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118B1 -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 Google Patents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118B1
KR101479118B1 KR20130026764A KR20130026764A KR101479118B1 KR 101479118 B1 KR101479118 B1 KR 101479118B1 KR 20130026764 A KR20130026764 A KR 20130026764A KR 20130026764 A KR20130026764 A KR 20130026764A KR 101479118 B1 KR101479118 B1 KR 101479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ase
vibration
coil uni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2252A (ko
Inventor
유옥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to KR2013002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118B1/ko
Publication of KR20140112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04R7/14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corrugated, pleated or ribb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모듈이 회동축을 기준으로 왕복 회동 작동되는 방식으로 진동판의 진동을 구현함으로써 진동판의 진동시 발생하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왜곡 감소와 변환효율의 증대를 구현할 수 있고, 초슬림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는 일측에 음향전파용 개구를 가진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서 회동축에 의해 왕복 회동 작동되도록 설치된 진동모듈과, 이 진동모듈을 왕복 회동 작동시키는 자기회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모듈은 케이스의 음향전파용 개구 측에 에지를 매개로 설치된 진동판과, 이 진동판의 일단부에 상기 진동판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코일유닛과, 상기 진동판의 일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된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MOVING COIL TYPE DYNAMIC ARMATURE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부의 회동축을 기준으로 진동판을 왕복 회동 작동시켜 진동판의 진동을 구현함으로써 진동판의 진동 시에 발생하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왜곡감소 및 변환효율의 증대를 구현할 수 있고, 초슬림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다이내믹 스피커(dynamic speaker)는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소리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진동판을 전기신호에 따라 진동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진동판의 진동력은 전자기력(로렌츠의 힘)에 의해 주어지며, 전기가 흐르는 전선이 자석의 힘이 마치는 자기장에서 받는 힘인 전자기력으로 진동판을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피커는 진동판의 모양에 따라 직접 방사형인 원추형 스피커, 확성기라 불리는 간접 방사형인 혼 스피커(horn speaker), 휴대폰이나 이어폰 등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스피커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LCD TV, LED TV, PDP TV, LCD 모니터와 같은 슬림형 디스플레이장치가 각광받고 있으며, 이러한 슬림형 디스플레이장치 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슬림형 스피커(slim type speaker)가 요구되고 있다.
이렇게 슬림화가 요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대부분의 스피커는 보이스코일이 전자기력에 의해 직선적으로 왕복됨으로써 보이스코일에 결합된 진동판(또는 다이아프램)이 전체적으로 진동하는 전면적 구동방식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피커는 전면적 구동방식으로 진동판의 진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진동의 전이에 따른 공기의 반작용이 심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해 공기저항이 과도하게 일어나 진동판의 전면 진동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대진폭시 진동계의 비직선 왜곡이 증가함과 더불어 상대적으로 효율이 감소하며, 분할 진동영역의 변환주파수 특성의 기복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피커는 보이스코일을 제동시키기 위한 제동구조가 보이스코일에 대해 종속적으로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스피커의 슬림화에 많은 제한이 뒤따르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피커는 보이스코일의 중량 전체가 제동구조 측에 가해지므로 스피커의 효율이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과도응답이 둔화되어 섬세한 음향의 변환에 제한적인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피커는 음향 변환부인 진동판과 진동 구동부인 보이스코일이 별도로 제조된 후에 접착제 등을 통해 접착되는 방식으로 그 조립이 이루어짐에 따라 공정품질의 관리가 어렵고, 신뢰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피커는 강자성 계열의 요크들 사이의 에어갭 내에서 자기력이 이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대입력시 보이스코일에서 발생하는 쇄교자속의 역자화에 의한 3차 왜곡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원음색의 재현이 매우 제한적인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스피커 중에서 대형 전자기기에 많이 적용되는 초장폭형 스피커(폭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매우 긴 스피커)의 경우에는 복수의 보이스코일 및 복수의 자기회로가 필요하고, 이로 인해 원가비용과 제조비용이 과도하게 증가함은 물론, 공정증가에 따른 고품질의 신뢰성을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 것으로, 진동모듈이 회동축을 기준으로 왕복 회동 작동되는 방식으로 진동판의 진동을 구현함으로써 진동판의 진동시 발생하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왜곡 감소 및 변환효율의 증대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초슬림화, 즉 초단폭이면서 길이가 긴 구조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는, 일측에 음향전파용 개구를 가진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서 회동축에 의해 왕복 회동 작동하도록 설치된 진동모듈과, 이 진동모듈을 왕복 회동 작동시키는 자기회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음향전파용 개구 측에 에지를 매개로 설치된 진동판과, 이 진동판의 일단부에 일정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코일유닛과, 상기 진동판의 일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된 회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판과 코일유닛은 서로 일정각도를 가지고 이격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회동방향의 회동궤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판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구 측에 에지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진동판의 일단부에는 연결부가 상기 진동판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코일유닛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유닛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몸체부와, 이 몸체부에 형성된 권선홈과, 이 권선홈 내에 권선되는 보이스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판의 이면에는 평판리브가 상기 진동판의 폭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평판리브에는 복수의 천공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유닛의 몸체부 및 권선홈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는 상기 권선홈과 소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에는 상기 보이스코일의 인출선 및 인입선이 통과하며, 상기 진동판의 일단부에 한 쌍의 박판형 전극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인출선 및 인입선은 상기 박판형 전극부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박판형 전극부재는 절연재질의 연결막을 통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판의 일단부에는 박판형 전극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장착홈이 형성되며, 이 장착홈에는 상기 박판형 전극부재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박판형 전극부재의 외면과 상기 진동판의 외면은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에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이 힌지공에는 회동축이 삽입되며, 이 회동축의 양단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 회전 지지되어 따라 상기 진동판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왕복 회동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공에 대응하는 케이스의 일측벽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의 맞은편에 위치한 케이스의 타측벽에는 회전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케이스의 삽입공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부의 힌지공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의 양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삽입공 및 회전지지홈에 회전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한쪽에는 상기 진동모듈의 코일유닛의 왕복 회동운동을 안내하는 회동안내부가 마련되고, 상기 회동안내부에는 상기 자기회로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회로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회동안내부에 상호 마주보게 설치된 제1 및 제2요크와, 이들 요크의 내면에 부착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요크들과 영구자석들은 상기 코일유닛의 왕복 회동운동의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영구자석은 각각 단면 2극 착자되어 N극과 S극으로 나누어져 그 중심선 상에 극성반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영구자석의 N극과 S극은 일정한 분할간격으로 분할됨과 더불어 제2영구자석의 S극과 N극은 일정한 분할간격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 및 제2영구자석의 분할간격은 상기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들 사이의 이격틈새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안내부에는 제1 및 제2장착개구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개구에는 제1요크가 장착되며, 상기 제2장착개구에는 제2요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요크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요크의 단부에는 제1 및 제2영구자석의 단부를 포위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안내부의 제1 및 제2장착개구에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절곡부가 삽입되는 삽입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장착개구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및 제2요크의 가장자리기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장착개구의 내측에는 제1 및 제2영구자석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관통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음향전파용 개구 맞은편에는 공기유입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개구에 인접하여 상기 진동모듈의 진동을 제동하는 제동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공기유입개구와 인접한 내부에는 지지벽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동부는 상기 지지벽체에 외팔보 구조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동부의 양단에는 고정단 및 자유단이 마련되며, 상기 제동부의 자유단에 인접하여 상기 진동모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모듈의 진동판에는 공기유입개구를 향해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동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결합돌기가 상기 제동부의 결합공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동부는 상기 진동판의 왕복 회동작동에 대해 동일한 원호방향으로 순응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동부는 상기 공기유입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제동막과, 이 제1제동판의 한쪽단부에서 상호 대칭적으로 평행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2제동막과, 이 제2제동막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제1제동막에 대해 상호 대칭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3제동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진동판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서 상기 회동축의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진동판의 타단부 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동축의 반대쪽에 위치한 진동판의 타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판에는 2개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2개 이상의 돌출부에 대응하게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제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그 내부 중앙부에 격벽이 형성되고, 한 쌍의 진동모듈이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왕복 회동작동하도록 설치되며, 한 쌍의 자기회로모듈이 한 쌍의 진동모듈을 개별적으로 왕복 회동작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모듈은 한 쌍의 진동판의 서로 인접한 단부들 사이에 한 쌍의 박판형 전극부재가 가로질러 연결되고, 각 코일유닛의 보이스코일의 인출선 및 인입선들은 상기 박판형 전극부재의 양단에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모듈이 회동축을 기준으로 왕복 회동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진동판의 진동을 구현함으로써 진동판의 진동 시에 발생하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왜곡감소 및 변환효율의 증대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초슬림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의 케이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화살표 E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화살표 F방향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G-G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H-H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의 자기회로모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화살표 I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화살표 J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K-K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M-M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1 내지 도 15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자기회로모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K'-K'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의 진동모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화살표 N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0는 도 18의 화살표 O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의 R-R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8의 S-S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9의 T-T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의 또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진동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은 도 28의 화살표 U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나 운용자 의도 및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는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 내에서 왕복 회동 작동하도록 설치된 진동모듈(20)과, 이 진동모듈(20)을 왕복 회동 작동시키는 자기회로모듈(3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절연체 재질로 이루어지되,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방형의 입면체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전파용 개구(11)가 형성되고, 이 음향전파용 개구(11)에는 진동모듈(20)의 진동판(21)이 에지(29)를 매개로 설치됨으로써 진동모듈(20)에 의해 생성된 음향이 외부로 효과적으로 전파될 수 있다.
상기 진동모듈(20)은 도 16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21)과, 이 진동판(21)의 일단부에 일정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코일유닛(25)과, 상기 진동판(21)의 일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된 회동축(26)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판(21)은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케이스(10)의 음향전파용 개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띠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진동판(21)의 가장자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29)를 통해 케이스(10)의 음향전파용 개구(11)에 설치되고, 이에 진동판(21)의 외면은 음향전파용 개구(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진동판(21)의 이면에는 평판리브(22)가 진동판(21)의 폭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평판리브(22)는 진동판(21)의 폭보다 얇은 폭을 가지고, 평판리브(22)는 진동판(21)의 이면에서 진동판(2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평판리브(22)에는 복수의 천공(22a)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다. 평판리브(22)에 복수의 천공(22a)이 형성됨에 따라 그 중량감소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천공(22a)들이 서로 인접함에 따라 인접한 천공(22a)들의 원호면에 의해 미세다중 혼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혼 구조에 의해 분할진동과 재생특성의 기복을 억제 내지 최소화하여 진동확산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판리브(22)에는 후술하는 제동부(40)에 연결되는 돌출부(24)가 형성되며, 이 돌출부(24)에는 슬롯 형태의 천공(24a)이 형성된다. 한편, 돌출부(24)의 단부에는 결합돌기(24b)가 형성되며, 돌출부(24)는 결합돌기(24b)를 통해 후술하는 제동부(40) 측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23)는 진동판(21)의 일단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이에 연결부(23)와 진동판(21)은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23)는 진동판(2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특히, 연결부(23)는 자기회로모듈(30)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23)의 단부에는 코일유닛(25)이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23)와 진동판(21)의 일단부가 만나는 부분에는 힌지공(23b)이 형성되고 이 힌지공(23b)에는 회동축(26)이 설치된다. 이러한 힌지공(23b)에 대응하는 케이스(10)의 일측벽에는 삽입공(10c)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10c)의 맞은편에 위치한 케이스(10)의 타측벽에는 회전지지홈(10d)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회동축(26)은 케이스(10)의 삽입공(10c)을 통과하여 연결부(23)의 힌지공(23b)에 결합되고, 회동축(26)의 양단부는 케이스(10)의 삽입공(10c) 및 회전지지홈(10d) 측에 회전지지됨으로써 회동축(26)을 기준으로 진동모듈(20)이 전체적으로 왕복 회동 작동된다.
상기 코일유닛(25)은 연결부(23)를 매개로 진동판(21)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사출성형에 의해 연결부(23)는 진동판(21)의 일단부와 코일유닛(25) 사이에 일체로 성형된다. 코일유닛(25)과 진동판(21)은 일정각도로 교차하게 연결되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21)의 축선(P3)은 연결부(23)와 코일유닛(25)의 축선(P4)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하도록 연결된다.
특히, 연결부(23)와 코일유닛(25)의 축선(P4)은 도 5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21)의 축선(P3)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있어 회동축(26)을 중심으로 진동판(21)과 코일유닛(25)이 개별적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진동판(21)의 회동궤적(P1)과 코일유닛(25)의 회동궤적(P2)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회동축(26)을 중심으로 동일회동방향의 회동궤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연결부(23)와 코일유닛(25)은 자기회로모듈(30)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진동판(21)의 연결부(23)에는 코일유닛(25)의 몸체부(25a)가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코일유닛(25)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3)에 일체로 연결된 몸체부(25a)와, 이 몸체부(25a)에 형성된 권선홈(25b)과, 이 권선홈(25b)에 권선되는 보이스코일(27)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25a)는 그 중앙부에 관통부(25c)가 형성되고, 이 관통부(25c)의 가장자리에는 권선홈(25b)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5a)와 권선홈(25b)의 외곽 형상은 코일유닛(25)의 왕복 회동작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23)에는 권선홈(25b)과 소통하는 관통홈(23a)이 형성되고, 이 관통홈(23a)에는 보이스코일(27)의 인입선(27a) 및 인출선(27b)이 통과하면서 설치된다. 그리고, 진동판(21)의 일단부의 상면에는 한 쌍의 박판형 전극부재(28a, 28b)가 설치되고, 각 박판형 전극부재(28a, 28b)에는 보이스코일(27)의 인입선(27a) 및 인출선(27b)이 납땜 또는 몰딩(27c, 27d)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보이스코일(27)의 인입선(27a) 및 인출선(27b)은 권선홈(25b)에서 관통홈(23a)을 통과한 후에 진동판(21)의 일단부 측면을 거쳐 박판형 전극부재(28a, 28b) 측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보이스코일(27)의 인입선(27a) 및 인출선(27b)이 연결부(23)의 관통홈(23a)을 통과하여 진동판(21)의 일단부에 마련된 박판형 전극부재(28a, 28b) 측과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보이스코일(27)의 전기접속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진동모듈(20)의 왕복 회동작동 시에 보이스코일(27)의 전기접속구조로 인한 간섭 내지 장애를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 쌍의 박판형 전극부재(28a, 28b)는 절연재질의 연결막(28c)을 통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연결되고, 각 박판형 전극부재(28a, 28b)들의 일측에는 인입선(27a) 및 인출선(27b)이 통과하는 통과개구(28d, 28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진동판(21)의 일단부의 상면에는 박판형 전극부재(28a, 28b)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장착홈(21c)이 형성되고 이 장착홈(21c)에는 박판형 전극부재(28a, 28b)들의 단부가 접착 등을 통해 결합된다. 특히, 박판형 전극부재(28a, 28b)들의 외면과 진동판(21)의 외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함으로써 진동판(21)의 왕복 회동작동에 간섭 내지 장애를 주지 않는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한쪽에는 진동모듈(20)의 왕복 회동작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회동안내부(15)가 케이스(10)에 대해 일체로 마련되고, 한 쌍의 회동안내부(15)들 사이에는 진동모듈(20)의 코일유닛(25)이 이동하기 위한 안내공간(15f)이 형성되고, 이 안내공간(15f)은 케이스(10)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상기 회동안내부(15)의 일측에는 코일유닛(25)의 부채꼴 구조에 대응하여 호상 돌출부(16)가 호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호상 돌출부(16)는 부채꼴 형상의 코일유닛(25)이 외부구조와 접촉됨을 방지한다.
각 회동안내부(15)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장착개구(15a, 15b)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제1 및 제2장착개구(15a, 15b)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자기회로모듈(30)의 제1 및 제2요크(31, 32)의 가장자리들이 안착되는 안착턱(15c, 15d)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제2장착개구(15a, 15b)의 내측에는 제1 및 제2관통개구(17a, 17b)가 각각 형성되고 이들 제1, 제2관통개구(17a, 17b)에는 자기회로모듈(30)의 영구자석(33a, 33b, 34a, 34b)들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장착개구(15a, 15b)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장착개구(15a, 15b)의 부채꼴 중심은 회동축(26)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기회로모듈(30)은 케이스(10)의 회동안내부(15)에 상호 마주보게 설치된 제1 및 제2요크(31, 32)와, 이들 요크(31, 32)의 내면에 부착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영구자석(33, 3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요크(31, 32)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져 제1 및 제2장착개구(15a, 15b) 측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요크(31)의 내면에는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구자석(33)이 부착되고, 제1요크(31)와 제1영구자석(33)은 코일유닛(25)의 왕복 회동작동의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요크(31)와 제1영구자석(33)은 코일유닛(25)의 부채꼴 형상에 대응하여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요크(32)의 내면에는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구자석(34)이 부착되고, 제2요크(32) 및 제2영구자석(34)은 코일유닛(25)의 왕복 회동작동의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요크(32)와 제2영구자석(34)은 코일유닛(25)의 부채꼴 형상에 대응하여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영구자석(33)은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2극 착자되어 N극(33a)과 S극(33b)으로 나누어지고, 그 중심선 상에 극성반전부(L)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극성반전부(L)는 코일유닛(25)의 시계방향회동 및 반시계방향회동 시에 그 회동의 제한선이 된다.
또한, 상기 제2영구자석(34)은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2극 착자되어 S극(34a)과 N극(34b)으로 나누어지고, 그 중심선 상에 극성반전부(L)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극성반전부(L)는 코일유닛(25)의 시계방향회동 및 반시계방향 회동 시에 그 회동의 제한선이 된다.
상기 제1영구자석(33)의 N극(33a)과 제2영구자석(34)의 S극(34a)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1영구자석(33)의 S극(33b)과 제2영구자석(34)의 N극(34b)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영구자석(33)과 제2영구자석(34) 사이의 이격틈새(에어갭)에 진동모듈(20)의 코일유닛(25)이 배치되고, 제1영구자석(33)과 제2영구자석(34) 사이의 자기력 흐름에 의해 코일유닛(25)은 왕복 회동작동한다.
한편, 제1영구자석(33)과 제2영구자석(34)은 극성반전부(L)에서 자기력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구자석(33)의 N극(33a)과 S극(33b)이 일정한 분할간격(b)으로 분할됨과 더불어 제2영구자석(34)의 S극(34a)과 N극(34b)이 일정한 분할간격(b)으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영구자석(33, 34)의 각 분할간격(b)은 제1영구자석(33)과 제2영구자석(34)들 사이의 이격틈새(a)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극성반전부(L)에서의 자기력 누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및 제2영구자석(33, 34)들의 각 분할간격(b)이 제1영구자석(33)과 제2영구자석(34)들 사이의 이격틈새(a)보다 작게 형성되면 자기력 누설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자기회로모듈(30)의 구성에 의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영구자석(33)과 제2영구자석(34)들 사이를 통해 자기력선이 이동되므로 와전류(eddy current)가 최소화되어 자기력선의 비직선 일그러짐(3차 harmonic distortion)이 최소화됨으로써 보다 향상된 원음색의 구현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요크(31, 32)는 코일유닛(25)의 부채꼴 형상에 대응하여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요크(31, 32)의 각 단부에는 절곡부(31c, 32c)가 형성되며, 제1요크(31)의 절곡부(31c)와 제2요크(32)의 절곡부(32c)는 서로 접촉되어 제1 및 제2영구자석(33, 34)의 단부를 포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안내부(15)의 제1 및 제2장착개구(15a, 15b)에 인접한 부분에는 삽입슬롯(14a, 14b)이 각각 형성되고, 이 삽입슬롯(14a, 14b)에는 제1 및 제2요크(31, 32)의 절곡부(31c, 32c)가 개별적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제1요크(31)의 절곡부(31c) 및 제2요크(32)의 절곡부(32c)에 의해 제1 및 제2영구자석(33a, 33b) 및 제2영구자석(34a, 34b)들의 단부들은 자기적으로 폐쇄됨으로써 폐쇄형 자기회로를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폐쇄형 자기회로 구조에 의해 자기저항이 최소화되어 자기력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음압레벨의 상승을 구현하여 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음향전파용 개구(11)의 맞은편에는 공기유입개구(12)가 형성되고, 이 공기유입개구(12)에 인접하여 진동모듈(20) 특히, 진동판(21)의 진동을 제동하는 제동부(40)가 마련된다. 케이스(10)의 공기유입개구(12)와 인접한 내부에는 지지벽체(13)가 형성된다. 이 지지벽체(13)에는 제동부(40)가 외팔보 구조로 연결됨으로써 제동부(40)의 일단은 지지벽체(13)에 일체로 연결되어 고정단(45)이 되고, 제동부(40)의 타단은 자유단(46)이 된다. 특히, 제동부(40)의 자유단(46)에 인접한 부분에 진동모듈(20)이 연결된다.
상기 진동모듈(20)의 진동판(21)에는 도 5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개구(12)를 향해 연장된 돌출부(24)가 형성되고, 특히 이 돌출부(23)는 평판리브(22)에서 공기유입개구(12)를 향해 일정길이로 연장되며, 돌출부(24)에는 슬롯 형태의 천공(24a)이 형성된다. 돌출부(24)의 단부에는 결합돌기(24b)가 형성되고, 제동부(40)의 자유단(46)에 인접한 부분에는 결합공(46b)이 형성되며, 돌출부(24)의 결합돌기(24b)가 제동부(40)의 결합공(46b)에 결합됨으로써 진동모듈(20)의 진동판(21)은 제동부(40)와 연결된다. 이러한 진동모듈(20)과 제동부(40)의 연결구조를 통해, 제동부(40)는 진동모듈(20)의 왕복 회동작동에 대해 동일한 원호방향으로 순응 작동됨으로써 제동시의 비 직선성이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동부(40)는 진동모듈(20)의 코일유닛(25)에 대해 평면상에서 다른 위치에 배치(본 실시예에서는 제동부(40)가 코일유닛(25)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에 배치)됨으로써 케이스(10)의 폭을 매우 슬림화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동부(40)는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개구(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제동막(41)과, 이 제1제동막(41)에서 상호 대칭적으로 평행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2제동막(42a, 42b)과, 각 제2제동막(42a, 42b)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제1제동막(41)에 대해 상호 대칭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3제동막(43a, 43b)를 구비한 "3중 제동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제동막(41)의 일단은 제동부(40)의 자유단(46)에 해당하고, 제1제동막(51)의 타단에는 제1곡면연결부(44a)를 매개로 한 쌍의 제2제동막(42a, 42b)이 대칭적으로 연결되며, 제2제동막(42a, 42b)에는 제2곡면연결부(44b)를 통해 제3제동막(43a, 43b)이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제동부(40)의 제1제동막(41), 제2제동막(42), 제3제동막(43)은 케이스(10)의 이면에서 프레스공정, 에칭공정 등을 통해 가공될 수 있고, 사출공정을 통해 케이스 이면과 일체화되게 조성될 수 있다.
특히, 제1제동막(41), 제2제동막(42), 제3제동막(43)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들은 사이에는 이격틈새(47a, 47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제동막(41), 제2제동막(42), 제3제동막(43)들은 각각의 제동작동을 수행함으로써 3중 제동작동이 구현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동부(40)는 제1 내지 제3제동막(41, 42, 43)의 '3중 제동구조'를 통해 3개의 진폭을 수용할 수 있고, 이에 큰 진폭 수용이 용이하여 저음영역의 효율이 상승 내지 확장될 수 있으므로 초슬림 광대역 스피커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경우(장폭의 확대)에는, 돌출부(24)는 진동판(21)의 길이방향에서 진동판(21)의 타단부 측으로 약간 편향된 위치에 형성된다. 예컨대, 진동판(21)의 전체길이(d1)와 진동판(21)의 일단부에서 돌출부(24)까지의 거리(d2)의 비율은 즉, d1:d2 = 1: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24)가 진동판(21)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서 타단부에 편향된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케이스(10)가 길이방향으로 길어지는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여 확대 진폭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4와 같이 케이스(1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초소형 구조에 적용될 경우에는, 돌출부(24)는 회동축(26)의 반대쪽에 위치한 진동판(21)의 타단부에 거의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예컨대, 진동판(21)의 전체길이(d3)와 진동판(21)의 일단부에서 돌출부(24)까지의 거리(d4)의 비율은 즉, d3: d4 = 10:8~9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24)가 진동판(21)의 타단부에 거의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경우에는 소진폭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21)의 전체길이(d5)는 도 5와 동일하고, 진동판(21)에는 제1돌출부(24) 및 제2돌출부(54)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케이스(10)에는 제1돌출부(24)가 연결되는 제1제동부(40)와, 제2돌출부(54)가 연결되는 제2제동부(60)가 형성된다. 예컨대, 진동판(21)의 전체길이(d5)와 진동판(21)의 일단부에서 제1돌출부(24)까지의 거리(d6)의 비율은 즉, d5: d6 = 10:5~6로 이루어지고, 진동판(21)의 전체길이(d5)와 진동판(21)의 일단부에서 제2돌출부(54)까지의 거리(d7)의 비율은 즉, d5:d7 = 10:8~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돌출부(24, 54)가 형성됨에 따라 그 입력이 증가하여 2중 제동제어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진동판(21)의 타단부로 갈수록 그 진폭이 확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21)의 전체길이(d8)는 도 5 및 도 25에 보다 길게 형성되고, 진동판(21)에는 제1돌출부(24), 제2돌출부(54), 제3돌출부(74)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케이스(10)에는 제1돌출부(24)가 연결되는 제1제동부(40)와, 제2돌출부(54)가 연결되는 제2제동부(60)와, 제3돌출부(74)가 연결되는 제3제동부(80)가 형성된다. 예컨대, 진동판(21)의 전체길이(d8)와 진동판(21)의 일단부에서 제1돌출부(24)까지의 거리(d9)의 비율은 즉, d8: d9 = 10:5~6로 이루어지고, 진동판(21)의 전체길이(d8)와 진동판(21)의 일단부에서 제2돌출부(54)까지의 거리(d10)의 비율은 즉, d8:d10 = 10:6~7로 이루어지며, 진동판(21)의 전체길이(d8)와 진동판(21)의 일단부에서 제3돌출부(74)까지의 거리(d11)의 비율은 즉, d8:d11 = 10:8~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3개의 돌출부(24, 54, 74)가 형성됨으로써 내 입력 증가에 따른 진폭변위를 효과적으로 다중제어의 구현이 가능하고, 특히 진동판(21)의 타단부로 갈수록 그 효과는 더욱 증대된다.
도 2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중앙부에 격벽(18)이 형성된 케이스(10)와, 케이스(10) 내에 격벽(18)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왕복 회동작동하는 한 쌍의 진동모듈(20)과, 각 진동모듈(20)을 왕복 회동작동시키는 한 쌍의 자기회로모듈(3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의 중앙부에는 격벽(18)이 형성되고, 이 격벽(18)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의 회동안내부(15)가 형성된다.
한 쌍의 진동모듈(20)은 케이스(10)의 회동안내부(15)에 의해 그 회동이 개별적으로 안내되고, 각 회동안내부(15)에는 자기회로모듈(30)이 각각 설치된다. 특히, 한 쌍의 진동모듈(20)은 케이스(10) 내에서 격벽(18)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왕복 회동 작동됨에 따라 윙 비트 작동(wing beat movement)되게 된다.
한편, 각 진동모듈(20)의 진동판(21), 연결부(23), 코일유닛(25), 회동축(26) 등은 선행하는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진동판(21)의 서로 인접한 단부들 사이에는 한 쌍의 박판형 전극부재(28a, 28b)가 가로질러 연결되게 설치되고, 각 코일유닛(25)의 보이스코일(27)의 인출선(27a) 및 인입선(27b)들은 박판형 전극부재(28a, 28b)의 양단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케이스 11: 음향전파용 개구
12: 공기유입개구 15: 회동안내부 15a: 제1장착개구
15b: 제2장착개구 16: 호상돌출부 17a: 제1관통개구
17b: 제2관통개구 20: 진동모듈 21: 진동판
22: 평판리브 23: 연결부 24: 돌출부
25: 코일유닛 25a: 몸체부 25b: 권선홈
26: 회동축 27: 보이스코일 28a, 28b: 박판형 전극부재
30: 자기회로모듈 31, 32: 요크 33, 34: 영구자석
40: 제동부 41: 제1제동막 42a, 42b: 제2제동막
45: 고정단 46: 자유단

Claims (26)

  1. 일측에 음향전파용 개구를 가진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서 회동축에 의해 왕복 회동 작동되도록 설치된 진동모듈과, 이 진동모듈을 왕복 회동 작동시키는 자기회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음향전파용 개구 측에 에지를 매개로 설치된 진동판과, 이 진동판의 일단부에 일정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코일유닛과, 상기 진동판의 일단부에 설치된 회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판과 코일유닛은 서로 일정각도를 가지고 이격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방향의 회동궤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구 측에 에지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진동판의 일단부에는 진동판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부가 돌출되고, 이 연결부의 단부에는 코일유닛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일유닛은 연결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몸체부와, 이 몸체부에 형성된 권선홈과, 이 권선홈 내에 권선되는 보이스코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이면에는 진동판의 폭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판리브가 돌출되고, 이 평판리브에는 복수의 천공이 일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코일유닛의 몸체부와 권선홈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는 권선홈과 소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이 관통홈에는 상기 보이스코일의 인출선 및 인입선이 통과되며, 상기 진동판의 일단부에 한 쌍의 박판형 전극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인출선 및 인입선은 박판형 전극부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박판형 전극부재는 절연재질의 연결막을 통해 절연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일단부에는 박판형 전극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장착홈이 형성되며, 이 장착홈에는 박판형 전극부재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박판형 전극부재의 외면과 상기 진동판의 외면은 동일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이 힌지공에는 회동축이 삽입되며, 이 회동축의 양단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 회전 지지되어 상기 진동판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왕복 회동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힌지공에 대응하는 케이스의 일측벽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의 맞은편에 위치한 케이스의 타측벽에는 회전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은 케이스의 삽입공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부의 힌지공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의 양단부는 케이스의 삽입공 및 회전지지홈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한쪽에는 상기 진동모듈의 코일유닛의 왕복 회동운동을 안내하는 회동안내부가 마련되고, 이 회동안내부에는 상기 자기회로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모듈은 케이스의 회동안내부에 상호 마주보고 설치된 제1 및 제2요크와, 이들 요크의 내면에 부착되어 서로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요크들과 영구자석들은 코일유닛의 왕복운동의 회동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영구자석은 각각 단면 2극 착자되어 N극과 S극으로 나뉘고 그 중심선 상에 극성반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영구자석의 N극과 S극은 일정한 분할간격으로 분할됨과 더불어 제2영구자석의 S극과 N극은 일정한 분할간격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 및 제2영구자석의 분할간격은 상기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들 사이의 이격틈새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동안내부에는 상호 마주보게 제1 및 제2장착개구가 형성되며, 제1장착개구에는 제1요크가 장착되고, 제2장착개구에는 제2요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요크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요크의 단부에는 제1 및 제2영구자석의 단부를 포위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안내부의 제1 및 제2장착개구와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절곡부의 삽입을 위한 삽입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장착개구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및 제2요크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장착개구의 내측에는 제1 및 제2영구자석이 삽입 설치되는 제1 및 제2관통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음향전파용 개구 맞은편에는 공기유입개구가 형성되고 이 공기유입개구에 인접되어 상기 진동모듈의 진동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공기유입개구와 인접한 내부에는 지지벽체가 형성되고 이 지지벽체에 제동부가 외팔보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제동부의 양단이 고정단과 자유단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동부의 자유단에 인접되어 진동모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듈의 진동판에는 공기유입개구를 향해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의 단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동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에 돌출부의 결합돌기가 결합되어 상기 진동판의 왕복 회동작동에 대해 제동부가 동일한 원호방향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공기유입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제동막과, 이 제1제동판의 한쪽단부에서 상호 대칭적으로 평행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2제동막과, 이 제2제동막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제1제동막에 대해 상호 대칭적이고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3제동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진동판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서 회동축의 반대쪽에 위치한 진동판의 타단부 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회동축의 반대쪽에 위치한 진동판의 타단부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24.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에는 2개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들 돌출부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케이스에는 2개 이상의 제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그 내부 중앙부에 격벽이 형성되고 이 격벽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왕복 회동 작동되도록 한 쌍의 진동모듈이 설치되며, 이들 한 쌍의 진동모듈을 개별적으로 왕복 회동 작동시키도록 한 쌍의 자기회로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듈은 한 쌍의 진동판이 서로 인접한 단부들 사이에 한 쌍의 박판형 전극부재가 가로질러 연결되고, 각 코일유닛을 이루는 보이스코일의 인출선과 인입선들은 박판형 전극부재의 양단에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KR20130026764A 2013-03-13 2013-03-13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KR101479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6764A KR101479118B1 (ko) 2013-03-13 2013-03-13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6764A KR101479118B1 (ko) 2013-03-13 2013-03-13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252A KR20140112252A (ko) 2014-09-23
KR101479118B1 true KR101479118B1 (ko) 2015-01-07

Family

ID=5175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6764A KR101479118B1 (ko) 2013-03-13 2013-03-13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1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445A1 (ko) * 2021-10-22 2023-04-27 원헤르츠 주식회사 스피커 드라이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6060B2 (ja) 2000-02-01 2005-03-02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スピーカ振動板とボイスコイルボビンとの接合アダプタ
KR200410779Y1 (ko) 2005-12-29 2006-03-08 유옥정 코일 일체형 직접구동 진동체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JP2011014990A (ja) 2009-06-30 2011-01-20 Audio Technica Corp ダイナミック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の音響特性測定方法
KR20110037439A (ko) * 2009-10-07 2011-04-13 박승길 다이내믹 스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6060B2 (ja) 2000-02-01 2005-03-02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スピーカ振動板とボイスコイルボビンとの接合アダプタ
KR200410779Y1 (ko) 2005-12-29 2006-03-08 유옥정 코일 일체형 직접구동 진동체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JP2011014990A (ja) 2009-06-30 2011-01-20 Audio Technica Corp ダイナミック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の音響特性測定方法
KR20110037439A (ko) * 2009-10-07 2011-04-13 박승길 다이내믹 스피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445A1 (ko) * 2021-10-22 2023-04-27 원헤르츠 주식회사 스피커 드라이버
KR20230057589A (ko) * 2021-10-22 2023-05-02 원헤르츠 주식회사 스피커 드라이버
KR102551137B1 (ko) * 2021-10-22 2023-07-05 굿네트웍스 주식회사 스피커 드라이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252A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715B1 (ko) 코일판 가이드수단을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US10129655B2 (en) Vibration sound-producing apparatus
US10244323B2 (en) Vibration sound-producing apparatus
US20050220320A1 (en) Speaker for mobile termina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807512B2 (en) Speaker
KR102269152B1 (ko) 스피커
US10820113B2 (en) Speaker
JP2018521846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US20170289693A1 (en) Voice coil assembly for speaker
WO2022143047A1 (zh) 振动激励器
US8712092B2 (en) Magnetic circuit and speaker using same
CN112929801A (zh) 扬声器和电子设备
WO2020248214A1 (zh) 一种屏幕发声装置
KR20090040952A (ko) 전자음향변환기
JP2023520097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US10835923B2 (en) Vibra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09225091A (ja) エキサイタ、および、スピーカ
EP2432250A1 (en)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WO2009122459A1 (ja) 電磁変換器
KR101479118B1 (ko) 가동코일타입 다이내믹 아마추어 스피커
US11212618B2 (en) Vibration sounding device
KR200410779Y1 (ko) 코일 일체형 직접구동 진동체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US11212620B2 (en) Screen sounding device
CN110572751B (zh) 扬声器组件、扬声器组件的组装方法以及发声设备
KR20050054653A (ko)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코일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