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188A - Method for inputting korean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putting korea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188A
KR20090017188A KR1020070081752A KR20070081752A KR20090017188A KR 20090017188 A KR20090017188 A KR 20090017188A KR 1020070081752 A KR1020070081752 A KR 1020070081752A KR 20070081752 A KR20070081752 A KR 20070081752A KR 20090017188 A KR20090017188 A KR 20090017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displayed
characters
event occurs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7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75519B1 (en
Inventor
신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519B1/en
Publication of KR20090017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1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5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method for inputting Korean is provided to input the desired character in the character area on the touch screen. A controller assigns the character group from the character area displayed on a touch screen in the Korean input mode and displays(200).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is generated among character areas in which the character group is displayed(202). The controller measures the touch input time(204).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input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or not(206). The controller magnifies and marks the character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is generated(208).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deactivation event or the drag event is generated or not(210). The controller checks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212). The controller indicates one character area corresponding to distance and direction(214).

Description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INPUTTING KOREAN}How to input Hangul {METHOD FOR INPUTTING KOREAN}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inputting Korean.

최근 터치 스크린에 대한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들은 별도의 키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대신에 터치 스크린에 키 입력부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상의 간단한 터치 동작을 통하여 원하는 문자들을 입력할 수가 있다. 하지만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글자가 형성되는 한글의 특성상,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서 기존의 방법으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구분해가며 입력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a touch screen,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display an interface such as a key input unit on the touch screen instead of a separate key input device. Therefore, the user can input desired characters through a simple touch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Hangeul, which combines consonants and vowels to form a single character, it is not easy for a user to input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eul by using a conventional method.

종래의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식은 키 입력 횟수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가 달라지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기존의 문자 입력 방식은 하나의 숫자 키에 다수개의 한글 자모가 할당된 키 입력부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 횟수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는 방식이었다.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conventional terminal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vari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key inputs. Specifically,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ny on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key inputs of the user is input at a key input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Korean letters are assigned to one numeric key.

그러나 이러한 입력 방식은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단말기에서 사용될 경우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숫자 키를 터치해야 하는 횟수가 불필요하게 증가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문자 입력 방식은 빈번한 터치 동작으로 인하여 문자 입력 시간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문자의 정확한 선택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such an input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times of touching a numeric key is unnecessarily increased when it is used in a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not only delays the character input time due to frequent touch operations, but also makes it difficult to accurately select a character.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단말기에서 종래와 같은 키 입력 방식이 사용될 경우 터치 입력이 빈번해짐에 따라 문자 입력 시간이 지연되고 문자 선택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conventional key input method is used in a terminal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the character input time is delayed and the character selection is inconvenient as the touch input becomes frequent.

따라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상의 문자 영역에서 원하는 문자를 좀 더 간단하게 선택하여 빠른 동작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putting Hangul to enable a user to input a character in a quick operation by simply selecting a desired character in a character area on a touch screen.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들을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Count)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과 관련된 문자들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관련된 문자들이 있는 경우 음운 체계에 따라 설정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 및 상기 관련된 문자들을 표시하여,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문자 입력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 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inputting two or more characters to text areas generated by dividing an area on the touch screen into two or more areas; Assigning and displaying character groups each including characters; and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character regions, counting a time from a time point at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to preset a threshold time. Determining whether or not exceed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are characters related to characters in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exceeded; and, when there are related characters, a display set according to a phonological system. Characters in the text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red according to the method The displays the associated character, the on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displayed characters comprises a character input process of receiving input from a user.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의 배열을 자음 및 모음에 따라 효율적으로 배열하고 입력하는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문자 입력의 편이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character input by presenting a method for efficiently arranging and inputting the arrangement of Hangul characters according to consonants and vowels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들을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고,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한 경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Count)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운트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과 관련된 문자들이 있는지 판단하여, 관련된 문자들이 있는 경우 음운 체계에 따라 설정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 및 그와 관련된 문자들을 표시한 후,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한글 을 입력하게 될 경우 문자 입력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좀 더 간단하게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putting Hangul.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ssigns and displays character groups each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in character regions generated by dividing an area on the touch screen into two or more regions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f the areas, the time is counted from the time at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When the counted time is determined to exceed the threshold time,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re are characters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s in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red, and if there are related characters, the press ev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play method set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system. After displaying the characters of the generated character area and the related characters, one of the displayed characters is input from the user. Therefore, when the user inputs Hangul in this manner, the user has the convenience of selecting a desired character more simply while reducing the character input tim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providing a Hangul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을 참조하면, 한글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는 무선부(100), 메모리(110), 터치 스크린(Touch Screen)(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a terminal providing a Hangul input function includes a wireless unit 100, a memory 110, a touch screen 120, and a controller 130.

먼저 무선부(100)는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10)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 및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120)의 문자 영역에 표시되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하, '문자'라 칭함)별로 구성된 문자 그룹을 저장한다. 문자 그룹의 개수는 문자 영역의 총 개수에 종속적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문자 그룹의 개수는 문자 영역의 개수와 동일하게 생성되며, 문자 영역의 개수가 많을수록 하나의 문자 그룹을 구성하는 문자의 개수는 적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자 그룹의 개수는 터치 스크린(120)의 화면 크기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개수로 조정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터치 스크린(120)의 3x3의 문자 영역에 자음 또는 모음이 2개 내지 5개로 구성된 문자 그룹들이 표시가 된다. First, the wireless unit 100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The memory 110 includes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grams and data, and in particular, the touch screen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racter group composed of consonants and vowe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haracters') of Korean characters displayed in the character area of the character is stored. The number of character groups depends on the total number of character areas. Specifically, the number of character groups is generated equal to the number of character areas, and as the number of character areas increases,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one character group decreases. The number of character groups may be adjusted to the most efficient number for receiving characters from a user in correspondence to the screen size of the touch screen 120.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 groups consisting of two to five consonants or vowels are displayed on a 3 × 3 character area of the touch screen 120.

터치 스크린(120)은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을 말한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아 제어 부(130)의 제어에 따라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Icon) 및 문자로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120)은 제어부(130)의 제어하에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는 문자 영역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 해제(Release) 이벤트 및 드래그(Drag) 이벤트를 발생한다. 여기서 프레스 이벤트는 문자 영역이 눌려지는 경우에 발생하며, 해제 이벤트는 문자 영역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발생한다. 그리고 드래그 이벤트는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된 문자 영역들 상에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이 있을 경우에 발생하게 된다.The touch screen 120 refers to a screen that detects the location of a person's hand or an object when it touches a character or a specific loc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and performs specific processing by the stored software. The touch screen 120 receives the touch input from the user and displays the display data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or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s icons and text. In particular, the touch screen 12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displays a text area capable of receiving tex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and according to a user's input, press event, release event, and dragging. Raises the (Drag) event. Here, the press event occurs when the text area is pressed, and the release event occurs when the text area is pressed. The drag event is generated when there is a drag input of the user on the text area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20.

제어부(13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들을 각각 할당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30)는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Count)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과 비교를 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카운트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과 관련된 문자들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관련된 문자들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음운 체계에 따라 설정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 및 그와 관련된 문자들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다.The controller 130 performs an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assigns and displays character groups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to the character regions generated by dividing the area on the touch screen 120 into two or more.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text areas, the controller 130 counts a time from the time at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and compares the time with a preset threshold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unt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re are characters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r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related characters,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and the related characters according to the display method set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system, and displays any one of the characters displayed by the user. Receive input.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과정을 하기에 제시 되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Hangul input process in th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presented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2 is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Hangul in a terminal providing a Hangul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한글 입력 모드에서 200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된 문자 영역마다 문자 그룹을 할당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202 단계에서 문자 그룹이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이 되면 204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입력 시간을 측정한다. 여기서 터치 입력 시간이란,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카운트된 시간을 의미한다. 이처럼 터치 입력 시간이 측정되면 제어부(130)는 206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입력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이하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00 in the Korean input mode and allocates and displays a character group for each character area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20. In operation 202,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a press event occurs in one of the character areas in which the character group is display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04 to measure the touch input time. Here, the touch input time means a time counted from the time when a press event occurs. As such, when the touch input time is measur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06 to determine whether the touch input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which shows a process of inputting a consona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도 3(a)에서와 같이, 각 문자 영역에는 한글의 음운 체계에 따라 자음 또는 모음별로 구성된 문자 그룹들이 각각 할당되어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ㅂ,ㅍ,ㅃ'이 표시된 문자 영역(300)이 선택된 경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ㅂ,ㅍ,ㅃ'이 표시된 문자 영역(300)에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임계 시간과 비교를 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30)는 측정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208 단계로 진행하여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 및 관련 문자들을 확대 표시한다. 즉, 제어부(130)는 도 3(b)와 같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300)의 문자들인 'ㅂ,ㅍ,ㅃ'과 함께 그와 관련된 문자인 'ㅄ'을 확대 표시하는 것이다. 이때 확대 표시되는 문자들은 도 3( a)에 도시된 기존의 문자 영역들에 그 할당된 문자 그룹들을 대신하여 각각 하나씩 할당되어 확대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3 (a), each character area is assigned and displayed with a group of characters composed of consonants or vowels according to a phonological system of Hangu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character area 300 in which 'ㅂ, ㅃ, ㅃ' is displayed among the displayed character areas is selec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n, the controller 130 measures the time at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in the text area 300 in which the user selects 'ㅂ, 선택한, ㅃ' is displayed, and compares it with the threshold time. In this ca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08 to enlarge and display the characters and related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That is, the controller 130 enlarges and displays the letters 'ㅄ', which are related to the letters ',' and ',' in the character area 300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as shown in FIG. 3 (b). At this time, the enlarged characters are assigned to each of the existing character regions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관련 문자들이란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과 관련된 복자음들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ㄴ,ㄹ'이 표시된 문자 영역(320)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이 포함된 복자음인 'ㄶ,ㄵ'과 'ㄹ'이 포함된 복자음인 'ㄾ,ㄽ,ㅀ,ㄻ,ㄼ,ㄿ,ㄺ'이 관련된 문자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ㅇ,ㅁ'과 같이 관련된 문자가 없는 경우에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인 'ㅇ'과 'ㅁ'만을 기존의 문자 영역들에 확대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받게 된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ed characters refer to the consonants related to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character area 320 in which 'b, ㄹ'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3 (c), 'ㄶ, ㄵ' and 'ㄹ' are the consonants including 'b'. The included consonants 'ㄾ, ㄽ, ㅀ, ㄻ, ㄼ, ㄿ, ㄺ' may be output as related characters. And, if there is no related character such as 'ㅇ, ㅁ', the controller 130 enlarges and displays only the characters 'ㅇ' and 'ㅁ' in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red in the existing character areas. You will receive one character.

한편, 확대 표시되는 문자들은 처음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을 중심으로 배열되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도 3(a)에서 최상단 왼쪽으로부터 3번째 문자 영역에 위치한 'ㅂ,ㅍ,ㅃ'이 표시된 문자 영역(300)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그 위치를 기준으로 문자들은 재배열된다. 따라서 도 3(b)에서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시작된 위치인 최상단 왼쪽으로부터 3번째 문자 영역(330)을 기준으로 문자들을 확대 표시한다. 여기서 확대 표시된 문자들 중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330)에 할당된 문자 'ㅂ'은 디폴트 문자로 간주된다. 디폴트 문자는 도 3(a)의 각 문자 영역마다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말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문자 영역별 디폴트 문자인 'ㄱ,ㄷ,ㅂ,ㅅ,ㅈ,ㄴ,ㅇ,ㅡ,ㅣ' 는 다른 문자들과는 달리 특징적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는 디폴트 문자가 한 번의 터치로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프레스 이벤트 후 임계 시간이 지나 문자들이 확대 표시되면 디폴트 문자가 이미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된 문자 영역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드래그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고도 바로 해제 이벤트를 통해 그 디폴트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디폴트 문자의 색을 달리하거나 글자체를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디폴트 문자를 한눈에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enlarged display of the characters are arranged around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first press event occurred. For example,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the character area 300 in which 'ㅂ, ㅃ, ㅃ' is located in the third character area from the top left in FIG. 3 (a), the characters are rearranged based on the position. Accordingly, in FIG. 3B, the controller 130 enlarges and displays the characters based on the third character region 330 from the upper left of the position where the press event is started. Herein, among the characters displayed enlarged, the letter '(' assigned to the letter area 330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is regarded as the default letter. The default character refers to any one of the characters displayed for each character area of FIG. 3 (a). As shown in FIG. 3 (a), the default characters 'a, c, ㅂ, ㅅ, ㄴ, ㅇ, ㅡ, ㅣ' for each character area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 default character can be output with one touch. In other words, if the characters are enlarged after the threshold time after the press event, the default text is already assigned to the text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red, so the user can enter the default text directly through the release event without generating a drag event. Because there is. Therefore, the controller 130 provides a convenience for the user to identify the default character at a glance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default character or by changing the font.

제어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자들이 확대 표시가 되면,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문자를 선택받기 위하여 210 단계에서 해제 이벤트 또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이 되면, 218 단계로 진행하여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를 출력한다. 도 3(b)에서는 디폴트 문자로 지정된 'ㅂ'이 터치 스크린(120)상의 입력된 문자들이 표시되는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된다. When the characters are enlarg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a release event or a drag event occurs in step 210 in order to receive a selection of any character from the us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ease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18 and outputs a character of the text area in which the release event has occurred. In FIG. 3B, 'ㅂ' designated as a default character is output to an input editor window in which input characters on the touch screen 120 are displayed.

한편, 제어부(130)는 210 단계에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212 단계로 진행하여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을 체크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214 단계에서 체크된 거리 및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지시한다. 도 3(b)에서 사용자는 'ㅂ'이 표시된 문자 영역(330)을 기준으로 드래그 입력을 통해 확대 표시된 문자들 중 입력을 원하는 문자인 'ㅄ'을 지시할 수가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ㅄ'이 표시된 문자 영역(340)이 지시된 상태에서 키 눌 림을 해제하여 지시된 문자 영역의 문자인 'ㅄ'을 입력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216 단계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여 218 단계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들의 문자를 출력하는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20)의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된 'ㅄ'을 확인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10 that the drag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12 and checks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The controller 130 indicates one character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checked in step 214. In FIG. 3B, the user may indicate 'ㅄ', which is a character desired to be input, among the characters displayed enlarged through a drag input based on the character area 330 in which 'ㅂ' is displayed. Then, the user may release a key press while the character area 340 in which 'ㅄ' is displayed indicates to input 'ㅄ' which is a character of the indicated character area. 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release event occurs in step 216 and outputs the characters of the text areas in which the release event occurs in step 218. Then, the user may check 'ㅄ' output in the input editor window of the touch screen 120.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들과 함께 그와 관련된 문자들을 확대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문자의 선택을 좀 더 용이하고 폭넓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관련된 문자들 즉, 전술한 실시 예에서의 복자음들은 사용자에 의해 각 복자음을 구성하는 문자들이 개별적으로 선택되어 입력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ㅄ'을 입력하고자 할 때 도 3(a)의 화면에서 'ㅂ'과 'ㅅ'이 표시된 문자 영역을 각각 한 번씩 프레스 이벤트 및 해제 이벤트를 이어서 발생시킴으로써 'ㅄ'을 입력할 수가 있다. 이는 'ㅂ'과 'ㅅ'이 각각 디폴트 문자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번의 프레스 이벤트 및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그 복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임계 시간 이상으로 프레스 이벤트를 발생시켜 하나의 완전한 복자음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고, 직접 개별적으로 복자음을 구성하는 문자들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ime at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exceeds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130 enlarges and displays the characters related to the press event together with the related characters to make the selection of characters easier and more wider for the user. Provides convenience for doing so.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ed characters, that is, the consonant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input by selecting the characters constituting each consonant individually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wants to input 'ㅄ', the user generates 'ㅄ' by successively generating a press event and a release event once for each of the character areas marked with 'ㅂ' and 'ㅅ' on the screen of FIG. 3 (a). You can enter it. Since 'ㅂ' and 'ㅅ' are set as default characters, respectively, the user can input the lucky consonant by generating a single press event and a release event. Therefore, the user can generate and press a complete event by generating a press event more than a threshold time, and has the convenience of directly selecting and inputting characters constituting the compound.

이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어부(130)는 206 단계에서 측정된 시간이 임계 시간이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 220 단계로 진행하여 해제 이벤트 또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220 단계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이 된 경우 230 단계로 진행하여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디폴트 문자를 출력한다. 이처럼 디폴트 문자는 터치 입력 시간이 임계 시간이 지나 문자들이 확대 표시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뿐만 아니라, 임계 시간 내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바로 입력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폴트 문자를 다른 문자들에 비해 좀 더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Now, the process when the press event occurs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ti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f the time measured in step 206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20 and determines whether a release event or a drag event occurs.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20 that the release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30 and outputs a default character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release event has occurred. As such, the default character may be directly input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within the threshold time as well as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when the characters are enlarged and displayed after the touch input time passes. Therefore, the user has the convenience of inputting the default character more easily than other characters.

한편, 제어부(130)는 220 단계에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이 된 경우에는 222 단계로 진행하여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을 체크하고, 224 단계에서 체크된 방향에 대응되는 문자를 팝업창에 표시한다. 이를 도 3(a)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a)에서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300)에서 디폴트 문자인 'ㅂ'을 중심으로 각각 오른쪽 및 아래쪽에 'ㅍ'과 'ㅃ'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는 'ㅍ'과 'ㅃ'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드래그 입력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을 체크하여, 체크된 방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인 'ㅍ'과 'ㅃ' 중 어느 하나를 팝업창(310)을 생성하여 확대 표시한다. 이때 팝업창(310)에 출력되는 문자는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에 따라 변경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팝업창(310)에 원하는 문자가 출력되는 경우, 해당 문자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입력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130)는 팝업창에 어느 하나의 문자가 출력된 상태에서 226 단계로 진행하여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이 된 경우 228 단계로 진행하여 팝업창에 표시된 문자를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20 that the drag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22 to check the direction of the drag event, and display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ecked direction in the popup window in step 224. In detail, referring to FIG. 3 (a), in FIG. 3 (a), '' 'and' 에 'are located at the right and bottom sides of the default character' 디폴트 'in the character area 300 where the press event occurred. 'Is displayed. In this case, the user may input a drag to select one of 't' and 't'. 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checks the direction of the drag event, and creates and displays a pop-up window 310 by displaying any one of the characters 'pl' and 'ㅃ' in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according to the checked direction. . In this case, the text output to the pop-up window 31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event. Therefore, when a desired character is output to the popup window 310 according to a drag input, the user may input a desired character by generating a release event i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area. Therefor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a release event occurs in step 226 while any one character is displayed in the pop-up window.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ease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28 and outputs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popup window to the input editor window.

한편,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자음의 입력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모음의 입력 과정에는 자음을 입력할 때와는 다르게 약간의 차이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focusing on the input process of the consonant,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input process of the vowel unlike the input of the consona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which illustrates a process of inputting a vow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a)와 같이 전체 문자 영역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모음들이 표시되어 있는 문자 영역들(400,420)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모음들이 표시되는 방식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In the state where all text areas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4A, the user may generate a press event in any one of the text areas 400 and 420 in which vowels are displayed. Here, the manner in which the vowels are displayed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면 제어부(130)는 자음의 입력 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임계 시간과 비교를 한다. 제어부(130)는 카운트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도 4(b) 또는 도 4(c)와 같이 모음들을 확대 표시하게 된다. 이때 문자들이 확대 표시되는 방법은 자음의 경우와 차이가 있다. 즉, 자음의 경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과 함께 그와 관련된 문자들이 모두 각 문자 영역들에 확대 표시되지만, 모음의 경우에는 일단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만이 기존의 문자 영역에 재배열되어 확대 표시된다. Then, as in the input process of the consonant, the controller 130 counts the time from the time at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and compares it with the threshold time. When the count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130 enlarges and displays the vowels as shown in FIG. 4B or 4C. In this case, the way in which the characters are enlarged and displayed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sonant. That is, in the case of consonants, all of the characters in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red and the related characters are enlarged and displayed in each character area, but in the case of vowels, only the characters in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red once are existing character areas. It is rearranged and enlarged.

예를 들어, 'ㅏ,ㅓ,ㅗ,ㅜ,ㅡ'가 할당된 문자 영역(400)에 임계 시간 이상으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폴트 문자인 'ㅡ' 를 중심으로 상하 좌우의 문자 영역에 각각 'ㅗ,ㅜ,ㅓ,ㅏ'가 표시된다. 그리고 'ㅑ,ㅕ,ㅛ,ㅠ,ㅣ'가 할당된 문자 영역(420)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도 4(c)와 같이 디폴트 문자인 'ㅣ'를 중심으로 상하 좌우의 문자 영역마다 각각 'ㅛ,ㅠ,ㅕ,ㅑ'가 표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음을 입력할 때와 마찬가지로 원하는 모음이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해당 모음이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되도록 할 수가 있다.  For example,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the character area 400 to which 'ㅏ, ㅓ, ㅗ, TT, ㅡ' is assigned for more than a threshold time, the default character 'ㅡ' is shown as shown in FIG. 4 (b). 'ㅗ, TT, ㅓ, ㅏ' is displayed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letters area as a center.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the character area 420 to which 'ㅑ, ㅕ, ㅛ, ㅠ, ㅣ' is assigned, as shown in (c) of FIG. 'ㅛ, ㅠ, ㅕ, ㅑ' is displayed. Then, as when inputting consonants, the user can generate a drag ev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sired vowel is displayed so that the vowel is displayed in the input editor window.

한편, 모음의 경우 제어부(130)는 관련된 모음들을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생성된 팝업창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선택을 받는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음을 입력할 때 관련된 모음들이 확대 표시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in the case of a collection, the controller 130 receives a selection from the user by displaying related collections in a popup window genera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which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larged display of related vowels when inputting a vow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a)는 전술한 도 4(b)에 표시된 문자들과 관련된 모음을 보인 도면이다.제어부(130)는 'ㅏ,ㅓ,ㅗ,ㅜ,ㅡ' 가 각각의 문자 영역에 확대 표시된 상태에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을 체크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가 어느 하나의 문자가 확대 표시된 문자 영역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즉,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체크된 방향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모음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가 'ㅓ'가 표시된 문자 영역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ㅡ'를 중심으로 해당 방향에 있는 문자 'ㅓ'를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하게 된다.5 (a) is a view showing a collection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s shown in FIG. 4 (b)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30 is a state in which 'ㅏ, ㅓ, ㅗ, TT, ㅡ'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each character area. When a drag event occurs in,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are checked. The controller 130 outputs any one collection displayed in the checked direction when the distance of the drag event does not exceed an enlarged displayed character area, that is,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value. For example, if the distance of the drag event in the left direction does not exceed the character area marked with 'ㅓ', the controller 130 outputs the character 'ㅓ'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ㅡ' to the input editor window. Done.

이와는 달리 체크된 거리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팝업창을 생성하여, 체크된 방향에 표시된 모음 및 그 모음과 관련된 모음들을 그 생성된 팝 업창의 문자 영역마다 하나씩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ㅏ'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을 할 때, 그 드래그 입력의 거리가 'ㅏ'의 문자 영역을 초과한다면 제어부(130)는 팝업창(510)을 생성하여 'ㅏ'와 관련된 모음인 'ㅐ'를 그 생성된 팝업창(510)에 출력한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ㅓ'와 관련된 문자인 'ㅔ'(520), 'ㅗ'와 관련된 문자들인 'ㅚ,ㅙ, ㅘ'(530) 및 'ㅜ'와 관련된 문자들인 'ㅞ,ㅝ,ㅟ'(540)가 각각의 방향에 생성된 팝업창에 출력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확대 표시된 모음들 중 가운데 표시된 모음인 'ㅡ'와 관련된 모음 'ㅢ'는 우측 아래쪽 45도 방향에 생성된 팝업창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관련 문자들이 팝업창에 표시가 되면, 사용자는 드래그 입력을 통해 원하는 문자가 표시된 팝업창의 문자 영역을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그 지시된 문자 영역의 모음을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시킬 수가 있다. On the contrary, when the checked distance exceeds the threshold,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 popup window and outputs a vowel displayed in the checked direction and vowels related to the vowel for each character area of the generated pop-up window. For example, when a user drags in a direction in which 'ㅏ' is displayed, if the distance of the drag input exceeds a character area of 'ㅏ',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 popup window 510 to generate a 'ㅏ' and A related collection 'ㅐ' is output to the generated popup window 510. According to this method, 'ㅔ' (520) related to 'ㅓ', 'ㅚ, ㅙ, ㅘ' (530) related to 'ㅗ' and 'ㅞ, ㅝ, ㅟ' related to 'TT' 540 is output to pop-up windows generated in each dire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wel 'ㅢ' related to the '-', which is the middle vowel of the enlarged vowels, is output in a pop-up window generated in the lower right 45 degree direction. As such, when the related characters are displayed in the pop-up window, the user may indicate a text area of the pop-up window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is displayed through a drag input. The user can then output a collection of indicated text areas to the input editor window by issuing a release event.

한편, 제어부(130)는 팝업창이 생성된 상태에서 임계 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즉, 팝업창에 표시된 문자 영역들에 문자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맨 처음 발생한 드래그 이벤트의 체크된 방향에 표시된 문자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ㅡ'를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발생한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가 'ㅜ'의 문자 영역을 넘어선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팝업창(540)이 생성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카운트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팝업창(540)에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방향에 표시된 'ㅜ'를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한다.  Meanwhile, when the drag event does not occur until the threshold time is exceeded in the state where the pop-up window is generated, that is, when there is no user drag input for selecting a character in the text areas displayed on the pop-up window, Outputs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checked direction of the first drag event.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counts the time from the time when the pop-up window 540 is generated, when the distance of the drag event occurring downward with respect to '-' exceeds the threshold beyond the character area of 'TT'. . If the drag event does not occur in the pop-up window 540 until the counted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130 outputs 'TT' display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g event occurs to the input editor window.

전술한 바와 같은 모음에 대한 관련 문자 표시 과정들은 도 5(b)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5(b)는 도 4(c)에 표시된 문자들과 관련된 모음을 보인 도면이다. 도 5(b)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ㅣ'를 중심으로 'ㅛ,ㅠ,ㅕ,ㅑ'가 확대 표시된 상태에서 전술한 도 5(a)에서와 같이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을 체크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체크된 거리 및 방향에 따라 관련된 문자들을 팝업창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제어부(130)는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ㅑ'와 관련된 문자인 'ㅒ'(560)와 'ㅕ'와 관련된 문자인 'ㅖ'(570)를 각각 생성된 팝업창에 출력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제어부(130)는 도 5(b)의 'ㅛ'와 'ㅠ'와 같이 관련 문자들이 없는 경우에는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에 상관없이 단지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에 따라 'ㅛ' 및 'ㅠ'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한다. Relevant character display processes for vowels as described above apply equally to FIG. 5 (b). Figure 5 (b) is a view showing a collection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s shown in Figure 4 (c). Referring to FIG. 5 (b) in detail,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the distance of the drag event as shown in FIG. 5 (a) in the state in which 'ㅛ, ㅠ, ㅕ, ㅑ' is enlarged and displayed about 'ㅣ'. Check the direc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nd outputs a pop-up window related characters according to the checked distance and direction. That is, the controller 130 outputs the 'ㅒ' 560, which is a character related to 'ㅑ', and the 'ㅖ' 570, which is a character associated with 'ㅕ', to the generated pop-up window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It is. However, if there are no related characters such as 'ㅛ' and 'ㅠ' in FIG. 5 (b), the controller 130 may not select any of 'ㅛ' and 'ㅠ'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drag event regardless of the distance of the drag event. Output a collection to the input editor window.

이처럼 모음의 경우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모음들과 관련된 복모음 및 단모음들을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에 따라 팝업창을 생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좀 더 간단하고 빠른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ㅏ,ㅓ,ㅗ,ㅜ,ㅡ'와 'ㅑ,ㅕ,ㅛ,ㅠ,ㅣ'를 서로 다른 문자 영역에 할당하여 관련 문자를 선택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문자 영역에 상기한 모음들을 모두 할당함으로써 토글(Toggle)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한 사항이다. 즉,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의 발생 길이 또는 터치 횟수에 따라 'ㅏ,ㅓ,ㅗ,ㅜ,ㅡ'와 'ㅑ,ㅕ,ㅛ,ㅠ,ㅣ'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대응되는 관련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s such, in the case of vowels,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 popup window and displays the vowels and short vowels related to the vowels of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red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drag event so that the characters can be input in a simpler and faster manner. Provide an advantage.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ㅏ, ㅓ, ㅜ, TT, ㅡ' and 'ㅑ, ㅕ, 할당, ㅠ, ㅣ' are assigned to different character areas to select related character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toggle method by allocating the above vowels in one text area. That is, the controller 130 displays a text area of any one of 'ㅏ, ㅓ, ㅗ, TT, ㅡ' and 'ㅑ, ㅕ, ㅛ, ㅠ, ㅣ' according to the occurrence length or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press event. This allows you to enter the relevant characters corresponding to.

한편, 제어부(130)는 모음의 경우 관련 문자의 입력에 있어서, 복자음의 입력과 같이 두 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단모음 및 복모음들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출력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ㅘ'를 입력하고자 할 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들이 확대 표시된 상태에서 'ㅗ'와 'ㅏ'를 각각 드래그 입력을 통해 선택할 수가 있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ㅗ'와 'ㅏ'를 조합하여, 해당 복모음인 'ㅘ'를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하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는 'ㅔ,ㅐ,ㅢ,ㅚ,ㅙ,ㅘ,ㅞ,ㅝ,ㅟ,ㅖ,ㅒ' 등을 입력하고자 할 때, 해당 모음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모음을 각각 입력하여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case of vowels, the controller 130 may select and output each character constituting any one vowel from a single vowel and a double vowel composed of two vowels, such as input of a double consonant. have. For example, when a user wants to input 'ㅘ', the user can select 'ㅗ' and 'ㅏ' through drag input,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Then, the controller 130 combines 'ㅗ' and 'ㅏ' selected by the user,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double vowel 'ㅘ' to the input editor window. Like this, when a user wants to input 'ㅔ, ㅐ, ㅚ, ㅚ, ㅘ, ㅘ, ㅞ, ㅝ, ㅟ, ㅖ, ㅒ', etc., the user inputs two or more vowels that form the vowel, respectively, in the input editor window. It can also be outp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할 때 팝업창에 표시되는 문자를 보인 도면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6, which is a view showing characters displayed in a pop-up window whe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ㅍ'을 입력한 상태에서 모음 'ㅗ'를 입력하기 위해 'ㅗ'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자음 'ㅍ'과 모음 'ㅗ'를 조합시킨 문자인 '포'를 팝업창(600)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팝업창(600)에 '포'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해당 문자인 '포'를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 user generates a drag event in a direction in which 'ㅗ' is displayed in order to input the vowel 'ㅗ' while the user inputs' '',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 consonant '' 'and a vowel' ㅗ 'PO', which is a combination of characters, generates and outputs a popup window 600. The controller 130 output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po' to the input editor window when the user generates a release event while the 'po' is output on the pop-up window 600.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을 때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된 문자를 고려하여 팝업창(600)에 출력하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포'가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ㄱ'을 입력받 는 경우, 이미 출력된 '포'와 새로 입력된 'ㄱ'을 조합시켜 해당 문자인 '폭'을 입력 에디터 창에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폭'이 출력된 상태에서 모음 'ㅏ'가 입력되는 경우 모음으로 문자를 시작할 수 없으므로, '폭'의 받침인 'ㄱ'을 'ㅏ'와 조합시켜 '포'와 '가'를 각각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문자 입력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That is, the controller 130 outputs the text to the popup window 600 in consideration of the text output in the input editor window when the text is input from the us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po' is input from the user while the 'po' is output in the input editor window, the control unit 130 combines the already output 'po' with the newly input 'ㄱ'. The character 'width' is printed in the input editor window. In addition, when the vowel 'ㅏ' is input while the 'width' is output, the controller 130 cannot start a character as a vowel. Will print 'ga' respectively. Then, the user has an advantage of easier character in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providing a Hangul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2 is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Hangul in a terminal providing a Hangul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inputting a conson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4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putting a vow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음을 입력할 때 관련된 모음들이 확대 표시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larged display of related vowels when inputting a vow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Claims (10)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for inputting Hangul in the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들을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Allocating and displaying character groups each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in the character regions generated by dividing an area on the touch screen into two or more;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Count)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text areas, counting a time from a time point at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and determining whether a preset threshold time is exceeded;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과 관련된 문자들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re are characters associated with characters in a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when the threshold time is exceeded; 상기 관련된 문자들이 있는 경우 음운 체계에 따라 설정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 및 상기 관련된 문자들을 표시하여,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문자 입력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And a text input process of inputting any one of the displayed texts from the user by displaying the texts and the related texts of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according to a display scheme set according to a phonological system when the related texts are present. Method for inputting Hangul characterized in that the Ham.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임계 시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드래그(Drag) 이벤트 및 해제(Release) 이벤트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one of a drag event and a release event occurs when the threshold time is not exceed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방 향을 체크하는 과정과,Checking the direction of the drag event when the drag event occu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상기 체크된 방향에 따라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팝업창을 생성하여 확대 표시하는 과정과,Generating a pop-up window to enlarge and display any one of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according to the checked direction;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가 확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확대 표시된 문자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And outputting the enlarged displayed character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in the state in which one of the characters is enlarged and display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관련된 문자들이 없는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을 상기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하나씩 확대 표시하여, 상기 확대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And if the relevant characters are not found, displaying characters of the text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one by one in the text areas, and receiving one of the enlarged letters from the user. How to input Korea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ext input process is performed.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이 상기 음운 체계에 따라 자음인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자음들 및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자음들과 관련된 자음들을 상기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하나씩 할당하여 확대 표시하는 과정과,If the characters in the text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red are consonants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system, the consonants associated with the consonants of the text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red and the consonants associated with the consonants of the text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red, respectively, in the text areas. Assigning them one by one to enlarge them, 드래그(Drag) 이벤트 및 해제(Release) 이벤트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one of a drag event and a release event occurs;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을 체크하는 과정과,Check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when the drag event occu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상기 체크된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상기 확대 표시된 자음들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지시하는 과정과,Indicating one text area corresponding to the enlarged and displayed consonants according to the checked distance and direction;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이 지시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지시된 문자 영역의 자음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And outputting a consonant of the indicated character area when a release event occurs while the one character area is indicated.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자음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And outputting consonant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release event occurs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관련된 자음들은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자음들과 관련된 복자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And said related consonants are double consonants associated with consonants in a character area in which said press event occurr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 입력 과정은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문자들이 상기 한글의 음운 체계 에 따라 모음인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표시된 모음들을 상기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하나씩 할당하여 확대 표시하는 과정과,In the character input process, when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are vowels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system of the Hangul, assigning each of the vowels displayed in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to the character areas is enlarged. and, 상기 모음들이 확대 표시된 상태에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을 체크하는 과정과,Checking a distance and a direction of the drag event when a drag event occurs while the collections are enlarged and displayed; 상기 체크된 거리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팝업창을 생성하여 상기 체크된 방향에 표시된 모음과 관련된 모음들을 상기 생성된 팝업창의 문자 영역마다 하나씩 출력하는 과정과,Generating a pop-up window when the checked distance exceeds a threshold and outputting vowels related to the vowels displayed in the checked direction for each character area of the generated pop-up window; 상기 모음들이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ich drag event occurs in one of the text areas in which the vowels are displayed;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상기 팝업창에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과정과,Indicating any one of the text areas displayed on the popup window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when the drag event occu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상기 지시된 문자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지시된 문자 영역에 표시된 모음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And if a release event occurs in the indicated text area, outputting a vowel displayed in the indicated text area.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체크된 거리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체크된 방향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모음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And if the checked distance does not exceed a threshold, outputting any one vowel displayed in the checked direction.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팝업창에 표시된 문자 영역들에 임계 시간이 초과될 때까지 상기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체크된 방향에 표시된 모음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And outputting a vowel displayed in the checked direction when the drag event does not occur until a threshold time is exceeded in the text areas displayed on the pop-up window.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관련된 모음들은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의 모음들과 관련된 복모음 및 단모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And the related vowels are any one of a double vowel and a short vowel associated with the vowels of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red.
KR1020070081752A 2007-08-14 2007-08-14 Method for inputting korean KR1014755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752A KR101475519B1 (en) 2007-08-14 2007-08-14 Method for inputting kore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752A KR101475519B1 (en) 2007-08-14 2007-08-14 Method for inputting kore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188A true KR20090017188A (en) 2009-02-18
KR101475519B1 KR101475519B1 (en) 2014-12-22

Family

ID=4068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752A KR101475519B1 (en) 2007-08-14 2007-08-14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51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3378A3 (en) * 2011-06-15 2013-04-04 Seo Jin Ho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providing keyboard layout
US11036384B2 (en) 2009-09-14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ssure-sensitive degre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touchscreen-enabled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852B1 (en) * 2002-08-16 2005-03-22 강훈기 character input device for touch screen
KR100537280B1 (en) * 2003-10-29 2005-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6384B2 (en) 2009-09-14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ssure-sensitive degre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touchscreen-enabled mobile terminal
WO2012173378A3 (en) * 2011-06-15 2013-04-04 Seo Jin Ho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providing keyboard layout
US9606727B2 (en) 2011-06-15 2017-03-28 Yong Chang Seo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providing keyboard layo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519B1 (en) 201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670E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0933398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s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14292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haracter delete function
KR1013910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106429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ord prediction selection
US9448722B2 (en) Text entry into electronic devices
EP1988444A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20150123857A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inputting text by consecutive slide
JP2015143989A (en) Foreign language key input device and method
WO2007030620A1 (en) Software key labeling on software keyboards
US20160209932A1 (en) Hybrid keyboard for mobile device
KR20140073245A (en) Method for inputting back surfa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30290884A1 (en)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ntrol method
KR2009009022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200900202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function key
KR201101046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 in portable terminal
US20160054881A1 (en) Information terminal, operating region control method, and operating region control program
KR20130007135A (en) Terminal and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thereof
JP2018007184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KR20090017188A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KR102126831B1 (en) 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based on first-input-charac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1310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essage in a portable terminal
JP2013186720A (en) Character string selection device
WO2010143500A1 (en) Document browsing device, document display method, and document display program
CA284656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ord prediction se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