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140B1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음성 통신을 위한 채널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음성 통신을 위한 채널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140B1
KR101475140B1 KR1020130036317A KR20130036317A KR101475140B1 KR 101475140 B1 KR101475140 B1 KR 101475140B1 KR 1020130036317 A KR1020130036317 A KR 1020130036317A KR 20130036317 A KR20130036317 A KR 20130036317A KR 101475140 B1 KR101475140 B1 KR 10147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access
data transmission
slot
stat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973A (ko
Inventor
이경락
유재영
조인휘
조성호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3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140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음성 통신을 위한 채널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채널 스케쥴링 방법은 터미널의 음성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채널 접근 상태에 따라 프레임 전송 주기 또는 슬롯 전송 주기 동안 지연시킨 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하여 채널 낭비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음성 통신을 위한 채널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of multi-user vo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수간의 실시간으로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주파수 대역 이용 효율을 높인 채널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5.4 표준은 기본적으로 경쟁 기반의 채널 접근 방식을 사용하지만 주기적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비경쟁구간인 GTS(Guaranteed time slot) mode를 지원한다. 하지만 GTS mode는 최대 7개의 slot만 지정 가능하며, 이로 인해, 비경쟁 구간에서 안정성을 보장하며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사용자 수는 최대 7명으로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은 7명 이상의 다중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원하는 경우 적절한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또한, GTS mode는 특정 사용자가 하나의 GTS 슬롯(slot)을 주기적으로 점유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GTS 슬롯을 점유한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을 멈추더라도 해당 GTS 슬롯을 다른 사용자가 바로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수가 많이지는 경우 채널 이용률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비컨(Beacon)의 전송 주기는 최소 전송 주기(15.36ms)의 지수적인 증가로 제어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주기로 설정하는 것 또한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매 주기(20ms)마다 데이터가 발생하는 음성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수 사용자간 실시간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주파수 대역 이용에 따른 효율을 높인 채널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데이터 프레임간 간격을 최소화하여 채널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각 사용자간 고정적인 전송 구간 할당을 보장하여 통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채널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수 사용자간 실시간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주파수 대역 이용에 따른 효율을 높인 채널 스케쥴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터미널의 음성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확인된 채널 접근 상태에 따라 프레임 전송 주기 또는 슬롯 전송 주기 동안 지연시킨 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스케쥴링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이면, 상기 프레임 전송 주기 동안 데이터 전송을 지연한 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채널 접근 상태가 비지 상태이면, 상기 슬롯 전송 주기 단위로 데이터 전송을 지연하고, 상기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로 확인되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채널 접근 상태가 비지 상태인 경우, 채널 접근 시도 횟수가 최대 채널 접근 시도 횟수를 초과하면, 프레임내 신규 슬롯이 할당될 공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 전송 실패를 상기 터미널로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수 사용자간 실시간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주파수 대역 이용에 따른 효율을 높인 채널 스케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미널의 음성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채널 접근 상태에 따라 프레임 전송 주기 또는 슬롯 전송 주기동안 지연시킨 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하는 스케쥴링부를 포함하는 채널 스케쥴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채널 접근 상태는 아이들 상태(idle) 및 비지 상태(busy)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스케쥴링부는, 상기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 상기 프레임 전송 주기 동안 데이터 전송을 지연한 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스케쥴링부는, 상기 채널 접근 상태가 비지 상태이면, 상기 슬롯 전송 주기 동안 데이터 전송을 지연한 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스케쥴링부는, 상기 채널 접근 상태가 비지 상태인 경우, 채널 접근 시도 횟수가 최대 채널 접근 시도 횟수를 초과하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된 시점부터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된프레임 전송 주기가 끝나고 다음 프레임 전송 주기가 시작되는 시점까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음성 통신을 위한 채널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수 사용자간 실시간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주파수 대역 이용에 따른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데이터 프레임간 간격을 최소화하여 채널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각 사용자간 고정적인 전송 구간 할당을 보장하여 통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CSMA-CA 기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프레임 전송 주기 및 슬롯 전송 주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스케쥴링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스케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스케쥴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시,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한 후 채널 접근 상태에 따라 프레임 전송 주기 또는 슬롯 전송 주기 동안 지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여 채널 이용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채널 접근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CSMA-CA 기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프레임 전송 주기 및 슬롯 전송 주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SMA-CA 매커니즘에서 프레임은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비컨(becon)에 의해 구분되며, 하나의 프레임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 16개의 슬롯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도 1에 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은 경쟁 영역과 비경쟁 영역을 가지며, 각 비컨 프레임은 경쟁 영역 및 비경쟁 영역에서 슬롯을 할당받고, 할당받은 슬롯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은 약 20 msec의 간격을 가지며, 각 프레임에서 슬롯은 1,15 ~ 1.68 msec 주기를 갖는다. 즉,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슬롯을 할당받는 경우, 각 프레임 전송 주기마다 해당 고정 할당된 슬롯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전송 주기(즉, 프레임 간격)마다 데이터 전송 요청 시점에 할당받은 슬롯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비컨 프레임은 일반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장치들의 동기화를 위해 이용되나, 본 명세서에서는 비컨 프레임이 없는(non-beacon 모드)로 동작되는 음성 통신 채널 접근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스케쥴링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상태 확인부(410), 스케쥴링부(415), 통신부(420), 메모리(425) 및 제어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태 확인부(410)는 임의의 터미널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하여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상태 확인부(410)는 슬롯 전송 주기 단위로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접근 상태는 아이들 상태(idle) 또는 비지 상태(busy)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아이들 상태(idle)는 임의의 터미널이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 시점에 해당 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유휴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비지 상태(busy)는 임의의 터미널이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 시점에 채널이 고정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이 할당되어 있으며, 해당 슬롯을 통해 채널이 점유된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태 확인부(410)는 임의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한 후 채널 접근 상태가 비지 상태이면, 슬롯 전송 주기 단위로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하여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로 변경되는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스케쥴링부(415)는 상태 확인부(410)를 통해 채널 접근 상태를 입력받고, 채널 접근 상태에 따라 전송 요청된 데이터를 지연없이 전송하거나 프레임 전송 주기 또는 슬롯 전송 주기 단위로 지연시켜 전송하도록 채널 접근을 스케쥴링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명세서에서 프레임 전송 주기 동안 데이터 전송을 지연한다는 의미는 터미널로부터 해당 데이터 요청이 수신된 시점의 프레임 전송 주기가 끝나는 시점(즉, 다음 프레임 전송 주기 시작 시점)까지 데이터 전송을 지연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케쥴링부(415)는 상태 확인부(410)를 통해 입력받은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이면, 프레임 전송 주기 단위로 데이터 전송을 지연시킨 후 채널에 슬롯을 할당한다. 보다 상세하게, 스케쥴링부(415)는 상태 확인부(410)를 통해 입력받은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이면, 유휴시 채널 접속 시도 횟수가 유휴시 최대 채널 접속 시도 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휴시 채널 접속 최대 시도 횟수는 프레임 전송 주기와 전송 간격(Tx interval)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스케쥴링부(415)는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유휴시 최대 채널 접속 시도 횟수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3029030686-pat00001
여기서, Tx interval은 슬롯 전송 간격을 나타내고, frame period는 프레임 전송 주기를 나타낸다.
스케쥴링부(415)는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이면, 채널 접근 시도 횟수를 지정된 크기(예를 들어, 1)만큼 증가하여 갱신한 후 프레임 전송 주기 단위로 지연시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슬롯을 채널에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스케쥴링부(415)는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이고, 데이터 전송 요청이 최초 전송 요청인 경우, 스케쥴링부(415)는 지연 없이 전송 요청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프레임 전송 주기 단위로 채널상에 슬롯을 할당하여 고정적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스케쥴링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이나 채널을 고정적으로 점유하는 슬롯이 존재하는 경우, 채널 접근 시도 횟수를 증가한 후 1 프레임 전송 주기 단위로 데이터 전송을 지연한 후 채널상에 슬롯을 할당하여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스케쥴링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스케쥴링부(415)는 상태 확인부(410)를 통해 입력받은 채널 접근 상태가 비지 상태이면, 슬롯 전송 주기 단위로 데이터 전송을 지연하고, 상태 확인부(410)를 통해 아이들 상태에 따른 채널 접근 상태가 입력되면, 해당 시점에 슬롯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스케쥴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쥴링부(415)는 상태 확인부(410)를 통해 입력받은 채널 접근 상태가 비지이면, 채널 접근 시도 횟수가 최대 채널 접근 시도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채널 접근 시도 횟수가 최대 채널 접근 시도 횟수를 초과하면, 스케쥴링부(415)는 채널에 슬롯이 모두 할당되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데이터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스케쥴링부(415)는 데이터 전송 실패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터미널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일 채널 접근 시도 횟수가 최대 채널 접근 시도 횟수 미만이면, 스케쥴링부(415)는 채널 접근 시도 횟수를 지정된 크기(예를 들어, 1)만큼 증가하여 갱신한 후 슬롯 전송 주기만큼 데이터 전송을 지연한 후 상태 확인부(410)를 통해 입력받은 채널 접근 상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스케쥴링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터미널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메모리(4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 등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425)는 채널 스케쥴링 위한 다양한 상태 정보 및 변수(예를 들어, 유휴시 채널 접근 시도 횟수, 유휴시 최대 채널 접근 시도 횟수, 채널 접근 시도 횟수, 최대 채널 접근 시도 횟수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4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상태 확인부(410), 스케쥴링부(415), 통신부(420), 메모리(42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스케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스케쥴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채널 스케쥴링 장치의 내부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임의의 터미널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한 이후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가 채널 접근을 스케쥴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임의의 터미널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단계 510에서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CCA(clear channel assessment)를 수행하여 채널 획득 가능 여부에 대한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접근 상태는 아이들 상태(idle) 및 비지 상태(busy)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계 515에서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이면, 단계 520에서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유휴시 채널 접근 시도 횟수가 유휴시 최대 채널 접근 시도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유휴시 채널 접근 시도 횟수가 유휴시 최대 채널 접근 시도 횟수를 이하이면, 단계 525에서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프레임내 슬롯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스케쥴링한다.
유휴시 최대 채널 접근 시도 횟수는 수학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주기를 프레임 전송 주기로 나눈 값으로, 즉, 프레임내 최초 데이터 전송 주기 이전에 프레임이 아이들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된 상태를 의미하며, 이와 같은 경우,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프레임내 슬롯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바로 전송하도록 스케쥴링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유휴시 채널 접근 시도 횟수가 유휴시 최대 채널 접근 시도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단계 530에서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유휴시 채널 접근 시도 횟수를 지정된 크기만큼 증가하여 갱신한다.
이어, 단계 535에서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프레임 전송 주기 동안 데이터 전송을 지연한다. 이어,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단계 510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하여 아이들 상태이면, 프레임 전송 주기 동안 데이터 전송을 지연한 후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하여 채널 접근 상태에 따라 슬롯 할당 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스케쥴링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의 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전송 주기 단위로 고정 슬롯이 할당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상태에서 615와 같이 프레임이 슬롯이 할당되지 않은 아이들 상태에 임의의 터미널로부터 데이터 전송이 요청된 경우, 종래에는 해당 시점에 슬롯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의 방법은 하나의 프레임에 터미널로부터 데이터 전송이 요청된 시점을 기준으로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이면, 슬롯을 할당하여 프레임내에 슬롯간 간격으로 슬롯을 할당하지 못하고 자원이 낭비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도 6의 615와 같이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즉, 슬롯이 할당되지 않은 시점)에 데이터 전송이 요청되더라도,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프레임 전송 주기 동안 데이터 전송을 지연시킨(620) 후 슬롯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도 6의 625).
단계 515의 판단 결과 채널 접근 상태가 비지 상태이면, 단계 540에서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슬롯 전송 주기 동안 데이터 전송을 지연시킨다.
이어, 단계 545에서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CCA를 수행하여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550에서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채널 접근 상태 확인 결과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이면, 단계 555에서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슬롯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나 만일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가 아니면, 단계 560에서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채널 접근 시도 횟수가 최대 채널 접근 시도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채널 접근 시도 횟수가 최대 채널 접근 시도 횟수 이하이면, 단계 565에서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채널 접근 시도 횟수를 지정된 크기만큼 증가하여 갱신한다. 이어 단계 540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채널 접근 시도 횟수가 최대 채널 접근 시도 횟수를 초과하면, 단계 570에서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채널에 슬롯이 모두 할당되어 유휴 채널을 확보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 전송 실패를 터미널로 통지한다.
도 7에 채널 접근 상태가 비지 상태인 경우, 채널을 스케쥴링하는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7의 710과 같이, 프레임내에 하나의 고정 슬롯이 할당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도 7의 715와 같이 슬롯이 할당된 시점에 임의의 터미널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CCA를 수행하여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한다. 도 7의 715 시점에는 고정 슬롯이 할당되어 있으므로, CCA 수행 결과 채널 접근 상태가 비지 상태로 확인된다. 이와 같이, 채널 접근 상태가 비지 상태이면, 채널 스케쥴링 장치(400)는 슬롯 전송 주기 동안 데이터 전송을 지연시킨 후 CCA를 수행하여 채널 접근 상태를 재확인하여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가 되면, 해당 시점에 슬롯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스케쥴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스케쥴링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00: 채널 스케쥴링 장치
410: 상태 확인부
415: 스케쥴링부
420: 통신부
425: 메모리
430: 제어부

Claims (11)

  1. 터미널의 음성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부-상기 채널 접근 상태는 아이들 상태(idle) 및 비지 상태(busy) 중 어느 하나임; 및
    상기 확인된 채널 접근 상태에 따라 프레임 전송 주기 또는 슬롯 전송 주기동안 지연시킨 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하는 스케쥴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케쥴링부는,
    상기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 상기 프레임 전송 주기 동안 데이터 전송을 지연한 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스케쥴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부는,
    상기 채널 접근 상태가 비지 상태이면, 상기 슬롯 전송 주기 동안 데이터 전송을 지연한 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스케쥴링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부는,
    상기 채널 접근 상태가 비지 상태인 경우, 채널 접근 시도 횟수가 최대 채널 접근 시도 횟수를 초과하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스케쥴링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전송 주기는,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된 시점부터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된프레임 전송 주기가 끝나고 다음 프레임 전송 주기가 시작되는 시점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스케쥴링 장치.
  7. (a) 터미널의 음성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채널 접근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상기 채널 접근 상태는 아이들 상태(idle) 및 비지 상태(busy) 중 어느 하나임; 및
    (b) 상기 확인된 채널 접근 상태에 따라 프레임 전송 주기 또는 슬롯 전송 주기 동안 지연시킨 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상기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이면, 상기 프레임 전송 주기 동안 데이터 전송을 지연한 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스케쥴링 방법.
  8. 삭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채널 접근 상태가 비지 상태이면, 상기 슬롯 전송 주기 단위로 데이터 전송을 지연하고, 상기 채널 접근 상태가 아이들 상태로 확인되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스케쥴링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채널 접근 상태가 비지 상태인 경우, 채널 접근 시도 횟수가 최대 채널 접근 시도 횟수를 초과하면, 프레임내 신규 슬롯이 할당될 공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 전송 실패를 상기 터미널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스케쥴링 방법.
  11. 삭제
KR1020130036317A 2013-04-03 2013-04-03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음성 통신을 위한 채널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장치 KR101475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317A KR101475140B1 (ko) 2013-04-03 2013-04-03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음성 통신을 위한 채널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317A KR101475140B1 (ko) 2013-04-03 2013-04-03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음성 통신을 위한 채널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973A KR20140120973A (ko) 2014-10-15
KR101475140B1 true KR101475140B1 (ko) 2014-12-23

Family

ID=51992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317A KR101475140B1 (ko) 2013-04-03 2013-04-03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음성 통신을 위한 채널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1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362B1 (ko) * 2017-12-08 2019-05-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 및 이의 전이중 방식 임시 서킷 호 처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2064A (ko) * 1998-03-20 2001-05-25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장-거리 무선 및 단-거리 무선의 작동을 위한 통신 장치및 방법
KR20090031866A (ko) * 2006-05-22 2009-03-3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에 대한 충돌 방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2064A (ko) * 1998-03-20 2001-05-25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장-거리 무선 및 단-거리 무선의 작동을 위한 통신 장치및 방법
KR20090031866A (ko) * 2006-05-22 2009-03-3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에 대한 충돌 방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973A (ko)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3197B2 (ja) ランダムアクセスバックオフ後のランダムアクセスおよびランダムアクセスバックオフを示す方法および装置
JP6651646B2 (ja) 周期的メッセージングによる車両接続のスケジューリングおよびハンドオーバ
US10362597B2 (en) Periodic uplink grant alignment in a cellular network
EP3459306B1 (en) Device and method for a configurable frame structure
US20200163109A1 (en) Sr-bsr and resource management
US20170142732A1 (en) Allocation of shared resources for virtualized networking
JP6790288B2 (ja) グラント不要の送信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102150368B1 (ko)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관련 장치
US11683732B2 (en) Transmission opportunit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06165521B (zh) 多信道接入方法与装置
WO2017000548A1 (zh) 一种语音数据动态延迟调度方法及基站
JP7080882B2 (ja) 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端末および基地局
CN111436065B (zh) 一种数据发送和指示数据发送的方法及设备
KR101475140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음성 통신을 위한 채널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장치
CN106714309B (zh) 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和基站以及其中的方法
US20220240267A1 (en) Resource conflict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1742599A (zh) 无线通信方法、用户设备和网络设备
JP5142283B2 (ja) 無線パケット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674930B1 (ko) Wbsn에서 tdma 기반 mac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 및 그 할당방법
CN109951891B (zh) 一种进行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US10813089B2 (en) Roll-call channel access
WO2011012028A1 (zh) 一种wimax系统中实现用户级带宽限制的方法和装置
WO2023123777A1 (zh) 配置方法、信道监控方法、通信节点及存储介质
CN113840304A (zh) 业务处理方法、参数配置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KR20090019584A (ko) 업링크 자원 할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