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519B1 - Method for inputting korean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putting korea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519B1
KR101475519B1 KR1020070081752A KR20070081752A KR101475519B1 KR 101475519 B1 KR101475519 B1 KR 101475519B1 KR 1020070081752 A KR1020070081752 A KR 1020070081752A KR 20070081752 A KR20070081752 A KR 20070081752A KR 101475519 B1 KR101475519 B1 KR 101475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characters
delete delete
inpu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7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7188A (en
Inventor
신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519B1/en
Publication of KR20090017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1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5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들을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고,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한 경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Count)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운트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과 관련된 문자들이 있는지 판단하여, 관련된 문자들이 있는 경우 음운 체계에 따라 설정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 및 그와 관련된 문자들을 표시한 후,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한글을 입력하게 될 경우 문자 입력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좀 더 간단하게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inputting Hangu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llocates and displays character groups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in character regions generated by dividing an area on a touch screen into two or more regions,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f the areas, the time is counted from the time when the press event occur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unt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are characters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If there are related characters, the press event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isplay method set according to the phoneme system Characters of the generated character area and related characters are displayed, and then one of the displayed characters is inputted from the user. Accordingly, when the user inputs Hangul in this manner, the user has the convenience of selecting a desired character in a shorter time while shortening the character input time.

문자 입력, 한글 입력, 키패드 Character input, Hangul input, keypad

Description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INPUTTING KOREAN}{METHOD FOR INPUTTING KOREAN}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inputting Hangul.

최근 터치 스크린에 대한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들은 별도의 키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대신에 터치 스크린에 키 입력부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상의 간단한 터치 동작을 통하여 원하는 문자들을 입력할 수가 있다. 하지만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글자가 형성되는 한글의 특성상,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서 기존의 방법으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구분해가며 입력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touch screen technology,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mobile phone and a PDA have an interface such as a key input unit on a touch screen instead of having a separate key input device. Accordingly, the user can input desired characters through a simple touch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However,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distinguish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on the touch scree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ngul, in which one letter is formed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종래의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식은 키 입력 횟수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가 달라지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기존의 문자 입력 방식은 하나의 숫자 키에 다수개의 한글 자모가 할당된 키 입력부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 횟수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는 방식이었다. In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in the terminal, the input character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key input times. More specifically, in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keystrokes input by the user is input in a key input unit to which a plurality of Hangul characters are assigned to one numeric key.

그러나 이러한 입력 방식은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단말기에서 사용될 경우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숫자 키를 터치해야 하는 횟수가 불필요하게 증가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문자 입력 방식은 빈번한 터치 동작으로 인하여 문자 입력 시간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문자의 정확한 선택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the input method is used in a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times a number key is touched to input one character is unnecessarily increas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not only delays the character input time due to frequent touch operation but also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lect the character correctly.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단말기에서 종래와 같은 키 입력 방식이 사용될 경우 터치 입력이 빈번해짐에 따라 문자 입력 시간이 지연되고 문자 선택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conventional key input method is used in a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putting time of characters is delayed and the selection of characters is inconvenient.

따라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상의 문자 영역에서 원하는 문자를 좀 더 간단하게 선택하여 빠른 동작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putting Hangul characters to enable a user to select a desired character in a character area on a touch screen more simply and input a character with a quick operation.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들을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Count)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과 관련된 문자들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관련된 문자들이 있는 경우 음운 체계에 따라 설정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 및 상기 관련된 문자들을 표시하여,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문자 입력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 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nputting Hangul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inputting character strings in two or more areas on the touch screen, A step of counting a time from when the press event occurs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character areas and counting a preset threshold time, Determining whether there are characters related to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if the determin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The displays the associated character, the on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displayed characters comprises a character input process of receiving input from a user.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의 배열을 자음 및 모음에 따라 효율적으로 배열하고 입력하는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문자 입력의 편이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efficiently arranging and inputting Hangul characters according to consonants and vowels in a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r's input of character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들을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고,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한 경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Count)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운트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과 관련된 문자들이 있는지 판단하여, 관련된 문자들이 있는 경우 음운 체계에 따라 설정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 및 그와 관련된 문자들을 표시한 후,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한글 을 입력하게 될 경우 문자 입력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좀 더 간단하게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inputting Hangu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llocates and displays character groups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in character regions generated by dividing an area on a touch screen into two or more regions,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f the areas, the time is counted from the time when the press event occur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unt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are characters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If there are related characters, the press event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isplay method set according to the phoneme system Characters of the generated character area and related characters are displayed, and then one of the displayed characters is inputted from the user. Accordingly, when the user inputs Hangul in this manner, the user has the convenience of selecting a desired character in a shorter time while shortening the character input tim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providing a Hangul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한글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는 무선부(100), 메모리(110), 터치 스크린(Touch Screen)(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a terminal for providing a Hangul input function includes a wireless unit 100, a memory 110, a touch screen 120, and a controller 130.

먼저 무선부(100)는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10)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 및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120)의 문자 영역에 표시되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하, '문자'라 칭함)별로 구성된 문자 그룹을 저장한다. 문자 그룹의 개수는 문자 영역의 총 개수에 종속적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문자 그룹의 개수는 문자 영역의 개수와 동일하게 생성되며, 문자 영역의 개수가 많을수록 하나의 문자 그룹을 구성하는 문자의 개수는 적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자 그룹의 개수는 터치 스크린(120)의 화면 크기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개수로 조정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터치 스크린(120)의 3x3의 문자 영역에 자음 또는 모음이 2개 내지 5개로 구성된 문자 그룹들이 표시가 된다. First, the wireless unit 100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The memory 110 includes a ROM (Read Only Memory) and a RAM (Random Access Memory)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grams and data.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character "), which is displayed in the character region of the Korean character string. The number of character groups is dependent on the total number of character regions. Specifically, the number of character groups is generated to be equal to the number of character regions, and the larger the number of character regions, the smaller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one character group. The number of the character groups may be adjusted to the most effective number for receiving characters from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screen size of the touch screen 12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 groups of 2 to 5 consonants or vowels are displayed in the 3x3 character area of the touch screen 120. [

터치 스크린(120)은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을 말한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아 제어 부(130)의 제어에 따라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Icon) 및 문자로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120)은 제어부(130)의 제어하에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는 문자 영역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 해제(Release) 이벤트 및 드래그(Drag) 이벤트를 발생한다. 여기서 프레스 이벤트는 문자 영역이 눌려지는 경우에 발생하며, 해제 이벤트는 문자 영역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발생한다. 그리고 드래그 이벤트는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된 문자 영역들 상에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이 있을 경우에 발생하게 된다.The touch screen 120 is a screen that allows the user to identify a character or a specific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120 when a human hand or an object touches the screen, and to perform specific processing by the stored software. The touch screen 120 receives touch input from a user and displays display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or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terminal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with icons and characters. In particular, the touch screen 12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displays a character area capable of receiving a charact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and outputs a press event, a release event, (Drag) event. Here, a press event occurs when the character area is pressed, and a release event occurs when the character area is released from being pressed. The drag event occurs when there is a user's drag input on the character area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20. [

제어부(13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들을 각각 할당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30)는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Count)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과 비교를 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카운트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과 관련된 문자들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관련된 문자들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음운 체계에 따라 설정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 및 그와 관련된 문자들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다.The control unit 130 performs an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allocates and displays character groups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in the character areas generated by dividing the area on the touch screen 120 into two or more areas.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one of the character areas, the control unit 130 counts time from the time when the press event occurs and compares the tim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unt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re are characters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r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related characters,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and related characters according to the display method set according to the phoneme system, Receive input.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과정을 하기에 제시 되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Hangul input process in th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shown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2 is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a terminal providing a Korean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한글 입력 모드에서 200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된 문자 영역마다 문자 그룹을 할당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202 단계에서 문자 그룹이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이 되면 204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입력 시간을 측정한다. 여기서 터치 입력 시간이란,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카운트된 시간을 의미한다. 이처럼 터치 입력 시간이 측정되면 제어부(130)는 206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입력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이하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2,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00 in the Hangul input mode, and assigns a character group to each character area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20 and displays the character group. In step 202,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ich one of the character areas is displayed in which the character group is displayed. If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a press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04 and measures the touch input time. Here, the touch input time means the time counted from the time when the press event occurred. If the touch input time is measur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06 and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input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Hereinafter, a method for inputting a conson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a)에서와 같이, 각 문자 영역에는 한글의 음운 체계에 따라 자음 또는 모음별로 구성된 문자 그룹들이 각각 할당되어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ㅂ,ㅍ,ㅃ'이 표시된 문자 영역(300)이 선택된 경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ㅂ,ㅍ,ㅃ'이 표시된 문자 영역(300)에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임계 시간과 비교를 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30)는 측정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208 단계로 진행하여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 및 관련 문자들을 확대 표시한다. 즉, 제어부(130)는 도 3(b)와 같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300)의 문자들인 'ㅂ,ㅍ,ㅃ'과 함께 그와 관련된 문자인 'ㅄ'을 확대 표시하는 것이다. 이때 확대 표시되는 문자들은 도 3( a)에 도시된 기존의 문자 영역들에 그 할당된 문자 그룹들을 대신하여 각각 하나씩 할당되어 확대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3 (a), in each character area, character groups composed of consonants or vowels are assign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phonetic system of Hangu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where the character area 300 marked with 'b', 't', and 'ㅃ' among the displayed character areas is selec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n, the controller 130 measures the time at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in the character area 300 indicated by 'B', 'B', and 'B' selected by the user, and compares the time with the threshold time.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08 and enlarges the characters and related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red. That is, as shown in FIG. 3 (b), the control unit 130 enlarges and displays' ㅄ ', which is a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letters',', and ', which ar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300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red. At this time, the enlarged characters are allocated one by one in place of the assigned character groups in the existing character regions shown in FIG. 3 (a), and are enlarged and display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관련 문자들이란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과 관련된 복자음들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ㄴ,ㄹ'이 표시된 문자 영역(320)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이 포함된 복자음인 'ㄶ,ㄵ'과 'ㄹ'이 포함된 복자음인 'ㄾ,ㄽ,ㅀ,ㄻ,ㄼ,ㄿ,ㄺ'이 관련된 문자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ㅇ,ㅁ'과 같이 관련된 문자가 없는 경우에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인 'ㅇ'과 'ㅁ'만을 기존의 문자 영역들에 확대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받게 된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ed characters refer to the lexical sounds related to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character area 320 in which 'b' and 'd'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3C, 'x', ' ㄾ, ㄽ, ㅀ, ㄻ, ㄼ, ㄿ, ㄺ 'can be output as related characters. If there is no related character such as 'o' and 'k', the controller 130 enlarges and displays only 'o' and 'k', which ar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One character will be input.

한편, 확대 표시되는 문자들은 처음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을 중심으로 배열되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도 3(a)에서 최상단 왼쪽으로부터 3번째 문자 영역에 위치한 'ㅂ,ㅍ,ㅃ'이 표시된 문자 영역(300)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그 위치를 기준으로 문자들은 재배열된다. 따라서 도 3(b)에서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시작된 위치인 최상단 왼쪽으로부터 3번째 문자 영역(330)을 기준으로 문자들을 확대 표시한다. 여기서 확대 표시된 문자들 중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330)에 할당된 문자 'ㅂ'은 디폴트 문자로 간주된다. 디폴트 문자는 도 3(a)의 각 문자 영역마다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말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문자 영역별 디폴트 문자인 'ㄱ,ㄷ,ㅂ,ㅅ,ㅈ,ㄴ,ㅇ,ㅡ,ㅣ' 는 다른 문자들과는 달리 특징적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는 디폴트 문자가 한 번의 터치로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프레스 이벤트 후 임계 시간이 지나 문자들이 확대 표시되면 디폴트 문자가 이미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된 문자 영역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드래그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고도 바로 해제 이벤트를 통해 그 디폴트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디폴트 문자의 색을 달리하거나 글자체를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디폴트 문자를 한눈에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s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are arranged around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first press event occurs. For example,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the character area 300 indicated by ',,, and' located in the third character area from the uppermost left in FIG. 3 (a), the characters are rearranged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3 (b), the controller 130 enlarges and displays the characters based on the third character area 330 from the top left where the press event is started. Among the enlarged characters, the character 'F' assigned to the character area 330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is regarded as a default character. The default character refers to any one of the characters displayed for each character area in Fig. 3 (a). As shown in FIG. 3 (a), the default characters 'a, c, f, g, i, b, o, a, and l' for each character area are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from other characters. This is because the default character can be output with a single touch. In other words, if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enlarged after the critical time after the press event, since the default character is already assigned to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is generated, the user can input the default character through the immediate event without generating the drag event It is because. 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provides a convenience of allowing the user to identify the default character at a glance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default character or changing the font.

제어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자들이 확대 표시가 되면,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문자를 선택받기 위하여 210 단계에서 해제 이벤트 또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이 되면, 218 단계로 진행하여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를 출력한다. 도 3(b)에서는 디폴트 문자로 지정된 'ㅂ'이 터치 스크린(120)상의 입력된 문자들이 표시되는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된다. When the characters are enlarg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a cancel event or a drag event occurs in step 210 in order to select one of the characters from the us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ease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18 and outputs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release event occurred. In FIG. 3 (b), 'F' designated as a default character is output to the input editor window where the input characters on the touch screen 120 are displayed.

한편, 제어부(130)는 210 단계에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212 단계로 진행하여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을 체크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214 단계에서 체크된 거리 및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지시한다. 도 3(b)에서 사용자는 'ㅂ'이 표시된 문자 영역(330)을 기준으로 드래그 입력을 통해 확대 표시된 문자들 중 입력을 원하는 문자인 'ㅄ'을 지시할 수가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ㅄ'이 표시된 문자 영역(340)이 지시된 상태에서 키 눌 림을 해제하여 지시된 문자 영역의 문자인 'ㅄ'을 입력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216 단계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여 218 단계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들의 문자를 출력하는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20)의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된 'ㅄ'을 확인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10 that a drag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12 and checks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Then, the controller 130 indicates one of the character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checked in operation 214. Referring to FIG. 3B, the user can designate a character 'ㅄ' as a desired character among the enlarged characters through a drag input based on the character area 330 marked with '.'. Then, the user can release the key depression in the state that the character area 340 marked 'ㅄ' is indicated, and input the character 'ㅄ' of the designated character area. 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a cancel event has occurred in step 216, and outputs a character of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cancel event occurred in step 218. Then, the user can check the 'ㅄ' displayed on the input editor window of the touch screen 120.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들과 함께 그와 관련된 문자들을 확대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문자의 선택을 좀 더 용이하고 폭넓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관련된 문자들 즉, 전술한 실시 예에서의 복자음들은 사용자에 의해 각 복자음을 구성하는 문자들이 개별적으로 선택되어 입력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ㅄ'을 입력하고자 할 때 도 3(a)의 화면에서 'ㅂ'과 'ㅅ'이 표시된 문자 영역을 각각 한 번씩 프레스 이벤트 및 해제 이벤트를 이어서 발생시킴으로써 'ㅄ'을 입력할 수가 있다. 이는 'ㅂ'과 'ㅅ'이 각각 디폴트 문자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번의 프레스 이벤트 및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그 복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임계 시간 이상으로 프레스 이벤트를 발생시켜 하나의 완전한 복자음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고, 직접 개별적으로 복자음을 구성하는 문자들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ime at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exceeds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130 enlarges and displays the characters associated with the press event along with the related characters, thereby making it easier for the user to select the character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making.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d characters, that is, the lexical sound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individually selected and inputted by the characters constituting each lexical sound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desires to input 'ㅄ', the user generates 'ㅄ' and 'ㅅ' by sequentially generating a press event and a release event, respectively, Can be input. Since 'f' and 'g' are set as default characters, the user can input a lexical sound by generating one press event and a release event. Therefore, the user can generate a press event at a time longer than the critical time, select one complete lozards and input them, and have the convenience of individually selecting and inputting characters constituting the lonesome.

이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어부(130)는 206 단계에서 측정된 시간이 임계 시간이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 220 단계로 진행하여 해제 이벤트 또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220 단계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이 된 경우 230 단계로 진행하여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디폴트 문자를 출력한다. 이처럼 디폴트 문자는 터치 입력 시간이 임계 시간이 지나 문자들이 확대 표시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뿐만 아니라, 임계 시간 내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바로 입력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폴트 문자를 다른 문자들에 비해 좀 더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Now, the process of the case where the time when the press event occurs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ti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f the time measured in step 206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20 to determine whether a release event or a drag event occurs.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20 that the cancel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30 and outputs a default character of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cancel event occurred. As described above, the default character can be input not only when the cancel event occurs while the touch input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but also when the cancel event occurs within the threshold time. Therefore, the user has the convenience of being able to input the default character more easily than other characters.

한편, 제어부(130)는 220 단계에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이 된 경우에는 222 단계로 진행하여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을 체크하고, 224 단계에서 체크된 방향에 대응되는 문자를 팝업창에 표시한다. 이를 도 3(a)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a)에서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300)에서 디폴트 문자인 'ㅂ'을 중심으로 각각 오른쪽 및 아래쪽에 'ㅍ'과 'ㅃ'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는 'ㅍ'과 'ㅃ'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드래그 입력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을 체크하여, 체크된 방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인 'ㅍ'과 'ㅃ' 중 어느 하나를 팝업창(310)을 생성하여 확대 표시한다. 이때 팝업창(310)에 출력되는 문자는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에 따라 변경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팝업창(310)에 원하는 문자가 출력되는 경우, 해당 문자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입력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130)는 팝업창에 어느 하나의 문자가 출력된 상태에서 226 단계로 진행하여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이 된 경우 228 단계로 진행하여 팝업창에 표시된 문자를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20 that the drag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22 to check the direction of the drag event, and displays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checked in step 224 on the pop-up window. 3 (a), in the character area 300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 And '?' Are displayed on the right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with the default character ' Is displayed. At this time, the user can input a drag to select either "'" or "ㅃ". 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checks the direction of the drag event and generates a pop-up window 310 and displays the pop-up window 310,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red, according to the checked direction . At this time, the characters output to the pop-up window 31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event. Accordingly, when a desired character is output to the pop-up window 310 according to a drag input, a user can input a desired character by generating a release event in the character area. Therefore, the control unit 130 proceeds to step 226 to determine whether a release event is generated in a state in which any one character is output in the pop-up window.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ncel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28 and outputs the character displayed on the pop-up window to the input editor window.

한편,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자음의 입력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모음의 입력 과정에는 자음을 입력할 때와는 다르게 약간의 차이가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onant input process is mainly described. However,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inputting vowels,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inputting consonant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inputting a vow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a)와 같이 전체 문자 영역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모음들이 표시되어 있는 문자 영역들(400,420)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모음들이 표시되는 방식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4A, the user can generate a press event in any one of the character areas 400 and 420 in which the vowels are displayed. The manner in which the vowels are displayed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면 제어부(130)는 자음의 입력 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임계 시간과 비교를 한다. 제어부(130)는 카운트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도 4(b) 또는 도 4(c)와 같이 모음들을 확대 표시하게 된다. 이때 문자들이 확대 표시되는 방법은 자음의 경우와 차이가 있다. 즉, 자음의 경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과 함께 그와 관련된 문자들이 모두 각 문자 영역들에 확대 표시되지만, 모음의 경우에는 일단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만이 기존의 문자 영역에 재배열되어 확대 표시된다. Then, the control unit 130 counts the time from the time when the press event is generated and compares the time with the threshold time as in the consonant input process. When the count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130 enlarges and displays the vowels as shown in FIG. 4 (b) or FIG. 4 (c). At this time, the method in which characters are enlarged and displayed differs from the case of consonants. That is, in the case of the consonant, all the characters related to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ar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respective character areas. However, in the case of the vowel, only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And is enlarged and displayed.

예를 들어, 'ㅏ,ㅓ,ㅗ,ㅜ,ㅡ'가 할당된 문자 영역(400)에 임계 시간 이상으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폴트 문자인 'ㅡ' 를 중심으로 상하 좌우의 문자 영역에 각각 'ㅗ,ㅜ,ㅓ,ㅏ'가 표시된다. 그리고 'ㅑ,ㅕ,ㅛ,ㅠ,ㅣ'가 할당된 문자 영역(420)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도 4(c)와 같이 디폴트 문자인 'ㅣ'를 중심으로 상하 좌우의 문자 영역마다 각각 'ㅛ,ㅠ,ㅕ,ㅑ'가 표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음을 입력할 때와 마찬가지로 원하는 모음이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해당 모음이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되도록 할 수가 있다.  For example,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the character area 400 allocated with 'a, b, c, t, a' 'over a threshold time, a default character' a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4 (b) 'ㅗ, ㅜ, ㅓ, and' 'are displayed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character areas, respectively.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the character area 420 to which 'ㅑ, ㅕ, ㅛ, ㅠ, ㅣ' is assigned, the character string is divided into upper, lower, left, and right character areas around the default character 'ㅣ' 'ㅛ, ㅠ, ㅕ, ㅑ' is displayed. Then, the user can generate a drag ev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sired vowel is displayed, as in the case of inputting consonants, so that the vowel is output to the input editor window.

한편, 모음의 경우 제어부(130)는 관련된 모음들을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생성된 팝업창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선택을 받는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음을 입력할 때 관련된 모음들이 확대 표시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vowel,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a selection from the user by displaying related vowels in a pop-up window genera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The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which is a drawing showing an enlarged display of related vowels when entering a vow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전술한 도 4(b)에 표시된 문자들과 관련된 모음을 보인 도면이다.제어부(130)는 'ㅏ,ㅓ,ㅗ,ㅜ,ㅡ' 가 각각의 문자 영역에 확대 표시된 상태에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을 체크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가 어느 하나의 문자가 확대 표시된 문자 영역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즉,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체크된 방향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모음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가 'ㅓ'가 표시된 문자 영역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ㅡ'를 중심으로 해당 방향에 있는 문자 'ㅓ'를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하게 된다.5 (a) is a diagram showing a vowel relating to the characters shown in FIG. 4 (b)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a, b, c, t,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are checked. Here, the controller 130 outputs any one of the vowels displayed in the checked direction when the distance of the drag event does not exceed one of the characters in the enlarged character area, that is,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value.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of the drag event does not exceed the character area indicated by 'ㅓ' in the left direction, the control unit 130 outputs the character 'ㅓ'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to the input editor window .

이와는 달리 체크된 거리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팝업창을 생성하여, 체크된 방향에 표시된 모음 및 그 모음과 관련된 모음들을 그 생성된 팝 업창의 문자 영역마다 하나씩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ㅏ'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을 할 때, 그 드래그 입력의 거리가 'ㅏ'의 문자 영역을 초과한다면 제어부(130)는 팝업창(510)을 생성하여 'ㅏ'와 관련된 모음인 'ㅐ'를 그 생성된 팝업창(510)에 출력한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ㅓ'와 관련된 문자인 'ㅔ'(520), 'ㅗ'와 관련된 문자들인 'ㅚ,ㅙ, ㅘ'(530) 및 'ㅜ'와 관련된 문자들인 'ㅞ,ㅝ,ㅟ'(540)가 각각의 방향에 생성된 팝업창에 출력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확대 표시된 모음들 중 가운데 표시된 모음인 'ㅡ'와 관련된 모음 'ㅢ'는 우측 아래쪽 45도 방향에 생성된 팝업창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관련 문자들이 팝업창에 표시가 되면, 사용자는 드래그 입력을 통해 원하는 문자가 표시된 팝업창의 문자 영역을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그 지시된 문자 영역의 모음을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시킬 수가 있다. If the checked distance exceeds the threshold value, the control unit 130 generates a pop-up window and outputs the vowel displayed in the checked direction and vowels related to the vowel, one by one, for each character area of the generated pop-up window.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 drag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a', if the distance of the drag input exceeds the character area of 'a', the control unit 130 generates a pop-up window 510, And outputs the related vowel 'ㅐ' to the generated pop-up window 510.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characters related to 'ㅓ' (520), the characters related to 'ㅗ', 'ㅞ, ㅙ, ㅘ' (530) (540) are outputted in the pop-up window created in each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wel 'ㅢ' associated with the centered vowel 'ㅡ' among the enlarged vowels is displayed in the pop-up window generated in the right lower 45 ° direction. When the related characters are displayed on the pop-up window, the user can designate the character area of the pop-up window through the drag input. Then, the user can output the collection of the designated character area to the input editor window by generating the release event.

한편, 제어부(130)는 팝업창이 생성된 상태에서 임계 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즉, 팝업창에 표시된 문자 영역들에 문자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맨 처음 발생한 드래그 이벤트의 체크된 방향에 표시된 문자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ㅡ'를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발생한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가 'ㅜ'의 문자 영역을 넘어선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팝업창(540)이 생성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카운트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팝업창(540)에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방향에 표시된 'ㅜ'를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drag event does not occur until the pop-up window is generated and exceeds the threshold time, that is, if there is no user dragging input for selecting a character in the character areas displayed on the pop-up window, Prints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checked direction of the first drag event.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of the drag event occurring downward around '-' exceeds the threshold value exceeding the character region of 't', the controller 130 counts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of the pop-up window 540 . If the dragged event does not occur in the pop-up window 540 until the count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130 outputs 't' indi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drag event to the input editor window.

전술한 바와 같은 모음에 대한 관련 문자 표시 과정들은 도 5(b)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5(b)는 도 4(c)에 표시된 문자들과 관련된 모음을 보인 도면이다. 도 5(b)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ㅣ'를 중심으로 'ㅛ,ㅠ,ㅕ,ㅑ'가 확대 표시된 상태에서 전술한 도 5(a)에서와 같이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을 체크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체크된 거리 및 방향에 따라 관련된 문자들을 팝업창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제어부(130)는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ㅑ'와 관련된 문자인 'ㅒ'(560)와 'ㅕ'와 관련된 문자인 'ㅖ'(570)를 각각 생성된 팝업창에 출력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제어부(130)는 도 5(b)의 'ㅛ'와 'ㅠ'와 같이 관련 문자들이 없는 경우에는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에 상관없이 단지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에 따라 'ㅛ' 및 'ㅠ'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한다. The related character display processes for the vowel as described above are also applied to FIG. 5 (b). Fig. 5 (b) is a view showing a vowel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s shown in Fig. 4 (c). 5 (b),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distance of the drag event and the distance of the drag event, as shown in FIG. 5 (a), in a state in which 'ㅛ, ㅠ, ㅕ, Check the direction. The control unit 130 generates a pop-up window and displays related characters according to the checked distance and direc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130 outputs 'ㅒ' (560) related to 'ㅑ' and 'ㅖ' (570) related to 'ㅕ' to the generated pop-up window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 However, if there are no related characters such as 'ㅛ' and 'ㅠ' in FIG. 5 (b), the control unit 130 may select either of 'ㅛ' and 'ㅠ'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drag event regardless of the distance of the drag event Outputs one collection to the input editor window.

이처럼 모음의 경우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모음들과 관련된 복모음 및 단모음들을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에 따라 팝업창을 생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좀 더 간단하고 빠른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ㅏ,ㅓ,ㅗ,ㅜ,ㅡ'와 'ㅑ,ㅕ,ㅛ,ㅠ,ㅣ'를 서로 다른 문자 영역에 할당하여 관련 문자를 선택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문자 영역에 상기한 모음들을 모두 할당함으로써 토글(Toggle)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한 사항이다. 즉,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의 발생 길이 또는 터치 횟수에 따라 'ㅏ,ㅓ,ㅗ,ㅜ,ㅡ'와 'ㅑ,ㅕ,ㅛ,ㅠ,ㅣ'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대응되는 관련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such a case, the control unit 130 generates a pop-up window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drag event by displaying the diphthongs and the short voices associated with the voices of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input characters in a simpler and faster manner This provides the advantage.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related characters are selected by assigning 'a, ㅓ, ㅗ, ㅜ, ㅡ' and 'ㅑ, ㅕ, ㅛ,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m in a toggle manner by allocating all the vowels to one character reg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at is,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any character area of 'a, b, c, t ,,' and 'ㅑ, ㅕ, ㅛ, ㅠ and ㅣ'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ress event or the number of touches, So that the user can input corresponding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string.

한편, 제어부(130)는 모음의 경우 관련 문자의 입력에 있어서, 복자음의 입력과 같이 두 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단모음 및 복모음들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출력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ㅘ'를 입력하고자 할 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들이 확대 표시된 상태에서 'ㅗ'와 'ㅏ'를 각각 드래그 입력을 통해 선택할 수가 있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ㅗ'와 'ㅏ'를 조합하여, 해당 복모음인 'ㅘ'를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하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는 'ㅔ,ㅐ,ㅢ,ㅚ,ㅙ,ㅘ,ㅞ,ㅝ,ㅟ,ㅖ,ㅒ' 등을 입력하고자 할 때, 해당 모음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모음을 각각 입력하여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vowel, the control unit 130 can select and output each character constituting one of a short vowel and a double vowel composed of two vowels, have. For example, when the user desires to input 'ㅘ', the user can select 'ㅗ' and 'a' through dragging, respectively, in a state in which the characters are enlarged as shown in FIG. 5 (a). Then, the control unit 130 combines 'ㅗ' and 'a' selected by the user and outputs 'ㅘ'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echo sound to the input editor window. In this way, when the user desires to input "ㅔ, ㅐ, ㅢ, ㅚ, ㅙ, ㅘ, ㅞ, ㅝ, ㅟ, ㅖ, ㅒ '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i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할 때 팝업창에 표시되는 문자를 보인 도면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haracter displayed on a pop-up window whe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ㅍ'을 입력한 상태에서 모음 'ㅗ'를 입력하기 위해 'ㅗ'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자음 'ㅍ'과 모음 'ㅗ'를 조합시킨 문자인 '포'를 팝업창(600)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팝업창(600)에 '포'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해당 문자인 '포'를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 user inputs 'V', the control unit 130 generates a drag event in a direction in which 'V' is displayed in order to input a vowel 'V' 'Are combined to generate a pop-up window 600 and output it. If the user generates a release event in a state where 'Po' is output in the pop-up window 600, the control unit 130 output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Po' to the input editor window.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을 때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된 문자를 고려하여 팝업창(600)에 출력하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포'가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ㄱ'을 입력받 는 경우, 이미 출력된 '포'와 새로 입력된 'ㄱ'을 조합시켜 해당 문자인 '폭'을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폭'이 출력된 상태에서 모음 'ㅏ'가 입력되는 경우 모음으로 문자를 시작할 수 없으므로, '폭'의 받침인 'ㄱ'을 'ㅏ'와 조합시켜 '포'와 '가'를 각각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문자 입력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That is, when receiving a character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130 outputs the character to the pop-up window 600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s output to the input editor window.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user inputs 'A' from the user while 'Po' is being output to the input editor window, the controller 130 combines the already output 'Po' with the newly input 'A' And outputs the character 'width' to the input editor window. In addition, when the vowel 'a' is inputted in the state that the 'width' is outputted, the control unit 130 can not start the vowel as a vowel. Therefore, the control unit 130 combines 'a' Quot ;, respectively. The user the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put characters more easily through the method described abo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for providing a Hangul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FIG. 2 is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Hangul in a terminal providing a Hangul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FIG. 3 illustrates a process of inputting a conson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FIG. 4 illustrates a process of inputting a vow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음을 입력할 때 관련된 모음들이 확대 표시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FIG. 5 is a view showing a magnified display of related vowels when entering a vow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Claims (3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복수 개의 문자 영역들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되, 상기 복수 개의 문자 영역들 각각에 복수 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단계;Displaying a plurality of character regions on the touch screen,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regions includes a plurality of characters; 상기 복수 개의 문자 영역들 중 선택된 문자 영역에서 임계 시간 이내에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선택된 문자 영역 내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들 중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단계;Outputting, to the touch screen,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of the drag event among a plurality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selected character region when a drag event occurs within a threshold time in the selected character region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regions; 상기 복수 개의 문자 영역들 중 선택된 문자 영역에서 상기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선택된 문자 영역 내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들을 확대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enlarg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selected character area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the selected character area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areas exceeding the threshold time. 제11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복수 개의 문자 영역들 중 선택된 문자 영역에서 상기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선택된 문자 영역 내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는 상기 선택된 문자 영역 외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Wherein at least one character among a plurality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selected character region is displayed outside the selected character region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 selected character region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regions in excess of the threshold time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선택된 문자 영역에서 상기 임계 시간 이내에 상기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선택된 문자 영역 내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들 중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에 대응되는 문자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구비된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되며,When the drag event occurs within the threshold time in the selected text area,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event among a plurality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selected text area is output to an input editor window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 상기 선택된 문자 영역에서 상기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선택된 문자 영역 내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들을 확대 표시되고, 상기 확대 표시된 복수의 문자들 중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문자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구비된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A plurality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selected character area are enlarged and displayed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the selected character area exceeding the threshold time, and a character selected by the touch input among the plurality of enlarged characters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outputting to the input editor window.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선택된 문자 영역 내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들 중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에 대응되는 문자를 팝업 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displaying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of the drag event among a plurality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selected character area in a pop-up window.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복수 개의 문자 영역들 중 선택된 문자 영역에서 상기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선택된 문자 영역 내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색을 달리하거나 글자체를 달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 selected character region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regions in excess of the threshold time, at least one character among a plurality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selected character region is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or different fonts The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복수 개의 문자 영역들은 3×3 레이아웃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사각형 문자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Wherein the plurality of character regions include a plurality of rectangular character regions arranged in a 3x3 layout. 삭제delete 제11항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non-transitory)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omprising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processing device to implement the method of claim 11.
KR1020070081752A 2007-08-14 2007-08-14 Method for inputting korean KR1014755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752A KR101475519B1 (en) 2007-08-14 2007-08-14 Method for inputting kore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752A KR101475519B1 (en) 2007-08-14 2007-08-14 Method for inputting kore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188A KR20090017188A (en) 2009-02-18
KR101475519B1 true KR101475519B1 (en) 2014-12-22

Family

ID=4068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752A KR101475519B1 (en) 2007-08-14 2007-08-14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5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8834A (en) 2009-09-14 2011-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pressure on touch screen of mobile station
JP6230992B2 (en) 2011-06-15 2017-11-15 ヤン チャン ソ User interfa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keyboard layou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365A (en) * 2002-08-16 2004-02-21 강윤기 character input device for touch screen
KR20050040508A (en) * 2003-10-29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365A (en) * 2002-08-16 2004-02-21 강윤기 character input device for touch screen
KR20050040508A (en) * 2003-10-29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188A (en)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670E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14292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haracter delete function
JP6000385B2 (en) Multilingual key input device and method
KR1013910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JP4863211B2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KR100933398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s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14477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composing screen in a touch screen
KR1010856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US20080291171A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20150123857A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inputting text by consecutive slide
KR1020584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alculations in character input mode
JP2010541115A5 (en) Character / number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for communication terminal
KR201100180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screen in poratable terminal
KR20140073245A (en) Method for inputting back surfa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4725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function key
KR101046914B1 (en) Recursive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30007135A (en) Terminal and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thereof
KR201200978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ext in terminal
KR101512133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KR101475519B1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N106201255A (en) A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046660B1 (en) Character input and output device and method
KR101157084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JP2014140236A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KR101399150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