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072B1 -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072B1
KR101479072B1 KR20130125340A KR20130125340A KR101479072B1 KR 101479072 B1 KR101479072 B1 KR 101479072B1 KR 20130125340 A KR20130125340 A KR 20130125340A KR 20130125340 A KR20130125340 A KR 20130125340A KR 101479072 B1 KR101479072 B1 KR 101479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mount
value
fuel tan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진
Original Assignee
신흥콘트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흥콘트롤(주) filed Critical 신흥콘트롤(주)
Priority to KR20130125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01F23/802Particular electronic circuits for digital process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와 연료탱크 내의 연료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연료탱크 내의 연료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기준온도에 해당하는 연료량으로 보정하는 연료량 보정부와, 연료량 보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기초로 하여 연료탱크 내의 연료 변동량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산출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기록하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기록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FUEL LEVEL CHECKING APPARATUS OF AUTOMOBILE FUEL TANK}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 변동량과 차량 운행기록정보 등 차량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체크 및 기록함으로써 차량 관리자가 해당 차량의 주유량 및 연료 소모량을 정확하게 계측 및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연료의 도난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대한민국 정부는 화물운수업자의 부담 완화를 위해 사업용 화물자동차의 경우 톤급(최대적재량) 별로 유가보조금을 차등 지급하고 있는데, 이러한 유가보조금 제도를 악용하는 부정수급이 만연함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류구매 시 신용카드(유가보조금카드) 거래 및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일부 화물자동차 운전자 등이 주유소 업주와 결탁해 주유량을 실제 금액보다 부풀리거나 주유하지 않고 허위로 카드를 결제하여 유가보조금을 편취하는 사례가 무더기로 발생하는 등 부정수급이 여전히 근절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단시간 반복 주유, 주유용량 초과, 1일 수회 주유 등 부정수급이 의심되는 여러 가지 유형을 만들어서 이를 "통합한도관리시스템"에 입력해 놓고 이러한 주유형태가 발생할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하는 유가보조금 의심거래 상시점검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주유량에만 근거하므로 체크 기준이 정밀하지 못하여 부정수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와 더불어 고유가 시대가 도래하면서 일부 파렴치한 유조차(tank lorry) 운전자들의 경우 유조 탱크의 배출구를 스스로 봉인하는 점과 주문업체에서 내용량을 정확하게 계측하지 않는다는 허점을 악용해 배달 중간에 기름을 빼돌려 유조차 등의 차량 연료로 사용하는 등 유류절도, 즉 도유(盜油) 행위가 극성을 부리고 있어 이에 대한 근절 대책도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차량에는 연료탱크 내의 잔여 연료량을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클러스터(cluster)에 지침이나 숫자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적절한 주유시점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료 센더(fuel sender)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연료 센더는 플로트의 가변저항에서 연료의 변화량에 비례하는 아날로그 저항값을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하는 방식의 플로팅 타입(floating type)과, 액체량의 유전율 및 증감에 따라 정전용량도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액면을 검출하는 방식의 정전용량 타입(capacitance type)으로 대별된다.
특히 플로팅 타입 연료 센더의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27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7218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69798호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플로팅 타입 연료 센더는 연료탱크 내부의 온도에 따른 연료량의 변화량을 정확하게 검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즉, 차량용 연료의 기준온도는 15℃인데 1℃ 변화에 따라 휘발유의 경우 0.1%, 경유의 경우 0.089%, 등유의 경우 0.09% 정도로 부피가 늘거나 줄어서 실제 연료량과 편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 측정 시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게 마련이다.
또한, 플로팅 타입 연료 센더의 플로트(뜨개)는 그 구조적 특성상 연료에 약간 잠긴 상태로 연료 유면보다 높게 위치하게 되고, 유면의 높이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저항을 통해 그에 비례하는 아날로그 저항값을 전류신호로 출력하므로 인해 통상 연료량이 연료탱크 용량의 92% 이상일 경우와 16% 이하일 경우에는 실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보다 적게 감지하는 이른바 불감대(감지 불능 위치)가 형성되어 연료 변동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연료탱크의 용량이 100L이고 차량의 배터리 기준전압이 24V인 경우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에 따라 연료 센더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이 아래의 표 1과 같이 차이를 보이는데, 연료량이 92L 이상이면 전압값은 모두 7V를 나타내며, 연료량이 16L 이하이면 전압값은 모두 0.5V를 나타내기 때문에 연료량이 92L 경계점으로 이상인 연료량과 16L 경계점으로 이하인 연료량은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게 된다.
연료량(L) 98~92 92 87 82 --- 31 26 21 16 16~0
저항(Ω) 5.3 5.3 10.5 17.5 --- 87.6 94.6 99.8 105 105
전압(V) 7 7 6.65 6.1 --- 1.43 1.05 0.7 0.5 0.5
비고 상위 불감대 연료량 감지 유효영역 하위 불감대
그뿐만 아니라 플로팅 타입 연료 센더는 플로트의 가변저항에서 연료의 변화량에 비례하는 아날로그 저항값을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하는 방식의 특성상 차량의 배터리 상태 및 전압에 따라 연료 센더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이 달라 최초 설정된 기준 배터리 전압과 다른 전압의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실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과 지시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게다가 종래의 플로팅 타입 연료 센더는 차량의 진동이나 급출발 및 급정거, 혹은 차량이 과속방지턱을 넘거나 경사진 비탈길을 오르거나 내려갈 때 파동치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 레벨에 따라 그 플로트도 자연스럽게 높낮이가 가변되는 특성상 실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과 편차를 보이는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27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721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697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6771호,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 변동량을 정확하게 계측하고 차량 운행기록정보 등을 차량 관리자가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연료의 도난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연료량 체크 및 기록장치를 개발하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예의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연료탱크 내의 연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연료의 온도 변화에 따른 연료량과 플로트의 불감대 위치 시에 따른 연료량을 보정함으로써 연료탱크 내의 실제 연료 변동량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차량의 배터리 전압 변화에 따른 실제 연료 변동량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연료 센더로부터 출력되는 저항값과, 연료탱크 내의 연료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연료탱크 내의 연료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기준온도에 해당하는 연료량으로 보정하는 연료량 보정부와, 연료량 보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기초로 하여 연료탱크 내의 연료 변동량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산출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기록하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기록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연료탱크 내의 연료 온도가 높거나 낮더라도 연료량을 한층 더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계측할 수 있고, 연료탱크 내의 연료 변동량을 실시간으로 체크 및 기록함으로써 연료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의 도난이나 부정한 사용 여부를 정확하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는,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가 플로트 불감대 영역에 해당할 경우 차량 속도 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및 시동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차량의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이동거리 산출부와, 이동거리 산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의 이동거리 값과 해당 차량의 공인연비를 기초로 하여 연료 소모량 및 연료탱크 내의 연료 변동량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산출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기록하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기록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연료 센더의 플로트가 연료탱크의 불감대 영역에 위치하더라도 기준연료량 값으로 적절히 보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료 변동량을 한층 더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제어부에서 산출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저장부에 기록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제어부는, 차량 속도 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및 시동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속도나 분당 엔진 회전수(RPM)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0'일 경우의 연료량 값을 종전 연료값으로 수집하고,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로부터 연료탱크의 현재 연료량 값을 산출하여 차량의 속도나 분당 엔진 회전수(RPM)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0'일 경우 상기 종전 연료량 값으로 갱신하고, '0'이 아닐 경우 상기 현재 연료량 값에서 상기 종전 연료량 값을 감산 또는 상기 종전 연료량 값에서 상기 현재 연료량 값을 감산하여 그 값이 연료탱크 용량의 5% 용적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주유량 또는 도유량으로 표시 및 상기 종전 연료량 값으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연료량 보정부는,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연료 온도가 기준온도(15℃)보다 높을 경우, 그 온도 차이 값에 계수(휘발유는 0.1%, 경유는 0.089%, 등유는 0.09%)를 곱하여 산출된 값에다가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얻은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 값을 곱한 후,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얻은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 값을 감산하여 산출된 절댓값으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보정하고,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연료 온도가 표준온도(15℃)보다 낮을 경우, 그 온도 차이 값에 계수(휘발유는 0.1%, 경유는 0.089%, 등유는 0.09%)를 곱하여 산출된 값에다가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얻은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 값을 곱한 후,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얻은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 값을 가산하여 산출된 값으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연료량 보정부는, 상기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에서 전압의 평균값을 1초 단위로 계속 저장하여 10초간의 평균값이 이전 10초간의 평균값보다 클 경우 차량 속도 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및 시동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10초간 누적 이동거리와 속도를 측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연비만큼 연료 소모량을 산출한 후 이전 10초간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연료량에서 감산하여 산출된 값으로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기술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연료탱크 내의 연료 변동량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동으로 체크 및 기록하고 데이터화함으로써 연료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의 도난이나 부정한 사용 여부 혹은 차량의 이상으로 인한 과도한 연료 소비를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가 검출한 연료탱크 내의 연료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에는 연료량 보정부가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를 기준온도에 해당하는 연료량 값으로 보정하여 환산함으로써 실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더욱 정확하고 정밀하게 계측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차량이 굴곡진 도로나 비탈진 경사로 등을 주행할 때 발생하는 연료량의 표시편차를 연료량 보정부가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를 해당 차량의 연비에 해당하는 연료 소모량 값을 적용하여 보정함으로써 실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한층 더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게다가, 연료 센더의 플로트가 불감대 영역에 위치할 경우에는 이동거리 산출부가 연료탱크 내의 실제 연료량과 동일한 연료량 값으로 보정함으로써 연료 변동량을 한층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에서 연료량 보정부의 보정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에서 연료 센더의 플로트 저항값이 불감대 영역에 위치할 경우 제어부의 연료량 보정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에서 전압 보상부의 보상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랑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에서 연료량 보정부의 보정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랑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에서 제어부의 주유 및 도유 판단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에서 연료 변동량을 분석한 값을 나타낸 표 및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는 크게 온도센서(11), 연료량 보정부(12), 제어부(13), 저장부(14) 및 출력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온도센서(11)는 연료탱크 내에 장착되어 연료탱크 내의 연료 온도를 검출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연료량 보정부(12)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여 검출된 온도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온도센서(11)는 저항체의 저항 변화에 따른 전압 변화를 감지하여 온도를 계측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고, 감지된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A/D 컨버터(11a)와, 이 A/D 컨버터에서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시리얼 통신포트를 통해 연료량 보정부(12)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료량 보정부(12)는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와 온도센서(1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실제 연료량으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보정하여 출력한다.
즉, 연료량 보정부(12)는 연료 센더(10) 및 온도센서(11)와 유무선(RS-485)으로 연결되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료 센더(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에서 전압값을 환산하여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과 연료 온도를 기록 및 저장하고, 온도센서(11)에서 검출된 연료 온도가 기준온도(15℃)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실제 잔여 연료량으로 보정 환산하여 제어부(13)로 출력한다.
여기서 연료 센더(10)는 연료탱크에 장착되어 플로트의 가변저항을 통해 연료탱크 내 연료의 변화량에 비례하여 저항값이 증감하고, 이에 따라 전류값도 증감한다.
또한, 연료 센더(10)는 그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미도시)와, 증폭된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A/D 컨버터(1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연료량 보정부(12)는 온도센서(11)에서 검출된 연료 온도가 기준온도(15℃)보다 높을 경우, 그 온도 차이 값에 계수(휘발유는 0.1%, 경유는 0.089%, 등유는 0.09%)를 곱하여 산출된 값에다가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얻은 연료량 값을 곱한 후, 그 값에다가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얻은 연료량 값을 감산하여 산출된 절댓값(소수점 셋째짜리에서 반올림)으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보정하여 제어부(13)로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얻은 연료량 값이 26이고, 온도센서(11)에서 검출된 연료 온도가 16℃이고, 연료의 종류가 경유인 경우, |(1×0.089)×26-26|=23.69로 연산 및 산출하고, 이를 연료탱크 내의 실제 연료량으로 보정하여 제어부(13)로 출력한다.
또한, 연료량 보정부(12)는 온도센서(11)에서 검출된 연료 온도가 기준온도(15℃)보다 낮을 경우, 그 온도 차이 값에 계수(휘발유는 0.1%, 경유는 0.089%, 등유는 0.09%)를 곱하여 산출된 값에다가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얻은 연료량 값을 곱한 후, 그 값에다가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얻은 연료량 값을 가산하여 산출된 값(소수점 셋째짜리에서 반올림)으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보정하여 제어부(13)로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얻은 연료량 값이 26이고, 온도센서(11)에서 검출된 연료 온도가 14℃이고, 연료의 종류가 휘발유인 경우, (1×0.1)×26-26=23.4로 연산 및 산출하고, 이를 연료탱크 내의 실제 연료량으로 보정하여 제어부(13)로 출력한다.
한편, 연료량 보정부(12)는 온도센서(11)에서 검출된 연료 온도가 기준온도(15℃)와 동일한 경우,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얻은 연료량 값을 그대로 제어부(13)로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13)는 체크장치의 구동 및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연료량 보정부(12)로부터 출력되는 연료량 값을 기초로 하여 연료탱크 내에 채워진 연료 레벨을 산출하고, 산출된 연료 레벨을 출력 및 표시하기 위한 연료 변동량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3)는 저장부(14)로부터 연료탱크의 크기에 상응하는(연료용기에 채워질 수 있는) 연료의 최대 레벨, 연료탱크의 형상 및 크기 등에 관한 정보를 초기화 정보의 형태로 입력부(18)를 통해 입력받을 수도 있으며, 산출된 연료 레벨을 기초로 연료탱크의 형상 및 크기와 최대 레벨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연료탱크 내에 잔존하는 연료량과 산출된 연료 레벨에 대한 최대 레벨의 비 등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결과를 출력 및 표시하기 위한 표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신호는 아날로그, 디지털, 또는 그래픽 표시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장치에 상응하게 생성될 수 있다.
저장부(14)는 제어부(13)에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산출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기록하여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는 입력부(18)를 통해 차량 고유의 식별 정보와 연료의 종류와 연료탱크의 풀(full) 연료량 값과 상하위 불감대 경계점의 연료량 값 및 해당 차량의 공인연비 등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기준 레벨, 최대 레벨, 연료탱크의 형상 및 크기 및 연료탱크에 주입되는 연료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초기화 정보 등을 저장하여 필요한 해당 정보를 제어부(13)에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15)는 저장부(14)에 기록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실시간(1초 단위)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부(15)는 출력포트 형태로 구현되고, 이를 통해 프린터 장치와 연결되어 출력물 형태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6)는 제어부(13)에서 산출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즉, 표시부(16)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연료탱크 내의 연료 변동량을 표시하고, 아울러 기기의 조작을 위한 안내문구, 기기의 작동 상태, 측정값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통신부(17)는 저장부(14)에 기록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기(30) 등으로 실시간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부(17)는 CDMA, WCDMA, 와이파이, 블루투스, 와이브로, 무선공유기 등의 통신장치로 구현되어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30)와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실시간(1초 간격)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8)는 조작이나 설정 신호,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연료량 보정부(12), 제어부(13), 저장부(14), 출력부(15), 표시부(16) 및 입력부(18) 등은 PCB 상에 탑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 PCB의 전원은 차량의 배터리 전압(DC12V/24V)을 공급받아 사용함으로써 연료탱크 내의 연료 변동량을 지속적으로 체크 및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연료량 체크장치는 차량 고유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 채로 GPS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의 GPS 좌표를 참조하여 차량의 운행 기록을 작성하여 자동 저장하고, 차량속도, 차량위치, 주행거리, 운전시간, 분당 엔진회전수(RPM), 브레이크 신호, 일간 또는 누적 연료 변동량 등 차량의 운행기록 정보를 자동적으로 기록하고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 혹은 관리자 단말기(30)로 송신함으로써 차량의 운행기록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GPS로부터 현재시간 정보와 차량의 현재 GPS좌표를 수신하기 위한 GPS수신부(미도시)와, 차량의 운행거리를 검출하기 위해 차량 속도 센서로부터 운행거리 정보를 입력받는 적산기록부(미도시) 및 연료량의 측정시각과 날짜 등을 함께 기록하기 위한 시각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연료량 체크장치는 운전자의 임의 조작이 불가능한 차량용 운행기록계의 기능 및 구실을 병행할 수 있으며, 기록된 데이터는 만일의 사고 시 그 원인 분석과 공정한 증빙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차량의 1일 운행 상황을 정확하게 해석하여 안전운전 및 유류비 절감을 유도하고 과속, 난폭운전을 개선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 변동량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체크 및 기록하고 데이터화하여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관리서버나 관리자 단말기(30)로 전송함으로써 차량 관리자는 운행기록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니터링하여 연료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연료의 도난이나 부정한 사용 여부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이상으로 인한 과도한 연료 소비를 신속하게 인지하여 연료의 불필요한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아울러 연료량 보정부(12)가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와 온도센서(1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연료탱크 내의 연료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기준온도에 해당하는 연료량으로 보정함으로써 연료탱크 내의 실제 연료량을 더욱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의 연료량 보정부(12)는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출력되는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 즉 연료 센더의 전압값을 1/20초 단위로 계속 측정하고, 이 측정값 중 상위 및 하위 10% 범위의 측정값을 제외한 나머지 측정값으로 평균값을 구해서 1초 단위로 계속 정하여 10초간의 1초 단위 평균값 중 상위 및 하위 20% 범위의 평균값을 제외한 나머지 평균값을 계속 검출하고, 그 10초간의 평균값이 이전 10초간의 평균값보다 클 경우 차량 속도 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및 시동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차량의 10초간 누적 이동거리와 속도를 측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연비만큼 연료 소모량을 산출한 후 이전 10초간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연료량에서 감산하여 산출된 값으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보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연료량 보정부(12)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 레벨이 차량의 진동이나 급출발 및 급정거, 혹은 차량이 과속방지턱을 넘거나 경사진 비탈길을 오르거나 내려갈 때 파동치면서 연료 센더(10)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이 수시로 가변되고, 이로 인해 실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과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의 제어부(13)는, 차량 속도 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및 시동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속도나 분당 엔진 회전수(RPM)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0'일 경우의 연료량 값을 종전 연료값(A)으로 수집하고,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출력되는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로부터 연료탱크의 현재 연료량 값(B)을 산출하여 차량의 속도나 분당 엔진 회전수(RPM)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0'일 경우 종전 연료량 값(A)으로 갱신하고, '0'이 아닐 경우 현재 연료량 값(B)에서 종전 연료량 값(A)을 감산 또는 종전 연료량 값(A)에서 현재 연료량 값(B)을 감산하여 그 값이 연료탱크 용량의 5% 용적 값(C)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주유량 또는 도유량으로 표시 및 종전 연료량 값(A)으로 갱신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연료탱크(100ℓ) 용량의 5% 용적 값(C)을 5ℓ이고, 종전 연료값(A)이 50ℓ이고 현재 연료량 값(B)이 80ℓ이라고 가정할 경우, 현재 연료량 값(B)인 80ℓ에서 종전 연료값(A)인 50ℓ를 감산하면 그 산출 값이 30ℓ이고, 이는 연료탱크(100ℓ) 용량의 5% 용적 값(C)인 5ℓ보다 크므로, 이 경우 30ℓ를 주유량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종전 연료량 값(A)을 현재 연료량 값(B)인 80ℓ로 갱신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 연료탱크(100ℓ) 용량의 5% 용적 값(C)을 5ℓ이고, 종전 연료값(A)이 50ℓ이고 현재 연료량 값(B)이 10ℓ이라고 가정할 경우, 현재 연료량 값(B)인 10ℓ에서 종전 연료값(A)인 50ℓ를 감산하면 그 산출 값이 -40ℓ이고, 이는 연료탱크(100ℓ) 용량의 5% 용적 값(C)을 5ℓ보다 작으므로, 이 경우 종전 연료값(A)인 50ℓ에서 현재 연료량 값(B)인 10ℓ를 감산하여 40ℓ로 다시 산출하고, 이는 연료탱크(100ℓ) 용량의 5% 용적 값(C)을 5ℓ보다 크므로 이 40ℓ를 도유량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종전 연료량 값(A)을 현재 연료량 값(B)인 10ℓ로 갱신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3)는 차량 속도 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및 시동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차량의 시동이 꺼졌다가 켜지고, 속도나 분당 엔진 회전수가 '0'인 조건에서 연료탱크의 연료량이 차량의 시동이 꺼지기 전의 연료량에 비해 5% 이상 상승하면 주유한 것으로 판단하고, 5% 이상 하강하면 연료 도난으로 판단하여 출력부(15) 및 표시부(16)로 신호를 전송한다.
출력부(15)는 출력포트를 통해 별도의 프린터 장치와 연결되어 실시간(1초 단위)으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연료탱크 내의 연료 변동량을 도 7과 같이 실시간 혹은 주기적으로 데이터화하면, 이를 그래프로 변환하여 도 8과 같이 출력물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데, 연료탱크 내의 연료 잔량이 줄어들다가 갑자기 수직상승하여 늘어나면(aa점) 주유로 인식하여 그에 따른 연료 변동량을 주유량으로 기록 및 표시하게 되고, 연료탱크 내의 연료 잔량이 현재의 차량 속도나 이동거리 등에 비해 급격하게 줄어들면(ac) 연료 도난(도유)으로 인식하여 그에 따른 연료 변동량을 도유량으로 기록 및 표시하게 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는 크게 이동거리 산출부(19), 제어부(13), 저장부(14) 및 출력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거리 산출부(19)는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가 플로트 불감대 영역에 해당할 경우 차량에 탑재된 차량 속도 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및 시동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차량의 이동거리를 산출한다.
제어부(13)는 체크장치의 구동 및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이동거리 산출부(19)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의 이동거리 값과 해당 차량의 공인연비를 기초로 하여 연료 센더(10)의 플로트가 불감대 영역에 위치할 경우 그 불감대에서의 연료 소모량과 연료탱크 내에 채워진 연료 레벨을 산출하고, 산출된 연료 레벨을 출력 및 표시하기 위한 연료 변동량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연료 센더(10)의 플로트가 불감대 위치 시에 따른 연료량 보정처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3)는 입력부(18)를 통해 연료탱크에 최대한 채워진 풀(full) 연료량 값(I)과, 연료 센더(10)의 플로트가 실제 연료량을 감지하지 못하는 상위 불감대 경계점(A) 및 하위 불감대 경계점(B)의 연료량(레벨) 값과, 해당 차량의 공인연비(E)를 입력받아 저장부(14)에 기록 및 저장한다(S101).
계속해서,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C)을 산출한다(S103).
이후,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가 플로트의 상위 불감대 레벨(A)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한다(S105). 이때, 출력신호 값이 플로트의 상위 불감대 레벨(A)보다 크거나 같으면 이동거리 산출부(19)는 차량 속도 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시동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 일정 거리 이동하였는지를 측정한다(S107).
계속해서, 차량이 1km 이상으로 이동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09). 이때, 차량이 1km 이상으로 이동하였으면 그 이동거리를 차량의 공인연비(E)로 나누어 연료 소모량(G)을 구하고(S111), 차량이 1km 미만으로 이동하였으면 S103 단계로 리턴한다.
이후, 연료 소모량(G) 값을 연료탱크의 풀 연료량 값(I)에서 감산한 값을 실제 연료량 값(H)으로 산출 및 출력한다(S113).
만약, S105 단계에서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 값이 플로트의 상위 불감대 레벨(A)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플로트의 하위 불감대 레벨(B)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한다(S115). 이때, 출력신호 값이 플로트의 하위 불감대 레벨(B)보다 작거나 같으면 이동거리 산출부(19)는 차량 속도 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시동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 일정 거리 이동하였는지를 측정한다(S117).
계속해서, 차량이 1km 이상으로 이동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19). 이때, 차량이 1km 이상으로 이동하였으면 그 이동거리를 차량의 공인연비(E)로 나누어 연료 소모량(G)을 구하고(S121), 차량이 1km 미만으로 이동하였으면 S103 단계로 리턴한다.
이후, 연료 소모량(G) 값을 플로트의 하위 불감대 레벨(연료량) 값(B)에서 감산한 값을 실제 연료량 값(H)으로 산출 및 출력한다(S123).
만약, S115 단계에서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 값이 플로트의 하위 불감대 레벨(B)보다 작거나 같지 않으면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C) 값으로 출력한다(S125).
예를 들어, 100L 용량의 연료탱크에 최대로 채운 풀(full) 연료량 값(I)이 98L이고, 연료 센더(10)의 플로트가 실제 연료량을 감지하지 못하는 상위 불감대 경계점의 연료량(레벨) 값(A)이 92L이고, 해당 차량의 공인연비(E)가 10km이고,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산출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C)이 92L이면서 차량이 1km 이동하였다고 가정하면, 불감대에서의 연료 소모량(G)은 차량의 이동거리(D)인 1km를 공인연비(E)인 10km로 나눈 값인 0.1L가 산출된다.
또한, 연료탱크 내의 실제 연료량 값(H)은 연료탱크에 최대로 채운 풀(full) 연료량 값(I)인 98L에서 연료 소모량(G)인 0.1L를 감산한 값인 97.9L가 산출된다.
다른 예로, 연료 센더(10)의 플로트가 실제 연료량을 감지하지 못하는 하위 불감대 경계점의 연료량(레벨) 값(B)이 16L이고, 해당 차량의 공인연비(E)가 10km이고, 연료 센더(10)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산출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C)이 16L이면서 차량이 1km 이동하였다고 가정하면, 불감대에서의 연료 소모량(G)은 차량의 이동거리(D)인 1km를 공인연비(E)인 10km로 나눈 값인 0.1L가 산출된다.
또한, 연료탱크 내의 실제 연료량 값(H)은 하위 불감대 경계점의 레벨 값(B)인 16L에서 연료 소모량(G)인 0.1L를 감산한 값인 15.9L가 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는 연료 센더의 플로트가 불감대 영역에 위치하여 연료탱크 내의 실제 연료량을 정확하게 알 수 없을 때 이동거리 산출부(19)가 차량 속도 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시동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연료 소모량을 산출함은 물론 연료탱크 내의 실제 연료량과 동일한 연료량 값으로 보정함으로써 연료 변동량을 한층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는 아래의 표 2 내지 표 4와 같이, 기설정되는 차량의 기준 배터리 전압과 연료탱크에 채워진 연료량의 상관관계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부(14)에 저장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 전압과 기설정된 해당 차량의 기준 배터리 전압의 차이값에 따라 연료 센더(10)의 출력 전압값을 계수로 가감하고, 그 산출 값을 기준 배터리 전압의 해당 연료 센더(10)의 출력 전압값으로 환산하여 연료량 값을 표시하도록 보상하는 전압 보상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전압 보상부(20)는 차량의 배터리 전압에 따라 연료 센더(10)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이 가변되고, 이로 인해 최초 설정된 기준 배터리 전압과 다른 전압의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 실제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과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24V 배터리 전압을 기준 배터리 전압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차량의 배터리 전압이 28V이고 연료 센더의 출력 전압값이 6.3V라고 가정하면, 6.3V에서 계수값인 0.2V를 감산한 6.1에 해당하는 24V 배터리의 전압 82L로 연료량을 적용하게 되고, 차량의 배터리 전압이 20V이고 연료 센더의 출력 전압값이 5.9V라고 가정하면, 5.9V에서 계수값인 0.2V를 가산한 6.1에 해당하는 24V 배터리의 전압 82L로 연료량을 적용하게 된다.
연료량(L) 98~92 92 87 82 --- 31 26 21 16 16~0
전압(V) 7 7 6.65 6.1 --- 1.43 1.05 0.7 0.5 0.5
연료량(L) 98~92 92 87 82 --- 31 26 21 16 16~0
전압(V) 7.2 7.2 6.85 6.3 --- 1.63 1.25 0.9 0.7 0.7
연료량(L) 98~92 92 87 82 --- 31 26 21 16 16~0
전압(V) 6.8 6.8 6.45 5.9 --- 1.23 0.85 0.5 0.3 0.3
여기서 연료탱크의 용량은 모두 100L기준이고, 표 2의 배터리 전압은 24V이고, 표 3의 배터리 전압은 28V이며, 표 4의 배터리 전압은 20V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연료 센더 10a: A/D 컨버터
11: 온도센서 11a: A/D 컨버터
12: 연료량 보정부 13: 제어부
14: 저장부 15: 출력부
16: 표시부 17: 통신부
18: 입력부 19: 이동거리 산출부
20: 전압 보상부 30: 단말기

Claims (8)

  1. 연료탱크 내의 연료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와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그 연료량을 기준온도에 해당하는 연료량으로 보정하는 연료량 보정부;
    상기 연료량 보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기초로 하여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 변동량을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기록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량 보정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연료 온도가 기준온도(15℃)보다 높을 경우, 그 온도 차이 값에 계수(휘발유는 0.1%, 경유는 0.089%, 등유는 0.09%)를 곱하여 산출된 값에다가 상기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얻은 연료량 값을 곱한 후, 상기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얻은 연료량 값을 감산하여 산출된 절댓값으로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보정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연료 온도가 표준온도(15℃)보다 낮을 경우, 그 온도 차이 값에 계수(휘발유는 0.1%, 경유는 0.089%, 등유는 0.09%)를 곱하여 산출된 값에다가 상기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얻은 연료량 값을 곱한 후, 상기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를 환산하여 얻은 연료량 값을 가산하여 산출된 값으로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
  2.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가 플로트 불감대 영역에 해당할 경우 차량 속도 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및 시동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차량의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이동거리 산출부;
    상기 이동거리 산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의 이동거리 값과 해당 차량의 공인연비를 기초로 하여 연료 소모량과 연료탱크 내의 연료 변동량을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기록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
  3.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 전압과 기설정된 해당 차량의 기준 배터리 전압의 차이값에 따라 연료 센더의 출력 전압값을 특정 계수로 가감하여 기준 배터리 전압의 해당 연료 센더의 출력 전압값으로 연료량 값을 표시하도록 보상하는 전압 보상부;
    상기 전압 보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값에 해당하는 연료량 값으로 연료탱크 내의 연료 변동량을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기록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 속도 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및 시동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속도나 분당 엔진 회전수(RPM)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0'일 경우의 연료량 값을 종전 연료값으로 수집하고, 상기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로부터 연료탱크의 현재 연료량 값을 산출하여 차량의 속도나 분당 엔진 회전수(RPM)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0'일 경우 상기 종전 연료량 값으로 갱신하고, '0'이 아닐 경우 상기 현재 연료량 값에서 상기 종전 연료량 값을 감산 또는 상기 종전 연료량 값에서 상기 현재 연료량 값을 감산하여 그 값이 연료탱크 용량의 5% 용적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주유량 또는 도유량으로 표시 및 상기 종전 연료량 값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연료탱크 내의 연료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와 상기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그 연료량을 기준온도에 해당하는 연료량으로 보정하는 연료량 보정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연료 변동량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속도 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및 시동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속도나 분당 엔진 회전수(RPM)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0'일 경우의 연료량 값을 종전 연료값으로 수집하고, 상기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로부터 연료탱크의 현재 연료량 값을 산출하여 차량의 속도나 분당 엔진 회전수(RPM)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0'일 경우 상기 종전 연료량 값으로 갱신하고, '0'이 아닐 경우 상기 현재 연료량 값에서 상기 종전 연료량 값을 감산 또는 상기 종전 연료량 값에서 상기 현재 연료량 값을 감산하여 그 값이 연료탱크 용량의 5% 용적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주유량 또는 도유량으로 표시 및 상기 종전 연료량 값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량 보정부는,
    상기 연료 센더의 출력신호에서 전압의 평균값을 1초 단위로 계속 저장하여 10초간의 평균값이 이전 10초간의 평균값보다 클 경우 차량 속도 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및 시동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10초간 누적 이동거리와 속도를 측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연비만큼 연료 소모량을 산출한 후 이전 10초간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연료량에서 감산하여 산출된 값으로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
KR20130125340A 2013-10-21 2013-10-21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 KR101479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340A KR101479072B1 (ko) 2013-10-21 2013-10-21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340A KR101479072B1 (ko) 2013-10-21 2013-10-21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072B1 true KR101479072B1 (ko) 2015-01-07

Family

ID=5258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340A KR101479072B1 (ko) 2013-10-21 2013-10-21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0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033B1 (ko) * 2015-04-03 2016-07-12 류병택 주유 펌프를 이용한 차량의 연료탱크 실시간 온도 및 연료 측정 시스템
KR101663541B1 (ko) * 2015-04-03 2016-10-07 류병택 차량의 연료탱크 실시간 온도 및 온도 보정에 의한 연료 측정 시스템
KR101875162B1 (ko) * 2017-01-31 2018-07-0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위 측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770A (ko) * 2004-03-10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량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090125868A (ko) * 2008-06-03 2009-12-08 (주)모토닉 경사각 센서를 이용한 정전용량식 연료량 검출장치
KR20110094952A (ko) * 2010-02-18 2011-08-24 김동환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
KR101169733B1 (ko) * 2011-10-04 2012-08-03 주식회사 비에프지 연료잔량 측정 시스템 및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770A (ko) * 2004-03-10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량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090125868A (ko) * 2008-06-03 2009-12-08 (주)모토닉 경사각 센서를 이용한 정전용량식 연료량 검출장치
KR20110094952A (ko) * 2010-02-18 2011-08-24 김동환 차량 연료변화량 기록장치
KR101169733B1 (ko) * 2011-10-04 2012-08-03 주식회사 비에프지 연료잔량 측정 시스템 및 측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033B1 (ko) * 2015-04-03 2016-07-12 류병택 주유 펌프를 이용한 차량의 연료탱크 실시간 온도 및 연료 측정 시스템
KR101663541B1 (ko) * 2015-04-03 2016-10-07 류병택 차량의 연료탱크 실시간 온도 및 온도 보정에 의한 연료 측정 시스템
KR101875162B1 (ko) * 2017-01-31 2018-07-0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위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7939B2 (en) System and process for monitoring vehicle fuel level
CA2863315C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easuring vehicle carbon footprint
US9371071B2 (en) Method for refueling motor vehicles
CN101738233B (zh) 计算平均油耗和剩余油量可行驶里程的方法
US202200362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olume of Fluid in a Tank
US8600653B2 (en)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enabling the calculation of actual fuel consumption and CO2 emissions for a moving, stopped or operational aircraft, with or without fuel theft exclusion
JP3528707B2 (ja) 車両の燃費計測装置
US20060111851A1 (en) Fuel thef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H074984A (ja) 自動車の走行可能距離を算出する電子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79072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체크장치
KR101585115B1 (ko) 차량 유가보조금 부정수급검출관리시스템
KR101503053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전용량식 연료 센더
CN112740243B (zh) 远程燃料监测系统、服务器、远程燃料监测方法、远程燃料监测程序及存储媒体
WO2011048579A2 (en) Fue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WO20160915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dicating the quality of the fuel supplied by a filling station
US10268199B2 (en) Managing vehicle refueling operations
CN204463247U (zh) 一种根据实时油量值监控司机行为的装置
US201301448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ing a variable fuel price based on exhaust gas emissions of a vehicle
CN111347879A (zh) 确定车辆对于行程的能量需求的系统和方法
JP2014019414A (ja) 車両用表示装置
CA29916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olume of fluid in a tank
CN115638854A (zh) 一种液位计算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系统及装置
KR20130066203A (ko) 차량의 연료 잔량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181123B1 (ko) 차량의 연료탱크 주유 재인식 방법
US20240116745A1 (en) Intelligent liquid level display for auxiliary tan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