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342B1 -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 Google Patents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342B1
KR101480342B1 KR20130140627A KR20130140627A KR101480342B1 KR 101480342 B1 KR101480342 B1 KR 101480342B1 KR 20130140627 A KR20130140627 A KR 20130140627A KR 20130140627 A KR20130140627 A KR 20130140627A KR 101480342 B1 KR101480342 B1 KR 101480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nano
kno
lino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수
김시경
김종규
강용혁
배강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4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342B1/ko
Priority to PCT/KR2014/010832 priority patent/WO2015076525A1/ko
Priority to US15/037,611 priority patent/US2016035572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10Liquid materials
    • C09K5/12Molten materials, i.e. materials solid at room temperature, e.g. metals or sa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염의 녹는 온도를 낮추기 위한 NaNO3-NaNO2-KNO3-KNO2-Ca(NO3)2-LiNO3의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HEAT STORAGE MATERIALS COMPRISING SIX COMPONENT SYSTEM}
본 발명은 태양열 발전 (CSP, Concentrating Solar Power) 설비가 해가 진 후 혹은 구름이 낀 날씨에도 발전을 계속할 수 있도록 낮 시간 동안 얻은 열을 저장하는 소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질산염 및 아질산염으로 구성된 무기염 혼합물을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저장 물질은 낮은 용융온도와 어는 온도를 가짐으로써 전체 시스템이 열을 흡수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액체상태의 열저장재가 열저장 장치와 열 흡수 설비 사이에서 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는 사용하기 편리하지만 사용 후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를 배출할 뿐 아니라 매장량이 유한해서 미래의 에너지자원으로 사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반면에 태양에너지는 화석연료에 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매우 길며, 온실가스나 소음과 같은 환경저해 요인이 없어 미래형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태양에너지 중 태양전지로 대표되는 태양광 이용 기술은 그 역사가 길고 기술도 성숙되어 있기는 하지만 사막과 같이 고온 환경인 지역에서는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져 적합하지 않다. 태양열발전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많은 거울을 사용하여 태양빛을 한 곳으로 모아 얻는 고온으로 과열증기를 만들고 이 증기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방식이다.
태양열발전은 태양빛을 모으는 과정에서 어떠한 종류의 오염도 일어나지 않고 얻어진 고온을 이용하여 제조한 과열증기는 이미 성숙된 기술인 증기기관 등을 이용하여 발전된다. 다만 태양이 떠 있는 낮에는 고온을 얻을 수 있어서 과열증기를 생산할 수 있으나, 해가 지고 난 후에는 고온을 얻을 수 없어서 하루에 8시간 정도만 발전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태양빛을 모아 고온을 얻을 때 열의 일부를 열저장재에 저장하면 태양이 없어도 열저장재와 열교환하여 과열증기를 만들고 발전을 계속할 수 있다. 전통적인 열저장재는 질산나트륨과 질산칼륨을 혼합한 염으로 무게비로 60:40인 조성을 사용하면 220℃에서 액상이 되고 550℃까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질산염 화합물로 구성된 용융염은 220℃ 이하에서는 고상이 되므로 태양열 발전장치와 열저장장치 사이를 순환하는 열전달 유체로 사용할 수 없다. 열전달유체로는 일반적으로 유기합성유를 사용하는데 열저장 유체와 열전달유체 사이에 열교환기가 추가로 필요하고 유기합성유가 400℃까지 안정하므로 400℃ 이상 열저장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용융염의 녹는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NaNO3-KNO3의 2성분계 이외에 NaNO3-NaNO2-KNO3의 3성분계를 이용한 HITEC이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으나 어는 온도가 142℃로 여전히 높다. 용융염 열저장재의 어는 온도를 크게 낮추어 밤과 같이 태양으로부터 열을 얻지 못하는 동안에도 배관 안에서 열저장재가 얼지 않고 액상을 유지할 수 있다면 비싼 유기합성유를 사용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열저장을 실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사한 결정구조를 가지는 물질은 서로 혼합할 경우 녹는 온도 및 어는 온도가 낮아진다. 어떤 조성에서의 녹는 온도는 상평형도를 보면 알 수 있는데, 질산염 및 아질산염으로 구성된 조성은 NaNO3-KNO3, NaNO3-LiNO3, KNO3-LiNO3과 같은 2성분계와 NaNO3-KNO3-LiNO3, NaNO3-NaNO2-KNO3와 같은 3성분계일 수 있으며, 이들의 상평형도는 많이 제시되어 있지만, 4성분계 이상의 상평형도는 찾아보기 어려워서 많은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여야 한다.
미국특허 제7588694호에서는 NaNO3-KNO3-LiNO3-Ca(NO3)2의 4성분계를 제조하여 녹는 온도를 100℃ 이하로 만들었다. 또한, 다른 선행기술로는 LiNO3-NaNO3-KNO3-NaNO2-KNO2의 5성분계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가 80℃인 용융염과 LiNO3-KNO3-NaNO2-KNO2의 4성분계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가 70℃인 용융염을 만들었다. 또한, LiNO3-NaNO3-KNO3-NaNO2-KNO2의 5성분계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가 70℃인 용융염도 연구되었다. 그러나, NaNO2, KNO2와 Ca(NO3)2를 동시에 첨가한 6성분계는 연구되지 않았으며, 더욱 낮은 녹는 온도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열저장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큰 열용량이 필요하므로 열저장재의 열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NaNO3-KNO3-LiNO3-NaNO2-KNO2-Ca(NO3)2의 6성분계를 포함함으로써 용융점을 더욱 낮추고자 하였다.
미국 등록특허 제7588694호
본 발명은 용융염의 녹는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LiNO3-NaNO3-KNO3-NaNO2-KNO2의 5성분계에 Ca(NO3)2를 첨가하여 NaNO3-NaNO2-KNO3-KNO2-Ca(NO3)2-LiNO3의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용량이 높은 열저장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NaNO3-NaNO2-KNO3-KNO2-Ca(NO3)2-LiNO3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을 제공함으로써 용융점을 낮추고 열용량을 높이고자 한다.
바람직하게는, Ca(NO3)2가 0.05 내지 0.1 m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NaNO3가 0.1 내지 0.2 mol%이고, Ca(NO3)2가 0.05 내지 0.4 mol%이고, LiNO3가 0.05 내지 0.5 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NaNO2가 0.1 내지 0.2 mol%이고, Ca(NO3)2가 0.05 내지 0.4 mol%이고, LiNO3가 0.05 내지 0.5 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KNO3가 0.1 내지 0.2 mol%이고, Ca(NO3)2가 0.05 내지 0.4 mol%이고, LiNO3가 0.05 내지 0.5 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KNO2가 0.1 내지 0.2 mol%이고, Ca(NO3)2가 0.05 내지 0.4 mol%이고, LiNO3가 0.05 내지 0.5 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NaNO3:NaNO2:KNO3:KNO2:Ca(NO3)2:LiNO3의 몰비가 1:1:1:1:0.2~0.5:0.8~2.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NaNO3 1 mol에 대해 Ca(NO3)2와 LiNO3의 합이 1.3~2.7 m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NaNO3-NaNO2-KNO3-KNO2-Ca(NO3)2-LiNO3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을 구비하는 태양열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6성분계 조성을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은 이들이 형성하는 공정온도 (eutectic temperature)를 낮춤으로써 용융염 열저장재의 녹는 온도 혹은 어는 온도를 45℃까지 낮출 수 있다. 무기질 용융염의 어는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용융염 조성물을 단순히 열저장재로서 뿐 만 아니라, 열전달유체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을 사용할 경우 열저장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열용량이 높은 열저장 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6-9 조성물의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NaNO3-NaNO2-KNO3-KNO2-Ca(NO3)2-LiNO3의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6성분계 조성은 기존의 2 내지 5성분계 조성에 비해서 용융염 열저장재의 녹는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용융염의 어는 온도가 낮아지면 용융염 조성물은 단순히 열저장재로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열전달유체로도 사용할 수 있어서 유기합성유를 열전달유체로 사용할 때 필요한 열교환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열전달유체로 사용할 무기질 용융염의 사용온도가 550℃에 이르기 때문에 열저장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6성분계 조성을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은 녹는 온도가 낮아서 밤과 같이 태양으로부터 열을 얻지 못하는 동안에도 열저장재가 얼지 않고 액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6성분계 조성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Ca(NO3)2가 0.05 내지 0.1 m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NaNO3가 0.1 내지 0.2 mol%이고, Ca(NO3)2가 0.05 내지 0.4 mol%이고, LiNO3가 0.05 내지 0.5 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NaNO2가 0.1 내지 0.2 mol%이고, Ca(NO3)2가 0.05 내지 0.4 mol%이고, LiNO3가 0.05 내지 0.5 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KNO3가 0.1 내지 0.2 mol%이고, Ca(NO3)2가 0.05 내지 0.4 mol%이고, LiNO3가 0.05 내지 0.5 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KNO2가 0.1 내지 0.2 mol%이고, Ca(NO3)2가 0.05 내지 0.4 mol%이고, LiNO3가 0.05 내지 0.5 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NaNO3:NaNO2:KNO3:KNO2:Ca(NO3)2:LiNO3의 몰비가 1:1:1:1:0.2~0.5:0.8~2.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NaNO3 1 mol에 대해 Ca(NO3)2와 LiNO3의 합이 1.3~2.7 m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NaNO3-NaNO2-KNO3-KNO2-Ca(NO3)2-LiNO3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을 구비하는 태양열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 6성분계 조성물의 제조.
6성분계를 제조하기 위한 시약은 NaNO3 (Kanto, 99.9%), NaNO2 (Kanto 98.5%), KNO3 (Kanto, 99.0%), KNO2 (Aldrich, 96%), LiNO3 (Kanto GR), Ca(NO3)2·4H2O (Aldrich, 99%)를 사용하였으며, Ca(NO3)2·4H2O는 500℃에서 4시간 가열하여 Ca(NO3)2로 만든 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시료명 (NaNO3)2 (NaNO2)2 (KNO3)2 (KNO2)2 Ca(NO3)2 (LiNO3)2
6-6 0.1500 0.1500 0.1500 0.1500 0.0500 0.3500
6-7 0.1625 0.1625 0.1625 0.1625 0.0500 0.3000
6-8 0.1750 0.1750 0.1750 0.1750 0.0500 0.2500
6-9 0.1875 0.1875 0.1875 0.1875 0.0500 0.2000
(mol%)
(6-6)에서 (6-9)와 같은 몰비로 원료 분말을 70g 혼합한 후 니켈 도가니에 넣고 300℃로 1시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200℃에서 꺼냈다.
응고된 용융염 조성물은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한 후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와 어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각 조성의 녹는 온도 및 어는 온도를 표로 나타내었으며, 녹는 온도 및 어는 온도가 여러 개 나타나는 것은 그 온도들을 모두 표시하였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녹는 온도는 (LiNO3)2의 조성이 0.35 mol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49.0℃에서 녹고 49.8℃에서 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명 녹는 온도1 녹는 온도2 녹는 온도3 어는 온도1 어는 온도2 어는 온도3
6-6 49.0 79.3 92.3 142.6 49.8 없음
6-7 69.3 없음 없음 143.0 54.2 없음
6-8 71.0 없음 없음 144.3 78.6 없음
6-9 52.1 72.0 101.1 141.9 86.9 없음
(℃)
실시예 2
시료명 (NaNO3)2 (NaNO2)2 (KNO3)2 (KNO2)2 Ca(NO3)2 (LiNO3)2
6-10 0.1500 0.1500 0.1500 0.1500 0.1000 0.3000
6-11 0.1625 0.1625 0.1625 0.1625 0.1000 0.2500
6-12 0.1750 0.1750 0.1750 0.1750 0.1000 0.2000
6-13 0.1875 0.1875 0.1875 0.1875 0.1000 0.1500
(mol%)
(6-10)에서 (6-13)과 같은 몰비로 원료 분말을 70g 혼합한 후 니켈 도가니에 넣고 300℃로 1시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200℃에서 꺼냈다.
응고된 용융염 조성물은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한 후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와 어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녹는 온도는 (LiNO3)2의 조성이 0.15 mol%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50.9℃에서 녹고 113.0℃에서 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명 녹는 온도1 녹는 온도2 녹는 온도3 녹는 온도4 어는 온도1 어는 온도2 어는 온도3
6-10 65.7 161.0 없음 없음 159.4 65.4 없음
6-11 63.8 없음 없음 없음 154.8 80.8 없음
6-12 86.7 117.4 없음 없음 157.8 100.0 없음
6-13 50.9 90.6 100.2 123.6 149.5 113.0 없음
(℃)
실시예 3
시료명 (NaNO3)2 (NaNO2)2 (KNO3)2 (KNO2)2 Ca(NO3)2 (LiNO3)2
6-14 0.1500 0.1500 0.1500 0.1500 0.1500 0.2500
6-15 0.1625 0.1625 0.1625 0.1625 0.1500 0.2000
6-16 0.1750 0.1750 0.1750 0.1750 0.1500 0.1500
6-17 0.1875 0.1875 0.1875 0.1875 0.1500 0.1000
(mol%)
(6-14)에서 (6-17)과 같은 몰비로 원료 분말을 70g 혼합한 후 니켈 도가니에 넣고 300℃로 1시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200℃에서 꺼냈다.
응고된 용융염 조성물은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한 후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와 어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녹는 온도는 (LiNO3)2의 조성이 0.2 mol%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73.9℃에서 녹고 68.0℃에서 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LiNO3)2의 조성이 0.25 mol%인 조성은 가장 낮은 온도인 50.0℃에서 녹지만 어는 온도가 152.8℃로 다소 높았다.
시료명 녹는 온도1 녹는 온도2 녹는 온도3 녹는 온도4 어는 온도1 어는 온도2 어는 온도3
6-14 50.0 103.8 없음 없음 152.8 없음 없음
6-15 73.9 149.5 없음 없음 151.2 68.0 없음
6-16 76.1 107.0 없음 없음 149.8 89.7 없음
6-17 59.5 81.4 99.6 125.1 147.9 111.8 82.2
(℃)
실시예 4
시료명 (NaNO3)2 (NaNO2)2 (KNO3)2 (KNO2)2 Ca(NO3)2 (LiNO3)2
6-18 0.1500 0.1500 0.1500 0.1500 0.2000 0.2000
6-19 0.1625 0.1625 0.1625 0.1625 0.2000 0.1500
6-20 0.1750 0.1750 0.1750 0.1750 0.2000 0.1000
6-21 0.1875 0.1875 0.1875 0.1875 0.2000 0.0500
(mol%)
(6-18)에서 (6-21)과 같은 몰비로 원료 분말을 70g 혼합한 후 니켈 도가니에 넣고 300℃로 1시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200℃에서 꺼냈다.
응고된 용융염 조성물은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한 후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와 어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녹는 온도는 (LiNO3)2의 조성이 0.20 mol%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57.8℃에서 녹지만 어는 온도는 150.7℃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명 녹는 온도1 녹는 온도2 녹는 온도3 녹는 온도4 어는 온도1 어는 온도2 어는 온도3
6-18 57.8 없음 없음 없음 150.7 없음 없음
6-19 67.9 없음 없음 없음 154.1 없음 없음
6-20 88.0 104.1 115.3 없음 153.1 93.6 없음
6-21 84.9 99.1 134.2 없음 151.2 123.3 없음
(℃)
실시예 5
시료명 (NaNO3)2 (NaNO2)2 (KNO3)2 (KNO2)2 Ca(NO3)2 (LiNO3)2
6-22 0.1500 0.1500 0.1500 0.1500 0.2500 0.1500
6-23 0.1625 0.1625 0.1625 0.1625 0.2500 0.1000
(mol%)
(6-22)에서 (6-23)와 같은 몰비로 원료 분말을 70g 혼합한 후 니켈 도가니에 넣고 300℃로 1시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200℃에서 꺼냈다.
응고된 용융염 조성물은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한 후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와 어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녹는 온도는 (LiNO3)2의 조성이 0.15 mol%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61.9℃에서 녹지만 어는 온도는 155.7℃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명 녹는 온도1 녹는 온도2 녹는 온도3 녹는 온도4 어는 온도1 어는 온도2 어는 온도3
6-22 61.9 115.5 없음 없음 155.7 없음 없음
6-23 63.7 96.0 107.8 124.1 160.4 85.0 없음
(℃)
실시예 6
시료명 (NaNO3)2 (NaNO2)2 (KNO3)2 (KNO2)2 Ca(NO3)2 (LiNO3)2
6-24 0.1375 0.1375 0.1375 0.1375 0.0500 0.4000
6-25 0.1375 0.1375 0.1375 0.1375 0.1000 0.3500
(mol%)
(6-24)에서 (6-25)와 같은 몰비로 원료 분말을 70g 혼합한 후 니켈 도가니에 넣고 300℃로 1시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200℃에서 꺼냈다.
응고된 용융염 조성물은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한 후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와 어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녹는 온도는 (LiNO3)2의 조성이 0.40 mol%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62.2℃에서 녹으며 가장 낮은 온도인 63.1℃에서 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명 녹는 온도1 녹는 온도2 녹는 온도3 녹는 온도4 어는 온도1 어는 온도2 어는 온도3
6-24 62.2 91.1 없음 없음 139.1 63.1 없음
6-25 72.4 93.2 없음 없음 144.6 없음 없음
(℃)
비교예 1. 2성분계 조성물의 제조.
NaNO3 60 wt%, KNO3 40 wt%를 혼합하여 solar salt 조성 50g을 만들고 니켈 도가니에 넣어 400℃에서 1시간 가열하였으며, 전기로에서 꺼내어 굳어진 조성은 알루미나 유발을 이용하여 분쇄한 후 DSC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 및 어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녹는 온도1 녹는 온도2 어는 온도1 어는 온도2
Solar Salt 107.5 220.4 234.6 225.5
(℃)
비교예 2. 3성분계 조성물의 제조.
NaNO3 7 wt%, KNO3 53 wt%, NaNO2 40wt%를 혼합하여 HITEC 조성 50g을 만들고 니켈 도가니에 넣어 400℃에서 1시간 가열하였으며, 전기로에서 꺼내어 굳어진 조성은 알루미나 유발을 이용하여 분쇄한 후 DSC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 및 어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녹는 온도1 녹는 온도2 어는 온도1 어는 온도2
HITEC 90.0 142.1 141.9 126.2
(℃)
비교예 3. 5성분계 조성물의 제조.
시료명 NaNO3 NaNO2 KNO3 KNO2 LiNO3
5-5 0.1625 0.1625 0.1625 0.1625 0.3500
(mol%)
(5-5)와 같은 몰비로 원료 분말을 50g 혼합한 후 니켈 도가니에 넣고 300℃로 1시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200℃에서 꺼냈다.
응고된 용융염 조성물은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한 후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와 어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명 녹는 온도1 녹는 온도2 어는 온도1 어는 온도2
5-5 88.7 95.7 123.6 47.9
(℃)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Solar Salt, HITEC과 본 비교예 및 실시예 중 하나인 (5-5), (6-9)의 열용량을 DSC로 측정하였다. Solar Salt와 HITEC에 비해서 본 실시예로 만든 (6-9) 조성의 열용량이 15% 이상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Solar Salt HITEC 5-5 6-9
열용량 1.564 1.569 1.800 1.823
(J/gK)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2, 3을 살펴보면, 6성분계를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 1 내지 6의 녹는 온도가, 2, 3성분계 및 5성분계를 포함하는 비교예의 녹는 온도에 비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열용량에 있어서도, 실시예 1 내지 6의 열용량이, 2성분계 및 3성분계를 포함하는 비교예의 열용량에 비해서 크기 때문에 열저장재로서의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6성분계를 동시에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이 공정 온도가 훨씬 낮고, 열저장 물질로서의 효율이 높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Claims (9)

  1. NaNO3-NaNO2-KNO3-KNO2-Ca(NO3)2-LiNO3의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로서,
    상기 열저장 물질은 0.16~0.17 mol% NaNO3, 0.16~0.17 mol% NaNO2, 0.16~0.17 mol% KNO3, 0.16~0.17 mol% KNO2, 0.03~0.07 mol% Ca(NO3)2, 0.28~0.32 mol% LiNO3;
    0.17~0.18 mol% NaNO3, 0.17~0.18 mol% NaNO2, 0.17~0.18 mol% KNO3, 0.17~0.18 mol% KNO2, 0.03~0.07 mol% Ca(NO3)2, 0.23~0.27 mol% LiNO3;
    0.16~0.17 mol% NaNO3, 0.16~0.17 mol% NaNO2, 0.16~0.17 mol% KNO3, 0.16~0.17 mol% KNO2, 0.08~0.12 mol% Ca(NO3)2, 0.23~0.27 mol% LiNO3;
    0.14~0.16 mol% NaNO3, 0.14~0.16 mol% NaNO2, 0.14~0.16 mol% KNO3, 0.14~0.16 mol% KNO2, 0.18~0.22 mol% Ca(NO3)2, 0.18~0.22 mol% LiNO3; 또는
    0.16~0.17 mol% NaNO3, 0.16~0.17 mol% NaNO2, 0.16~0.17 mol% KNO3, 0.16~0.17 mol% KNO2, 0.18~0.22 mol% Ca(NO3)2, 0.13~0.17 mol% LiNO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저장 물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의 열저장 물질을 구비하는 태양열 저장 장치.
KR20130140627A 2013-11-19 2013-11-19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KR101480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0627A KR101480342B1 (ko) 2013-11-19 2013-11-19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PCT/KR2014/010832 WO2015076525A1 (ko) 2013-11-19 2014-11-12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US15/037,611 US20160355720A1 (en) 2013-11-19 2014-11-12 Thermal storage material containing hexanary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0627A KR101480342B1 (ko) 2013-11-19 2013-11-19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342B1 true KR101480342B1 (ko) 2015-01-09

Family

ID=5258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0627A KR101480342B1 (ko) 2013-11-19 2013-11-19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355720A1 (ko)
KR (1) KR101480342B1 (ko)
WO (1) WO20150765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9942A (zh) * 2015-02-03 2015-04-29 王军涛 混合熔盐储热传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777364A (zh) * 2017-11-15 2019-05-21 青海爱能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用于清洁能源锅炉的传热蓄热熔盐、制备方法及其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7656A (zh) * 2016-02-18 2017-08-18 百吉瑞(天津)新能源有限公司 一种混合熔盐传热蓄热工质、制备方法及其应用
CN107057655A (zh) * 2016-02-18 2017-08-18 百吉瑞(天津)新能源有限公司 一种混合熔盐传热蓄热工质、制备方法及其应用
CN108003845B (zh) * 2017-12-08 2020-12-04 中国科学院青海盐湖研究所 一种三元硝酸熔盐及其制备方法
CN110041895B (zh) * 2019-05-07 2020-07-28 安徽普瑞普勒传热技术有限公司 一种储热传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143463A (zh) * 2020-09-24 2020-12-29 中盐金坛盐化有限责任公司 硝酸纳米熔盐传热蓄热介质及其制备方法
CN112143464A (zh) * 2020-09-24 2020-12-29 中盐金坛盐化有限责任公司 硝酸盐系熔融盐传热蓄热介质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0870B1 (en) * 1998-08-17 2001-09-18 Ashland Inc. Monocarboxylic acid based antifreeze composition for diesel engines
US7588694B1 (en) * 2008-02-14 2009-09-15 Sandia Corporation Low-melting point inorganic nitrate salt heat transfer fluid
US7828990B1 (en) * 2008-02-14 2010-11-09 Sandia Corporation Low-melting point heat transfer fluid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lten Nitrate Salt Development for Thermal Energy Storage in Parabolic Trough Solar Power Systems, Proceedings of Energy Sustainability, 2008, pp.1-7. *
Recent Progress in Alkali Nitrate/Nitrite Developments for Solar Thermal Power Applications, Molten Salts Chemistry and Technology, MS9, 2011, pp. 1-11. *
Recent Progress in Alkali Nitrate/Nitrite Developments for Solar Thermal Power Applications, Molten Salts Chemistry and Technology, MS9, 2011, pp. 1-1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9942A (zh) * 2015-02-03 2015-04-29 王军涛 混合熔盐储热传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777364A (zh) * 2017-11-15 2019-05-21 青海爱能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用于清洁能源锅炉的传热蓄热熔盐、制备方法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55720A1 (en) 2016-12-08
WO2015076525A1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342B1 (ko)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Aftab et al. Phase change material-integrated latent heat storage systems for sustainable energy solutions
Hu et al. Phase change performance of sodium acetate trihydrate with AlN nanoparticles and CMC
Lone et al. A review on phase change materials for different applications
US9133383B2 (en) Mixture of inorganic nitrate salts
US9506671B2 (en) Heat transfer medium, use thereof, and method for operating a solar thermal power plant
Bhatnagar et al. Molten salts: Potential candidates for thermal energy storage applications
CN103298904B (zh) 用于太阳能设备的传热介质
KR101649999B1 (ko)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Prabhu et al. Review of phase change materials for thermal energy storage applications
JP6483234B2 (ja) 塩混合物
Amer et al. Thermal energy storage by using latent heat storage materials
Shukla et al. Latent heat-based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s: Materials, applications, and the energy market
Benchara et al. Thermal energy storage by phase change materials suitable for solar water heaters: An updated review
Ushak et al. Applications of wastes based on inorganic salts as low-cost thermal energy storage materials
Alnaimat et al. Thermal energy storage in concentrated solar power plants
Rathore et al. Thermal energy storage using phase change material for solar thermal technologies: A sustainable and efficient approach
Sinha et al. A review on CSP technologies with heat transfer fluids used in Indian power plants
Ruwa et al. Thermal Energy storage for solar power plant applications
Cao et al. Thermal energy storage with tunable melting point phase change materials
Gupta An overview on thermal energy storage for solar thermal power plant
CN104845590A (zh) 一种热能储备库中使用的复合盐水
Jegan et al. A Novel Approach on the Advancement in Polymer Phase Change Material in Solar Energy
WO2018207201A1 (en) A molten salt composition for high temperature thermal energy storage
Dodiya et al. Study of the thermal storage system with solar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