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034B1 - 농업용 베일러 - Google Patents

농업용 베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034B1
KR101479034B1 KR20120126061A KR20120126061A KR101479034B1 KR 101479034 B1 KR101479034 B1 KR 101479034B1 KR 20120126061 A KR20120126061 A KR 20120126061A KR 20120126061 A KR20120126061 A KR 20120126061A KR 101479034 B1 KR101479034 B1 KR 101479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ummy
discharge door
discharge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2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9517A (ko
Inventor
이왕돈
조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텍
Priority to KR20120126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034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정된 압력으로 방출도어를 닫아 더미를 일정한 크기와 조직을 가지도록 성형한 상태에서 방출함으로써 균일한 상태로 반복적인 성형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바퀴를 장착한 엑슬프레임을 움직임 자유롭게 연결한 프레임 전방에 농기구와 연결하도록 구비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방에 설치하여 더미로 만들기 위한 건초를 수거하는 집초부와, 상기 집초부의 후방에 설치하여 수거된 건초를 원통 형상의 더미로 만들 수 있도록 내부에 더미롤러를 원형으로 배열한 성형부로 구성되는 농업용 베일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성형부의 후미와 힌지 연결되는 방출도어는 프레임과 방출도어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방출실린더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과 방출도어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의 연접위치에는 성형부에 의하여 성형되는 더미가 설정된 압력과 부피에 이르렀을 경우 이를 콘트롤러로 인가하여 방출실린더를 작동시켜 방출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제어기를 더 설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농업용 베일러{A BALER}
본 발명은 농업용 베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형상의 더미를 배출하는 방출도어의 개폐를 제어하여 더미가 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방출도어의 안전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베일러의 품질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인 베일러는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후방에 연결되어 견인되면서, 예초 되어 지면에 나열되거나 비산 되어 있는 건초(볏짚이나 사료용 초목 등)를 수거하여 원통 형상의 더미(Stack)로 만드는 작업과 더불어, 만들어진 더미의 외부에 랩으로 밀봉하여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랩핑 기능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농기계이다.
상기와 같은 베일러의 구성을 간략적으로 살펴보면,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바퀴를 장착한 프레임의 전방에 트랙터와 같은 농기구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후방에는 더미로 만들기 위한 건초를 수거하기 위한 집초부가 설치된다.
상기 집초부의 후방에는 수거된 건초를 원통 형상의 더미로 만들 수 있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더미 롤러를 원형으로 배열하여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성형부를 설치한다.
상기 성형부의 전방에는 성형 완료된 더미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속네트를 공급하는 결속네트공급부를 설치하고, 상기 결속네트공급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더미를 만들기 위하여 수거되는 건초에 유산균을 살포하여 보관과정에서 발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산균살포부를 설치한다.
일반적인 베일러(원형 타입)의 경우에는 성형부의 후방에 래퍼가 설치되지 않으나 콤비타입 베일러의 경우에는 성형부의 후방에 성형완료된 더미를 인계받아 표면을 랩으로 밀봉포장하기 위한 래퍼를 설치하여 구성되고 있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베일러(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부(2)의 후방에 성형 완료된 더미를 배출하기 위한 방출도어(3)가 설치되는 데, 상기 방출도어(3)는 프레임(4)의 후미 상방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4)과 방출도어(3)의 상부 중앙에는 실린더(5)를 설치하여 성형부 내부에 설치되는 더미 롤러에 의하여 건초가 일정한 형상의 더미를 완성하면 사일리지네트로 더미를 감싼 후 개방시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프레임의 상부 중심 일측에는 실린더가 설치되고, 방출도어의 상부 중심 일측에는 실린더의 로드가 연결되어 성형부 내부에 설치되는 더미 롤러에 의하여 건조가 더미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방출도어가 프레임에 대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되어 비틀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방출도어가 프레임의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되어 비틀린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방출도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원활한 작동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하나의 실린더가 더미 롤러를 내부에 가지는 중량체의 방출도어를 당기듯이 개방시켜야 하기 때문에 개폐 동작이 쉽지 않게 된다.
그리고, 성형부 내부에 설치되는 더미 롤러에 의하여 건초가 더미 형태로 성형되면 더미 롤러가 최대한 성형할 수 있는 크기가 되면 콘트롤러에 의하여 실린더를 작동시켜 방출도어를 개방하게 되는 동작이기 때문에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더미가 만들어질 때 더미 롤러가 최대한의 크기로 만들 수 있는 한계에 다달으면 방출도어를 개방하여 더미를 배출하게 되므로 더미가 적정한 압력으로 견고하게 형성됨에 관계없이 방출되므로 실제 방출된 더미가 배출과 함께 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는 더미 롤러에 의하여 건조가 더미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속에서부터 꽉찬 상태로 성형되지 못하고 겉으로는 정상적인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나 속이 비어있는 형태와 비슷하기 때문이고, 성형 과정에서 원심력에 의하여 더미 롤러와 연접되는 외면에는 다져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내부에는 다짐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발생한다.
이는 더미를 만들기 위한 건초가 가지는 작은 크기일 경우에는 조밀한 조직을 가지도록 성형할 수 있고, 부피가 크고 큰 크기의 건초일 경우에는 조밀한 조직을 가지지 않으면서 부피가 방대하게 커지기 때문에 빨리 방출되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더미가 방출된 상태에서는 전체적인 형상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 크기 또한 균일하지 못하여 보관을 위한 적재가 용이하지 못하게 되고, 일정한 압력으로 다져지지 못하게 되므로 보관 또는 발효과정에서 더미가 부패하게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바퀴를 장착한 엑슬프레임을 움직임 자유롭게 연결한 프레임 전방에 농기구와 연결하도록 구비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방에 설치하여 더미로 만들기 위한 건초를 수거하는 집초부와, 상기 집초부의 후방에 설치하여 수거된 건초를 원통 형상의 더미로 만들 수 있도록 내부에 더미롤러를 원형으로 배열한 성형부로 구성되는 농업용 베일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성형부의 후미와 힌지 연결되는 방출도어는 프레임과 방출도어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방출실린더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과 방출도어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의 연접위치에는 성형부에 의하여 성형되는 더미가 설정된 압력과 부피에 이르렀을 경우 이를 콘트롤러로 인가하여 방출실린더를 작동시켜 방출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제어기를 더 설치하여;
설정된 압력으로 방출도어를 닫아 더미를 일정한 크기와 조직을 가지도록 성형한 상태에서 방출함으로써 균일한 상태로 반복적인 성형이 가능하여 베일러의 품질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베일러의 내부에서 성형 되는 더미가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였을 때 방출도어를 개방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더미의 외부는 물론 내부에까지 고른 압력으로 성형 되어 균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면서 균일한 밀도로 성형 되어 더미의 품질을 높이면서, 성형된 더미의 방출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베일러의 품질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베일러를 도시한 예시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베일러의 방출도어 개폐기를 발췌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베일러의 방출도어 개폐기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베일러의 방출도어가 개방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베일러의 방출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종래 기술의 방출도어가 적용된 농업용 베일러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베일러를 도시한 예시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베일러의 방출도어 개폐기를 발췌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베일러의 방출도어 개폐기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베일러의 방출도어가 개방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베일러의 방출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농업용 베일러(100)는,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바퀴(101)를 장착한 엑슬프레임(102)을 움직임 자유롭게 연결한 프레임(103)의 전방에 트랙터와 같은 농기구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04)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104)의 후방에는 더미로 만들기 위한 건초를 수거하기 위한 집초부(105)가 설치된다.
상기 집초부(105)의 후방에는 수거된 건초를 원통 형상의 더미로 만들 수 있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더미롤러를 원형으로 배열하여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성형부(106)를 설치한다.
상기 성형부(106)의 전방에는 성형 완료된 더미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속하기 위한 결속네트를 공급하기 위한 결속네트공급부(107)를 설치하고, 상기 결속네트공급부(107)와 인접되게 수거되는 건초에 유산균을 살포하여 보관과정에서 발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산균살포부(108)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103)의 후방에 설치되는 성형부(106)의 후미와 힌지 연결되는 방출도어(110)의 개폐를 프레임(103)과 방출도어(11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방출실린더(111)에 의하여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방출실린더(111)의 끝단부는 프레임(103)에 힌지(112) 연결하고 방출실린더(111)의 로드(113)는 방출도어(110)에 힌지(114)로 연결하여 프레임(103)과 방출도어(110)의 상부에 연결되는 힌지를 기점으로 프레임(103)과 방출도어(110)의 양측에서 밀어올려서 개방시키고 당겨서 닫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3)과 방출도어(110)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의 연접위치에는 성형부(106) 내부의 더미롤러에 의하여 성형되는 더미가 설정된 압력과 부피에 이르렀을 경우 이를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로 인가하여 콘트롤러가 방출실린더(111)를 작동시켜 방출도어(110)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제어기(115)를 더 설치한다.
상기 개방제어기(115)는, 방출도어(110)가 연접되는 프레임(103)에 회전축(116)으로 개략 부메랑형상의 작동판(117)을 연결하고, 상기 작동판(117)은 프레임(103)에 고정되는 스프링연결구(118)와 스프링(119)으로 연결하여 프레임(103) 방향으로 항상 당겨지도록 한다.
상기 작동판(117)의 상단과 작동판(117) 위치의 프레임(103)에는 근접센서(120)를 설치하여 성형부(106)에 의하여 성형되는 더미의 부피와 압력에 의하여 방출도어(110)를 밀어 갭(A)이 발생할 때 스프링(119)이 당기는 힘에 의하여 두 근접센서(120)의 근접을 감지하여 방출실린더(111)를 신장작동시켜 방출도어(110)를 개방시켜 방출실린더(111)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더미를 최적의 상태로 성형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판(117)의 하단에는 방출도어(110)에 고정되는 푸셔(125)에 의하여 방출도어(110)를 닫았을 때 작동판(117)과 프레임(103)에 구비되는 두 근접센서(120)를 최대 위치로 벌어지게 하도록 한다.
상기 방출실린더(111)가 방출도어(110)를 당겨서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압력과 스프링(119)의 견인력 및 프레임(103)과 작동판(117)에 설치되는 근접센서(120)의 위치 또는 작동판(117)의 작동각(a)은 성형되는 더미의 크기와 형상유지를 위한 압력을 수학적인 계산으로 산출되어 적용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베일러(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농업용 베일러(100)의 작동은 연결부(104)를 이용하여 트렉터와 같은 농기구와 연결한 상태에서 주행하면서 집초부(105)에 의하여 건초가 거둬들여 지면서 유산균살포부(108)에 의하여 건초에 유산균이 살포되면서 성형부(106)로 공급되고, 성형부(106)에 공급된 건초는 내부에 원형상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더미롤러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차곡차곡 다져지면서 원통 형상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상기 성형부(106)에 의하여 원통 형상으로 만들어진 더미는 결속네트공급부(107)로부터 공급되는 결속네트에 의하여 외면이 견고한 상태로 단속된 상태에서 지상으로 배출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집초하여 더미를 만들어 배출하는 과정에서는 방출실린더(111)에 의하여 방출도어(110)를 개방함으로써 결속네트에 의하여 단속된 더미가 배출되는 데, 설정된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방출실린더(111)가 방출도어(110)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므로 완전한 형태의 더미로 만들어지기 전에는 방출도어(110)가 개방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건초의 크기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면서 치밀한 조직의 더미를 완성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집초부(105)에 의하여 집초된 건초가 성형부(106)로 이송되어 성형부(106) 내부에 원형상으로 배치되는 더미 롤러에 의하여 원통형상의 더미로 성형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성형 되는 더미가 건초의 종류에 관계없이 치밀한 조직을 가지도록 성형하여 배출하게 된다.
성형 초기에는 방출도어(110)가 닫혀진 상태에 있으므로 개방제어기(115)를 구성하는 푸셔(125)가 작동판(117)의 하단을 밀게 되므로 작동판(117)은 회전축(116)을 중심으로 상측이 방출도어(110)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 있고, 작동판(117)의 상단과 프레임(103)에 고정된 근접센서(120)는 멀어진 상태에 있게 되고, 프레임(103)에 고정된 스프링연결구(118)와 작동판(117)을 연결하고 있는 스프링(119)은 인장되어 작동판(117)을 프레임(103) 방향으로 당기는 상태가 된다.
동시에 방출실린더(111)는 콘트롤러(미도시)에 의하여 방출도어(110)가 개방되지 않도록 설정된 압력으로 당겨서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더미가 성형되고 더미의 부피가 커지면서 방출도어(110)를 개방시키려는 힘이 발생하고, 반대로 방출실린더(111)는 방출도어(110)를 개방하지 않도록 당기고 있으나, 더미가 압축 성형되면서 부피가 점차 커지면서 방출도어(110)를 밀어 방출도어(110)와 프레임(103) 사이에 갭(A)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푸셔(125)가 개방되려는 방출도어(11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스프링(119)에 의하여 프레임(103) 방향으로 당겨지고 있는 작동판(117)은 회전축(116)을 중심으로 하측은 방출도어(110)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측은 프레임(103)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작동판(117)의 상단과 프레임(103)에 설치된 근접센서(120)가 근접하게 되면 콘트롤러가 이를 인가받아 방출도어(110)의 개방시키도록 방출실린더(111)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성형된 더미가 결속네트에 의하여 단속된 상태에서 성형부(106)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개방제어기에 의하여 설정된 압력으로 방출도어를 닫아 더미를 일정한 크기와 조직을 가지도록 성형한 상태에서 방출함으로써 균일한 상태로 반복적인 성형이 가능하여 베일러의 품질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0; 농업용 베일러
103; 프레임
106; 성형부
110; 방출도어
111; 방출실린더
115; 개방제어기
117; 작동판
119; 스프링
120; 근접센서
125; 푸셔

Claims (2)

  1. 바퀴를 장착한 엑슬프레임을 움직임 자유롭게 연결한 프레임 전방에 농기구와 연결하도록 구비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방에 설치하여 더미로 만들기 위한 건초를 수거하는 집초부와;
    상기 집초부의 후방에 설치하여 수거된 건초를 원통 형상의 더미로 만들 수 있도록 내부에 더미롤러를 원형으로 배열한 성형부로 구성되는 농업용 베일러에 있어서;
    방출도어가 연접되는 프레임에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작동판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스프링연결구와 작동판을 연결하여 작동판을 항상 프레임 방향으로 당기는 스프링과;
    상기 작동판의 상단과 작동판 위치의 프레임에 설치하여 성형되는 더미의 부피와 압력에 의하여 방출도어가 개방위치로 밀릴 때 스프링이 당기는 힘에 의하여 근접을 감지하여 방출실린더를 신장작동시켜 방출도어를 개방시키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개방제어기를 더 설치하고;
    상기 방출도어에는 방출도어를 닫았을 때 작동판과 프레임에 구비되는 근접센서를 최대 위치로 벌어지도록 작동판의 하단을 밀어주는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성형부의 후미와 힌지 연결되는 방출도어는 프레임과 방출도어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방출실린더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베일러.
  2. 삭제
KR20120126061A 2012-11-08 2012-11-08 농업용 베일러 KR101479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6061A KR101479034B1 (ko) 2012-11-08 2012-11-08 농업용 베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6061A KR101479034B1 (ko) 2012-11-08 2012-11-08 농업용 베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517A KR20140059517A (ko) 2014-05-16
KR101479034B1 true KR101479034B1 (ko) 2015-01-05

Family

ID=50889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26061A KR101479034B1 (ko) 2012-11-08 2012-11-08 농업용 베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103A (ko) * 2021-09-15 2023-03-22 하현제 이동식 퇴비 투입 및 랩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67B1 (ko) 2017-05-01 2018-06-20 농업회사법인 금광(주) 수평 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업용 베일러
KR102096849B1 (ko) 2019-09-16 2020-04-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베일 압력 측정장치
CN113366977B (zh) * 2021-06-02 2023-04-11 山东永丰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轻型草秆成束收环机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5615A (ja) * 1992-09-25 1994-04-19 Takakita Co Ltd ロールベーラ
JP2001197827A (ja) 2000-01-18 2001-07-24 Takakita Co Ltd ロールベーラにおけるチャンバー開閉装置
JP2003061454A (ja) * 2001-08-30 2003-03-04 Seirei Ind Co Ltd ロールベーラ装置
JP2007135502A (ja) 2005-11-21 2007-06-07 Star Farm Machinery Mfg Co Ltd ロールベー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5615A (ja) * 1992-09-25 1994-04-19 Takakita Co Ltd ロールベーラ
JP2001197827A (ja) 2000-01-18 2001-07-24 Takakita Co Ltd ロールベーラにおけるチャンバー開閉装置
JP2003061454A (ja) * 2001-08-30 2003-03-04 Seirei Ind Co Ltd ロールベーラ装置
JP2007135502A (ja) 2005-11-21 2007-06-07 Star Farm Machinery Mfg Co Ltd ロールベー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103A (ko) * 2021-09-15 2023-03-22 하현제 이동식 퇴비 투입 및 랩핑장치
KR102632121B1 (ko) 2021-09-15 2024-02-01 하현제 이동식 퇴비 투입 및 랩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517A (ko)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1511B2 (en) Bale form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EP2664230B1 (en) Continuous round baler
US10028445B2 (en) Continuous bale forming apparatus with a reciprocating bale pushing device
KR101479034B1 (ko) 농업용 베일러
EP2959767B1 (en) Removable and mobile net wrap system
US20180303037A1 (en) Agricultural Baler
US20150373916A1 (en) Continuous harvester and mobile wrapping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277971B2 (en) Agricultural baler including a bale chamber with a low traction rotary compression element
EP2464209A1 (en) A baler with an improved stripper roll
US100580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bale forming
US10588264B2 (en) Stripper device for a baler
CN103907447B (zh) 压捆机
JP4001193B2 (ja) ロールベーラ
US7162950B2 (en) Twine box for round balers
CN211353125U (zh) 一种自走式谷物收获秸秆打捆一体机
WO2014115159A1 (en) A fixed chamber round baler
NZ727357B2 (en) Agricultural ba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