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603B1 -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603B1
KR101474603B1 KR1020120053540A KR20120053540A KR101474603B1 KR 101474603 B1 KR101474603 B1 KR 101474603B1 KR 1020120053540 A KR1020120053540 A KR 1020120053540A KR 20120053540 A KR20120053540 A KR 20120053540A KR 101474603 B1 KR101474603 B1 KR 101474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agricultural product
processing
agricultural product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9560A (ko
Inventor
윤상호
이상범
Original Assignee
윤상호
이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호, 이상범 filed Critical 윤상호
Priority to KR1020120053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60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9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가 제공하는 일정한 공간 즉, 공동생산단지(600)에서 집단적으로 농산물을 관리, 가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농산물 가공품을 주문하는 자가 사용하는 단말기(100)로부터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농산물 가공 주문을 받고 이를 공급하는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집단적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 정보 운영자가 제공하는 공간 즉, 공동생산단지 내의 시스템과 전체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을 관리하는 운영관리서버(200)가 공동생산단지 내에 설치된 2대 이상의 농산물 가공기계(400) 각각에 유, 무선 방식에 의해 연결되어 기계를 작동하는 농산물 가공기계 단말기(500)와 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농산물 관리, 가공품 생산 및 판매 유통 정보운영자와 공동생산단지(600) 내에 설치된 2개 이상의 농산물 가공기계에 각각에 대한 소유자 또는 임대인이 집단적으로 농산물을 관리, 가공하며 생산된 농산물을 판매 유통 유통함으로써 1개의 농가에서 단독으로 농산물을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하던 기존의 시스템과 비교하여 고품질의 농산품 생산, 위생적 관리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최근 농산물에 대한 지리적 표시표장의 강화와 함께 믿고 먹을 수 있는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요청이 높아지고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집단적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방법을 적용할 경우 농산물 관리, 가공이 집단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리적 표시표장에 대한 신뢰도 확보와 함께 농산물에 대한 품질 보증이 가능하다. 또한 집단적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방법을 통하여 대량 생산 및 공급이 가능하여 제공되는 제품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방법 및 시스템{Collective management, processing and sales methods and systems of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networks}
본 발명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농산물의 관리, 가공을 집단적으로 실시하고 이를 판매 유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산물에 관한 관리, 가공품 생산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가 자신이 운영하는 일정한 공간의 사업장 즉, 공동생산단지(600) 내에 전체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을 관리하는 운영관리서버(200)와 2개 이상의 농산물 가공기계(400)를 설치하고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운영관리서버(200)와 이들 각각의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되어 기계를 작동하는 개별 단말기(500)를 연결하는 시스템을 구축한 후 각 농산물 가공기계(400) 소유자 또는 임대인과 함께 집단적으로 농산물을 관리, 가공한 후 이를 판매하는 집단적 농산물 관리, 가공, 판매 유통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주문받은 농산물 가공 주문 정보에 따라 가공 농산품을 집단적으로 생산하고 농산물 가공품 주문자에게 배송 또는 판매 유통하고 운영자와 농산물 가공기계 소유자 또는 임대인 사이에 계약에 의해 정해진 내용에 따라 수익을 배분하며 이들 전체를 관리하는 새로운 형태의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이다.
과거에는 농산물을 관리하거나 가공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안전성 보증 방법, 맛을 개선하는 방법, 개별 농작물의 생산량을 늘리거나 계절에 관계없이 생산, 가공할 수 있는 방법 등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농산물 가공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특허번호: 10-0808645)의 경우에도 농산물 생산자 및 가공식품 가공자로부터 생산이력 정보를 전송받아 안전성 검사결과에 대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고 확인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특허를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농산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자본을 투자하여 일정 규모 이상의 농산물 유통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이미 구축한 유통업자와 개별적인 협력을 통하여 진행할 수밖에 없는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농산물을 가공하는 기계와 관련하여서도 농수산물 교반 건조방법과 건조 장치 및 이에 의해 생산된 농산물 식품(출원번호: 10-2004-0088640)에서도 농산물 가공 기계에 관한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였으나 개별 농가 또는 참여농가에서 자본을 투입하여 별도로 시설을 설치하고 해당 개별 또는 시설 참여 농가에 한하여 생산된 농산물에 대한 판매 유통을 또 다른 노력과 비용을 들여 진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사례 외에도 많은 농산물 관리 및 가공은 농가 또는 농산물 취급자의 단독 자본 투입 및 활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농산물의 관리 및 유통과 관련하여서도 다양한 방법에 대한 특허출원이 되어 있으나 대부분 기존에 존재하던 농산물 관리 및 유통 시스템과 차별성을 충분히 살려내지 못하고 당업자로 하여금 용이하기 실시할 수 있는 발명이 대부분이었다. 친환경 농산물 및 그 가공품의 종합 관리 시스템(출원번호: 10-2007-0039399)의 경우에도 농산물 및 가공품의 전체 관리를 위한 방법을 소비자로부터의 주문 단말기로부터 종합관리 웹서버 및 생산자 단말기로 연결하는 등 체계적으로 시스템을 제시하려고 하였으나 기존에 단체 또는 기업에서 진행되고 있는 선행기술 또는 시스템과 차별성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농산물 관리, 가공품 생산 및 판매 유통 정보운영자가 제공하는 공간, 공동생산단지(600)에서 2개 이상의 농산물 가공 기계(400)가 설치되고 이들 각각 기계에 대한 소유자 또는 임대인 2명 이상이 공동생산단지 운영자와 함께 집단적으로 농산물을 관리, 가공하며 생산된 농산물을 판매 유통 유통함으로써 1개의 농가에서 단독으로 농산물을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하던 기존의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고품질의 농산품 생산, 위생적 관리 및 전체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새로운 개념의 집단적 농산물 가공, 관리 및 판매 유통 방법이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스템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농산물 유통에 관한 영업방법과 차별되는 새로운 개념의 영업방법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a)농산물에 관한 관리, 가공품 생산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 (200)와 농산물 가공품을 주문하는 주문자의 단말기(100)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단계; (b) 농산물에 관한 관리, 가공품 생산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와 공동생산단지 내에 설치된 2개 이상의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단계; (c ) 농산물 가공품 주문자의 단말기(100) 화면을 통하여 필요한 농산물 가공품에 대한 주문을 입력받는 단계; (e)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농산물 가공품 주문자가 입력한 주문 정보를 농산물 관리 및 가공품 판매 유통정보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로 전송받는 단계; (f) 농산물에 관한 관리, 가공품 생산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로 전송된 농산물 주문 정보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에 입력되어 농산물 가공기계(400)를 작동되는 단계; (g) 농산물 가공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 결제시스템을 통해 농산물 가공품 주문자로부터 주문된 농산물 가공품의 량에 따라 미리정해 놓은 만큼의 금액을 입금 받고 농산물 가공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와 농산물 가공자 사이에 계약에 의해 정해진 비율에 따라 가공된 농산물이 배송된 이후 수익금이 배분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과거에는 농가에서 자본을 투자하여 일정 규모 이상의 농산물 유통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이미 구축한 유통업자와 개별적인 협력을 통하여 진행할 수밖에 없는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여 왔다. 또한 농산물의 관리 및 유통과 관련하여서도 다양한 방법에 대한 특허출원이 되어 있으나 대부분 기존에 존재하던 농산물 관리 및 유통 시스템과 차별성을 충분히 살려내지 못하고 당업자로 하여금 용이하기 실시할 수 있는 발명이 대부분이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방법은 농산물 관리, 가공품 생산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가 2명 이상의 농산물 가공기계 소유자 또는 임대인과 함께 일정한 공간 즉, 공동생산단지(600)에서 농산물을 관리하고 가공한 후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정보 운영자가 단독 또는 가공자와 공동으로 가공품을 공급 및 판매 유통하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형태의 농산물 관리, 가공 판매 유통 방법이다. 이를 통하여 농산물 관리, 가공 및 유통에 대한 새로운 형태의 시스템 및 프랜차이즈 업이 창출될 것이고, 농산물 가공자는 본 시스템에 참여함으로써 사업자 또는 근로자로 일을 할 수 있게 되어 기존 농산물 관리, 가공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겪는 어려움 중 많은 부분을 해소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교육을 실시하여 개인 사업자로 등록하여 개업 후 모든 일을 사업자가 독립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본 시스템에 참여하여 집단적 농산물 관리, 가공을 하는 동안 교육기간 종료 및 사업자 독립 이후를 가정하여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교육을 실시함과 동시에 교육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본 시스템 참여 및 운영에 의한 개인의 수익창출을 동시에 달성함으로써 창업교육을 받는 자에게 심리적, 경제적 안정을 줄 수 있다. 또한 창업 교육을 이수한 이후에도 시스템 운영자와 계약에 의해 계속적으로 공동생산단지에 남아서 집단적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에 참여할 수 있어 명예퇴직, 실직 또는 청년 실업 등에 의해 현 직장의 업무를 그만두고 재취업을 희망하는 사람들 혹은 귀농을 한 이후에 적절한 아이템을 찾지 못하여 아이템 발굴을 계획하는 사람에게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방법에 관한 시스템이다.
농산물 가공품 주문자는 공동생산단지(600) 내에서 집단적으로 농산물을 관리, 가공하여 생산된 농산물 판매 및 유통에 의하여 고품질의 농산품 생산, 위생적 관리에 의한 안심하고 믿을 수 있는 농산물을 공급받을 수 있어서 가족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국가적으로는 실업자의 수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고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현실에서 혁신적 집단적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한 사업으로 사회 전체의 고용창출 증대와 새로운 프랜차이즈 사업의 발굴 및 이를 전파함으로써 타분야 사업에 활기를 불어 넣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집단적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방법 및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공동생산단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하여 2개 이상의 공동생산단지가 있을 경우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하여 2개 이상의 공동생산단지가 있고 각 공동생산단지 내에 공동생산단지를 관리하는 관리 컴퓨터가 포함된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집단적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단적으로 농산물을 관리, 가공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단적으로 농산물을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농산물 관리 및 가공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운영자가 소유한 일정한 공간 즉, 공동생산단지(600) 내에 2대 이상의 농산물 가공 기계(400)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농산물 가공기계 각각에 농산물 가공기계를 작동할 수 있는 단말기(50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단말기 전체가 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공동생산단지 내에서 집단적으로 농산물을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운영관리서버(200)에 연결되어 운영되는 새로운 형태의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에 관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공동생산단지(600)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지점이 개설되어 운영되고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도 지점이 개설, 운영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농산물 가공품 주문자의 단말기(100) 또는 각 지역에 개설된 대리점 단말기(110)로부터 주문정보를 전송받고 공동생산단지(600)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2개 이상의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와 연결되어 집단적으로 농산물을 관리, 가공품을 생산 이를 유통, 판매 유통하는 모든 정보의 제공 및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운영관리서버(200)와;
상기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운영관리서버(200)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아 농산물을 가공하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된 가공기계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500)와;
전체 시스템을 관리하는 운영관리서버(200)와 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농산물 가공품을 주문할 수 있는 주문자의 단말기(100) 또는 각 지역에 개설된 대리점의 단말기(1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보다 상세한 설명으로, 공동생산단지(600)란 도면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농산물을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정보운영자가 2인 이상이 모여서 함께 농산물 관리, 가공을 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을 마련하고 농산물 가공에 관한 기계(400)가 2개 이상 설치되어 이들 기계 각각의 가공기계에 의해 생산된 농산물을 공동생산단지 운영자가 단독 또는 가공자와 공동으로 판매, 유통을 실시한 후 계약에 의하여 정하여진 내용에 따라 수익을 분배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 새로운 방법에 의한 집단적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시스템 단지이다. 공동생산단지 내의 농산물 가공기계(400)는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로부터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로 직접 전송받거나 또는 운영관리서버(200)에서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로 전송된 정보를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로 전송받아 작동된다. 상기 농산물 공동생산단지(600)는 농산물의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가 농산물 가공기계를 소유하거나 임대하여 공동으로 농산물을 생산하고자 하는 자를 모집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등 농산물 유통 전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공간과 함께 농산물 가공기계를 일정한 수준 이상의 클린룸(700) 내에서 설치하여 농산물의 품질과 깨끗한 위생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농산품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에 관한 종합적 교육을 통하여 1인 창업자를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1인 창업자로 독립한 이후에는 본 유,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프렌차이즈 가맹점이 될 수 있도록 지원된다. 농산물 가공기계는 도면 3과 같이, 각 공동생산단지(600)마다 2개 이상이 설치되어 있으며 국내 뿐 아니라 해외 공동생산단지(610) 지점도 설치하여 운영된다. 또한, 농산물 가공기계(400)는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정보 운영자가 공동생산단지(600)에 필요한 개수를 설치하여 가공기계에 대한 소유권 이전 및 임대를 제공하거나 농산물 가공자가 공동생산단지 운영자와의 계약을 통하여 자신 소유의 기계를 외부에서 반입할 수 있다. 이 경우 공동생산단지 운영자와 농산물 가공기계 소유자 또는 임대인을 포함한 농산물 가공자 간의 권리 의무 기타 사항은 약관 또는 계약체결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 농산물의 가공품이란, 농산물 자체 또는 농산물 내에 함유한 수분을 건조한 후의 단계에서 농산물을 가공하여 소비자에게 판매 유통 되는 가공품을 말하는데, 구체적인 예로 고추, 마늘, 버섯, 쌀, 보리, 수수, 옥수수, 조, 칡, 인삼, 홍삼, 호두, 땅콩, 아몬드, 잣, 해바라기씨, 복분자, 사과, 복숭아, 딸기, 바나나, 포도 등의 농산물을 말한다.
도면 1에서와 같이, 운영관리서버(200)에는 농산물 가공품의 이력정보(농산물이력번호, 생산지(지리정보), 판매 유통지, 보관방법, 농약명, 농약사용횟수, 농약사용일자, 농약제조사, 출하시기, 포장단위, 가격, 생산자 신상정보, 당도, 맛, 무게, 친환경 농산물 인증 등)를 처리하는 모듈이 포함되어 이러한 농산물에 대한 정보를 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주문자의 단말기 단말기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운영관리서버(200)은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되어 농산물 가공기계 작동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말기에 농산물 가공품 주문자의 주문정보(주문날짜, 주문지역, 주문 수량, 가격 등)을 전송하여 주문자의 요청에 따른 농산물 가공을 실시하게 하고 이 과정을 모니터링 한다. 이러한 농산물과 직접 관계되는 정보 외에도 운영관리서버(200)에는 회원가입 및 등록에 관한 정보관리, 주문, 가격 및 배송에 관한 정보관리, 쇼핑몰 웹서버의 관리 및 운영, 타인의 쇼핑몰 웹서버와 연계, 농산물 주문에 대한 결제 및 수익금 배분 등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는 모듈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운영관리서버(200)는 공동생산단지(600)의 개수가 2곳 이상으로 늘어나면 도면 3과 같이, 공동생산단지 외부에 위치하면서 2곳 이상의 단지 내부에 있는 전체 농산물 가공기계를 관리하고 농산물 가공기계 작동에 필요한 정보를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로 전송한다. 이러한 공동생산단지는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도 지점이 개설되어 프랜차이즈 형식으로 운영된다. 운영관리서버(200)는 개별 공동생산단지 내부의 농산물 가공기계(400)의 조작, 운영 및 단지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와 농산물 가공시 품질유지 및 위생상태 점검 등 농산물 가공품 생산 공정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처리한다. 농산물 가공기계(400) 작동 및 운영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운영관리서버(200)에서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가공기계 단말기로 전송되어 설치될 뿐 아니라 간단한 이동식 메모리에 저장 한 후 이를 농산물 가공기계 단말기(500)에 직접 접속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도면 4에서와 같이,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는 공동생산단지 내의 시스템이 복잡하여 전체 시스텀을 관리 통제하는 운영관리서버(200)와에 공동생산단지 내부의 업무환경 및 작업과정 등을 관리하는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가 설치된다.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가 설치될 경우 운영관리서버(200)는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에 언급한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개별 공동생산단지(600)로 제공하고 가공기계(400)에 연결된 단말기(500)는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를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전송받게 된다.
상기 농산물 가공기계(400)는 도면 1에서와 같이, 농산물에 관한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가 제공하는 일정한 공간에 2개 내지는 그 이상 개수의 기계가 설치되어 2인 이상의 농산물 가공자와 정보 운영자가 함께 집단적으로 농산물을 관리, 가공 및 유통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농산물 가공기계(400)에는 가공기계를 작동하는 단말기(500)가 가공기계에 연결되어 있으며 농산물 가공기계(400)를 작동 및 운영에 관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입력되어 운영된다. 또한, 공동생산단지(600) 내의 농산물 가공기계(400)는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로부터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로 직접 전송받거나 또는 운영관리서버(200)에서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로 전송된 정보를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로 전송받아 작동된다. 가공품 주문을 할 때 개별 가공기계(400)를 지정하여 주문을 할 경우 해당 가공기계(400)가 작동되어 농산물 가공품이 생산되지만 주문량이 많을 경우 공동생산단지 내부 또는 외부의 다른 공동생산단지(600a)에 있는 가공기계(400)를 작동하여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공동생산단지(600) 내에 설치된 농산물 가공기계(400)는 단지 내부로 입고되고 농산물이 가공되어 최종 제품이 출하되는 과정 동안 높은 품질과 위생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클린룸에서 관리 운영된다. 농산물 가공기계(400)는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정보 운영자가 공동생산단지(600)에 필요한 개수를 설치하여 가공기계에 대한 소유권 이전 및 임대를 제공하거나 농산물 가공자가 공동생산단지 운영자와의 계약을 통하여 외부에서 반입할 수 있다. 이 경우 공동생산단지 운영자와 농산물 가공기계 소유자 또는 임대인을 포함한 농산물 가공자 간의 권리 의무 기타 사항은 약관 또는 계약체결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농산물 가공기계(400)에 연결되어 농산물 가공기계를 작동하는 단말기(500)는 농산물 가공기계(400)를 작동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가공기계에 연결되어 유, 무선 방식에 의해 기계를 작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농산물 가공기계(400)와 연결된 단말기(500)란 농산물 가공기계(400)의 작동을 위하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농산물 가공기계(400)에 연결할 수 있는 매체를 말하며, 농산물 가공을 위한 단독의 용도로 개발된 단말기뿐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기타 전자기기들을 포함하여 농산물 가공기계(400) 작동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 무선 방식을 통해 가공기계(400)를 작동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농산물 가공기계(400)와 연결된 단말기(500)는 단말기 1대로 공동생산단지 내에 있는 전체 가공기계를 작동할 수 있게 프로그램되거나 개별 가공기계(400) 각각에 연결되어 작동되도록 프로그램된다. 농산물 가공기계(400)와 연결된 단말기(500)는 농산물 가공기계(400)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고, 필요시에는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가 단말기의 역할을 한다. 농산물 주문자의 단말기(100)는 농산물 가공품 주문을 위한 단독의 용도로 개발된 단말기뿐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기타 전자기기들을 포함하여 유, 무선 방식을 통해 농산품 가공품 주문을 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실시 예 1>
본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집단적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 실시 예의 하나로 두부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두부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을 하고자 하는 사업 운영자가 간단하면서 고품질의 두부를 제조할 수 있는 기계(400)를 개발하여 자신의 사업장 즉, 공동생산단지(600)에 2개 이상의 기계를 설치하고 각 기계에는 두부 제조 기계와 연결되어 기계를 작동하는 단말기(500)가 설치된다. 공동생산단지(600) 운영자는 두부를 공동으로 생산하고자 하는 자와 계약을 체결하고 집단적 두부 생산방식을 가동한다. 1개 공동생산단지 내의 클린룸(700)에 약 10여 대가 설치된 두부 가공기계(400)에는 각각의 기계마다 가공자가 있고 사업 운영자는 이들 두부 가공기계(400) 가공자와 함께 집단적으로 두부 생산에 필요한 원료를 관리하고 두부생산을 위한 가공 공정을 운영하며 이러한 전체 시스템은 운영관리서버(200)를 통하여 관리된다. 이들 가공자는 공동생산단지 운영자와 계약을 통하여 두부 가공기계의 소유권 이전 또는 임대차 계약 체결을 통하여 일정한 권리와 의무를 갖게 된다. 일부 두부 가공자 가운데에는 개인적으로 가공기계를 소유하고 있는데 공동생산단지 운영자와 계약을 체결한 후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두부 가공기계를 외부에서 공동생산단지로 반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두부 가공생산 시스템이 가동됨에 따라, 사전에 두부 가공품 주문자 또는 기관의 단말기(100)를 통하여 주문받거나 유, 무선 통신망 및 오프라인 대리점, 영업소의 단말기(110)를 통하여 주문을 받고 두부를 집단적으로 생산, 관리하고 생산된 두부는 사업장 운영자가 자신의 오프라인 대리점, 영업소(110) 및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판매, 유통하거나 가공자와 공동으로 판매, 유통한다. 이렇게 판매된 수익을 기존의 두부 가공기계 소유자 및 임대인과 사전에 계약에 의해 정하여진 내용에 따라 배분하게 된다. 이러한 전체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기 위해 두부 사업 운영자는 공동생산단지(600) 내에 교육장을 만들고 교육시설을 설치하여 공동으로 두부를 생산할 각 기계 소유자 및 임대인과 함께 두부 제조과정 및 품질, 위생 관리, 마케팅 등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여 일정 기간 교육 이수 이후에는 사업장에서 벗어나 독립하여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되는데 이는 1인 창업자 보육센터의 개념을 가지게 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농산물 가공품 주문자의 단말기
110 : 대리점 단말기
200 :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방법에 관한 운영관리서버
300 :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
400 : 농산물 가공기계
500 :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
600 : 공동생산단지
700 : 공동생산단지 내 클린룸

Claims (5)

  1.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방법에 있어서,

    집단적 농산물 관리, 가공품 생산 및 이에 대한 판매, 유통 정보를 운영하는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와 농산물 가공품을 주문하는 주문자의 단말기(100)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단계;
    농산물에 관한 관리, 가공품 생산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와 공동생산단지(600) 내에 설치된 2개 이상의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단계;
    농산물 가공품 주문자의 단말기(100) 화면을 통하여 필요한 농산물 가공품에 대한 주문을 입력받는 단계;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농산물 가공품 주문자가 입력한 주문 정보를 농산물 관리 및 가공품 판매 유통정보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로 전송받는 단계;
    농산물에 관한 관리, 가공품 생산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로 전송된 농산물 주문 정보를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로 전송받는 단계;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에 입력된 주문정보를 통하여 농산물 가공기계(400)가 작동되는 단계;
    농산물 가공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 결제시스템을 통해 농산물 가공품 주문자로부터 주문된 농산물 가공품의 량에 따라 미리정해 놓은 만큼의 금액을 입금 받고 농산물 가공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와 농산물 가공자 사이에 계약에 의해 정해진 비율에 따라 가공된 농산물이 배송된 이후 수익금이 배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방법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농산물에 관한 관리, 가공품 생산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와 농산물 가공품 가공자의 개별 가공기계를 작동하기 위한 단말기(500)의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은,

    농산물 가공기계 작동 및 운영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가 농산물에 관한 관리, 가공품 생산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에서 공동생산단지(600) 내에 설치된 2개 이상의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에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단계;
    농산물 가공기계(400) 작동 및 운영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동생산단지 공간 내에 설치된 2개 이상의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농산물에 관한 관리, 가공품 생산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로 전송된 농산물 주문 정보를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로 전송받는 단계;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에 입력된 주문정보를 통하여 농산물 가공기계(400)가 작동되는 단계;
    농산물 가공이 완료된 후 가공된 농산물에 관한 정보가 농산물 가공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방법
  3. 상기 제1항에 있어서 농산물에 관한 관리, 가공품 생산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와 농산물 가공품 가공자의 개별 가공기계를 작동하기 위한 단말기(500)의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은,

    농산물 가공기계 작동 및 운영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가 운영관리서버(200)에서 공동생산단지 내에 설치된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에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단계;
    운영관리서버(200)에서 공동생산단지 내에 설치된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로 전송된 농산물 가공기계 작동 및 운영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가 공동생산단지 내에 설치된 2개 이상의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에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단계;
    운영관리서버(200)에서 공동생산단지 내에 설치된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로 전송된 농산물 가공기계(400) 작동 및 운영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동생산단지 공간 내에 설치된 2개 이상의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운영관리서버(200)에서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로 전송된 농산물 가공 주문자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에서 농산물 가공자의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로 전송되는 단계;
    운영관리서버(200)에서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로 전송된 농산물 가공 주문자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에서 농산물 가공자의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로 전송되어 농산물 가공기계(400)가 작동되는 단계;
    농산물 가공이 완료된 후 가공된 농산물에 관한 정보가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에서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로 전송되고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에서 농산물 가공 및 판매 유통 정보 운영자의 운영관리서버(20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방법
  4.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시스템에 있어서,

    농산물의 관리, 가공품 생산 및 판매 유통, 대금 결제 정보를 저장, 운영하고 농산물 가공품 주문 단말기(100)와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500)에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치된 운영관리서버(200);
    농산물 가공품 주문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단말기(100);
    집단적으로 농산물을 가공하기 위해 운영하는 공동생산단지(600) 내에 농산물 가공품 생산을 위해 설치된 2개 이상의 농산물 가공기계(400);
    공동생산단지(600) 내에 설치된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되어 농산물 가공기계를 작동하는 단말기(500);로 구성된 시스템이 구축되고,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농산물 가공품 주문자의 단말기(100)로부터 가공품 생산 주문을 받아 운영관리서버(200)를 통해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500)로 전송받은 후 공동생산단지 내에 설치된 2개 이상의 농산물 가공기계(400)의 작동으로 가공품이 생산되어 가공품 주문자에게 배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시스템
  5.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시스템에 있어서,

    농산물의 관리, 가공품 생산 및 판매 유통, 대금 결제 정보를 저장, 운영하고 농산물 가공품 주문 단말기(100)와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에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치된 운영관리서버(200);
    농산물 가공품 주문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단말기(100);
    농산물 관리, 가공 및 판매 유통 정보 제공자가 집단적으로 농산물을 가공하기 위해 운영하는 공동생산단지 내부의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해 설치한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
    집단적으로 농산물을 가공하기 위해 운영하는 공동생산단지 내에 농산물 가공품 생산을 위해 설치된 2개 이상의 농산물 가공기계(400);
    공동생산단지 내에 설치된 농산물 가공기계에 연결되어 농산물 가공기계를 작동하는 단말기(500);로 구성된 시스템이 구축되고,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농산물 가공품 주문자로부터 가공품 생산 주문을 받아 운영관리서버(200), 공동생산단지 관리 컴퓨터(300)를 통해 가공기계에 연결된 단말기로 전송받은 후 공동생산단지(600) 내에 설치된 2개 이상의 농산물 가공기계(400)가 작동되어 가공품이 생산되고,
    생산된 가공품이 가공품 주문자에게 배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시스템
KR1020120053540A 2012-05-21 2012-05-21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101474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540A KR101474603B1 (ko) 2012-05-21 2012-05-21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540A KR101474603B1 (ko) 2012-05-21 2012-05-21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60A KR20130129560A (ko) 2013-11-29
KR101474603B1 true KR101474603B1 (ko) 2014-12-19

Family

ID=4985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540A KR101474603B1 (ko) 2012-05-21 2012-05-21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6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657A (ko) 2018-09-06 2020-03-19 장성식 작물 이미지 빅데이터를 이용한 영농 자동화 시스템
KR20220082952A (ko) 2020-12-10 2022-06-20 주식회사 보로 작물 이미지 빅데이터를 이용한 영농 자동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844A (ko) 2015-01-28 2016-08-05 연천군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영양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92845A (ko) 2015-01-28 2016-08-05 연천군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22199B1 (ko) * 2021-05-25 2023-04-13 박숙현 식재료 가공처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556089B1 (ko) 2022-02-21 2023-07-14 조지성 농축수산물 주문 및 분배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1851A (ja) 2003-11-21 2005-06-16 Mayekawa Mfg Co Ltd 農作物需給管理システム、加工食品受発注システム及び農業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1851A (ja) 2003-11-21 2005-06-16 Mayekawa Mfg Co Ltd 農作物需給管理システム、加工食品受発注システム及び農業支援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657A (ko) 2018-09-06 2020-03-19 장성식 작물 이미지 빅데이터를 이용한 영농 자동화 시스템
KR20220082952A (ko) 2020-12-10 2022-06-20 주식회사 보로 작물 이미지 빅데이터를 이용한 영농 자동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60A (ko)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603B1 (ko)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방법 및 시스템
CN106529871A (zh) 一种智能生产制造方法及系统
Hendrikse et al. Interfirm cooperatives
CN109146372A (zh) 全球智慧制造销售服务体系
Goodhue Food quality: The design of incentive contracts
Gandhi Presidential address: Growth and transformation of the agribusiness sector: Drivers, models and challenges
Tessmann Governance and upgrading in South–South value chains: evidence from the cashew industries in India and Ivory Coast
CN104636964A (zh) 一种在互联网上订购农副产品的电子交易平台模式
CN107665449A (zh) 一种基于互联网的联动农产品供需双方的方法和系统
CN107742198A (zh) 零售商供应链管理方法及装置
KR20170096953A (ko) 농축산물 생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Huh et al. Contract farming with possible reneging in a developing country: Can it work?
CN108665374A (zh) 一种农产品交易网络平台
Emmanuel Enhancing cassava marketing and processing in Cameroon: drivers, constraints, and prospects of the value chain
KR20210026855A (ko) 스마트 팜 시스템
KR101823019B1 (ko)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기반의 버섯농장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691814B2 (ja) 契約栽培情報管理装置及び契約栽培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20000049660A (ko) 인터넷 방송을 통한 건강진단/처방 및 농산품 전자상거래방법
CN107492026A (zh) 农产品交易中订单管理方法及系统
KR20090109361A (ko) 애완동물용 온라인 쇼핑몰 운용방법
Haq Food Value chain analysis: A review of selected studies for Pakistan and Guidelines for Further Research
Melece et al. Development of local food systems in Latvia.
CN111311375A (zh) 一种云农场交易平台及其交易方法
Kaur et al. Market-led-extension: Scope and challenges in the present scenario
CN113191683A (zh) 乳业的生产运营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