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552B1 -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 - Google Patents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552B1
KR101476552B1 KR1020130102463A KR20130102463A KR101476552B1 KR 101476552 B1 KR101476552 B1 KR 101476552B1 KR 1020130102463 A KR1020130102463 A KR 1020130102463A KR 20130102463 A KR20130102463 A KR 20130102463A KR 101476552 B1 KR101476552 B1 KR 101476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rotary shaft
fan
double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2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장석형
Original Assignee
이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호 filed Critical 이성호
Priority to KR1020130102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F03D9/43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using infrastructure primarily used for other purposes, e.g. masts for overhead railway power lines
    • F03D9/46Tunnels or str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5/00Transmission of mechanical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70Bear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05B2260/403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건설되여 있는 고속화도로와 앞으로 건설되는 고속화도로와 바람이 많은 산악지대도로와 해안가도로의, 중앙 분리대와 도로 양측변, 터널 양측벽쪽과 교량의 양난간쪽에 도로 라인에 따라 직선으로 밀집식으로 설치하여,
차량의 고속주행으로 발생하는 풍력과 자연풍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로서,
좌,우 양측에 직립형의 더블휀을 구성하고, 그 사이의 중앙 하부에 소형 발전기를 구성하여서, 더블휀의 증가된 회전력으로 하나의 소형 발전기를 작동시켜서 생산되는 전력을, 지역과 구역 단위로 집전시켜서, 중,대형화시킨 전력을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Description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omitted}
본 발명은 풍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소형 풍력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도로와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차량의 고속주행으로 발생하는 풍력과 자연풍을 이용하여 발전할 수 있도록, 직립형의 두개의 휀과 하나의 소형 발전기로 구성하여 발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발전기에 관한 것입니다.
지금 현재의 발전은 크게로는 화력 발전, 수력 발전, 원자력 발전으로 주생산되고, 뒤이어 풍력 발전과 소규모의 태양광 발전으로 이루어저 있습니다.
여기에서 현재의 풍력 발전시설은 바람이 많은 고산지대의 일부 산악지역과 바람이 많은 일부 해안 바닷가 등의 국한된 일부 지역과, 시설부지 확보에 환경문제와 지역주민과의 문제 등과 큰 규모의 시설로 인한 막대한 자본의 필요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발전시설 설치를 위한, 큰 바람이 많은 고산지대의 산악지역과 일부 해안 바닷가 등의 지역선정과 부지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지역주민과의 관계 등과 환경문제 등으로 발전시설 설치지역과 부지확보에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초대형의 발전시설의 생산설비와 설치 등에 막대한 자본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발전시설 설치지역과 부지확보 문제의 쉬운 해결수단으로서,
기존에 건설되여 있는 전국의 고속화 도로와 앞으로 건설되는 고속화 도로와 바람이 많은 산악도로, 해변가도로의 중앙 분리대와 도로 양측변과 교량의 양난간쪽과 터널의 양벽쪽에 전 도로의 라인에 따라 일직선으로 밀집 설치하여 작은 바람에 의해서도 발전할 수 있도록 한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발전기로서,
이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발전기는 차량주행에 지장이 없도록 한, 직립형 휀 구성 두개를 좌,우 양측에 구성하여 그 중앙 하부에 하나의 소형 발전기를 결속 장치하여서, 하나의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로 구성하여,
차량의 고속주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바람(풍력)과 자연풍에 의해 직립형의 두개로 구성된 더블휀이 동시에 같이 회전 작동하여서 작은 바람에서도 증가된 회전력으로 하나의 소형 발전기를 작동시켜서 보다 높은 증가된 발전을 할 수 있도록 하여서,
적은 발전기기 생산과 설치비용으로 점진적으로 전 도로라인에 설치한,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지역과 구역단위로 집전시켜 중,대형화 시키거나, 도로라인에 소요되는 전력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본 발명은, 전국의 기존 고속화도로와 앞으로 건설되는 고속화도로와, 바람이 많은 산악지역도로와 해안가도로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설치지역과 부지확보의 어려움과 막대한 비용이 들지 않고, 환경 등의 문제점과 지역주민과의 문제와 비용의 문제점이 없으며,
이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의 제작이 용이하여, 저비용으로 생산과 설비가 용이해 생산과 설치비용이 적게 들어서,
전국의 고속화도로에 점진적으로 확대설치가 용이해서 막대한 제작 설치비용의 문제점이 없으므로, 현재 심각히 대두한 전력 부족난 문제에 환경, 공해 등의 문제점이 없이 저비용으로 장기적으로 용이하게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대단히 고도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인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의 좌측부 분해 사시도와 우측부 조립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인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의 밀집식 연결 설치예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인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의 고속도로 중앙분리대에 설치예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인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의 좌,우 회전축 기어와 발전기 기어의 작동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상부캡 결속부
2. 풀림 방지핀
3. 핀홈
4. 상부캡
5. 핀결속구
6. 회전축
7. 휀
8. 고정클립
9. 회전축 상부 베어링
10. 회전 가속판
11. 회전축 기어
12. 회전축 하부 베어링
13. 내부 고정부
14. 결속볼트
15. 소형 발전기
16. 발전기 기어
17. 발전기축
18. 발전기축 베어링
19. 지지몸체
20. 집전시설과 부합기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도 1에서와 같이 상부캡 결속부(1)의 상부에 풀림방지핀(2)이 결속되는 핀홈(3)을 구성하고서, 회전축(6) 몸체에, 차량의 주행에 지장이 없도록 직립형으로 구성된 휀(7)의 상부에, 낙엽, 비닐과 같은 이물질이 걸리지 않도록 덮게식으로 구성된 상부캡(4)을 결속하고, 이를 회전축(6)의 상단부에 핀결속구(5)가 구성된 나사형 결속부에, 상부캡 결속부(1)와 풀림방지핀(2)으로 결속 고정시키고,
풍력을 회전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직립형의 휀(7)이 결착된 회전축(6)의 하부를, 지지몸체(19)의 상단 내부에, 고정클립(8)과 회전축 상부베어링(9)으로 고정 결속시켜 주고, 회전축 상부베어링(9) 하부의 회전축(6)에, 풍력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을 유지,지속에 도움이 되기 위한,
휀(7)의 크기와 발전기(15)의 용량에 따라 무게를 증감시켜서, 회전력을 유지,지속시키는 원리를 이용한,(원동기, 경운기 엔진에서와 같은 크랭크축 몸체 외부에 구성된 휠과 같은 원리임) 회전가속판(10)과 회전축 기어(11)를 고정 결속시키고, 회전축(6)의 하단부가 고정 결속되여 회전 작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6) 하단부에 회전축 하부베어링(12)을 결속시켜서, 내부고정부(13)로 결합하여 지지몸체(19) 바닥부에 결속볼트(14)로 결착되도록 구성하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좌,우 양측에 더블휀식으로 구성하고, 이 더블휀식 구성의 중앙 하부에 설치하는 소형 발전기(15)의 하부에, 발전기 기어(16)와 발전기축(17)을 구성하여, 발전기축(17)의 하단부에 발전기축 베어링(18)을 결속시켜서, 내부고정부(13)로 지지몸체(19) 바닥부에 고정시키고,
발전기 기어(16)를 좌,우 양측의 회전축 기어(11)에 접속시켜서, 좌,우 양측의 더블휀에 의하여 발생한 회전력이, 발전기를 회전 작동시켜서, 발전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인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의 작용과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고속도로와 자동차 전용도로 등의, 중앙 분리대와 도로 양측변 그리고 터널 양측벽쪽과 교량의 양측 난간쪽에, 본 발명의 기술인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를 도로 라인에 따라 밀집식으로 설치하게 되면은,
자동차의 고속주행으로 발생하는 풍력과 자연풍에 의해, 도 3에서와 같이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의 회전축(6)에 결착된 휀(7)이 바람(풍력)을 받아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휀(7)은 직립식 반원형으로 구성되여 있는데, 직립식은 휀(7)이 차량주행 등에 어떠한 장애나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고, 반원형으로의 구성은 바람을 받는 반원형의 오목한 안쪽은 바람을 더 많이 안아 받아서 회전력을 높이게 하기 위함이며,
뒤쪽(뒷면)은 불룩한 반원형의 구형으로의 구성으로 인해서, 뒤쪽의 공기저항을 감소시켜서 휀(7)의 회전력을 순조롭게 증가시키게 합니다.
이렇게 좌,우 양측의 더블휀(7)의 회전 작동에 의해 휀(7)이 결착되여 있는 회전축(6)이 회전 작동하게 되며,
이 회전축(6)의 하부에는 적정히 무게를 증가한 회전 가속판(10)이 결속되여 있는데, 이는 회전축(6)의 회전력을 가속 증가 유지시키기 위함인데,
이는 고속도로 등에서는 소형, 중형, 대형 등의 차량들이 섞여서 주행하고 있는데, 대형차의 주행에서는 강한 큰 바람이 일어나고, 소형차에서는 작은 바람이 발생하게 됩니다.(자연풍에서도 큰 바람이 불때와 작은 바람이 불때가 있듯이)
대형차의 고속주행에 의한 강한 바람과 자연풍에서의 강한 바람이 일어날 때에는,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의 휀(7)은 강한 바람을 받아서 강하고 힘차고 빠르게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 회전축(6)이 강하고 빠르게 회전하게 됩니다.
이때 회전축(6)의 회전 가속판(10)은 적정한 무게를 가지고 있어서, 대형차에서 발생한 강한 바람과 자연풍에서의 강한 바람을 받아서 발생한 강한(빠른) 회전력을 회전 가속판(10)이 전달받아서, 강하고 빠른 회전력을 얻은 회전 가속판(10)은 자체의 무게(중량)에 의해서 회전력의 가속과 지속력을 가지게 됩니다.
이에 의해서 대형차의 뒤에 따르는 중,소형차의 작은 바람과 자연풍의 작은 바람에서도 회전력을 유지시키게 됩니다.
이렇게 발생한 증가된 회전력은 회전축 기어(11)에 의해서 좌,우 양측의 회전축(6) 사이의 중앙 하부에 결착되여 있는 소형 발전기(15)의 발전기 기어(16)에 전달되게 되는데,
이 소형 발전기(15)의 발전기 기어(16)는 도 4에서와 같이 좌,우 양측에 있는 회전축 기어(11)의 가운데 결속되여, 좌,우 양측의 회전축 기어(11)의 회전 작동과 발전기 기어(16)의 회전 작동 방향이 일치되도록 구성되여서,
좌,우 양측의 더블휀에서 발생한 두개의 회전력이 보다 증강된 회전력으로 하나의 소형 발전기(15)를 보다 빠르게 회전 작동시켜서 보다 증강된 발전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본 발명인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는, 기존의 발전시설과 같이 설치지역과 부지확보의 어려움과 많은 자본이 필요치 않으며, 지역주민과의 관계와 환경, 공해 등의 불합리한 문제점이 없으며, 전력생산을 위한 추가 자원이 필요없이,
전국의 기존 또는 신설하는 고속화 도로와 바람이 많은 산악지역도로와 해안도로의, 중앙 분리대와 양쪽의 도로변, 터널내의 양측변과 교량의 양쪽 난간에 무리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쉽고 용이한 제작과 적은 설치비용으로,
현재와 앞으로 심각히 대두하는 전력난 문제에 친환경, 무공해, 저비용으로 장기적 무한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아주 고도하고 유익한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Claims (1)

  1. 상부캡 결속부(1)의 상부에 풀림방지핀(2)이 결속되는 핀홈(3)을 구성하고서, 차량 주행에 지장이 없도록 직립형으로 구성된 휀(7)의 상부에, 덮게식으로 구성된 상부캡(4)을 결속하고,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회전축(6)의 상단부에 핀결속구(5)가 구성된 나사형 결속부에, 상부캡 결속부(1)와 풀림방지핀(2)으로 결속 고정시키고,
    풍력을 회전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직립형 휀(7)이 결착된 회전축(6)의 하부를, 지지몸체(19)의 상단 내부에, 고정클립(8)과 회전축 상부베어링(9)으로 결속시켜주고,
    회전축 상부베어링(9) 하부의 회전축(6)에, 회전가속판(10)과 회전축 기어(11)를 결속 고정시키고, 회전축(6)의 하단부가 고정 결속되여 회전 작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6) 하단부에 회전축 하부베어링(12)을 결속시켜서, 내부고정부(13)로 결합하여, 지지몸체(19) 바닥부에 결속볼트(14)로 결착되도록 구성하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좌,우 양측에 더블휀식으로 구성하고, 이 더블휀식 구성의 중앙, 하부에 장착하는 소형 발전기(15)의 하부에, 발전기 기어(16)와 발전기축(17)을 구성하여서, 발전기축(17) 하단부에 발전기축 베어링(18)을 결속시켜서, 내부고정부(13)로 지지몸체(19) 바닥부에 고정시키고,
    발전기 기어(16)를, 좌,우 양측에 구성되 있는 회전축 기어(11)에 결속시켜서, 좌,우 양측의 더블휀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으로 발전기를 회전 작동시켜서, 발전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고속도로와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차량의 고속주행으로 발생하는 풍력과 자연풍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
KR1020130102463A 2013-08-27 2013-08-27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 KR101476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463A KR101476552B1 (ko) 2013-08-27 2013-08-27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463A KR101476552B1 (ko) 2013-08-27 2013-08-27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552B1 true KR101476552B1 (ko) 2014-12-24

Family

ID=5267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463A KR101476552B1 (ko) 2013-08-27 2013-08-27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5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452B1 (ko) * 2019-06-19 2020-09-11 이성호 바람의 강약에 따라, 1대에서 3대의 발전기를 작동시킬수 있는, 자동 크러치 시스템을 구성한 직립형 3휀식 풍력발전기
KR102322127B1 (ko) 2021-04-12 2021-11-04 김태훈 조립식 큐브형 풍력발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483Y1 (ko) * 2001-11-28 2002-02-19 권태규 풍력 발전기
KR20110077808A (ko) * 2009-12-30 2011-07-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외부하우징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KR20120021992A (ko) * 2010-08-24 2012-03-09 박광현 다수의 진직 수직축 날개들을 사용하는 휴대용 수직축 풍력발전기
JP2012233458A (ja) * 2011-05-09 2012-11-29 Yoshio Hirata 風力発電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483Y1 (ko) * 2001-11-28 2002-02-19 권태규 풍력 발전기
KR20110077808A (ko) * 2009-12-30 2011-07-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외부하우징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KR20120021992A (ko) * 2010-08-24 2012-03-09 박광현 다수의 진직 수직축 날개들을 사용하는 휴대용 수직축 풍력발전기
JP2012233458A (ja) * 2011-05-09 2012-11-29 Yoshio Hirata 風力発電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452B1 (ko) * 2019-06-19 2020-09-11 이성호 바람의 강약에 따라, 1대에서 3대의 발전기를 작동시킬수 있는, 자동 크러치 시스템을 구성한 직립형 3휀식 풍력발전기
KR102322127B1 (ko) 2021-04-12 2021-11-04 김태훈 조립식 큐브형 풍력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4990B2 (en) Pole mounted rotation platform and wind power generator
US94044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wind power generation
US20120070293A1 (en) Wind turbine apparatus, wind turbine sys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3291527A (zh) 垂直轴水力发电装置
CN202510290U (zh) 风车风力发电机
KR101476552B1 (ko) 밀집형 더블휀식 소형 풍력 발전기
CN101603509B (zh) 加强型风力发电机
WO2015069079A1 (ko) 풍력 포집 발전장치
KR101132664B1 (ko) 차량풍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KR101031548B1 (ko) 고속도로용 풍력발전기
CN202132178U (zh) 垂直式多层级风轮的风力发电机
KR101148306B1 (ko) 가속수단이 구비된 풍력발전장치
KR102287550B1 (ko) 다목적 사보니우스 풍력발전장치
EP3643913A1 (en) Sail device
BRPI1107459A2 (pt) dispositivo de deflexço de vento multi-direcional verticalmente acionado pelo vento
CN201443468U (zh) 加强型风力发电机
CN106567804B (zh) 风叶轮辐式风轮发电装置叶片固定方法、装置及发电装置
KR101387351B1 (ko) 수직축형 풍력 발전 장치
Qazi et al. Power Generation Through VAWT Implementation on Highways & Stabilization the Output Voltage by Controlled Buck-Boost Converter
Sathyanarayanan et al. Highway windmill
CN101270729B (zh) H型三叶双层风电机组
CN203297027U (zh) 垂直轴水力发电装置
KR20120061658A (ko) 교번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개의 날개들을 (하나의 중심축에) 갖는 수직축 풍력발전기.
BR202015015126U2 (pt) Applied distribution in wind turbine with aerodynamic flases
Teli et al. Design of Vertical Axis Wind Turbines for Electricity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