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208B1 -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208B1
KR101479208B1 KR20120153507A KR20120153507A KR101479208B1 KR 101479208 B1 KR101479208 B1 KR 101479208B1 KR 20120153507 A KR20120153507 A KR 20120153507A KR 20120153507 A KR20120153507 A KR 20120153507A KR 101479208 B1 KR101479208 B1 KR 101479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53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4458A (ko
Inventor
박만금
Original Assignee
제이와이커스텀(주)
박만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와이커스텀(주), 박만금 filed Critical 제이와이커스텀(주)
Priority to KR20120153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208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모니터용 크레들에 설치되고,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네비게이션 모니터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OBD(On-board Diagonsis) 포트로부터 차량 정보 입력시, 입력된 차량 정보와 등록된 해당 차량정보의 전송 처(處) 정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매칭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 포맷에 맞는 신호로 동기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된 매칭 정보를 시리얼(serial) 프로토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OBD(On-board Diagonsis) 포트로부터 입력된 각종 차량 정보를 관련된 해당 업체로 전송하여, 각종 차량 정보를 관련된 업체 등으로 효율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특히, 차량 정보와 관련된 업체가 여러 개일 경우 일괄 전송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Interface apparatus between mobile phone and navigation monito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ehicle information using mobile phone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OBD(On-board Diagonsis) 포트로부터 입력된 각종 차량 정보를 관련된 해당 업체로 전송하여, 각종 차량 정보를 관련된 업체 등으로 효율적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특히, 차량 정보와 관련된 업체가 여러 개일 경우 일괄 전송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오디오의 전면 패널에 위치하는 정보 표시부는 운전자에게 오디오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해 주는 기능을 가진다. 이 표시부가 전달하는 정보는 라디오, CD 플레이어의 동작 상태에 관련된 정보가 주를 이루어 왔으나 최근에는 MP3 CD, IPod로부터의 음원 재생, Bluetooth를 이용한 Hands Free 및 음성인식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채용됨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의 조합이 헤아릴 수 없이 다양해 졌다.
또한 그러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들을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해서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의 전면 패널에는 다수의 복합 기능의 조작키가 배치된다.
상기 오디오 정보 표시부에서는 인가전압에 따른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액정 표시기(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이용한다. 액정 표시기는 자체 발광을 하지 않아 후광(Backlight)이 필요하지만 소비전력이 적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색의 픽셀들로 화상을 표현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액정표시기(TFT-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가 개발되어 다양하게 활용되고도 있지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아 제조 단가를 중시하는 표준 사양의 차량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단, 고급 선택 사양이 적용된 차량의 경우에 한하여 채택된 순정 네비게이션 장치에 상기 언급한 오디오 정보 뿐만 아니라 공조장치, 트립 컴퓨터 등의 다양한 차량정보 표시 장치의 기능이 통합되어 부착된 TFT-LCD를 통해 정보들을 표시하고 별도의 위치에 조작 키 유닛을 장착한다.
한편, 고가의 선택 사양이 포함되지 않은 표준 사양의 차량에서 네비게이션 장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 대쉬 보드 상단, 전면 유리에 흡착판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거치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착방식은 순정 사양과 비교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반면, 운전 중 시야를 방해하고 차량 진동 등에 의해 이탈될 시 운전자의 주위를 분산시켜 사고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돌 등의 기타 사고 발생 시에도 단말기 돌출부와 접촉에 의한 부상의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차량 정보 표시기와 같은 일부 장치를 제거하고, 그 여유 공간을 활용하여 네비게이션 장치를 장착하는 매립(Built-In) 방식의 제품이 개발되었으며, 이 방식의 경우, 탈거된 원래의 장치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그 기능을 매립된 네비게이션 장치가 대신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안이 반드시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차종에 따라서는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서 일부 장치를 탈거하여 이동시킬 공간이 없거나 탈거를 통한 매립 공간 확보 자체가 물리적으로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그러한 경우 차량 오디오가 단순하게 라디오와 CD 플레이어로 구성되었던 과거에는 2-DIN 높이의 오디오를 탈거하고 확보된 공간을 매립형 네비게이션 장치를 위해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별도의 1-DIN 높이의 오디오를 장착하여 문제를 해결했었으나 최신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과 전용 외장 앰프의 채용이 일반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에 따라 순정 오디오의 교체 또한 불가능하여 매립형 네비게이션 장치 적용이 어려운 실정에 있다.
최근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개발 추세는 오디오 본체와 전면 패널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오디오 본체의 기구와 회로기판은 공통 표준화하고 차종에 따라 기능과 형태를 달리하는 전면 패널만을 별도로 개발함으로써 공용화에 따른 개발 및 제조 비용의 절감, 개발기간의 단축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전면 패널을 탈거하고 전면 패널의 표시 기능과 조작키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네비게이션 장치에 부가한다면 탈거된 오디오 전면 패널이 차지하였던 공간의 활용이 가능해진다.
한편, 네비게이션 장치는 통상적으로 차량 주행시 많이 사용되는 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위성들로부터 각 위성들의 위치정보, 즉, 위도와 경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자기 차량의 위치(위도와 경도)를 계산하여 출력하고, 미리 입력 저장된 지형, 도로, 건물 등의 지번을 위도와 경도에 따라 배치한 지리정보에 매핑하여 현재 위치에서 운전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기능은 이미 많은 사용자에게 익숙할 정도로 대중화되어 있어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네비게이션 장치를 구매하여 차량에 장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현재 많이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어 이를 이용할 경우, 상기한 네비게이션 장치가 부착된 차량의 각종 차량 정보를 관련된 업체로 효율적으로 전송해 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OBD(On-board Diagonsis) 포트로부터 입력된 각종 차량 정보를 관련된 해당 업체로 전송하여, 각종 차량 정보를 관련된 업체 등으로 효율적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특히, 차량 정보와 관련된 업체가 여러 개일 경우 일괄 전송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은,
네비게이션 모니터용 크레들에 설치되고,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네비게이션 모니터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OBD(On-board Diagonsis) 포트로부터 차량 정보 입력시, 입력된 차량 정보와 등록된 해당 차량정보의 전송 처(處) 정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매칭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 포맷에 맞는 신호로 동기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된 매칭 정보를 시리얼(serial) 프로토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OBD 포트로부터 입력된 차량 정보 중 이동통신단말기로 차량정보 전송 처 정보를 송출하도록 기설정된 차량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기설정된 차량 정보에 매칭된 전송 처(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전송 처 정보와 해당 차량 정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정보별로 전송 순위를 부여 설정하여, 전송 순위가 높게 부여된 차량 정보의 매칭 정보부터 순서대로 시리얼(serial) 프로토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네비게이션 모니터용 크레들에 설치되고,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네비게이션 모니터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OBD(On-board Diagonsis) 포트로부터 차량 정보 입력시, 입력된 차량 정보와 등록된 해당 차량정보의 전송 처(處) 정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상기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매칭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 포맷에 맞는 신호로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모듈 및, 상기 동기화된 매칭 정보를 시리얼(serial) 프로토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OBD 포트로부터 입력된 차량 정보 중 이동통신단말기로 차량정보 전송 처 정보를 송출하도록 기설정된 차량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모듈, 상기 검출된 기설정된 차량 정보에 매칭된 전송 처(處)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모듈 및, 상기 추출한 전송 처 정보와 해당 차량 정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정보별로 전송 순위를 부여 설정하여, 전송 순위가 높게 부여된 차량 정보의 매칭 정보부터 순서대로 시리얼(serial) 프로토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OBD(On-board Diagonsis) 포트로부터 입력된 각종 차량 정보를 관련된 해당 업체로 전송하여, 각종 차량 정보를 관련된 업체 등으로 효율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특히, 차량 정보와 관련된 업체가 여러 개일 경우 일괄 전송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네비게이션 모니터용 크레들에 설치되고,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200)를 이용해 상기 네비게이션 모니터(100)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로, 크게 정보 생성부(310), 동기화 모듈(320) 및 전송 제어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정보 생성부(310)는 검출 모듈(311), 추출 모듈(312) 및, 생성 모듈(3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정보 생성부(310)는 OBD(On-board Diagonsis) 포트로부터 차량 정보 입력시, 입력된 차량 정보와 등록된 해당 차량정보의 전송 처(處) 정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OBD 포트로부터 입력된 차량 정보 중 이동통신단말기로 차량정보 전송 처 정보를 송출하도록 기설정된 차량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기설정된 차량 정보에 매칭된 전송 처(處) 정보를 추출한 다음 그 추출한 전송 처 정보와 해당 차량 정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OBD 포트로부터 입력된 차량 정보 중 이동통신단말기로 차량정보 전송 처 정보를 송출하도록 기설정된 차량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모듈(311), 상기 검출된 기설정된 차량 정보에 매칭된 전송 처(處)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모듈(312) 및, 상기 추출한 전송 처 정보와 해당 차량 정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모듈(31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비소에서 관련 고장 발생 상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고장 코드(DTC : Diagnostic Trouble Code)와, 고장 발생시 운전상태와 관련 센서 측정값(Freeze Frame) 등 고장 발생항목과 내용을 포함한 차량 정보일 경우(이 경우, 정비소에서 사용하는 진단 장치(GST : Generic Scan Tool)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하여야 함), 해당 차량 정보에 매칭된 전송 처 정보 즉, 등록된 정비소 정보(예: 등록된 정비소의 전화번호, 이메일, URL 주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음)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한다. 혹은, OBD 포트로부터 입력된 차량 정보가 차량 블랙박스 정보일 경우 해당 차량 정보에 매칭된 전송 처 정보 즉, 등록된 보험회사 정보(예: 등록된 보험회사의 전화번호, 이메일, URL 주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음)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한다. 참고로, 상기 OBD 포트는 스티어링 변화의 경우 직접 센서를 스티어링 축에 다는 것이 오류가 많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OBD 포트는 차량의 ECU를 통해 자동차 주행 중 감지되는 각종 센서의 수치를 외부로 출력해주는 포트로 보통의 경우는 정비용 스캐너라 불리우는 장비를 이용하여 차량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OBD 포트에서 나오는 정보 중에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조향각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으며 차량의 미끄러짐 등을 보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참고로, 이 값은 OBD 포트로부터 직접 읽어들여 차량의 스티어링 각을 판별하는 기준으로 삼는다. 완성차 단계부터 달려 나오는 센서로부터 읽어들인 값이므로 정보 값에서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거의 없고 OBD 포트에 커넥트를 꽂으면 데이터를 바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설치가 매우 간단한 장점이 있다.
동기화 모듈(320)은 정보 생성부(310)에 의해 매칭 정보(즉, 전송 처 정보와 해당 차량 정보 간의 매칭 정보, 예: 등록된 정비소 전화번호 정보와 차량 고장 정보)가 생성된 경우, 생성된 매칭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 포맷에 맞는 신호로 동기화시키는 것이다.
전송 제어부(330)는 상기 동기화 모듈(320)에 의해 동기화된 매칭 정보를 시리얼(serial) 프로토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송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송 제어부(330)는 상기 차량 정보별로 전송 순위를 부여 설정하여(예: 등록된 정비소로 보낼 차량 고장 정보에 첫 번째 전송 순위를 부여, 보험 회사 등으로 보낼 차량 블랙 박스 정보에 두 번째 전송 순위를 부여 설정할 수 있음), 전송 순위가 높게 부여된 차량 정보의 매칭 정보부터 순서대로 시리얼(serial) 프로토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송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OBD(On-board Diagonsis) 포트로부터 차량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차량 정보는 예를 들어, 정비소에서 관련 고장 발생 상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고장 코드(DTC : Diagnostic Trouble Code)와, 고장 발생시 운전상태와 관련 센서 측정값(Freeze Frame) 등 고장 발생항목과 내용을 포함한 차량 정보 또는, 차량 블랙박스 정보 혹은, 차량의 전방 카메라 또는 후방 카메라에서 촬영한 차량 정보 등으로 된 것일 수 있다.
다음, 입력된 차량 정보와 등록된 해당 차량정보의 전송 처(處) 정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OBD 포트로부터 입력된 차량 정보 중 이동통신단말기로 차량정보 전송 처 정보를 송출하도록 기설정된 차량 정보를 검출한다(S201).
그런 다음, 상기 검출된 기설정된 차량 정보에 매칭된 전송 처(處) 정보를 추출한다(S202).
그리고, 그 추출한 전송 처 정보와 해당 차량 정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한다(S203).
예를 들어, 정비소에서 관련 고장 발생 상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고장 코드(DTC : Diagnostic Trouble Code)와, 고장 발생시 운전상태와 관련 센서 측정값(Freeze Frame) 등 고장 발생항목과 내용을 포함한 차량 정보일 경우(이 경우, 정비소에서 사용하는 진단 장치(GST : Generic Scan Tool)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하여야 함), 해당 차량 정보에 매칭된 전송 처 정보 즉, 등록된 정비소 정보(예: 등록된 정비소의 전화번호, 이메일, URL 주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음)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한다.
혹은, OBD 포트로부터 입력된 차량 정보가 차량 블랙박스 정보일 경우 해당 차량 정보에 매칭된 전송 처 정보 즉, 등록된 보험회사 정보(예: 등록된 보험회사의 전화번호, 이메일, URL 주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음)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한다.
다음, 이렇게 매칭 정보(즉, 전송 처 정보와 해당 차량 정보 간의 매칭 정보, 예: 등록된 정비소 전화번호 정보와 차량 고장 정보 혹은 등록된 보험회사 전화번호 정보와 차량 블랙박스 정보 등)가 생성된 경우, 그 생성된 매칭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 포맷에 맞는 신호로 동기화시킨다(S204).
그런 다음, 동기화된 매칭 정보를 시리얼(serial) 프로토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한다(S205).
이때, 상기 차량 정보별로 전송 순위를 부여 설정하여(예: 등록된 정비소로 보낼 차량 고장 정보에 첫 번째 전송 순위를 부여, 보험 회사 등으로 보낼 차량 블랙 박스 정보에 두 번째 전송 순위를 부여 설정할 수 있음), 전송 순위가 높게 부여된 차량 정보의 매칭 정보부터 순서대로 시리얼(serial) 프로토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한다.
그러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렇게 송출된 매칭 정보를 파싱하여 특정 차량 정보에 매칭된 전송 처(예: 정비소, 보험회사 등)로 해당 차량 정보를 내장된 무선 통신 모듈로 송출하게 된다.
그 결과, 각종 차량 정보를 관련된 업체 등으로 효율적으로 알려줄 수 있게 된다.
특히, 차량 정보와 관련된 업체가 여러 개일 경우 일괄 전송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알려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OBD(On-board Diagonsis) 포트로부터 입력된 각종 차량 정보와 관련된 업체로 해당 차량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으로써, 각종 차량 정보를 관련된 업체 등으로 효율적으로 알려줄 수 있게 되는데 특히, 차량 정보와 관련된 업체가 여러 개일 경우 일괄 전송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알려줄 수 있게 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네비게이션 모니터 200 : 이동통신단말기
310 : 정보 생성부 320 : 동기화 모듈
330 : 전송 제어부 311 : 검출 모듈
312 : 추출 모듈 313 : 생성 모듈

Claims (4)

  1. 네비게이션 모니터용 크레들에 설치되고,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네비게이션 모니터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OBD(On-board Diagonsis) 포트로부터 차량 정보 입력시, 입력된 차량 정보와 등록된 해당 차량정보의 전송 처(處) 정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매칭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 포맷에 맞는 신호로 동기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된 매칭 정보를 시리얼(serial) 프로토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OBD 포트로부터 입력된 차량 정보 중 이동통신단말기로 차량정보 전송 처 정보를 송출하도록 기설정된 차량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기설정된 차량 정보에 매칭된 전송 처(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전송 처 정보와 해당 차량 정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정보별로 전송 순위를 부여 설정하여, 전송 순위가 높게 부여된 차량 정보의 매칭 정보부터 순서대로 시리얼(serial) 프로토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
  2. 삭제
  3. 네비게이션 모니터용 크레들에 설치되고,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네비게이션 모니터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OBD(On-board Diagonsis) 포트로부터 차량 정보 입력시, 입력된 차량 정보와 등록된 해당 차량정보의 전송 처(處) 정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상기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매칭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 포맷에 맞는 신호로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모듈; 및
    상기 동기화된 매칭 정보를 시리얼(serial) 프로토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OBD 포트로부터 입력된 차량 정보 중 이동통신단말기로 차량정보 전송 처 정보를 송출하도록 기설정된 차량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모듈;
    상기 검출된 기설정된 차량 정보에 매칭된 전송 처(處)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모듈; 및
    상기 추출한 전송 처 정보와 해당 차량 정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정보별로 전송 순위를 부여 설정하여, 전송 순위가 높게 부여된 차량 정보의 매칭 정보부터 순서대로 시리얼(serial) 프로토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4. 삭제
KR20120153507A 2012-12-26 2012-12-26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 KR101479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3507A KR101479208B1 (ko) 2012-12-26 2012-12-26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3507A KR101479208B1 (ko) 2012-12-26 2012-12-26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458A KR20140084458A (ko) 2014-07-07
KR101479208B1 true KR101479208B1 (ko) 2015-01-26

Family

ID=51734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3507A KR101479208B1 (ko) 2012-12-26 2012-12-26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2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659A (ko) * 2005-10-25 2007-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단말기에서의 크래들을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20075555A (ko) * 2010-11-23 2012-07-09 김수진 스마트폰을 이용한 운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659A (ko) * 2005-10-25 2007-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단말기에서의 크래들을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20075555A (ko) * 2010-11-23 2012-07-09 김수진 스마트폰을 이용한 운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458A (ko)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3937B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US10459504B2 (en) Telematics service buttons integrated with infotainment system using an uninterrupted power supply with optmized consumption
US9330465B2 (en) Augmented reality virtual automotive X-ray having service information
JP6613623B2 (ja) 車載装置、運転モード制御システム、及び運転モード制御方法
US7007118B2 (en) Computer system for integrating car electronic devices
EP3817349A1 (en) Portable vehicle touch screen device utilizing functions of smart phone
EP2676207A2 (en) Diagnostic tool with smart camera
EP2012090A2 (en) On-board integrated multimedia telematic system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entertainment
CN103493030A (zh) 通过添加来自便携式设备的远程传感器来增强车辆信息娱乐系统
US20200262294A1 (en) Backup instrument cluster display for an automobile
JP2008275545A (ja) 車両用故障診断装置および車両用故障診断方法
US98721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product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US20160288646A1 (en) System for operating an instrument cluster of a vehicle and a mobile electronic device which can be detachably held by a holder on the vehicle
JP4107238B2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
CN105323377A (zh) 补充紧凑型车载信息显示器
KR101854323B1 (ko) 차량 센서들을 이용한 핸드셋 센서들의 증강
KR101479208B1 (ko)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
TWI665646B (zh) 可攜式裝置與車輛間之導航啟動管理方法及系統
CN203132556U (zh) 车载信息终端
JP2017123060A (ja) 車両情報書込装置
KR20140099613A (ko) 블랙박스 겸용 avn시스템
JP2008197945A (ja) 車両の緊急通報装置および車両の緊急通報システム
KR101299638B1 (ko)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유닛과 오디오 헤드 유닛 간의 인터페이싱 방법
RU2417411C2 (ru) Портативный адаптер и программное обеспечение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модулем дисплея типа "heads-up"
KR100616609B1 (ko) 팬을 이용한 동적 텔레매틱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