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406B1 -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406B1
KR102321406B1 KR1020210017826A KR20210017826A KR102321406B1 KR 102321406 B1 KR102321406 B1 KR 102321406B1 KR 1020210017826 A KR1020210017826 A KR 1020210017826A KR 20210017826 A KR20210017826 A KR 20210017826A KR 102321406 B1 KR102321406 B1 KR 102321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ctor
customer
analysis
sec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관수
Original Assignee
방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관수 filed Critical 방관수
Priority to KR1020210017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2Bread bo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하여 전문가가 직접 고객에게 건강관리와 질병의 예방 및 관리, 의료에 대한 솔루션과 식사와 레시피 및 식자재 공급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생활습관 및 식습관이 건강과 질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이 크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고객이 최초 회원으로 가입할 때 식습관의 기초 자료를 만들기 위하여 별도로 구비된 입맛진단 키트로 입맛을 테스트하여 짠맛, 단맛, 신맛, 매운맛을 표준화한 자료와 좋아하는 식단, 식생활 습관,체형, 질병 등의 표준 문진표에 입력된 기초자료를 파악하여 데이터화 하고, 온라인에서 배달음식 주문 어플 분석자료와 전자금융 결제 분석자료를 분석하여 식습관을 데이터화 하고, 스마트 기기, 웨어러블 기기, 운동관련 어플, 포털 사이트에서 고객의 활동량과 운동량 등 생활습관을 온라인에서 수집 분석하여 데이터화 하고, 보험공단, 의료기관, 전자 금융 사용 내역을 온라인에서 의료행위를 수집분석 하여 데이터화한 고객생성 자료 데이터 섹터와, 음식물 성분 섭취와 건강, 운동 및 활동량과 건강, 질병 발병과 악화 원인, 질병 치료와 예방 및 관리에 대한 인과관계 및 연관성을 빅 데이터에서 AI기술로 비교 분석하여 데이터화 한 빅데이터 분석자료 섹터의 데이터를 AI기술로 비교 분석, 진단, 예측한 다음 각 분야의 전문가가 AI 분석자료를 평가 및 진단하고 고객 특성에 알맞은 식사제공,식자재 및 레시피 제공, 건강관리, 질병관리,의료 및 기타 유용한 부대서비스를 전문가로 부터 고객이 직접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커뮤니티를 통해 각종 유용정보 제공과 자동 알림 서비스 등를 고객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Customized Clientcare service platform system}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모든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빅 데이터(Big 데이터),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을 이용하여 고객의 생활습관, 식습관, 건강상태, 의료행위 자료를 온라인(On-line)상에서 수집하여 고객 개인별 데이터를 만들어 저장 및 관리하고 이 자료와 빅 데이터에서 생활습관과 식습관이 건강과 질병에 미치는 의학적 자료를 분석한 데이터를 AI기술로 비교 분석하여 건강상태, 질병발병, 진단, 예측을 통해 전문가로 하여금 고객의 특성에 맞게 식사와 레시피 및 식자재를 제공하고, 고객의 특성에 맞게 건강관리와 질병예방 및 관리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의 모든 정보는 블록체인과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보호 및 저장관리 되는 ICT, 빅데이터, 클라우드, 블록체인, AI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천적 배경은 인류 생존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 권리인 무병장수 욕구를 충족하는데 있다. 무병장수의 기본은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것으로 구분이 되는데 선천적인 것은 후천적으로 철저한 관리를 통하여 질병의 발병을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있고 선천적으로 건강하게 태어났어도 나쁜 식,생활 습관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면 건강이 악화 되거나 질병이 발병 할 수 있으므로 후천적 관리가 더욱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후천적으로 건강을 유지시키고 질병을 예방,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한다.
인간의 삶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먹는 것과 활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건강관리와 질병예방은 식습관과 생활습관에서 그 원인과 방안을 찾을 수 있으며 이 습관들은 자신이 스스로 만들어 내는 부분도 있지만 부모님으로부터 많은 부분 유전되고 있으며 이렇게 만들어진 습관은 본인이 모를 수도 있고 알면서도 고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CT기술과 AI기술을 활용하여 온/오프 라인에서 고객의 식.생활습관 및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데이터화하고, 빅데이터 기반에서 식,생활습관과 건강과의 인과관계를 AI기술로 분석하여 데이터화 한후, AI기술로,분석,진단,예측하여 분야별 전문가가 고객에게 최적의 식,생활습관 솔루션과 건강관리 솔루션 및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며 ,블록체인 기술로 관리하고, 클라우드 기반으로 저장하여 운영되는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41261호(2020.12.18.)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을 통하여 전문가가 직접 고객에게 건강관리와 질병의 예방 및 관리, 의료에 대한 솔루션과 식사와 레시피 및 식자재 공급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생활습관 및 식습관이 건강과 질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이 크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고객이 최초 회원으로 가입할 때 식습관의 기초 자료를 만들기 위하여 별도로 구비된 입맛진단 키트로 입맛을 테스트하여 짠맛, 단맛, 신맛, 매운맛을 표준화한 자료와 좋아하는 식단, 식생활 습관,체형, 질병 등의 표준 문진표에 입력된 기초자료를 파악하여 데이터화 하고, 온라인에서 배달음식 주문 어플 분석자료와 전자금융 결제 분석자료를 분석하여 식습관을 데이터화 하고, 스마트 기기, 웨어러블 기기, 운동관련 어플, 포털 사이트에서 고객의 활동량과 운동량 등 생활습관을 온라인에서 수집 분석하여 데이터화 하고, 보험공단, 의료기관, 전자 금융 사용 내역을 온라인에서 의료행위를 수집분석 하여 데이터화한 고객생성 자료 데이터 섹터와, 음식물 성분 섭취와 건강, 운동 및 활동량과 건강, 질병 발병과 악화 원인, 질병 치료와 예방 및 관리에 대한 인과관계 및 연관성을 빅 데이터에서 AI기술로 비교 분석하여 데이터화 한 빅데이터 분석자료 섹터의 데이터를 AI기술로 비교 분석, 진단, 예측한 다음 각 분야의 전문가가 AI 분석자료를 평가 및 진단하고 고객 특성에 알맞은 식사제공,식자재 및 레시피 제공, 건강관리, 질병관리,의료 및 기타 유용한 부대서비스를 분야별 전문가로부터 고객이 직접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커뮤니티를 통해 각종 유용정보 제공과 자동 알림 서비스 등를 고객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은 고객이 회원 가입 시 별도로 구비된 입맛 진단 키트로 테스트한 입맛 테스트 자료와 건강관련 문진입력 자료와 체형 및 식,생활습관에 대한 문진입력 기초 자료를 입력받는 기초자료 데이터 섹터부; 고객에게 제공되는 식사주문 및 제공 서비스의 누적 자료와 고객이 별도로 주문하는 배달음식 주문 어플 및 포털 사이트 분석자료, 일반음식점 및 주점에서의 식생활 활동 파악을 위한 전자금융 사용내역 분석자료를 온라인으로 수집하여 분석하는 식습관 데이터 섹터부; 고객의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기기, 운동관련 어플 및 포털 사이트에서 활동자료를 온라인으로 수집하여 분석하는 생활습관 데이터 섹터부; 의료보험공단 및 의료기관의 서버와 연계하여 수집한 고객의 건강진단 및 의료행위 자료와 전자금융 사용내역 중 의료행위 자료를 온라인으로 수집하여 분석하는 건강 및 의료정보 데이터 섹터부; 포털 사이트, 의료 전문기관 및 학회 학술지, 연구논문, 처방전 자료, 투약성분 자료, 식물 성분 분석자료, 음식물 성분섭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운동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클라우드 기반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음식물 성분 섭취와 건강, 운동 및 활동량과 건강, 식,생활 습관이 질병의 발병과 악화 및 치료, 관리와의 상호 인과관계와 연관성을 AI의 머신러닝 기술로 분석하여 데이터화하는 식,생활과 질병과의 인과관계 분석 데이터 섹터부; 블록체인 기술로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에서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블록체인 활용 클라우드 저장 데이터 섹터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관리, 저장 섹터부; 상기 기초자료 데이터 섹터부와 상기 식습관 데이터 섹터부와 상기 생활습관 데이터 섹터부의 데이터를 AI의 패턴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식,생활 패턴 AI 분석 섹터부; 고객 건강 및 의료정보 데이터 섹터부의 데이터를 AI의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건강상태 AI 분석 섹터부;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AI의 머신러닝 기술로 식,생활과 질병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데이터 섹터부의 데이터를 AI의 머신런닝 기술로 분석,진단,예측하는 AI 분석, 진단, 예측 섹터부; 상기 AI 분석, 진단, 예측 섹터부에서 분석, 예측된 자료를 각각의 전문가 그룹이 평가,분석,고객상담,진단,처방을 하는 전문가 그룹 분석,평가,상담,진단, 처방 섹터부; 상기 전문가 그룹 분석,평가,상담,진단,처방 섹터부의 전문그룹과 고객의 상담, 추천, 커뮤니티를 통하여 고객이 결정하고 주문한 오더가 각각의 서비스 실행 전문가 그룹에 배정되어 고객에게 맞춤형 식사와 식자재 및 레시피를 제공하는 제1비지니스 섹터부; 및 고객 맞춤형 건강관리와 질병관리 및 부대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비지니스 섹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AI 분석, 진단, 예측 섹터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블록체인 기술로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에서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블록체인 활용 클라우드 저장 데이터 섹터부를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 블록체인 활용 클라우드 저장 데이터 섹터부의 자료는 상기 AI 분석, 진단, 예측 분석 섹터부의 분석,진단,예측 데이터로 다시 활용되는 순환 구조를 갖고, 상기 제1비지니스 섹터부는 상기 전문가 그룹 분석,평가,상담,진단,처방 섹터부에서 정보를 수신하는 본사 서버; 분석,진단,예측하는 섹터부에서 AI분석 정보를 수신하는 전문가 그룹 서버; 분야별 전문가가 정보를 분석,평가,진단하고 결과 정보를 고객과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전문가가 고객에게 맞춤형 식단과 레시피 및 식자재를 추천하고, 고객은 관련분야 전문가와 상담 및 진료, 추천 내용과, 전문가와의 커뮤니케이션, 가족, 회원, 회사와 커뮤니케이션을 하도록 하며, 메뉴, 오더 및 배송을 제공하는 자동 알리미 기능을 갖춘 커뮤니티 섹터부; 고객이 필요한 오더를 결정할 수 있도록 오늘의 메뉴, 식재료, 주요성분, 입맛기준, 조리정보,식자재 생산정보, 전문가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섹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사 서버는 상기 정보제공 섹터부로부터 정보가 고객에게 제공되어, 고객이 얻은 정보를 참고하여 결정한 오더를 내리면, 오더를 접수하고, 오더를 고객 식습관 데이터 섹터부에 전송하여 고객의 식습관 데이터로 활용되도록 하고, 접수된 고객의 오더 내용을 지역을 총괄하는 지역본부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지역본부 서버는 접수된 정보를 관할 지역내의 조리 및 식자재를 담당하는 관할 전문가그룹 서버와 식자재, 반찬가게, 지역식당, 지역발굴 일반가정의 지역공유 섹터부에서 확보된 식자재 및 반찬, 요리 및 조리능력을 AI기술로 분석하여 각각의 업무를 분장하고 각각의 담당자 서버에 세부 실행 오더를 내리며, 상호 연계하여 고객의 오더를 수행케 하고 지역본부 서버의 구역내 고객관리와 품질 및 위생관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전문가그룹 서버가 지역본부 서버에서 받은 오더를 지역공유 섹터부와 협업하여 완성하며 완성된 식사와 식재료는 별도로 구비된 전용위생용기포장 섹터부에서 포장하되 식사류의 포장은 별도로 구성된 밥,국그릇 및 반찬용 식판을 수용하는 전용포장 밥,국,찬 그릇 일체 패킹박스로 구성되며, 포장된 고객의 오더 물품은 전용배송 차량에 의해 약속된 시간 안에 고객서비스를 수행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에 고객을 방문하여 포장용기와 잔반 회수부로 회수한 후 분리, 세척, 소독, 살균 섹터부에서 포장용기와 잔반을 분리처리하며, 발생된 음식물 폐기물은 전문처리업체에 위탁 처리하여 지도록 하며, 고객의 오더 수행 과정과 고객관리 및 서비스의 품질,위생관리 상황을 데이터화하여 블록체인 기술과 클라우드 기반으로 관리되는 데이터 관리 섹터부로 저장관리 되도록 하며, 상기 AI 분석,진단,예측 분석 섹터부의 분석,진단,예측 데이터로 다시 활용되는 순환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2비즈니스의 해결 수단으로 고객이 결정하여 본사서버에 오더를 내릴 수 있도록 판단 근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문가 그룹 섹터부의 분야별 전문가는 고객에게 맞춤형 건강관리, 질병관리, 부대 서비스를 추천하고, 고객은 분야별 전문가와 상담 및 진료를 통하여 건강상태에 따른 상담, 진단 및 처방을 받은 내용과, 오더 실행 여부 결정에 참고할 수 있도록 가족, 회원, 회사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고 유용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되도록 구성된 커뮤니티 섹터부와, 각 분야별 전문가에 대한 정보제공 섹터부에서 전문가 그룹의 이력과 활동내용의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고객은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판다하여 고객이 오더를 내리면 오더는 본사서버에 접수되며, 접수 내용은 고객 의료정보 데이터에 전송되어 고객의 의료정보 데이터로 활용되고, 동시에 지역본부 서버에 전송된다.
지역본부 서버는 접수된 전문가의 진단, 처방 내용이 포함된 고객의 오더를 전문 의료기관, 분야별 전문가, 비만 및 피부관리 센터, 피트니스 센터, 건강식품 제조원의 지역공유 섹터부와, 자체에서 확보한 서비스 실행전문가 그룹센터 서버의 인프라를 분석하고 각각의 세부 실행 오더를 만들어 역무를 분장하여 지역공유 섹터부의 각 담당 전문가 서버와, 서비스 실행전문가 센터의 각 담당 전문가 서버에 전송하여 배정하고, 서비스 실행전문가 그룹센터에서 통합하여 고객의 서비스를 실행케 하고, 헬스케어, 비만 및 피부관리, 피트니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관리 섹터부와, 만성, 노인성, 선천성 질환 및 요양,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질병관리 섹터부와, 방문진료, 두피 및 헤어 관리, 건강 보조식품, 토탈 홈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대 서비스 섹터부를 포함한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가 실행 되도록 구성되며,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모든 데이터와 고객의 오더 수행 전과정과 고객관리 및 서비스의 품질, 위생관리 상황을 데이터화하여 블록체인 기술과 클라우드 기반으로 관리되는 데이터로 저장관리 되며 데이터는 AI 분석,진단,예측하는 섹터부의 분석, 진단, 예측 데이터로 다시 활용되고 업데이트 되는 순환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의 별도로 구비된 입맛 측정 진단키트에 대하여 기술하면 고객 기초자료 데이터로 활용되는 ㉮고객 기초자료 입력부의 고객 입맛 표준 데이터 생성을 위하여 고객에게 입맛 진단 키트가 제공되며, 이 입맛진단 키트는 짠맛, 단맛, 매운맛, 신맛의 하나가 표시되고 입맛의 등급이 표시된 손잡이와, 손잡이의 일측에 형성된 맛 시약 부착부에 짠맛, 단맛, 매운맛, 신맛중 하나의 시약을 부착하고 셀룰로우스 액으로 코팅처리 한 시약 부착부와, 손잡이 및 코팅부를 감싸는 포장재로 구성되며, 짠맛, 단맛, 매운맛, 신맛을 6단계 등급으로 분류하여 각각 6단계씩 4가지 맛을 한 세트로 하여 구비된 맛 진단키트로 고객의 입맛을 측정하여 6단계로 표준 계량화하고, 고객이 선호하는 음식의 간을 파악하여 식습관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입맛 진단키트를 포함하며, 상기의 별도로 구비되는 밥,국그릇 및 반찬용 식판을 수용하는 전용포장 밥, 국, 찬 그릇 일체 패킹박스로 구성되는 것이 포함되며, 기밀용 패킹재가 부착된 뚜껑을 구비한 밥그릇과 국그릇, 보온재가 내장되고 밥그릇과 국그릇의 외형과 크기에 맞게 구비된 밥,국 그릇용 패킹박스 상,하부와, 반찬이 담겨지는 하부 식판과, 하부 식판에 진공 밀착되는 상부 식판을 포함하고, 상부 식판은 상부 식판과 하부 식판 사이의 공기를 진공관을 통하여 흡기하도록 하는 진공 포장용 흡기구 진공 밸브와, 진공관에 설치되어 진공을 해제하는 진공해제 콕크밸브를 포함한다.
밥그릇과 국그릇을 수용한 밥, 국그릇용 패킹박스와 다수의 반찬용 진공밀착 식판을 수용하는 밥,국,찬 그릇 일체 패킹박스 상,하부를 더 포함하고, 내부에 보온재가 충전된 하부 받침대, 하부 받침대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지지 가이드, 하부 받침대의 양 측부에 설치된 하부 결합용 버클을 포함하는 하부 팩킹 박스와, 내부에 보온재가 충진되고 상부 중앙에 손잡이가 부착되며, 양 측부에 하부 결합용 버클과 결합되는 상부 결합용 버클을 포함하며, 하부 패킹 박스의 지지 가이드에 진공 포장된 다수의 상,하부 식판이 수납되고, 상,하부 식판 상에 밥그릇 및 국그릇용 패킹박스를 수용하는 밥,국,찬 그릇 일체 패킹박스 상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생활습관 및 식습관이 건강과 질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이 크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고객의 스마트 기기, 웨어러블 기기, 관련 어플, 의료기관, 전자 금융카드 등의 ICT기술로 고객의 건강상태와 생활습관 및 식습관,의료 행위를 파악하여 데이터화하고, 회원 가입 시 상담 및 입맛 테스트 키트로 식습관과 건강 상태의 기초자료를 파악하여 데이터화하고, 건강상태 및 생활습관, 식습관이 질병관리와 발병과 예방에 대한 연관성과 상호 인과관계를 빅데이터와 AI기술로 비교 분석하여 데이터화 한 다음 각각에 만들어진 데이터를 AI기술로 비교 분석,진단 예측한 자료를, 각 분야별 전문가가 분석, 평가 하고 고객과의 상담 및 진료를 통해 고객의 발병예측에 따른 예방이 가능하고,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고객의 건강관리, 질병관리, 기타 부대서비스와 병환 및 건강상태에 따른 맞춤형 식단 관리와 식사제공, 식습관 개선, 체질개선 등 고객 맞춤 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습관화 되어 있는 식.생활을 바꾸기가 매우 어려워 건강한 식.생활로 교정하기 위해 많은 노력과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안 좋은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온.오프라인에서 파악하여 AI기술로 분석하고, 전문가로부터 고객 개개인에 맞는 최적의 식단관리, 건강관리, 의료 및 질병 예방과 관리, 피부미용 관리,비만관리,만성질환 관리,성인병 예방 및 관리,노인성 질환 예방 및 관리 등 고객중심의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건강한 삶의 추구권을 제공하고 사전 예방관리를 통해 의료비 지출을 절약 할 수 있어서 보다 생활이 윤택해 질 수 있으며, 노환 및 만성 질환을 미리 예방 관리하여 국가의 의료 복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 이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실행되는 지역공유 프로세스에 따라 그 지역의 반찬가게, 별도로 선발하여 육성한 일반가정 및 식당과 식 재료를 생산하는 생산자, 전문 의료기관, 분야별 전문가, 비만 및 피부관리 센터, 피트니스 센터, 건강식품 제조원 등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 지는 서비스로서 공유경제 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며 단순히 주문만 받고 배달업체와 식당을 연결해 주는 서비스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이며 본 발명으로 생산된 경제적 효과가 지역의 전문가 및 전문 기관과, 식당, 반찬가게, 일반가정, 농어촌의 식 재료 생산자까지 미치는 경제적 파급 효과가 직접적이고 크며 배송을 위해 1회용 포장재를 사용하지 않고 연속 사용이 가능한 전용용기와 전용 패킹 박스를 사용함으로 폐기물을 줄일 수 있으며, 단순 소개나 중계 서비스가 아니고 고객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여 만성질환 또는 중증질병의 발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진단 및 처방과 건강관리,질병관리, 부대서비스 및 식사 제공을 직접 실행하는 서비스를 함으로서 고객의 삶의 질 향상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중 제1비지니스 매소드 섹터부의 구성 및 업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중 제2비지니스 매소드 섹터부의 구성 및 업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중 회원의 입맛 표준화 진단 키트 및 입력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중 밥, 국 그릇 및 밥, 국 그릇 뚜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중 반찬 그릇용 진공 밀착 식판의 상부와 하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중 밥, 국 그릇 별도 패킹 박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중 밥,국, 찬 그릇 일체 패킹 박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중 밥, 국, 찬 그릇 일체 패킹 박스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중 밥, 국, 찬 그릇 일체 패킹 박스의 조립 평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중 밥, 국, 찬 그릇 일체 패킹 박스의 조립 외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 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의 기초자료, 식습관, 생활습관, 의료정보 데이터부, 빅데이터 AI분석 데이터부, 식.생활활 패턴 AI분석 섹터부, 건강상태 AI분석 섹터부, 빅데이터 AI분석 섹터부, 빅데이터 분석 데이터부와 고객의 식.생활패턴, 건강상태의 AI분석부의 데이터를 분석, 진단, 예측하는 AI분석 섹터부, 제1비지니스 메소드 섹터부와 제2비지니스 메소드 섹터부를 구성하는 회원서버, 본사서버, 지역본부 서버, 실행 전문가그룹 서버, 지역공유자 서버 및 이 모든 과정과 결과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관리부의 관련 기기는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클라우드 시스템,블록체인, AI기술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제어부(컨트롤러)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 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중앙처리장치, 하드디스크 또는 고체상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 휘발성 메모리 장치,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출력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상용 컴퓨터에서 운영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유선으로 상호간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뿐만 아니라 3G, 4G, 5G, 6G, 와이파이, 블루트스, 지그비와 같은 무선으로 상호간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구성 요소들에는 유선 및/또는 무선 방식으로 다양한 사용자 장비(예를들면, 스마트 기기, 웨어러블 기기, IoT 등)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 개념도(100)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 시스템(100)은 회원에 의한 입맛진단 입력정보, 문진기초 자료, 의료행위 자료, 스마트 기기, 웨어러블 기기, 전자금융 사용내역, 포털사이트 정보 및/또는 기타 관련 어플을 포함하는 고객 생성 자료(S01)가 기초입력자료 데이터, 식습관 데이터, 생활습관 데이터 및/또는 의료행위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객 생성자료 데이터 섹터(S02)에 AI기술활용여 정량화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AI기술로 음식섭취 및/또는 운동량과 질병과의 상호 인과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계량화 및/또는 정량화한 빅데이터 분석 자료를 빅데이터 AI분석섹터(S03)에서 생성과 관리를 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되고 계량화 및/또는 정량화된 데이터는 블록체인 기술로 보안 관리되며 클라우드 시스템에 저장되는 데이터 관리, 저장 섹터(S04)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관리,저장 섹터의(S04)의 데이터와 계속 업데이트되는 빅데이터의 AI분석 섹터(S03)의 추가자료를 AI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의 건강 상태를 AI분석,진단,예측 섹터(S05)에서 할 수 있다. AI 분석, 진단, 예측 섹터(S05)에서 생성된 자료는 본사서버(S06)와 데이터 관리,저장 섹터(S04)로 전송되고 본사서버(S06)에 전송된 정보자료는 분석, 평가, 상담, 진료, 진단 및/또는 처방을 위해 전문가 그룹 섹터(S07)의 서버에 전송되어 전문가 그룹이 판단하여 고객에게 처방을 내릴 수 있으며, 데이터 관리,저장 섹터(S04)로 전송된 자료는 업데이트되어 관리 운영된다. 이때 전문가 그룹섹터(S07)는 고객과 고객 커뮤니티섹터(S08)를 통해 고객이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며 고객의 현재의 상황을 분석하여 고객이 최종 오더를 낼 수 있도록 상담, 진단, 처방정보가 제공되며, 고객은 고객 커뮤니티 섹터(S08)에서 얻은 정보와 전문가 그룹섹터(S07)의 전문가와 상담, 진료, 처방 자료에 의하여 어플을 포함한 고객서버(09)로 본사서버(S06)에 오더를 낼 수 있다.
또한, 고객서버(오더)(S08)로 오더를 접수 받은 내용은 즉시 지역본부 서버와 분야별 실행 전문가 섹터서버(S10) 및/또는 지역 공유자 서버로 전송되어 고객에게 맞춤형 케어 서비스(S11)를 고객에 제공된다.
일례로 건강관리 솔루션, 식사, 레시피, 식자제, 헬스케어 및 질병 관리, 요양, 간병, 피트니스, 피부, 두피, 비만 관리, 토탈 홈케어 및/또는 건강보조식품을 포함하는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S11)가 고객 서비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의 전문가 그룹 섹터(S07)는 도 2의 ⑤전문가 그룹(215)과 도 3의 ①전문가 그룹(221) 및 도 4의 ①전문가 그룹(251)과 같은 위치이고 같은 역할이며 세부 기재 사항이 다소 차이가 있는 것은 제1 및 제2비즈니스 매소드 섹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맞도록 이해되기 쉽게 기술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중 데이터 섹터부 및 분석,진단,예측 섹터부와 전문가 그룹의 분석, 평가, 상담, 진료, 진단, 처방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다 세분화한 다른 구성도(200)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의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200)은 고객이 회원 가입 시 별도로 구비된 입맛 진단 키트(도 5a, 5b 참조)로 테스트한 입맛 테스트 자료와 건강관련 문진입력 자료와 체형 및 식,생활습관에 대한 문진입력 기초 자료를 입력 받는 고객 기초자료 데이터(데이터-1) 섹터부(201); 본 서비스 플랫폼의 제1비지니스 매소드 섹터부(220)에서 고객에게 제공되는 식사주문 및 제공 서비스의 분석자료와 고객이 별도로 주문하는 배달음식 주문 어플 및 포털 사이트 분석자료, 일반음식점 및 주점에서의 식생활 활동 파악을 위한 전자금융 사용내역 분석자료를 온라인(On-Line)으로 수집하여 분석한 식습관 데이터(데이터-2) 섹터부(202); 고객의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기기, 운동관련 어플 및 포털 사이트에서 활동자료를 온라인(On-Line)으로 수집하여 분석한 생활습관 데이터(데이터-3) 섹터부(203); 의료보험공단 및 의료기관의 서버와 연계하여 수집한 고객의 건강진단 및 의료행위 자료와 전자금융 사용내역 중 의료행위 자료를 온라인(On-Line)으로 수집하여 분석한 고객의 건강 및 의료정보 데이터(데이터-4) 섹터부(204); 포털 사이트, 의료 전문기관 및 학회 학술지, 연구논문, 처방전 자료, 투약성분 자료, 식물 성분 분석자료, 음식물 성분섭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운동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등 클라우드 기반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음식물 성분 섭취와 건강, 운동 및 활동량과 건강, 이것을 나타내는 식.생활 습관이 질병의 발병과 악화 및 치료, 관리와의 상호 인과관계와 연관성을 AI의 머신러닝 기술로 분석하여 데이터화한 식.생활과 질병과의 인과관계 분석 데이터(데이터-5) 섹터부(205); 이렇게 수집 작성된 각각의 데이터 섹터부는 AI의 런닝머신 기술을 통하여 만들어진 데이터이다.
여기서, 고객의 기초자료 데이터(데이터-1) 섹터부(201)와 식습관 데이터(데이터-2) 섹터부(203)와 생활습관 데이터(데이터-3) 섹터부(203)를 AI기술의 패턴인식 기술로 ①식,생활 패턴 AI 분석 섹터부(211)에서 고객의 식,생활 패턴을 분석 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건강 및 의료정보 데이터 (데이터-4) 섹터부(204)의 데이터와 ①식,생활패턴 AI분석 섹터부 (211)의 식,생활패턴 부석자료를 AI기술로 ②건강상태 AI 분석 섹터부(212)에서 분석하여 고객의 식,생활 패턴과 건강상태를 계량화 및 정량화 할 수 있다.
한편으로,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AI기술의 머신러닝 기술로 식,생활과 질병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데이터(데이터-5) 섹터부(205)의 분석자료와 ②건강상태 AI 분석 섹터부(212)의 분석자료를 AI기술의 머신런닝 기술로 ③AI 분석, 진단, 예측 섹터부(213)에서 분석되고,예측되고, 진단된 결과의 자료를 만들 수 있으며 이 자료는 ④본사서버(214)와 ⑤전문가 그룹 섹터부(215) 서버로 전송되며, 전송 받은 자료를 각각의 분야별 전문가가 평가, 분석, 고객상담 및 커뮤니티, 진단, 처방을 ⑤전문가 그룹 섹터부(215)에서 수행한다.
⑤전문가 그룹 섹터부(215)의 자료와 결과는 제1,2비지니스 매소드 섹터부(220,250)의 고객서버에 전송되어 고객이 오더를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기본 자료로 제공되며, 이러한 일련의 모든 정보와 자료는 ⑥데이터 관리,저장 섹터부(216)에서 블록체인 기술로 안전하게 관리하고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으로 저장되며, ⑥데이터 관리,저장 섹터부(216)에 저장된 데이터는 AI분석,진단,예측 섹터부(213)의 분석자료로 순환되고 업데이트 되어 사용 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고객기초자료 입력부, ㉯고객 식습관자료 수집부, ㉰고객 생활습관 자료 수집부, ㉱고객 의료행위 수집부는 도 1의 고객 생성자료(S01)를 상세 기술한 것이며, 고객기초자료 데이터-1부(201), 고객 식습관 데이터-2부(202), 고객 생활습관 데이터-3부(203), 고객 의료정보 데이터-4부(204)는 도 1의 고객자료 데이터 섹터(S02)의 각 데이터의 생성과정을 세분화 및 정량화, 계량화 하여 정리되는 과정을 상세 기술한 것이다. 또한, ①식생활 패턴 AI분석부(211), ②건강상태 AI분석부(212), ③AI 분석, 진단, 예측부(213)는 도 1에서 건강상태 AI 분석, 진단, 예측(S05)의 AI분석 실행이 각각의 단계에서 세분화 하여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 2의 ④본사서버(214)는 도 1의 본사서버(S06)와 같은 서버이며, 도2의 ⑤전문가 그룹 섹터부(215)와 도 1의 전문가 그룹 섹터부(S07)는 같은 위치의 전문가 그룹 섹터부 서버이며, 도 2의 ⑥데이터관리,저장 섹터부(216)과 도 1의 데이터관리,저장 섹터부(S04)와 같은 서버의 데이터 관리,저장 섹터부를 말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중 제1비지니스 매소드의 구성 및 업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220)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전문가그룹 섹터부(221)에서 도출된 결과는 ④고객서버(224)에 전송되어 고객이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자료로 재공되며, 고객은 최종 오더를 내리기 전에 ②커뮤니티 섹터부(222)에서 전문가 그룹, 가족, 회원, 회사등과 커뮤니티를 할 수 있고, ③정보제공 섹터부(223)에서는 고객에게 오늘의 메뉴, 식재료, 주요성분, 입맛기준, 조리정보, 생산정보, 전문가 정보를 제공하여 고객이 확인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고객이 최종 결정한 오더는 ④고객서버(224)를 통하여 ⑤본사서버(225)에 주문(Order)를 내린다.
여기서, ③정보제공 섹터부(223)는 ①전문가 그룹(221)에서 제안하고 ⑧실행 전문가 그룹(228)의 전문가에 의해 작성되고 관리되며, ②커뮤니티 섹터부(222)는 ⑤본사서버(225)에서 관리되고 운영된다.
⑤본사서버(225)에 접수된 고객의 오더 내용은 즉시 도. 2의 고객 식습관 데이터-2(202)에 전송되어 고객의 식습관 자료로 사용 되도록 하며, 동시에 ⑥지역본부 서버(226)에 전송되며 ⑥지역본부 서버(226)는 접수된 고객의 오더를 지역본부 관할의 ⑦지역공유 섹터부(227)에 속하는 식자재 서버, 반찬가게 서버,지역식당 서버, 지역발굴 일반가정 서버로 고객의 오더 실행에 적합한 서버를 선택하여 각각의 서버에 고객의 오더 내용을 분할하여 전송하여 실행 하도록 하고 동시에 ⑧실행 전문가그룹 센터(228)에도 고객의 오더 내용과 ⑦지역공유 섹터부(227)에 각각 분할하여 내린 오더를 전송한다.
⑥지역본부 서버(226)으로부터 전송 받은 ⑧실행 전문가그룹 센터(228)은 오더 내용에 따라 조리,식자재를 준비하고 ⑦지역공유 섹터부(227)에 각각 분할하여 내려진 오더를 취합하여 고객의 오더를 완성하고 ⑨전용 위생용기 포장(229)에 포장되며, 이때 ⑨전용 위생용기 포장(229)은 별도로 구비된 도5 ~ 도12와 같으며 ⑨전용 위생용기 포장(229)에 포장된 고객의 오더는 ⑩전용 배송차량(230)으로 ⑪고객(231)에 배송된다.
⑪고객(231)에게 배송이 완료되고 일정시간 경과 뒤에 ⑪고객(231)을 재 방문하여 ⑩전용 배송차량(230)으로 잔반과 ⑨전용 위생용기 포장(229)을 수거하여 ⑧실행 전문가그룹 센터(228)에 반환되며, 반환된 ⑨전용 위생용기 포장(229)와 잔반을 분리하고 잔반은 ⑭전문업체(241)로 보내져 처리한다.
또한, ⑧실행 전문가그룹 센터(228)에 반환된 ⑨전용 위생용기 포장(229)은 세척,소독,살균 작업을 후 ⑧실행 전문가그룹 센터(228)의 적정한 장소에 보관되어 재 사용된다. 이렇게 ⑤지역본부(226) 관할 내에서 이루어지는 행위에 대하여 ⑤지역본부(226)는 ⑮품질,위생관리(242)와 (16)고객관리(243)을 함께 수행한다.
Figure 112021016059378-pat00001
이러한 일련의 모든 실행 자료는 (17)데이터관리, 저장 섹터(244)에서 블록체인 기술로 안전하게 관리되고,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으로 저장되며 이 데이터는 (18)AI분석, 진단, 예측(245) 자료로 순환되고 업데이트 되어 사용된다.
도 3에 있어서, ①전문가그룹(221)은 도 1의 전문가그룹 섹터(S07) 및 도2의 ⑤전문가그룹(215)과 같은 위치 서버의 전문가 그룹을 뜻하며 도 3의 ①전문가 그룹(221) 세부 항목에 식단, 레시피, 식자재 추천으로 표기한 것은 단지, 제1비지니스 매소드 섹터(220)인 고객 맞춤형 식단 제공 영역을 강조하고 세부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세부 내용은 ②커뮤니티 섹터(222)은 도 1의 고객 커뮤니티 섹터(S08)과 같은 위치 서버이며, 도 3의 ⑤본사서버(225)와 도 1의 본사서버(S06)와 도 2의 ④본사서버(214)는 같은 서버이며, 도 3의 (17)데이터관리, 저장 섹터(244)는 도 1의 데이터관리, 저장 섹터(S04) 및 도 2의 ⑥ 관리,저장 섹터(216)와 같은 위치 서버이고, (18)AI분석, 진단, 예측(245)는 도 1의 건강상태 AI 분석, 진단, 예측(S05) 및 도 2의 ③AI 분석, 진단,예측(213)과 같은 위치의 서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중 제2비지니스 매소드의 구성 및 업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250)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전문가그룹 섹터부(251)에서 도출된 결과는 고객서버(252)에 전송되어 고객이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자료로 제공 되며, 고객은 최종 오더를 내리기 전에 ③커뮤니티 섹터부(253)에서 전문가 그룹, 가족, 회원, 회사등과 커뮤니티를 할 수 있고, ④정보제공 섹터부(254)에서 전문가의 이력 및 활동 내용를 추가로 정보를 확인하고 고객이 최종 결정한 오더를 ②고객서버(252)를 통하여 ⑤본사서버(255)에 고객의 주문(Order)를 내린다. 여기서, ④정보제공 섹터부(254)는 ①전문가 그룹(251)에서 제안하고 ⑧실행 전문가 그룹 센터(258)의 전문가에 의해 작성되고 관리되며, ③커뮤니티 섹터부(253)는 ⑤본사서버(255)에서 관리되고 운영된다.
⑤본사서버(255)에 접수된 고객의 오더는 ⑥지역본부 서버(256)에 곧바로 전송되며, 동시에 도 2의 고객 의료정보 데이터-4(204)에 전송 되어 ②건강상태 AI분석(212)의 분석 자료로 활용된다.
⑤본사 서버(255)로부터 고객의 주문(Order)를 받은 ⑥지역본부(256)는 곧바로 ⑦지역공유자 섹터(257)에 속하는 전문 의료기관, 분야별 전문가, 비만 관리센터, 피부관리 센터, 피트니스 센터, 건강식품 기업 등의 서버에 고객 오더 내용을 실행 할 수 있는 서버를 선택하여 각각의 오더 실행내역을 분할 전송하여 실행 하도록 하며, 동시에 ⑧실행 전문가그룹 센터(258) 서버에 ⑤본사서버(255)로 부터 받은 고객의 오더 내용과 ⑦지역공유자 섹터(257) 소속의 각각의 서버에 전송한 오더 실행 내역을 전송한다.
⑧실행 전문가 그룹 센터(258)은 ⑥지역본부(256)로부터 받은 전송 내용에 따라 ⑦지역공유자 섹터(257) 소속의 각각의 서버에 전송한 오더 실행을 취합하여 ⑨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259)의 헬스케어, 비만관리, 피부관리, 피트니스 등의 ⑩건강관리(259a)와 만성질환, 노인성 질환, 선천성 질환, 요양 및 간호 등의 ⑪질병관리(259b)와 방문진료, 두피 및 헤어관리,건강보조 식품, 토탈 홈 케어 등의 ⑫부대서비스(259c)의 서비스를 각각의 고객에게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를 실행하며, 이러한 일련의 모든 자료는 ⑬데이터관리,저장 섹터(260)에 블록체인 기술로 안전하게 관리되고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에 저장되고 ⑭AI 분석,진단,예측 자료로 순환되고 업데이트 되어 활용된다.
또한, ⑥지역본부(256)에서는 상기 기술한 사항과 더불어 관할지역 내에서 이루어 지는 고객에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서비스의 품질, 위생관리와 고객의 요구사항 및 불만 사항 등의 전반에 대하여 ⑮고객관리(262)를 실행한다.
도 4에 있어서, ①전문가 그룹(251)은 도 3의 ①전문가 그룹(221)과 도 2의 ⑤전문가 그룹섹터(215)와 도 1의 전문가 그룹 섹터(S07)과 같은 위치 서버에 있으며, ②고객서버(252)는 도 1의 고객서버(S09)과, 도 3의 ④고객서버(224)와 같은 위치 서버에 있으며, ③커뮤니티 섹터(253)는 도 1의 고객 커뮤니티(S08)과 도 3의 ②커뮤니티 섹터(222)과 같은 위치 서버이며, 도 4의 ⑤본사서버(255)는 도 1의 본사서버(S06)와 도 2의 ④본사서버(214)와 도 3의 ⑤본사서버(225)와 같은 위치 서버이고, ⑥지역본부(256)과 ⑦지역공유 섹터(257)과 ⑧실행 전문가 그룹(258)은 도 3의 해당 서버와 같은 위치의 서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200)중 별도로 구비된 회원의 입맛 표준 계량화 진단 키트(180) 및 입력 모델(184)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의 입맛 계량화 진단 키트(180)은 회원의 입맛을 진단하여 표준 계량화할 수 있다. 일례로, 짠맛, 단맛, 매운맛, 신맛의 맛을 각각 0에서 5단계로 맛의 강도(농도)를 구분하여 6단계씩 24개의 맛을 수치화하고, 회원 가입 고객에 배송하여 직접 테스트 후 본인의 선호 입맛을 선택 하도록 할 수 있다. 재질은 특정하지 않으나 인체와 환경에 무해한 재질를 포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맛 진단 키트(180)의 구조는 일측에 맛이 표기된 손잡이(181)와, 손잡이(181)의 일단에 맛 시약(식용용)이 도포되고 셀룰로오스 액으로 코팅된 맛 테스트 부(182)와, 이들을 포장하는 포장재(183)를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 맛의 구분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진단키트 손잡이 부(181)에 짠맛은 파란색으로, 단맛은 노란색으로, 매운맛은 빨간색으로, 신맛은 초록색으로 표시하여 시각적으로도 맛이 구분 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모델(184)은 회원(고객) 이름, 맛의 종류(짠만, 매운맛, 단맛, 신맛)별로 레벨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입력 모델(184)은 스마트 기기에 구현되어, 회원이 입력하면 본사 서버에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220)중 별도로 구비된 밥, 국그릇(280a) 및 밥, 국그릇 뚜껑(280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 국 그릇은 일반적인 가정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형태로 그릇(280a)과 뚜껑(280b)으로 구성되며 뚜껑(280b)와 그릇(280a)가 밀착되는 부분에 수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패킹재(280c)로 패킹 처리되며 재질과 색상은 특정하지 않고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중 도. 3(220)에서 별도로 구비된 반찬 그릇용 진공 밀착 식판의 하판(291)과 상판(292)의 예를 도시한 도면(290) 이다.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찬그릇용 진공밀착 식판은 하판(291)과 상판(292)으로 되어 있으며 하판(291)과 상판(292)은 각각의 반찬을 담을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의 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그 수량은 특정하지 않으며, 각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분리된 공간의 중앙에 요철(凹凸) 형태로 상판(292)엔 요(凹)(292a)가 하판(291)엔 철(凸)(291b)이 구비되어 있고 상판(292)의 요홈(292a)의 안쪽에 패킹재(292b)를 삽입하여 수밀과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표면은 미세 가공 기술과 코팅 기술로 표면을 처리하여 상,하판 결합 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였으며, 상판(292)에는 각각의 반찬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연결하는 작은 진공관(292c)이 상판(292)의 내부에 구성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판(292)의 일단으로 집결시켜 하나의 배관망 형태로 구성시키고 그 일단에 흡입구(292e)가 구비되어 진공밸브(292d)를 지공관(292c)에 접합 설치하여 진공펌프로 진공을 잡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 다른 한측에는 버튼식 공기흡입 밸브(292f)를 설치하여 진공을 해지시켜 상판(292)을 하판(291)으로부터 열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고객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반찬그릇용 식판에 반찬류를 담고 상,하판(292,291)이 잘 맞물리도록 고정시킨 후 진공 펌프의 흡입구와 상판(292)에 구비된 진공 흡입구(292e)를 연결하여 반찬이 담겨있는 각각의 공간에 있는 공기를 진공펌프로 배출시킴으로써 본 식판의 상,하판(292,291)이 진공으로 밀착되어 반찬용 식판을 다른 포장재없이 위생적으로 포장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하판(292,291)을 결합시킨 식판을 위로 겹쳐서 쌓을 때 정확한 위치와 미끄럼을 방지하고 편의성을 갖도록 하판(291)의 하단부에 돌기(291a)를, 상판(292)의 상단부에 홈(292g)을 일정한 위치에 상호 일치되도록 구비하여 패킹 작업 시 편의성을 갖도록 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220)중 밥, 국 그릇 별도 패킹 박스(301,302)의 예를 도시한 도면(300)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국 그릇 별도 패킹 박스 상,하(301,302)는 전체 패킹박스 안에 들어갈 수 있는 구조이며, 밥, 국그릇(280a)과 뚜껑(280b)만 별도로 포장하는 패킹박스이며 상,하부 모두 밥과 국그릇 크기에 맞도록 일정한 크기와 형태의 공간(301a,302a)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수량은 특정하지 않는다. 패킹 박스(301,302)의 외면에는 내식성과 항 세균성 및 일정한 강도를 갖는 소재로 된 외피를 구성하고 그 재질은 별도로 특정하지 않으며 외피의 내면에는 발포성 보온재(301b,302b)로 일정한 압축 강도가 유지되도록 적절한 량을 발포하여 채워서 밥과 국이 외부 온도에 노출되지 않고 유지 되도록 하였다.
도 9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220)중 밥,국, 찬 그릇 일체 패킹 박스 상,하부(311,312)의 예를 도시한 도면(300)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국,찬 그릇 일체 패킹박스(311,312)는 최종 전체 패킹박스이며 운반용 박스이다. 본 전체 패킹박스는 상,하부 패킹박스(311,312)로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의 결합은 버클로 결합 시키며 버클의 형식은 특정하지 않고 상부와 하부의 적절한 위치에 상,하부가 일치 되도록 부착된다. 상부 패킹박스(311)의 중앙에는 매립 형 손잡이(311a)를 부착하여 운반이 용이 하도록 하였다. 상, 하부의 표면은 내 방식성과 적절한 강도를 갖는 비중이 낮은 재질로 구성하여 내구성과 저 중량이 되도록 외형를 구성하고 그 재질은 특정하지 않는다.
외피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는 발포성 보온재(311c,312c)로 적절한 강도와 두께로 충진하여 내부 음식물의 온도를 보존하고 변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패킹박스(311)의 구조는 밥,국 그릇용 별도 패킹박스와 반찬 그릇용 진공밀착 식판 상,하단이 결합되어 다수개가 들어갈 수 있는 높이(깊이)로 구성되며 전체 패킹박스 하부(312) 받침대 부분의 접촉면까지 도래하는 구조로 하며, 한 측면의 양단에 하부와 상부를 결합할 수 있는 버클(311b,312a)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패킹박스(312)의 구조는 내부에 일체형으로 지지 가이드 판(312b)을 매립 설치하여 반찬 그릇용 진공밀착 식판(도.7a, 도.7b)을 거치하기 쉽도록 한 것이 특징이며 외부 한 측면의 양단에 결합용 버클(312a)을 부착하여 상단부에 부착된 버클(311b)과 서로 일치시켜 상,하단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구조로 되어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220)중 밥, 국, 찬 그릇 일체 패킹 박스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도면(400)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 국, 찬 그릇 일체 패킹 박스의 조립 순서는 ①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패킹박스(312)의 지지 가이드(312b)의 내부에 ②로 표시된 반찬 그릇용 진공밀착 식판 세트(291,292)를 넣고 ③으로 표시된 밥,국 그릇 별도 패킹박스 하부(302)에 ④로 표시된 밥,국그릇 세트(280a,280b)를 넣고, ⑤로 표시된 밥,국 그릇 별도 패킹박스 상부(301)를 덮고 ⑥으로 표시된 밥,국,찬 그릇 상부 전체 패킹박스(311)를 덮고 버클(312a,311b)로 상,하부를 체결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케어서비스 플랫폼 시스템(220)중 밥, 국, 찬 그릇 일체 패킹 박스(311,312)의 조립 평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밥,국,찬 그릇 일체 패킹박스 조립후의 평면도와 내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220)중 밥, 국, 찬 그릇 일체 패킹 박스(311,312)의 조립 외형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밥,국,찬 그릇 일체 패킹박스 조립 외형를 예시하였으며 외부 색상은 특정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고객이 회원 가입 시 별도로 구비된 입맛 진단 키트로 테스트한 입맛 테스트 자료와 건강관련 문진입력 자료와 체형 및 식,생활습관에 대한 문진입력 기초 자료를 입력받는 기초자료 데이터 섹터부;
    고객에게 제공되는 식사주문 및 제공 서비스의 누적 자료와 고객이 별도로 주문하는 배달음식 주문 어플 및 포털 사이트 분석자료, 일반음식점 및 주점에서의 식생활 활동 파악을 위한 전자금융 사용내역 분석자료를 온라인으로 수집하여 분석하는 식습관 데이터 섹터부;
    고객의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기기, 운동관련 어플 및 포털 사이트에서 활동자료를 온라인으로 수집하여 분석하는 생활습관 데이터 섹터부;
    의료보험공단 및 의료기관의 서버와 연계하여 수집한 고객의 건강진단 및 의료행위 자료와 전자금융 사용내역 중 의료행위 자료를 온라인으로 수집하여 분석하는 건강 및 의료정보 데이터 섹터부;
    포털 사이트, 의료 전문기관 및 학회 학술지, 연구논문, 처방전 자료, 투약성분 자료, 식물 성분 분석자료, 음식물 성분섭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운동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클라우드 기반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음식물 성분 섭취와 건강, 운동 및 활동량과 건강, 식,생활 습관이 질병의 발병과 악화 및 치료, 관리와의 상호 인과관계와 연관성을 AI의 머신러닝 기술로 분석하여 데이터화하는 식,생활과 질병과의 인과관계 분석 데이터 섹터부;
    블록체인 기술로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에서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블록체인 활용 클라우드 저장 데이터 섹터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관리, 저장 섹터부;
    상기 기초자료 데이터 섹터부와 상기 식습관 데이터 섹터부와 상기 생활습관 데이터 섹터부의 데이터를 AI의 패턴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식,생활 패턴 AI 분석 섹터부;
    고객 건강 및 의료정보 데이터 섹터부의 데이터를 AI의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건강상태 AI 분석 섹터부;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AI의 머신러닝 기술로 식,생활과 질병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데이터 섹터부의 데이터를 AI의 머신런닝 기술로 분석,진단,예측하는 AI 분석, 진단, 예측 섹터부;
    상기 AI 분석, 진단, 예측 섹터부에서 분석, 예측된 자료를 각각의 전문가 그룹이 평가,분석,고객상담,진단,처방을 하는 전문가 그룹 분석,평가,상담,진단, 처방 섹터부;
    상기 전문가 그룹 분석,평가,상담,진단,처방 섹터부의 전문그룹과 고객의 상담, 추천, 커뮤니티를 통하여 고객이 결정하고 주문한 오더가 각각의 서비스 실행 전문가 그룹에 배정되어 고객에게 맞춤형 식사와 식자재 및 레시피를 제공하는 제1비지니스 섹터부; 및
    고객 맞춤형 건강관리와 질병관리 및 부대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비지니스 섹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AI 분석, 진단, 예측 섹터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블록체인 기술로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에서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블록체인 활용 클라우드 저장 데이터 섹터부를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 블록체인 활용 클라우드 저장 데이터 섹터부의 자료는 상기 AI 분석, 진단, 예측 분석 섹터부의 분석,진단,예측 데이터로 다시 활용되는 순환 구조를 갖고,
    상기 제1비지니스 섹터부는
    상기 전문가 그룹 분석,평가,상담,진단,처방 섹터부에서 정보를 수신하는 본사 서버;
    분석,진단,예측하는 섹터부에서 AI분석 정보를 수신하는 전문가 그룹 서버;
    분야별 전문가가 정보를 분석,평가,진단하고 결과 정보를 고객과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전문가가 고객에게 맞춤형 식단과 레시피 및 식자재를 추천하고, 고객은 관련분야 전문가와 상담 및 진료, 추천 내용과, 전문가와의 커뮤니케이션, 가족, 회원, 회사와 커뮤니케이션을 하도록 하며, 메뉴, 오더 및 배송을 제공하는 자동 알리미 기능을 갖춘 커뮤니티 섹터부;
    고객이 필요한 오더를 결정할 수 있도록 오늘의 메뉴, 식재료, 주요성분, 입맛기준, 조리정보,식자재 생산정보, 전문가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섹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사 서버는
    상기 정보제공 섹터부로부터 정보가 고객에게 제공되어, 고객이 얻은 정보를 참고하여 결정한 오더를 내리면, 오더를 접수하고, 오더를 고객 식습관 데이터 섹터부에 전송하여 고객의 식습관 데이터로 활용되도록 하고,
    접수된 고객의 오더 내용을 지역을 총괄하는 지역본부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지역본부 서버는 접수된 정보를 관할 지역내의 조리 및 식자재를 담당하는 관할 전문가그룹 서버와 식자재, 반찬가게, 지역식당, 지역발굴 일반가정의 지역공유 섹터부에서 확보된 식자재 및 반찬, 요리 및 조리능력을 AI기술로 분석하여 각각의 업무를 분장하고 각각의 담당자 서버에 세부 실행 오더를 내리며, 상호 연계하여 고객의 오더를 수행케 하고 지역본부 서버의 구역내 고객관리와 품질 및 위생관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전문가그룹 서버가 지역본부 서버에서 받은 오더를 지역공유 섹터부와 협업하여 완성하며 완성된 식사와 식재료는 별도로 구비된 전용위생용기포장 섹터부에서 포장하되 식사류의 포장은 별도로 구성된 밥,국그릇 및 반찬용 식판을 수용하는 전용포장 밥,국,찬 그릇 일체 패킹박스로 구성되며,
    포장된 고객의 오더 물품은 전용배송 차량에 의해 약속된 시간 안에 고객서비스를 수행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에 고객을 방문하여 포장용기와 잔반 회수부로 회수한 후 분리, 세척, 소독, 살균 섹터부에서 포장용기와 잔반을 분리처리하며, 발생된 음식물 폐기물은 전문처리업체에 위탁 처리하여 지도록 하며, 고객의 오더 수행 과정과 고객관리 및 서비스의 품질,위생관리 상황을 데이터화하여 블록체인 기술과 클라우드 기반으로 관리되는 데이터 관리 섹터부로 저장관리 되도록 하며, 상기 AI 분석,진단,예측 분석 섹터부의 분석,진단,예측 데이터로 다시 활용되는 순환구조를 갖는,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지니스 섹터부는
    상기 전문가그룹 분석,평가,상담,진료,진단,처방 섹터부에서 상기 본사 서버와, 상기 AI 분석,진단,예측 섹터부로부터 AI 분석 내용을 각 해당분야 전문가 그룹 서버로 자동 전송하고 각 분야별 전문가는 자료를 분석, 평가, 진단한 결과로 고객과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며 전문가는 고객에게 맞춤형 건강관리, 질병관리, 부대 서비스를 추천하고,
    고객은 분야별 전문가와 상담 및 진료를 통하여 건강상태에 따른 상담, 진단 및 처방을 받은 내용과, 오더 실행 여부 결정에 참고할 수 있도록 가족, 회원, 회사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고 유용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되도록 구성된 커뮤니티 섹터부와, 각 분야별 전문가에 대한 정보제공 섹터부에서 전문가 그룹의 이력과 활동내용의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고객은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이 오더를 내리면 오더는 본사 서버에 접수되며, 접수 내용은 데이터 섹터부에 전송되어 고객의 식습관과 생활습관, 의료정보 데이터로 활용되고, 본사 서버는 접수된 고객의 오더 내용을 지역을 총괄하는 지역본부 서버에 전송되며, 지역본부 서버는 접수된 전문가의 진단, 처방 내용이 포함된 고객의 오더를 전문 의료기관, 분야별 전문가, 비만 및 피부관리 센터, 피트니스 센터, 건강식품 제조원의 지역공유 섹터부와, 자체에서 확보한 서비스 실행 전문가 그룹 서버의 인프라를 AI기술로 분석하고 각각의 세부 실행 오더를 만들고 역무를 분장하여 지역공유 섹터부의 각 담당 전문가 서버와, 서비스 실행 전문가 섹터부의 각 담당 전문가 서버에 전송하여 배정하고, 서비스 실행 전문가 그룹 섹터부에서 통합하여 고객의 서비스를 실행케 하고, 헬스케어, 비만 및 피부관리, 피트니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관리 섹터부와, 만성, 노인성, 선천성 질환 및 요양,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질병관리 섹터부와, 방문진료, 두피 및 헤어 관리, 건강 보조식품, 토탈 홈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대 서비스 섹터부를 포함한 고객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섹터부가 포함되도록 구성되며, 고객의 오더 수행 전과정과 고객관리 및 서비스의 품질, 위생관리 상황을 데이터화하여 블록체인 기술과 클라우드 기반으로 관리되는 데이터 관리섹터로 저장관리되며 데이터는 상기 AI 분석,진단,예측 분석 섹터부의 분석,진단,예측 데이터로 다시 활용되는 순환구조를 갖는,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별도로 구비된 입맛 진단키트 측정자료에 있어서; 고객 기초자료 데이터 섹터부에서 고객 기초자료 입력부㉮의 자료로 활용되는 입맛 진단키트 측정 자료는 고객에게 입맛 진단 키트가 제공되며, 맛 진단 키트는 짠맛, 단맛, 매운맛, 신맛의 하나가 표시된 손잡이와, 손잡이의 일측에 형성된 맛 시약 부착부에 짠맛, 단맛, 매운맛, 신맛중 하나의 시약을 부착하고 셀룰로우스 액으로 코팅처리 한 시약 부착부와, 손잡이 및 코팅부를 감싸는 포장재로 구성되며, 짠맛, 단맛, 매운맛, 신맛을 6단계 등급으로 분류하여 각각 6개씩 4가지 맛을 한 세트로 하여 구비된 맛 진단키트로 고객의 입맛을 측정하여 6단계로 표준 수치화하고, 고객이 선호하는 음식 간을 파악하여 식습관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입맛 진단키트를 포함하며, 별도로 구비되는 밥,국그릇 및 반찬용 식판을 수용하는 전용포장 밥, 국, 찬 그릇 일체 패킹박스로 구성되는 것이 포함되며, 기밀용 패킹재가 부착된 뚜껑을 구비한 밥그릇과 국그릇, 보온재가 내장되고 밥그릇과 국그릇의 외형과 크기에 맞게 구비된 밥,국 그릇용 패킹박스 상,하부와, 반찬이 담겨지는 하부 식판과, 하부 식판에 진공 밀착되는 상부 식판을 포함하고, 상부 식판은 상부 식판과 하부 식판 사이의 공기를 진공관을 통하여 흡기하도록 하는 진공 포장용 흡기구 진공 밸브와, 진공관에 설치되어 진공을 해제하는 진공해제 코크밸브를 포함하는,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밥그릇과 국그릇을 수용한 밥, 국그릇용 패킹박스와 다수의 반찬용 진공밀착 식판을 수용하는 밥,국,찬 그릇 일체 패킹박스 상,하부를 더 포함하고, 내부에 보온재가 충전된 하부 받침대, 하부 받침대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지지 가이드, 하부 받침대의 양 측부에 설치된 하부 결합용 버클을 포함하는 하부 팩킹 박스와, 내부에 보온재가 충진되고 상부 중앙에 손잡이가 부착되며, 양 측부에 하부 결합용 버클과 결합되는 상부 결합용 버클을 포함하며, 하부 패킹 박스의 지지 가이드에 진공 포장된 다수의 상,하부 식판이 수납되고, 상,하부 식판 상에 밥그릇 및 국그릇용 패킹박스를 수용하는 밥,국,찬 그릇 일체 패킹박스 상부가 포함되는,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1020210017826A 2021-02-08 2021-02-08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102321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826A KR102321406B1 (ko) 2021-02-08 2021-02-08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826A KR102321406B1 (ko) 2021-02-08 2021-02-08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406B1 true KR102321406B1 (ko) 2021-11-03

Family

ID=7850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826A KR102321406B1 (ko) 2021-02-08 2021-02-08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4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845A (ko) * 2015-01-28 2016-08-05 연천군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4733B1 (ko) * 2018-08-09 2019-04-02 주식회사 아롬정보기술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13954A (ko) *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사용자 맞춤형 건강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41261A (ko) * 2019-06-10 2020-12-18 박종선 개인의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KR102200422B1 (ko) * 2020-06-16 2021-01-08 (주)듀얼헬스케어 개인건강데이터와 의료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845A (ko) * 2015-01-28 2016-08-05 연천군 지역 특산물 사용자 맞춤형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4733B1 (ko) * 2018-08-09 2019-04-02 주식회사 아롬정보기술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13954A (ko) *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사용자 맞춤형 건강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41261A (ko) * 2019-06-10 2020-12-18 박종선 개인의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KR102200422B1 (ko) * 2020-06-16 2021-01-08 (주)듀얼헬스케어 개인건강데이터와 의료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tuntas et al. An innovative and integrated approach based on SERVQUAL, QFD and FMEA for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 case study
Sir et al. Nurse–patient assignment models considering patient acuity metrics and nurses’ perceived workload
Adomat et al. Assessing patient category/dependence systems for determining the nurse/patient ratio in ICU and HDU: a review of approaches
Van Uden et al. Use of out of hours services: a comparison between two organisations
Vale et al. Systematic review of economic evaluations and cost analyses of guideline implementation strategies
Al-Refaie A structural model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 patient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Jordanian hospitals
US200800916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umption and utilization analysis in an organization
US20020116224A1 (en) Networked expert system for the automated evaluation and quality control of medical point of care laboratory measuring data
Di Mascolo et al. A generic simulation model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sterilization services in health establishments
US201201237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umption and utilization analysis in an organization
JP6689501B2 (ja) 健康情報管理システム
Moatari-Kazerouni et al. Improving logistics processes of surgical instruments: case of RFID technology
JP2013191021A (ja) 健康診断情報提供装置及び健康診断情報提供方法
KR102321406B1 (ko) 맞춤형 고객케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Lin et al. A unified framework for the prioritization of organ transplant patients: analytic hierarchy process, sensitivity and multifactor robustness study
Esmaeili et al. Causes of prolonged emergency department stay; a cross-sectional action research
Taweel et al. A service-based system for malnutrition prevention and self-management
Chou et al. Application of Kano's two-dimensional quality model and QFD on a gender-friendly environment of hospital
WO2020029246A1 (zh) 一种基于智能无人驾驶平台的健康综合服务系统及方法
KR20110109481A (ko) 실버타운 입주민을 위한 건강관리 및 실버타운 운영 시스템
Alfarizi Determinant factors of hospital service quality and patient satisfaction: Hospital logistics management approach
JP2002259571A (ja) 健康情報サービス・センタ
Remondino IT Tools and Performance Indicators: A Qualitative Overview of Managerial, Organizational, Financial Strategies within Healthcare Sector
Faour-Klingbeil et al. Comparison of hygiene standards and food safety practices between sole-proprietor and corporate-managed restaurants in Lebanon
JP2002123613A (ja) 在宅健康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