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100B1 - 자폐식 절수 장치, 방법 및 변기 - Google Patents

자폐식 절수 장치, 방법 및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100B1
KR101479100B1 KR1020127032027A KR20127032027A KR101479100B1 KR 101479100 B1 KR101479100 B1 KR 101479100B1 KR 1020127032027 A KR1020127032027 A KR 1020127032027A KR 20127032027 A KR20127032027 A KR 20127032027A KR 101479100 B1 KR101479100 B1 KR 101479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float
tank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0906A (ko
Inventor
지웨이 유
Original Assignee
차오안 완통 새니태리웨어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오안 완통 새니태리웨어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차오안 완통 새니태리웨어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30040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02Self-closing flush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a transmission with parts linked together from a single float to a single valve
    • F16K3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a transmission with parts linked together from a single float to a single valve with the valve guided for rectilinear movement and the float attached to a pivoted ar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30Water injection in siphon for enhancing fl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고압 수원 또는 저압 외접 수원을 이용하여 오물을 세척하고 물을 절약하는 목적을 이룰 수 있는 자폐식 절수 장치, 방법 및 변기에 있어서, 프리머리 밸브와 세컨드리 밸브는 플로트 제어 밸브이고,세컨드리 밸브의 입수부와 프리머리 밸브의 출수부가 서로 연통되고,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는 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높고,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 상부와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는 연통장치에 의해 서로 연통되고,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의 체크 밸브의 개구도는 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의 체크 밸브의 개구도보다 작으며, 세컨드리 밸브의 연결로드 기구는 플로트가 부상함에 따라 세컨드리 밸브의 밸브 뚜껑의 구멍을 열고, 프리머리 밸브의 연결로드 기구는 플로트가 부상함에 따라 세컨드리 밸브의 밸브 뚜껑의 구멍을 닫으며, 세컨드리 밸브의 출수부와 분사 추진구는 서로 연통된다. 세컨드리 밸브는 또한 밸브 포트보다 높은 세컨드리 밸브 출수 홈을 구비하고,세컨드리 밸브 출수 홈과 상기 물탱크 내부로 출수하기 위한 출수구가 서로 연통되고, 세컨드리 밸브의 밸브 코어는 세컨드리 밸브 출수 홈과 세컨드리 밸브 출수부 중 어느 하나를 막음과 함께 다른 하나도 막는다.

Description

자폐식 절수 장치, 방법 및 변기{SELF-CLOSING WATER SAVING DEVICE, METHOD, AND TOILET}
본 발명은 변기 물탱크에 물을 유입시키는 자폐식 절수 장치 및 상기 자폐식 절수 장치가 장착된 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변기는 일반적으로 물탱크에서 배출된 물만 이용하여 변기통을 세척한다. 비록 변기통 저부에 분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 분사 구멍에서 분사된 물 역시 물탱크에서 제공되며, 물탱크의 높이에 한계가 있으므로 물탱크에서 제공되는 물의 압력이 매우 낮아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해야만 변기통을 깨끗이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일부 변기는 수돗물과 같은 압력수를 직접 이용하여 변기를 세척하나, 수압에 대한 요구가 높아, 300Kpa 이상의 압력을 필요로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깨끗이 세척하기 어려우며 변기를 세척할 때 울림 소리가 크다.
종래 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플로트(float) 자폐식 입수장치는 일반적으로 모두 외접 수원과 연결되는 하나의 입수구와 물탱크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하나의 출수구만 포함한다. 물탱크가 낮은 변기는 물탱크로부터 배출된 물이 변기 시트까지 미치지 않으므로 변기 내 상벽을 세정할 수 없다. 따라서 시중에는 물탱크가 낮은 변기에 전문 이용되는 플로트 자폐식 입수장치가 판매되며, 이 장치는 비록 일반 플로트 자폐식 입수장치에 비해 출수구가 하나 더 많으나, 상기 출수구에서 유출된 물은 변기 내 상벽을 세정하기 위해 시트를 향해 흐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 수원 또는 저압 외접 수원을 이용하여 오물을 세척하고 물을 절약하기 위한 목적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플로트 제어 밸브, 자폐식 절수 장치, 방법 및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장착되어 물탱크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자폐식 절수 장치에 있어서,외접 수원에 연결되는 입수구와 물탱크 내부로 물을 유출시키는 출수구 및 변기통 저부 또는 오물 배출 파이프 저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 추진구(jet-propelled orifice)를 포함하고, 물탱크에서 변기통으로 물을 배출할 때 상기 분사 추진구로부터 분사된 물은 물탱크로부터 배출되어 변기통 또는 변기통 저부 또는 오물 배출 파이프 저부로 유입된 물을 추진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폐식 절수 장치는 또한, 직렬형 프리머리 밸브와 세컨드리 밸브의 결합 구조체이며, 수류(水流)는 프리머리 밸브로부터 세컨드리 밸브로 유입되고 다시 세컨드리 밸브를 거쳐 선후 또는 동기적으로 상기 분사 추진구 및 상기 출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폐식 절수 장치는 또한, 물탱크 내부의 배수 어셈블리가 열려져 변기로 물을 배출할 때, 프리머리 밸브와 세컨드리 밸브는 모두 열리며, 소정 시간 이후 세컨드리 밸브가 먼저 닫히고, 물탱크에 물이 차면 프리머리 밸브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폐식 절수 장치는 또한, 상기 세컨드리 밸브 내부의 입수부에 밸브 몸체 외측과 연통된 출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폐식 절수 장치는 또한, 상기 세컨드리 밸브가 열리면 출수 홈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폐식 절수 장치는 또한,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 탱크,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프리머리 밸브 플로트,세컨드리 밸브 플로트를 더 포함하고,세컨드리 밸브 플로트는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 안에 위치하고,프리머리 밸브 플로트는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 탱크 안에 위치하며,상기 세컨드리 밸브의 개폐는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에 의해 제어되며,프리머리 밸브의 개폐는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에 의해 제어되며,상기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 탱크와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 하부에는 모두 각자의 플로팅 바디 홀이 구비되며,상기 플로팅 바디 홀에는 모두 체크 밸브(unidirectional valve) 기능을 하는 플로팅 바디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폐식 절수 장치는 또한,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가 최상단까지 부상한 경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며, 그 상단과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는 (upper edge)여전히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는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낮으며,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에 물이 찬 후에야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폐식 절수 장치는 또한, 상기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가 부상하면 프리머리 밸브가 닫히고, 아래로 이동하면 상기 프리머리 밸브가 열리며;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가 부상하면 세컨드리 밸브는 오픈 가능 상태 또는 오픈되며,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가 아래로 이동하면 상기 세컨드리 밸브는 닫히며,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의 체크 밸브의 개구도는 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의 체크 밸브의 개구도보다 작으며,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가 아래로 이동하여 소정 시간 지난 후에야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가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폐식 절수 장치를 제공하며,상기 장치는, 외접 수원에 연결되는 입수구와 물 탱크 내부로 물을 유출시키는 출수구 및 변기통 저부 또는 오물 배출 파이프 저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 추진구를 포함하고, 또한 프리머리 밸브와 세컨드리 밸브를 더 포함하며,프리머리 밸브와 세컨드리 밸브는 플로트 제어 밸브이고,세컨드리 밸브의 입수부와 프리머리 밸브의 출수부가 서로 연통되고,세컨드리 밸브 플로트가 최상단까지 부상한 경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고 그 상태에서 그 상단과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 상부 가장자리는 소정 거리 이격되며,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는 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높고, 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에 물이 찬 후에야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로 물이 유입되며,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의 체크 밸브의 개구도는 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의 체크 밸브의 개구도보다 작으며,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가 아래로 이동하여 소정 시간 지난 후에야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가 아래로 이동하며,세컨드리 밸브의 연결로드 기구는 플로트가 부상함에 따라 세컨드리 밸브의 밸브 뚜껑의 구멍을 열고,프리머리 밸브의 연결로드 기구는 플로트가 부상함에 따라 프리머리 밸브의 밸브 뚜껑의 구멍을 닫으며, 세컨드리 밸브의 출수부와 상기 분사 추진구는 서로 연통되고,세컨드리 밸브는 또한 세컨드리 밸브출수 홈을 구비하고,사 이드 밸브 출수 홈과 상기 물탱크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출수구가 서로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물탱크와 변기통을 포함한 변기를 제공하며, 상기 변기는, 변기통 또는 변기통 저부 또는 오물 배출 파이프 저부에 분사 추진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물탱크에는 상술한 자폐식 절수 장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폐식 절수 장치는 외접 수원에 연결되는 입수구와 물탱크 내부로 물을 유출시키기 위한 출수구 및 변기통 저부 또는 오물 배출 파이프 저부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 추진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추진구와 상기 분사 추진구멍은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변기 절수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술한 자폐식 절수 장치를 시초에 물이 없는 변기의 물 탱크 안에 안착하고,
a, 프리머리 밸브 밸브 뚜껑의 상기 구멍을 오픈 상태로 설정하고, 세컨드리 밸브 밸브 뚜껑의 상기 구멍을 닫힌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b, 외접 수원을 이용하여 프리머리 밸브의 입수부로 물을 공급하여 프리머리 밸브가 지속적으로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하고,세컨드리 밸브가 지속적으로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며, 수류를 프리머리 밸브의 입수부로부터 프리머리 밸브의 밸브 포트(valve port), 프리머리 밸브의 출수부, 세컨드리 밸브의 입수부, 세컨드리 밸브의 출수 홈을 순차적으로 거쳐 마지막에 물탱크로 유입시키는 단계;
c, 물탱크 안의 수위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물탱크 안의 물이 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 안으로 유입되고,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가 부상함에 따라 연결로드 기구가 연동되어 프리머리 밸브 밸브 뚜껑의 구멍을 닫고, 나아가 프리머리 밸브를 닫고 더 나아가 물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공급을 중지시키는 단계;
d, 물탱크 안의 물을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 내부로 유입시켜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 내의 플로트가 부상하도록 하고, 플로트가 부상함에 따라 연결로드 기구가 연동되어 세컨드리 밸브의 밸브 뚜껑 구멍을 열리도록 함으로써 세컨드리 밸브를 오픈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e, 변기의 배수 어셈블리를 열어 물탱크 안의 물을 배출하여 변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단계;
f, 물탱크 내부의 수위가 내려갈 때 체크 밸브가 열리고, 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 내부의 배수 속도가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 내부의 배수 속도보다 빠르도록 하는 단계;
g,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가 하강됨에 따라 연결로드 기구가 연동되어 프리머리 밸브의 밸브 뚜껑의 상기 구멍이 열리도록 함으로써 프리머리 밸브가 오픈 가능 상태가 되도록 하고, 동시에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 내부의 배수 속도를 제어하여 세컨드리 밸브의 밸브 뚜껑의 상기 구멍이 열리도록 하며, 나아가 세컨드리 밸브가 오픈 가능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
h, 다시 외접 수원을 이용하여 프리머리 밸브의 입수부로 물을 공급하여 수류가 프리머리 밸브 입수부로부터 프리머리 밸브의 밸브 포트, 프리머리 밸브 출수부, 세컨드리 밸브 입수부, 세컨드리 밸브 밸브구멍, 세컨드리 밸브 출수부를 거쳐 상기 분사 추진구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세컨드리 밸브 출수 홈과 상기 분사 추진구로 각각 유입되도록 하고, 세컨드리 밸브 출수 홈으로부터 유출된 물이 물탱크로 유입되고, 상기 분사 추진구로부터 분사된 물이 물탱크로부터 배출되어 변기통, 변기통 저부 또는 오물 배출 파이프 저부로 유입된 물을 추진하도록 하는 단계;
i,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 내부의 배수 속도를 제어하여 분사 추진구의 분사 시간을 제어하고, 소정의 분사 시간이 만료되면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 내부의 플로트가 하강됨에 따라 연결로드 기구가 연동되어 세컨드리 밸브의 밸브 뚜껑의 상기 구멍이 닫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세컨드리 밸브를 닫는 단계;및
j, 단계 a로부터 단계 i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물탱크로부터 물을 배출할 때, 자폐식 절수 장치의 분사 추진구가 열리고, 외접 수원을 이용하여 분사 추진구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물탱크에서 변기통에 유입된 수류를 추진할 수 있어 물탱크로부터 배출된 수류가 오물 배출 파이프로 향하는 속도를 향상시켜 오물을 배출하는 힘이 더욱 강력해지고 더욱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성능은 하기 실시예와 도면을 통해 진일보 나타낸다.
도 1, 도 2, 도 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몸체의 개략도 및 3폭의 투시도를 나타내고,그 중 도 1은 사시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저면도, 도 4는 배면도이다.
도 5, 도 6, 도 7,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뚜껑의 개략도 및 3폭의 투시도이고,그 중 도 5는 사시도,도 6은 저면도,도 7은 정면도,도 8은 평면도이다.
도 9, 도 10, 도 11,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프리머리 밸브 피스톤의 개략도 및 3폭의 투시도이고,그 중 도 9는 사시도,도 10은 정면도,도 11은 우측면도, 도 12는 배면도이다.
도 13, 도 14, 도 15,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며,그 중 도 13은 사시도,도 14는 정면도,도 15는 우측면도,도 15은 배면도이다.
도 17, 도 18, 도 19,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피스톤 컵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17은 사시도,도 18은 정면도,도 19는 우측면도,도 20은 배면도이다.
도 21a, 도 21b, 도 21c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피스톤 저판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21a는 사시도,도 21b는 정면도,도 21c는 우측면도이다.
도 22, 도 23, 도 24, 도 24a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피스톤 밀폐판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22는 사시도,도 23은 정면도,도 24는 좌측면도,도 24a는 배면도이다.
도 25, 도 26, 도 26a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밸브 몸체내 저판의 시일 링(seal ring)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그 중 도 25는 사시도, 도 25은 정면도,도 26a는 좌측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피스톤 어셈블리의 체결 볼트의 개략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피스톤 어셈블리의 체결 너트의 개략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피스톤 어셈블리의 스프링의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입수 파이프 시일 링의 개략도이다.
도 31, 도 32, 도 33,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프리머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도 31은 사시도,도 32는 정면도,도 33은 좌측면도, 도 34는 배면도이다.
도 35, 도 36, 도 37,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35는 사시도,도 35은 정면도,도 37은 좌측면도,도 38은 배면도이다.
도 39, 도 40, 도 41,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편심 조인트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39는 사시도,도 40은 정면도,도 41은 좌측면도,도 42는 배면도이다.
도 43, 도 44,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분사 추진 조인트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43은 사시도,도 44는 정면도,도 45는 우측면도이다.
도 46, 도 47, 도 48, 도 49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출수 조인트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45은 사시도,도 47은 정면도,도 48은 좌측면도,도 49는 평면도(소정 각도 회전)이다.
도 50, 도 51,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조정 웨이트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50은 사시도,도 51은 정면이고, 도 52는 좌측면도이다.
도 53, 도 54, 도 55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밸브 암 회동축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53은 사시도,도 54는 정면도,도 55는 평면도(90도 회전)이다.
도 56, 도 57, 도 58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프리머리 밸브 암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58은 사시도,도 57은 정면도,도 56은 우측면도이다.
도 59, 도 60, 도 6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세컨드리 밸브 암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61은 사시도,도 60은 정면도,도 59는 우측면도이다.
도 62, 도 63, 도 64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프리머리 밸브 연결로드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64는 사시도,도 63은 정면도, 도 62는 우측면도이다.
도 65, 도 66, 도 67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세컨드리 밸브 연결로드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67은 사시도,도 66은 정면도, 도 65는 우측면도이다.
도 68, 도 69, 도 70, 도 71, 도 72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밸브 몸체내 저판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68, 도 70은 서로 다른 두 시각에서의 사시도,도 69은 정면도,도 72는 배면도,도 71은 우측면도이다.
도 73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입수 파이프 패드의 개략도이다.
도 74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밸브 암 고무 플러그의 개략도이다.
도 75, 도 76, 도 77, 도 78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밸브 몸체 외측 저판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75은 사시도,도 76은 정면도,도 77은 우측면도,도 78은 배면도이다.
도 79, 도 80, 도 81, 도 82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좌측 편심 플로트 회동 베이스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79은 사시도,도 80은 정면도,도 81은 좌측면도,도 82는 후면도이다.
도 83, 도 84, 도 85, 도 85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우측 편심 플로트 회동 베이스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83은 사시도,도 84은 정면도,도 85는 좌측면도,도 86은 후면도이다.
도 87, 도 88, 도 89, 도 90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플로팅 바디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87은 사시도,도 88은 정면도,도 89는 좌측면도,도 90은 배면도이다.
도 91, 도 92, 도 93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입수 파이프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91은 사시도,도 92은 정면도,도 93은 저면도이다.
도 94, 도 95, 도 96, 도 97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플로트 탱크 패스너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94은 정면도,도 95은 정면도,도 96은 좌측면도,도 97은 평면도이다.
도 98, 도 99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플로트 탱크의 개략도이다.
도 100, 도 101, 도 102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플로트 탱크의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100은 정면도,도 101은 저면도,도 102는 배면도이다.
도 103, 도 104, 도 105, 도 105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103은 사시도,도 104은 정면도,도 105는 평면도,도 106은 좌측면도이다.
도 107, 도 108, 도 109, 도 1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의 개략도와 3폭의 투시도이고, 그 중 도 107은 사시도,도 108은 정면도,도 109는 평면도,도 110은 좌측면도이다.
도 111은 물탱크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 및 플로팅 바디의 플로트 탱크 내외에 있어서의 상태 개략도이다.
도 112는 물탱크에 물이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 및 플로팅 바디의 플로트 탱크 내외에 있어서의 상태 개략도이다.
도 113은 물탱크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및 플로팅 바디의 플로트 탱크 내외에 있어서의 상태 개략도이다.
도 114는 물탱크에 물이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및 플로팅 바디의 플로트 탱크 내외에 있어서의 상태 개략도이다.
도 1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가 장착된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몸체의 평면도이다.
도 1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를 보여준 도 115의 C-C 단면도이다.
도 117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를 보여준 도 115의 D-D 단면도이다.
도 118, 도 119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몸체의 평면도이다.
도 120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를 세컨드리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보여준 도 119의 B-B단면도이다.
도 12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를 세컨드리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보여준 도 119의 B-B단면도이다.
도 122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를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보여준 도 119의A-A단면 개략도이다.
도 123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를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가 모두 열린 상태에서 보여준 도 119의 A-A 단면 개략도이다.
도 124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를 프리머리 밸브가 열리고 세컨드리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보여준 도 118, 도 119의 A-A단면 개략도이다.
도 125는 물탱크에 물이 찬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각 부품의 상태를 보여준 개략도이다.
도 126은 물탱크의 배수 초기에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각 부품의 상태를 보여준 개략도이다.
도 127은 물탱크에 물이 유입되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각 부품의 상태를 보여준 개략도이다.
도 128은 물탱크에 대한 입수가 완료된 시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각 부품의 상태를 보여준 개략도이다.
도 129는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각 부품을 전체적으로 조립한 후의 저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130은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가 장착된 변기 개략도이다.
도 131은 프리머리 밸브 암 상의 밸브 암 고무 플러그가 프리머리 밸브 압력 방출 홀을 닫은 상태를 보여준 개략도이다.
도 132는 프리머리 밸브 암 상의 밸브 암 고무 플러그가 프리머리 밸브 압력 방출 홀을 연 상태를 보여준 개략도이다.
도 133은 세컨드리 밸브 암 상의 밸브 암 고무 플러그가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을 닫은 상태를 보여준 개략도이다.
도 134는 세컨드리 밸브 암 상의 밸브 암 고무 플러그가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을 연 상태를 보여준 개략도이다.
기술 용어를 통일하기 위해, 플로트 제어 밸브(float control valve)를 "밸브 몸체, 밸브 코어, 밸브 뚜껑, 플로트와 플로트 탱크를 포함하고,밸브 몸체 내부에 밸브 코어가 안착되고,밸브 몸체에 입수부와 출수부가 구비되고,입수부와 출수부가 밸브 포트을 통해 연통되고,밸브 코어가 밸브 몸체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밸브 코어가 밸브 몸체 내부를 상하 두 부분으로 분할하고, 밸브 코어가 상하로 관통된 구멍을 구비하고, 밸브 뚜껑이 밸브 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밸브 몸체를 덮으며,밸브 뚜껑과 밸브 코어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고,스프링이 밸브 코어를 밸브 포트에 가압하여 밸브 포트를 막으며,밸브 뚜껑에 내외로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고,스프링의 탄성력은 밸브 코어의 상, 하 두 부분의 압력차와 관련되도록 설정되어, 밸브 코어의 하부, 상부 간에 소정 압력이 존재할 때, 스프링이 수축하면서 밸브 코어를 이동시켜 밸브구멍을 오픈시키며,플로트는 플로트 탱크 내부에 배치되고,플로트와 밸브 뚜껑은 연결로드 기구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연결로드 기구에는 구멍 밀봉체가 제공되며, 상기 구멍 밀봉체는 연결로드 기구의 운동에 따라 밸브 뚜껑상의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플로트 탱크의 하부 출수부에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밸브로 정의한다.
도 1,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면,프리머리(primary), 세컨드리(secondary) 밸브 몸체(1)의 정면에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뚜껑 시일 링 홈(4), 프리머리 밸브 챔버(2), 세컨드리 밸브 챔버(3), 밸브 포트(10), 밸브 포트(10)상의 노치(7), 출수 구멍(6), 세컨드리 밸브 챔버(3)와 연통되도록 출수 구멍(6)에 형성된 출수 홈(5)을 포함하며,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몸체(1)의 세컨드리 밸브 측 하부에 편심 조인트 구멍(9) 및 내측 저판 시일 링 홈(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프리머리 밸브 챔버(2)와 세컨드리 밸브 챔버(3)는 모두 사방으로부터 입수되고 중부(中部)로부터 물이 유출되는 구성으로서, 프리머리 밸브 챔버(2)의 중부 출수 부의 밸브 포트(10)와 세컨드리 밸브 챔버(3) 사방의 입수부는 서로 연통된다.
도 5, 도 6, 도 7, 도 8을 참조하면,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뚜껑(11)에 프리머리 밸브 압력 방출 홀(15)과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16),및 프리머리 밸브 암 회동축 구멍(12),세컨드리 밸브 암 회동축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최하단에 배치된 평면도로부터 볼 수 있듯이, 프리머리 밸브 압력 방출 홀(15)은 프리머리 밸브 암 회동축 구멍(12)의 일측에,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16)은 세컨드리 밸브 암 회동축 구멍(13)의 타측에 배치되어, 프리머리 밸브 압력 방출 홀(15)과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16)은 각자 밸브 암 회동축 구멍 위치에 대하여 서로 상반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을 참조하면,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뚜껑(11)의 상반면 , 프리머리 밸브 피스톤(18),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21)에는 모두 스프링 위치 한정 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 위치 한정 홈(17)은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뚜껑(11)과 프리머리 밸브 피스톤(18) 및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21) 사이에 적절한 강도를 가진 스프링(30)을 배치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8, 도 19, 도 20을 참조하면,프리머리 밸브 피스톤(18)과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21)에는 피스톤 컵(23)을 안착하기 위한 피스톤 컵 홈(20)이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도 13, 도 14, 도 15, 도 16을 참조하면,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21)의 하단에 하나의 플랜지(22)가 형성되어 있다.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을 참조하면,프리머리 밸브 피스톤(18)과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21)에는 모두 각 부품이 장착된 프리머리 밸브 챔버(2)와 세컨드리 밸브 챔버(3)의 상하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양면이 연통된 비아 홀(19)이 형성되어 있다.
도 17, 도 18, 도 19, 도 20을 참조하면, 피스톤 컵(23)은 이경관(reducer)이며 일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는 콘형 컵이고 경사구(24)가 구비되어 있다.
도 21a, 도 21b, 도 21c, 도 22, 도 23, 도 24, 도 24a를 참조하면,피스톤 저판(25) 및 피스톤 밀폐판(26)에는 모두 노치(7)가 형성되어 있다.
도 9, 도 10, 도 11, 도 12 내지 도 22, 도 23, 도 24, 도 24a 및 도 31, 도 32, 도 33, 도 34, 도 35, 도 36, 도 37, 도 38을 참조하면, 2개의 피스톤 밀폐판(26)은 프리머리 밸브 피스톤(18)과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21)의 저면에 각각 안착되며, 2개의 피스톤 저판(25)도 2개의 피스톤 밀폐판(26)의 저면에 각각 안착되며,피스톤 저판(25) 및 피스톤 밀폐판(26)의 노치(7)는 모두 각각의 피스톤상의 비아 홀(19) 측을 향한다. 2개의 피스톤 컵(23)은 직경이 큰 부분이 아래를 향하도록 프리머리 밸브 피스톤(18)과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21)의 피스톤 컵 홈(20)에 각각 끼워지며, 볼트(28)를 피스톤 저판과 피스톤 중부의 볼트 구멍을 관통시킨 후 너트(29)로 피스톤 저판과 피스톤을 체결하면 하나의 프리머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와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가 조립된다.
상기 각 도면 및 도 122를 참조하면, 프리머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를 프리머리 밸브 챔버(2)에 장착하고,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를 세컨드리 밸브 챔버(3)에 장착하고,이들의 피스톤 저판(25)을 아래로 향하도록 하고 피스톤 어셈블리의 서로 연통된 비아 홀(19)을 밸브 챔버의 밸브 포트(10)상의 노치(7) 측을 향하도록 한다.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뚜껑(11)과 프리머리 밸브 피스톤(18),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21) 사이에 강도가 적절한 스프링을 설치하고,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의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18)의 플랜지(22)의 상단이 세컨드리 밸브 챔버(3)까지 연장된 출수 홈(5)의 하단에 마침 위치하도록 함으로써,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가 위로 이동할 때, 출수 홈(5)이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18)의 플랜지(22)에 의해 막힘으로써 출수 홈(5)이 폐쇄되도록 한다(도 120, 도 121을 참조 ). 그리고, 적절한 시일 링을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뚜껑 시일 링 홈(4)에 배치하고 마지막에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뚜껑(11)을 볼트를 이용하여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몸체(1)의 상단에 고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몸체(1)의 내부 장착이 완료된다.
도 56, 도 57, 도 58, 도 59, 도 60, 도 61을 참조하면,프리머리 밸브 암(37)과 세컨드리 밸브 암(41)의 일단에는 모두 각자의 밸브 암 고무 플러그 구멍(39)과 밸브 암 회동축 구멍(38)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모두 각자의 연결로드 회동축 구멍(40)이 한쌍씩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프리머리 밸브 암(37)의 밸브 암 고무 플러그 구멍(39)은 밸브 암 회동축 구멍(38)의 일측에 마련되고, 세컨드리 밸브 암(41)의 밸브 암 고무 플러그 구멍(39)은 밸브 암 회동축 구멍(38)의 타측에 마련되어,프리머리 밸브 암(37)의 밸브 암 고무 플러그 구멍(39)과 세컨드리 밸브 암(41)의 밸브 암 고무 플러그 구멍(39)은 각자의 밸브 암 회동축 구멍(38)의 위치에 대하여 서로 상반되도록 위치한다. 즉, 프리머리 밸브 암(37)의 밸브 암 고무 플러그 구멍(39)과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뚜껑(11)의 프리머리 밸브 압력 방출 홀(15)은 밸브 암 회동축 구멍에 대해 동일측에 위치하고, 세컨드리 밸브 암(41)의 밸브 암 고무 플러그 구멍(39)과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뚜껑(11)의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16)은 밸브 암 회동축 구멍에 대해 동일측에 위치한다.
도 62, 도 63, 도 64, 도 65, 도 66, 도 67을 참조하면,프리머리 밸브 연결로드(42)와 세컨드리 밸브 연결로드(44)에 회동축(43)이 마련되고,세컨드리 밸브 연결로드(44)에 웨이트 조정 스터드 볼트(45)가 마련된다.
도 68, 도 69, 도 70, 도 71, 도 72를 참조하면,밸브 몸체 내측 저판(46)에 입수 파이프 시일 링 홈(47)이 형성되어 있다.
도 75, 도 76, 도 77, 도 78을 참조하면,밸브 몸체 외측 저판(50)에 입수 파이프 홀(51)이 형성되어 있다.
도 50, 도 51, 도 52 내지 도 65, 도 66, 도 67, 도 2, 도 74, 도 125를 참조하면,먼저 2개의 밸브 암 고무 플러그(49)를 프리머리 밸브 암(37)과 세컨드리 밸브 암(41)의 2개의 밸브 암 고무 플러그 구멍(39)에 각각 장착한 후 프리머리 밸브 암(37)과 세컨드리 밸브 암(41)을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뚜껑(11)에 각각 장착하여,프리머리 밸브 암(37)과 세컨드리 밸브 암(41)의 밸브 암 고무 플러그(49)를 프리머리 밸브 압력 방출 홀(15)과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16)의 상부에 각각 위치시키고, 프리머리 밸브 암(37)와 세컨드리 밸브 암(41)의 회동축 구멍(38)을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뚜껑(11)의 프리머리 밸브 암 회동축 구멍(12)과 세컨드리 밸브 암 회동축 구멍(13)과 각각 일치시킨다. 그리고, 2개의 밸브 암 회동축(36)을 일치된 회동축 구멍에 각각 삽입시킨 후 프리머리 밸브 연결로드(42)와 세컨드리 밸브 연결로드(44) 일단의 회동축(43)을 대응되는 프리머리 밸브 암(37)과 세컨드리 밸브 암(41) 일단의 연결로드 회동축 구멍(40)에 각각 장착하고, 마지막에 조정 웨이트(35)를 세컨드리 밸브 연결로드(44)의 웨이트 조정 스터드 볼트(45)에 장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몸체(1)의 외측 상부의 장착이 완료된다.
도 1, 도 2, 도 3, 도 4, 도 39, 도 40, 도 41, 도 42, 도 43,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48, 도 49, 도 125를 참조하면,편심 조인트(32)의 플랜지 일단을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몸체(1)의 세컨드리 밸브 하부의 편심 조인트 구멍(9)에 끼워 넣은 후 분사 추진 조인트(33)의 플랜지 일단을 편심 조인트(32)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출수 조인트(34)의 플랜지 일단을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몸체(1)의 출수 구멍(6)에 끼워 넣는다.
도 1, 도 25, 도 26, 도 26a, 도 30, 도 68, 도 69, 도 70, 도 71, 도 72, 도 75, 도 76, 도 77, 도 78, 도 91, 도 92, 도 93, 도 129를 참조하면, 먼저 밸브 몸체 내측 저판 시일 링(27)을 내부 장착이 완료된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몸체(1) 저부의 내측 저판 시일 링 홈(8)에 장착한 후 밸브 몸체 내측 저판(46)에 있어서 입수 파이프 시일 링 홈(47)이 형성된 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밸브 몸체 내측 저판 시일 링(27)의 상단에 밀착시키고, 입수 파이프 시일 링(31)을 밸브 몸체 내측 저판(46)의 입수 파이프 시일 링 홈(47)에 장착한다. 입수 파이프(56)를 밸브 몸체 외측 저판(50)의 입수 파이프 홀(51)에 밀어 넣고 다시 입수 파이프(56)를 포함한 밸브 몸체외 저판(50)의 일면을 밸브 몸체 내측 저판(46)의 상면에 밀착시킨 후 볼트를 이용하여 이들을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몸체(1)에 고정함으로써,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몸체(1)의 내외측 각 부품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로써 밸브 몸체 어셈블리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79, 도 80, 도 81, 도 82, 도 83, 도 84, 도 85, 도 86을 참조하면,좌측 편심 플로트 회동 베이스(52)와 우측 편심 플로트 회동 베이스(54)에 회동 핀 홀(5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하나의 좌측 편심 플로트 회동 베이스(52)와 하나의 우측 편심 플로트 회동 베이스(54)는 한 쌍을 이룬다.
도 87, 도 88, 도 89, 도 90를 참조하면,플로팅 바디(55)에 핀(14)이 마련된다.
도 91, 도 92, 도 93를 참조하면,입수 파이프(56)에 플로트 탱크 패스닝 슬롯(57)이 형성되어 있다.
도 98, 도 99, 도 100, 도 101, 도 102를 참조하면,플로트 탱크(59)는 프리머리 밸브부(A), 세컨드리 밸브부(B)로 구분되고,프리머리 밸브부(A) 및 세컨드리 밸브부(B) 저부에는 각각 하나의 플로팅 바디 홀(61) 및 한 쌍의 회동 베이스 홈(63)이 형성되고,프리머리 밸브부(A) 외측에는 입수 파이프 홀(6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프리머리 밸브부(A)의 상부 가장자리는 세컨드리 밸브부(B)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낮고, 이들 상부에는 서로 연통된 소형 노치(6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3, 도 104, 도 105, 도 106, 도 107, 도 108, 도 109, 도 110을 참조하면,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와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의 하단에는 한 쌍의 회동 핀(65)이 각각 형성되고,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와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의 상단면에는 한 쌍의 연결로드 회동축 구멍(4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79, 도 80, 도 81, 도 82 내지 도 107, 도 108, 도 109, 도 110, 도 125, 도 129를 참조하면,먼저 2개의 플로팅 바디(55)를 플로트 탱크(59)의 프리머리 밸브부(A) 및 세컨드리 밸브부(B)의 외저부의 2개의 플로팅 바디 홀(61)에 장착한다. 그리고 2쌍의 플로트 회동 베이스를 플로트 탱크(59)의 외저부로부터 2 쌍의 회동 베이스 홈(63)에 각각 삽입한다.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를 플로트 탱크(59)의 프리머리 밸브부(A)에 장착하여,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 하단의 한 쌍의 회동 핀(65)이 이미 견고하게 장착된 한 쌍의 플로트 회동 베이스의 회동 핀 홀(53)에 걸리도록 한다.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를 플로트 탱크(59)의 세컨드리 밸브부(B)에 장착하여,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 하단의 한 쌍의 회동 핀(65)이, 이미 견고하게 장착된 한 쌍의 플로트 회동 베이스의 회동 핀 홀(53)에 걸리도록 한다. 이로써 하나의 플로트 탱크 어셈블리가 조립된다.
먼저 조립이 완료된 밸브 몸체 어셈블리의 입수 파이프(56)를 방금 조립이 완료된 플로트 탱크 어셈블리의 플로트 탱크 프리머리 밸브부(A) 외측의 입수 파이프 홀(60)에 밀어 넣고 각도를 맞춘 후 함께 끝까지 삽입한다. 그리고, 플로트 탱크 패스너( 58)를 입수 파이프(56)의 플로트 탱크 패스닝 슬롯(57)에 걸리도록 하고 플로트 탱크 어셈블리의 프리머리 밸브 연결로드(42)와 세컨드리 밸브 연결로드(44)의 타단의 회동축(43)을 대응되는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와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 상단의 연결로드 회동축 구멍(40)에 각각 장착하며, 마지막에 입수 파이프 패드(48)를 입수 파이프(56)의 하부에 끼워 넣고, 출수 조인트(34)의 출수구에 호스의 타단이 플로트 탱크(59)의 저면에 위치하도록 호스를 씌운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의 모든 부품이 도 128, 도 129와 같이 모두 장착된다.
도 130을 참조하면, 변기(67)에 분사구(72)가 마련되며,물탱크(68) 내측에 배수 어셈블리(69)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70) 전체를 물탱크(68) 내측에 장착하고, 입수 파이프(56)에 있어서 입수 파이프 패드(48) 저면에 위치하고 나사산이 형성된 일단만 물탱크 외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일단을 호스를 이용하여 외접 수원 또는 수돗물과 연결시키고 다시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70)의 분사 추진 조인트(33)와 변기(67) 내의 분사구(72)를 호스(71)로 연결시킨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가 장착된 변기의 조립도 완료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 내부의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 내부의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의 개폐 원리는 사실상 일반적인 자폐식 입수 장치 내부 밸브의 개폐 원리 또는 일반적인 전자기 밸브 등의 개폐 원리와 동일하며, 모두 압력 방출 홀을 개폐하여 밸브 내부의 압력차를 제어함으로써 밸브를 개폐한다.
도 124의 좌측 세컨드리 밸브부를 참조하면,세컨드리 밸브 챔버(3) 사방의 입수부에 수류(C) 및 수류(F)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컵(23)은 이경관(reducer)이며 일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콘형 컵 패킹이고 경사구(2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류(F)는 피스톤 컵(23)의 경사구(24)를 확장시키지만 경사구(24)를 통과하지 못하며, 이로써 세컨드리 밸브 챔버(3)는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에 의해 상하 2개 부분으로 분할된다. 다만 수류(N)는 여전히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21)의 비아 홀(19)을 통과하여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의 상부로 도착할 수 있다.
압력 방출 홀(16)이 밸브 암 고무 플러그(49)에 의해 가압된 경우, 즉 압력 방출 홀(16)이 닫힌 경우에, 세컨드리 밸브 챔버(3) 내부의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 상부의 압력의 세기는 비아 홀(19)과 연통됨으로써 하부의 압력의 세기와 같으며,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 상부의 응력 면적은 세컨드리 밸브 챔버(3)의 횡단면적이고,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 하부의 응력 면적은 세컨드리 밸브 챔버(3)의 횡단면적에서 밸브구멍(10)의 횡단면적을 차감한 면적이다. 따라서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가 받는 하향 수압은 상향 수압보다 크고, 또한 스프링(30)의 하향 탄성력으로 인해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는 자연히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즉,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의 피스톤 밀폐판(26)이 밸브 포트(10)를 가압하게 되며, 다시 말해 세컨드리 밸브가 닫힘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도 123의 좌측 세컨드리 밸브부를 참조하면,압력 방출 홀(16)과 밸브 암 고무 플러그(49)가 분리되는 경우, 즉 압력 방출 홀(16)이 열린 경우,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 상부의 수류(M)가 압력 방출 홀(16)을 통해 유출된다. 비록 수류(N)는 여전히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21)상의 비아 홀(19)을 통과하여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의 상부로 도착할 수 있으나, 압력 방출 홀(16)이 비아 홀(19)보다 훨씬 큰 이유로, 비아 홀(19)을 통과하여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의 상부에 도착하는 수류(N)는 압력 방출 홀(16)을 통해 유출되는 수류(M)를 보충하기에는 역부족이며,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 상부의 압력의 세기가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비록 이때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 상부의 응력 면적이 하부 응력 면적보다 크고 스프링(30)의 하향 탄성력이 여전히 작용하나,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 상부의 압력의 세기가 감소되어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 상부가 받는 하향 수압과 하향 스프링(30)의 탄성력의 합이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 하부가 받는 상향 수압보다 작으므로,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는 위로 이동하게 된다. 즉,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의 피스톤 밀폐판(26)과 밸브 포트(10)가 분리되며 다시 말해 세컨드리 밸브가 열리게 된다.
위에서 서술한 바를 종합하면, 수류가 통과할 때 압력 방출 홀(16)이 닫히면 세컨드리 밸브가 닫히고, 압력 방출 홀(16)이 열리면 세컨드리 밸브가 열린다. 따라서 압력 방출 홀(16)의 개폐를 제어하기만 하면 세컨드리 밸브의 개폐가 제어된다.
도 116의 프리머리 밸브부와 세컨드리 밸브부 및 도 117을 비교하면서 참조하면,프리머리 밸브와 세컨드리 밸브의 주요 구성은 동일하고, 개폐 원리도 완전히 동일하여, 수류가 통과할 때, 압력 방출 홀(15)이 닫히면 프리머리 밸브가 닫히고, 압력 방출 홀(15)이 열리면 프리머리 밸브도 열리며, 압력 방출 홀(15)의 개폐를 제어하기만 하면 프리머리 밸브의 개폐가 제어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70) 전체가 변기(67)의 물탱크(68) 내부에 장착된 경우 밸브 몸체 외측의 밸브 제어 기구 각 부품이 서로 다른 시점에 보여준 각종 상태와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도 112, 도 114를 참조하면,물탱크에 물이 채워진 경우, 즉 플로트 탱크(59) 안에 물이 있는 경우, 부력의 작용으로 인해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와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는 모두 회동 핀(65)을 따라 부상하여 직립 상태가 되도록 회동한다. 또한, 이들 저면의 플로팅 바디(55)도 각각 부상한 상태가 되도록 상승한다. 여기서,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가 최상단 위치까지 부상한 경우, 그 상단이 세컨드리 밸브부(B) 상부 가장자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플로트 탱크(59)의 세컨드리 밸브부(B)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다.
도 111, 도 113을 참조하면, 물탱크의 물이 완전히 배출되면,플로팅 바디(55)가 부력이 상실됨으로 인해 아래로 이동하며, 플로트 탱크(59) 내부의 물이 그 하부의 플로팅 바디 홀(61)로부터 유출한다. 플로트 탱크(59) 내부에 물이 없으면,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와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도 부력의 작용을 상실하게 되어 회동 핀(65)을 따라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회동한다.
도 111의 플로팅 바디(55)의 핀(14)과 도 113의 플로팅 바디(55)의 핀(14)을 비교하면서 참조하면,세컨드리 밸브부(B)의 외저부의 플로팅 바디(55)의 핀(14)은 프리머리 밸브부(A)의 외저부의 플로팅 바디(55)의 핀(14)보다 짧다. 즉 세컨드리 밸브부(B)의 외저부의 플로팅 바디(55)가 아래로 이동하는 거리가 짧으며, 다시 말해 물탱크로부터 물이 배출될 때 세컨드리 밸브부(B) 저부의 플로팅 바디 홀(61)이 열리는 정도가 작도록 한다.
도 125를 참조하면,물탱크에 물이 차서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와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가 모두 직립 상태가 되도록 회동한 경우, 프리머리 밸브 연결로드(42)와 세컨드리 밸브 연결로드(44)도 직립 상태가 되며, 이들과 활동 가능하게 연결된 프리머리 밸브 암(37)과 세컨드리 밸브 암(41)의 일단도 위로 회동한 상태가 된다.
도 127를 참조하면,물탱크의 물이 완전히 배출되어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와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가 모두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회동한 경우, 프리머리 밸브 연결로드(42)와 세컨드리 밸브 연결로드(44)도 모두 경사진 상태가 되며, 이들과 가동적으로 연결된 프리머리 밸브 암(37)과 세컨드리 밸브 암(41)의 일단도 모두 아래로 회동된 상태가 된다.
도 131, 도 132를 참조하면,프리머리 밸브 암(37)에 있어서 연결로드 회동축 구멍(40)이 형성된 일단이 위로 회동하고, 프리머리 밸브 암(37)에 있어서 밸브 암 고무 플러그(49)가 형성된 타단이 아래로 회동하게 되며, 지렛대 원리에 의해 프리머리 밸브 암(37)의 밸브 암 고무 플러그(49)가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뚜껑(11)의 프리머리 밸브 압력 방출 홀(15),프리머리 밸브 압력 방출 홀(15)을 가압함으로써 닫히도록 한다. 역으로, 프리머리 밸브 암(37)에 있어서 연결로드 회동축 구멍(40)이 형성된 일단이 아래로 회동하면 프리머리 밸브 압력 방출 홀(15)이 열리게 된다.
도 133, 도 134를 참조하면,세컨드리 밸브 암(41)에 있어서 연결로드 회동축 구멍(40)이 형성된 일단이 위로 회동하고, 세컨드리 밸브 암(41)에 있어서 밸브 암 고무 플러그(49)가 형성된 타단이 함께 위로 회동하며, 이 밸브 암 고무 플러그(49)는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뚜껑(11)의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16)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며, 다시 말해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16)이 열리게 된다. 역으로, 세컨드리 밸브 암(41)에 있어서 연결로드 회동축 구멍(40)이 형성된 일단이 아래로 회동하면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16)이 닫히게 된다.
위에서 서술한 바를 종합하면,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가 부상 및 회동하여 직립 상태가 되면, 프리머리 밸브 압력 방출 홀(15)이 닫히게 되며,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가 아래로 회동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면,프리머리 밸브 압력 방출 홀(15)이 열리게 된다.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가 부상 및 회동하여 직립 상태가 되면,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16)이 열리게 되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가 아래로 회동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면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16)이 닫히게 된다.
전술한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의 작동 원리를 통합하면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가 부상 및 회동하여 직립 상태가 되면, 프리머리 밸브가 닫히고,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가 아래로 회동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면 프리머리 밸브가 열린다.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가 부상 및 회동하여 직립 상태가 되면, 세컨드리 밸브가 열리거나 오픈 가능 상태가 되고,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가 아래로 회동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면 세컨드리 밸브가 닫힌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70) 전체를 변기(67)의 물탱크(68) 내부에 장착할 때의 작업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1, 도 113, 도 127, 도 130을 참조하면,변기(67)의 물탱크(68) 내부에 원래 물이 없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70) 외측 각 부품의 상태는 도 127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이때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와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는 모두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다. 도 124, 도 132, 도 133을 참조하면, 이때 프리머리 밸브 압력 방출 홀(15)이 열리고,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16)이 닫힌다. 외접 수원 또는 수돗물이 물탱크 외부의 입수 파이프(56)의 나사산이 형성된 일단을 통해 물탱크로 유입된 경우,수류(A)로 인해 프리머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가 위로 이동한다. 즉 프리머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의 피스톤 밀폐판(26)과 프리머리 밸브 챔버(2) 내측의 밸브 포트(10)이 분리되며, 밸브 포트(10) 내부로 수류(B)가 유입된다. 그러면 세컨드리 밸브 챔버(3) 사방의 입수부에 수류(C)가 유입되며,세컨드리 밸브 피스톤(21) 하단의 플랜지(22) 상면에 수류(F)가 유입된다. 도 120을 참조하면,수류(F)는 플랜지(22) 상면을 따라 출수 홈(5)에 도착하며, 출수 홈(5)에서 수류(G)가 유출된다. 수류(G)는 출수 조인트(34) 및 호스를 경과하여 최종적으로 물탱크에 유입되며,물탱크는 입수 상태에 들어간다(이때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16)이 닫힘으로 인해 세컨드리 밸브가 열리지 않는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70) 내부의 각 부품의 상태는 도 124, 도 120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128을 참조하면,수류(G)가 출수 조인트(34) 및 호스를 통해 물탱크 내부로 끊임없이 유입됨에 따라,물탱크 내부의 수위도 점점 높아진다. 플로트 탱크(59)의 프리머리 밸브부(A)와 세컨드리 밸브부(B)의 외저부에 체크 밸브 기능을 하는 플로팅 바디(55)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물탱크 내부의 수위가 플로트 탱크(59)의 하부로부터 상부 가장자리까지 상승한 과정에,프리머리 밸브부(A)와 세컨드리 밸브부(B)에는 모두 물이 유입되지 않으며, 침투된 물만 소량 존재하여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와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가 부상하여 회동할 만큼의 부력이 형성되지 않는다. 수위가 프리머리 밸브부(A)의 상부 가장자리에 도달한 경우에야 프리머리 밸브부(A)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프리머리 밸브부(A) 내부로 물이 유입되며, 물이 유입된 경우에야 그 내부의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가 부력으로 인해 부상 및 회동하여 프리머리 밸브 압력 방출 홀(15)이 닫히고 최종적으로 프리머리 밸브가 닫히도록 한다. 프리머리 밸브가 닫히면 수류(G)는 공급원이 없어지고 출수 조인트(34) 및 호스에서도 배출될 물이 없으며 물탱크에 대한 입수가 중지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70)의 외측 각 부품의 상태는 도 128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125, 도 122를 참조하면,플로트 탱크(59)의 프리머리 밸브부(A)의 상부 가장자리이 세컨드리 밸브부(B)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낮으므로 프리머리 밸브부(A) 내부로 물이 유입될 때 세컨드리 밸브부(B) 내부에는 아직 물이 유입되지 않으며, 프리머리 밸브부(A) 내에 물이 채워진 후, 다시 말해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가 부상 및 회동하여 프리머리 밸브를 닫은 이후에야 물은 프리머리 밸브부(A)와 세컨드리 밸브부(B)간에 연통된 소형 노치(62)를 통해 세컨드리 밸브부(B) 내부로 유입되며, 세컨드리 밸브부(B) 내부에 물이 어느 정도 찬 이후에 세컨드리 밸브부(B) 내부의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도 부력으로 인해 부상 및 회동하게 되며,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16)이 열린다. 이때 프리머리 밸브는 이미 닫힌 상태이고, 세컨드리 밸브에 물이 유입되지 않으며, 압력 방출 홀(16)이 오픈 대기 상태이나 개방되어 있지 않으며, 세컨드리 밸브는 단지 오픈 대기 상태이며, 프리머리 밸브의 출수구로부터 수류가 유입된 경우에만 즉시 열려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70) 외측 각 부품의 상태는 도 125와 같으며 내측 각 부품의 상태는 도 122와 같다.
도 126, 도 123을 참조하면,물탱크(68) 내부의 배수 어셈블리(69)를 개방하여 물탱크로부터 물을 배출하면,물탱크 내부 수위가 신속하게 내려감에 따라 플로트 탱크(59)의 프리머리 밸브부(A)의 외저부의 플로팅 바디(55)가 부력이 없음으로 인해 아래로 이동하며, 프리머리 밸브부(A) 내부의 물이 즉각 완전히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도 즉시 아래로 회동하여 프리머리 밸브 압력 방출 홀(15)이 열리고, 프리머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가 수류(A)로 인해 위로 이동한다. 즉 프리머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의 피스톤 밀폐판(26)과 프리머리 밸브 챔버(2) 내부의 밸브 포트(10)이 분리되어,프리머리 밸브 챔버(2)의 밸브 포트(10) 내부로 수류(B)가 유입된다. 그러면 세컨드리 밸브 챔버(3) 사방의 입수부에 수류(C)가 유입되며, 극 소량의 수류(L)가 프리머리 밸브 압력 방출 홀(15)로부터 유출하며, 유출된 물은 물탱크 내부로 유입된다.
물탱크로부터 물이 배출될 때 내부 수위가 신속하게 내려감에 따라 플로트 탱크(59)의 세컨드리 밸브부(B)의 외저부의 플로팅 바디(55)도 부력의 작용이 없어짐에 따라 아래로 이동하지만, 세컨드리 밸브부(B)의 외저부의 플로팅 바디(55)의 핀(14)이 프리머리 밸브부(A)의 외저부의 플로팅 바디(55)의 핀(14)보다 짧으므로, 세컨드리 밸브부(B)의 외저부의 플로팅 바디(55)의 하향 이동 거리가 짧다. 다시 말해 세컨드리 밸브부(B) 저부의 플로팅 바디 홀(61)이 열리는 정도가 작다. 또한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의 상단으로부터 세컨드리 밸브부(B) 상부 가장자리 사이에 일정한 양의 물이 있으므로, 세컨드리 밸브부(B) 내부의 물은 즉시 완전히 유출되지 않으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는 소정 시간 동안은 여전히 부상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16)을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수류(C)가 세컨드리 밸브 챔버(3) 사방의 입수부로부터 유입되면,수류(C)로 인해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가 위로 이동하고,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의 피스톤 밀폐판(26)과 세컨드리 밸브 챔버(3) 내부의 밸브구멍(10)이 분리된다. 즉 세컨드리 밸브가 오픈되고,세컨드리 밸브 챔버(3) 내부의 밸브 포트(10) 내부로 수류(D)가 유입되며, 분사 추진 조인트(33)로부터 수류(E)가 유출된다. 아울러 극 소량의 수류(M)가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16)로부터 유출되며, 유출된 물은 물탱크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70)의 외측 각 부품의 상태는 도 126에 나타낸 바와 같고, 내측 각 부품의 상태는 도 123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130을 참조하면,분사 추진 조인트(33)로부터 유출한 수류(E)가 호스(71)를 통해 변기(67) 내의 분사구(72)로부터 수류(H)가 분사되어, 물탱크로부터 배출되어 변기통 또는 변기통 저부 또는 오물 배출 파이프 저부로 유입된 물을 추진한다.
도 121을 참조하면,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가 위로 이동하여 세컨드리 밸브가 열리면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21) 하단의 플랜지(22)도 위로 이동한다. 그러면 출수 홈(5)이 막혀,수류가 출수 홈(5)을 통해 물탱크 내부로 유입될 수 없도록 한다. 그러면 분사 추진 조인트(33)에서 유출된 수류(E)의 압력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24, 도 127, 도 120을 다시 참조하면,소정 시간 이후 플로트 탱크(59)의 세컨드리 밸브부(B) 내부의 물이 점점 배출되고, 그 내부의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가 부력의 작용이 없어짐으로 인해 아래로 회동한다. 그러면 세컨드리 밸브 압력 방출 홀(16)이 닫혀지며, 다시 말해 세컨드리 밸브가 닫혀지고,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가 아래로 이동하며, 다시 말해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21) 하단의 플랜지(22)가 아래로 이동하여 직전에 막혀진 상태였던 출수 홈(5)을 개방한다. 이때 수류(F)는 플랜즈(22) 상면을 따라 출수 홈(5)에 도착하며,출수 홈(5)으로부터 수류(G)가 유출한다. 수류(G)는 출수 조인트(34) 및 호스를 경과하여 최종적으로 물탱크로 유입되며,물탱크는 다시 입수 상태에 들어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70)의 외측 각 부품의 상태는 도 127과 같으며, 내측 각 부품의 상태는 도 124, 도 120과 같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70)의 모든 부품이 모두 다음 사이클의 순환을 시작하게 된다.
참고로, 플로트 탱크(59)의 프리머리 밸브부(A)의 상부 가장자리를 세컨드리 밸브부(B)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낮게 설계하고 이들을 나란히 설계하지 않는 것은,물탱크 내부의 수위가 상승할 때 이들에 동시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동시에 물이 유입되면,세컨드리 밸브 플로트(66)가 즉시 위로 회동하여 세컨드리 밸브가 열리게 된다. 이때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64)는 비록 동기적으로 즉시 위로 회동하나, 프리머리 밸브가 바로 닫히지 않는다. 그러면 세컨드리 밸브가 짧은 시간 동안 열려져 분사 추진 조인트(33)로부터 짧은 시간 동안 물이 유출하게 된다.
본 업계의 밸브류 당업자는 밸브의 내부 부품을 변경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의 위치를 바꾸거나, 모두 프리머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를 사용하거나 또는 모두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프리머리, 세컨드리 밸브 피스톤 어셈블리의 피스톤 이동식 구성 전체를 일반적인 자폐식 입수 장치 또는 일반적인 전자기 밸브 등 내부 구조가 동일한 컵 패킹 이동형 구조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모든 변경 방식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변기 물탱크 내부에 장착되어 물탱크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자폐식 절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폐식 절수 장치는 직렬형 프리머리 밸브와 세컨드리 밸브의 결합 구조이고,
    외접 수원에 연결되는 입수구;
    물탱크 내부로 물을 유출시키는 출수구; 및
    변기통 저부 또는 오물 배출 파이프 저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 추진구를 포함하고,
    수류는 프리머리 밸브로부터 세컨드리 밸브로 유입되고 다시 세컨드리 밸브를 거쳐 선후 또는 동기적으로 상기 분사 추진구 및 상기 출수구로 유입되며,
    물탱크에서 변기통으로 물을 배출할 때 상기 분사 추진구로부터 분사된 물은 물탱크로부터 배출되어 변기통, 변기통 저부 또는 오물 배출 파이프 저부로 유입된 물을 추진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절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물탱크 내부의 배수 어셈블리가 열려져 변기로 물을 배출할 때, 상기 프리머리 밸브와 상기 세컨드리 밸브는 모두 열리며, 소정 시간 이후 상기 세컨드리 밸브가 먼저 닫히고, 물탱크에 물이 차면 상기 프리머리 밸브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절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드리 밸브 내부의 입수부에 밸브 몸체 외부와 연통된 출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절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드리 밸브가 열리면 상기 출수 홈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절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 탱크,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프리머리 밸브 플로트,세컨드리 밸브 플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는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 안에 위치하고, 상기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는 상기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 탱크 안에 위치하며, 세컨드리 밸브의 개폐는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에 의해 제어되며, 프리머리 밸브의 개폐는 상기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 탱크와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 하부에는 모두 각자의 플로팅 바디 홀이 구비되며,상기 플로팅 바디 홀에는 모두 체크 밸브 기능을 하는 플로팅 바디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절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가 최상단까지 부상한 경우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며,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의 상단과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는 여전히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는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낮으며,상기 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에 물이 찬 후에야 상기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절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가 부상하면 상기 프리머리 밸브가 닫히고, 아래로 이동하면 상기 프리머리 밸브가 열리며;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가 부상하면 상기 세컨드리 밸브는 오픈 가능 상태 또는 오픈되며,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가 아래로 이동하면 상기 세컨드리 밸브가 닫히며, 상기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의 체크 밸브의 개구도는 상기 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의 체크 밸브의 개구도보다 작으며, 상기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가 아래로 이동하여 소정 시간 지난 후에야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가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절수 장치.
  9. 자폐식 절수 장치에 있어서,
    외접 수원에 연결되는 입수구와 물 탱크 내부로 물을 유출시키는 출수구 및 변기통 저부 또는 오물 배출 파이프 저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 추진구를 포함하고, 또한 프리머리 밸브와 세컨드리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리머리 밸브와 상기 세컨드리 밸브는 플로트 제어 밸브이고,상기 세컨드리 밸브의 입수부와 상기 프리머리 밸브의 출수부가 서로 연통되고,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가 최상단까지 부상한 경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고 그 상단과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 상부 가장자리는 여전히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는 상기 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높고,상기 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에 물이 찬 후에야 상기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에 물이 유입되며, 상기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의 체크 밸브의 개구도는 상기 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의 체크 밸브의 개구도보다 작으며,상기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가 아래로 이동하여 소정 시간 지난 후에야 상기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가 아래로 이동하며, 상기 세컨드리 밸브의 연결로드 기구는 플로트가 부상함에 따라 상기 세컨드리 밸브의 밸브 뚜껑의 구멍을 열고,상기 프리머리 밸브의 연결로드 기구는 플로트가 부상함에 따라 상기 프리머리 밸브의 밸브 뚜껑의 구멍을 닫으며, 상기 세컨드리 밸브의 출수부와 상기 분사 추진구는 서로 연통되고, 상기 세컨드리 밸브는 또한 세컨드리 밸브 출수 홈을 구비하고, 상기 세컨드리 밸브 출수 홈과 상기 물탱크 내부로 물을 유출시키는 출수구가 서로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절수 장치.
  10. 물탱크와 변기통을 포함한 변기에 있어서,
    변기통 또는 변기통 저부 또는 오물 배출 파이프 저부에 분사 추진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물탱크에는 제1항,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폐형 절수 장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폐형 절수 장치는 외접 수원에 연결된 입수구와 물탱크 내부로 출수하기 위한 출수구 및 변기통 저부 또는 오물 배출 파이프 저부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 추진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추진 포트와 상기 분사 추진 구멍은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11. 변기 절수 방법에 있어서,
    제9항에 따른 자폐식 절수 장치를 시초에 물이 없는 변기의 물 탱크 안에 안착하고,
    a, 프리머리 밸브 밸브 뚜껑의 상기 구멍을 오픈 상태로 설정하고, 세컨드리 밸브 밸브 뚜껑의 상기 구멍을 닫힌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b, 외접 수원을 이용하여 프리머리 밸브의 입수부로 물을 공급하여 프리머리 밸브가 지속적으로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하고, 세컨드리 밸브가 지속적으로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며, 수류를 프리머리 밸브의 입수부로부터 프리머리 밸브의 밸브 포트, 프리머리 밸브의 출수부, 세컨드리 밸브의 입수부, 세컨드리 밸브의 출수 홈을 순차적으로 거쳐 마지막에 물탱크로 유입시키는 단계;
    c, 물탱크 안의 수위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물탱크 안의 물이 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 안으로 유입되고,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가 부상함에 따라 연결로드 기구가 연동되어 프리머리 밸브 밸브 뚜껑의 구멍을 닫고, 나아가 프리머리 밸브를 닫고 더 나아가 물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공급을 중지시키는 단계;
    d, 물탱크 안의 물을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 내부로 유입시켜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 내의 플로트가 부상하도록 하고, 플로트가 부상함에 따라 연결로드 기구가 연동되어 세컨드리 밸브의 밸브 뚜껑 구멍을 열리도록 함으로써 세컨드리 밸브를 오픈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e, 변기의 배수 어셈블리를 열어 물탱크 안의 물을 배출하여 변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단계;
    f, 물탱크 내부의 수위가 내려갈 때 체크 밸브가 열리고, 프리머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 내부의 배수 속도가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 내부의 배수 속도보다 빠르도록 하는 단계;
    g, 프리머리 밸브 플로트가 하강됨에 따라 연결로드 기구가 연동되어 프리머리 밸브의 밸브 뚜껑의 상기 구멍이 열리도록 함으로써 프리머리 밸브가 오픈 가능 상태가 되도록 하고, 동시에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 내부의 배수 속도를 제어하여 세컨드리 밸브의 밸브 뚜껑의 상기 구멍이 열리도록 하며, 나아가 세컨드리 밸브가 오픈 가능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
    h, 다시 외접 수원을 이용하여 프리머리 밸브의 입수부로 물을 공급하여 수류가 프리머리 밸브 입수부로부터 프리머리 밸브의 밸브 포트, 프리머리 밸브 출수부, 세컨드리 밸브 입수부, 세컨드리 밸브 밸브구멍, 세컨드리 밸브 출수부를 거쳐 상기 분사 추진구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세컨드리 밸브 출수 홈과 상기 분사 추진구로 각각 유입되도록 하고, 세컨드리 밸브 출수 홈으로부터 유출된 물이 물탱크로 유입되고, 상기 분사 추진구로부터 분사된 물이 물탱크로부터 배출되어 변기통, 변기통 저부 또는 오물 배출 파이프 저부로 유입된 물을 추진하도록 하는 단계;
    i, 세컨드리 밸브의 플로트 탱크 내부의 배수 속도를 제어하여 분사 추진구의 분사 시간을 제어하고, 소정의 분사 시간이 만료되면 세컨드리 밸브 플로트 탱크 내부의 플로트가 하강됨에 따라 연결로드 기구가 연동되어 세컨드리 밸브의 밸브 뚜껑의 상기 구멍이 닫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세컨드리 밸브를 닫는 단계 ;및
    j, 단계 a로부터 단계 i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절수 방법.
KR1020127032027A 2010-09-21 2011-09-09 자폐식 절수 장치, 방법 및 변기 KR101479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2883557A CN101956416B (zh) 2010-09-21 2010-09-21 自闭式节水装置、方法及便器
CN201010288355.7 2010-09-21
PCT/CN2011/079506 WO2012037853A1 (zh) 2010-09-21 2011-09-09 自闭式节水装置、方法及便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906A KR20130040906A (ko) 2013-04-24
KR101479100B1 true KR101479100B1 (ko) 2015-01-07

Family

ID=4348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027A KR101479100B1 (ko) 2010-09-21 2011-09-09 자폐식 절수 장치, 방법 및 변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04246B2 (ko)
KR (1) KR101479100B1 (ko)
CN (1) CN101956416B (ko)
BR (1) BR112013002806A2 (ko)
CA (1) CA2805680C (ko)
EA (1) EA026471B1 (ko)
WO (1) WO2012037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6416B (zh) 2010-09-21 2012-04-25 虞吉伟 自闭式节水装置、方法及便器
CN102433922A (zh) * 2011-08-04 2012-05-02 虞吉伟 喷射节水装置及便器节水方法
CN102392480B (zh) * 2011-08-04 2014-02-12 虞吉伟 清洗喷射节水阀
CN102409734B (zh) * 2011-08-04 2013-10-30 虞吉伟 节水装置
CN102409735A (zh) * 2011-08-04 2012-04-11 虞吉伟 节水阀
CN102383484B (zh) * 2011-08-04 2013-10-30 虞吉伟 喷射节水阀
CN102425219A (zh) * 2011-08-04 2012-04-25 虞吉伟 清洗喷射节水装置及便器节水方法
CN102535608A (zh) * 2011-12-30 2012-07-04 虞吉伟 串联式双阀装置、便器及节水方法
CN102561485B (zh) * 2011-12-30 2013-10-30 虞吉伟 并联式双阀装置、便器及节水方法
CN104947759B (zh) * 2014-03-31 2017-03-22 厦门威迪亚科技有限公司 一种抬杆缩短的进水阀及缩短进水阀抬杆的方法
US10316502B2 (en) * 2015-03-12 2019-06-11 Fluidmaster, Inc. Flow diverter with antisipohon
CN106284563B (zh) * 2015-06-01 2023-11-28 厦门融技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低水箱座便器锅面冲洗水控制装置
US10844584B2 (en) * 2015-12-24 2020-11-24 Xiamen R&T Plumbing Technology Co., Ltd Toilet drainage device
BR102016017965A2 (pt) * 2016-08-03 2018-03-06 Carlos Torres Antônio Boia para instalação hidráulica fabricada pelo processo de injeção
WO2018073773A1 (en) * 2016-10-19 2018-04-26 Driessen Aerospace Group N.V. Waste water air stop val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573A (ko) * 1983-06-14 1985-02-28 야마다 가쓰지 변기세정탱크장치
KR100555834B1 (ko) * 2004-09-20 2006-03-03 이수인 (주) 정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펌프 및 이를 이용한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JP2010531399A (ja) 2007-06-25 2010-09-24 イスーイ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溢れ防止補助水槽を有する洋風便器
KR101180694B1 (ko) 2011-01-18 2012-09-07 계림요업주식회사 복수 필밸브의 개폐시점 조절을 이용한 절수형 변기의 세척수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1374A (en) * 1990-11-13 1994-04-12 Smiley Everett J Urinal assembly
US5862538A (en) * 1997-11-20 1999-01-26 Ho; Chung-Yi Toilet flushing device
US6173456B1 (en) 1998-03-11 2001-01-16 German Nieto Double-cistern water-conserving sanitary water tank
US6205595B1 (en) * 2000-02-23 2001-03-27 Frederick K. Ecker Supplemental tank for use with low flow volume toilet
JP4106522B2 (ja) * 2000-03-31 2008-06-25 Toto株式会社 水洗便器
CN2459369Y (zh) * 2001-01-05 2001-11-14 陈会喜 节水座便器
CN2603136Y (zh) * 2001-06-05 2004-02-11 万继领 消味自冲蹲便器
CN2503130Y (zh) * 2001-06-06 2002-07-31 北京中联环洁通节水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喷射式节水厕具
CN2492614Y (zh) * 2001-08-20 2002-05-22 谷晶哲 坐便器排水阀
US9062795B2 (en) * 2009-02-25 2015-06-23 Lavelle Industries, Inc. Water saver fill valve and assembly
CN101956416B (zh) 2010-09-21 2012-04-25 虞吉伟 自闭式节水装置、方法及便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573A (ko) * 1983-06-14 1985-02-28 야마다 가쓰지 변기세정탱크장치
KR100555834B1 (ko) * 2004-09-20 2006-03-03 이수인 (주) 정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펌프 및 이를 이용한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JP2010531399A (ja) 2007-06-25 2010-09-24 イスーイ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溢れ防止補助水槽を有する洋風便器
KR101180694B1 (ko) 2011-01-18 2012-09-07 계림요업주식회사 복수 필밸브의 개폐시점 조절을 이용한 절수형 변기의 세척수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02806A2 (pt) 2016-08-02
CN101956416A (zh) 2011-01-26
CN101956416B (zh) 2012-04-25
EA201370042A1 (ru) 2014-11-28
US20130185859A1 (en) 2013-07-25
CA2805680A1 (en) 2012-03-29
US9404246B2 (en) 2016-08-02
EA026471B1 (ru) 2017-04-28
CA2805680C (en) 2015-05-05
WO2012037853A1 (zh) 2012-03-29
KR20130040906A (ko)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100B1 (ko) 자폐식 절수 장치, 방법 및 변기
KR100643578B1 (ko) 사이펀관과 분사노즐을 이용한 양변기 세정장치
CN107208408B (zh) 一种低水箱座便器冲洗水控制装置
CN106836407A (zh) 一种带切换机构的座便器冲刷系统
KR100483510B1 (ko)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JPH0742217A (ja) 水洗式便器
CN202139665U (zh) 自闭式节水装置及便器
JP3793983B2 (ja) サイホンジェット式便器の洗浄水供給装置
CN107567522A (zh) 阀门及阀门结构装置
CN107905314B (zh) 一种进排水同步的冲刷系统
KR101696865B1 (ko) 전자제어 양변기 및 비데 일체형 양변기용 배수밸브장치
WO2016015452A1 (zh) 一种便器水箱及管道压力阀门
CN202181596U (zh) 清洗喷射节水装置
CN202181595U (zh) 喷射节水阀
CN202577518U (zh) 并联式双阀装置及便器
CN202202383U (zh) 节水阀
CN211948728U (zh) 马桶水箱附件及其冲水组件
CN202500192U (zh) 串联式双阀装置及便器
JP2015151758A (ja) 水洗大便器装置
CN202181597U (zh) 清洗喷射节水阀
CN219638043U (zh) 一种可停电冲洗的马桶冲洗系统
KR200197292Y1 (ko) 물탱크용 자동수위조절장치
CN102392480B (zh) 清洗喷射节水阀
CN202202377U (zh) 节水装置
CN102561485B (zh) 并联式双阀装置、便器及节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