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845A -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845A
KR20160092845A KR1020150013754A KR20150013754A KR20160092845A KR 20160092845 A KR20160092845 A KR 20160092845A KR 1020150013754 A KR1020150013754 A KR 1020150013754A KR 20150013754 A KR20150013754 A KR 20150013754A KR 20160092845 A KR20160092845 A KR 20160092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food
app
impr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소영
Original Assignee
연천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천군 filed Critical 연천군
Priority to KR1020150013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2845A/ko
Publication of KR2016009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방법은, 사용자 에피타이트 분석 어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사용자 에피타이트 정보를 수집 관리하고, 사용자 유전 정보, 신체 정보, 및 운동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건강 정보를 수집 관리하며, 각 지역 특산물 상품 라인을 신경성 뇌 질환, 암, 당뇨, 고혈압, 아토피, 치매, 소화 장애, 및 비만 대사중후군 예방/개선용으로 수집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에피타이트 정보와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를 고려하고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신경성 뇌 질환, 암, 당뇨, 고혈압, 아토피, 치매, 소화 장애, 및 비만 대사중후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질환 종류를 선택하며, 상기 각 지역의 특산물 상품 라인에서 상기 사용자 질환 종류와 대응되는 상품 라인을 결정하고, 상기 질환 정보와 대응되는 식품 조합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역 특산물과 연계 되어 사용자 식습관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feeding behavior information of regional specialties}
본 발명은, 영양적인 측면과 그리고 기호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사용자 욕구를 충족시키고, 이와 더불어 지역 사회를 사용자에게 널리 알릴 수 있는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사용자 에피타이트 분석 어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맛 선호도를 조사하고,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사용자 질병 등을 예측하며, 사용자가 소정의 질환을 앓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기존 식단 대신 식감이 동일 혹은 유사하면서 질환 예방 치료를 위하여 더 개선된 영양 식단을 제공하되, 특정 지역에서 생산되는 특산물의 영양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식품 조합을 제안하며, 다른 경우 특정 지역에서 생산되는 특산물을 바디나 페이스에 발라주는 비누 혹은 화장품 형태로 제공하거나, 또 다른 경우 소정 질환 치료용 한약재나 의약품 형태로 제공하는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역 농가에서 생산자가 자신이 선택하여 재배하고 수확한 농산물을 중개 상인에게 판매하고, 중개 상인은 다수 단계로 이루어진 유통 단계를 거쳐 소비자에게 판매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유통 단계가 많아질수록 각 유통 단계마다의 중간 마진으로 인해, 유통 구조의 왜곡 현상이 발생한다. 가령, 생산자는 농산물 판매 시 취득하는 가치가 낮게 되고, 소비자는 구매 시 해당 농산물의 산지 가격에 비해 고비용으로 구매하고 있어, 생산자와 소비자는 불리한 위치에서 경제적인 부담을 가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유통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농산물의 유통 단계를 최소화하여 생산자는 높은 취득 가치를 가지도록 하고, 소비자는 저비용으로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직거래 유통 방식이 활성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농산물의 직거래 유통 방식도 우리나라의 경우 영농 규모가 영세한 경우에는 시장 정보 및 거래 교섭력의 부족으로 농가 취득 가격이 안정되지 못하고, 농산물의 집중화가 어려워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정보 통신 및 인터넷을 이용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간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중개 서버를 활용하여 상호 정보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수의 중간 유통 마진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정보 공유와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농산물의 직거래 유통 방식을 통해, 생산자는 판매망이 확보되어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받을 수 있고, 소비자는 다양한 농산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기존의 중간 상인에 의한 중간 유통 마진을 최소화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농산물 유통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지역 특산물의 요청이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특산물 종합 관리 웹 서버 및 생산자 단말기로 연결되고, 각 특산물이 사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전달되기도 하지만, 특산물과 관련한 각종 건강 정보가 제공되지 않고 오직 상업적 목적에서만 거래되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이 특산물과 관련한 건강식품 정보가 사용자를 위하여 통합적으로 관리되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특히 대부분의 특산물 관련 건강식품 정보가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종 상업용 광고나 단편적인 언론 보도에 의하여 무분별하게 사용자에게 전파되고 있으며, 잘못된 건강식품 정보는 오히려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기도 한다.
또한, 각 지방자치단체는 자신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특산품에 대한 광고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고 있지만 그 광고 효과가 미미하고, 반대로 소비자는 지역의 특산품에 대한 지식이 없거나 잘못되어 있어 많은 노력과 투자에 의하여 생산되고 있는 지역 특산품이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마지막으로, 아무리 영양적인 측면에서 우수하다고 하더라도, 그 식감이 사용자의 기호에 맞지 않다면, 사용자로부터 외면되기 쉽다.
공개특허 10-2013-012956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양적인 면과 기호적인 면에서 사용자의 식생활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산물에 관한 건강식품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의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단계로 이루어지는 유통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각 지역의 생산자의 수익성은 증대되고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은 사용자 식습관 정보를 각 지역 특산물과 연계하여 개선된 영양 정보 및 이에 기초한 기능성 식품 조합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맛의 선호도를 조사 및 관리하는 사용자 에피타이트 정보 DB, 상기 각 지역 특산물 정보를 수집 제공하는 지역 특산물 식품 DB, 상기 사용자의 유전 정보, 신체 정보, 및 운동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건강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건강 정보 DB,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 적합한 식품 조합을 상기 식품 DB에서 선별하고, 상기 선택된 식품 조합에서 상기 사용자 입맛에 어울리는 개선된 사용자 맞춤형 식품 혹은 대체 식품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식습관 관리 서버, 및 사용자 에피타이트 분석 어플리케이션(APP), 및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을 저장하는 기록매체가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에피타이트 분석 어플리케이션(APP)이 구동되어 사용자 입맛 기호 정보를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상기 사용자 에피타이트 정보 DB, 혹은 상기 사용자 식습관 관리 서버에 전달하거나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이 구동되어 상기 사용자 식습관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맞춤형 식품 정보 혹은 대체 식품 정보를 제공 받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방법은, 사용자 에피타이트 분석 어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사용자 에피타이트 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단계, 사용자 유전 정보, 신체 정보, 및 운동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건강 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단계, 각 지역 특산물 상품 라인을 신경성 뇌 질환, 암, 당뇨, 고혈압, 아토피, 치매, 소화 장애, 및 비만 대사중후군 예방/개선용으로 수집 관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에피타이트 정보와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를 고려하고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신경성 뇌 질환, 암, 당뇨, 고혈압, 아토피, 치매, 소화 장애, 및 비만 대사중후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질환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지역의 특산물 상품 라인에서 상기 사용자 질환 종류와 대응되는 상품 라인을 결정하고, 상기 질환 정보와 대응되는 식품 조합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사용자의 기존에 즐기던 식감을 가능하면 그대로 살리면서 영양적인 측면에서 더 개선된 식단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식탐을 만족시키는 효과가 기대된다.
둘째, 지역 특산물이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와 연계됨으로써, 특산물에 대한 별도의 광고 부담을 가지지 않으면서 홍보 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고, 중간 유통 과정이 생략됨으로써 특산물의 생산자는 수익을 충족하고 사용자는 보다 저렴한 가격에 특산물을 구입하는 경제적인 효과가 기대되며, 지역 특산물을 사용자와 연계하면서, 자연스럽게 지역을 소개할 수 있어 지역의 관광 산업을 활성화하며, 결국에는 관광객 유치에도 이바지하는 마케팅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에피타이트 분석 어플리케이션(APP)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역 특산물 서버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 특산물 연계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100)은, 사용자 식습관 정보를 각 지역 특산물과 연동시켜 보다 개선된 사용자 맞춤형 영양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이 시스템(100)은 전술한 영양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성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조합(이하, 식품 조합이라 한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역 특산물 연계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에피타이트 선호도를 조사 및 관리하는 사용자 에피타이트 정보 DB(102), 상기 사용자의 유전 정보, 신체 정보, 및 운동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건강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건강 정보 DB(104), 상기 각 지역 특산물 정보를 수집 제공하는 지역 특산물 식품 DB(106), 상기 각 지역 특산물을 요리하여 판매하는 음식점 혹은 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점을 조사하여 선정하는 지역 특산물 맛집 DB(108),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 적합한 식품 조합을 상기 식품 DB(106)에서 선별하고, 상기 선택된 식품 조합에서 상기 사용자 입맛에 어울리는 개선된 사용자 맞춤형 식품 혹은 대체 식품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식습관 관리 서버(110), 및 사용자 에피타이트 분석 어플리케이션(APP)을 저장하는 기록매체가 설치되고 사용자 에피타이트 분석 어플리케이션(APP)이 구동되어 사용자 입맛 기호 정보를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사용자 식습관 관리 서버(110)에 전달하거나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이 구동되어 상기 사용자 식습관 관리 서버(110)로부터 상기 사용자 맞춤형 식품 정보를 제공 받는 사용자 단말기(12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에피타이트 정보 DB(102)는, 전술한 사용자 에피타이트 분석 어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분석된 사용자 입맛 기호 정보를 수집 관리한다.
가령, 레시피(recipe) 별로 사용자 선호도를 조사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무침류, 찌개류, 탕류, 조림류, 찜류, 구이류, 복음류, 혹은 튀김류 중 어느 것을 선호하는지, 혹은 단맛(당도의 강약), 신맛(산도의 강약), 짠맛(염도의 강약), 매운맛(캡사이신의 강약), 쓴맛(키니테의 강약), 고소한 맛(유분의 강약), 및 떫은 맛(타닌의 강약) 중 어느 것을 선호하는지 여부를 통해 사용자의 입맛 기호를 알 수 있다.
혹은 재료(ingredient) 별로 사용자 선호도를 조사하여 사용자 입맛 기호를 분석할 수 있다. 일례로, 밥은 쌀밥, 보리밥, 콩밥, 현미밥, 혹은 율무밥 등으로 선호도를 분석할 수 있고, 반찬은 육류, 어류, 혹은 채소류 등으로 선호도를 분석할 수 있다. 육류를 선호하는 경우에도, 소고기, 돼지고기, 혹은 닭고기 중 어느 것을 더 선호하는지, 어류를 선호하는 경우에도 갈치, 오징어, 고등어, 삼치, 꽁치, 혹은 참치 중에서 어느 것을 더 선호하는지, 채소류의 경우, 오이, 감자, 호박, 깻입, 상추, 버섯, 무, 배추, 미나리, 콩나물, 연근, 가지, 시금치, 고추, 혹은 고사리 중에서 어느 것을 더 선호하는지 조사하여 사용자 입맛 기호를 조사할 수 있다.
사용자 건강 정보 DB(104)는, 사용자 유전 정보, 신체 정보, 및 운동 정보 기타 건강 정보 등을 분석 및 관리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건강 검진과 연계하여 상기 건강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 개인의 진료 기록을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건강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등의 기본 신상 정보와, 체중, 신장, 음주 여부, 흡연 여부 등과 같이 수시로 변동하는 부가 정보, 그리고 과거 병력, 가족력 등의 특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건강 정보 DB(104)는, 상기 유전 정보, 상기 신체 정보, 및 상기 운동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각종 질환 정보를 수집 관리할 수 있다. 가령, 신경성 뇌 질환 정보, 암 질환, 당뇨 고혈압 질환 정보, 치매 질환 정보, 아토피 질환 정보, 소화 장애 질환 정보, 또는 비만 대사증후군 질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혹은 한의학적 관점에서, 사용자의 체질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및 소음인으로 분류하여 건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지역 특산물 식품 DB(106)는 그 지역에서 생산되는 특산물에 관한 정보를 수집 관리한다. 상기 지역 특산물은, 가령 연천 지역에서 생산되는 율무, 및 안토시아닌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의약품, 또는 화장품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건강기능성 식품은 연천 지역에서 생산되는 율무, 콩, 쌀의 식품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지역 특산물은, 천연 식품 그 자체이거나 천연 식품을 가공 처리한 가공 식품일 수 있다. 가공 형태에 따라 건조되거나 혹은 섭취가 용이한 음료 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 노약자가 어린이가 섭취하기 용이하도록 젤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역 특산물의 포장 용기의 일측에 QR 코드가 인쇄되고, 상기 QR 코드는 상기 특산물에 관한 용법과 효능을 암호화할 수 있다. 후술하는 카메라 모듈(122)을 이용하여 위 이차원 코드를 스캔하고, 그 용법 및 효능 등을 사용자 단말기(120)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역 특산물 식품 DB(106)는, 상기 지역 특산물로 개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각종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식품, 의약품, 혹은 화장품을 라인별로 분류한 것이다. 예를 들면, 신경성 뇌질환 예방/개선용 상품 라인, 암 예방/개선용 상품 라인, 당뇨 고혈압 예방/개선용 상품 라인, 치매 예방/개선용 상품 라인, 아토피 예방/개선용 상품 라인, 소화 장애 예방/개선용 상품 라인, 또는 비만 대사증후군 예방/개선용 상품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역 특산물 식품 DB(106)는, 복수 지역으로 구성됨으로써, 일 지역에서 생산되지 않는 특산물을 다른 지역의 특산물과 연계하여 보완할 수 있다. 지역 특산물 식품 DB(106)는 특산물의 이력 정보를 상품 정보와 함께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령, 특산물 이력 정보는 특산물 생산자 정보, 생산 지역 정보, 출하 시점 정보, 유기농 여부, 친환경 인증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역 특산물 맛집 DB(108)는, 해당 지역의 특산물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음식점에 한하여 등록된다. 음식점은 식당 혹은 찻집 등 제한을 두지 않는다. 서비스점은, 해당 지역의 특산물을 이용하여 가공하고 제공하는 것이라면 뷰티 샵이나 마사지 샵도 포함될 수 있다. 해당 맛집은 메뉴별로 분류될 수 있는데, 사용자 에피타이트 선호도를 기준으로 하거나, 취급되는 주재료 중심으로 분류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역 특산물 맛집 DB(108)는 위치 기반 맵이나 지역 정보 제공 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식습관 관리 서버(110)는, 사용자의 상기 유전 정보, 상기 신체 정보, 및 상기 운동 정보 그리고 사용자의 각종 질환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맞춤형 영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영양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개선된 식습관 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식습관 관리 서버(110)를 통하여 사용자의 각종 신경성 뇌 질환, 암, 당뇨, 고혈압, 아토피, 치매, 소화 장애, 및 비만 대사중후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질환 종류가 단수 혹은 복수로 선택되면, 지역 특산물 식품 DB(106)에서 상기 질환 종류와 대응되는 상품 라인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식습관 정보와 대응되는 식품 조합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위 식품 조합 정보를 사용자의 체질과 상태 그리고 요구에 따라 건강기능성 식품 형태, 의약품 형태, 또는 화장품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식습관 관리 서버(110)에 의하면, 사용자의 입맛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이와 식감이 동일 유사하면서 사용자 질병을 예방 혹은 치료하는데 효과적이거나 영양 정보가 더 개선된 다른 식품 조합 혹은 대체 식품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양 방향 통신이 가능하다면, 유선 단말기는 물론이고 스마트폰, 휴대폰, 아이폰, 노트북 컴퓨터 혹은 이동성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양 방향 사용자 단말기는, 이차원 코드(가령, QR 코드/바코드)를 스캔하는 카메라 모듈(122),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이 저장되는 메모리 모듈(124), 단말기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를 구동하거나 사용자 식습관 관리 서버(110)와 직접 네트워크를 수행하여 사용자 맞춤형 영양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 모듈(126), 및 사용자 맞춤형 영양 정보를 보여주거나 말해주는 표시 모듈(12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은, 사용자의 신체 정보 관리 모듈(P1), 사용자의 운동 정보 관리 모듈(P2), 사용자의 생활 습관 정보 관리 모듈(P3), 및 상기 각 모듈의 정보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질병 등을 예측하는 사용자 질병 예측 모듈(P4)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자신의 맞춤형 영양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입맛 기호 분석 결과 보리밥을 주식으로 하고, 고소한 맛의 찜류를 즐기는 것으로 나타나고, 사용자가 당뇨 고혈압과 소화 장애를 앓고 있는 경우,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은 보리밥을 대신하여 식감이 보리밥과 매우 유사하면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혈당을 낮추고 소화 촉진에 효과적인 A지역에서 생산되는 율무와, B지역에서 생산되는 청정 쌀을 혼합한 잡곡밥을 제안하고, C지역에서 생산되는 고등어 무 조림을 반찬으로 제안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의 건강 정보에서 피부가 민감하고 건성으로 분석되고 아토피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A지역에서 생산되고 수분 공급에 효과적인 율무 로션을 바디 혹은 페이스에 발라 주거나 율무 비누를 세안 시 사용할 것을 제안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심장 뇌 질환 치료가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동맥경화와 심장병 치료에 효과적인 A지역에서 생산되는 율무를 한약재나 의약품 형태로 섭취할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은 사용자 단말기(120)의 카메라 모듈(122)을 이용하여 지역 특산물의 포장 용기 일측에 인쇄되는 이차원 코드 등을 촬영하면 쉽게 설치 및 구동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역 특산물 연계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0)를 통해 네트워크(Network)에 접속하여 사용자 식습관 관리 서버(11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에피타이트 분석 어플리케이션(APP)을 구동하여 사용자 입맛 기호를 입력한다. 사용자 에피타이트 정보 DB(102)는 지역 특산물의 레시피 별로 혹은 재료 별로 사용자 선호도를 조사하여 사용자의 입맛 기호를 특정할 수 있다.(S10)
사용자 유전 정보, 신체 정보, 및 운동 정보 기타 사용자 건강 정보를 입력하고, 건강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한다.(S20) 이때, 사용자 건강 정보 DB(104)는 건강 정보를 건강 검진 병원과 연계하여 수집할 수 있다.
각 지역의 특산물 식품 DB(106)에서 신경성 뇌 질환, 암, 당뇨, 고혈압, 아토피, 치매, 소화 장애, 및 비만 대사중후군 예방/개선용으로 각 지역 특산물 상품 라인을 수집 관리한다.(S30)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이 구동되면, 사용자 식습관 관리 서버(110)는 상기 사용자 에피타이트 정보와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를 이용하여 신경성 뇌 질환, 암, 당뇨, 고혈압, 아토피, 치매, 소화 장애, 및 비만 대사중후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질환 종류를 선택한다.(S40)
사용자 식습관 관리 서버(110)는 각 지역의 특산물 식품 DB(106)에서 상기 사용자 질환 종류와 대응되는 상품 라인을 결정하고, 상기 질환 정보와 대응되는 식품 조합 정보를 선별한다.(S50)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식습관 정보와 대응되는 개선된 식품 조합 정보 혹은 대체 식품 조합 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다.
또한, 위 식품 조합 정보를 사용자의 체질과 건강 상태 그리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건강기능성 식품 형태, 의약품 형태, 또는 화장품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S60) 그리고, 상기 식품 조합의 용량, 효능 및 부작용 등을 함께 안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사용자의 식습관 정보 및 식품 조합 정보를 다이어트, 뷰티, 에너지, 혹은 빌드 업 관점에서 각각 제공할 수 있다.(S70)
필요하면, 사용자가 지역 맛집 DB(108)을 통해 직접 방문하여 지역 특산물 음식점이나 서비스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S8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에피타이트 정보를 각 지역 특산물과 연계하여 사용자 맞춤형 영양 정보 및 이에 기초한 기능성 식품 조합을 제공되는 구성을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시스템
102: 사용자 에피타이트 정보 DB 104: 사용자 건강 정보 DB
106: 지역 특산물 식품 DB 108: 지역 특산물 맞집 DB
120: 사용자 단말기

Claims (10)

  1. 사용자 식습관 정보를 각 지역 특산물과 연계하여 개선된 영양 정보 및 이에 기초한 기능성 식품 조합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맛의 선호도를 조사 및 관리하는 사용자 에피타이트 정보 DB;
    상기 각 지역 특산물 정보를 수집 제공하는 지역 특산물 식품 DB;
    상기 사용자의 유전 정보, 신체 정보, 및 운동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건강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건강 정보 DB;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 적합한 식품 조합을 상기 식품 DB에서 선별하고, 상기 선택된 식품 조합에서 상기 사용자 입맛에 어울리는 개선된 사용자 맞춤형 식품 혹은 대체 식품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식습관 관리 서버; 및
    사용자 에피타이트 분석 어플리케이션(APP), 및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을 저장하는 기록매체가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에피타이트 분석 어플리케이션(APP)이 구동되어 사용자 입맛 기호 정보를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상기 사용자 에피타이트 정보 DB, 혹은 상기 사용자 식습관 관리 서버에 전달하거나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이 구동되어 상기 사용자 식습관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맞춤형 식품 정보 혹은 대체 식품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특산물 사용자 식습관 개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역 특산물을 요리하여 판매하는 음식점 혹은 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점을 조사하여 선정하는 지역 특산물 맛집 D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특산물 사용자 식습관 개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역 특산물은, 적어도 연천 지역에서 생산되는 율무, 및 안토시아닌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의약품, 또는 화장품 중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특산물 사용자 식습관 개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특산물 식품 DB는, 상기 각 지역 특산물을 직접 사용한 것으로, 신경성 뇌질환 예방/개선용 상품 라인, 암 예방/개선용 상품 라인, 당뇨 고혈압 예방/개선용 상품 라인, 치매 예방/개선용 상품 라인, 아토피 예방/개선용 상품 라인, 소화 장애 예방/개선용 상품 라인, 및 비만 대사중후군 예방/개선용 상품 라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품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특산물 사용자 식습관 개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쌍 방향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이차원 코드를 스캔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사용자 에피타이트 분석 어플리케이션(APP), 및 상기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이 저장되는 메모리 모듈;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을 구동하거나 상기 식습관 관리 서버와 직접 네트워크를 수행하여 사용자 맞춤형 영양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맞춤형 영양 정보를 보여주거나 말해주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특산물 사용자 식습관 개선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에피타이트 분석 어플리케이션(APP)은,
    상기 사용자 입맛의 선호도를 당도의 강약, 산도의 강약, 염도의 강약, 캡사이신의 강약, 키니테의 강약, 유분의 강약, 및 타닌의 강약의 조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특산물 사용자 식습관 개선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은,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 관리 모듈;
    상기 사용자 운동 정보 관리 모듈;
    상기 사용자 생활습관 정보 관리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의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사용자 질병을 예측하는 사용자 질병 예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특산물 사용자 식습관 개선 시스템.
  8. 사용자 에피타이트 분석 어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사용자 에피타이트 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단계;
    사용자 유전 정보, 신체 정보, 및 운동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건강 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단계;
    각 지역 특산물 상품 라인을 신경성 뇌 질환, 암, 당뇨, 고혈압, 아토피, 치매, 소화 장애, 및 비만 대사중후군 예방/개선용으로 수집 관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에피타이트 정보와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를 고려하고 사용자 식습관 개선 어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신경성 뇌 질환, 암, 당뇨, 고혈압, 아토피, 치매, 소화 장애, 및 비만 대사중후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질환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지역의 특산물 상품 라인에서 상기 사용자 질환 종류와 대응되는 상품 라인을 결정하고, 상기 질환 정보와 대응되는 식품 조합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특산물 사용자 식습관 개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합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함에 있어서, 건강기능성 식품, 의약품, 또는 화장품 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선택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특산물 사용자 식습관 개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합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함에 있어서, 다이어트, 뷰티, 에너지, 혹은 빌드 업 관점에서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특산물 사용자 식습관 개선 방법.
KR1020150013754A 2015-01-28 2015-01-28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92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754A KR20160092845A (ko) 2015-01-28 2015-01-28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754A KR20160092845A (ko) 2015-01-28 2015-01-28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845A true KR20160092845A (ko) 2016-08-05

Family

ID=5671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754A KR20160092845A (ko) 2015-01-28 2015-01-28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284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870B1 (ko) * 2018-04-27 2019-02-21 (주)소울시스템즈 맛성향평가를 이용한 개인 음식 성향의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1950869B1 (ko) * 2018-04-27 2019-02-21 (주)소울시스템즈 음식평가기록과 음식점매칭정보를 이용한 음식점 허위정보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2444A (ko) * 2018-12-12 2020-06-22 주식회사 누비랩 급식관리 시스템
KR102278646B1 (ko) * 2020-08-12 2021-07-19 주식회사 디이프 고객 맞춤형 식품 추천 시스템
KR20210102729A (ko) * 2020-02-12 2021-08-20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재가노인을 위한 식단 레시피 제공 시스템
KR102321406B1 (ko) * 2021-02-08 2021-11-03 방관수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CN113837900A (zh) * 2021-09-22 2021-1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烹饪设备的油烟参数分析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9560A (ko) 2012-05-21 2013-11-29 윤상호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9560A (ko) 2012-05-21 2013-11-29 윤상호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농산물의 집단적 관리, 가공, 판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870B1 (ko) * 2018-04-27 2019-02-21 (주)소울시스템즈 맛성향평가를 이용한 개인 음식 성향의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1950869B1 (ko) * 2018-04-27 2019-02-21 (주)소울시스템즈 음식평가기록과 음식점매칭정보를 이용한 음식점 허위정보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2444A (ko) * 2018-12-12 2020-06-22 주식회사 누비랩 급식관리 시스템
KR20210102729A (ko) * 2020-02-12 2021-08-20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재가노인을 위한 식단 레시피 제공 시스템
KR102278646B1 (ko) * 2020-08-12 2021-07-19 주식회사 디이프 고객 맞춤형 식품 추천 시스템
KR102321406B1 (ko) * 2021-02-08 2021-11-03 방관수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CN113837900A (zh) * 2021-09-22 2021-1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烹饪设备的油烟参数分析方法
CN113837900B (zh) * 2021-09-22 2024-02-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烹饪设备的油烟参数分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dler et al. Processed food classification: Conceptualisation and challenges
Adams et al. Public health response to ultra-processed food and drinks
Monteiro et al. The UN Decade of Nutrition, the NOVA food classification and the trouble with ultra-processing
KR20160092845A (ko)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World Health Organization Consideration of the evidence on childhood obesity for the Commission on Ending Childhood Obesity: report of the ad hoc working group on science and evidence for ending childhood obesity, Geneva, Switzerland
Lau et al. Functional food: a growing trend among the health conscious
Lähteenmäki Claiming health in food products
Giusti et al. Exploring new frontiers in total food quality definition and assessment: From chemical to neurochemical properties
Burns et al. Role of expendable income and price in food choice by low income families
Walls et al. Why we are still failing to measure the nutrition transition
Pulz et al. Are campus food environments healthy? A novel perspective for qualitatively evaluating the nutritional quality of food sold at foodservice facilities at a Brazilian university
Hardin-Fanning et al. Food cost disparities in rural communities
Lampila et al. Consumer attitudes towards enhanced flavonoid content in fruit
Rojas-Rivas et al. Consumers’ perception of amaranth in Mexico: A traditional food with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foods
Boateng et al. Acceptability of complementary foods that incorporate Moringa oleifera leaf powder among infants and their caregivers
Guthrie et al. Americans’ food choices at home and away: How do they compare with recommendations?
Kim et al. The study on development of easily chewable and swallowable foods for elderly
Offei–Ansah Food habits and preferences as a factor in the choice of meals by students in the University of Cape Coast
Drewnowski The carbohydrate-fat problem: can we construct a healthy diet based on dietary guidelines?
Luu et al. Larger serving size and seasoning’s role in consumer behaviors toward vegetables
Wills et al. Symposium 2: Nutrition and health claims: help or hindrance European consumers and health claims: attitudes, understanding and purchasing behaviour
Lähteenmäki Consumer interpretation of nutrition and other information on food and beverage labels
Kwok et al. Enhancing healthy eating patterns among Hong Kong young adults
Bruegel From the crisis of food to food in crisis
Blandon et al. Functional Food and Natural Health Product Issues: The Canadian and International Cont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