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610B1 - 신발끈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신발끈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610B1
KR101479610B1 KR1020130119798A KR20130119798A KR101479610B1 KR 101479610 B1 KR101479610 B1 KR 101479610B1 KR 1020130119798 A KR1020130119798 A KR 1020130119798A KR 20130119798 A KR20130119798 A KR 20130119798A KR 101479610 B1 KR101479610 B1 KR 101479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wire
shoelace
sho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기호
하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to KR1020130119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6Shoe lacing fastenings tightened by draw-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구성 및 조작이 간편화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신발의 발등부를 따라 지그재그로 연결된 신발끈; 신발의 아웃솔 양측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조임와이어 결합부;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와 상기 신발끈의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을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조임와이어; 및 상기 조임와이어가 권취되어 연결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조임와이어에 인장력을 가하는 조임장치부를 포함하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발끈 조임장치{apparatus for fastening shoe strip}
본 발명은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 및 조작이 간편화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개선된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화 등의 신발은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밀착되도록 신발끈이 지그재그 형식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신발끈을 당겨 조임으로써 신발과 사용자 발의 밀착성을 높여 쾌적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신발은 보행시 벗겨지지 않도록 적당한 크기로 선택되어야 하고, 벗고 신기에 적당하도록 신발끈을 다소 느슨하게 묶은 상태에서 신발을 신는 것이 일반적이나, 보행시에 신발이 발을 압박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꼭 맞도록 신발끈을 조여 주는 것이 발의 건강에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신발을 벗을 때마다 신발끈을 풀거나 조이는 것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당히 묶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신발을 신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나, 일반 보행시에도 신발끈이 풀어져 걸음을 멈추고 신발끈을 다시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초래되기도 하고, 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신발끈의 양단부가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단정치 못한 느낌을 줄 수도 있으며, 신발끈이 긴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더욱이, 초등학교 저학년 내지는 초등학교 이전의 어린아이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신발끈을 풀었다 조이는 일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등산, 경륜 등과 같은 운동을 하고 있는 선수들이나 사람들의 경우 고정되지 않은 신발끈의 양단부나 매듭이 격렬한 움직임에 의해서나 외부 물체에 걸려 풀리게 되면 기록 저하, 안전 사고의 발생 등 결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초래되기 때문에 신발끈의 풀림은 절대적으로 방지되어야 한다.
또한, 운동 중 쉬는 시간에는 꽉 조여진 신발끈을 손쉽게 풀 수 있어야만 충분히 쉴 수 있는바, 가장 바람직하게는 신발끈을 쉽게 조일 수 있으며, 조여진 상태가 지속되어야 하는 동시에 필요시 신발끈을 느슨하게 풀 수 있어야만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신발끈은 신발의 양쪽 측피 상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신발끈을 지그재그 형식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데, 착용자가 상기 신발끈을 당겨 조일시 상기 관통공을 경유하여 엮어진 신발끈에 가해지는 압력이 각각 다르게 적용되어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착용자의 발등의 어느 일측으로만 과도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 장시간 착용시 발의 일측에 혈액순환이 되지 않거나 발의 피로도가 증가되어 불편함이 가중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착용자가 상기 신발끈을 조금씩 풀고 조이면서 압력을 맞춰야하므로 착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9862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 및 조작이 간편화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개선된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발의 발등부를 따라 지그재그로 연결된 신발끈; 신발의 아웃솔 양측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조임와이어 결합부;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와 상기 신발끈의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을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조임와이어; 및 상기 조임와이어가 권취되어 연결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조임와이어에 인장력을 가하는 조임장치부를 포함하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에는 상기 조임와이어가 지그재그로 경유되어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조임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조임관통공의 내주면은 상기 조임와이어가 지그재그로 연결되는 방향과 대응되어 커브지는 곡선형의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아웃솔의 각 측면부측에 구비되는 상기 복수개의 조임와이어 결합부는 상기 신발의 아웃솔 외측프로파일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신발끈과 상기 조임와이어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견인조인트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견인조인트부재는 상측을 관통하며 상기 신발끈이 삽입되어 상측으로 견인되도록 연결되는 제1경유공과, 하측을 관통하며 상기 조임와이어가 삽입되어 하측으로 견인되도록 연결되는 제2경유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경유공과 상기 제2경유공의 내주면은 상기 신발끈 및 조임와이어가 경유되어 연결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커브지도록 곡선형의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임와이어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신발의 양측면부를 커버하는 커버부가 구비되되,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조임와이어가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복수개의 개방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신발끈 조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사용자에게 익숙한 형태로 구비되는 신발끈에 상기 조임와이어가 연결되는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조임와이어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신발의 측피를 균일하게 가압하여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맞도록 조절이 용이하다. 이를 통해, 상기 신발끈을 이용하여 다양한 개성표현이 가능하며 상기 신발끈의 매듭을 풀어 다시 풀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최소화되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신발끈과 조임와이어가 연결되는 부위에 상기 제1경유공 및 제2경유공이 형성된 상기 견인조인트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신발끈과 조임와이어 간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하며, 상기 제1경유공 및 제2경유공의 내주면이 커브진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조작감이 현저히 개선되고 상기 신발끈 및 조임와이어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조임와이어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균일하게 분산되고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조임관통공의 내주면이 상기 조임와이어에 제공되는 인장력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를 이루는 커브지는 곡선형의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조작감 및 착화감이 현저히 개선되어 사용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가 구비된 신발의 부분투영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4a의 B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가 구비된 신발의 부분투영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일반적으로 신발(10)은 상기 신발(10)의 바닥부인 아웃솔(3), 인체의 발등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설피 즉 발등부(1), 상기 아웃솔(3)의 상부에 구비되며 발꿈치와 발의 양측면부(2)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측피(2)와 상기 측피(2)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신발끈(4)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신발끈(4)을 조이거나 느슨하게 풀어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로 착용하게 되는데, 상기 신발끈(4)은 조인후 매듭을 지어 마무리하게 된다.
그러나, 어린이나 노인의 경우 상기 매듭을 묶기 어려우며, 상기 매듭이 제대로 지어지지 않은 경우 쉽게 풀려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 신발끈(4)을 쉽게 조이고 고정할 수 있도록 등록특허 제1053551호, 제953398호 및 제1028468호와 같은 신발끈 조임장치를 개시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신발끈 조임장치를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연구의 기술적 개선점을 보완하여 신발끈 조임장치의 개발을 수행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100)는 조임와이어 결합부(110), 조임와이어(120) 그리고 조임장치부(1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신발끈(4)은 상기 신발(10)의 양측면부를 구성하는 상기 측피(2)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신발(10)의 발등부(1)를 따라 지그재그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종래에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신발끈(4)이 조여지거나 느슨하게 풀리는 형태로 구비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상기 신발끈(4)의 형태가 상기 신발끈 조임장치에 용이하게 권취되도록 형성되어 기능적으로는 편리하지만 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세히, 상기 신발(10)의 아웃솔(3) 양측면부에는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가 배치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실질적으로 상기 아웃솔(3) 양측면부의 내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가 상기 아웃솔(3)의 내측으로 구비되어 미감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에는 복수개의 조임관통공(11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임관통공(111)은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경유되어 연결되는 통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신발(10)의 발등부(1)에는 상기 측피(2)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신발끈(4)이 지그재그로 연결되어 구비되되 상기 신발끈(4)의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고리형태로 맞물려 경유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신발끈(4)과 연결되는 상기 조임와이어(120)는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에 구비된 상기 조임관통공(111)을 경유하여 연결된다. 즉,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상기 신발끈(4)과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를 상호 연결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된 상기 조임와이어(120)는 상기 신발(10)의 측피(2)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조임와이어(120)의 단부에는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권취되어 조임 및 구속력을 제공하는 상기 조임장치부(1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임장치부(13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발(10)의 뒷꿈치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신발(10)의 측면부 등 다양한 부위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신발(10)의 발등부(1)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신발끈(4)과 상기 아웃솔(3) 양측면부에 구비되는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지그재그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와이어(120)의 단부에 상기 조임장치부(130)가 연결되되, 상기 조임장치부(130)는 상기 조임와이어(120)를 권취 및 고정할 수 있는 핸들부(131)와 상기 신발(10)의 일측에 고정되는 안착부(13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131)의 내측으로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권취되어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조임와이어(120)를 구속할 수 있는 구속장치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 및 구조는 해당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조임장치부(130)에 상기 조임와이어(120)의 단부가 권취되어 연결되되, 상기 핸들부(13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임와이어(120)에 인장력이 가해져 조여질 수 있으며,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조여짐에 따라 상기 신발끈(4)과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신발(10)을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발의 측피(2)를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경유하여 감싸듯이 구비되는 상기 조임와이어(120)의 연결부에는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상기 측피(2)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경유시 위치를 구속해주고 상기 조임와이어(12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가이더부(11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더부(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발(1)의 전단부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신발(1)의 전단부를 가로지르는 하나의 관통공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에게 익숙한 형태로 구비되는 신발끈(4)에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연결되는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조임와이어(120)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신발(10)의 측피(2)를 균일하게 가압하여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맞도록 조절이 용이하다.
즉, 종래의 신발(10)의 발등부(1)에 구비되는 상기 신발끈(4)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상기 신발(10)의 측피(2)에 구비되는 상기 조임와이어(120)에 의해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맞도록 조절이 가능하므로 상기 신발끈(4)을 이용하여 다양한 개성표현이 가능하여 심미감이 개선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신발끈(4)의 매듭이 풀리지 않도록 강하게 묶더라도 다시 풀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최소화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수려한 미감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조임장치부(130)의 회전함에 따라 상기의 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신발(10)의 측피(2) 외면을 가압하므로 상기 조임와이어(120)의 조임과 풀림의 조작이 간편하므로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a의 B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100)는 상기 신발끈(4)과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를 상호 연결하도록 지그재그로 구비되는 상기 조임와이어(120)를 상기 조임장치부(130)에 의해 인장력이 제공되어 조여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신발(1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피(2)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신발끈(4)이 상기 신발(10)의 발등부(1)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아웃솔(3)의 양측면에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신발끈(4)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에는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지그재그로 경유되어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상기 조임관통공(1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와 상기 신발끈(4)을 연결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신발(10)의 측피 외면에 구비되는 상기 조임와이어(120)의 단부에는 상기 조임장치부(1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임장치부(130)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조임와이어(120)에 인장력이 가해져 조여지며,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조여짐에 따라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와 상기 신발끈(4) 사이 간격이 줄어들면서 상기 신발(10)을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상기 조임관통공(111)은 그의 내주면(111a)이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지그재그로 연결되는 방향과 대응되어 커브지는 곡선형의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단부가 상기 조임장치부(130)에 연결된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상기 조임장치부(130)의 핸들부(131)를 조작함에 따라 권취되어 조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임장치부(130)를 회전에 의해 가해지는 인장력이 상기 조임와이어(120)에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상기 조임관통공(111)의 내주면(111a)이 커브지는 곡선형의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임관통공(111) 내주면(111a)의 커브지는 곡선형의 프로파일이 상기 측피(2) 외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되는 상기 조임와이어(120)에 제공되는 인장력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를 이루며, 마찰력이 최소화되어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마찰이 최소화되므로 상기 조임와이어(120)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균일하게 분산되므로 상기 신발(10)의 어느 일측으로 가압력이 집중되지 않아 착화감이 현저히 개선되어 사용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는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아웃솔(3)의 각 양측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신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신발(10)의 아웃솔(3) 외측프로파일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임관통공(111)의 개수는 신발(10)의 사이즈 및 모양에 따라 탄력적으로 가변되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조임관통공(111)이 복수개 형성되어 사출 성형되므로 상기 아웃솔(3)과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를 연결이 간편하여 제작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가 아웃솔(3)의 프로파일에 따라 다양하게 구부려지도록 복수개의 상기 조임관통공(111) 사이에 가변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210)는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아웃솔(3)의 각 측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신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의 조임관통공(211)이 구비된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210)가 복수개 구비되어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210)의 개수는 신발(10)의 사이즈 및 모양에 따라 탄력적으로 가변되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금형으로 제작된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210)를 원하는 수대로 상기 아웃솔(3)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이 현저히 절약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210)를 상기 아웃솔(3)에 고정시 외측으로 드러나는 이질감이 개선되도록 상기 아웃솔(3)의 양측면부에는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210)에 대응되어 삽입되도록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임장치부(130)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당겨지거나 느슨해지는 상태가 반복될 경우 상기 조임와이어(120)와 상기 신발끈(4)이 고리형태로 연결되는 부분이 마찰에 의해 마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조임와이어(120) 또는 상기 신발끈(4)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상기 신발(10)을 착용후 보행시 상기 조임와이어(120) 또는 상기 신발끈(4)이 끊어져 신발(10)을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손상된 신발(10)에 의해 넘어져 부상을 당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신발끈(4)과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복수개의 견인조인트부재(1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견인조인트부재(140)에는 제1경유공(141)과 제2경유공(1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견인조인트부재(140)에는 상기 제1경유공(141)과 제2경유공(142)이 형성되되, 상기 견인조인트부재(140)의 상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기 제1경유공(141)에는 상기 신발끈(4)이 삽입되고, 상기 견인조인트부재(140)의 하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기 제2경유공(142)에는 조임와이어(120)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경유공(141)을 경유하는 상기 신발끈(4)은 상기 신발(10)의 발등부(1)를 감싸도록 견인되어 매듭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유공(142)을 경유하는 상기 조임와이어(120)는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를 경유한 후 그의 단부에 구비된 상기 조임장치부(130)를 회전함에 따라 인장된다.
이때, 상기 신발끈(4)과 상기 조임와이어(120)의 외면과 상기 제1경유공(141) 및 제2경유공(142)의 내주면(141a,142a)의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제1경유공(141)과 및 제2경유공(142)의 내주면(141a,142a)은 상기 신발끈(4) 및 조임와이어(120)가 경유되어 연결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커브지도록 곡선형의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신발(10)의 발등부(1)에 구비된 상기 신발끈(4)과 상기 신발(10)의 측피(2) 외면에 구비되는 상기 조임와이어(120)부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견인조인트부재(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신발끈(4)이 경유되는 상기 제1경유공(141)은 상기 신발끈(4)이 지그재그로 연결되는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커브진 형태의 내주면(14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경유되는 상기 제2경유공(142)은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지그재그로 연결되는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커브진 형태의 내주면(142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상기 신발끈(4) 및 조임와이어(120)는 상기 조임장치부(130)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당겨지는 방향 혹은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당겨지면 상기 신발끈(4)과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신발(10)의 폭이 조여지고, 반대로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느슨해지면 상기 신발끈(4)과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11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상기 신발(10)의 폭이 여유로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당겨지거나 느슨해지는 경우 상기 조임와이어(120)와 상기 신발끈(4)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어느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이동시 상기 견인조인트부재(140)에 형성된 상기 제1경유공(141) 및 제2경유공(142)에 상기 신발끈(4) 및 조임와이어(120)가 각각 삽입되어 연결되므로, 상기 신발끈(4) 및 조임와이어(120) 간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경유공(141) 및 제2경유공(142)의 내주면(141a,142a)이 각각 상기 신발끈(4) 및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견인되어 경유되는 방향을 따라 커브진 프로파일로 형성되므로 마찰력이 최소화되어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마찰력이 최소화되므로 상기 조임와이어(120)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상기 신발(10)의 어느 일측으로 가압력이 집중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착화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발끈(4)과 조임와이어 결합부(110)를 경유하며 상기 신발(10)의 양측면부(2)에 구비되는 상기 조임와이어(1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커버부(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부(5)에는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복수개의 개방공(6)이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구비된 신발(10)의 측피(2)를 감싸도록 상기 커버부(5)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5)는 천재질 또는 망사재질 등 그 재질에 한정을 두지 않으며,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구비된 신발(10)의 양측면부(2) 전체 또는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부(5)가 구비됨으로써 신발(10)의 외관이 수려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돌 또는 나무와 같은 외부환경에 걸려 사용자가 넘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발끈(4)과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커버부(5)의 바깥으로 노출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복수개의 상기 개방공(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공(6)의 형태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미감이 더욱 개선되어 사용만족감이 향상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는 사용자에게 익숙한 형태로 구비되는 신발끈(4)에 상기 조임와이어(120)가 연결되는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조임와이어(120)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신발(10)의 측피(2)를 균일하게 가압하여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맞도록 조절이 용이하다.
이를 통해, 상기 신발끈(4)을 이용하여 다양한 개성표현이 가능하며 상기 신발끈(4)의 매듭을 풀어 다시 풀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최소화되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끈(4)과 조임와이어(120)가 연결되는 부위에 상기 제1경유공(141) 및 제2경유공(142)이 형성된 상기 견인조인트부재(140)가 구비되어 상기 신발끈(4)과 조임와이어(120) 간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하며, 상기 제1경유공(141) 및 제2경유공(142)의 내주면이 커브진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조작감이 현저히 개선되고 상기 신발끈(4) 및 조임와이어(120)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조임와이어(120)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균일하게 분산되고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조임관통공(111)의 내주면이 상기 조임와이어(120)에 제공되는 인장력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를 이루는 커브지는 곡선형의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조작감 및 착화감이 현저히 개선되어 사용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발등부 2 : 측피
3 : 아웃솔 4 : 신발끈
5 : 커버부 6 : 개방공
10 : 신발 110,210 : 조임와이어 결합부
111,211 : 조임관통공 112 : 가이더부
120 : 조임와이어 130 : 조임장치부
131 : 핸들부 132 : 안착부
140 : 견인조인트부재 141 : 제1경유공
142 : 제2경유공 100 : 신발끈 조임장치

Claims (5)

  1. 신발의 발등부를 따라 지그재그로 연결된 신발끈;
    신발의 아웃솔 양측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조임와이어 결합부;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와 상기 신발끈의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을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조임와이어; 및
    상기 조임와이어가 권취되어 연결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조임와이어에 인장력을 가하는 조임장치부를 포함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와이어 결합부에는 상기 조임와이어가 지그재그로 경유되어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조임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조임관통공의 내주면은 상기 조임와이어가 지그재그로 연결되는 방향과 대응되어 커브지는 곡선형의 프로파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의 각 측면부측에 구비되는 상기 복수개의 조임와이어 결합부는 상기 신발의 아웃솔 외측프로파일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사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과 상기 조임와이어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견인조인트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견인조인트부재는 상측을 관통하며 상기 신발끈이 삽입되어 상측으로 견인되도록 연결되는 제1경유공과, 하측을 관통하며 상기 조임와이어가 삽입되어 하측으로 견인되도록 연결되는 제2경유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경유공과 상기 제2경유공의 내주면은 상기 신발끈 및 조임와이어가 경유되어 연결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커브지도록 곡선형의 프로파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와이어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신발의 양측면부를 커버하는 커버부가 구비되되,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조임와이어가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복수개의 개방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KR1020130119798A 2013-10-08 2013-10-08 신발끈 조임장치 KR101479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798A KR101479610B1 (ko) 2013-10-08 2013-10-08 신발끈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798A KR101479610B1 (ko) 2013-10-08 2013-10-08 신발끈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610B1 true KR101479610B1 (ko) 2015-01-06

Family

ID=5258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798A KR101479610B1 (ko) 2013-10-08 2013-10-08 신발끈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6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410A (ja) * 1998-06-30 2000-01-18 Ryuko Shu 自動紐締め及び紐解き機能を具えた靴
US20120233882A1 (en) * 2011-03-15 2012-09-2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KR20130107924A (ko) * 2012-03-23 2013-10-02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발목 조임기능이 내장된 신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410A (ja) * 1998-06-30 2000-01-18 Ryuko Shu 自動紐締め及び紐解き機能を具えた靴
US20120233882A1 (en) * 2011-03-15 2012-09-2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KR20130107924A (ko) * 2012-03-23 2013-10-02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발목 조임기능이 내장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8496A1 (en) Adjustable stop piece for lacings and method of use
US20060254089A1 (en) Footwear and clothes fastening and transforming system
US5688213A (en) Exercise apparatus
US11116279B2 (en) Sports shoe for cycling exercise
US5349764A (en) Shoe securement apparatus
CA2795758C (en) Adjustable stop piece for lacings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8991018B2 (en) Shoelace fastener system
JP2015519949A (ja) キャノピ付き無タン履物
JP2018532554A (ja) 履物閉鎖システム
US7036194B2 (en) Shoe lace
KR102197948B1 (ko) 이동식 신발끈 조임장치
KR200393869Y1 (ko) 신발끈 내장형 신발
KR101479610B1 (ko) 신발끈 조임장치
US20180055147A1 (en) Elastic Shoelace with a Ring
KR101140424B1 (ko) 신발 끈 정리 장치
KR101649149B1 (ko)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US20220287411A1 (en) Sports shoe, in particular cycling shoe
JP3738961B2 (ja) 靴ひも及び靴ひもの挿し通し方法
RU24001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жения головки,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удержания подтянутой крайней плоти у корня полового члена, находящегося в состоянии эрекции
KR102601886B1 (ko)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
KR101861019B1 (ko) 승마용 부츠
KR102298250B1 (ko) 와이어 조임장치
TWM554271U (zh) 襪體防脫結構
WO2018234750A1 (en) SHOE LACET RETENTION DEVICE
KR102387803B1 (ko) 신발조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