링크 활동만이 예상되는 경우의 제2값,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업링크 활동만이 예상되는 경우의 제3값, 또는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업링크 및 다운링크 활동 둘 다가 예상되는 경우의 제4값을 가질 수 있다. 제어 파라미터는 연장 파라미터가 제1값을 갖는 경우에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에 대한 고정형의 온 간격을 특정하고 연장 파라미터가 제2값을 갖는 경우에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에 대한 가변형의 온 간격을 특정하는 연장 파라미터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에서,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한 가변형의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을 확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가 그 다음에 수신된다. 후속적으로,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는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적어도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도록 제어 파라미터에 의해 인에이블되고,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는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도록 제어 파라미터에 의해 인에이블된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는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가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연장 이벤트를 검출한 때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을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으로 연장함으로써 인에이블된다.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의 지속기간은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SFN, 슬롯, 서브프레임, 시간, 또는 고정형 공존 주기 지속기간의 백분율에 의해 특정되는 미리 정해진 상한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는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HARQ 업링크/다운링크 동작을 수행하고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임의의 나머지 HARQ 업링크/다운링크 동작을 정지하며, 만일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활동이 예상되지 않는다고 가능 링크 제어 파라미터가 표시하면 다음의 이용가능한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을 기다리도록 인에이블된다. 대안적으로,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는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HARQ 업링크/다운링크 동작을 수행하고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HARQ 다운링크 동작을 계속하여 수행하지만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임의의 나머지 HARQ 업링크 동작을 정지하며, 만일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다운링크 활동이 예상된다고 가능 링크 제어 파라미터가 표시하면 다음의 이용가능한 제1 시그널링 간격을 기다리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다.
예로서,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는 연장 이벤트를 검출하고;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을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으로 연장하며;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을 공존 타이머에 저장하고;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도록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킴으로써 인에이블될 수 있다. 동작시에, 공존 타이머는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의 측정치, 하나 이상의 시작 이벤트 및 하나 이상의 종료 이벤트를 저장한다. 또한,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는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HARQ 업링크/다운링크 동작을 수행하고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임의의 나머지 HARQ 업링크/다운링크 동작을 정지하며, 만일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활동이 예상되지 않는다고 가능 링크 제어 파라미터가 표시하면 다음의 이용가능한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을 기다리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는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HARQ 업링크/다운링크 동작을 수행하고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HARQ 다운링크 동작을 계속하여 수행하지만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임의의 나머지 HARQ 업링크 동작을 정지하며, 만일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다운링크 활동이 예상된다고 가능 링크 제어 파라미터가 표시하면 다음의 이용가능한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을 기다리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일 플랫폼에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가변형의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과 함께 고정형의 공존 주기 지속기간을 가진 공존 모드를 확립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가 UE에서 수신된다. 그 다음에, UE는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적어도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UE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에 의해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하고,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UE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에 의해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또한 인에이블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파라미터는 메시지 시그널링을 통해서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또는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에 의해 미리 구성됨으로써 UE에서 수신될 수 있다.
선택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는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초기 온 간격 동안에 연장 이벤트를 검출하고; 연장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공존 타이머를 시동시키며; 어느 것이 먼저 발생하든 공존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또는 고정형의 공존 주기 지속기간의 미리 정해진 최대 비율에 도달할 때까지 초기 온 간격을 연장시켜서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을 발생하고;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UE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도록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함으로써 인에이블된다. 동작시에, 공존 타이머는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의 측정치, 하나 이상의 시작 이벤트 및 하나 이상의 종료 이벤트를 저장한다. 시작 이벤트는 DL 또는 UL 데이터 송신의 PDCCH 표시, UL 허가를 기다리는 표시, 진행중인 ACK/NACK 송신의 표시, RACH 절차가 진행중이라는 표시, 또는 PUCCH에서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이 진행중이라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종료 이벤트는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이 최대 비율에 도달하였거나 최대 비율을 초과하였다는 표시, 진행중인 서브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없음 표시, 또는 진행중인 ACK/NACK가 없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UE)의 단일 플랫폼에 위치된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와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 간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에서 사용되는 방법이 개시되고, 이 방법은 공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UE의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가변형의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을 확립하기 위해 제어 파라미터와 함께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로써 UE의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는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적어도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고, UE의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는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다. 제어 파라미터는 공존 모드의 시작시간을 특정하는 시작시간 옵셋 파라미터, 공존 모드의 종료시간을 특정하는 유지 시간 파라미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의 초기 지속기간을 특정하는 초기 온 간격 파라미터, 가변형의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의 지속기간을 특정하는 공존 주기 파라미터, 고정형 공존 주기 지속기간에 대한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의 비율의 최대값을 특정하는 최대 비율 파라미터,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의 활동 유형을 특정하는 가능 링크 파라미터, 및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에 대한 고정형의 온 간격을 특정하는 연장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실행시 사용자 장비(UE)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를 공존 모드로 운용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적응된 명령어로 구체화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개시된다.
신호 통신에서 '결합된', '접속된', '전기적으로 접속된' 등과 같은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특수한 실시형태의 전반적인 문맥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컴포넌트들 간의 직접 접속, 또는 컴포넌트들 간의 간접 접속, 또는 이들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용어 '결합된'은 직접 전기 접속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많은 수정예 및 변형예가 전술한 설명에 비추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비록 여기에서 설명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상이한 시그널링 컴포넌트들이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공존 간섭을 회피하는 공존 운용 모드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매우 다양한 시그널링 방식 및 응용에 적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발명적 양태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한 특수한 실시형태들은 단순히 예시한 것이고, 본 발명은 여기에서의 설명으로부터 이익을 취하는 이 기술에 숙련된 사람들에게 명백한 상이하지만 등가적인 방식으로 수정 및 실시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을 여기에서 설명한 특수한 형태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그 반대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대안예, 수정예 및 등가물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이 기술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그들이 가장 넓은 형태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각종의 변경, 치환 또는 개조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36)

  1. 단일 플랫폼에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ser euipment; UE)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가변형의(variable)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과 함께 고정형의(fixed) 공존(coexistence) 주기 지속기간을 가진 공존 모드를 확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안된 제어 파라미터를 운반하도록 공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상기 가변형의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을 확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 상기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상기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로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enable)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상기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로 상기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는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 HARQ 업링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임의의 나머지 HARQ 업링크 동작을 정지하며, 다음의(subsequent) 이용가능한 제1 시그널링 간격을 기다리는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는 LTE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는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컴포넌트 또는 산업, 과학 및 의료(Industrial, Science and Medical; ISM) 컴포넌트를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는 공존 모드의 시작시간을 특정하는 시작시간 옵셋(Start Time Offset) 파라미터, 상기 공존 모드의 종료시간을 특정하는 유지 시간(Keeping Time) 파라미터,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의 초기 지속기간을 특정하는 초기 온 간격(Initial On-Interval) 파라미터, 상기 가변형의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의 주기적 반복의 지속기간을 특정하는 공존 주기(Coexistence Cycle) 파라미터, 상기 고정형의 공존 주기 지속기간에 대한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의 비율의 최대값을 특정하는 최대 비율(Maximum Ratio)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의 활동 유형을 특정하는 가능 링크(Possible Link) 파라미터를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는 연장(Extension)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파라미터는 연장 파라미터가 제1값을 갖는 경우에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에 대한 고정형의 온 간격(On-interval)을 특정하고 연장 파라미터가 제2값을 갖는 경우에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에 대한 가변형의 온 간격을 특정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는 가능 링크(Possible Link)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능 링크 파라미터는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활동이 예상되지 않는 경우의 제1값,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다운링크 활동만이 예상되는 경우의 제2값,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업링크 활동만이 예상되는 경우의 제3값, 또는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업링크 및 다운링크 활동 둘 다가 예상되는 경우의 제4값을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가 상기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연장 이벤트를 검출한 때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을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으로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을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으로 연장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상한에 의해 제한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에 대한 상기 미리 정해진 상한은 미리 정해진 SFN, 슬롯, 서브프레임, 시간, 또는 고정형 공존 주기 지속기간의 백분율로서 특정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 HARQ 업링크/다운링크 동작을 수행하고,
    가능 링크 파라미터가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활동이 예상되지 않는다고 표시한다면,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임의의 나머지 HARQ 업링크/다운링크 동작을 정지하고, 다음의 이용가능한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을 기다리도록,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 HARQ 업링크/다운링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HARQ 다운링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계속하지만,
    가능 링크 파라미터가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다운링크 활동이 예상된다고 표시한다면,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임의의 나머지 HARQ 업링크 동작을 정지하고, 다음의 이용가능한 제1 시그널링 간격을 기다리도록,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는,
    연장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을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으로 연장하는 단계와;
    상기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을 공존 타이머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상기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상기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도록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 HARQ 업링크/다운링크 동작을 수행하고,
    가능 링크 파라미터가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활동이 예상되지 않는다고 표시한다면,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임의의 나머지 HARQ 업링크/다운링크 동작을 정지하고, 다음의 이용가능한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을 기다리도록,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 HARQ 업링크/다운링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HARQ 다운링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계속하지만,
    가능 링크 파라미터가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다운링크 활동이 예상된다고 표시한다면,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임의의 나머지 HARQ 업링크 동작을 정지하고, 다음의 이용가능한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을 기다리도록,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존 타이머는 상기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의 측정치, 하나 이상의 시작 이벤트 및 하나 이상의 종료 이벤트를 저장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작 이벤트는 DL 또는 UL 데이터 송신의 PDCCH 표시, UL 허가를 기다리는 표시, 진행중인(pending) ACK/NACK 송신의 표시, RACH 절차가 진행중이라는 표시, 또는 PUCCH에서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이 진행중이라는 표시를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종료 이벤트는 상기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이 최대 비율에 도달하였거나 최대 비율을 초과하였다는 표시, 진행중인 서브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없음 표시, 또는 진행중인 ACK/NACK가 없다는 표시를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안된 제어 파라미터를 운반하도록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 첨부된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와 함께 상기 RRC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안된 제어 파라미터는 공존 모드의 시작시간을 특정하는 시작시간 옵셋 파라미터, 상기 공존 모드의 종료시간을 특정하는 유지 시간 파라미터,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의 초기 지속기간을 특정하는 초기 온 간격 파라미터, 상기 가변형의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의 주기적 반복의 지속기간을 특정하는 공존 주기 파라미터, 상기 고정형의 공존 주기 지속기간에 대한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의 비율의 최대값을 특정하는 최대 비율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의 활동 유형을 특정하는 가능 링크 파라미터를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안된 제어 파라미터를 운반하도록 RRC 시그널링 메시지(CoExist-REQ)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안된 제어 파라미터는 공존 모드의 시작시간을 특정하는 시작시간 옵셋 파라미터, 상기 공존 모드의 종료시간을 특정하는 유지 시간 파라미터,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의 초기 지속기간을 특정하는 초기 온 간격 파라미터, 상기 가변형의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의 주기적 반복의 지속기간을 특정하는 공존 주기 파라미터, 상기 고정형의 공존 주기 지속기간에 대한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의 비율의 최대값을 특정하는 최대 비율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의 활동 유형을 특정하는 가능 링크 파라미터를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21. 단일 플랫폼에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가변형(variable)의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과 함께 고정형의(fixed) 공존(coexistence) 주기 지속기간을 가진 공존 모드를 확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 상기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상기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로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enable)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상기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로 상기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는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 HARQ 업링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임의의 나머지 HARQ 업링크 동작을 정지하며, 다음의(subsequent) 이용가능한 제1 시그널링 간격을 기다리는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로 미리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초기 온 간격 동안에 연장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연장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공존 타이머를 시동시키는 단계와;
    어느 것이 먼저 발생하든 상기 공존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또는 상기 고정형의 공존 주기 지속기간의 미리 정해진 최대 비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초기 온 간격을 연장시켜서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을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상기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상기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도록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공존 타이머는 상기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의 측정치, 하나 이상의 시작 이벤트 및 하나 이상의 종료 이벤트를 저장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작 이벤트는 DL 또는 UL 데이터 송신의 PDCCH 표시, UL 허가를 기다리는 표시, 진행중인 ACK/NACK 송신의 표시, RACH 절차가 진행중이라는 표시, 또는 PUCCH에서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이 진행중이라는 표시를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종료 이벤트는 상기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이 최대 비율에 도달하였거나 최대 비율을 초과하였다는 표시, 진행중인 서브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없음 표시, 또는 진행중인 ACK/NACK가 없다는 표시를 포함한 것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사용하는 방법.
  27. 사용자 장비(user euipment; UE)의 단일 플랫폼에 위치한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와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가변형의(variable)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과 함께 고정형의(fixed) 공존(coexistence) 주기 지속기간을 가진 공존 모드를 확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안된 제어 파라미터를 운반하는 공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UE의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가 적어도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상기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인에이블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UE의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가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상기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인에이블될 수 있도록, 상기 UE의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상기 가변형의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을 확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 HARQ 피드백이 수신되지 않을 때, HARQ DL 송신에 대한 ACK가 상기 UE로부터 수신된다고 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에서 사용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는 공존 모드의 시작시간을 특정하는 시작시간 옵셋 파라미터, 상기 공존 모드의 종료시간을 특정하는 유지 시간 파라미터,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의 초기 지속기간을 특정하는 초기 온 간격 파라미터, 상기 가변형의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의 지속기간을 특정하는 공존 주기 파라미터, 상기 고정형의 공존 주기 지속기간에 대한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의 비율의 최대값을 특정하는 최대 비율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의 활동 유형을 특정하는 가능 링크 파라미터를 포함한 것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에서 사용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에 대한 고정형 온 간격을 특정하는 연장 파라미터를 더 포함한 것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에서 사용하는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는 가능 링크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능 링크 파라미터는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활동이 예상되지 않는 경우의 제1값,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다운링크 활동만이 예상되는 경우의 제2값,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업링크 활동만이 예상되는 경우의 제3값, 또는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업링크 및 다운링크 활동 둘 다가 예상되는 경우의 제4값을 포함한 것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에서 사용하는 방법.
  31. 제27항에 있어서,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 하나 이상의 시작 이벤트 및 하나 이상의 종료 이벤트를 저장하는 공존 타이머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에서 사용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작 이벤트는 DL 또는 UL 데이터 송신의 PDCCH 표시, UL 허가를 기다리는 표시, 진행중인 ACK/NACK 송신의 표시, RACH 절차가 진행중이라는 표시, 또는 PUCCH에서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이 진행중이라는 표시를 포함한 것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에서 사용하는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종료 이벤트는 상기 연장된 제1 시그널링 간격이 최대 비율에 도달하였거나 최대 비율을 초과하였다는 표시, 진행중인 서브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없음 표시, 또는 진행중인 ACK/NACK가 없다는 표시를 포함한 것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에서 사용하는 방법.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공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안된 제어 파라미터를 운반하도록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 첨부된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와 함께 상기 RRC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에서 사용하는 방법.
  35.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공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안된 제어 파라미터를 운반하도록 RRC 시그널링 메시지(CoExist-REQ)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에서 사용하는 방법.
  36. 실행될 시, 사용자 장비(user quipment; UE)를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한 공존 모드로 운용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가변형의(variable)의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과 함께 고정형의(fixed) 공존(coexistence) 주기 지속기간을 가진 공존 모드를 확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안된 제어 파라미터를 운반하도록 공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는 명령어;
    상기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하여 가변형의 제1 및 제2 시그널링 간격을 확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는 명령어;
    적어도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 상기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상기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로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enable)시키게 하는 명령어; 및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로/로부터의 간섭 없이 상기 UE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파라미터로 상기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인에이블시키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는 상기 가변형의 제1 시그널링 간격 동안 HARQ 업링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가변형의 제2 시그널링 간격 동안 임의의 나머지 HARQ 업링크 동작을 정지하며, 다음의(subsequent) 이용가능한 제1 시그널링 간격을 기다리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37011219A 2010-10-01 2010-10-01 장치 내 공존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80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0/051197 WO2012044329A1 (en) 2010-10-01 2010-10-01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697A KR20130066697A (ko) 2013-06-20
KR101480371B1 true KR101480371B1 (ko) 2015-01-12

Family

ID=4414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219A KR101480371B1 (ko) 2010-10-01 2010-10-01 장치 내 공존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900895B2 (ko)
EP (1) EP2622927B1 (ko)
JP (1) JP5544449B2 (ko)
KR (1) KR101480371B1 (ko)
CN (1) CN103262635B (ko)
BR (1) BR112013007266A2 (ko)
CA (1) CA2813292C (ko)
MX (1) MX2013003423A (ko)
WO (1) WO20120443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8833B2 (en) * 2006-02-09 2016-02-09 Altair Semiconductor Ltd. LTE/Wi-Fi coexistence
WO2012044328A1 (en) 2010-10-01 2012-04-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EP2622926B1 (en) * 2010-10-01 2017-09-2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WO2012053755A2 (ko) * 2010-10-19 2012-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dc 간섭 제거를 위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057590A2 (en) * 2010-10-29 201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a user equipment
WO2012061765A1 (en) * 2010-11-05 2012-05-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Wtru measurements handling to mitigate in-device interference
KR101857531B1 (ko) * 2010-11-08 2018-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라디오 환경에서 기기내 공존 간섭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03019B1 (ko) 2011-01-07 2017-12-01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기내 공존 간섭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EP2664188B1 (en) * 2011-01-10 2023-05-1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existence interference
US20120195298A1 (en) * 2011-02-01 2012-08-02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avoid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202090B (zh) * 2011-02-11 2016-08-31 富士通株式会社 降低终端设备中通信模块间干扰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8805303B2 (en) 2011-02-18 2014-08-1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with preferred frequency notification
KR101832261B1 (ko) * 2011-04-01 2018-02-27 주식회사 팬택 단말내 공존 간섭 회피를 위한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WO2012145905A1 (zh) * 2011-04-28 2012-11-01 富士通株式会社 工作状态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3636256B (zh) * 2011-05-11 2018-01-16 诺基亚通信公司 用于具有共存无线电的设备的切换的方法和装置
JP2013034149A (ja) * 2011-08-03 2013-02-14 Sony Corp 端末装置、通信制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US9026156B2 (en) * 2011-11-07 2015-05-0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in-device co-existence signaling
GB2500583B (en) 2012-03-23 2014-10-22 Broadcom Corp Interference control
US20150201449A1 (en) * 2012-06-21 2015-07-16 Lg Electronics Inc. Operating method based on autonomous denial pattern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US8849293B2 (en) 2012-07-31 2014-09-30 Blackberry Limited Hand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JP6201997B2 (ja) 2012-08-13 2017-09-2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GB2506390B (en) * 2012-09-27 2015-04-08 Broadcom Corp Network resource usage
US9414399B2 (en) 2013-02-07 2016-08-09 Commscope Technologies Llc Radio access networks
US9380466B2 (en) 2013-02-07 2016-06-28 Commscope Technologies Llc Radio access networks
US9936470B2 (en) 2013-02-07 2018-04-03 Commscope Technologies Llc Radio access networks
WO2015133955A1 (en) * 2014-03-03 2015-09-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ing access steering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WO2015149880A1 (en) * 2014-04-04 2015-10-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uplink transmission adaptation
EP3152970B1 (en) 2014-06-09 2020-03-11 Airvana LP Scheduling the same resource in radio access networks
US9264961B1 (en) * 2014-10-17 2016-02-16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handover with pre-configuration of timing advance
US9392511B1 (en) * 2015-01-06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Assignment of mobility classifications to mobile devices
US10462724B2 (en) * 2015-06-09 2019-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avoiding conflicts between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serving user equipment
US10785791B1 (en) * 2015-12-07 2020-09-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in radio access networks
US10694533B2 (en) * 2016-12-19 2020-06-23 T-Mobile Usa, Inc. Network scheduling in unlicensed spectrums
US20180317232A1 (en) * 2017-04-27 2018-11-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or system for reducing uplink channel interference
EP3402288B1 (en) * 2017-05-12 2021-02-24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467615B1 (ja) 2017-08-07 2019-02-13 株式会社Tree Field 飲料製造装置及び制御方法
JP6480525B2 (ja) 2017-08-07 2019-03-13 株式会社Tree Field 飲料製造装置
JP6467614B1 (ja) 2017-08-07 2019-02-13 株式会社Tree Field 飲料製造装置及び制御方法
US11678358B2 (en) 2017-10-03 2023-06-13 Commscope Technologies Llc Dynamic downlink reuse in a C-RAN
CN109788486A (zh) * 2017-11-14 2019-05-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及装置
TWI666956B (zh) 2018-01-02 2019-07-2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無線區域網路暨藍牙裝置
EP3794888A4 (en) 2018-05-16 2022-01-19 CommScope Technologies LLC DYNAMIC DOWNLINK REUSE IN A C-RAN
US11395259B2 (en) 2018-05-16 2022-07-19 Commscope Technologies Llc Downlink multicast for efficient front-haul utilization in a C-RAN
EP3804419A4 (en) 2018-06-08 2022-02-23 CommScope Technologies LLC AUTOMATIC TRANSMIT POWER CONTROL FOR RADIO POINTS IN A 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 THAT PROVIDE PRIMARILY WIRELESS SERVICE TO USERS LOCATED IN AN EVENT ZONE OF A VENUE
JP6653924B2 (ja) 2018-08-07 2020-02-26 株式会社Tree Field 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847788A4 (en) 2018-09-04 2022-05-11 CommScope Technologies LLC FRONTHAUL RATE REDUCTION FOR USE IN A 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
US11889434B2 (en) * 2019-09-23 2024-01-30 Mediatek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ne or more throughput enhancement techniques
CN112788684B (zh) * 2020-12-17 2023-08-08 上海途鸽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提高终端连网质量的方法以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7295A2 (en) 2008-05-06 2009-11-12 Intel Corporation Multi-transceive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negative scheduling
KR20100028453A (ko) * 2008-09-04 201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무선 통신 구간 할당 방법
KR20130096745A (ko) * 2010-09-28 2013-08-3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공존 동작 모드 확립 방법, 사용자 장비, 기지국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459A (ko) 2002-12-30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랜의 송신기
US7366128B2 (en) 2003-05-06 2008-04-29 Vtech Telecommunication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two communications systems
EP1700436B1 (en) * 2004-02-24 2007-07-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erminal apparatus for enabling a plurali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to coexist
US7643811B2 (en) 2004-05-26 2010-01-0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ference detection
US20060292987A1 (en) * 2005-06-27 2006-12-28 Lior Ophir Method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Bluetooth network coexistence in a collocated device
WO2007116835A1 (ja) * 2006-04-03 2007-10-18 Panasonic Corporation 通信システム間の共存を可能にする通信装置
US8494546B2 (en) * 2006-10-16 2013-07-23 Stmicroelectronics, Inc. Method of inter-system communications dynamic spectrum access network systems-logical control connections
FI20065699A0 (fi) 2006-11-06 2006-11-06 Nokia Corp HARQ-vastaanotto moniradiolaitteessa
KR100842712B1 (ko) 2006-11-28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중 간섭 회피 방법 및 장치
EP1959612B1 (en) * 2007-02-19 2010-11-10 ST-Ericsson Belgium NV Radio coexistence mechanism for variable data rate radio links
US8204036B2 (en) * 2007-02-28 2012-06-19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existence
US7941178B2 (en) * 2007-04-06 2011-05-10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for coexistence of differing wireless radio protocols
WO2008142529A2 (en) 2007-05-22 2008-11-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inter-system interference based radio control
US8112358B2 (en) * 2007-06-04 2012-02-07 Qualcomm Atheros, Inc. Authorizing customer premise equipment on a sub-network
US8422442B2 (en) 2007-06-13 2013-04-16 Panasoni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7725118B2 (en) * 2007-08-22 2010-05-25 Intel Corporation Multi-radio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ordinating communications between potentially interfering radios
WO2009031108A2 (en) 2007-09-04 2009-03-12 Nokia Siemens Networks Oy Reduced ping pong occurrence during handover
US9107172B1 (en) 2007-09-20 2015-08-11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existence interference
US7907572B2 (en) * 2007-09-28 2011-03-15 Intel Corporation Collocated radio coexistence method
US8045922B2 (en) * 2007-11-23 2011-10-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bluetooth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existence using a single antenna in a collocated device
KR101471559B1 (ko) 2007-12-11 2014-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90180451A1 (en) 2008-01-10 2009-07-16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ordina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portunities in a communications device incorporating multiple radios
KR101467783B1 (ko) * 2008-02-25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과의 공존 지원 방법
KR101490245B1 (ko) * 2008-02-25 201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서브채널 할당을 고려한 공존지원 방법
KR101467782B1 (ko) * 2008-02-25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 공존 지원 방법
WO2009116917A1 (en) 2008-03-18 2009-09-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 transceiver for harq failure detection
US8689026B2 (en) * 2008-05-20 2014-04-01 Intel Corporation Enhancing power efficiency in a wireless internet card
FI20085480A0 (fi) 2008-05-21 2008-05-21 Nokia Corp Radioliityntälaitteiden samanaikaisuus
KR20100004766A (ko) 2008-07-04 201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레임 할당을 이용한 공존 통신 수행방법
US8116684B2 (en) * 2008-07-30 2012-02-14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improve the radio co-existence of wireless signals
US8730853B2 (en) * 2008-09-05 2014-05-20 Mediatek Inc. Methods for responding to co-located coexistence (CLC) request from a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s apparatuses capable of controlling multi-radio coexistence
US8199709B2 (en) * 2008-12-31 2012-06-12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200161B2 (en) 2009-04-22 2012-06-12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selection of a coexistence method and transmit power level based on calibration data
US8331289B1 (en) 2009-05-11 2012-12-11 Marvell International, Ltd. Bluetooth / Wi-Fi coexistence
JP5293395B2 (ja) * 2009-05-13 2013-09-1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における放送波検出方法
CN101742526B (zh) 2009-12-04 2013-05-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抑制WiMAX与WiFi共存干扰的装置及方法
US8462622B2 (en) 2009-12-08 2013-06-11 Qualcomm Incorporated Detection of co-located interference in a multi-radio coexistence environment
US20120113906A1 (en) 2010-03-30 2012-05-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US10911961B2 (en) * 2010-03-31 2021-02-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US8724545B2 (en) 2010-03-31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US9055556B2 (en) 2010-04-01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radios and mapping applications to radios on a wireless device
US8995359B2 (en) * 2010-04-05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EP2471301B1 (en) 2010-06-18 2018-08-08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multiple radio transceivers within the same device platform
US8838046B2 (en) 2010-06-18 2014-09-16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 of hybrid FDM/TDM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SG10201506368RA (en) 2010-08-13 2015-09-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device interference mitigation
WO2012044328A1 (en) 2010-10-01 2012-04-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EP2622926B1 (en) 2010-10-01 2017-09-2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US8780880B2 (en) 2010-10-01 2014-07-15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of TDM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US8873480B2 (en) 2010-10-01 2014-10-28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dynamic spectrum management, allocation, and sharing
KR101928448B1 (ko) 2010-10-11 2018-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내에 복수 개의 이종 통신 모듈이 있을 경우, 시분할 방식으로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23345B2 (en) 2010-12-22 2018-11-0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device supporting multiple radio technologies communicating in overlapping time periods
US8537799B2 (en) 2010-12-31 2013-09-17 Qualcomm Incorporated Coexistence mechanism for collocated WLAN and WWAN communication devices
US8934362B2 (en) 2011-01-06 2015-01-13 Mediatek Inc. Power control method to mitigate interference for in-device coexistence
KR20120099568A (ko) 2011-01-18 2012-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내에 복수 개의 이종 통신 모듈이 있을 경우 간섭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20195298A1 (en) 2011-02-01 2012-08-02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avoid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63382B2 (en) 2011-02-10 2013-01-29 Sfi Electronics Technology Inc. Structure of multilayer ceramic device
US8599709B2 (en) 2011-02-10 2013-12-0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existence based on transceiver chain emphasis
US8805303B2 (en) 2011-02-18 2014-08-1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with preferred frequency notification
US8547867B2 (en) 2011-02-18 2013-10-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identification on configuration of LTE and BT
US8831611B2 (en) 2011-02-18 2014-09-09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with keeping time update for handover
US9144084B2 (en) 2011-06-13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dio coexiste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7295A2 (en) 2008-05-06 2009-11-12 Intel Corporation Multi-transceive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negative scheduling
KR20100028453A (ko) * 2008-09-04 201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무선 통신 구간 할당 방법
KR20130096745A (ko) * 2010-09-28 2013-08-3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공존 동작 모드 확립 방법, 사용자 장비, 기지국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07266A2 (pt) 2016-06-14
WO2012044329A1 (en) 2012-04-05
MX2013003423A (es) 2013-10-28
JP5544449B2 (ja) 2014-07-09
CA2813292A1 (en) 2012-04-05
KR20130066697A (ko) 2013-06-20
CA2813292C (en) 2019-04-02
CN103262635A (zh) 2013-08-21
US9900895B2 (en) 2018-02-20
JP2013539318A (ja) 2013-10-17
US20130242919A1 (en) 2013-09-19
EP2622927A1 (en) 2013-08-07
CN103262635B (zh) 2017-05-31
EP2622927B1 (en)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371B1 (ko) 장치 내 공존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80372B1 (ko) 장치 내 공존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80373B1 (ko) 장치 내 공존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US102009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with preferred frequency notification
US88316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with keeping time update for hand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