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999B1 -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 Google Patents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999B1
KR101649999B1 KR1020140193334A KR20140193334A KR101649999B1 KR 101649999 B1 KR101649999 B1 KR 101649999B1 KR 1020140193334 A KR1020140193334 A KR 1020140193334A KR 20140193334 A KR20140193334 A KR 20140193334A KR 101649999 B1 KR101649999 B1 KR 101649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e
lino
kno
nano
nac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663A (ko
Inventor
김홍수
김시경
김종규
강용혁
배강
김영인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93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9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염의 녹는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NaNO3-KNO3-Ca(NO3)2-NaCl-KCl-LiNO3 또는 NaNO3-KNO3-Ca(NO3)2-NaCl-CaCl2-LiNO3의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물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HEAT STORAGE MATERIALS COMPRISING SIX COMPONENT SYSTEM}
본 발명은 태양열 발전 (CSP, Concentrating Solar Power) 설비가 해가 진 후 혹은 구름이 낀 날씨에도 발전을 계속할 수 있도록 낮 시간 동안 얻은 열을 저장하는 소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저장 물질은 낮은 용융온도와 어는 온도를 가짐으로써 전체 시스템이 열을 흡수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액체상태의 열저장재가 열저장 장치와 열 흡수 설비 사이에서 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는 사용하기 편리하지만 사용 후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를 배출할 뿐 아니라 매장량이 유한해서 미래의 에너지자원으로 사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반면에 태양에너지는 화석연료에 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매우 길며, 온실가스나 소음과 같은 환경저해 요인이 없어 미래형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태양에너지 중 태양전지로 대표되는 태양광 이용 기술은 그 역사가 길고 기술도 성숙되어 있기는 하지만 사막과 같이 고온 환경인 지역에서는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져 적합하지 않다. 태양열발전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많은 거울을 사용하여 태양빛을 한 곳으로 모아 얻는 고온으로 과열증기를 만들고 이 증기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방식이다.
태양열발전은 태양빛을 모으는 과정에서 어떠한 종류의 오염도 일어나지 않고 얻어진 고온을 이용하여 제조한 과열증기는 이미 성숙된 기술인 증기기관 등을 이용하여 발전된다. 다만 태양이 떠 있는 낮에는 고온을 얻을 수 있어서 과열증기를 생산할 수 있으나, 해가 지고 난 후에는 고온을 얻을 수 없어서 하루에 8시간 정도만 발전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태양빛을 모아 고온을 얻을 때 열의 일부를 열저장재에 저장하면 태양이 없어도 열저장재와 열교환하여 과열증기를 만들고 발전을 계속할 수 있다. 전통적인 열저장재는 질산나트륨과 질산칼륨을 혼합한 염으로 무게비로 60:40인 조성을 사용하면 220℃에서 액상이 되고 550℃까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질산염 화합물로 구성된 용융염은 220℃ 이하에서는 고상이 되므로 태양열 발전장치와 열저장장치 사이를 순환하는 열전달 유체로 사용할 수 없다. 열전달유체로는 일반적으로 유기합성유를 사용하는데 열저장 유체와 열전달유체 사이에 열교환기가 추가로 필요하고 유기합성유가 400℃까지 안정하므로 400℃ 이상 열저장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용융염의 녹는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NaNO3-KNO3의 2성분계 이외에 NaNO3-NaNO2-KNO3의 3성분계를 이용한 HITEC이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으나 어는 온도가 142℃로 여전히 높다. 용융염 열저장재의 어는 온도를 크게 낮추어 밤과 같이 태양으로부터 열을 얻지 못하는 동안에도 배관 안에서 열저장재가 얼지 않고 액상을 유지할 수 있다면 비싼 유기합성유를 사용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열저장을 실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사한 결정구조를 가지는 물질은 서로 혼합할 경우 녹는 온도 및 어는 온도가 낮아진다. 어떤 조성에서의 녹는 온도는 상평형도를 보면 알 수 있는데, 질산염 및 아질산염으로 구성된 조성은 NaNO3-KNO3, NaNO3-LiNO3, KNO3-LiNO3과 같은 2성분계와 NaNO3-KNO3-LiNO3, NaNO3-NaNO2-KNO3와 같은 3성분계일 수 있으며, 이들의 상평형도는 많이 제시되어 있지만, 4성분계 이상의 상평형도는 찾아보기 어려워서 많은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여야 한다.
미국특허 제7588694호에서는 NaNO3-KNO3-LiNO3-Ca(NO3)2의 4성분계를 제조하여 녹는 온도를 100℃ 이하로 만들었다. 또한, 다른 선행기술로는 LiNO3-NaNO3-KNO3-NaNO2-KNO2의 5성분계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가 80℃인 용융염과 LiNO3-KNO3-NaNO2-KNO2의 4성분계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가 70℃인 용융염을 만들었다. 또한, LiNO3-NaNO3-KNO3-NaNO2-KNO2의 5성분계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가 70℃인 용융염도 연구되었다. 그러나, NaNO2, KNO2와 Ca(NO3)2를 동시에 첨가한 6성분계는 연구되지 않았으며, 더욱 낮은 녹는 온도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열저장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큰 열용량이 필요하므로 열저장재의 열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7588694호
용융염의 녹는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용량이 높은 열저장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6성분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6성분계는 NaNO3-KNO3-Ca(NO3)2-NaCl-KCl-LiNO3 이거나 NaNO3-KNO3-Ca(NO3)2-NaCl-CaCl2-LiNO3인 것인 열저장 물질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는 15 내지 25 중량%의 NaNO3, 0.8 내지 5 중량%의 NaCl, 0.9 내지 3.9 중량%의 KCl, 5 내지 25 중량%의 LiNO3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는 17 내지 30 중량%의 KNO3, 0.8 내지 5 중량% NaCl, 0.9 내지 3.9 중량%의 KCl, 5 내지 25 중량%의 LiNO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27 내지 43 중량%의 Ca(NO3)2, 0.8 내지 5 중량%의 NaCl, 0.9 내지 3.9 중량%의 KCl, 5 내지 25 중량%의 LiNO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13 내지 27 중량%의 NaNO3, 1.2 내지 3.7 중량%의 NaCl, 0.8 내지 2.9 중량%의 CaCl2, 5 내지 25 중량%의 LiNO3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15 내지 30 중량%의 KNO3, 1.2 내지 3.7 중량%의 NaCl, 0.8 내지 2.9 중량%의 CaCl2, 5 내지 25 중량%의 LiNO3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28 내지 46 중량%의 Ca(NO3)2, 1.2 내지 3.7 중량%의 NaCl, 0.8 내지 2.9 중량%의 CaCl2, 5 내지 25 중량%의 LiNO3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15 내지 25 중량%의 NaNO3, 17 내지 30중량%의 KNO3, 27 내지 43 중량%의 Ca(NO3)2, 0.8 내지 5 중량%의 NaCl, 0.9 내지 3.9 중량%의 KCl, 5 내지 25 중량%의 LiNO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13 내지 27 중량%의 NaNO3, 15 내지 30 중량%의 KNO3, 28 내지 46 중량%의 Ca(NO3)2, 1.2 내지 3.7 중량%의 NaCl, 0.8 내지 2.9 중량%의 CaCl2, 5 내지 25 중량%의 LiNO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저장 물질을 구비하는 태양열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은 가격이 비싼 KNO2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어는 온도가 낮은 것이 특징이며, 이에 따라 단순히 열저장재로서 뿐만 아니라, 열전달 유체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열저장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원료의 가격은 NaCl < NaNO2 < NaNO3 < CaCl2·6H2O < Ca(NO3)2·4H2O < KNO3 < KCl < LiNO3 < KNO2 의 순서로 비싸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료명 (6-1-3)의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및 상기 열저장 물질을 구비하는 태양열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6성분계 조성은 종래 2 내지 5성분계 조성에 비해 용융점 열저장재의 녹는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용융염의 어는 온도가 낮아지면 용융염 조성물은 단순히 열저장재로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연전달유체로도 사용할 수 있어서 유기합성유를 열전달유체로 사용할 때 필요한 열교환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열전달유체로 사용할 무기질 용융염의 사용온도가 550℃에 이르기 때문에 열저장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6성분계 조성을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은 녹는 온도가 낮아서 밤과 같이 태양으로부터 열을 얻지 못하는 동안에도 열저장재가 얼지 않고 액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에 있어서, 6성분계는 NaNO3-KNO3-Ca(NO3)2-NaCl-KCl-LiNO3 이거나 NaNO3-KNO3-Ca(NO3)2-NaCl-CaCl2-LiNO3일 수 있다. 수천 톤을 사용해야 하는 CSP용 열저장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열저장재의 값이 비싸지 않아야 하는데, 본 발명의 열저장 물질은 비싼 NaNO2 및 KNO2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인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NaNO2 및 KNO2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은 바람직하게,
15 내지 25 중량%의 NaNO3, 0.8 내지 5 중량%의 NaCl, 0.9 내지 3.9 중량%의 KCl, 5 내지 25 중량%의 LiNO3;
17 내지 30 중량%의 KNO3, 0.8 내지 5 중량% NaCl, 0.9 내지 3.9 중량%의 KCl, 5 내지 25 중량%의 LiNO3; 또는
27 내지 43 중량%의 Ca(NO3)2, 0.8 내지 5 중량%의 NaCl, 0.9 내지 3.9 중량%의 KCl, 5 내지 25 중량%의 LiNO3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의 NaNO3, 17 내지 30 중량%의 KNO3, 27 내지 43 중량%의 Ca(NO3)2, 0.8 내지 5 중량%의 NaCl, 0.9 내지 3.9 중량%의 KCl, 5 내지 25 중량%의 LiNO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의 함량 내에서는 용융점이 더 낮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은 바람직하게,
13 내지 27 중량%의 NaNO3, 1.2 내지 3.7 중량%의 NaCl, 0.8 내지 2.9 중량%의 CaCl2, 5 내지 25 중량%의 LiNO3;
15 내지 30 중량%의 KNO3, 1.2 내지 3.7 중량%의 NaCl, 0.8 내지 2.9 중량%의 CaCl2, 5 내지 25 중량%의 LiNO3; 또는
28 내지 46 중량%의 Ca(NO3)2, 1.2 내지 3.7 중량%의 NaCl, 0.8 내지 2.9 중량%의 CaCl2, 5 내지 25 중량%의 LiNO3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7 중량%의 NaNO3, 15 내지 30 중량%의 KNO3, 28 내지 46 중량%의 Ca(NO3)2, 1.2 내지 3.7 중량%의 NaCl, 0.8 내지 2.9 중량%의 CaCl2, 5 내지 25 중량%의 LiNO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의 함량 내에서는 용융점이 더 낮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저장 물질을 구비하는 태양열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 실시예 ] 6성분계 조성물의 제조
6성분계를 제조하기 위한 시약은 NaNO3 (Kanto, 99.9%), KNO3 (Kanto, 99.0%), NaCl (Samchun, 99.0%), KCl (Kanto, 99.0%), CaCl2 (Junsei, 95%), LiNO3 (Kanto GR), Ca(NO3)2·4H2O (Aldrich, 99%)를 사용하였으며, Ca(NO3)2·4H2O는 500℃에서 4시간 가열하여 Ca(NO3)2로 만든 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시료명 NaNO3 KNO3 Ca(NO3)2 NaCl KCl (LiNO3)2
6-1-1 22.80 25.20 44.30 1.20 1.50 5.00
6-1-2 21.60 23.85 41.94 1.17 1.44 10.00
6-1-3 20.40 22.53 39.61 1.10 1.36 15.00
6-1-4 19.20 21.20 37.28 1.04 1.28 20.00
6-1-5 18.00 19.87 34.95 0.98 1.20 25.00
6-1-6 16.80 18.55 32.62 0.91 1.12 30.00
(단위: 중량%)
시료명 녹는 온도1 녹는 온도2 녹는 온도3 어는 온도1 어는 온도2 어는 온도3
6-1-1 105.7 없음 없음 119.5 없음 없음
6-1-2 95.6 없음 없음 104.9 없음 없음
6-1-3 93.9 없음 없음 112.2 없음 없음
6-1-4 102.2 없음 없음 129.8 없음 없음
6-1-5 103.8 없음 없음 152.8 113.4 없음
6-1-6 102.5 없음 없음 152.8 없음 없음
(단위: ℃)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6-1-1) 내지 (6-1-6)와 같은 조성으로 원료 분말을 70g 혼합한 후 니켈 도가니에 넣고 300℃로 1시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200℃에서 꺼냈다.
응고된 용융염 조성물은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한 후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와 어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각 조성의 녹는 온도 및 어는 온도를 표 2로 나타내었으며, 녹는 온도 및 어는 온도가 여러 개 나타나는 것은 그 온도들을 모두 표시하였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NaNO3가 20.40 중량%, KNO3가 22.53 중량%, Ca(NO3)2가 39.61 중량%, NaCl이 1.10 중량%, KCl이 1.36 중량%, LiNO3가 15.00 중량%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93.9℃에서 녹고 다소 높은 112.2℃에서 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NaNO3가 21.60 중량%, KNO3가 23.85 중량%, Ca(NO3)2가 41.94 중량%, NaCl이 1.17 중량%, KCl이 1.36 중량%, LiNO3가 10.00 중량%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104.9℃에서 얼고 다소 높은 95.6℃에서 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시료명 NaNO3 KNO3 Ca(NO3)2 NaCl KCl (LiNO3)2
6-1-7 24.70 27.07 40.47 1.24 1.52 5.00
6-1-8 23.40 25.65 38.34 1.17 1.44 10.00
6-1-9 22.10 24.22 36.21 1.11 1.36 15.00
6-1-10 20.80 22.80 34.08 1.04 1.28 20.00
6-1-11 19.50 21.37 31.95 0.98 1.20 25.00
(단위: 중량%)
시료명 녹는 온도1 녹는 온도2 녹는 온도3 녹는 온도4 어는 온도1 어는 온도2 어는 온도3
6-1-7 108.1 없음 없음 없음 139.1 없음 없음
6-1-8 100.8 없음 없음 없음 131.6 없음 없음
6-1-9 110.5 없음 없음 없음 108.3 없음 없음
6-1-10 103.0 없음 없음 없음 123.1 없음 없음
6-1-11 116.2 없음 없음 없음 112.4 없음 없음
(단위: ℃)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6-1-7) 내지 (6-1-11)과 같은 중량비로 원료 분말을 70g 혼합한 후 니켈 도가니에 넣고 300℃로 1시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200℃에서 꺼냈다.
응고된 용융염 조성물은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한 후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와 어는 온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NaNO3가 23.40 중량%, KNO3가 25.65 중량%, Ca(NO3)2가 38.34 중량%, NaCl이 1.17 중량%, KCl이 1.44 중량%, LiNO3가 10.00 중량%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100.8℃에서 녹고 다소 높은 온도인 131.6℃에서 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aNO3가 22.10 중량%, KNO3가 24.22 중량%, Ca(NO3)2가 36.21 중량%, NaCl이 1.11 중량%, KCl이 1.36 중량%, LiNO3가 15.00 중량%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108.3℃에서 얼고 다소 높은 온도인 110.5℃에서 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시료명 NaNO3 KNO3 Ca(NO3)2 NaCl KCl LiNO3
6-1-22 24.70 27.36 37.33 2.47 3.14 5.00
6-1-23 23.40 25.92 35.37 2.34 2.97 10.00
6-1-24 22.10 24.48 33.40 2.21 2.81 15.00
6-1-25 20.80 23.04 31.44 2.08 2.64 20.00
6-1-26 19.50 21.60 29.47 1.95 2.48 25.00
(단위: 중량%)
시료명 녹는 온도1 녹는 온도2 녹는 온도3 녹는 온도4 어는 온도1 어는 온도2 어는 온도3
6-1-22 133.4 없음 없음 없음 138.5 없음 없음
6-1-23 123.6 없음 없음 없음 130.9 없음 없음
6-1-24 113.2 없음 없음 없음 140.1 없음 없음
6-1-25 116.0 없음 없음 없음 119.6 없음 없음
6-1-26 83.3 없음 없음 없음 122.9 없음 없음
(단위: ℃)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6-1-22) 내지 (6-1-26)과 같은 중량비로 원료 분말을 70g 혼합한 후 니켈 도가니에 넣고 300℃로 1시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200℃에서 꺼냈다.
응고된 용융염 조성물은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한 후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와 어는 온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NaNO3가 19.50 중량%, KNO3가 21.60 중량%, Ca(NO3)2가 29.47 중량%, NaCl이 1.95 중량%, KCl이 2.48 중량%, LiNO3가 25.00 중량%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83.3℃에서 녹고 다소 높은 온도인 122.9℃에서 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aNO3가 20.08 중량%, KNO3가 23.04중량%, Ca(NO3)2가 31.44 중량%, NaCl이 2.08 중량%, KCl이 2.64 중량%, LiNO3가 20.00 중량%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119.6℃에서 얼고 다소 높은 온도인 116.0℃에서 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시료명 NaNO3 KNO3 Ca(NO3)2 NaCl KCl LiNO3
6-1-32 22.80 25.65 38.09 3.71 4.75 5.00
6-1-33 21.60 24.30 36.09 3.51 4.50 10.00
6-1-34 20.40 22.95 34.08 3.32 4.25 15.00
6-1-35 19.20 21.60 32.08 3.12 4.00 20.00
6-1-36 18.00 20.25 30.07 2.93 3.75 25.00
(단위: 중량%)
시료명 녹는 온도1 녹는 온도2 녹는 온도3 녹는 온도4 어는 온도1 어는 온도2 어는 온도3
6-1-32 125.1 없음 없음 없음 109.5 없음 없음
6-1-33 89.3 125.1 없음 없음 122.8 없음 없음
6-1-34 90.3 없음 없음 없음 122.2 없음 없음
6-1-35 97.5 없음 없음 없음 122.5 없음 없음
6-1-36 112.3 137.0 없음 없음 148.8 109.8 없음
(단위: ℃)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6-1-32) 내지 (6-1-36)과 같은 중량비로 원료 분말을 70g 혼합한 후 니켈 도가니에 넣고 300℃로 1시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200℃에서 꺼냈다.
응고된 용융염 조성물은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한 후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와 어는 온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NaNO3가 21.60 중량%, KNO3가 24.30 중량%, Ca(NO3)2가 36.09 중량%, NaCl이 3.51 중량%, KCl이 4.50 중량%, LiNO3가 10.00 중량%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89.3℃에서 녹고 다소 높은 온도인 122.8℃에서 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aNO3가 22.80 중량%, KNO3가 25.65중량%, Ca(NO3)2가 38.09 중량%, NaCl이 3.71 중량%, KCl이 4.75 중량%, LiNO3가 5.00 중량%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109.5℃에서 얼고 다소 높은 온도인 125.1℃에서 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시료명 NaNO3 KNO3 Ca(NO3)2 NaCl CaCl2 LiNO3
6-2-1 24.70 27.26 39.71 2.00 1.33 5.00
6-2-2 23.40 25.83 37.62 1.89 1.26 10.00
6-2-3 22.10 24.39 35.53 1.79 1.19 15.00
6-2-4 20.80 22.96 33.44 1.68 1.12 20.00
6-2-5 19.50 21.52 31.35 1.58 1.05 25.00
(단위: 중량%)
시료명 녹는 온도1 녹는 온도2 녹는 온도3 녹는 온도4 어는 온도1 어는 온도2 어는 온도3
6-2-1 135.9 없음 없음 없음 141.9 없음 없음
6-2-2 132.6 없음 없음 없음 132.2 없음 없음
6-2-3 97.8 없음 없음 없음 136.5 없음 없음
6-2-4 108.5 없음 없음 없음 107.6 없음 없음
6-2-5 117.9 없음 없음 없음 153.4 124.3 없음
(단위: ℃)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6-2-1) 내지 (6-2-5)와 같은 중량비로 원료 분말을 70g 혼합한 후 니켈 도가니에 넣고 300℃로 1시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200℃에서 꺼냈다.
응고된 용융염 조성물은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한 후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와 어는 온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NaNO3가 22.10 중량%, KNO3가 24.39 중량%, Ca(NO3)2가 35.53 중량%, NaCl이 1.79 중량%, CaCl2가 1.19 중량%, LiNO3가 15.00 중량%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97.8℃에서 녹고 다소 높은 온도인 136.5℃에서 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aNO3가 20.08 중량%, KNO3가 22.96중량%, Ca(NO3)2가 33.44 중량%, NaCl이 1.68 중량%, CaCl2가 1.12 중량%, LiNO3가 20.00 중량%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107.6℃에서 얼고 다소 높은 온도인 108.5℃에서 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
시료명 NaNO3 KNO3 Ca(NO3)2 NaCl CaCl2 LiNO3
6-2-6 22.80 25.36 43.51 2.00 1.33 5.00
6-2-7 21.60 24.03 41.22 1.89 1.26 10.00
6-2-8 20.40 22.69 38.93 1.79 1.19 15.00
6-2-9 19.20 21.36 36.64 1.68 1.12 20.00
6-2-10 18.00 20.02 34.35 1.58 1.05 25.00
6-2-11 16.80 18.69 32.06 1.47 0.98 30.00
(단위: 중량%)
시료명 녹는 온도1 녹는 온도2 녹는 온도3 녹는 온도4 어는 온도1 어는 온도2 어는 온도3
6-2-6 134.7 없음 없음 없음 137.4 없음 없음
6-2-7 134.8 없음 없음 없음 115.7 없음 없음
6-2-8 96.0 없음 없음 없음 109.5 없음 없음
6-2-9 114.9 143.6 없음 없음 123.0 없음 없음
6-2-10 102.2 144.5 없음 없음 154.9 113.7 없음
6-2-11 109.8 154.7 없음 없음 160.9 113.8 없음
(단위: ℃)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6-2-6) 내지 (6-2-11)와 같은 중량비로 원료 분말을 70g 혼합한 후 니켈 도가니에 넣고 300℃로 1시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200℃에서 꺼냈다.
응고된 용융염 조성물은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한 후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와 어는 온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NaNO3가 20.40 중량%, KNO3가 22.69 중량%, Ca(NO3)2가 38.93 중량%, NaCl이 1.79 중량%, CaCl2가 1.19 중량%, LiNO3가 15.00 중량%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96.0℃에서 녹고 가장 낮은 온도인 109.5℃에서 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7
시료명 NaNO3 KNO3 Ca(NO3)2 NaCl CaCl2 LiNO3
6-2-17 20.90 26.03 42.08 3.42 2.57 5.00
6-2-18 19.80 24.66 39.89 3.24 2.43 10.00
6-2-19 18.70 23.29 37.65 3.06 2.30 15.00
6-2-20 17.60 21.92 35.44 2.88 2.16 20.00
6-2-21 16.50 20.55 33.22 2.70 2.03 25.00
(단위: 중량%)
시료명 녹는 온도1 녹는 온도2 녹는 온도3 녹는 온도4 어는 온도1 어는 온도2 어는 온도3
6-2-17 130.3 없음 없음 없음 167.6 없음 없음
6-2-18 102.9 148.2 없음 없음 154.4 없음 없음
6-2-19 109.7 없음 없음 없음 161.8 129.1 없음
6-2-20 94.8 129.7 140.9 없음 161.8 123.7 없음
6-2-21 102.4 131.1 144.1 없음 144.9 없음 없음
(단위: ℃)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6-2-17) 내지 (6-2-21)와 같은 중량비로 원료 분말을 70g 혼합한 후 니켈 도가니에 넣고 300℃로 1시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200℃에서 꺼냈다.
응고된 용융염 조성물은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한 후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와 어는 온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4에 나타내었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NaNO3가 17.60 중량%, KNO3가 21.92 중량%, Ca(NO3)2가 35.44 중량%, NaCl이 2.88 중량%, CaCl2가 2.16 중량%, LiNO3가 20.00 중량%일 때 가장 낮은 온도인 94.8℃에서 녹고 가장 낮은 온도인 123.7℃에서 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8
본 발명에서 고안된 조성의 열용량을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Solar Salt의 열용량과 비교하기 위하여 NaNO3를 60 중량%, KNO3를 40 중량%로 하는 중량비로 원료 분말을 70g 혼합한 후 니켈 도가니에 넣고 400℃로 1시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300℃에서 꺼냈다.
얻어진 시료를 유발로 분쇄한 후 DSC에 넣고 300℃에서의 열용량을 측정하였다.
시료명 열용량 (MJ/m3K)
Solar Salt 3.05
6-1-2 3.07
6-2-3 3.32
표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명 6-1-2와 6-2-3의 열용량은 각각 3.07 MJ/m3K와 3.32 MJ/m3K로서 Solar Salt의 열용량인 3.05 MJ/m3K보다 개선되었다.

Claims (10)

  1. 6성분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6성분계는 NaNO3-KNO3-Ca(NO3)2-NaCl-KCl-LiNO3 이거나 NaNO3-KNO3-Ca(NO3)2-NaCl-CaCl2-LiNO3인 것인, 열저장 물질.
  2. 청구항 1에 있어서,
    15 내지 25 중량%의 NaNO3, 0.8 내지 5 중량%의 NaCl, 0.9 내지 3.9 중량%의 KCl, 5 내지 25 중량%의 LiNO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저장 물질.
  3. 청구항 1에 있어서,
    17 내지 30 중량%의 KNO3, 0.8 내지 5 중량% NaCl, 0.9 내지 3.9 중량%의 KCl, 5 내지 25 중량%의 LiNO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저장 물질.
  4. 청구항 1에 있어서,
    27 내지 43 중량%의 Ca(NO3)2, 0.8 내지 5 중량%의 NaCl, 0.9 내지 3.9 중량%의 KCl, 5 내지 25 중량%의 LiNO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저장 물질.
  5. 청구항 1에 있어서,
    13 내지 27 중량%의 NaNO3, 1.2 내지 3.7 중량%의 NaCl, 0.8 내지 2.9 중량%의 CaCl2, 5 내지 25 중량%의 LiNO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저장 물질.
  6. 청구항 1에 있어서,
    15 내지 30 중량%의 KNO3, 1.2 내지 3.7 중량%의 NaCl, 0.8 내지 2.9 중량%의 CaCl2, 5 내지 25 중량%의 LiNO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저장 물질.
  7. 청구항 1에 있어서,
    28 내지 46 중량%의 Ca(NO3)2, 1.2 내지 3.7 중량%의 NaCl, 0.8 내지 2.9 중량%의 CaCl2, 5 내지 25 중량%의 LiNO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저장 물질.
  8. 청구항 1에 있어서,
    15 내지 25 중량%의 NaNO3,
    17 내지 30 중량%의 KNO3,
    27 내지 43 중량%의 Ca(NO3)2,
    0.8 내지 5 중량%의 NaCl,
    0.9 내지 3.9 중량%의 KCl,
    5 내지 25 중량%의 LiNO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저장 물질.
  9. 청구항 1에 있어서,
    13 내지 27 중량%의 NaNO3,
    15 내지 30 중량%의 KNO3,
    28 내지 46 중량%의 Ca(NO3)2,
    1.2 내지 3.7 중량%의 NaCl,
    0.8 내지 2.9 중량%의 CaCl2,
    5 내지 25 중량%의 LiNO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저장 물질.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열저장 물질을 구비하는 태양열 저장 장치.
KR1020140193334A 2014-12-30 2014-12-30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KR101649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334A KR101649999B1 (ko) 2014-12-30 2014-12-30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334A KR101649999B1 (ko) 2014-12-30 2014-12-30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663A KR20160080663A (ko) 2016-07-08
KR101649999B1 true KR101649999B1 (ko) 2016-08-22

Family

ID=5650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334A KR101649999B1 (ko) 2014-12-30 2014-12-30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5777A (zh) * 2018-01-08 2018-07-17 上海巴安水务股份有限公司 一种三元混合熔盐中温相变储能材料的制作方法
CN108728048B (zh) * 2018-04-23 2020-12-04 长沙理工大学 一种三元共熔氯化盐传热蓄热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7041116B2 (ja) * 2019-11-25 2022-03-23 矢崎総業株式会社 蓄熱材組成物及び建築物の冷暖房用の蓄熱システム
CN111041525B (zh) * 2019-12-31 2022-02-08 谷波技术(常州)有限公司 一种低温熔盐电镀Ni-WC复合层增强微波通讯器件表面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0063A1 (en) * 2000-05-15 2002-05-23 Merck Gmbh Process for producing an accumulator composite for accumulating heat or col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8694B1 (en) 2008-02-14 2009-09-15 Sandia Corporation Low-melting point inorganic nitrate salt heat transfer flui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0063A1 (en) * 2000-05-15 2002-05-23 Merck Gmbh Process for producing an accumulator composite for accumulating heat or col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obert W. Bradshaw, et al., Viscosity of Multi-component Molten Nitrate Salts?Liquidus to 200°C, SANDIA REPORT, SAND2010-1129,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2010, pp. 1-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663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342B1 (ko)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Aftab et al. Phase change material-integrated latent heat storage systems for sustainable energy solutions
KR101649999B1 (ko) 6성분계를 포함하는 열저장 물질
CN103459547B (zh) 无机硝酸盐的混合物
Py et al. Concentrated solar power: Current technologies, major innovative issues and applicability to West African countries
Saha et al. Global prospects and challenges of latent heat thermal energy storage: A review
CN104610927B (zh) 低熔点混合熔盐储热传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298904B (zh) 用于太阳能设备的传热介质
US9506671B2 (en) Heat transfer medium, use thereof, and method for operating a solar thermal power plant
Aftab et al. Molecularly elongated phase change materials for mid-temperature solar-thermal energy storage and electric conversion
Prabhu et al. Review of phase change materials for thermal energy storage applications
Mubarrat et al. Research advancement and potential prospects of thermal energy storage in concentrated solar power application
Li et al. Supercooled sugar alcohols stabilized by alkali hydroxides for long-term room-temperature phase change solar-thermal energy storage
Nomura et al. Feasibility of an advanced waste heat transportation system using high-temperature phase change material (PCM)
JP6483234B2 (ja) 塩混合物
Agrawal et al. Comparison of experimental data for sensible and latent heat storage materials for late-evening cooking based on a dish-type solar cooker
Farhat et al. Solar thermal energy storage solutions for building application: State of the art
Amer et al. Thermal energy storage by using latent heat storage materials
CN113881403B (zh) 一种复合相变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3897668A (zh) 一种基于碳酸盐的高温传热材料及其制备方法
Benchara et al. Thermal energy storage by phase change materials suitable for solar water heaters: An updated review
Olimat et al. Studying the stability of melting and solidification behavior of phase change material
Kavitha et al. Performance of paraffin as PCM solar thermal energy storage
Gupta An overview on thermal energy storage for solar thermal power plant
KR101508155B1 (ko) 축열조에 사용되는 축열재 및 축열조에 사용되는 축열재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