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272B1 -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272B1
KR101475272B1 KR1020130065403A KR20130065403A KR101475272B1 KR 101475272 B1 KR101475272 B1 KR 101475272B1 KR 1020130065403 A KR1020130065403 A KR 1020130065403A KR 20130065403 A KR20130065403 A KR 20130065403A KR 101475272 B1 KR101475272 B1 KR 101475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ircumferential surface
sealing
outer circumferenti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620A (ko
Inventor
한스-게오르그 헤르만 뵈메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5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272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57Se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는, 풍력 발전기의 너셀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와 회전부를 둘러싸는 너셀 사이를 밀봉하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로서, 회전부와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몸체; 외주면과 몸체 사이에 배치되며 몸체와 회전부의 외주면이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게 하는 제1 완충부;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몸체와 회전부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는 제1 실링부 및 몸체의 타측을 너셀의 개구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SEAL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의 너셀을 관통하는 회전부, 예를 들어 블레이드에 연결된 회전축 또는 너셀을 지지하는 타워와 너셀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 발전기(1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11),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16)가 설치된 너셀(17) 및 상기 너셀을 지지하는 타워(18)를 포함한다.
이 때, 블레이드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main shaft, 14)은 너셀의 일측을 관통하여 너셀 내부로 연결된다. 또한, 타워(18)는 타워의 일측 단부가 너셀 내부로 관통하며, 바람의 방향에 따라 너셀이 타워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축 또는 타워가 관통하는 너셀 일측과 상기 회전축 또는 타워 사이에는 상당한 틈(A, B)이 존재하여, 이러한 틈을 통해 먼지, 염분 등의 여러 이물질이 너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틈을 통해 너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너셀에 설치된 여러 장치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청 출원번호 제2008-0086032 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풍력 발전기의 너셀과 너셀을 관통하는 회전부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는 실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풍력 발전기의 너셀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둘러싸는 상기 너셀 사이를 밀봉하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로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몸체; 상기 외주면과 상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와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이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게 하는 제1 완충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와 상기 회전부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는 제1 실링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을 상기 너셀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몸체는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이 상기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몸체의 내주면은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내주면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내주면에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실링부는 브러쉬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완충부는,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내주면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내주면의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을 둘러싸며, 상기 제2 몸체 및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덮개의 내주면은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부는 상기 덮개를 관통하며 상기 덮개의 상기 내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 홀 및 상기 제2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몸체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도록, 상기 덮개의 일측면 및 상기 개구부의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제2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실링부는 브러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한편, 상기 몸체가 상기 덮개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서 상기 덮개의 상기 내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기 덮개 및 상기 개구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덮개 및 상기 개구부 상기 일측면에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와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이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개구부와 상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완충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몸체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부는 블레이드에 연결된 회전축 또는 타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 주위의 틈을 통해 너셀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풍력 발전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회전부와 너셀 사이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4는 회전부와 너셀 사이에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의 일부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2는 회전부와 너셀 사이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4는 회전부와 너셀 사이에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의 일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100)는, 너셀(17)의 일측을 관통하는 회전부 둘레에 설치되어, 너셀과 회전부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100)는 제1 실링부(110), 몸체(140), 제1 완충부(160), 결합부(180), 덮개(13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100)의 몸체(140)는 회전부인 주축(14)의 외주면을 둘러싼다. 이 때, 몸체(140)에는 후술할 제1 실링부(110) 및 제1 완충부(16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140)는 회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1 몸체(141)와 제1 몸체(14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몸체(1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회전부는 풍력 발전기의 너셀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구성으로,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에 연결된 주축(14) 또는 타워(18)일 수 있다. 따라서,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100)는 주축(14) 또는 타워(18) 주위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100)는 회전부인 주축(14)과 너셀(17)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몸체(141)의 내주면은 주축(14))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원형일 수 있다. 즉, 제1 몸체(141)는 내주면이 원형인 고리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제2 몸체(143)는 제1 몸체(14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몸체(143)는 제1 몸체(141)과 마찬가지로 고리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링부(11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몸체(141)의 내주면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부의 외주면과 몸체 사이에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실링부(110)는 주축(14)의 외주면과 너셀(17)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너셀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 염분 등의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실링부(110)는 제1 몸체(141)의 내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어, 주축(14)의 외주면을 감싼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링부(110)는 브러쉬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제1 실링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몸체(141)의 내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어 제1 실링부(110)의 일측 단부가 회전부인 주축(1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열된다.
이 때, 제1 실링부(110)는 플라스틱, 나일론, 폼 러버(foam rubb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부(110)는 플라스틱, 나일론, 폼 러버 등으로 이루어진 브러쉬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실링부(110)은 상기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하는 회전부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마모가 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실링부(110)는 브러쉬 형상 이외에 폼 러버 스트립(strip of foam rubbe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폼 러버로 이루어진 스트립 타입의 제1 실링부가 주축(14)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완충부(160)는 회전부의 외주면과 몸체(140)가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회전부의 외주면과 몸체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완충부(160)는 회전부인 주축(14)의 외주면과 주축(14)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제1 몸체(141)의 내주면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도록, 주축(14)의 외주면과 제1 몸체(141)의 내주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자석(161, 163)으로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자석(161, 163)은 각각 주축(14)의 외주면과 제1 몸체(141)의 내주면에 배치되도록 고리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몸체(141)의 내주면과 주축(14)의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자석(161, 163)은 서로 마주보는 측면이 동일한 자극(N극 또는 S극)을 갖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자석의 배치에 의해, 회전부와 몸체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덮개(130)는 회전부가 관통하는 너셀(17)에 형성된 개구부 일측에 결합되어, 개구부와 제2 몸체(143)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이 때, 덮개(130)는 회전부인 주축(14)의 외주면을 둘러싼다. 따라서, 덮개(130)의 내주면은 주축(14)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인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덮개(130)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덮개(130)의 중앙부를 회전부인 주축(14)이 관통한다. 이 때, 덮개(130)는 주축(14)과 동심축 상에 배열되어 개구부 및 제2 몸체(143)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180)는 몸체(140)가 주축(14)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주축(14)의 외주면 둘레에 배치되도록 몸체(140)를 너셀(17)의 일측에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180)는 가이드 홀(181) 및 돌기(183)를 포함한다.
가이드 홀(181)은 덮개(130)의 일 측면에 덮개(1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이 때, 가이드 홀(181)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덮개(130)를 관통하며 덮개(130)의 내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돌기(183)는 제2 몸체(143)의 일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때, 돌기(183)는 가이드 홀(181)에 대응하여 제2 몸체(143)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기(183)가 가이드 홀(181)에 삽입 되어 가이드 홀(181)을 따라 덮개(130)의 내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몸체(140)가 덮개(130)의 내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100)는 몸체(140)와 개구부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제2 실링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링부(110)는 몸체(140)와 회전부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는 것에 반해, 제2 실링부(120)는 몸체(140)와 개구부 사이에 밀봉을 제공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 너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실링부(120)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몸체(143)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덮개(130) 및 개구부 일 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2 실링부(121, 123)는 각각 덮개(130) 및 개구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즉, 제2 실링부(121, 123)는 덮개(130) 및 개구부의 일 측면에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실링부(120)는 덮개(130) 및 개구부 양측에 결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실링부(120)는 덮개 또는 개구부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실링부(121, 123)는 제1 실링부(110)와 마찬가지로 브러쉬 형상일 수 있다. 제2 실링부(121, 123)는 플라스틱, 나일론, 폼 러버(foam rubb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130) 및 개구부 사이에 위치한 제2 몸체(143)가 덮개(130)의 내주면의 반경 방향, 즉 도 2에서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제2 몸체(143)의 양측에 복수개의 가이드부(150)가 배치된다.
회전부의 외주면 둘레에 위치한 몸체(140)는 회전부의 반경 방향 또는 덮개(130)의 내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때, 몸체(140)가 덮개(130)와 개구부 사이에 걸려 이동할 수 없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가이드부(150)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가이드부(150)는 덮개(130)의 내측면 및 너셀(17)의 개구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가이드부(150)는 원주 방향으로 120도 간격으로 덮개(130)의 내측면 및 너셀(17)의 개구부 일측면에 배치된다.
이 때, 복수개의 가이드부(150)는 덮개(130)의 내측면 및 개구부 일 측면에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부(150)는 제2 몸체(143)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덮개(130) 및 개구부 일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복수개의 가이드부(150)는 덮개(130)의 내측면 및 개구부 일 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2 몸체가 가이드 롤러와 접촉하면서 가이드 롤러의 회전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장치(100)는 몸체(140)와 회전부의 외주면이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제2 완충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완충부(170)는 제2 몸체(143)를 제1 몸체(141)의 내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일 수 있다. 제2 완충부(170)의 일측 단부는 제2 몸체(143)에 결합되고, 제2 완충부(170)의 타측 단부는 너셀(17)의 개구부 측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몸체(140)가 회전부인 주축(14)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100)는, 너셀의 일측을 관통하는 회전부 주위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너셀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 염분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풍력 발전기 11: 블레이드
13: 스피너 14: 주축
15: 기억박스 16: 발전기
17: 너셀 18: 타워
100: 실링 장치 110: 제1실링부
120: 제2실링부 130: 덮개
140: 몸체 141: 제1몸체
143: 제2몸체 150: 가이드부
160: 제1완충부 170: 제2완충부
180: 결합부 181: 가이드홈
183: 돌기

Claims (18)

  1. 풍력 발전기의 너셀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둘러싸는 상기 너셀 사이를 밀봉하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로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몸체;
    상기 외주면과 상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와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이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게 하는 제1 완충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와 상기 회전부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는 제1 실링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을 상기 너셀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이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내주면은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내주면 일측에 결합되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내주면에 원형으로 배치되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는 브러쉬 형상인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는,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내주면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내주면의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을 둘러싸며, 상기 제2 몸체 및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주면은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덮개를 관통하며 상기 덮개의 상기 내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 홀 및
    상기 제2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돌기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도록, 상기 덮개의 일측면 및 상기 개구부의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제2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는 브러쉬 형상인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상기 덮개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서 상기 덮개의 상기 내주면의 반경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기 덮개 및 상기 개구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덮개 및 상기 개구부 상기 일측면에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지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지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회전부의 상기 외주면이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개구부와 상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몸체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인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블레이드에 연결된 회전축 또는 타워인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KR1020130065403A 2013-06-07 2013-06-07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KR101475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403A KR101475272B1 (ko) 2013-06-07 2013-06-07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403A KR101475272B1 (ko) 2013-06-07 2013-06-07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620A KR20140143620A (ko) 2014-12-17
KR101475272B1 true KR101475272B1 (ko) 2014-12-29

Family

ID=5267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403A KR101475272B1 (ko) 2013-06-07 2013-06-07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450B1 (ko) 2014-10-22 2019-10-2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액티브 서스펜션 장치
AT521953B1 (de) * 2018-12-13 2020-07-15 Miba Gleitlager Austria Gmbh Gondel für eine Windkraftanlage
AT521775B1 (de) 2018-12-13 2020-06-15 Miba Gleitlager Austria Gmbh Planetengetriebe für eine Windkraftanlage
AT521885B1 (de) 2018-12-13 2020-09-15 Miba Gleitlager Austria Gmbh Gondel für eine Windkraftanlage
AT521884B1 (de) 2018-12-13 2020-10-15 Miba Gleitlager Austria Gmbh Verfahren zum Wechseln eines Gleitlagerelementes einer Rotorlagerung einer Windkraftanlage, sowie Gondel für eine Windkraftanlage
AT521882B1 (de) 2018-12-13 2021-05-15 Miba Gleitlager Austria Gmbh Gleitlager, insbesondere für ein Getriebe einer Windkraftanlage
CN110500241B (zh) * 2019-05-17 2024-01-26 优利康达(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防渗机舱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4145A (ja) * 2001-06-20 2003-01-08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軸用シール
KR100976382B1 (ko) * 2009-08-27 2010-08-18 허만철 쌍엽 풍력 발전장치
JP2012189158A (ja) * 2011-03-11 2012-10-04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軸のシール構造
JP5178102B2 (ja) * 2006-09-12 2013-04-10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単一の弾性プレート部材を使用したシャフトシ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4145A (ja) * 2001-06-20 2003-01-08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軸用シール
JP5178102B2 (ja) * 2006-09-12 2013-04-10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単一の弾性プレート部材を使用したシャフトシール
KR100976382B1 (ko) * 2009-08-27 2010-08-18 허만철 쌍엽 풍력 발전장치
JP2012189158A (ja) * 2011-03-11 2012-10-04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軸のシール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620A (ko)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272B1 (ko) 풍력 발전기의 실링 장치
RU2010136407A (ru) Гидроэлектрическая турбина с плавающим ротором
WO2015196604A1 (zh) 一种电机转子及应用该电机转子的塑封电机
JP6343127B2 (ja) モータ
KR101447874B1 (ko) 와류 발생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GB201300765D0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generation
RU2015149338A (ru) Магнитный подшипниковый узел, имеющий внутреннюю вентиляцию
JP2018509873A (ja) コンベアベルトで駆動される発電機
JP2018164336A (ja) ステータユニット、モータ、及びファンモータ
JP2017225337A (ja) モータ
CN105927738B (zh) 具有fofw系统的监控装置
RU2015149781A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подшипниковый узел с внутренней вентиляцией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подшипника
JP5568119B2 (ja) 気密試験用の孔を備えた電動機
JP5752628B2 (ja) 回転電機およびシール機構
JP2013126324A (ja) 発電機軸受用オイルミスト遮断装置
CN104165119A (zh) 防护型风力机
KR101604543B1 (ko) 파력 발전 장치
KR101256297B1 (ko) 조류 발전기
KR101325687B1 (ko) 빗물 유입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CN104407164A (zh) 一种防尘防水测速器
CN204255967U (zh) 一种防尘防水测速器
KR20160050353A (ko) 휠 내부에 배터리가 삽입되는 전기 모터
CN204162012U (zh) 一种过渡辊
KR101418415B1 (ko) 풍력 발전기의 주축과 기어 박스의 연결 구조체
KR101525790B1 (ko) 스테이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